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954A -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954A
KR20180026954A KR1020160113917A KR20160113917A KR20180026954A KR 20180026954 A KR20180026954 A KR 20180026954A KR 1020160113917 A KR1020160113917 A KR 1020160113917A KR 20160113917 A KR20160113917 A KR 20160113917A KR 20180026954 A KR20180026954 A KR 20180026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harvest date
date information
mobile termina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혜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954A/ko
Publication of KR20180026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9Ligh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는, 복수의 영역이 구획되는 하부 부재와, 하부 부재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광원, 및 카메라가 배치되는 상부 부재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하부 부재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와, 통신부와, 히터를 포함하며,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수확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Plant cultiv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plant cultiv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수확이 가능한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식물 재배는, 외부의 지면 또는 수면 위에서 수행된다.
한편, 건물 내에서 식물 재배를 수행하기 위해서, 토양이 담긴 화분 등이 필요하다.
한편, 식물 재배시에, 식물 생장 속도에, 광량 및 온도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통상, 건물 내의 화분에서, 식물 재배시, 태양광에 기초하여 식물을 재배하므로, 태양광의 세기 등에 따라, 식물의 생장 속도가 결정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수확이 가능한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는, 복수의 영역이 구획되는 하부 부재와, 하부 부재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광원, 및 카메라가 배치되는 상부 부재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하부 부재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와, 통신부와, 히터를 포함하며,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식물 재배기로부터 제1 식물 이미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제1 식물 이미지 내의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은,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광량, 및 온도를 조절하는 식물 재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는, 복수의 영역이 구획되는 하부 부재와, 하부 부재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광원, 및 카메라가 배치되는 상부 부재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하부 부재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와, 통신부와, 히터를 포함하며,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수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식물 재배기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수확 일자에 완료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완료 불가능한 경우, 수확 불가능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통해,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물 재배기는, 식물에 대한 이미지를, 통신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재배되는 식물의 생장 속도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물 재배기는, 연결 부재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부가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제1 식물에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식물 재배기는, 식재부가 장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식재부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는 수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식물 재배기로부터 제1 식물 이미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제1 식물 이미지 내의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식물 재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수확이 가능하도록,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선택을 위한, 캘린더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가능 구간이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확 일자 선택에,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식물 재배기 내의 식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식물 재배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식물 재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식물 재배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14e는 도 8의 식물 재배기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의 식물 재배기 관련 시스템(10)은,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600)와, 통신부(165)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151)의 광량, 및 온도를 조절하는 식물 재배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식물 재배기 관련 시스템(10)은, 이동 단말기(600)와 식물 재배기(1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하여, 식물 재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식물 재배기(100)는, 복수의 영역(Spa~SPd)이 구획되는 하부 부재(115)와, 하부 부재(115)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광원(151), 및 카메라(195)가 배치되는 상부 부재(110)와, 상부 부재(110)와 하부 부재(115)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17)와, 하부 부재(115)의 복수의 영역(Spa~SPd)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120)와, 통신부(165)와, 히터를 포함하며,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152)와, 통신부(165)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151)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152)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수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식물 재배기(100)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수확 일자에 완료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완료 불가능한 경우, 수확 불가능 메시지를, 통신부(165)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물 재배기(100)는, 식물에 대한 이미지를, 통신부(165)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재배되는 식물의 생장 속도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물 재배기(100)는, 연결 부재(117)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5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부(150)가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제1 식물에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식물 재배기(100)는, 식재부(120)가 장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이동부(11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이동부(116)의 이동에 의해, 식재부(120)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는 수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600)는, 디스플레이(도 7의 680)와, 식물 재배기(100)로부터 제1 식물 이미지를 수신하는 통신부(도 7의 165)와, 제1 식물 이미지 내의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도 7의 670)를 포함함으로써, 식물 재배기(10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수확이 가능하도록,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선택을 위한, 캘린더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가능 구간이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확 일자 선택에,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식물 재배기 내의 식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식재부(200)는, 하부 부재(115)의 복수의 영역(Spa~SPd)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식재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이동부(116)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 등에서는, 복수의 영역(Spa~SPd) 각각에, 식재부(200a~200d)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식재부(200) 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홈에, 다양한 식물의 모종 등이 식재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식물 재배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식물 재배기(100)는, 복수의 영역(Spa~SPd)이 구획되는 하부 부재(115)와, 하부 부재(115)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광원(151), 및 카메라(195)가 배치되는 상부 부재(110)와, 상부 부재(110)와 하부 부재(115)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17)와, 하부 부재(115)의 복수의 영역(Spa~SPd)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120a~120d)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하부 부재(115)의 복수의 영역(Spa~SPd)의 구획을 위해, 프레임들(FR1,FR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식재부(120a~120d)는, 도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이동부(116a~116d)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식재부(120a~120d)에는, 각각 방울 토마토, 딸기, 바질, 고추 등의 다양한 식물 등이 식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식재부(120a~120d) 중 제1 식재부(120a)에, 제1 식물이 식재되고, 제3 식재부(120c)에, 제2 식물이 식재된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1 식물은 수경 식물이고, 제2 식물은 토경 식물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식재부(120a)가 배치되는 제1 영역(SPa)에는 물이 담기고, 제3 식재부(120c)가 배치되는 제3 영역(SPc)에는 토양(114)이 담길 수 있다.
한편, 하부 부재(115)에, 특히, 수경 식물이 식재되는 제1 영역(Spa)에, 물통(139)에 연결되어, 수량을 조절하는 수량 조절기(153), 수량을 센싱하는 수량 센서(133), 수질을 조절하는 수질 조절기(154), 수질을 센싱하는 수질 센서(134)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부 부재(115)에, 특히, 토경 식물이 식재되는 제3 영역(Spc)에,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 센서(132), 온도 조절을 위해 히터를 구비하는 온도 조절기(15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부재(110)에, 통신부(165)와, 공기질 센서(135)와, 광원들(151a, 151b)과, 카메라(19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식물 재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의 식물 재배기(100b)는, 도 3의 식물 재배기(100)와 유사하나, 하부 부재(115)가, 안착 부재(105)에 안착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으며, 또한, 하부 부재(115) 내에, 특히, 수경 식물이 식재되는 제1 영역(Spa)의 하부에,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과, 배수 펌프(199)가 더 배치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배수 펌프(199)는, 임펠러(impell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배수 펌프(199)에 의해 배수되는 물은, 안착 부재(105)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도 5의 170)는, 배수 펌프(199)를 제어하여, 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식물 재배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식물 재배기(100)는, 센싱부(130), 통신부(165), 메모리(140), 오디오 출력부(160), 프로세서(170), 광원(151), 온도 조절기(152), 수량 조절기(153), 수질 조절기(154), 이동부(150), 카메라(19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식물 재배기 주변의 환경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30)는, 주변 조도를 센싱하기 위한 조도 센서(131), 주변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 센서(132), 주변 공기질을 센싱하기 위한 공기질 센서(135), 수질을 센싱하기 위한 수질 센서(141), 수량을 센싱하기 위한 수량 센서(13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수량 조절기(153), 수질 조절기(154), 이동부(150)는, 각각 모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7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수량 센서(133)로부터 센싱된 수량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물통(139)로부터의 물이 공급되도록, 수량 조절기(153)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수질 센서(134)로부터 센싱된 수질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 수질 개선을 위해, 수질 조절기(154) 내의 모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부(150)의 동작이 필요한 경우, 이동부(150) 내의 모터를 제어하여, 연결부재(117)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65)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65)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200)와 데이터를 교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65)는, RF 통신, 구체적으로, 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식물 재배기(100) 내의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식물 재배기(100) 내의 프로세서(170)에서, 연산된 다양한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출력부(160)는, 식물 재배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195)는, 식물 재배기(100) 내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70)로 전송될 수 있다.
광원(151)은, 식물 재배기(100) 내로 광을 출력한다. 한편,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광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151)은, LED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인식된 사용자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인 통신부(165)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151)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15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수확 일자에 완료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완료 가능한 경우, 광원(151)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15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수확 일자에 완료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완료 불가능한 경우, 수확 불가능 메시지를, 통신부(165)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제1 식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1 식물에 대한 이미지를, 통신부(165)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수량 조절기(153)를 더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부(150)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이동부(116)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직류 전원을 저장하고 출력하는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통신부(265), 프로세서(270), 메모리(24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265)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식물 재배기(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65)는, 식물 재배기(100)로부터의 식물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270)는, 수신되는 식물 이미지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40)는, 식물 재배기(100)에서 생장하는 식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는 식물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65)는, 식물 재배기(100)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메모리(240)는, 센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생장하는 식물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모품 정보, 최적 환경 조건 정보, 알람 가이드 정보 등을, 식물 재배기(100)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 A/V(Audio/Video) 입력부(620), 사용자 입력부(630), 센싱부(640), 출력부(650), 메모리(660), 인터페이스부(625), 제어부(67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3), 무선 인터넷 모듈(615), 음향 통신부(617), 및 GPS 모듈(6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6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에,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부가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로부터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6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6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21)와 마이크(6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6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68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640)는, 감지센서(641), 압력센서(643), 및 모션 센서(6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6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680), 음향 출력부(653), 알람부(655), 및 햅틱 모듈(6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80)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68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68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653)는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6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655)는 이동 단말기(6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6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660)는 제어부(6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625)는 이동 단말기(6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625)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영상표시장치(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67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은 제어부(67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67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67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는 제어부(670)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6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9a 내지 도 14e는 도 8의 식물 재배기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100) 내의 카메라(195)는, 식재된 제1 식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도 9a와 같이, 카메라(195)로부터의 제1 식물 이미지(Ig1)를, 통신부(165)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05).
이에,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통신부(610)를 통하여, 제1 식물 이미지(Ig1)를, 수신한다(S810).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1 식물 이미지(Ig1)를, 수신하는 경우, 식물 재배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제1 식물 이미지(Ig1)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식물 이미지(Ig1)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확인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식물 재배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9b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680)에, 수확 일자 지정을 위한, 캘린더 화면(91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식물 재배기(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또는 제1 식물 이미지(Ig1) 등에 기초하여, 도 9b와 같이,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가능 구간(915)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캘린더 화면(910) 내에서,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가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815), 선택되는 경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20).
도 9c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등에 의해, 수확 가능 구간(915)인 '18일 부터 29일' 중 21일(917)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9d와 같이,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Sda)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식물 재배기(100)는, 통신부(165)를 통해,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Sda)를 수신한다(S830).
한편,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Sda)에 기초하여, 수확 일자에 완료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S830).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해당 일자에, 완료 가능한 경우, 도 10a와 같이, 광원(151)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152)를 제어할 수 있다(S835).
도 10a는, 조절된 온도가 28℃이며, 조절된 광량이 LIa인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식물 재배기(100)는, 수확 일자인 21일(917)에 맞추어, 제1 식물이 생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통상 생장 속도 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생장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830 단계(S830)에서, 해당 일자에, 완료 불가능한 경우,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40).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불가능 메시지를 수신하여, 도 13c와 같이, 불가능 메시지(1310)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45).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선택된 일자에, 수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광원(151)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152)를 제어하는 것을 물론, 도 10b와 같이, 상부 부재(110)와 하부 부재(115) 사이의 연결 부재(117)의 높이가 h에서 ha로 낮아지도록, 이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식물에 조사되는 광량의 세기가 더 세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식물의 생장 속도가 빨라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수확 일자가 동일하더라도, 식물의 종류에 따라, 생장 속도가 다르므로, 식물의 종류에 따라, 광원(151)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152)에 의한 온도 등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117)의 높이도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선택된 일자에, 수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광원(151)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152) 제어, 도 10b의 이동부(150) 제어는 물론, 도 10c와 같이, 식재부(120a)의 높이가, h1에서 h2로 낮아지도록, 제2 이동부(116)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경 식물인 제1 식물의 뿌리 등이, 물에 더 깊숙이 잠기게 되어, 제1 식물의 생장 속도가 빨라질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1a 내지 도 12b는, 도 10a 내지 도 11b와 유사하나, 수확을 위한 일자가,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가능 구간(915) 중 '29일'(918)로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도 10a 내지 도 10d의 '21일'(917)에 비해 더 늦은 일자인 것을 예시한다.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65)를 통해, 도 11d와 같이,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Sdb)를 수신한다.
그리고,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해당 일자에, 완료 가능한 경우, 도 11a와 같이, 광원(151)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15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a는, 조절된 온도가 25℃이며, 조절된 광량이 LIb인 것을 예시한다. 도 10a에 비해, 조절된 온도, 및 광량이 더 낮아지게 된다.
한편,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선택된 일자에, 수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광원(151)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152)를 제어하는 것을 물론, 도 12b와 같이, 상부 부재(110)와 하부 부재(115) 사이의 연결 부재(117)의 높이가 h에서 hb로 높아지도록, 이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식물에 조사되는 광량의 세기가 더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식물의 생장 속도가 늦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3a는, 이동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180)에, 수확 가능 구간(915)을 하이라이트 표시된 것을 예시하며, 도 13b는, 일자 선택시, 수확 가능 구간(915)을 벗어난, '30일'(919)가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170)는, 도 13c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수확 불가능 메시지(131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서로 다른 식물에 대해, 수확 가능 일자가 다른 경우, 복수 영역에 배치되는 식물에 대해, 서로 다른 생장 속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광원(151)의 광량, 및 온도 조절기(152)를, 영역 별로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영역 별로, 조사되는 광량이 달라지도록, 광원(151a)과 광원(151b)의 광의 세기를 가변하거나, 광 출력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에 대해서는, 도 14a 내지 도 14e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4a는, 식물 재배기(100)에서, 제1 식물 이미지(Ig1), 제2 식물 이미지(Ig2)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복수의 식물 수확 일자 확정을 위해, 제1 식물 수확 가능 구간(915)과, 제2 식물 수확 가능 구간(925)이, 도 14b와 같이, 하이랑리트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4c는, 제1 식물 수확 가능 구간(915) 중 '21일'(915)가 선택되고, 제2 식물 수확 가능 구간(925) 중 '6일'(927)가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14d와 같이,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Sda), 제2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Sdb)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식물 재배기(100)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Sda), 제2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Sdb)를 수신한다.
그리고, 식물 재배기(100)의 프로세서(170)는, 도 14e와 같이, 제1 식물이 배치되는 제1 영역(Spa)에, 광량이 LIa가 되도록 제어하고, 제2 식물이 배치되는 제3 영역(Spc)에, 광량이 LIx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온도는, 공통으로, 28℃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물 재배기(100)는, 21일'(915)에, 제1 식물이 수확가능하도록 제1 식물을 생장시키고, '6일'(927)에, 제2 식물이 수확가능하도록 제2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복수의 영역이 구획되는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광원, 및 카메라가 배치되는 상부 부재;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상기 하부 부재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
    통신부;
    히터를 포함하며,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상기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광량, 및 상기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상기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수확 일자에 완료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완료 가능한 경우, 상기 광원의 광량, 및 상기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식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식물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수량을 조절하는 수량 조절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상기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량 조절기를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상기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부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주변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와, 주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공기질을 센싱하는 공기질 센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담겨있는 물의 수질을 센싱하는 수질 센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담겨있는 물의 수량을 센싱하는 수량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배치되는 배수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수량 조절을 위해, 상기 배수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9. 디스플레이;
    식물 재배기로부터 제1 식물 이미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식물 이미지 내의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정보, 또는 상기 수확 일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장 속도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일자 선택을 위한, 캘린더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식물에 대한 수확 가능 구간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113917A 2016-09-05 2016-09-05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KR20180026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917A KR20180026954A (ko) 2016-09-05 2016-09-05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917A KR20180026954A (ko) 2016-09-05 2016-09-05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954A true KR20180026954A (ko) 2018-03-14

Family

ID=6166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917A KR20180026954A (ko) 2016-09-05 2016-09-05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95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623A (ko) * 2020-11-10 2022-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주기 알리미 기능을 갖는 식물 식재용 화분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063599A (ko) * 2020-11-10 2022-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재배기 및 그의 구동 방법
WO2022103113A1 (ko) * 2020-11-10 2022-05-1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재배기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503776B2 (en) 2020-12-04 2022-11-2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 of operating a sealed system for an indoor garden center
KR102493381B1 (ko) * 2022-06-28 2023-01-30 농업회사법인 월드플라워 (주) 히야신스 재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32368A (ko) 2021-08-30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
US20230102988A1 (en) * 2021-09-29 2023-03-30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230059542A (ko) 2021-10-26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식물 재배 장치들 간의 식물 재배를 연동하는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 서버, 시스템 및 프로그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623A (ko) * 2020-11-10 2022-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주기 알리미 기능을 갖는 식물 식재용 화분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063599A (ko) * 2020-11-10 2022-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재배기 및 그의 구동 방법
WO2022103113A1 (ko) * 2020-11-10 2022-05-1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재배기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503776B2 (en) 2020-12-04 2022-11-2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 of operating a sealed system for an indoor garden center
KR20230032368A (ko) 2021-08-30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
US20230102988A1 (en) * 2021-09-29 2023-03-30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230059542A (ko) 2021-10-26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식물 재배 장치들 간의 식물 재배를 연동하는 식물 재배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 서버, 시스템 및 프로그램
WO2023075369A1 (ko) 2021-10-26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및 이와 식물 재배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
KR102493381B1 (ko) * 2022-06-28 2023-01-30 농업회사법인 월드플라워 (주) 히야신스 재배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6954A (ko) 식물 재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AU2021254518B2 (en) Water instructions and irrigation protocols sent over a network
US960331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hydroponic growing environment
US20190021246A1 (en) Control system for an irrigation system
EP3090624A1 (en) Plant variety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AU2014317113B2 (en) Sprinkler control system
KR101696611B1 (ko) 온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170020089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 irrigation with user adjusted control
JP2017520278A (ja) 植物生長環境調整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085123B1 (ko) 반려 식물 관수 장치 및 반려 식물 관수 장치의 구동 방법
JP2017520278A5 (ko)
US20150057817A1 (en) Irrigation protocols when connection to a network is lost for an extended period
CN107710105A (zh) 操作输入装置和操作输入方法
CN106460861A (zh) 带学习模式的风扇
CN105577784A (zh) 用于养殖的方法和装置
US20150081115A1 (en) Using forecast data to cancel the execution of an irrigation protocol
US20230255151A1 (en) Irrigation system map integration
US20150081113A1 (en) Communicating with users through controller outputs
CN104122993A (zh) 参数设定装置
JP2015065912A (ja) 植物成長および運用コストシミュレーションに基づいた植物工場環境制御システム
KR20200047058A (ko) 농작물 재배 관리 시스템
EP4027771A1 (en) Rendering images stored with grow protocol along with conditions per growth stage
CN114981847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US201703283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operation data
CN115836639A (zh) 一种设施无土基质栽培番茄水肥供给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