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291A -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와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와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291A
KR20230031291A KR1020237001005A KR20237001005A KR20230031291A KR 20230031291 A KR20230031291 A KR 20230031291A KR 1020237001005 A KR1020237001005 A KR 1020237001005A KR 20237001005 A KR20237001005 A KR 20237001005A KR 20230031291 A KR20230031291 A KR 20230031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assembly
identification member
micro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징 두
Original Assignee
센젠 스무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센젠 메리트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스무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센젠 메리트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센젠 스무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80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802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heat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4Heating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zzle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와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을 제출한다. 여기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는,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을 포함하고, 제1 패키지층은 중공의 제1 원기둥체를 형성하고, 에어러졸 생성 기질이 상기 제1 원기둥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에 고정되고 극초단파(microwave) 투과재료에 의해 제조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한다. 에어러졸 발생장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중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고, 종류가 다름에 따라 대응되는 가열모드를 설치해 종류가 다른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대한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효과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와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
본 출원은 전자 무화 기술분야에 속하고, 상세하게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와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열 불연소(Heat Not Burning, HNB) 장치는 가열에 의하지만 에어러졸 발생 기질(처리된 식물잎류 제품)이 연소되지 않는 전자설비이다. 가열장치는 에어러졸 발생 기질이 에어러졸을 발생할 수는 있지만 연소에는 충분하지 않은 온도까지 고온으로 가열하고, 연소하지 않는 전제하에, 에어러졸 발생 기질이 사용자에 필요한 에어러졸을 발생하도록 한다.
현재 시장에 출시된 가열 불연소 기구는 주로 저항가열방식을 이용하며, 즉, 중심 발열시트 또는 발열니들 등을 이용해 에어러졸 발생 기질의 중심에서부터 에어러졸 생성 기질 내부까지 삽입해 가열을 진행한다. 이런 기구는 사용하기 전에 예열해야 하므로, 대기시간이 길고, 자유롭게 흡입을 정지할 수 없고,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탄화가 균일하지 않아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베이킹이 충분하지 않고, 이용률이 낮으며; 다음, HNB기구의 발열시트는 에어러졸 발생 기질 추출기와 발열시트 베이스에 쉽게 때가 발생하고 청소에 어려우며; 발열체에 접촉하는 국부적인 에어러졸 발생 기질이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도록 하고, 일부의 크래킹(cracking)이 발생하고,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방출한다. 따라서, 극초단파(microwave) 가열기술은 점차 저항가열방식을 대체해 새로운 가열방식으로 되었다. 극초단파 가열기술은 고효율, 적시성, 선택성 및 가열 무지연성의 특징을 구비하고 유전특성(dielectric property)이 특정된 물질에 대해서만 가열효과가 있다. 극초단파를 이용해 가열 및 무화하는 응용의 장점은, a. 극초단파 가열이 복사 가열이지 열전도가 아니고, 흡입하는 데로 정지할 수 있으며; b. 가열시트를 구비하지 않아 시트가 끊어지고 발열시트를 청소하는 문제가 없으며; c. 에어러졸 발생 기질의 이용률이 높고 입맛의 일치성이 높고 입맛이 궐련에 더 가깝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극초단파 가열의 HNB장치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대한 식별을 진행할 수 없고, 단일한 가열방식을 통해서만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대한 가열을 진행할 수 있어 다른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대한 무화 효과가 낮은 문제가 발생한다.
본 출원의 목적은, 종래기술 또는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문제 중 하나를 해결하는 데 있다.
따라서,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출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는,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을 포함하고, 제1 패키지층은 중공의 제1 원기둥체를 형성하고, 에어러졸 생성 기질이 상기 제1 원기둥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에 고정되고 극초단파(microwave) 투과재료에 의해 제조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과 식별부재를 포함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은 제1 패키지층과 제1 패키지층에 설치한 에어러졸 생성 기질을 포함하고, 제1 패키지층은 중공의 제1 원기둥체를 형성하며, 즉, 제1 패키지층의 내부에는 원기둥체를 이루는 캐비티가 설치되고, 에어러졸 생성 기질은 원기둥체를 이루는 캐비티의 내부에 설치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을 제1 패키지층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에어러졸 생성 기질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에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는 에어러졸 발생장치와 매칭해 사용하며, 에어러졸 발생장치는 극초단파 어셈블리, 무화 캐비티와 개구를 포함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는 사용과정에서,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이 개구를 통해 무화 캐비티에 삽입되고,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작동하여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한 에어러졸 생성 기질을 가열해 에어러졸을 발생시킨다. 식별부재를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에 고정해 설치하며, 에어러졸 생성 기질이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서 열을 받아 무화하는 과정에서, 식별부재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한다. 식별부재가 극초단파 투과재료에 의해 제조되므로, 식별부재를 구비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삽입되어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캐비티 내부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은 연초(煙草) 또는 본초(本草)를 원료로 사용해 입자성 물질, 박편, 분말 부스러기, 섬유 형상 물질, 페이스트 형상 물질, 팬케이크 형상 물질, 다공성 에어로겔, 캡슐 등과 같이 형태가 다른 기질로 제조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은 열을 받아 에어러졸을 발생시킨 후, 일부 폐기물을 발생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을 제1 패키지층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에어러졸 생성 기질이 무화한 후에 발생한 폐기물이 제1 패키지층 내부의 원기둥 형상 캐비티의 내부에 잔류하게 되고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캐비티 내부에 떨어지지 않는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일괄적으로 수집 및 처리하는 데 편리하다.
무엇보다도,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에 식별부재가 고정되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에어러졸 발생장치에 조립한 상황에서, 식별부재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내부에 식별부재를 설치할 경우, 무화 캐비티 내부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해 무화 캐비티 내부의 공진 주파수가 설정된 범위 내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극초단파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에 대해 극초단파 가열을 진행하기 전에, 극초단파 어셈블리는 주파수 스윕(frequency sweep)을 작동시켜 극초단파 어셈블리의 최적 작동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며, 최적 작동 주파수 포인트가 무화 캐비티 내부의 공진 주파수와 관련되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종류에 근거해 적절한 작동모드를 매칭시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중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을 가열해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효율을 향상한다.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중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종류가 다름에 따라 대응되는 가열모드를 설치해 종류가 다른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대한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효과를 향상한다.
상세하게,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내부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종류가 다름에 따라,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내부에 다른 식별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다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다른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한다.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대해 극초단파 가열을 진행하기 전에, 주파수 스윕을 작동시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종류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프로세서 중에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종류와 극초단파 어셈블리 작동모드의 대응관계를 저장하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종류를 식별해낸 후, 대응관계에 근거해 대응되는 작동모드를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어, 종류가 다른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대해 모드가 다른 가열을 진행하고, 에어러졸 발생장치에 종류가 다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적용해 매칭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대한 무화 효과를 향상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에 식별부재를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식별하도록 하므로, 식별부재를 통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설정된 공진 주파수 범위 내에 설치하는 기술방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설정된 공진 주파수 범위 내에 놓여 있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에 대해 극초단파 가열만 진행할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위조 방지 역할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이 제공한 상기 기술방안에 근거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는 아래의 부가적 기술특징을 더 구비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는 여과구간을 더 포함하고, 여과구간은 제2 패키지층과 여과물을 포함하고, 제2 패키지층은 중공의 제2 원기둥체를 형성하고, 여과물은 제2 원기둥체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설계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는 여과구간을 더 포함하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삽입할 경우, 적어도 일부의 여과구간이 무화 캐비티의 외부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여과구간을 통해 에어러졸 생성 기질이 열을 받아 발생시킨 에어러졸에 대한 흡입을 진행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이 에어러졸을 생성한 후, 여과구간을 흘러지나 여과를 진행한다.
여과구간은 제2 패키지층과 여과물을 포함하고, 제2 패키지층의 내부에는 중공의 제2 원기둥체가 형성되며, 즉, 제2 패키지층 중에 원기둥 형상의 캐비티가 설치되고, 여과물은 원기둥 형상의 캐비티에 수용되고, 여과물은 흘러지나는 에어러졸에 대한 여과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 여과물과 제2 패키지층은 연질 재료로 제조되어 사용자의 흡입 맛을 향상한다.
여과물의 통기 성능을 실제 수요에 근거해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과부에 통기 성능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흡입 저항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패키지층과 제1 패키지층은 일체헝으로 성형되고, 일체형으로 성형된 제1 패키지층과 제2 패키지층 중에 여과물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을 설치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제조를 완성하고, 제1 패키지층과 제2 패키지층을 일체형으로 성형된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제1 패키지층을 제2 패키지층과 연결시키는 단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설계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일체성이 더 우수해도록 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여과구간 중의 여과물은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 중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과 직접 접촉한다.
상기 설계에서, 여과물이 에어러졸 생성 기질과 직접 접촉해 제1 패키지층과 제2 패키지층이 캐비티 부분을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전체 부피를 줄인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여과구간은 온도 강하부를 더 포함하고, 온도 강하부는 여과물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설계에서, 온도 강하부는 여과구간 중에 설치하고, 온도 강하부는 여과물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의 위치에 자리하고, 온도 강하부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이 열을 받아 무화하여 발생된 에어러졸의 온도를 강하시켜 고온 에어러졸이 직접 흡입부를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데여 상처입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온도 강하부는 캐비티구조이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이 열을 받아 무화하여 발생된 에어러졸이 캐비티구조의 온도 강하부에 진입해 온도가 강하되고, 사용자가 흡입함에 따라, 온도 강하부 내부의 에어러졸이 여과물을 흘러지나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배출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식별부재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설계에서, 식별부재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고, 식별부재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과 제1 패키지층 사이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식별부재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설치할 경우, 바람직하게,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중부, 상부와 하부에 설치한다. 식별부재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과 제1 패키지층 사이에 설치할 경우, 바람직하게, 제1 패키지층의 내측벽 상부, 중부 및 하부에 설치한다. 식별부재의 설치 위치가 다를 경우,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무화 캐비티에 삽입된 후, 무화 캐비티의 공진 주파수도 다르다. 식별부재의 설치 위치를 합리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삽입된 후의 무화 캐비티의 공진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다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내부에 동일한 식별부재를 설치하고, 식별부재를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다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생산할 때 다양하게 다른 식별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다른 위치에 식별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다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구분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중의 부재 재활용율을 높여 생산원가를 낮춘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식별부재는 제1 패키지층의 내측 바닥벽에 설치한다.
상기 설계에서, 식별부재를 제1 패키지층의 내측벽 바닥벽 위치에 설치하고, 즉, 식별부재가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식별부재와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접촉 면적을 줄여 식별부재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무화에 영향주는 것을 피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식별부재는 제1 패키지층의 외측 바닥벽에 설치한다.
상기 설계에서, 식별부재를 제1 패키지층의 외측 바닥벽에 설치함으로써, 식별부재가 직접 에어러졸 생성 기질과 서로 접촉하는 것을 피해 식별부재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무화에 영향주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식별부재의 위치가 제1 패키지층의 외측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위치는 제1 패키지층의 외측 바닥벽과 외측 측벽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식별부재의 수량은 적어도 2개이고, 적어도 2개의 식별부재는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를 포함하며;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는 모두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1 식별부재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식별부재는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1 식별부재는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식별부재는 모두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1 식별부재는 수용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식별부재는 수용 캐비티의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설계에서, 식별부재의 수량은 다수 개이고, 다수 개의 식별부재 중에는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를 포함한다.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의 설치 위치를 합리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에어러졸 무화장치의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주파수 스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식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식별부재의 수량을 다수 개로 설치하고 단일 식별부재가 효력을 잃어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식별할 때 효력을 잃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는 모두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설치해 에어러졸 무화장치의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주파수 스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식별하는 효율을 향상한다.
여기에서,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는 제1 원기둥체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분포된다.
상기 설계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극초단파 발생장치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은 축방향의 방향을 따라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삽입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내부 식별부재의 수량을 다수 개로 설치하고, 다수 개의 식별부재 중의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를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분포함으로써,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축방향 조립 오차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식별될 수 없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식별부재를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 축방향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극초단파 생성 기질 구간을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러졸 발생장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부재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므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삽입되는 축방향 깊이가 다를 경우, 식별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공진 주파수도 다른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프로세서 내에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삽입 깊이와 공진 주파수의 대응 관계를 저장함으로써,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위치 상태에 대한 검측을 진행하고, 검측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는 모두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에 설치한다.
여기에서, 제1 식별부재는 제1 패키지층 내부의 둘레측벽에 설치된다.
상기 설계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내부의 식별부재의 수량은 다수 개로 설치하고, 다수 개의 식별부재 중의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는 제1 패키지층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는 모두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에 위치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원주방향 조립 오차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식별될 수 없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식별부재는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식별부재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설계에서,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의 위치를 엇갈리게 설치함으로써, 에어러졸 무화장치의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주파수 스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식별부재를 구비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식별하는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다수 개의 식별부재를 모두 제1 패키지층의 내부에 설치해 식별부재가 직접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외부에 노출되어 식별부재가 마손되는 문제를 피한다.
바람직하게,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는 모두 제1 패키지층의 외측벽에 위치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식별부재의 형상은 각기둥체(prismoid), 각뿔체, 원뿔체, 구체의 하나 또는 다수 개를 포함한다.
상기 설계에서, 식별부재의 생산과정은 실제 수요에 근거해 식별부재의 형상을 합리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식별부재의 형상은 각기둥체, 각뿔체, 원뿔체, 구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식별부재의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s) 범위는 10 내지 100이고; 및/또는, 식별부재의 유전 손실(dielectric loss) 범위는 0 내지 0.1이다.
상기 설계에서, 바람직하게, 식별부재의 유전 손실 범위는 0 내지 0.01이고, 바람직하게, 식별부재의 유전상수 범위는 50 내지 100이다. 식별부재의 유전 손실과 유전상수 범위를 구체적으로 한정함으로써, 식별부재가 극초단파를 지나치게 흡수하지 않을 수 있어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발생한 극초단파가 모두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작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 식별부재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무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식별부재는 유전 세라믹(dielectric ceramic) 재료를 포함하고, 유전 세라믹 재료는 산화 알루미늄, 티탄산 바륨, 티탄산 마그네슘, 티탄산 칼슘, 티탄산 스트론튬, 산화 마그네슘, 산화 지르코늄, 질화 붕소, 질화 알루미늄, 희토 혼성 결정(mixed crystal)계열 세라믹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설계에서, 식별부재 중에 유전 세라믹 재료를 포함하고, 유전 세라믹 재료는 비교적 높은 저항율, 비교적 높은 유전상수와 비교적 낮은 유전 손실을 갖는다. 식별부재가 극초단파를 지나치게 흡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발생한 극초단파가 모두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작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 식별부재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무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한다.
여기에서, 유전 세라믹 재료는 산화 알루미늄, 티탄산 바륨, 티탄산 마그네슘, 티탄산 칼슘, 티탄산 스트론튬, 산화 마그네슘, 산화 지르코늄, 질화 붕소, 질화 알루미늄, 희토 혼성 결정계열 세라믹 재료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설계에서, 산화 알루미늄, 티탄산 바륨, 티탄산 마그네슘, 티탄산 칼슘, 티탄산 스트론튬, 산화 마그네슘, 산화 지르코늄, 질화 붕소, 질화 알루미늄의 유전상수는 30 내지 40의 범위 내에 놓여지고, 희토 혼성 결정계열 세라믹 재료의 유전상수는 70 내지 90의 범위 내에 놓여진다.
식별부재를 제조할 경우, 상기 재료 중의 하나 또는 다수 개를 선택해 식별부재를 제조함으로써, 식별부재의 유전상수를 조정해 식별부재의 유전상수가 적절한 범위 내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출하는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은 에어러졸 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에어러졸 발생장치는 무화 캐비티와 극초단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극초단파 어셈블리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로 극초단파를 제공해주는 데 사용하며; 상기 제1 측면에서 어느 한 설계가능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은 에어러졸 발생장치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에어러졸 발생장치는 개구, 무화 캐비티와 극초단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는 개구를 통해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삽입하고,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극초단파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에 대해 극초단파 가열을 진행하기 전에, 극초단파 어셈블리는 주파수 스윕을 작동시켜 극초단파 어셈블리의 최적 작동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며, 최적 작동 주파수 포인트가 무화 캐비티 내부의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공진 주파수와 관련되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종류에 근거해 적절한 작동모드를 매칭시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중의 에어러졸 발생-생성 기질을 가열해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효율을 향상한다.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중의 에어러졸 생성-발생 기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종류가 다름에 따라 대응되는 가열모드를 설치해 종류가 다른 에어러졸 생성-발생 기질에 대한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효과를 향상한다.
또한, 본 출원이 제공한 상기 기술방안에 근거한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은 아래의 부가적 기술특징을 더 구비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무화 캐비티는 강력 전자기장 구역을 포함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중의 식별부재는 무화 캐비티의 강력 전자기장 구역에 위치하고, 강력 전자기장 구역은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극초단파를 제공해주어 형성된 극초단파의 강력 전자기장 구역이다.
상기 설계에서, 극초단파 어셈블리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극초단파를 제공해주고, 극초단파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로 전도하고, 극초단파 전송 특성의 영향을 받아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강력 전자기장 구역과 약력 전자기장 구역이 형성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 중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은 무화 캐비티의 강력 전자기장 구역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대한 극초단파 가열 및 무화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부재를 강력 전자기장 구역에도 설치함으로써, 식별부재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공진 주파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에어러졸 발생장치는, 무화 캐비티가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 제1단이 무화 캐비티의 캐비티 바닥벽과 서로 연결되고, 제2단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와 상대되도록 설치된 공진 컬럼;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설계에서, 공진 컬럼이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장착되고, 공진 컬럼의 직경이 무화 캐비티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공진 컬럼의 외측벽과 무화 캐비티의 내측벽 사이에 간극이 설치되어 극초단파가 이 부분의 간격 내에서 전도할 수 있다. 공진 컬럼은 도체로 이용될 수 있고, 공진 컬럼은 금속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설명할 경우, 공진 컬럼은 구리, 알루미늄, 철 등 또는 그 합금으로 제조된다. 공진 컬럼은 극초단파를 전송하고 극초단파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하며, 극초단파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서 전도할 때 쉽게 감쇠가 나타나지 않아, 극초단파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작용하는 효과를 향상시키고 극초단파가 고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에어러졸 생성 기질에 작용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수요를 만족시키는 데 이롭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극초단파 어셈블리는 케이스의 측벽에 설치된 극초단파 도입부; 극초단파 도입부와 서로 연결되고, 출력한 극초단파가 극초단파 도입부를 경유해 무화 캐비티에 제공되고, 극초단파가 공진 컬럼 제1단에서부터 공진 컬럼 제2단까지의 방향을 따라 전도되도록 하는 극초단파 발사원;을 포함한다.
상기 설계에서, 극초단파 발사원은 극초단파를 발생할 수 있고, 극초단파는 극초단파 도입부를 통해 무화 캐비티의 내부까지 도입하며, 극초단파 도입부를 설치해 무화 캐비티 내부에서의 극초단파 도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무화 캐비티 내부 부재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극초단파가 안정적으로 공진 컬럼의 제1단에서부터 공진 컬럼의 제2단을 향해 전도하도록 보장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부가 측면과 장점은 아래의 기재 부분에서 뚜렷해지거나 본 출원의 실천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및/또는 추가된 측면과 장점은 아래 도면을 결합해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더 뚜렷해지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여기에서,
도 1은 본 출원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구조 설명도 1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구조 설명도 2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구조 설명도 3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구조 설명도 4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구조 설명도 5이고;
도 6은 본 출원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구조 설명도 6이고;
도 7은 본 출원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구조 설명도 7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구조 설명도 8이고;
도 9는 본 출원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구조 설명도 9이고;
도 10은 본 출원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의 구조 설명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상기 목적, 특징과 장점을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결합해 본 출원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엇보다도, 충돌하지 않는 상황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와 실시예 중의 특징은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본 출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은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기재하였지만, 본 출원은 여기에서의 기재와 다른 기타의 방식으로도 실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하에서 공개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해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와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첫 번째 실시예가 제공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과 식별부재(1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은, 제1 패키지층(112)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을 포함하고, 제1 패키지층(112)은 중공의 제1 원기둥체를 형성하고,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은 상기 제1 원기둥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식별부재(120)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에 고정되고 극초단파(microwave) 투과재료에 의해 제조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과 식별부재(120)를 포함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은 제1 패키지층(112)과 제1 패키지층(112)에 설치한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을 포함하고, 제1 패키지층(112)은 중공의 제1 원기둥체를 형성하며, 즉, 제1 패키지층(112)의 내부에는 원기둥체를 이루는 캐비티가 설치되고,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은 원기둥체를 이루는 캐비티의 내부에 설치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을 제1 패키지층(112)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에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는 에어러졸 발생장치와 매칭해 사용하며, 에어러졸 발생장치는 극초단파 어셈블리, 무화 캐비티와 개구를 포함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는 사용과정에서,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이 개구를 통해 무화 캐비티에 삽입되고,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작동하여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한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을 가열해 에어러졸을 발생시킨다. 식별부재(120)를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에 고정해 설치하며,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이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서 열을 받아 무화하는 과정에서, 식별부재(120)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한다. 식별부재(120)가 극초단파 투과재료에 의해 제조되므로, 식별부재(120)를 구비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가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삽입되어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캐비티 내부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은 연초(煙草) 또는 본초(本草)를 원료로 사용해 입자성 물질, 박편, 분말 부스러기, 섬유 형상 물질, 페이스트 형상 물질, 팬케이크 형상 물질, 다공성 에어로겔, 캡슐 등과 같이 형태가 다른 기질로 제조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은 열을 받아 에어러졸을 발생시킨 후, 일부 폐기물을 발생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을 제1 패키지층(112)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이 무화한 후에 발생한 폐기물이 제1 패키지층(112) 내부의 원기둥 형상 캐비티의 내부에 잔류하게 되고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캐비티 내부에 떨어지지 않는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일괄적으로 수집 및 처리하는 데 편리하다.
무엇보다도,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에 식별부재(120)가 고정되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에어러졸 발생장치에 조립한 상황에서, 식별부재(120)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식별부재(120)를 설치할 경우, 무화 캐비티 내부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해 무화 캐비티 내부의 공진 주파수가 설정된 범위 내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극초단파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에 대해 극초단파 가열을 진행하기 전에, 극초단파 어셈블리는 주파수 스윕(frequency sweep)을 작동시켜 극초단파 어셈블리의 최적 작동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며, 최적 작동 주파수 포인트가 무화 캐비티 내부의 공진 주파수와 관련되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종류에 근거해 적절한 작동모드를 매칭시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 중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을 가열해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효율을 향상한다.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 중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종류가 다름에 따라 대응되는 가열모드를 설치해 종류가 다른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에 대한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효과를 향상한다.
상세하게,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 내부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종류가 다름에 따라,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다른 식별부재(120)를 설치함으로써, 다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가 다른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한다.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에 대해 극초단파 가열을 진행하기 전에, 주파수 스윕을 작동시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종류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프로세서 중에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 종류와 극초단파 어셈블리 작동모드의 대응관계를 저장하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종류를 식별해낸 후, 대응관계에 근거해 대응되는 작동모드를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어, 종류가 다른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에 대해 모드가 다른 가열을 진행하고, 에어러졸 발생장치에 종류가 다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적용해 매칭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에 대한 무화 효과를 향상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에 식별부재(120)를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식별하도록 하므로, 식별부재(120)를 통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설정된 공진 주파수 범위 내에 설치하는 기술방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설정된 공진 주파수 범위 내에 놓여 있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에 대해 극초단파 가열만 진행할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위조 방지 역할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는 여과구간(130)을 더 포함하고, 여과구간(130)은 제2 패키지층(132)과 여과물(134)을 포함하고, 제2 패키지층(132)은 중공의 제2 원기둥체를 형성하고, 여과물(134)은 제2 원기둥체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는 여과구간(130)을 더 포함하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가 에어러졸 발생장치의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삽입할 경우, 적어도 일부의 여과구간(130)이 무화 캐비티의 외부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여과구간(130)을 통해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이 열을 받아 발생시킨 에어러졸에 대한 흡입을 진행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이 에어러졸을 생성한 후, 여과구간(130)을 흘러지나 여과를 진행한다.
여과구간(130)은 제2 패키지층(132)과 여과물(134)을 포함하고, 제2 패키지층(132)의 내부에는 중공의 제2 원기둥체가 형성되며, 즉, 제2 패키지층(132) 중에 원기둥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고, 여과물(134)은 원기둥 형상의 캐비티에 수용되고, 여과물(134)은 흘러지나는 에어러졸에 대한 여과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 여과물(134)과 제2 패키지층(132)은 연질 재료로 제조되어 사용자의 흡입 맛을 향상한다.
여과물(134)의 통기 성능을 실제 수요에 근거해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과부에 통기 성능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흡입 저항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패키지층(132)과 제1 패키지층(112)은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이런 실시예에서, 일체형으로 성형된 제1 패키지층(112)과 제2 패키지층(132) 중에 여과물(134)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을 설치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제조를 완성하고, 제1 패키지층(112)과 제2 패키지층(132)을 일체형으로 성형된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제1 패키지층(112)을 제2 패키지층(132)과 연결시키는 단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설계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일체성이 더 우수해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과구간(130) 중의 여과물(134)은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 중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과 직접 접촉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여과물(134)이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과 직접 접촉해 제1 패키지층(112)과 제2 패키지층(132)이 캐비티 부분을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전체 부피를 줄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서, 여과구간(130)은 온도 강하부(136)를 더 포함하고, 온도 강하부(136)는 여과물(134)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온도 강하부(136)는 여과구간(130) 중에 설치하고, 온도 강하부(136)는 여과물(134)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 사이의 위치에 자리하고, 온도 강하부(136)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이 열을 받아 무화하여 발생된 에어러졸의 온도를 강하시켜 고온 에어러졸이 직접 흡입부를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데여 상처입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온도 강하부(136)는 캐비티구조이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이 열을 받아 무화하여 발생된 에어러졸이 캐비티구조의 온도 강하부(136)에 진입해 온도가 강하되고, 사용자가 흡입함에 따라, 온도 강하부(136) 내부의 에어러졸이 여과물(134)을 흘러지나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배출한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패키지층(112)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고, 식별부재(120)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과 제1 패키지층(112) 사이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식별부재(120)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내부에 설치할 경우, 바람직하게,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중부, 상부와 하부에 설치한다. 식별부재(120)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과 제1 패키지층(112) 사이에 설치할 경우, 바람직하게, 제1 패키지층(112)의 내측벽 상부, 중부 및 하부에 설치한다. 식별부재(120)의 설치 위치가 다를 경우,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가 무화 캐비티에 삽입된 후, 무화 캐비티의 공진 주파수도 다르다. 식별부재(120)의 설치 위치를 합리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가 삽입된 후의 무화 캐비티의 공진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동일한 식별부재(120)를 설치하고, 식별부재(120)를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다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가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생산할 때 다양하게 다른 식별부재(120)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다른 위치에 식별부재(120)를 설치함으로써, 다른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구분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 중의 부재 재활용율을 높여 생산원가를 낮춘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식별부재(120)는 제1 패키지층(112)의 내측 바닥벽에 설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를 제1 패키지층(112)의 내측벽 바닥벽 위치에 설치하고, 즉, 식별부재(120)가 제1 패키지층(112)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식별부재(120)와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접촉 면적을 줄여 식별부재(120)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무화에 영향주는 것을 피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는 제1 패키지층(112)의 외측 바닥벽에 설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를 제1 패키지층(112)의 외측 바닥벽에 설치함으로써, 식별부재(120)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과 직접 서로 접촉하는 것을 피해 식별부재(120)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무화에 영향주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식별부재(120)의 위치가 제1 패키지층(112)의 외측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위치는 제1 패키지층(112)의 외측 바닥벽과 외측 측벽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 도 7,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의 수량은 적어도 2개이고, 적어도 2개의 식별부재(120)는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를 포함하며;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는 모두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내부에 위치하며; 또는, 제1 식별부재(122)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식별부재(124)는 제1 패키지층(112)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 사이에 위치하며; 또는, 제1 식별부재(122)는 제1 패키지층(112)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식별부재(124)는 모두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식별부재(122)는 수용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식별부재(124)는 수용 캐비티의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의 수량은 다수 개이고, 다수 개의 식별부재(120) 중에는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를 포함한다.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의 설치 위치를 합리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에어러졸 무화장치의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주파수 스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식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식별부재(120)의 수량을 다수 개로 설치해 단일 식별부재가 효력을 잃어 에어러졸 발생장치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식별할 때 효력을 잃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는 모두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내부에 설치해 에어러졸 무화장치의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주파수 스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식별하는 효율을 향상한다.
여기에서,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분포된다.
이런 실시예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에어러졸 발생장치(210)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은 축방향의 방향을 따라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삽입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 내부 식별부재(120)의 수량을 다수 개로 설치하고, 다수 개의 식별부재(120) 중의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를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분포함으로써,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축방향 조립 오차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가 식별될 수 없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식별부재(120)를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 축방향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을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하지 않은 경우에도 무화 캐비티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부재(120)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므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가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삽입되는 축방향 깊이가 다를 경우, 식별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공진 주파수도 다른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프로세서 내에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삽입 깊이와 공진 주파수의 대응 관계를 저장함으로써,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위치 상태에 대한 검측을 진행하고, 검측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가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는 모두 제1 패키지층(112)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 사이에 설치한다.
여기에서, 제1 식별부재(122)는 제1 패키지층(112) 내부의 둘레측벽에 설치된다.
이런 실시예에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 내부의 식별부재(120)의 수량은 다수 개로 설치하고, 다수 개의 식별부재(120) 중의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는 제1 패키지층(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는 모두 제1 패키지층(112)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 사이에 위치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원주방향 조립 오차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가 식별될 수 없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식별부재(122)는 제1 패키지층(112)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식별부재(124)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의 위치를 엇갈리게 설치함으로써, 에어러졸 무화장치의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주파수 스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식별부재(120)를 구비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식별하는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다수 개의 식별부재(120)를 모두 제1 패키지층(112)의 내부에 설치해 식별부재(120)가 직접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식별부재(120)가 마손되는 문제를 피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식별부재(122)와 제2 식별부재(124)는 모두 제1 패키지층의 외측벽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의 형상은 각기둥체(prismoid), 각뿔체, 원뿔체, 구체의 하나 또는 다수 개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의 생산과정은 실제 수요에 근거해 식별부재(120)의 형상을 합리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식별부재(120)의 형상은 각기둥체(prismoid), 각뿔체, 원뿔체, 구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의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s) 범위는 10 내지 100이고; 및/또는, 식별부재(120)의 유전 손실(dielectric loss) 범위는 0 내지 0.1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식별부재(120)의 유전 손실 범위는 0 내지 0.01이고, 바람직하게, 식별부재(120)의 유전상수 범위는 50 내지 100이다. 식별부재(120)의 유전 손실과 유전상수 범위를 구체적으로 한정함으로써, 식별부재(120)가 극초단파를 지나치게 흡수하지 않을 수 있어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발생한 극초단파가 모두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에 작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 식별부재(120)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무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한다.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는 유전 세라믹(dielectric ceramic) 재료를 포함하고, 유전 세라믹 재료는 산화 알루미늄, 티탄산 바륨, 티탄산 마그네슘, 티탄산 칼슘, 티탄산 스트론튬, 산화 마그네슘, 산화 지르코늄, 질화 붕소, 질화 알루미늄, 희토 혼성 결정(mixed crystal)계열 세라믹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식별부재(120) 중에 유전 세라믹 재료를 포함하고, 유전 세라믹 재료는 비교적 높은 저항율, 비교적 높은 유전상수와 비교적 낮은 유전 손실을 갖는다. 식별부재(120)가 극초단파를 지나치게 흡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발생한 극초단파가 모두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에 작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 식별부재(120)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의 무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한다.
여기에서, 유전 세라믹 재료는 산화 알루미늄, 티탄산 바륨, 티탄산 마그네슘, 티탄산 칼슘, 티탄산 스트론튬, 산화 마그네슘, 산화 지르코늄, 질화 붕소, 질화 알루미늄, 희토 혼성 결정계열 세라믹 재료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산화 알루미늄, 티탄산 바륨, 티탄산 마그네슘, 티탄산 칼슘, 티탄산 스트론튬, 산화 마그네슘, 산화 지르코늄, 질화 붕소, 질화 알루미늄의 유전상수는 30 내지 40의 범위 내에 놓여지고, 희토 혼성 결정계열 세라믹 재료의 유전상수는 70 내지 90의 범위 내에 놓여진다.
식별부재(120)를 제조할 경우, 상기 재료 중의 하나 또는 다수 개를 선택해 식별부재(120)를 제조함으로써, 식별부재(120)의 유전상수를 조정해 식별부재(120)의 유전상수가 적절한 범위 내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두 번째 실시예가 제공한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200)은 에어러졸 발생장치(210)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에어러졸 발생장치(210)는 무화 캐비티와 극초단파 어셈블리(212)를 포함하고, 극초단파 어셈블리(212)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로 극초단파를 제공해주는 데 사용하며;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가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한다하고, 바람직하게,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는 상기 어느 한 실시예의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200)을 제공하며,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200)은 에어러졸 발생장치(210)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에어러졸 발생장치(210)는 개구, 무화 캐비티와 극초단파 어셈블리(212)를 포함하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는 개구를 통해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삽입하고, 에어러졸 발생장치(210)가 극초단파 어셈블리(212)를 제어하여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에 대해 극초단파 가열을 진행하기 전에, 극초단파 어셈블리(212)는 주파수 스윕을 작동시켜 극초단파 어셈블리(212)의 최적 작동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하며, 최적 작동 주파수 포인트가 무화 캐비티 내부의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공진 주파수와 관련되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고,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종류에 근거해 적절한 작동모드를 매칭시켜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 중의 에어러졸 발생-생성 기질을 가열해 에어러졸 발생장치(210)의 무화 효율을 향상한다. 에어러졸 발생장치(210)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 중의 에어러졸 생성-발생 기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종류가 다름에 따라 대응되는 가열모드를 설치해 종류가 다른 에어러졸 생성-발생 기질에 대한 에어러졸 발생장치(210)의 무화 효과를 향상한다.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서, 무화 캐비티는 강력 전자기장 구역을 포함한다.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 중의 식별부재(120)는 무화 캐비티의 강력 전자기장 구역에 위치하고, 강력 전자기장 구역은 극초단파 어셈블리(212)가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극초단파를 제공해주어 형성된 극초단파의 강력 전자기장 구역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극초단파 어셈블리(212)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극초단파를 제공해주고, 극초단파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로 전도하고, 극초단파 전송 특성의 영향을 받아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강력 전자기장 구역과 약력 전자기장 구역이 형성된다.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110) 중의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은 무화 캐비티의 강력 전자기장 구역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에 대한 극초단파 가열 및 무화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부재(120)를 강력 전자기장 구역에도 설치함으로써, 식별부재(120)가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의 공진 주파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서, 에어러졸 발생장치(210)는, 무화 캐비티가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214); 제1단이 무화 캐비티의 캐비티 바닥벽과 서로 연결되고, 제2단이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100)와 상대되도록 설치된 공진 컬럼(21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공진 컬럼(216)이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장착되고, 공진 컬럼(216)의 직경이 무화 캐비티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공진 컬럼(216)의 외측벽과 무화 캐비티의 내측벽 사이에 간극이 설치되어 극초단파가 이 부분의 간격 내에서 전도할 수 있다. 공진 컬럼(216)은 도체로 이용될 수 있고, 공진 컬럼(216)은 금속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설명할 경우, 공진 컬럼(216)은 구리, 알루미늄, 철 등 또는 그 합금으로 제조된다.
공진 컬럼(216)은 극초단파를 전송하고 극초단파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하며, 극초단파는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서 전도할 때 쉽게 감쇠가 나타나지 않아, 극초단파가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에 작용하는 효과를 향상시키고 극초단파가 고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에어러졸 생성 기질(114)에 작용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수요를 만족시키는 데 이롭다.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서, 극초단파 어셈블리(212)는 케이스(214)의 측벽에 설치된 극초단파 도입부(2122); 극초단파 도입부(2122)와 서로 연결되고, 출력한 극초단파가 극초단파 도입부(2122)를 경유해 무화 캐비티에 제공되고, 극초단파가 공진 컬럼(216) 제1단에서부터 공진 컬럼(216) 제2단까지의 방향을 따라 전도되도록 하는 극초단파 발사원(2124);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극초단파 발사원(2124)은 극초단파를 발생할 수 있고, 극초단파는 극초단파 도입부(2122)를 통해 무화 캐비티의 내부까지 도입하며, 극초단파 도입부(2122)를 설치해 무화 캐비티 내부에서의 극초단파 도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무화 캐비티 내부 부재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극초단파가 안정적으로 공진 컬럼(216)의 제1단에서부터 공진 컬럼(216)의 제2단을 향해 전도하도록 보장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명세서와 명세서 도면에서, 용어 “다수 개”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가리키고, 별도로 명료하게 한정하지 않은 한, 용어 “상”, “하” 등이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이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에 기반해 본 출원을 더 편리하게 기재하고 기재과정이 더 간단해지도록 하기 위해 이용할 뿐이고,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기재한 특정 방위를 갖고 특정 방위에 의해 구성 및 조작해야 한다는 것을 지시 또는 명시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런 기재는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할 수 없으며; 용어 “연결”, “장착”, “고정” 등은 모두 넓은 의미에서 이해하여야 할 것이고, 예를 들어, “연결”은 다수 개 대상 간의 고정 연결일 수 있고, 다수 개 대상 간의 분리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식 연결일 수도 있으며; 다수 개 디상 간의 직접 연결일 수 있고, 다수 개 대상 간이 중간 매개체를 통해 이룬 간접 연결일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상기 데이터의 구체적인 상황에 근거해 상기 용어가 본 출원에서 갖는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명세서와 명세서 도면에서, 용어 “하나의 실시예”, “일부 실시예”, “구체적인 실시예” 등 기재는 상기 실시예 또는 실례를 결합해 기재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실례에 포함된다는 것을 가리킨다.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명세서와 명세서 도면에서, 상기 용어의 예시성 기재는 같은 실시예 또는 실례를 가리키는 것만은 아니다. 또한, 기재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어떤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실시예 또는 실례에서도 적절한 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고, 본 출원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다양한 변경과 변화를 이룰 수 있다. 본 출원의 정신 및 원칙 내에서 진행한 모든 수정, 등가적 치환,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110: 에어러졸 기질 구간
112: 제1 패키지층
114: 에어러졸 생성 기질
120: 식별부재
122: 제1 식별부재
124: 제2 식별부재
130: 여과구간
132: 제2 패키지층
134: 여과물
136: 온도 강하부
200: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
210: 에어러졸 발생장치
212: 극초단파(microwave) 어셈블리
2122: 극초단파 도입부
2124: 극초단파 발사원
214: 케이스
216: 공진 컬럼

Claims (10)

  1.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키지층은 중공의 제1 원기둥체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러졸 생성 기질이 상기 제1 원기둥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
    상기 에어러졸 생성 기질 구간에 고정되고 극초단파(microwave) 투과재료에 의해 제조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여과구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구간은 제2 패키지층과 여과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키지층은 중공의 제2 원기둥체를 형성하고, 상기 여과물은 상기 제2 원기둥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패키지층과 상기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의 수량은 적어도 2개이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식별부재는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부재와 제2 식별부재는 모두 상기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위치하며; 또는,
    상기 제1 식별부재는 상기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식별부재는 상기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에 위치하며; 또는,
    상기 제1 식별부재는 상기 제1 패키지층과 에어러졸 생성 기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식별부재는 모두 상기 에어러졸 생성 기질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의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s) 범위는 10 내지 100이고; 및/또는,
    상기 식별부재의 유전 손실(dielectric loss) 범위는 0 내지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유전 세라믹(dielectric ceramic)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 세라믹 재료는 산화 알루미늄, 티탄산 바륨, 티탄산 마그네슘, 티탄산 칼슘, 티탄산 스트론튬, 산화 마그네슘, 산화 지르코늄, 질화 붕소, 질화 알루미늄, 희토 혼성 결정(mixed crystal)계열 세라믹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7.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러졸 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러졸 발생장치는 무화 캐비티와 극초단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극초단파 어셈블리는 상기 무화 캐비티의 내부로 극초단파를 제공해주는 데 사용하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는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 캐비티는 강력 전자기장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 중의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무화 캐비티의 상기 강력 전자기장 구역에 위치하고, 상기 강력 전자기장 구역은 상기 극초단파 어셈블리가 상기 무화 캐비티의 내부에 극초단파를 제공해주어 형성된 극초단파의 강력 전자기장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러졸 발생장치는,
    상기 무화 캐비티가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
    제1단이 상기 무화 캐비티의 캐비티 바닥벽과 서로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와 상대되도록 설치된 공진 컬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극초단파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설치된 극초단파 도입부;
    상기 극초단파 도입부와 서로 연결되고, 출력한 극초단파가 상기 극초단파 도입부를 경유해 상기 무화 캐비티에 제공되고, 극초단파가 상기 공진 컬럼 제1단에서부터 상기 공진 컬럼 제2단까지의 방향을 따라 전도되도록 하는 극초단파 발사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
KR1020237001005A 2021-08-25 2021-08-25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와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 KR202300312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14594 WO2023023987A1 (zh) 2021-08-25 2021-08-25 气溶胶产生组件和气溶胶产生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291A true KR20230031291A (ko) 2023-03-07

Family

ID=8532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005A KR20230031291A (ko) 2021-08-25 2021-08-25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와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193855A4 (ko)
JP (1) JP2023542771A (ko)
KR (1) KR20230031291A (ko)
WO (1) WO2023023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17597A (zh) * 2022-08-11 2024-03-01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气溶胶生成制品及其制备方法和电子雾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5405B (zh) * 2013-07-17 2015-08-19 中国烟草总公司郑州烟草研究院 一种基于微波加热的非燃烧型烟草抽吸装置
SI3076812T1 (en) * 2013-12-03 2018-06-29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producing element and an electrical system having an embedded marking element
CN103922739B (zh) * 2014-03-13 2015-09-09 电子科技大学 一种b位取代bnt微波介质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RU2703102C2 (ru) * 2015-06-12 2019-10-15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Измерение в образующих аэрозоль изделиях
CN108552612A (zh) * 2018-07-16 2018-09-21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电子烟的微波谐振腔
CN110859321A (zh) * 2018-08-08 2020-03-06 北京航天雷特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烟弹及电子烟
PL3747289T3 (pl) * 2019-06-06 2022-06-20 Nvx Labs Gmbh Jednostka do ogrzewania mikrofalami i sposób
CN110652038A (zh) * 2019-09-02 2020-01-07 成都亚彦科技有限公司 非燃烧烟具和烟品
GB201918808D0 (en) * 2019-12-19 2020-02-05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 system for generating aerosol, an article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prescence of an article
CN112931980A (zh) * 2021-01-27 2021-06-11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控制雾化器工作的装置以及雾化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3855A4 (en) 2023-10-18
EP4193855A1 (en) 2023-06-14
JP2023542771A (ja) 2023-10-12
WO2023023987A1 (zh)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76492B (zh) 电子雾化装置
CN110876493B (zh) 气溶胶生成制品、电子雾化装置及吸波相变体制备方法
CN108552613A (zh) 一种微波谐振致雾化的电子烟
EP3434120B1 (en) Cottonless ultrasonic atomizer and e-cigarette
CN108552612A (zh) 一种用于电子烟的微波谐振腔
KR20230031291A (ko) 에어러졸 발생 어셈블리와 에어러졸 발생 시스템
CN113729270B (zh) 气溶胶产生基质、气溶胶产生装置和系统
CN208798698U (zh) 一种微波谐振致雾化的电子烟
WO2023103656A1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CN112690507A (zh) 发热体及其制备方法、雾化器和电子装置
KR20190001807U (ko) 비연소 가열식 흡연 장치 및 이의 가열 조립체
CN113519906B (zh) 气溶胶产生组件和气溶胶产生系统
WO2023221653A1 (zh) 加热体及加热雾化装置
CN112369715A (zh) 一种用于发烟基质的加热组件
WO2023165209A1 (zh) 微波加热组件及气溶胶产生装置和气溶胶生成系统
CN217743173U (zh) 微波加热组件及气溶胶产生装置和气溶胶生成系统
CN113662263A (zh) 雾化组件和气溶胶生成装置
CN116076800A (zh) 发热结构及其制备方法和电子烟雾化器
KR20230051075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전자 무화기, 무화 시스템, 식별 방법 및 온도제어 방법
JP7481495B2 (ja) エアロゾル発生装置
CN207370095U (zh) 用于发生雾和/或烟的存储体及雾和/或烟生成系统
KR20230051074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전자 무화기 및 무화 시스템
CN114504121B (zh) 烟草制品及其制备方法
CN216363672U (zh) 气溶胶产生组件、气溶胶发生装置和气溶胶发生系统
WO2022099701A1 (zh) 烟草制品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