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252A -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2252A KR20230032252A KR1020210114868A KR20210114868A KR20230032252A KR 20230032252 A KR20230032252 A KR 20230032252A KR 1020210114868 A KR1020210114868 A KR 1020210114868A KR 20210114868 A KR20210114868 A KR 20210114868A KR 20230032252 A KR20230032252 A KR 202300322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unit
- sealing
- compression
- backup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7 hel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4 he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WQJXJOGLNCZEY-UHFFFAOYSA-N helium atom Chemical compound [He] SWQJXJOGLNCZ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with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1파이프가 삽입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바디와 함께 내부에 파이프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제2파이프가 삽입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며, 양단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파이프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피팅유닛, 상기 확장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피팅유닛과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피팅유닛과 상기 제2파이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유닛, 상기 확장부 내부에서 상기 실링유닛과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내경을 따라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를 압박하여 고정하는 압착유닛,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확장부 내부에서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외경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링유닛과 상기 압착유닛 각각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호 간격을 유지시키는 백업유닛 및 상기 확장부의 후단에서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확장부 내부에서 상기 백업유닛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는 상기 피팅유닛의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실링유닛과 상기 압착유닛에 의해 둘레가 감싸진 상태로 고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추가 결합 없이 삽입만으로 기밀성을 유지하며 한 쌍의 파이프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 분야에서 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 연결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파이프 연결구는 파이프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대구경 파이프 연결구의 경우, 파이프가 삽입되는 커넥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지수링과 그립링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를 커넥터 내측에 삽입한 뒤, 그립링을 압착하여 파이프의 외면으로 침투하도록 하여 파이프를 고정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파이프 연결구에 파이프를 삽입한 수 별도의 피팅장치를 이용하여 연결구를 가압하며 일부 소성변형을 발생 시킴으로써 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피팅장치를 이용해여 추자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이는 설치가 번거로울 뿐 아니라 시공 시 소요시간 및 소요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피팅유닛에 파이프를 삽입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지수력을 유지하며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며, 설치가 용이한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1파이프가 삽입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바디와 함께 내부에 파이프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제2파이프가 삽입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며, 양단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파이프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피팅유닛, 상기 확장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피팅유닛과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피팅유닛과 상기 제2파이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유닛, 상기 확장부 내부에서 상기 실링유닛과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내경을 따라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를 압박하여 고정하는 압착유닛,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확장부 내부에서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외경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링유닛과 상기 압착유닛 각각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호 간격을 유지시키는 백업유닛 및 상기 확장부의 후단에서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확장부 내부에서 상기 백업유닛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는 상기 피팅유닛의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실링유닛과 상기 압착유닛에 의해 둘레가 감싸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압착유닛과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립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압착유닛과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접촉여부를 조절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유닛은 링 형태로 형성되오 내경이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외면에 접촉하며, 상기 개구부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압착유닛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상기 압착유닛의 절곡된 경사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와의 접촉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업유닛은 상기 실링유닛과 상기 압착유닛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백업부재 및 상기 압착유닛과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며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확장부에서 가이드유닛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백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백업유닛의 후단에 배치되며 외경이 상기 확장부의 내면에 접촉하여 고정되고, 내경이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와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이 외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지지유닛의 둘레 일부가 삽입되도록 내경을 따라 별도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삽입공간 내에서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며 확장 형성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에서 연속하여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공간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유닛은 상기 확장부의 후단부에서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며 외경이 증가하도록 방사형으로 절곡되어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에 안착되고,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유닛의 종단면은 기 설정된 형상의 메인실링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유닛의 종단면은 상기 메인실링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실링영역을 더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상기 확장부 내부에 상기 실링유닛, 상기 압착유닛 및 상기 백업유닛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피팅유닛에 고정되는 각각의 파이프에 접촉되는 압착유닛 및 실링유닛에 의해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별도의 고정장치 등을 구비하지 않고 단순히 삽입공간 내부로 파이프를 삽입함과 동시에 실링유닛과 압착유닛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 방법이 매우 용이하므로 시공 소요시간 및 소요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피팅유닛의 둘레를 따라 두께가 확장되는 형태로 변형방지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피팅유닛이 둘레방향을 팽창 하거나 둘레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이프 내부에서 액체뿐만 아니라 기체가 유동하여 압력 변화가 빠르게 발생 하더라도 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피팅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압착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실링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제2실링부재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피팅유닛에 실링유닛과 백업유닛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피팅유닛에 압착유닛과 가이드유닛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피팅유닛에 지지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피팅유닛에 파이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가이드유닛에 의해 압착유닛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피팅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압착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실링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제2실링부재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피팅유닛에 실링유닛과 백업유닛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피팅유닛에 압착유닛과 가이드유닛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피팅유닛에 지지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피팅유닛에 파이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가이드유닛에 의해 압착유닛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피팅유닛(1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는
크게 피팅유닛(100)과, 실링유닛(200), 압착유닛(300), 백업유닛(400), 지지유닛(500) 및 가이드유닛(600)을 포함한다.
상기 피팅유닛(100)은 양측에 서로 다른 파이프(P1, P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파이프(P1, P2) 삽입공간(S1)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내외부가 관통되는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피팅유닛(100)은 제1파이프(P1)가 삽입되는 제1바디(100a)와, 제2파이프(P2)가 삽입되는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100a) 및 상기 제2바디(100b)는 상기 피팅유닛(1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대칭된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파이프(P1, P2) 삽입공간(S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100a) 및 상기 제2바디(100b) 각각에는, 파이프(P1, P2)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는 확장부(130)가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는 상기 실링유닛(200), 압착유닛(300), 백업유닛(400), 지지유닛(500) 및 가이드유닛(600)이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P1, P2)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확장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팅유닛(100)의 중심부에서 개구부(110) 방향으로 향할수록 둘레 균일하거나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130)는 상기 삽입공간(S1) 내에서 상기 파이프(P1, P2)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며 확장 형성되는 제1공간(132) 및 상기 제1공간(132)에서 연속하여 상기 개구부(110)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공간(132)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공간(13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130)는 상기 개구부(110)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유닛(500)이 안착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내경의 일부에 홈 형태로 형성된 고정홈(10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104)은 상기 확장부(130)가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삽입 시 억지끼움 형태로 안착되며 안착된 상태에서 횡 방향에 따른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서 상기 실링유닛(200), 압착유닛(300) 및 백업유닛(40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피팅유닛(100)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에서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기 제1바디(100a) 및 상기 제2바디(100b)가 형성되며, 각각에는 둘레가 확장 형성된 확장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실링유닛(200), 상기 압착유닛(300), 상기 백업유닛(400) 및 상기 지지유닛(50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피팅유닛(100)은 일반적인 유체를 이동시키는 파이프(P1, P2)의 연결수단으로써 상기 삽입공간 내부에 상기 파이프(P1, P2)가 각각 삽입되며, 내부에 유체가 유동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팅유닛(100)은 기체 형태의 유체가 상기 파이프(P1, P2)를 따라 유동하며 이에 따라 압력 변화로 인한 상기 피팅유닛(10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피팅유닛(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0)상에서 확장되는 형태로 절곡되며 상기 피팅유닛(100)의 변형을 억제하는 변형방지부(12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팅유닛(100)은 상기 제1바디(100a) 및 상기 제2바디(100b) 각각의 후단부에서 상기 개구부(110)에 형성되며 외경이 증가하도록 방사형으로 절곡된다.
이때, 상기 변형방지부(120)는 상기 피팅유닛(100)의 둘레방향에 따른 두께가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피팅유닛(100)이 둘레방향을 팽창 하거나 둘레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P1, P2) 내부에서 액체의 유체뿐만 아니라 기체가 유동하여 압력 변화가 빠르게 발생 하더라도 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피팅유닛(100)은 상기 제1바디(100a) 및 상기 제2바디(100b) 각각에 상기 확장부(130)가 형성되며, 양단부에 상기 변형방지부(120)를 포함하여 상기 파이프(P1, P2)가 삽입된 상태로 내부 압력이 변화 하더라도 변형을 억제시켜 형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실링유닛(200), 상기 압착유닛(300), 상기 백업유닛(400) 및 상기 지지유닛(500)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100a) 및 상기 제2바디(100b)이 서로 연결되는 상기 피팅유닛(100)의 중심의 내주면에는,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링 형태의 단턱(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파이프(P1) 및 제2파이프(P2)의 최대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압착유닛(300)과 실링유닛(2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실링유닛(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실링유닛(200)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압착유닛(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상기 실링유닛(200)을 살펴보면,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를 압착함과 동시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며 기밀을 유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실링유닛(200)가 전술한 압착유닛(300)보다 내측에 구비되는 이유는, 제1파이프(P1) 또는 제2파이프(P2)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가 상기 압착유닛(300) 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실링유닛(200)는 상기 피팅유닛(100)의 중심 측에 가깝게 구비되어, 유체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유닛(200)는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130)에 안착되고, 전체적으로 링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링유닛(200)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연속하여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P1, P2)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유닛(20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양한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기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유닛(200)은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실링부(210)와 별도의 돌기를 포함한 제2실링부(22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실링부(210)와 상기 제2실링부(220)는 연속하여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실링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균일한 형태의 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130)에 안착되고, 상기 파이프(P1, P2)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실링부(220)는 외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된 보조실링돌기(226)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보조실링돌기(226)는 상기 제2실링부(220)와 상기 피팅유닛(100)이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피팅유닛(100)과 상기 제2파이프(P2) 사이에서 보다 큰 지수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실링부(220)의 종단면은 기 설정된 형상의 메인실링영역(222)과, 상기 메인실링영역(22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실링영역(22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메인실링영역(222)은 원형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실링영역(224)은 한 쌍이 상기 메인실링영역(222)의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종단면 형태는 상기 실링유닛(200)가 제1파이프(P1) 또는 제2파이프(P2)에 보다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지수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파이프(P1, P2)는 제조, 운반, 시공현장에서의 사용 중에 스크레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허용범위는 튜브 두께의 22%를 허용한다고 되어있다. 그러나, 실제 제품에 적용 시 지수력과 내구성에 민감하기 때문에 22%두께의 스크레치를 가지는 경우 원하는 지수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파이프(P1, P2)를 통과하는 유체 중 공조장치에서 사용되는 냉매(헬륨 등)는 스크레치에 민감하며, 이에 따라 누설의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실제 제품의 사용 시 22%두께의 스크레치를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보다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실링부(220)와 같이 메인실링영역(222)와 함께 보조실링영역(224) 및 보조실링유닛(200)(226)이 구비됨으로써 파이프(P1, P2)와 압착력이 증가해 지수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파이프(P1, P2)에 스크레치가 있더라도 지수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링유닛(200)은 상기 제1실링부(210)와 상기 제2실링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간(132) 내부에서 상기 제1바디(100a)와 상기 제2바디(100b)가 접하는 영역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파이프(P1) 및 상기 제2파이프(P2)와의 지수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링유닛(200)은 상기 제1실링부(210) 또는 상기 제2실링부(220)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동일한 부재만 복수 개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압착유닛(300)은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서 링형태로 배치되며 내경의 일부가 상기 압착유닛(300)과 접촉하며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를 압박하여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유닛(300)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경을 따라 복수 개의 접촉부(310)가 연속하여 형성되며, 접촉부(310)가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일정각도 경사를 가지며 동심원을 향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압착유닛(3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는 상기 압착유닛(300)에 의해 소성 변형되어 상기 피팅유닛(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유닛(300)은 확장부(130)의 제2공간(134)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110)와 반대방향을 향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접촉부(310)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가이드유닛(600)에 의해 상기 접촉부(310)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파이프(P1, P2)와 접촉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압착유닛(300)은 링 형태로 형성되며 내경을 따라 경사를 가지는 접촉부(310)가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가 상기 피팅유닛(100)으로 삽입 시 상기 접촉부(31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110)와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접촉부(3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착유닛(30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호 기격 배치되며, 후술하는 백업유닛(400)에 의해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압착유닛(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실링유닛(200)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P1, P2)의 외면을 압박하며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유닛(300)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확장부(130)를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되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백업유닛(400)은,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링유닛(200)과 상기 압착유닛(300) 및 후술하는 상기 지지유닛(500)이 기 설정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구성으로써, 링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P1, P2)의 외경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백업유닛(400)은 외경의 크기 및 형상이 안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130)의 내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빈 공간을 충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백업유닛(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호 연속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압착유닛(300)과 상기 실링유닛(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백업유닛(400)은 제1백업부재(410), 제2백업부재(420) 및 제3백업부재(430)를 포함한 3개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백업부재(410)는 상기 실링유닛(200)과 상기 압착유닛(300)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백업부재(420)는 상기 압착유닛(300)과 상기 지지유닛(500) 사이에 배치되어 위치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백업부재(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후술하는 상기 가이드유닛(60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백업부재(430)는 한 쌍의 상기 압착유닛(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압착유닛(300)간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백업유닛(400)은 상기 확장부(130) 내부를 충진함과 동시에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실링유닛(200)과 압착유닛(300) 및 지지유닛(500) 사이에 배치 됨으로써 상호 위치의 변화를 방지하고 올바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백업유닛(400)은 상기 제1백업부재(410) 내지 상기 제3백업부재(430)의 3개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와 달리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 또는 많은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500)은 상기 개구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 삽입된 부재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백업유닛(400)의 후단에 배치되며, 외경이 상기 확장부(130)의 내면에 접촉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50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링 형태로 외경이 상기 확장부(130)의 내면삽입 고정되며, 내경은 상기 파이프(P1, P2)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110)의 일부를 차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유닛(500)의 내경은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P1, P2)의 삽입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500)은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 상기 실링유닛(200), 압착유닛(300), 가이드유닛(600) 및 백업유닛(400)이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10)와 인접한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와 이격되어 외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130)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지지유닛(500)의 둘레 일부가 삽입되도록 내경을 따라 별도의 고정홈(10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500)은 상기 고정홈(104)에 안착 됨으로써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104)은 상기 제2공간(134)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큰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500)의 외경은 상기 고정홈(104)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유닛(500)의 결합 시 억지끼움 형태로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500)은 상기 개구부(110)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실링유닛(200), 상기 압착유닛(300) 및 상기 백업유닛(400)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유닛(600)은 상기 압착유닛(300)과 상기 파이프(P1, P2)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P1, P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P1, P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립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압착유닛(300)과 상기 파이프(P1, P2)의 접촉 여부를 조절한다.
상기 가이드유닛(600)은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서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압착유닛(3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유닛(600)을 관통하여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와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유닛(6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착유닛(300)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유닛(600)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상기 압착유닛(300)의 절곡된 경사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파이프(P1, P2)와의 접촉 여부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유닛(6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홈(610)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압착유닛(300)은 상기 접촉부(310)가 상기 관통홈(6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와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홈(610)은 상기 접촉부(310)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유닛(600)이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를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압착유닛(300)이 상기 가이드유닛(600)을 감싸며 내경 일부가 상기 관통홈(610) 내부로 삽입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유닛(600)은 상기 압착유닛(30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상기 관통홈(610)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홈(61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압착유닛(300) 간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유닛(300)이 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관통홈(610) 역시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닛(600)은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백업부재(420)와 상기 제3백업부재(430)는 상기 가이드유닛(600)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유닛(500)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가이드유닛(6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백업유닛(400)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슬라이딩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6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전단부가 상기 제1백업부재(41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2백업부재(420)에 의해 감싸지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의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유닛(600)은 전단부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후단부의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유닛(600)이 상기 확장부(130)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는 상술한 상기 피팅유닛(100) 내부에 별도의 확장부(130)가 형성되며, 링 형태로 형성된 상기 실링유닛(200), 상기 백업유닛(400), 상기 압착유닛(300) 및 상기 지지유닛(500)이 각각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실링유닛(200)에 의해 기밀성이 확보되고, 상기 압착유닛(30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압착유닛(300)은 상기 개구부(110)와 반대방향을 내경의 일부에 형성된 접촉부(310)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의 삽입 시 간섭을 최소화하고 슬립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P1, P2)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피팅유닛(100)에 실링유닛(200)과 백업유닛(400)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피팅유닛(100)에 압착유닛(300)과 가이드유닛(600)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피팅유닛(100)에 지지유닛(5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피팅유닛(100)에 파이프(P1, P2)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P1, P2) 내부에 상기 실링유닛(200) 및 상기 제1백업부재(410)가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유닛(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링부(210)와 상기 제2실링부(220)를 모두 사용한 형태로 구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제1실링부(210) 또는 상기 제2실링부(220) 중 어느 하나의 종류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링유닛(200)은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서 상기 제1공간(132)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P1, P2)의 삽입 시 상기 파이프(P1, P2)와 밀폐되며 상기 확장부(130) 내부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백업유닛(400)이 삽입 됨에 따라 상기 실링유닛(200)이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서 고정된다.
이어서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압착유닛(300) 및 상기 가이드유닛(600)이 함께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3백업부재(430)가 삽입되고, 이후 후단부에 상기 제2백업부재(420)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착유닛(300)과 상기 가이드유닛(600)이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유닛(600)이 일정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500)이 상기 제2백업유닛(400)의 후단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홈(104)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유닛(500)은 상기 고정홈(104)의 내경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삽입되어 억지끼움 형태로 상기 고정홈(104)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피팅유닛(100)에서 상기 확장부(130) 내부에 상기 실링유닛(200), 상기 압착유닛(300), 상기 가이드유닛(600) 및 상기 백업유닛(400)이 삽입된 후 상기 지지유닛(5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가 상기 삽입공간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압착유닛(300)은 상기 관통홈(610)을 관통한 상기 접촉부(310)가 하향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의 외면에 접촉하고, 삽입 시 간섭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P1, P2) 연경장치는 파이프(P1, P2) 삽입 이후 별도의 과정이 필요 없으며, 사전에 상기 피팅유닛(100)에 모든 구성요소를 배치시킨 후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를 삽입 하는 것 만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1 및 12를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유닛(600)에 의해 압착유닛(300)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유닛(6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이와 연동하여 상기 압착유닛(300)의 접촉부(310) 경사각도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도 11를 살펴보면,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가 상기 피팅유닛(100)에 삽입 결합된 상태이며, 이때 상기 압착유닛(300)은 상기 접촉부(310)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끝단부가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에 접촉 및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가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접촉부(310)가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의 외면을 파고 들어 상기 파이프(P1, P2)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즉, 상기 가이드유닛(600)이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촉부(310)는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의 외면에 접촉 및 압박하는 상태이며, 배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하지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600)이 상기 개구부(110)와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유닛(600)이 상기 압착유닛(300)의 절곡된 부위를 가압하며 상기 접촉부(310)가 상기 개구부(110)와 반대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부(310)가 상기 개구부(110)와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분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가 상기 피팅유닛(100)에서의 이탈을 억제하는 억제력이 감소한다.
즉,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가 상기 개구부(110) 방향으로 배출되더라도, 상기 압착유닛(300)과 접촉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상기 압착유닛(300)에 의한 간섭이 사라지며 상기 피팅유닛(100)에서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600)이 상기 개구부(110)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가 상기 압착유닛(300)과 접촉하며 압박되어 분리가 방지되고, 도 12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600)이 상기 개구부(110)와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파이프(P1) 또는 상기 제2파이프(P2)와 상기 압착유닛(300)의 접촉이 해제되어 손쉽게 상기 피팅유닛(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피팅유닛
100a: 제1바디
100b: 제2바디
110: 개구부
120: 변형방지부
130: 확장부
200: 실링유닛
210: 제1실링부
220: 제2실링부
300: 압착유닛
310: 접촉부
400: 백업유닛
410: 제1백업부재
420: 제2백업부재
430: 제3백업부재
500: 지지유닛
600: 가이드유닛
100a: 제1바디
100b: 제2바디
110: 개구부
120: 변형방지부
130: 확장부
200: 실링유닛
210: 제1실링부
220: 제2실링부
300: 압착유닛
310: 접촉부
400: 백업유닛
410: 제1백업부재
420: 제2백업부재
430: 제3백업부재
500: 지지유닛
600: 가이드유닛
Claims (14)
- 제1파이프가 삽입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바디와 함께 내부에 파이프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제2파이프가 삽입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며, 양단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파이프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피팅유닛;
상기 확장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피팅유닛과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피팅유닛과 상기 제2파이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유닛;
상기 확장부 내부에서 상기 실링유닛과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내경을 따라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를 압박하여 고정하는 압착유닛;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확장부 내부에서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외경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링유닛과 상기 압착유닛 각각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호 간격을 유지시키는 백업유닛; 및
상기 확장부의 후단에서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확장부 내부에서 상기 백업유닛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는 상기 피팅유닛의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실링유닛과 상기 압착유닛에 의해 둘레가 감싸진 상태로 고정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닛과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립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압착유닛과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접촉여부를 조절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닛은,
링 형태로 형성되오 내경이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외면에 접촉하며, 상기 개구부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절곡 형성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압착유닛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상기 압착유닛의 절곡된 경사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와의 접촉 여부가 조절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유닛은,
상기 실링유닛과 상기 압착유닛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백업부재; 및
상기 압착유닛과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며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확장부에서 가이드유닛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백업부재;
를 포함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백업유닛의 후단에 배치되며 외경이 상기 확장부의 내면에 접촉하여 고정되고, 내경이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와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이 외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지지유닛의 둘레 일부가 삽입되도록 내경을 따라 별도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삽입공간 내에서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며 확장 형성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에서 연속하여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공간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공간을 포함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유닛은,
상기 확장부의 후단부에서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며 외경이 증가하도록 방사형으로 절곡되어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에 안착되고, 링 형태로 형성된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유닛의 종단면은 기 설정된 형상의 메인실링영역을 포함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유닛의 종단면은 상기 메인실링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실링영역을 더 포함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확장부 내부에 상기 실링유닛, 상기 압착유닛 및 상기 백업유닛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4868A KR20230032252A (ko) | 2021-08-30 | 2021-08-30 |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US17/606,762 US20240035603A1 (en) | 2021-08-30 | 2021-09-14 | Insert type pipe connecting device |
AU2021261833A AU2021261833A1 (en) | 2021-08-30 | 2021-09-14 | Insert type pipe connecting device |
CN202180003377.0A CN116075665A (zh) | 2021-08-30 | 2021-09-14 | 插入式管道连接装置 |
PCT/KR2021/012500 WO2023033225A1 (ko) | 2021-08-30 | 2021-09-14 |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CA3135476A CA3135476A1 (en) | 2021-08-30 | 2021-09-14 | Insert type pipe connec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4868A KR20230032252A (ko) | 2021-08-30 | 2021-08-30 |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2252A true KR20230032252A (ko) | 2023-03-07 |
Family
ID=8541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4868A KR20230032252A (ko) | 2021-08-30 | 2021-08-30 |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32252A (ko) |
WO (1) | WO2023033225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00938B2 (ja) * | 2004-07-29 | 2011-06-15 | ニッタ株式会社 | 管継手 |
KR100855143B1 (ko) * | 2007-03-12 | 2008-08-28 |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 원-터치 배관 연결구 |
KR20120002435U (ko) * | 2010-09-29 | 2012-04-06 | 엘에이 카사 엔젤라 홀딩 리미티드 | 파이프 커넥터 |
KR102139467B1 (ko) * | 2019-08-30 | 2020-07-30 |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 파이프 연결용 피팅장치 |
KR102263624B1 (ko) * | 2020-05-21 | 2021-06-10 | 주식회사 트인공조 | 동배관용 커넥터 |
-
2021
- 2021-08-30 KR KR1020210114868A patent/KR202300322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09-14 WO PCT/KR2021/012500 patent/WO202303322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033225A1 (ko) | 2023-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9850B1 (ko) | 삽입식 튜브 단부에서의 압착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끼움 또는 장착 부품 | |
USRE30802E (en) | Method of securing a sleeve within a tube | |
KR101968589B1 (ko) | 그루브드 커플러 | |
CN112752919B (zh) | 管道连接用装配装置 | |
JP2016508207A (ja) | 管を接合する継手および管を接合する方法 | |
KR101475338B1 (ko) | 광섬유 케이블의 보호 튜브들의 연결 장치,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광 전송 회로 부분 및 그러한 장치에 대한 밀봉 부재 | |
SG174132A1 (en) | Crimp-type coupling, crimping tool, and method of crimping | |
US11248724B2 (en) | Hybrid hose assembly | |
AU2003204500A1 (en) | Connection means for interconnecting two duct elements | |
US20220299134A1 (en) |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 |
US7722093B2 (en) | Fitting | |
US20240035603A1 (en) | Insert type pipe connecting device | |
KR20230032252A (ko) | 삽입형 파이프 연결장치 | |
EP3425249B1 (en) | Press-connect fitting with membrane seal | |
EP3489563B1 (en) | Coupling system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fluid connections | |
US20100148495A1 (en) | Device, method and kit of parts for forming a press-fit connection with a tube | |
IL301148B1 (en) | the author of the bride | |
CN101290077A (zh) | 压配连接件,尤其是用于多层管道的压配连接件 | |
KR101843005B1 (ko) | 퀵 커플러 | |
KR101573346B1 (ko) | 이탈방지용 배관 | |
EP3121500B1 (en) | Coupling for fixedly and sealingly securing components to one another with improved sealing | |
KR102164806B1 (ko) | 성분들을 다른 성분들에 정착적으로 그리고 밀봉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커플링 및 접합부 | |
JP7336496B2 (ja) | 水密テスト機および検査方法 | |
US20200101518A1 (en) | Kit and method for junction of pipes | |
JP3210612B2 (ja) | 管路長調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