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880A -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880A
KR20230030880A KR1020210113073A KR20210113073A KR20230030880A KR 20230030880 A KR20230030880 A KR 20230030880A KR 1020210113073 A KR1020210113073 A KR 1020210113073A KR 20210113073 A KR20210113073 A KR 20210113073A KR 20230030880 A KR20230030880 A KR 2023003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distribution
shoe sole
groove
sol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034B1 (ko
Inventor
심영주
Original Assignee
심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영주 filed Critical 심영주
Priority to KR102021011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03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6Concave end portions, e.g. with a cavity or cut-ou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 시 압력작용점의 이동궤적이 되는 압력작용선을 따라 발뒤축바닥부와 대응되는 신발창의 저면에서부터 발볼바닥부와 대응되는 신발창의 저면에 수개의 하중분산홈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이들 하중분산홈의 형상을 접시나 사발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보행 중에 하중분산홈이 밟히는 과정에서 수직하중이 방사방향 하측으로 분산되어 편안한 착화감과 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방 저면에 논슬립부(1,2)를 구비한 신발창(10)의 상부에 갑피(3)가 설치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10)은 경도가 55도(degree)도이며 편차가 5도인 발포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신발창본체(11)의 저면에 수개의 하중분산홈(12)을 형성하되, 이들 하중분산홈(12)의 형상이 접시 또는 사발의 내부 오목한 홈 형태로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들 하중분산홈(12)은 보행 시 압력작용점의 이동궤적이 되는 압력작용선(4)을 따라 발뒤축바닥부(6)와 대응되는 신발창(10)의 저면에서부터 발가락 후방의 발볼바닥부(7)와 대응되는 신발창(10)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하중분산홈(12)을 포함한 신발창(10)의 저면 전체면에 단면형상이 사각돌기형으로 형성되는 다수 줄의 파형돌기띠(13)가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볼바닥부(7)와 대면하는 신발창(10)의 상면에 수개의 구부림선(14)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구부림선(14) 후방의 신발창(10) 상면에는 다수 개의 살빼기부(15)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The footwear equipped with the load dispersion function}
본 발명은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 시 압력작용점의 이동궤적이 되는 압력작용선을 따라 발뒤축바닥부와 대응되는 신발창의 저면에서부터 발볼바닥부와 대응되는 신발창의 저면에 수개의 하중분산홈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이들 하중분산홈의 형상을 접시나 사발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보행 중에 하중분산홈이 밟히는 과정에서 수직하중이 방사방향 하측으로 분산되어 편안한 착화감과 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발명은 특허등록 제10-0802066호(발명의 명칭 : 하중분산 및 공기 순환이 우수한 신발용 깔창)로 등록되어 특허공보에 의해 그 기술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깔창의 패드 상부면에 함몰된 뒤꿈치부와 융출된 아치부를 형성하여 사용자 체중이 깔창 전체면에 고르게 분산되게 하여 발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고자 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람이 보행을 할 때는 발뒤축부터 아치부, 발볼부가 지면을 디딜 때, 발뒤축부터 아치부, 발볼부에서 작용하는 수직하중이 각기 다른데, 종래발명은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발뒤꿈치에 대응되는 부분은 함몰되고 아치부에 대응되는 부분은 융출되게 형성한 형상만으로는 부위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모양이나 보행습관에 따라 각 부위마다 수직하중이 달리 작용하는데, 종래발명은 균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부위마다 달리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게 되고, 장시간 사용으로 패드가 눌려 탄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발바닥에 작용하는 하중과 충격을 제대로 감쇄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특허등록 제10-0802066호(발명의 명칭 : 하중분산 및 공기 순환이 우수한 신발용 깔창)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 시 압력작용점의 이동궤적이 되는 압력작용선을 따라 발뒤축바닥부와 대응되는 신발창의 저면에서부터 발가락 후방의 발볼바닥부와 대응되는 신발창의 저면에 수개의 하중분산홈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이들 하중분산홈의 형상을 접시나 사발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보행 중에 하중분산홈이 밟히는 과정에서 수직하중이 방사방향 하측으로 분산되어 편안한 착화감과 발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 하중분산홈에 대응되는 신발창의 상부에 하중분산홈를 집중적으로 눌러주는 누름구를 설치하고, 누름구 주변의 신발창 상면 경도가 약해지도록 다수개의 살빼기부를 조밀하게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하중분산홈에서 신속하게 하중이 분산되고 경도약화부에서는 부드러운 쿠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구를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서, 신발 착용자의 발모양이나 보행습관에 맞추어 누름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보다 더 편안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 저면에 논슬립부(1,2)를 구비한 신발창의 상부에 갑피가 설치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은 경도가 55도(degree)도이며 편차가 5도인 발포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신발창본체의 저면에 수개의 하중분산홈을 형성하되, 이들 하중분산홈의 형상이 접시 또는 사발의 내부 오목한 홈 형태로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들 하중분산홈은 보행 시 압력작용점의 이동궤적이 되는 압력작용선을 따라 발뒤축바닥부와 대응되는 신발창의 저면에서부터 발가락 후방의 발볼바닥부와 대응되는 신발창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하중분산홈을 포함한 신발창의 저면 전체면에 단면형상이 사각돌기형으로 형성되는 다수 줄의 파형돌기띠가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볼바닥부와 대면하는 신발창의 상면에 수개의 구부림선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구부림선 후방의 신발창 상면에는 다수 개의 살빼기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은, 보행할 때 하중이 작용하는 압력작용선을 따라 수개의 하중분산홈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이들 하중분산홈의 형상을 접시나 사발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보행 중에 하중분산홈이 밟히는 과정에서 수직하중이 방사방향 하측으로 분산되어 편안한 착화감과 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중분산홈에 대응되는 신발창의 상부에 하중분산홈를 집중적으로 눌러주는 누름구를 설치하여 하중분산홈에 작용하는 하중이 신속하게 분산되고, 누름구 주변의 신발창 상면의 경도가 약해지도록 하는 다수개의 살빼기부를 조밀하게 형성에 따라 하중분산효과가 배가되고 부드러운 쿠션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누름구를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서, 신발 착용자의 발모양이나 보행습관에 맞추어 높낮이를 조절하여 보다 더 편안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신발창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의 (가)(나)(다)는 도 1의 B-B선, C-C선, D-D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발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형성되는 하중분산홈의 형성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신발창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발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6의 E-E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누름구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은, 전후방 저면에 논슬립부(1,2)를 구비한 신발창(10)의 상부에 갑피(3)가 설치되고, 갑피(3) 안쪽의 신발창(10) 상면에 안창(5)을 삽탈 자유롭게 설치하는 공지된 신발의 신발창(10)에 보행과정에서 지면을 딛을 때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상기 신발창(10)은 경도가 55도(degree)도이며 편차가 5도인 발포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신발창본체(11)의 저면에 수개의 하중분산홈(12)을 형성하되, 이들 하중분산홈(12)의 형상이 접시 또는 사발의 내부 오목한 홈 형태로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들 하중분산홈(12)은 보행 시 압력작용점의 이동궤적이 되는 압력작용선(4)을 따라 발뒤축바닥부(6)와 대응되는 신발창(10)의 저면에서부터 발가락 후방의 발볼바닥부(7)와 대응되는 신발창(10)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하중분산홈(12)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할 때, 발뒤축바닥부(6)가 딛는 지점의 신발창(10) 저면과, 발바닥 아치부 중앙부와, 아치부 외측방의 압력작용선(4) 외측방에 대응되는 지점, 안쪽 발볼바닥부(7)와 대응하는 지점의 신발창(10) 저면에 제 1 ~ 제 5하중분산홈(12a~12e)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중분산홈(12a)의 크기가 제2 ~ 제5 하중분산홈(12b~12e) 보다 크고, 제5 하중분산홈(12e)의 크기가 제2 ~ 제4 하중분산홈(12b~12d)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발뒤축부분에서 지면을 디딜 때 가장 큰 하중이 작용하고, 발가락 후방의 발볼부가 지면을 디딜 때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가 두 번째로 크며, 아치부에서는 위 2곳에서 발생하는 하중보다는 작은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상기 신발창(10)의 경도가 55도(degree)도인 경우는 일반적인 운동화와 같이 운동화를 손으로 구부릴 때 쉽게 구부려질 정도로 단단하지 않고 적당히 부드러운 상태이라서 상기 하중분산홈(12)이 수직하중이 작용하는 것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대응하면서 하중을 분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중분산홈(12)을 포함한 신발창(10)의 저면 전체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단면형상이 사각돌기형으로 형성되는 다수 줄의 파형돌기띠(13)가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볼바닥부(7)와 대면하는 신발창(10)의 상면에 수개의 구부림홈(14)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구부림홈(14) 후방의 신발창(10) 상면에는 다수 개의 살빼기부(15)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각각의 하중분산홈(12)에 보행 중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하중 분산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이다.
즉, 이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후방 저면에 논슬립부(1,2)를 구비한 신발창(10)의 상부에 갑피(3)가 설치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10)은 경도가 55도(degree)도이며 편차가 5도인 발포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신발창본체(11)의 저면에 수개의 하중분산홈(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중분산홈(12)의 형상이 접시 또는 사발을 엎어 놓은 형상으로 내부 가 오목한 홈 형태로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들 하중분산홈(12)은 보행 시 압력작용점의 이동궤적이 되는 압력작용선(4)을 따라 발뒤축바닥부(6)와 대응되는 신발창(10)의 저면에서부터 발가락 후방의 발볼바닥부(7)와 대응되는 신발창(10)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중분산홈(12)을 포함한 신발창(10)의 저면 전체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단면형상이 사각돌기형으로 형성되는 다수 줄의 파형돌기띠(13)가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하중분산홈(12) 상측의 신발창(10)에는 상측이 크고 하측이 작은 이단홈(16)이 상부가 개방되게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이단홈(16)을 제외한 신발창(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살빼기부(15)가 조밀하게 형성되어 이단홈(16) 주변의 신발창본체(11)의 경도를 부분적으로 약화되게 하는 경도약화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이단홈(16)에는 발바닥에 밟히는 하중이 하중분산홈(12)에 집중되게 하는 누름구(20)를 삽입 설치하되, 이 누름구(20)는 상측의 넓은 헤드부(21)의 하부에 헤드부(21) 보다 외경이 감축된 누름기둥부(22)가 하향 형성되고, 누름기둥부(22)에 스폰지와셔(23)를 끼운 상태에서 스폰지와셔(23)가 이단홈(16)의 상부걸림홈(16a)에 안착되어 걸리고 누름기둥부(22)가 이단홈(16)의 하부홈(16b)에 끼워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누름구(20)는 신발창본체(11) 보다 단단한 연질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하 높이가 이단홈(16)의 깊이보다 소정의 높이(2~5mm)만큼 길게 형성되어 지면을 딛을 때, 하부홈(16b) 하측의 신발창본체(11)를 누름구(20)가 눌러 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누름구(20)는 누름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이 경우는 누름구(20)의 높이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보행 습관이나, 발의 모양에 따라 누름구(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누름구(20)는 신발창본체(11) 보다 단단한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헤드부(21)의 하부에 볼트부재(24)의 상단부가 인서트사출에 의해 형성되고, 이단홈(16)의 하부홈(16b)으로 삽입되는 누름기둥부(22)는 내부에 볼트부재(24)의 나사부가 체결되는 암나사관(25)이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누름구(20)의 높이를 승하강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하게 되면, 신발창(10)의 후방측 저면에 부착 설치된 후방논슬립부(2)가 지면과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데, 이 후방논슬립부(2)는 내마모성이 양호하고 미끄럼을 최소화하도록 고무재로써 파형 돌기띠 형태로 형성되어서 지면을 최초로 딛을 때 미끄럼 없이 지면을 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방논슬립부(2)의 형상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형으로 형성되되, 파형돌기의 단면형상이 사각이면서 폭이 일측은 좁고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다가 다시 좁아지는 곡선형상의 띠형태로 형성되며, 이렇게 파형돌기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 줄의 후방논슬립부(2)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서 360도 어느 방향으로나 미끄럼을 예방할 수 있으며, 지면과 접촉 시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위치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무재로 형성되어 신발창(10)의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신발창(10)의 후방측 저면에 설치된 후방논슬립부(2)가 지면을 딛는 순간에 보행시 지면을 딛는 수직하중이 발뒤축바닥부(6)와 대응되는 신발창(10)의 후방측에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수직하중이 작용하는 신발창(10)의 후방측 저면에는 도 1, 2,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하중분산홈(12a)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 제1 하중분산홈(12a)은 접시나 사발처럼 내측 부분이 우묵하게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신발창(10)을 형성하는 신발창본체(11)가 소정의 쿠션을 지닌 발포합성수지로 형성되어서 발뒤축바닥부(6)가 딛게 되는 제1 하중분산홈(12a) 상측의 신발창본체(11) 상면과 제1 하중분산홈(12a) 사이의 살 두께 부분에서 1차적으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계속하여 제1 하중분산홈(12a)의 중앙상부에서 하측으로 수직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제1 하중분산홈(12a)은 접시나 사발형태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공간부는 지면과 접촉하지 않고 제1 하중분산홈(12a)의 하단부 외곽둘레부분이 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수직하중에 의해 제1 하중분산홈(12a)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그 하중이 중앙상부에서 방사상하측으로 분산 감쇄되게 된다.
이렇게 제1 하중분산홈(12a)의 중앙상부에서 접시나 사발을 엎어놓은 형태로 분산 감쇄됨에 따라 그 수직하중이 감쇄되어 부드러운 쿠션력으로 발뒤축바닥부(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보행이 이루어질 때,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은 신발창(10)을 사이에 두고 지면을 발뒤축에서부터 발끝까지 차례로 지면을 디디며 구름 보행을 하게 되는데, 지면을 딛는 지점마다 수직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이렇게 수직하중이 작용하는 압력작용점이 발뒤축에서 발끝까지 이동하는데 이 궤적을 압력작용선(COP:center of pressure:4)이라 칭하고 있다.
위와 같이 보행할 때 압력작용선(4)을 따라 지면을 접하게 되는데, 보행 초기에 제1 하중분산홈(12a)에서 가장 강한 수직하중을 분산한 뒤에 뒤이어 압력작용선(4)의 아치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제4 하중분산홈(12b~12d)과, 안쪽 발볼바닥부(7)에 형성된 제5 하중분산홈(12e)에서 차례로 수직하중을 분산하는데, 제2~제5 하중분산홈(12b~12e)에서 수직하중을 분산하는 것은 제1 하중분산홈(12a)에서 수직하중을 방사상하측으로 분산하는 것과 동일하다.
위와 같이 제1 하중분산홈(12a)에서부터 제5 하중분산홈(12e)까지 차례로 수직하중을 분산함에 따라 발바닥 전체에 부드러운 쿠션감과, 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하중분산홈(12) 중에서 제1 하중분산홈(12a)의 크기가 가장 크고, 제5 하중분산홈(12e)의 크기가 두 번째로 크며, 아치부에 형성하는 제2 ~ 제4 하중분산홈(12b~12d)은 위 2곳에서 발생하는 하중보다는 작은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1, 제5 하중분산홈(12a, 12e)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각각의 하중분산홈(12)의 크기를 달리 형성하는 것은 발뒤축부분에서 지면을 디딜 때 가장 큰 하중이 작용하고, 발가락 후방의 발볼부가 지면을 디딜 때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가 두 번째로 크며, 아치부에서는 위 2곳에서 발생하는 하중보다는 작은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하중분산홈(12)의 크기란 하중분산홈(12)의 내경과 높이를 칭하는 것이며, 큰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아치부에 형성되는 제2 ~ 제4 하중분산홈(12b~12d)은 접시를 엎어놓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3개의 하중분산홈(12)이 삼각으로 배치되어 지면은 딛을 때 안정적으로 지면을 지지하여 보행중의 안정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신발창(10)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수 줄의 파형돌기띠(13)가 횡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위에서 후방논슬립부(2)에 형성된 파형돌기띠에 의한 미끄럼방지효과가 발생하는 것과 동일한 미끄럼방지효과를 신발창(10) 저면에서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신발창(10)은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볼부 바닥부와 대면하는 신발창(10)의 상면에 수개의 구부림선(14)이 형성되어 발볼부와 발가락 사이의 관절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신발창(10)이 잘 구부려짐에 따라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부림선(14) 후방의 신발창본체(11)에 다수개의 살빼기부(15)를 형성하여 신발창(10)의 기포발생을 억제하고 신발창(10)의 전체무게를 감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는 수개의 하중분산홈(12a~12e)에 수직하중을 집중적을 작용하게 하며, 하중분산홈(12)을 제외한 신발창(10)이 더욱더 부드럽게 하는 경도약화부(17)를 추가한 것이다.
이실시예에 의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시작하면, 위의 일실시예를 설명할 때와 마찬가지로 발뒤축부터 압력작용선(4)을 따라 지면을 디디며 그렇게 디뎌지는 각각의 하중분산홈(12)에서 수직하중이 분산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하중분산홈(12)과 대응하는 신발창본체(11)의 상부에 발바닥에 밟혀서 눌리는 누름구(20)가 각각 설치되어서 각각의 누름구(20)가 하중분산홈(12) 상측의 신발창본체(11) 살부분을 눌어주고, 그렇게 눌리는 하중분산홈(12)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즉각적으로 수직하중을 방사방향 하측으로 빠르게 분산 감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구(20)는 신발창본체(11) 보다 단단한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면서 누름구(20)의 상하 높이가 누름구(20)가 삽입되는 이단홈(16)의 깊이보다 소정의 높이(2~5mm)만큼 길게 형성하여 발바닥에 누름구(20)가 밟힐 때 하중분산홈(12) 상측의 살두께 부분을 아래로 누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누름구(20)는 상측의 넓은 헤드부(21)와 그 하측에 헤드부(21) 보다 외경이 작은 누름기둥부(22)로 형성되며, 누름기둥부(22)에는 스폰지와셔(23)가 끼워진 상태로 누름구(20)가 이단홈(16)에 삽입되어서 누름구(20)가 밟히기 전에는 스폰지와셔(23)의 탄력으로 헤드부(21)가 신발창(10)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나, 이렇게 돌출된 헤드부(21)가 발바닥에 밟히면 스폰지와셔(23)가 압축되면서 누름기둥부(22)가 하중분산홈(12) 상측의 신발창본체(11) 살두께 부분을 하측으로 눌러주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보행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누름구(20)가 밟히면서 헤드부(21)의 상면이 신발창(10)의 상면높이와 동일한 높이가 될 때, 발바닥의 다른 부분(누름구를 누르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경도약화부(17)를 밟게 되는데, 이 경도약화부(17)는 누름구(20)가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신발창(10)의 상면에 다수개의 살빼기부(15)를 조밀하게 형성하여 그 부분의 경도가 약화되어 부드러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경도약화부(17)가 발바닥에 밟힘에 따라 경도약화부(17)가 부드럽게 밟히면서 부드러운 쿠션감을 제공하며 각각의 하중분산홈(12)이 더욱더 신속하게 수직하중을 분산하여 편안한 착화감을 주며, 보행하는 동작이 발바닥을 마사지하는 상태가 되어 발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누름구(20)의 다른 실시예는 누름기둥부(22)의 상측에 헤드부(21)를 높이조절하도록 설치하여서 신발착용자의 발모양이나 보행습관에 맞추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헤드부(21)와 누름기둥부(22)를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함에 따라 헤드부(21)이 밟힐 때 배김을 최소화하고, 누름기둥부(22)가 부드러운 신발창본체(11)를 눌어주어 신발창본체(11)가 손상되지 않게 하며, 헤드부(21)와 누름기둥부(22)에 각각 인서트 사출에 의해 설치되는 볼트부재(24)와 암나사관(25)은 금속재나 또는 경질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착용자의 보행에 다른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누름구(2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누름구(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각각의 누름구(20)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작용선(4)의 내외측에 형성된 이단홈(16)에 삽입 설치됨에 따라 착용자의 발모양이나 보행습관을 감안하여 높낮이를 조절하여 편안한 착용감과 건강한 발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1 : 전방논슬립부 2 : 후방논슬립부 3 : 갑피
4 : 압력작용선 5 : 안창 6 : 발뒤축바닥부
7 : 발볼바닥부 10 : 신발창 11 : 신발창본체
12 : 하중분산홈 13 : 파형돌기띠 14 : 구부림선
15 : 살빼기부 16 : 이단홈 17 : 경도약화부
20 : 누름구 21 : 헤드부 22 : 누름기둥부
23 : 스폰지와셔 24 : 볼트부재 25 : 암나사관

Claims (5)

  1. 전후방 저면에 논슬립부(1,2)를 구비한 신발창(10)의 상부에 갑피(3)가 설치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10)은 경도가 55도(degree)도이며 편차가 5도인 발포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신발창본체(11)의 저면에 수개의 하중분산홈(12)을 형성하되, 이들 하중분산홈(12)의 형상이 접시 또는 사발의 내부 오목한 홈 형태로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들 하중분산홈(12)은 보행 시 압력작용점의 이동궤적이 되는 압력작용선(4)을 따라 발뒤축바닥부(6)와 대응되는 신발창(10)의 저면에서부터 발가락 후방의 발볼바닥부(7)와 대응되는 신발창(10)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하중분산홈(12)을 포함한 신발창(10)의 저면 전체면에 단면형상이 사각돌기형으로 형성되는 다수 줄의 파형돌기띠(13)가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볼바닥부(7)와 대면하는 신발창(10)의 상면에 수개의 구부림선(14)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구부림선(14) 후방의 신발창(10) 상면에는 다수 개의 살빼기부(15)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2. 전후방 저면에 논슬립부(1,2)를 구비한 신발창(10)의 상부에 갑피(3)가 설치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10)은 경도가 55도(degree)도이며 편차가 5도인 발포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신발창본체(11)의 저면에 수개의 하중분산홈(12)을 형성하되, 이들 하중분산홈(12)의 형상이 접시 또는 사발의 내부 오목한 홈 형태로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들 하중분산홈(12)은 보행 시 압력작용점의 이동궤적이 되는 압력작용선(4)을 따라 발뒤축바닥부(6)와 대응되는 신발창(10)의 저면에서부터 발가락 후방의 발볼바닥부(7)와 대응되는 신발창(10)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하중분산홈(12)을 포함한 신발창(10)의 저면 전체면에 단면형상이 사각돌기형으로 형성되는 다수 줄의 파형돌기띠(13)가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하중분산홈(12) 상측의 신발창(10)에는 상측이 크고 하측이 작은 이단홈(16)이 상부가 개방되게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이단홈(16)을 제외한 신발창(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살빼기부(15)가 조밀하게 형성되어 이단홈(16) 주변 신발창본체(11)의 경도를 부분적으로 약화되게 하는 경도약화부(17)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이단홈(16)에는 발바닥에 밟히는 하중이 하중분산홈(12)에 집중되게 하는 누름구(20)를 삽입 설치하되, 이 누름구(20)는 상측의 넓은 헤드부(21)의 하부에 헤드부(21) 보다 외경이 감축된 누름기둥부(22)가 하향 형성되고, 누름기둥부(22)에 스폰지와셔(23)를 끼운 상태에서 스폰지와셔(23)가 이단홈(16)의 상부걸림홈(16a)에 안착되어 걸리고 누름기둥부(22)가 이단홈(16)의 하부홈(16b)에 끼워지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하중분산홈(12)은 발뒤축바닥부(6)에 대응하는 지점의 신발창(10) 저면과, 발바닥 아치부 중앙부와, 아치부 외측방의 압력작용선(4) 외측방에 대응되는 지점의 신발창(10) 저면과, 안쪽 발볼바닥부(7)와 대응하는 지점의 신발창(10) 저면에 제1 ~ 제5 하중분산홈(12a~12e)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중분산홈(12a)의 크기가 제2 ~ 제5 하중분산홈(12b~12e) 보다 크고, 제5 하중분산홈(12e)의 크기가 제2 ~ 제4 하중분산홈(12b~12d) 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구(20)는 신발창본체(11) 보다 단단한 연질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하 높이가 이단홈(16)의 깊이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길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구(20)는 신발창본체(11) 보다 단단한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헤드부(21)의 하부에 볼트부재(24)의 상단부가 인서트사출에 의해 형성되고, 이단홈(16)의 하부홈(16b)으로 삽입되는 누름기둥부(22)는 내부에 볼트부재(24)의 나사부가 체결되는 암나사관(25)이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누름구(20)의 높이를 승하강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KR1020210113073A 2021-08-26 2021-08-26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KR102557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73A KR102557034B1 (ko) 2021-08-26 2021-08-26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73A KR102557034B1 (ko) 2021-08-26 2021-08-26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880A true KR20230030880A (ko) 2023-03-07
KR102557034B1 KR102557034B1 (ko) 2023-07-17

Family

ID=8551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073A KR102557034B1 (ko) 2021-08-26 2021-08-26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0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66B1 (ko) 2007-05-18 2008-02-20 (주)조은제화 하중 분산 및 공기 순환이 우수한 신발용 깔창
KR200441327Y1 (ko) * 2008-02-28 2008-08-07 하종구 신발밑창에 횡단홈이 있는 마사이신발
KR101165793B1 (ko) * 2011-08-26 2012-07-16 (주)지원에프알에스 충격 흡수성과 분산성 및 유연성이 강화된 신발창
KR101250517B1 (ko) * 2010-03-12 2013-04-03 신광준 신발 깔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66B1 (ko) 2007-05-18 2008-02-20 (주)조은제화 하중 분산 및 공기 순환이 우수한 신발용 깔창
KR200441327Y1 (ko) * 2008-02-28 2008-08-07 하종구 신발밑창에 횡단홈이 있는 마사이신발
KR101250517B1 (ko) * 2010-03-12 2013-04-03 신광준 신발 깔창
KR101165793B1 (ko) * 2011-08-26 2012-07-16 (주)지원에프알에스 충격 흡수성과 분산성 및 유연성이 강화된 신발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034B1 (ko) 202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825B2 (en) Shoe sole element
US8959798B2 (en) Shoe sole element
US9681701B2 (en) Outsoles having grooves forming discrete lugs
EP3262963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spended stud assembly
US4879821A (en) Insole construction
US4785557A (en) Shoe sole construction
US7694437B2 (en) Suspended orthotic shoe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0884659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CN201278864Y (zh) 一种带减震鞋垫的鞋底
CA2575245A1 (en) Insole, and footwear system incorporating same
EP2269478B1 (en) Sole assembly for a shoe
CN102415643A (zh) 带有突起的鞋底和鞋类物品
US20180008002A1 (en) Insole assembly
US20130318828A1 (en) Two-part sole for footwear
US20200008517A1 (en) Midsole with incorporated orthotic support
AU2016314145A1 (en) Shoe sole
KR102557034B1 (ko)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US20030029060A1 (en) Cleat
KR20100029389A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KR101263614B1 (ko) 신발
KR200412048Y1 (ko)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KR20110062034A (ko) 구형의 탄성체를 겸비한 충격 흡수용 중창의 신발
KR100731511B1 (ko) 전후방이 상향 경사진 구두밑창
KR100373603B1 (ko) 신발 뒷굽의 높이조절 충격흡수 장치
JP3049755U (ja) 靴用クッション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