KR20230032368A -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368A
KR20230032368A KR1020210115138A KR20210115138A KR20230032368A KR 20230032368 A KR20230032368 A KR 20230032368A KR 1020210115138 A KR1020210115138 A KR 1020210115138A KR 20210115138 A KR20210115138 A KR 20210115138A KR 20230032368 A KR20230032368 A KR 20230032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input
unit
emitting element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광
정지문
장영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2368A/ko
Publication of KR2023003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통신부, 스위치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발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부를 통한 입력의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식별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을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을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하나의 입력을 통해서도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또는 와이파이 모듈의 활성/비활성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본 개시는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식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에 부흥하여 자신이 섭취하고자 하는 채소와 같은 식물을 텃밭 또는 주말 농장과 같은 곳에서 직접 재배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는, 이러한 채소를 가정에서도 재배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실내에서도 채소와 같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실내용 식물 재배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선행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26954)은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수확이 가능한 식물 재배기를 제공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선행 기술의 식물 재배기는 식물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광원과 통신부를 하나의 키 또는 스위치를 통해 제어하는 내용에 대해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종래의 식물 재배기에는 재배 온/오프, 재배 모드, 조명 시각, 현재 시각, 와이파이(WiFi) 설정 등의 각각에 대한 설정을 위해 많은 키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식물 재배기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제어를 위한 복수의 키들을 식물 재배기에 배치함에 따라 식물 재배기의 제조 가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식물 재배기는 각 기능에 따른 키들을 표시부를 구비하게 되고, 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 재배기의 외관에서 표시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식물 재배기의 디자인이 심플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키 또는 하나의 스위치로 식물 재배기의 발광 소자의 온/오프(ON/OFF) 뿐만 아니라, 와이파이의 기능을 제어하는 식물 재배기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26954
종래에는 하나의 키 또는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식물 재배기에 포함된 발광 소자와 와이파이를 제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개시는 하나의 키 또는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식물 재배기에 포함된 발광 소자 및 와이파이를 제어하는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크기가 작고 별도의 표시부가 없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한된 소형의 식물 재배 장치에서 하나의 키 또는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조명 주기 제어 및 와이파이 활성/비활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하나의 키 또는 하나의 스위치를 통한 입력의 시간을 고려하여 발광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또는 와이파이 모듈의 활성/비활성을 제어하는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통신부를 활성 또는 비활성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거나 또는 발광시키지 않도록 하는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상기 측정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이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이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상기 입력을 통해서 상기 측정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상기 측정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고, 발광부가 현재 오프이면, 상기 입력을 통해서 상기 발광부를 온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상기 발광부가 현재 온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온이면, 상기 입력을 통해서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오프이면, 상기 입력을 통해서 상기 발광부를 온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상기 스위치부를 통한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에도,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온/오프를 하루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스위치부는 하나의 돔 스위치 또는 하나의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하나의 입력을 통해서도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또는 와이파이 모듈의 활성/비활성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스위치부를 통한 입력이 유지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이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인 것으로 판단하고,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이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인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하나의 입력으로 발광 소자 및 통신부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스위치부를 통한 입력이 유지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와이파이 모듈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하나의 입력만으로 식물 재배 장치를 다른 장치, 예를 들면, 휴대 단말, 또는 다른 식물 재배 장치와 통신 채널을 편리하게 설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고, 발광부가 현재 오프이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시킴으로써, 발광 소자를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하나의 돔 스위치 또는 하나의 터치 감지 센서를 통해 식물 재배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식물 재배기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표시부를 배제함으로써, 식물 재배 장치의 제조 가격을 낮출 수 있고, 심플한 디자인으로 식물 재배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개시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물 재배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핸들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물 재배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핸들부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식물 성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지(33)를 구비하는 재배 포트부(30), 재배포트부(30)가 거치되고 배지(33)로 공급될 재배수를 저장하는 물통부(20), 물통부(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10), 및 본체부(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발광부(60)를 구비한 핸들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밀폐형이 아닌 개방형이며, 휴대 가능하다.
따라서, 식물이 육성되고 성장되는 재배 포트부(30)는, 실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재배포트부(30)의 상면은 대체로 중력 방향에 반대되는 상측 방향으로 성장하는 성장방향을 갖는 식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면적으로 실내 환경에 개방 및 노출된다.
또한, 상기 재배 포트부(30)는 상술한 밀폐형 식물 재배 장치와 호환가능 하도록 모듈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배 포트부(30)에서 씨앗을 발아시킨 후, 더 나은 재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1)로 재배 포트부(30)를 이동 및 배치시켜 식물을 육성할 수 있다.
반대로 밀폐형 식물 재배 장치에서 사용 중이던 재배 포트부(30)를 식물 재배 장치(1)로 이동시켜 식물을 육성시킬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6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 높이에 의해 밀폐형 식물 재배 장치에서 육성이 곤란한 식물들을 식물 재배 장치(1)로 이동시켜 육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재배 포트부(30)는 후술하는 물통부(20)에 비체결 방식으로 조립되고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물통부(20)에 비체결 방식으로 조립된다는 의미는, 재배 포트부(30)가 물통부(20)와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함이 없이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조립 및 안착된 상태에서 재배 포트부(30)의 자중에 의한 자가이동은 불가하나, 별도의 분해 조작 없이 쉽게 분리 및 이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재배 포트부(30)는 물통부(20)에 중력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물통부(20)에 단순 거치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배 포트부(30)를 밀폐형 식물 재배 장치로 이동시키거나 재배수의 보충을 위해서 재배 포트부(30)를 물통부(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분해 조작없이 단순히 재배 포트부(30)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조작만으로 쉽게 재배 포트부(30)를 탈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배 포트부(30)의 분리를 위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재배 포트부(30)의 상단과 물통부(20) 사이에는 재배 포트 파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배 포트부(30)는 식물을 지지하고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지(33)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지(33)는 배양수의 흡수가 용이하고 및 식물의 뿌리 성장에 유리한 소정의 다공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지(33)는 당업계에 기공지된 임의의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세부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총 10개의 배지(33)들이 2개소에 분할되어 재배 포트부(30)에 구비되는 실시 예에 도시되어 있다. 배지(33)의 개수는 재배 포트부(30)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게 변경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총 10개의 배지(33)가 2개소에 분할되어 재배 포트부(30)에 구비되는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재배 포트부(30)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통부(20)는, 재배포트부(30)가 거치되며 재배 포트부(30)를 지지하는 역할 및 식물에 공급될 배양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물통부(20)는 재배수를 저장하는 물통바디(21)와, 재배포트를 거치식으로 지지하는 물통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통커버(22)의 상단 측에는 재배포트를 거치식으로 지지하고, 재배포트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거치면(25)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면(25)의 내측에는 재배포트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통바디(21)와 물통커버(22)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간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탈착수단은, 일단부가 물통바디(21) 또는 물통커버(22)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물통바디(21) 또는 물통커버(22) 중 다른 어느 하나에 걸림결합되는 체결레버(23)가 될 수 있다.
물통부(20)는 전체적으로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더 큰 장방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재배포트가 내부에 전체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상하방향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물통부(20)는,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량의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통부(20)의 물통바디(21)와 물통커버(22)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물통부(20)를 구성하는 물통바디(21)와 물통커버(22)는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발광부(60)로부터 빛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재배 포트부(30)의 상단은, 마찬가지로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6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대부분 물통부(20)의 내부에 저장되는 재배수로 도달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물통부(20)의 내부에서 이끼가 성장이 가능성 및 이끼의 성장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통부(20)의 외면을 형성하는 물통커버(22)의 외면(221) 중에서 후면(24)은, 후술하는 본체부(10)에 결합되면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며 식물 재배 장치(1)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물통커버(22)의 후면(24)은 본체부(10)의 외측면(10c, 10d)과 연속면을 형성하게 된다.
물통부(20)는, 전술한 재배포트와 마찬가지로 비체결 방식으로 본체부(10)에 결합되고 안착된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본체부(10)에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결합해제 조작 또는 결합 조작없이 물통부(20)를 본체부(10)로부터 분리하거나 본체부(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통부(20)가 본체부(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통부(2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물통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단순 들어올리는 조작을 통해서 용이하게 물통부(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물통부(20)의 하부로서, 본체부(10)의 후면(10b)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지홈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홈부(123)의 폭 및 높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진입이 용이한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에 대응하여 물통부(2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가능할 정도의 깊이를 갖는 물통부 파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물통부(20)는 안착될 정위치를 설정하고 정위치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설정수단을 물통바디(2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물통부(2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리브는 후술하는 본체부(10)에 형성되는 계합홈부(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계합홈부(122)의 상단 입구(1221)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리브와 계합홈부(122)에 의해서 물통부(20)의 안착위치가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의 삽입이 완료되면 계합홈부(122)는 가이드리브에 대한 스토퍼로서 작용하여, 본체부(10)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상대이동 및 좌우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통부(20)의 상대이동이 제안됨으로서, 물통부(20)의 정위치에서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물통부(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본체부(10)는, 물통부(20)를 수용하고 후술하는 핸들부(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통부(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상면(10e) 및 후면(10b)은 물통부(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부분 개방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전면(10a)은 식물 재배 장치(1)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막혀 있는 상태가 된다.
물통부(20)의 전면은 평탄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통부(20)의 전면에 의해서 물통부(20)의 전방 이동은 차단될 수 있다.
물통부(20)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부(10)는, 상하방향으로 분할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상하방향 분할체는, 하부 분할체에 해당하는 제1 본체바디(11)와 상부 분할체에 해당하는 제2 본체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바디(11)와 제2 본체바디(12)는 각각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물통부(20)와 유사하게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각각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본체부(10)가 제1 본체바디(11) 및 제2 본체바디(1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본체바디(12)에는 물통부(20)가 결합되고 수용된다.
제2 본체바디(12)에 물통부(20)가 결합되는 바닥면(12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통부(20)의 가이드리브와 계합하는 계합홈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합홈부(122)는 제2 본체바디(12)의 바닥면(121)으로부터 제1 본체바디(11)를 향해 아래로 볼록한 형태의 오목홈부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계합홈부(122)의 상단 입구(1221)의 형상은 물통부(20)의 가이드리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합홈부(122)의 상단 입구(1221)는, 물통부(20)가 안착된 상태에서 물통부(20)의 가이드리브의 상대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된다.
계합홈부(122)는, 가이드리브의 스토퍼 기능 이외에 후술하는 스페이서(51, 52)를 수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스페이서(51) 및 제2 스페이서(52)가 각각 분체부 및 핸들부(40)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되면, 이들 분리된 제1 스페이서(51) 및 제2 스페이서(52)는 함께 계합홈부(12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계합홈부(122)의 내부 공간은 제1 스페이서(51) 및 제2 스페이서(52)가 동시에 수용될 수 있는 수납공간(S1)이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납공간(S1)의 내부에는 제1 스페이서(51) 및 제2 스페이서(52)가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스페이서(51)와 제2 스페이서(52)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핸들부(40)를 지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부(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핸들부(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본체바디(12)의 좌측 상단면에는 제1 본체인서트(124)가 구비되고, 제2 본체바디(12)의 우측 상단면에는 제2 본체인서트(125)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본체인서트(124)는, 후술하는 핸들부(40)의 제1 단부(40d)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인서트형합부(43)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핸들부(40)의 제1 단부(40d)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 본체인서트(125)는 핸들부(40)의 제2 단부(40e)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인서트형합부(44)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핸들부(40)의 제2 단부(40e)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본체인서트(124)와 제2 본체인서트(125)는, 이들 제1 인서트형합부(43) 및 제2 인서트형합부(44)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단부(53a, 53b)의 단면이 하단부(54a, 54b)의 단면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물통부(20)와 재배 포트부(30)와는 달리, 핸들부(40)는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본체인서트(124)와 제2 본체인서트(125)는 체결 방식의 강제결합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 방식의 강제결합 수단은 탄력 결합부(1241, 1251)가 될 수 있다.
이들 탄력 결합부(1241, 1251)는 제1 본체인서트(124)와 제2 본체인서트(125)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본체인서트(124) 및 제2 본체인서트(125)가 제1 인서트형합부(43)와 제2 인서트형합부(44)로 진입하면서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이 후, 제1 본체인서트(124)와 제2 본체인서트(125)의 결합이 완료되면 탄력 결합부(1241, 1251)는 원래 형상으로 탄력적으로 복귀하면서 제1 인서트형합부(43)와 제2 인서트형합부(44)에 대한 걸림이 형성되도록 작용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인서트형합부(43)와 제2 인서트형합부(44)에는 각각 이러한 걸림 결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탄력 결합부(1241, 1251)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결합홀(42)이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40)와 본체부(10)의 체결이 완료된 후 분리하기 위해, 결합홀(42)에 걸림 결합된 탄력 결합부(1241, 1251)를 결합홀(42)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탄력 결합부(1241, 1251)를 눌러 탄력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탄력 결합부(1241, 1251)와 결합홀(42)을 이용한 강제결합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 당업계에 기공지된 임의의 강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부(40)에 구비되는 발광부(60)에 대한 전력공급은 제1 인서트형합부(43)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제1 본체인서트(124)와 제1 인서트형합부(43)에는 전력공급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본체인서트(124)가 제2 인서트형합부(44)에 결합되는 경우와 같이 오조립 또는 오결합되는 경우에는 발광부(6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인서트형합부(43)와 제2 인서트형합부(44)에는 오조립 또는 오결방 방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부(10)의 하부 분할체를 구성하는 제1 본체바디(11)는,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8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입력단자(80)는 예시적으로 콘센트의 형태로 제1 본체바디(1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바디(11)는 지면 또는 테이블 등과 같이 고정면에 직접 접촉되고 고정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본체바디(11)의 하면에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슬립방지패드가 제1 본체바디(11)의 하면의 하부 측에 복수 개소에 구비될 수 있다. 충격흡수와 미끄럼방지 기능을 위해 슬립방지패드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들부(40)와 본체부(10) 사이에는 전술한 스페이서(51, 52)가 연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51, 52)는 핸들부(40)의 높이 조절을 위한 용도를 갖는다.
특히, 핸들부(4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광부(6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스페이서(51, 52)를 이용하여 발광 소자(62)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스페이서(51, 52)를 이용하여 식물의 성장 높이에 맞게 발광부(6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제2 본체바디(12)의 제1 본체인서트(124)에 연결되는 제1 스페이서(51)의 하단부(54a)는, 체결 방식의 강제결합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전술한 제1 인서트형합부(43)의 구성이 동일하게 구비된다. 또한 핸들부(40)의 제1 단부(40d)에 형성되는 제1 인서트형합부(43)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스페이서(51)의 상단부(53a)에는, 본체부(10)의 제1 본체인서트(124)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1 스페이서인서트(55a)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본체바디(12)의 제2 본체인서트(125)에 연결되는 제2 스페이서(52)의 하단부(54b)는 제2 인서트형합부(44)의 구성이 동일하게 구비된다. 또한, 핸들부(40)의 제2 단부(40e)에 형성되는 제2 인서트형합부(44)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스페이서(52)의 상단부(521)에는, 본체부(10)의 제2 본체인서트(125)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스페이서인서트(55b)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핸들부(40)의 제1 인서트형합부(43)와 제2 인서트형합부(44)에 구비되는 오조립 또는 오결방 방지 수단이 동일하게, 제1 스페이서(51)의 하단부(54a) 및 제2 스페이서(52)의 하단부(54b)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부(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핸들부(40)는, 식물 재배 장치(1)의 이동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핸들부(40)는 재배 포트부(30)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60)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부(40)는, 좌우방향을 따라 본체부(10)의 상측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40a)를 구비할 수 있다. 수평연장부(40a)의 내부에는 발광부(60)가 좌우방향을 따라 재배 포트부(30)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배포트부(30)를 향해 발광부(60)로부터 생성되는 빛의 조사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발광부(60)는 수평 연장부(40a)에 배치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60)는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회로기판(61)과, 회로기판(61)의 하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와, 발광 소자(62)에 대한 전력공급을 결정하는 프로세서(63)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62)는 전기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가시광선을 생성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칩 또는 발광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개별 발광 소자(62)가 생성하는 가시광선은 식물성장에 적합한 파장영역을 갖는 백색광 또는 적색광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61)에는 백색광을 생성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만이 배치되거나, 백색광과 적색광을 생성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들이 조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예시적으로 복수의 발광 소자들(62)이 회로기판(61)의 길이방향을 따라 3열로 배치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 소자들(62)이 3열로 배열되는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 소자들(62)이 배열되는 간격은, 개별 발광 소자(62)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기판의 중앙부에 배열되는 발광 소자들(62) 사이의 간격은 기판의 양단부 측에 인접해서 배열되는 발광 소자들(62)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기판(61)의 좌측 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프로세서(63)는, 발광 소자(62)에 대한 전력공급 여부, 전력공급 시간 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세서(63)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 마이컴,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3)는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들부(40)는, 수평 연장부(40a)의 양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수직연장부(40b) 및 제2 수직연장부(40c)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연장부(40b)에는 제1 인서트형합부(44)가 구비될 수 있고, 제1 인서트형합부(44)의 상측에는 통신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70)는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2 수직연장부(40c)에는 제2 인서트형합부(44)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인서트형합부(44)의 상측에는 스위치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부(41)는, 전술한 프로세서(6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버튼 형태(예: 돔 스위치)로 구비되거나, 또는 터치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부(41)는, 후술하는 제1 핸들바디(46)에 형성된 스위치홀(413)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터치하게 되면, 프로세서(63)는 스위치부(41)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발광 소자(62)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3)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통신부(70)(예: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의 작동을 개시하거나 중단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70)는, 예시적으로 인터넷 망에 양방향 접속이 가능한 와이파이 모듈(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또는 블루투스 모듈)은 프로세서(63)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63)는 와이파이 모듈(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나아가 프로세서(63)는 와이파이 모듈(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서 전술한 밀폐형 식물 재배 장치 및 타 식물 재배 장치와 정보 교환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밀폐형 식물 재배 장치 및 타 식물 재배 장치에서 성장 중인 식물에 관한 정보 등이 상호간 교환될 수 있다. 여기서 식물에 관한 정보는, 식물의 종명, 식물의 성장 일수, 조명 점등유지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부(41)의 상측에는 통신부(70)의 작동여부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등(48)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통신부(70)가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태표시등(48)에서 출력되는 빛은 상태표시홀(481)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또한, 본체부(10)와 유사하게 핸들부(40)는, 상하방향으로 분할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상하방향 분할체는, 하부 분할체에 해당하는 제1 핸들바디(46)와 상부 분할체에 해당하는 제2 핸들바디(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바디(46)와 제2 핸들바디(42)는 각각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발광 소자(62)의 조사 효율을 위해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각각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핸들바디(46)와 제2 핸들바디(42) 사이에는, 제1 단부(40d)로부터 제2 단부(40e) 사이로 연통될 수 있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부에 전술한 발광부(60), 통신부(7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단부(40d)로부터 제2 단부(40e) 사이로 연통될 수 있는 수용 공간부를 통해서 발광부(60)의 냉각을 위한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로에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제1 핸들바디(46)에는 복수의 냉각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복수의 냉각홀(414) 중 일부는 제1 수직연장부(40b)에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수직연장부(40c)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핸들바디(46)에는 재배 포트부(30)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복수의 투광홀들(41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투광홀들(411)은 전술한 복수의 발광 소자들(62)에 1대1로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투광홀(411)에는 대응하는 발광 소자(62)에서 생성된 빛이 효율적으로 재배 포트부(30)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집광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40)는, 제1 핸들바디(46)의 하부에는 복수의 투광홀(411)을 하측방향에서 커버하는 투명커버(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커버(45)는 발광 소자(62)에서 생성된 빛이 효과적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투명플레이트(451)를 구비한다.
투명플레이트(451)와 복수의 투광홀들(411) 사이에는, 3열로 배열되는 발광 소자(62)의 배열방향에 대응하여 3열로 배치되는 집광 렌즈부(452)가 구비될 수 있다.
집광 렌즈부(452)는, 투광홀(411)을 통과한 빛의 집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투광홀(411)을 향해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렌즈(452a, 452b)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집광 렌즈부(452)를 통과한 빛의 확산량은 최소화되고, 재배포트부(30)를 향해 수렴되기 때문에 발광 소자(62)의 조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플레이트(451)의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에는 제1 핸들바디(46)로의 후크 방식 고정을 위한 복수의 체결탭들(453)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600)는 통신부(70), 전원부(610), 스위치부(41), 발광부(61), 및 프로세서(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장치(600)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장치(600)의 구성 요소들이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70)는 휴대 단말(미도시) 또는 다른 식물 재배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등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70)는 이러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또는 회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부(61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부(41)는 누름 버튼 형태의 스위치(예: 돔 스위치) 또는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부(41)는 하나의 돔 스위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의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41)는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돔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서, 메탈 돔(metal dome)의 탄성 작용을 통해 전극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돔 스위치는 절연층의 상부와 하부에 전극 패턴을 형성하고, 상부 전극 패턴의 중앙부에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탈 돔을 배치한 후, 메탈 돔을 납땜 및 절연필름으로 고정하는 구성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61)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예: LED(Lighting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는 프로세서(63)의 제어 하에,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 상태(예: 동작 시작, 동작 중, 동작 종료 등)에 대해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다양한 색깔로 발광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주기로 온/오프(ON/OF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63)는 식물 재배 장치(1)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스위치부(41)를 통한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에, 상기 발광부(6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의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일정 시간 단위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온시키거나,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63)는 하루 24 시간 중, 제1 시간 동안(예: 14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가 발광되도록 온(ON)시키고, 상기 제1 시간을 제외한 제2 시간 동안(예: 10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가 발광되지 않도록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63)는 주로 실내에 있는 사람들이 활동하는 시간 동안(예: 아침 6시부터 저녁 8시)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발광시키고, 활동하지 않는 시간 동안(예: 저녁 8시부터 다음날 아침 6시)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가 발광되지 않도록 상기 발광부(6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스위치부를 통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S710). 상기 프로세서(63)는 스위치부(41)의 돔 스위치의 누름에 의한 입력 또는 터치 감지 센서를 통한 입력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상기 스위치부(41)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입력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S712). 상기 프로세서(63)는 타이머(620)를 통해 스위치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부(41)가 누름 버튼 형태의 스위치(예: 돔 스위치)가 포함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스위치의 누름이 시작되면 타이머(620)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위치의 누름이 종료되면, 상기 타이머(62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타이머(620)를 통해 상기 스위치가 눌려져 있는 시간(time period)을 계산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부(41)가 터치 감지 센서가 포함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터치 감지 센서 상에 터치가 시작되면 타이머(620)를 동작시키고, 상기 터치 감지 센서 상의 터치가 종료되면, 상기 타이머(62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타이머(620)를 통해 상기 터치 감지 센서 상의 터치에 의한 시간을 계산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S714).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스위치부(41)를 통한 입력이 유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타이머(620)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예: 2초)을 초과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이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716).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스위치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예: 사용자 명령)이 유지되는 시간이 임계값(예: 2초)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즉, 2초 이하의 입력)은 발광부(6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S718).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입력(즉, 2초 이하의 입력)이 발광부(6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온 시키거나,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가 온 상태에서, 상기 과정(S712)에서 측정된 시간이 상기 임계 값(예: 2초)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스위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예: 10 시간) 발광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과정(S712)에서 측정된 시간이 상기 임계 값(예: 2초)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예: 14 시간) 발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이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720).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스위치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예: 사용자 명령)이 유지되는 시간이 임계값(예: 2초)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즉, 2초 초과의 입력)은 통신부(70)에 포함된 무선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비컨 모듈)의 활성/비활성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통신부의 활성/비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S722).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입력(즉, 2초 초과의 입력)이 통신부(70)에 포함된 무선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비컨 모듈)의 활성/비활성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온 시키거나,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비컨 모듈)의 활성 중인 상태에서, 상기 과정(S712)에서 측정된 시간이 상기 임계 값(예: 2초)을 초과하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스위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비컨 모듈)의 비활성 중인 상태에서, 상기 과정(S712)에서 측정된 시간이 상기 임계 값(예: 2초)을 초과하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스위칭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810).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63)는 돔 스위치에 의한 입력 또는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S812).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입력이 끊김 없이 유지되는 시간을 타이머(620)를 구동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63)는 돔 스위치의 누름에 의한 압력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스위치부(41)에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압력의 세기와 미리 결정된 세기에 기반하여 입력이 발광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통신부(70)의 활성/비활성을 제어하기 위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력의 세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입력이 통신부(70)의 활성/비활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력의 세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세기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입력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예: 2초)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814).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스위치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임계값(예: 2초)을 초과하는지 또는 초과하지 않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통신부(70)를 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S816).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70)가 현재 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통신부(70) 활상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스위칭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부(70)가 현재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통신부(70) 비활상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스위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63)는 돔 스위치의 누름에 의한 압력이 미리 결정된 세기보다 크면, 상기 입력이 통신부(70)의 활성/비활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을 발광부(61)를 제어하는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S818). 또는, 상기 프로세서(63)는 돔 스위치의 누름에 의한 압력이 미리 결정된 세기보다 크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발광부(61)가 현재 오프 상태인지 또는 온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8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발광부(61)가 현재 오프 상태이면, 상기 발광부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온시킬 수 있다(S822).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예: 14 시간) 발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발광부(61)가 현재 오프 상태가 아니면(즉, 온 상태)이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가 현재 온인지 또는 오프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824). 상기 프로세서(63)는 발광부(61)가 활성 중인 상태에서, 발광 소자가 현재 발광하고 있는지 또는 발광하고 있지 않은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가 현재 온이면, 상기 발광부(6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오프시킬 수 있다(S826).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예: 10 시간) 발광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현재 온이 아니면(즉, 오프 상태), 상기 발광부(61)를 온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온 시킬 수 있다(S828, S830). 상기 프로세서(6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2)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예: 14 시간) 발광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스위치부(41)에 포함된 하나의 스위치(또는 하나의 터치 감지 센서)의 조작을 통해서 발광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부(70)부의 활성/비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본 개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전원코드 OFF 전원코드 인가 숏키 숏키 롱키 숏키 롱키 롱키 숏키 숏키 14h 숏키
LED OFF OFF ON OFF OFF ON ON ON OFF ON OFF ON
조도 - 100% 100% 100% 100% 100% 100%
상태표시등 OFF OFF OFF OFF ON ON OFF ON ON ON ON ON
와이파이 OFF OFF OFF OFF ON ON OFF ON ON ON ON ON
[표 1]과 같이, 전원 코드가 인가된 상태에서, 우측 순서로 숏키(즉,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입력) 또는 롱키(즉,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입력)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숏키(즉,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입력)가 입력되면, 발광 소자(LED)는 온되고, 상태표시등과 아이파이는 오프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숏키가 다시 입력되면, 발광 소자는 오프된다. 이후, 롱키(즉,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입력)가 입결되면, 발광 소자는 오프되고, 와이파이와 상태표시등은 온된다. 이런 상태에서 숏키가 입력되면, 발광 소자는 온된다.
그리고, 롱키가 입력되면, 발광소자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와이파이와 상태표시등은 오프된다. 그리고, 다시 롱키가 입력되면, 발광소자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에 와이파이와 상태표시등은 온된다. 이후, 다시 숏키가 입력되면, 와이파이와 상태표시등이 온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발광 소자는 오프된다. 그리고, 숏키가 입력되면 와이파이와 상태표시등이 온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발광 소자는 온된다.
이후, 발광 소자는 미리 결정된 시간(예: 14시간) 동안 온 상태로 유지한 후, 오프한다. 발광 소자가 오프 상태에서 다시 숏키가 입력되면, 발광 소자는 다시 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각각의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도시된 순서에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개시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물 재배 장치 41: 스위치부
70: 통신부 61: 발광부
63: 프로세서 610: 전원부
620: 타이머

Claims (15)

  1. 식물 재배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스위치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발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부를 통한 입력의 시간(time period)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식별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을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을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된 식물 재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한 와이파이(WiFi)의 활성 및 비활성 간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식물 재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발광부의 온/오프를 식별하고,
    상기 발광부가 오프이면, 상기 발광부를 온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시키도록 설정된 식물 재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광부가 온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온/오프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온이면,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오프시키도록 설정된 식물 재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오프이면, 상기 발광부를 온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시키도록 설정된 식물 재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부를 통한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스위칭하도록 설정된 식물 재배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루 24 시간 중, 제1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온 및 상기 제1 시간을 제외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오프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된 식물 재배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하나의 돔 스위치 또는 하나의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9. 식물 재배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스위치부를 통한 입력의 시간(time period)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식별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을 통신부를 제어하는 입력으로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을 발광부를 제어하는 입력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한 와이파이(WiFi)의 활성 및 비활성 간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발광부의 온/오프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발광부가 오프이면, 상기 발광부를 온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온/오프를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발광부가 온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온/오프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온이면,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오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온/오프를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오프이면, 상기 발광부를 온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를 통한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하루 24 시간 중, 제1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온 및 상기 제1 시간을 제외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오프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115138A 2021-08-30 2021-08-30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 KR20230032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38A KR20230032368A (ko) 2021-08-30 2021-08-30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38A KR20230032368A (ko) 2021-08-30 2021-08-30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368A true KR20230032368A (ko) 2023-03-07

Family

ID=8551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138A KR20230032368A (ko) 2021-08-30 2021-08-30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23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954A (ko) 2016-09-05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954A (ko) 2016-09-05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46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and sowing and planting mat therefor
US20150305259A1 (en) Device for domestic hydroponic cultivation
KR102340090B1 (ko) 모듈형 수경재배기
KR102021578B1 (ko) 모판 단위로 식물 채취가 가능하며 배양액의 누수가 방지되는 IoT 기반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US20160007545A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KR20230032368A (ko)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
KR20180071914A (ko) 열전소자를 활용한 항온항습기능과 광원조절기능을 포함한 무선제어기능을 가진 소생물 생육장치
KR101879927B1 (ko) 다기능 화분
KR101463982B1 (ko) Led조명을 구비한 식물재배장치
CN201345840Y (zh) 育苗暖箱
ES2926900T3 (es) Sistema de cultivo de plantas
KR102035326B1 (ko) 식물의 개수와 품종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IoT 기반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WO2021059015A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nomous farming
KR20230032370A (ko) 간이 식물재배기
CN210008811U (zh) 一种新型智能风能香薰花瓶
KR20230032369A (ko) 간이 식물재배기
KR20230032371A (ko) 간이 식물재배기
KR102021573B1 (ko) 배양액에 의해 자연발생된 습공기를 이용하여 공조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IoT 기반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KR20230032373A (ko) 식물 재배기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230032372A (ko) 식물 재배기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180007200A (ko) 화분 캡슐과 이것을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CN216123585U (zh) 可堆叠且大小可调的新型水耕机
KR20230099572A (ko) 식물재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99569A (ko) 식물재배기
KR20130025464A (ko) 미니화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