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090B1 - 모듈형 수경재배기 - Google Patents

모듈형 수경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090B1
KR102340090B1 KR1020210099179A KR20210099179A KR102340090B1 KR 102340090 B1 KR102340090 B1 KR 102340090B1 KR 1020210099179 A KR1020210099179 A KR 1020210099179A KR 20210099179 A KR20210099179 A KR 20210099179A KR 102340090 B1 KR102340090 B1 KR 10234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terminal
modular
connection
hydropon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택
Original Assignee
황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택 filed Critical 황재택
Priority to KR1020210099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090B1/ko
Priority to PCT/KR2022/010242 priority patent/WO20230087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형 수경재배기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포트를 포함하는 본체부; 발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의 광이 상기 식물 재배 포트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는 조명부; 및 상기 발광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저면에 받침 부재가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저면 연결부 중 하나에 결합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모듈형 수경재배기{module type hydroponics planter}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수 개를 적층 또는 배열할 수 있는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실내 활동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취미와 기분 전환을 위한 홈가드닝 니즈 증가와 식물가꾸기를 통해 우울감 극복, 정서안정, 활력회복 등 기분전환을 원하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가정에서 수경재배기를 찾는 이들이 급격하게 많아졌다.
종래의 가정용 수경재배기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8218호(2019년 3월 18일 공개, 가정용 수경재배기)를 예로 들 수 있다. 해당 문헌에서 개시하는 가정용 수경재배기는 가정용 수경재배기가 냉각순환시스템을 통하여 수경재배기 내부의 습도 조절 및 이산화탄소 공급을 용이하게 하고, 식물 성장에 적합한 빛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하여, 가정의 실내에서 위생적으로 안전하도록 사용자 편의성이 우수한 가정용 수경재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경재배기의 경우, 더 많은 수확량을 원하거나 다양한 품종을 동시에 재배하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수경재배기를 나란히 배치하는 정도로 사용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사용 방법은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하게 되거나, 수경재배기 별로 다수의 전원을 연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8218호(2019년 3월 18일 공개), 가정용 수경재배기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는 여러 대를 배치하되 공간 효율성과 인테리어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포트를 포함하는 본체부; 발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의 광이 상기 식물 재배 포트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는 조명부; 및 상기 발광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저면에 받침 부재가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저면 연결부 중 하나에 결합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에서, 상기 전원 커넥터는 상기 저면 연결부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받침 부재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는, 수평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부를 포함하는 수평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단자부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 연결부와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가 포함하는 다른 본체부의 다른 저면 연결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전원 커넥터로부터 상기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에도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는, 수평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부를 포함하는 수평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면에 복수의 상면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단자부는, 상기 조명부의 상면 연결부와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가 포함하는 다른 조명부의 다른 상면 연결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전원 커넥터로부터 상기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에도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는, 수직으로 배열된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수직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면에 복수의 상면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 연결 부재의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 각각은, 상기 조명부의 상면 연결부와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가 포함하는 다른 본체부의 다른 저면 연결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전원 커넥터로부터 상기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에도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상면 연결부 및 상기 저면 연결부는 위에서 봤을 때,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의 상기 단자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커넥터가 결합하는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단자부 각각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연결 부재가 결합하는 복수의 상면 연결부 또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 각각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결 부재의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 각각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연결 부재가 결합하는 복수의 상면 연결부 또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 각각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플러그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플러그핀이 끼워지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가 결합하는 상면 연결부의 단자부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부가 결합하는 저면 연결부의 단자부는 플러그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는,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고 타 단부가 상기 조명부와 결합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조명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결기둥의 상기 일 단부가 결합하는 기둥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 연결부 및 상기 저면 연결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커넥터와 상기 연결기둥이 상기 원통형 내에서 직접 결합되어 상기 연결기둥과 상기 전원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는 이웃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결될 수 있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는 물리적인 구속력뿐만 아니라 전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외부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와 연결될 수 있어서, 복수의 전원 커넥터가 연결될 필요가 없고, 전원 커넥터의 전선이 너저분하게 노출될 일을 없앨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를 복수 개 연결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를 복수 개 연결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의 일 조립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수경재배기를 복수 개 연결하는 수직 연결 부재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수경재배기를 복수 개 연결하는 수평 연결 부재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수경재배기의 구조물을 지칭하는 용어(예: 본체부, 조명부), 구조물 간 연결부를 지칭하는 용어(예: 연결 부재, 받침 부재), 회로를 지칭하는 용어 (예: 전선, 전력선, 전원 커넥터)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100)는 본체부(110), 조명부(120) 및 연결기둥(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복수의 식물 재배 포트(111)가 배치될 수 있다. 식물 재배 포트(111)는 식물(P)이 수용되는 개구부로서, 식물(P)이 생장할 수 있는 배지(substrate)가 수용될 수 있다. 배지는 유기 성장 배지 및 무기 성장 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성장 배지는 활성탄(activated carbon), LECA 자갈(Lightweight expanded clay aggregate pebbles), 펄라이트(Perlite), 암면(rock wool), 스폰지, 코코넛 섬유(coconut fiber), 바이오 차르(bio char) 피트모스(peatmoss) 또는 비슷한 비활성 다공성의 입자형 물질을 재료로 할 수 있어서, 공기 필터로서 기능할 수 있고, 식물(P)은 무기 성장 배지에서는 뿌리가 치밀한 분형근(root ball)을 이루지 않는 점에서 유기 성장 배지보다 유리하다. 식물(P)은 곡식이나 채소와 같은 농작물, 꽃 또는 공기 정화 식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식물 재배 포트(111)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저수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액 공급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저수조 내의 물 또는 배양액의 양은 부표(150)를 통해 확인하거나, 식물 재배 포트 외측에 창을 구비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식물 재배 포트(111)를 제거할 경우, 저수조에 흙 등의 배양재료를 담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식물 재배 포트에서 생장한 식물을 바로 저수조로 옮겨 담아 지속적인 생장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포트(111)가 포함된 커버 부재를 제거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체부(110)의 저면에는 받침 부재(112)를 결합할 수 있는 저면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부재(112)는 본체부(110)가 직접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바닥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받침 부재(112)는 적절한 탄성을 가지면서 마찰력이 큰 재료, 예를 들어 고무, 합성 수지, PVC 등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 부재(112)에서 본체부(110)와 결합한 후 바닥면에 맞닿는 부분에 고무, 합성 수지, PVC 등을 재료로 하는 패드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저면 연결부(113)에는 전원 커넥터(114)가 결합할 수 있다. 전원 커넥터(114)는 수경재배기(10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 커넥터(114)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113) 중 하나에 결합할 수 있다. 전원 커넥터(114)가 결합하지 않은 저면 연결부(113)에는 받침 부재(112)가 결합할 수 있다.
전원 커넥터(114) 및 받침 부재(112)는 본체부(110)에 결합하였을 때, 같은 높이(h)를 가지도록 본체부(1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원 커넥터(114)는 본체부(110)에 결합하였을 때, 받침 부재(112)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커넥터(114)에서 본체부(110)와 결합한 후 바닥면에 맞닿는 부분에 고무, 합성 수지, PVC 등을 재료로 하는 패드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110)가 포함하는 저면 연결부(113)는 전원 커넥터(114)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10)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저면 연결부(113)는 복수 또는 모두에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위에서 봤을 때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저면 연결부(113)가 각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수경재배기는 전원 커넥터를 연결하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어, 수경재배기의 배치 방향에 자유도가 적고, 전원 커넥터가 수경재배기는 물론 인테리어 환경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사용자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113) 중에서 원하는 위치에 전원 커넥터(114)를 결합할 수 있어서, 실내에서 수경재배기(100)를 배치하는 위치와 방향, 전원 커넥터(114)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전원(예를 들어, 벽 콘센트, 멀티탭 등)의 위치와 방향을 고려하여 전원 커넥터(114)를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된다.
조명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부(120)는 본체부(110)의 식물 재배 포트(111)를 향하여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수단은 식물(P)의 높은 광합성 반응을 야기하는 광을 발광할 수 있으며, 전구,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수단은 일반적으로 식물에서 광합성에 관여하는 엽록소 a와 엽록소 b가 가장 높은 광합성 반응을 나타내는 약 450nm 및 약 660nm의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조명부(120)는 본체부(110)의 식물 재배 포트(111)를 향하여 열을 제공할 수 있는 온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에 연결되는 온열수단은 발광수단의 기능을 같이 제공하는 온열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온열수단과 발광수단은 분리 설치될 수도 있어, 광량과 온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조명부(120)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수단은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식물에 필요한 광량 또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연결기둥(130)은 본체부(110)와 조명부(120)를 연결하는 부재일 수 있다. 연결기둥(130)은 복수 지점에서 본체부(110)와 조명부(120)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기둥(131), 제2 연결기둥(132), 제3 연결기둥(133) 및 제4 연결기둥(134)이 본체부(110)와 조명부(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부(110)와 조명부(1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기둥(130)의 일 단부(135)는 본체부(110)와 연결되고, 타 단부(136)는 조명부(1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기둥(130)은 본체부(110)와 조명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커넥터(114)를 통해 본체부(110)에 제공된 전력은 연결기둥(130)을 통하여 조명부(120)에 전달될 수 있다. 조명부(120)는 연결기둥(130)을 통하여 전력을 전달받아 발광수단을 작동할 수 있다. 본체부(110) 및 조명부(120) 각각은 연결기둥(130)이 연결되는 위치에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연결기둥(130)의 일 단부(135)가 결합하는 기둥 연결부(115)를 포함할 수 있고, 조명부(120)는 연결기둥(130)의 타 단부(136)가 결합하는 기둥 연결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의 기둥 연결부(115) 및 조명부(120)의 기둥 연결부(121)는 연결기둥(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기둥(130)은 본체부(110)와 조명부(120) 각각은 연결기둥(130)이 결합하는 지점 모두에서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연결기둥(130) 중에서 하나의 연결기둥(130)이 본체부(110)와 조명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 및/또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의 복수의 저면 연결부(113) 및 복수의 기둥 연결부(115)는 둘 이상 또는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기둥(131)이 본체부(110)와 조명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나머지 연결기둥들(132, 133, 134)은 본체부(110)와 조명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에서 전원 커넥터(114) 또는 받침 부재(112)가 결합하는 저면 연결부(113)와 연결기둥(130)이 결합하는 기둥 연결부(115)는 본체부(110)를 위에서 봤을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면 연결부(113)와 기둥 연결부(115)는 속이 빈 원통(hollow cylinde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통형의 저면 연결부(113)와 기둥 연결부(115) 내에서 전원 커넥터(114)와 연결기둥(130)이 직접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를 복수 개 연결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경재배기(210) 및 제2 수경재배기(220)는 수평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경재배기(210)는 전원 커넥터(211)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조명부의 발광수단을 작동할 수 있다. 제2 수경재배기(220)는 별도의 전원 커넥터의 연결 없이도 제1 수경재배기(210)와의 연결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수경재배기(210)와 제2 수경재배기(220)는 수평 연결 부재(2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수평 연결 부재(230)는 제1 수경재배기(210)와 제2 수경재배기(22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전기적으로도 연결할 수 있다.
수평 연결 부재(230)는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해, 수평으로 배치된 제1 단자부(231) 및 제2 단자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경재배기(210) 및 제2 수경재배기(220)는 수평 연결 부재(230)의 단자부가 결합할 수 있는 상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경재배기(210)는 제1 상면 연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경재배기(220)는 제2 상면 연결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경재배기(210, 220)는 복수의 상면 연결부(212, 2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경재배기(210)는 위에서 봤을 때,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상면 연결부(212)가 각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수경재배기(210)가 포함하는 복수의 상면 연결부(212) 중 하나의 상면 연결부(212)와, 제2 수경재배기(220)가 포함하는 복수의 상면 연결부(221) 중 하나를 서로 이웃하게 하고, 수평 연결 부재(230)를 이용하여, 제1 수경재배기(210) 및 제2 수경재배기(220)를 원하는 배열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수경재배기(210)는 전원 커넥터(211)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전원 커넥터(211)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은 연결기둥(214)을 통하여 제1 수경재배기(210)의 조명부의 발광수단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연결기둥(214)을 통하여 전달된 전력은 제1 수경재배기(210)의 상면 연결부(212)가 가지는 단자를 통해서도 외부에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수경재배기(210)의 상면 연결부(221)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경재배기(220)는 제1 수경재배기(210)와 각각에 포함된 상면 연결부(212, 221)에 포함된 단자와 이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 부재(230)의 단자부(231, 233)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경재배기(210)의 전원 커넥터(211)는 타이머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타이머는 제1 수경재배기(210)와 제2 수경재배기(220)의 광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수경재배기(210)와 제2 수경재배기(220)는 별도의 타이머와 각각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타이머는 제1 수경 재배기(210)와 제2 수경재배기(220)의 광량을 각각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연결 부재(230)는 상면 연결부뿐만 아니라 수경재배기의 저면에 포함된 저면 연결부에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경재배기(210)의 저면 연결부(213)와 제2 수경재배기(220)의 저면 연결부(222)가 수평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연결 부재는 제1 수경재배기(210) 및 제2 수경재배기(220)의 받침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수평 연결 부재는 수경재배기와 결합하였을 때, 받침 부재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연결 부재(230)가 결합하는 상면 연결부(212)와 연결기둥(214)이 결합하는 기둥 연결부(215)는 제1 수경재배기(210)를 위에서 봤을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 연결부(212)와 기둥 연결부(215)는 속이 빈 원통(hollow cylinde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통형의 상면 연결부(212)와 기둥 연결부(215) 내에서 수평 연결 부재(230)의 제1 단자부(231)와 연결기둥(214)이 직접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 연결부(212)는 수평 연결 부재(230)가 결합되지 않을 때, 상면 연결부(212)가 포함하는 단자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수경재배기(210)와 제2 수경재배기(220)가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폭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수평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제3 수경재배기가 제1 수경재배기(210) 또는 제2 수경재배기(220)에 더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연결 부재는 수평으로 배열된 셋 또는 네 개의 단자부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수평 연결 부재는 셋 또는 네 개의 수경재배기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배열로 복수의 수경재배기가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래에는, 복수의 수경재배기를 배열하는 경우, 복수의 수경재배기 각각에 대한 전원 커넥터의 연결이 필요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수경재배기를 구비할 때 복수의 전원을 연결해야만 하는 제약이 있고 인테리어 환경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기는 복수 개 배열하는 경우에도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하나의 전원 커넥터만을 연결하여 복수의 수경재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를 복수 개 연결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경재배기(310) 및 제2 수경재배기(320)는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경재배기(310)는 전원 커넥터(311)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조명부의 발광수단을 작동할 수 있다. 제2 수경재배기(320)는 별도의 전원 커넥터의 연결 없이도 제1 수경재배기(310)와의 연결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수경재배기(310)와 제2 수경재배기(320)는 수직 연결 부재(3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수직 연결 부재(330)는 제1 수경재배기(310)와 제2 수경재배기(32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전기적으로도 연결할 수 있다.
수직 연결 부재(330)는 제1 수경재배기(310)와 제2 수경재배기(320)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해, 수직으로 배치된 제1 단자부(331) 및 제2 단자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연결 부재(330)의 제1 단자부(331)는 제1 수경재배기(310)의 상면 연결부(312)에 연결되고, 제2 단자부(332)는 제2 수경재배기(320)의 저면 연결부(321)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경재배기(310)는 복수의 상면 연결부(3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경재배기(320)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경재배기(310) 및 제2 수경재배기(320)는 위에서 봤을 때,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상면 연결부(312) 및 저면 연결부(321)가 각각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수경재배기(310)와 제2 수경재배기(320)가 수직으로 이웃하게 하고, 제1 수경재배기(310)가 포함하는 복수의 상면 연결부(312) 중 하나와 제2 수경재배기(320)가 포함하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321) 중 하나를, 수직 연결 부재(330)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연결 부재(330)가 결합하지 않은 상면 연결부(312) 및 저면 연결부(321)는 물리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3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340)는 제1 수경재배기(310) 및 제2 수경재배기(32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연결부재(340)는 제2 수경재배기(320)가 독립적으로 사용될 때, 받침 부재(예: 도 1a의 받침 부재(112))로도 활용될 수 있다. 즉, 제1 수경재배기(310)의 상면 연결부(312)는 연결부재(340)(또는 받침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 연결부(312)는 수직 연결 부재(330)가 결합되지 않을 때, 상면 연결부(312)에 포함된 단자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면 연결부에 포함된 보호캡은 스프링 등의 부재와 연결되어 있어, 연결부재 결합 시 연결부재 결합 방향에 따라 하방 또는 상방으로 접혀 들어가며, 연결부재를 분해 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옴으로써, 연결부재가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자부를 먼지 등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며, 사용자가 감전되는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의 일 조립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기(400)에서, 본체부(410) 및 조명부(420)는 두 개 이상이 서로 결합된 연결기둥(4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기둥(431) 및 제2 연결기둥(432)이 서로 결합하여 본체부(410) 및 조명부(42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410) 및 조명부(420)가 두 개 이상이 서로 결합된 연결기둥(43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본체부(410) 및 조명부(420) 사이에 하나의 연결기둥(430)에 의해 연결될 때 보다 높은 높이가 확보될 수 있고, 높이 생장하는 식물도 재배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기둥(431)의 상단부와 제2 연결기둥(432)의 하단부가 결합할 수 있다. 제1 연결기둥(431)과 제2 연결기둥(432)은 동일한 부재일 수 있어, 연결기둥(430)의 일 단부 및 타 단부는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기둥(430)의 하단부는 본체부(410)의 기둥 연결부(411)에 결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연결기둥(430)의 상단부와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연결기둥(430)의 상단부는 조명부(420)의 기둥 연결부(421)에 결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연결기둥(430)의 하단부와도 결합할 수 있다. 연결기둥(430)이 일 단부와 타 단부가 서로 결합할 수 있음에 따라, 하나의 부재로도 본체부(410)와 조명부(420) 사이의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수경재배기를 복수 개 연결하는 수직 연결 부재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직 연결 부재(500)는 수직으로 배열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부(510) 및 제2 단자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부(510)는 플러그핀(5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자부(520)는 플러그핀이 삽입될 수 있는 리셉터클(5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부(510)는 수단자부라고 지칭될 수 있고, 제2 단자부(520)는 암단자부라고 지칭될 수 있다.
수직 연결 부재(500)는 제1 단자부(510)가 수경재배기의 상면 연결부(예: 도 3의 상면 연결부(312))에 연결되고, 제2 단자부(520)가 수경재배기의 저면 연결부(예: 도 3의 저면 연결부(32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기의 상면 연결부는 암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수경재배기의 저면 연결부는 수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일 실시예에서, 수경재배기의 상면 연결부는 수단자부를 포함하고 저면 연결부가 암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1 단자부(510)가 저면 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 단자부(520)가 상면 연결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자부(510)는 돌출부(512) 및 오목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12) 및 오목부(513)는 제1 단자부(510)가 결합하는 대응부재에 형성된 오목부와 돌출부에 끼워맞춰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단자부로서 제1 단자부(510)의 돌출부(512)는 암단자부로서의 대응부재의 오목부에 끼워맞춰질 수 있고, 제1 단자부(510)의 오목부(513)가 암단자부로서의 대응부재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단자부로서의 제2 단자부(520)는 수단자부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522) 및 수단자부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대응하는 암단자부와 수단자부의 돌출부 및 오목부는 서로 끼워맞춰짐에 따라 단자부들 간의 물리적인 구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돌출부 및 오목부는 단자부들 간에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한 마찰력을 제공하여 분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수경재배기를 복수 개 연결하는 수평 연결 부재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수평 연결 부재(600)는 수평으로 배열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부(610) 및 제2 단자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자부(610) 및 제2 단자부(620)는 모두 플러그핀(630)을 포함하는 수단자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제1 단자부(610) 및 제2 단자부(620)는 모두 플러그핀(630)을 대신하여 플러그핀이 끼워지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암단자부일 수 있다. 수평 연결 부재(600)는 제1 단자부(610) 및 제2 단자부(620)가 이웃하는 수경재배기 각각의 상면 연결부(예: 도 2의 상면 연결부(212, 221))에 연결되거나, 저면 연결부(예: 도 2의 저면 연결부(213, 222))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같은 타입의 단자부(수단자부 또는 암단자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자부(610) 및 제2 단자부(620)는 돌출부(640) 및 오목부(65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수경재배기에 있어서, 수경재배기에 포함된 본체부, 조명부, 연결기둥, 수평 연결 부재, 및/또는 수직 연결 부재는 각각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조명부, 연결기둥, 수평 연결 부재, 및/또는 수직 연결 부재에 포함된 단자부들은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암단자부이거나 수단자부일 수 있다. 이 때, 수경재배기에 포함된 본체부, 조명부, 연결기둥, 수평 연결 부재 및/또는 수직 연결 부재는 서로가 다양한 조합으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각 구성에 포함된 단자부는 어떠한 규칙에 따라 수단자부이거나 암단자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연결 부재의 수직으로 배치된 암단자부와 수단자부를 가질 수 있다. 수직 연결 부재의 수단자부가 아래의 위치하는 수경재배기의 상면 연결부에 결합하고, 수직 연결 부재의 암단자부가 위에 아래에 위치하는 수경재배기의 위에 겹쳐 배치되는 다른 수경재배기의 저면 연결부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수경재배기의 상면 연결부는 수직 연결 부재의 수단자부에 대응하는 암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수경재배기의 저면 연결부는 수직 연결 부재의 암단자부에 대응하는 수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경 재배기의 상면 연결부가 암단자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수평 연결 부재의 단자부들도 수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저면 연결부와 결합하는 전원 커넥터는 암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면 연결부 및 저면 연결부가 다른 종류의 단자부를 가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수경 재배기를 결합할 때, 방향이나 순서를 오해하는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경재배기 및 수평, 수직 연결 부재의 상면 연결부는 암단자부로만 구성되어 있어, 전극이 노출된 수단자부로 하여금 사용자가 감전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상 또는 이하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초과 또는 미만(또는 이내)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3)

  1.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포트를 포함하는 본체부;
    발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의 광이 상기 식물 재배 포트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는 조명부; 및
    상기 발광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저면에 받침 부재가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저면 연결부 중 하나에 결합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는 상기 저면 연결부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받침 부재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동일한, 모듈형 수경재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수평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부를 포함하는 수평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단자부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 연결부와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가 포함하는 다른 본체부의 다른 저면 연결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전원 커넥터로부터 상기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에도 전달되게 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수평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부를 포함하는 수평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면에 복수의 상면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단자부는, 상기 조명부의 상면 연결부와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가 포함하는 다른 조명부의 다른 상면 연결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전원 커넥터로부터 상기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에도 전달되게 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배열된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수직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면에 복수의 상면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 연결 부재의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 각각은, 상기 조명부의 상면 연결부와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가 포함하는 다른 본체부의 다른 저면 연결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전원 커넥터로부터 상기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에도 전달되게 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연결부 및 상기 저면 연결부는 위에서 봤을 때,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의 상기 단자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커넥터가 결합하는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결 부재의 상기 복수의 단자부 각각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연결 부재가 결합하는 복수의 상면 연결부 또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 각각에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결 부재의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 각각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연결 부재가 결합하는 복수의 상면 연결부 또는 복수의 저면 연결부 각각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플러그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플러그핀이 끼워지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가 결합하는 상면 연결부의 단자부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부가 결합하는 저면 연결부의 단자부는 플러그핀을 포함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일 단부가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고 타 단부가 상기 조명부와 결합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조명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결기둥의 상기 일 단부가 결합하는 기둥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 연결부 및 상기 저면 연결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커넥터와 상기 연결기둥이 상기 원통형 내에서 직접 결합되어 상기 연결기둥과 상기 전원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형 수경재배기.
  13.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포트를 포함하고 저면에 복수의 저면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발광수단 및 상면에 복수의 상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의 광이 상기 식물 재배 포트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는 조명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조명부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조명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기둥;
    상기 본체부의 복수의 저면 연결부 중 하나에 결합하고, 상기 발광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면 연결부는 플러그핀을 포함하는 수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연결부는 플러그핀이 결합할 수 있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암단자부를 포함하되,
    수직으로 배열된 수단자부 및 암단자부를 포함하는 수직 연결 부재의 수단자부가 상기 상면 연결부의 암단자부에 결합하고, 상기 수직 연결 부재의 수단자부가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의 다른 저면 연결부의 수단자부에 결합하여, 상기 전원 커넥터로부터 상기 모듈형 수경재배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다른 모듈형 수경재배기에도 전달되게 하는, 모듈형 수경 재배기.
KR1020210099179A 2021-07-28 2021-07-28 모듈형 수경재배기 KR10234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179A KR102340090B1 (ko) 2021-07-28 2021-07-28 모듈형 수경재배기
PCT/KR2022/010242 WO2023008788A1 (ko) 2021-07-28 2022-07-13 모듈형 수경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179A KR102340090B1 (ko) 2021-07-28 2021-07-28 모듈형 수경재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090B1 true KR102340090B1 (ko) 2021-12-15

Family

ID=7886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179A KR102340090B1 (ko) 2021-07-28 2021-07-28 모듈형 수경재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0090B1 (ko)
WO (1) WO202300878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3783B2 (en) * 2018-11-21 2022-11-22 Oms Investments, Inc. Hydroponic growing unit
WO2023008788A1 (ko) * 2021-07-28 2023-02-02 주식회사 시티팜 모듈형 수경재배기
KR20240009595A (ko) 2022-07-14 2024-01-23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경재배장치용 led 조광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038U (ko) * 2009-06-24 2010-12-31 전형기 발광부가 구비된 조립식 간편육묘기
KR20130005040U (ko) * 2012-01-11 2013-08-23 김원식 식물 재배 장치
KR20170085194A (ko) * 2016-01-14 2017-07-24 최유화 엘이디 기반 식물 생장 챔버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28218A (ko) 2017-09-08 2019-03-18 주식회사 교원 가정용 식물재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4571A1 (en) * 2003-10-10 2006-08-02 Reveo, Inc. Multiple level farming module and system
KR102340090B1 (ko) * 2021-07-28 2021-12-15 황재택 모듈형 수경재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038U (ko) * 2009-06-24 2010-12-31 전형기 발광부가 구비된 조립식 간편육묘기
KR20130005040U (ko) * 2012-01-11 2013-08-23 김원식 식물 재배 장치
KR20170085194A (ko) * 2016-01-14 2017-07-24 최유화 엘이디 기반 식물 생장 챔버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28218A (ko) 2017-09-08 2019-03-18 주식회사 교원 가정용 식물재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3783B2 (en) * 2018-11-21 2022-11-22 Oms Investments, Inc. Hydroponic growing unit
WO2023008788A1 (ko) * 2021-07-28 2023-02-02 주식회사 시티팜 모듈형 수경재배기
KR20240009595A (ko) 2022-07-14 2024-01-23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경재배장치용 led 조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788A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090B1 (ko) 모듈형 수경재배기
WO2018194893A1 (en) Multi-tiered hydroponic planter composed of stackable units each housing rotatable plant recetacbles
KR101026265B1 (ko)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KR100959254B1 (ko) 청정수삼 및 인삼 엽 생산방법
US20160128288A1 (en) Self-watering, self-lighting hydroponic system
KR101350434B1 (ko) 에너지 효율 향상 구조를 갖는 수경재배장치
US201301118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KR20160026224A (ko)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WO2011056029A2 (ko) 양액 재배장치
KR200486196Y1 (ko) 화분용 조명장치
KR101684651B1 (ko) 수경재배장치
CA2858946A1 (en) Modular reservoir wick
US20050000159A1 (en) Hydroponic pot with a root prune window
KR101523234B1 (ko) 식물재배장치
JP7000832B2 (ja) つる植物の登攀材及びこれを備える緑化装置
KR200488418Y1 (ko) Led 블라인드 수경 재배 장치
JP3195577U (ja) 鑑賞植物育成具
KR20160080968A (ko) Led 조사각, 온도 및 습도 관리가 용이한 스마트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재배기
CN211745615U (zh) 一种植物种植架
CN218353538U (zh) 一种苗木用盆栽培养装置
KR20170010696A (ko) Led램프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JP2002330624A (ja) イチゴ栽培装置
KR20190115268A (ko) 자연습도 및 led 장치를 이용한 육묘 활착장치
CN215520199U (zh) 一种具备养花功能的新型植物景观平台
KR102420671B1 (ko) 육묘 공간 확장형 접이식 참외 고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