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526A -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526A
KR20230031526A KR1020210113862A KR20210113862A KR20230031526A KR 20230031526 A KR20230031526 A KR 20230031526A KR 1020210113862 A KR1020210113862 A KR 1020210113862A KR 20210113862 A KR20210113862 A KR 20210113862A KR 20230031526 A KR20230031526 A KR 20230031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oint
arch line
teeth
image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121B1 (ko
Inventor
조상형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12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obo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서 치관의 영역에 기초하여 기준점의 위치를 결정하고, 복수개의 치아에 식립될 픽스쳐의 예상 위치에 대응되도록 기준점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기준점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악궁 라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METHOD FOR OBTAINING IMAGES OF TEETH BASED ON ARCH LIN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환자의 악궁 라인을 결정하여 환자의 다양한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수술계획을 수립하거나 수술용 가이드를 디자인하기 위해 환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악궁 라인을 생성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특히, 악궁 라인은 파노라마 이미지와 이를 이용한 단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준 라인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가상의 크라운이나 픽스쳐와 같은 임플란트 구조물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등 활용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종래 기술은 환자의 CT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후, 정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악궁 라인을 생성할 평면을 결정하고, 평면으로 표현되는 단면 이미지에서 악궁 라인을 생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개별 치아의 위치를 정밀하게 반영하기 어려워 악궁 라인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어떤 평면을 이용하는지에 따라서 악궁 라인의 위치나 형상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악궁 라인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별 치아의 위치를 정밀하게 반영하여 악궁 라인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적 과제를 포함한다. 또한,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악궁 라인을 자동 보정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적 과제를 포함한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은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식립될 픽스쳐의 예상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점의 위치를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갱신하여 획득되는 갱신된 기준점을 이용하여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악궁 라인이 표시된 상기 복수개의 치아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점의 위치는 치관의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한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축 방향(axial direction)으로 갱신하여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이용하여 축평면(axial plane)에 대응되는 악궁 라인 평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악궁 라인 평면에 대응되는 상기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상기 기준점의 평균 높이에 대응하도록 갱신하여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점의 위치는 상기 치관의 최하방점보다 기설정 거리만큼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점의 위치는 상기 식립될 픽스쳐의 최상단점에 대응되고, 상기 식립될 픽스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관의 영역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식립될 픽스쳐의 예상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점의 위치를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서 결정하고,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갱신하여 획득되는 갱신된 기준점을 이용하여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악궁 라인이 표시된 상기 복수개의 치아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단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치관의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축 방향(axial direction)으로 갱신하여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획득하고,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이용하여 축평면(axial plane)에 대응되는 악궁 라인 평면을 결정하고, 상기 악궁 라인 평면에 대응되는 상기 악궁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점의 위치는 상기 치관의 최하방점보다 기설정 거리만큼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점의 위치는 상기 식립될 픽스쳐의 최상단점에 대응되고, 상기 식립될 픽스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악궁 라인의 정확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반복 작업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처리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개입을 최소화하는 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치아에 대한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한 기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한 기준점에 기초하여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단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악궁 라인을 갱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악궁 라인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영상획득부(110), 프로세서(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10)는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영 이미지는 X-ray 등 대상체를 투과한 광선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예: 파노라마 이미지, CT(computed tomography) 이미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획득부(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치아를 촬상하여 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영상획득부(110) 또는 프로세서(120)는 기 저장된 환자의 치아에 대한 투영 이미지를 메모리로부터 읽어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환자의 치아에 대한 투영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투영 이미지는 단층 촬영 방식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CT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투영 이미지는 환자의 치아 부분에 대한 내부 공간, 밀도 및 다수의 단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CT 볼륨 이미지일 수 있고, 다른 예를 들면,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디지털 이미지나 그 밖의 다양한 유형의 의료 이미지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CT 이미지는 치아의 진단을 위해 머리 부분에 대한 복셀(voxel)로 이루어진 3차원 CT 데이터, 치아부분의 영역만 촬영된 3차원 CT 데이터, 또는 신체 전체가 촬영된 3차원 CT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한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치아에 대한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환자의 치아에 대한 투영 이미지가 획득됨에 따라, 투영 이미지에서 각 치아에 관한 치아 영역을 분할하는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기 저장된 AI(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투영 이미지에 대한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투영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슬라이스 이미지를 획득하고, 복수의 슬라이스 이미지에서 각 치아와 인접 치아와의 경계면 및 각 치아의 높이를 검출하여 치아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치아가 발치된 영역에 대해서는 해당 영역에 인접한 인접 치아의 정보에 기초하여 치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세그먼테이션에 따라 분할된 각 치아 영역에 대응하는 바운더리 박스(10)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투영 이미지에서 각 치아의 풍융부와 인접 치아의 풍융부 간에 접촉하는 지점에 기초하여 육면체 형태의 바운더리 박스(10)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세그먼테이션을 통해 분할된 각 치아 영역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개별 치아의 바운더리를 포함하면서 최대풍융부(13)에서 경계면이 형성되도록 3차원 육면체 형태의 바운더리 박스(10)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각 치아에 대한 기준점(20)의 위치를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점(20)은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각 치아의 기준이 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기준점(20)의 위치는 치관의 영역(11)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복수개의 치아에 식립될 픽스쳐의 예상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한 기준점(20)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세그먼테이션에 따라 획득된 바운더리 박스(10)를 치관의 영역(11) 및 치근의 영역(1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치관은 치아에서 잇몸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부위를 나타내고, 치근은 치아에서 잇몸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부위를 나타낸다. 치관의 영역(11)은 바운더리 박스(10)에서 치관에 대응되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치관의 영역(11)을 이용해서 치관의 최하방점(5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치관의 최하방점(50)의 위치에 따라서 기준점(20)이 결정될 수 있다. 기준점(20)을 이용해서 악궁 라인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치관의 영역(11)은 바운더리 박스(10)의 일부 영역으로, 치관의 길이를 이용해서 악궁 라인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치근의 영역(12)은 바운더리 박스(10)에서 치근에 대응되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치근의 영역(12) 또한 바운더리 박스(10)의 일부 영역으로, 치관 또는 치근의 길이를 이용해서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치아번호별 치관 및 치근의 길이에 대한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바운더리 박스(10)를 치관의 영역(11) 및 치근의 영역(1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개별 치아의 바운더리 박스(10)에 대해서 기 저장된 각 치아번호별 치관과 치근의 평균 크기를 적용하여 치관의 영역(11)과 치근의 영역(1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계 정보는 평균 치관 길이(30), 평균 치근 길이(31) 및 평균 근원심(mesial-distal) 길이(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계 정보는 치아번호별 치관 및 치근의 길이에 대한 통계적 분포에 기초하여 평균값, 중간값, 최빈값, 특정 비율의 분포값 등의 다양한 연산을 통해 결정되는 통계값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정보는 연령대, 성별, 환자 특성 등에 따라 상이한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상이한 값이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바운더리 박스(10)의 최상단면에서부터 평균 치관 길이(30)만큼 하단에 위치하는 영역을 치관의 영역(11)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영역을 치근의 영역(12)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바운더리 박스(10)의 중심축(40)을 결정하고, 중심축(40)을 기준으로 바운더리 박스(10)의 최상단 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정의되는 마진 라인을 이용하여 치관의 영역(11)과 치근의 영역(12)을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치관의 영역(11)은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3D 스캐닝 방식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캐너(미도시)로부터 해당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별 치아에 대한 치관 길이, 치근 길이 및 근원심 길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길이를 적용하여 바운더리 박스(10)를 치관의 영역(11)과 치근의 영역(12)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치관의 영역(11)에 기초하여 치관의 최하방점(50)의 위치를 결정하고, 치관의 최하방점(50)에 기초하여 기준점(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치관의 영역(11)의 최하단면과 중심축(40)이 교차하는 지점의 위치로써 치관의 최하방점(5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치관의 최하방점(50)보다 설정 거리(60)(예: 3.0mm)만큼 하단에 위치하도록 기준점(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치관의 최하방점(50)에 대응하도록 기준점(20)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에 식립될 픽스쳐의 예상 위치에 대응하도록 기준점(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식립될 픽스쳐의 최상단점에 대응되도록 기준점(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추후 해당 환자의 임플란트 수술 시에 식립될 픽스쳐가 기준점(20)과 중첩되도록 설정 거리(60)를 결정하고, 결정된 설정 거리(60)만큼 치관의 최하방점(50)보다 하단에 위치하도록 기준점(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식립될 픽스쳐의 특성에 따라 기준점(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픽스쳐의 특성은 픽스쳐의 종류 또는 스펙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픽스쳐 종류에 따라 설정 거리(60)를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픽스쳐의 표면 처리 방식 및 연결부 모양에 따라 구별되는 복수의 픽스쳐 종류 각각에 대해서 동일 또는 상이한 거리값이 설정된 설정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설정 정보 중에서 환자의 수술 정보에 포함된 픽스쳐의 종류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신된 픽스쳐의 종류에 대응되는 거리값을 가져와 설정 거리(60)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환자의 수술 정보에 기초하여 픽스처의 예상 식립위치를 결정하고, 예상 식립위치에 따라 설정 거리(60)를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수술 정보에 따라 픽스쳐가 본 레벨(bone level)의 하방 1.0mm에 식립되거나 잇몸 마진라인의 하방 3.0mm에 식립될 예정인 경우, 설정 거리(60)를 3.0mm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한 기준점(20)에 기초하여 악궁 라인(70)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한 기준점(20)에 기초하여 악궁 라인(70)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한 기준점(20)을 연결한 라인에 기초하여 악궁 라인(7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한 기준점(20)을 연결하여 획득되는 3차원 공간 상의 라인에 대응하도록 악궁 라인(70)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현되는 복수 개의 점들을 이용하여 2차원 또는 3차원 상의 곡선을 정의할 수 있는 알고리즘들(예: 베지어 곡선, 스플라인 보간법, 다항회귀(polynomial regression) 등)을 이용하여 악궁 라인(70)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한 기준점(20)의 위치를 갱신하여 갱신된 기준점(20)을 획득하고, 갱신된 기준점(20)을 이용하여 악궁 라인(7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악궁(예: 상악, 하악)에 위치하는 각 기준점(20)의 높이에 대한 통계 연산(예: 평균값, 중간값, 최빈값 등)에 기초하여 갱신된 기준점(21)을 획득하고, 갱신된 기준점(21)을 연결한 라인에 대응하도록 악궁 라인(70)의 위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기준점(20)의 평균 높이에 대응하도록 기준점(20)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각 기준점(20)의 높이를 평균하는 연산을 통해 평균 높이를 결정하고, 평균 높이에 위치하도록 기준점(20)의 수직적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치아에 대한 기준점(20)의 높이는 해당 CT 이미지의 좌표계를 기준으로 측정되는 기준 좌표와의 축방향 좌표 차이로써 측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기준점(20)의 축방향 상의 평균 좌표에 대응하도록 기준점(20)을 갱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환자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관심 치아를 결정하고, 관심 치아에 대응하는 기준점(20)의 높이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 평균 연산을 통해 평균 높이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준점(20)의 위치를 축 방향(axial direction)으로 갱신하여 갱신된 기준점(21)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각 기준점(20)을 이동시켜 기준점(20)의 평균 높이와 일치하도록 각 기준점(20)의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갱신된 기준점(21)을 이용하여 축평면(axial plane)에 대응되는 악궁 라인 평면을 결정하고, 악궁 라인 평면에 대응되는 악궁 라인(7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축 방향과 수직하도록 축평면을 결정하고, 축평면과 평행하면서 갱신된 기준점(21)과 교차하도록 악궁 라인 평면을 결정하고, 악궁 라인 평면 상에서 갱신된 기준점(21)과 만나도록 악궁 라인(7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처럼, 악궁 라인 평면을 거치지 않고 갱신된 기준점(21)을 이용하여 직접 악궁 라인(70)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처럼 14개 치아에 대한 14개의 기준점(20)을 지나는 선을 생성하는 경우, 각 치아의 치관 크기와 치축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축 방향 및 근원심 방향에 따른 치아의 파노라마 이미지 상에 악궁 라인(70)을 도시하였을 때, 악궁 라인(70)은 근원심 방향에 따라 일직선 형태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악궁 라인(70)을 기준으로 파노라마 이미지 및 2D 단면 이미지를 생성할 때 이미지가 왜곡되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7에서처럼, 프로세서(120)는 14개 기준점(20)의 z축 방향 좌표값들의 평균을 지나면서 z축 방향과 수직한 평면, 또는 기준점(20)의 다중선형회귀(Multiple linear regression)나 이와 동등한 차원축소 선형화 기법으로 획득한 평면을 악궁 라인(70)이 생성되는 평면으로 정의함으로써, 악궁 라인(70)을 통한 이미지의 왜곡을 개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악궁 라인(70)이 표시된 복수개의 치아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단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단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악궁 라인(70)을 갱신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단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악궁 라인(70)을 갱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투영 이미지로부터 단면 이미지(예: 축 이미지)를 추출하고, 디스플레이(130)는 단면 이미지 상에 악궁 라인(70) 및 갱신된 기준점(21)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단면 이미지에 표시되는 악궁 라인(70)을 기저장된 악궁 라인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여 악궁 라인(70)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고,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악궁 라인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악궁 라인(70)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악궁 라인(70)에서 나타나는 곡선이 기저장된 기준 악궁 형상에 대응하는 정도를 수치로 산출하고, 산출된 수치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해당 부분의 형상이 기준 악궁 형상에 대응하도록 악궁 라인(70)을 부분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악궁 형상은 평면 이미지 상에서 적절한 악궁 라인의 형상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사용자들에 대한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평균적인 악궁 라인의 형상에 관한 정보(예: 3차원 상에서의 곡선 특징값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갱신된 기준점(21)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악궁 라인(70) 중 일부 영역은 평면상에서 기준 악궁 형상으로 배열되지 않을 수 있다. 환자의 치아 배열이 이상적이지 않기 때문에 14개 갱신된 기준점(21)을 연결한 악궁 라인(70) 또한 적절한 기준 악궁 형상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120)는 악궁 라인(70) 중에서 알고리즘에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 영역을 검출하고(식별번호 810 참조),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악궁 라인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문제 영역이 기준 악궁 형상이 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위치 정보를 부분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식별번호 820 참조). 이러한 경우, 갱신된 악궁 라인(70)은 문제 영역의 갱신된 기준점(21)의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단면 이미지에 표시되는 악궁 라인(70) 또는 갱신된 기준점(2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악궁 라인(70)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단면 이미지에 표시되는 악궁 라인(70) 또는 갱신된 기준점(21)에 대한 위치 수정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갱신된 기준점(21)의 위치를 변경시키거나 악궁 라인(70)의 위치 또는 형상을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악궁 라인(70)의 형상이나 갱신된 기준점(21)의 위치 등을 변경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상에서 위치를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 위치 좌표의 값이나 위치 변화분을 입력하거나 라인이 그리는 곡선의 특성을 수정하는 마우스 입력, 키보드 입력, 터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단면 이미지에 표시되는 악궁 라인(70)의 말단 지점이 특정 치아에 대응하는 경우, 악궁 라인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새로운 기준점(22)을 생성하고, 새로운 기준점(22)을 반영하여 악궁 라인(70)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악궁 라인(70)이 14개의 갱신된 기준점(21)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경우, 악궁 라인(70)의 말단 지점은 7번 치아의 갱신된 기준점(21)일 수 있다. 이러한 악궁 라인(70)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파노라마 이미지에서는 7번 치아의 완전한 형상 및 7번 치아에서 원심(distal) 방향의 이미지를 재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프로세서(120)는 악궁라인(70)의 말단 지점을 악궁 라인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특정 거리만큼 연장시키고, 연장된 말단 지점에 새로운 기준점(22)을 추가하여(식별번호 910 참조) 전체 14개의 갱신된 기준점(21) 및 2개의 새로운 기준점(22)을 연결하도록 악궁 라인(70)을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특정 거리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새로운 기준점(22)이 반영된 악궁 라인(70)에 대해서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이상적인 아치 형상이 되도록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말단 지점에 추가될 새로운 기준점(2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악궁 라인(70)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투영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악궁 라인(70)에 대해서 말단 지점 연장 또는 새로운 기준점 추가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악궁 라인(70)의 말단 지점을 연장하거나 새로운 기준점(22)을 추가하여 악궁 라인(70)의 형상을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악궁 라인(7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130)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악궁 라인(70)을 기준으로 투영 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정합하는 방식으로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0)는 생성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악궁 라인(70)에 대한 두께(thickness)를 상이하게 적용하여 상이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두께를 0mm, 10mm, 20mm로 각각 결정하여 해당 악궁 라인(70)을 기준으로 다수의 이미지를 추출 및 정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도 10(a) 내지 도 10(c)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120)는 이미지가 생성되는 영역의 두께를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이미지 두께로 설정한 후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함에 따라, 수술 계획 및 진단 과정에서 다양한 파노라마 이미지가 활용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파노라마 이미지 상에 악궁 라인(70)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프로세서(120)는 파노라마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된 악궁 라인(7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악궁 라인(70)을 갱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갱신된 악궁 라인(70)을 반영하여 투영 이미지로부터 새로운 파노라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0)는 악궁 라인(70)을 갱신하기 전후의 파노라마 이미지에 대한 비교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악궁 라인(70)을 이용하여 치과 수술에 이용되는 3D 가이드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3D 가이드는 임플란트 수술 시에 픽스쳐가 식립되는 위치, 치아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제조되는 수술용 가이드 지그에 대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악궁 라인(70)을 이용하여 3D 가이드를 생성하고, 3D 가이드에 대한 출력물(예: 3D 프린트)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악궁 라인(70)은 파노라마 이미지, 2D 이미지 등 치아에 관한 다양한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3D 가이드 등을 제조하기 위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획득부(110)는 CT 이미지를 촬상하는 CT 촬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악궁 라인(70)을 결정하고 악궁 라인(70)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고, 영상획득부(110), 디스플레이(130) 및 그 밖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등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디바이스(100)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 다른 디바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예: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악궁 라인(70)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110에서 디바이스(100)는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투영 이미지는 CT 이미지일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디바이스(100)는 치관의 영역(11)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복수개의 치아에 식립될 픽스쳐의 예상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점(20)의 위치를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준점(20)의 위치는 치관의 최하방점(50)보다 설정 거리(60)만큼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치관의 최하방점(50)은 치관의 영역(11)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준점(20)의 위치는 식립될 픽스쳐의 최상단점에 대응되고, 식립될 픽스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1130에서 디바이스(100)는 기준점(20)의 위치를 갱신하여 획득되는 갱신된 기준점(21)을 이용하여 악궁 라인(7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기준점(20)의 평균 높이에 대응하도록 기준점(20)을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기준점(20)의 위치를 축 방향으로 갱신하여 갱신된 기준점(21)을 획득하고, 갱신된 기준점(21)을 이용하여 축평면에 대응되는 악궁 라인 평면을 결정하고, 악궁 라인 평면에 대응되는 악궁 라인(70)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140에서 디바이스(100)는 악궁 라인(70)이 표시된 복수개의 치아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단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악궁 라인(7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악궁 라인(70)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수술에 이용되는 3D 가이드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서 치관의 영역(11)에 기초하여 기준점(20)의 위치를 결정하고, 복수개의 치아에 식립될 픽스쳐의 예상 위치에 대응되도록 기준점(20)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기준점(20)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악궁 라인(70)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 및 조합은 일 실시 예이고,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요소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서, 조합, 분기, 기능 및 그 수행 주체가 추가, 생략 또는 변형된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제공'은 대상이 특정 정보를 획득하거나 직간접적으로 특정 대상에게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요구되는 관련 동작의 수행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2)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60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608))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바이스
110: 영상획득부 120: 프로세서
130: 디스플레이
10: 바운더리 박스
11: 치관의 영역 12: 치근의 영역
20: 기준점 50: 치관의 최하방점
70: 악궁 라인

Claims (14)

  1.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식립될 픽스쳐의 예상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점의 위치를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갱신하여 획득되는 갱신된 기준점을 이용하여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악궁 라인이 표시된 상기 복수개의 치아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의 위치는 치관의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한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축 방향(axial direction)으로 갱신하여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이용하여 축평면(axial plane)에 대응되는 악궁 라인 평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악궁 라인 평면에 대응되는 상기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상기 기준점의 평균 높이에 대응하도록 갱신하여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획득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의 위치는 상기 치관의 최하방점보다 기설정 거리만큼 하단에 위치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의 위치는
    상기 식립될 픽스쳐의 최상단점에 대응되고, 상기 식립될 픽스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의 영역은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9.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식립될 픽스쳐의 예상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점의 위치를 상기 복수개의 치아 각각에 대해서 결정하고,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갱신하여 획득되는 갱신된 기준점을 이용하여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악궁 라인이 표시된 상기 복수개의 치아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단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치관의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기준점의 위치를 축 방향(axial direction)으로 갱신하여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획득하고,
    상기 갱신된 기준점을 이용하여 축평면(axial plane)에 대응되는 악궁 라인 평면을 결정하고,
    상기 악궁 라인 평면에 대응되는 상기 악궁 라인을 결정하는,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의 위치는 상기 치관의 최하방점보다 기설정 거리만큼 하단에 위치하는, 디바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의 위치는
    상기 식립될 픽스쳐의 최상단점에 대응되고, 상기 식립될 픽스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디바이스.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치아에 대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113862A 2021-08-27 2021-08-27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KR10260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62A KR102602121B1 (ko) 2021-08-27 2021-08-27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62A KR102602121B1 (ko) 2021-08-27 2021-08-27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526A true KR20230031526A (ko) 2023-03-07
KR102602121B1 KR102602121B1 (ko) 2023-11-15

Family

ID=8551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862A KR102602121B1 (ko) 2021-08-27 2021-08-27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1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9322A (ja) * 2007-02-22 2008-10-02 Morita Mfg Co Ltd 画像処理方法、画像表示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記憶媒体、画像処理装置、x線撮影装置
US20140257763A1 (en) * 2013-03-07 2014-09-11 CHOICE Biotech Inc,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 path planning
KR20200084628A (ko) * 2019-01-03 2020-07-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서지컬 가이드 결정 방법, 서지컬 가이드 결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210007409A (ko) * 2019-07-11 2021-01-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
KR102523432B1 (ko) 2021-02-16 2023-04-20 주식회사 디오 치아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9322A (ja) * 2007-02-22 2008-10-02 Morita Mfg Co Ltd 画像処理方法、画像表示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記憶媒体、画像処理装置、x線撮影装置
US20140257763A1 (en) * 2013-03-07 2014-09-11 CHOICE Biotech Inc,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 path planning
KR20200084628A (ko) * 2019-01-03 2020-07-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서지컬 가이드 결정 방법, 서지컬 가이드 결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210007409A (ko) * 2019-07-11 2021-01-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
KR102523432B1 (ko) 2021-02-16 2023-04-20 주식회사 디오 치아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121B1 (ko)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6215B2 (ja) 歯列メッシュ矯正具除去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224657B1 (ko) 구강내 스캔 중 관심 구역의 식별
US9283061B2 (en) Method and analysis system for the geometrical analysis of scan data from oral structures
US20210153976A1 (en) Method of optimization in orthodontic applications
KR102070256B1 (ko) 교정 치료 플래닝을 위한 세팔로 영상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99415B1 (ko) Ct 데이터와 광학 데이터의 정합성능 향상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18413A (ko) 임플란트 식립 정밀도의 평가 방법 및 시스템
WO2008128700A1 (en) Computer-assisted creation of a custom tooth set-up using facial analysis
US20230390027A1 (en) Auto-smile design setup systems
KR102602121B1 (ko)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WO2023194500A1 (en) Tooth position determination and generation of 2d reslice images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KR20230053888A (ko) 교정 진단에 이용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US2023039003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object area from three-dimensional model, and three-dimensional model processing device
KR102350098B1 (ko) 악궁라인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20230163227A (ko) 치아교정을 위한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138922B1 (ko) 보철물 설계 시 컨택 방향 설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보철물의 주변치와의 컨택 거리 표시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 캐드 장치
KR102659927B1 (ko) 치아 형상 삭제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102583135B1 (ko) 교정 진단을 위해 서로 다른 시점에 획득된 복수개의 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KR102567348B1 (ko)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KR102413696B1 (ko) 지대치 모델 마진라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87151A (ko) 환자에 대한 치료 스케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KR102474298B1 (ko) 보철물 모델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KR102482953B1 (ko) 덴탈 아치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40099812A1 (en) Method of optimization in orthodontic applications
FI129361B (en) Determination of at least one suitabl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