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356A - 치과 시술용 아암 구조 - Google Patents

치과 시술용 아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356A
KR20230030356A KR1020210112484A KR20210112484A KR20230030356A KR 20230030356 A KR20230030356 A KR 20230030356A KR 1020210112484 A KR1020210112484 A KR 1020210112484A KR 20210112484 A KR20210112484 A KR 20210112484A KR 20230030356 A KR20230030356 A KR 20230030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andrel
bolt
sliding block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술
김종훈
엄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대
Priority to KR102021011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0356A/ko
Publication of KR2023003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아암의 일단부와 제2 아암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관절부를 구비한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로서, 상기 관절부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상기 볼트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도록 체결된 기어; 상기 볼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슬라이딩 블록; 및 상기 볼트의 제2 단부에 체결된 제2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아암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 슬라이딩 블록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움직임으로써 상기 제1 심축과 제2 심축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된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치과 시술용 아암 구조 {Arm structure for dental procedure}
본 발명은 아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시술을 위한 의료용 작업 테이블에 설치되는 아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 및 치료에서 환자가 유니트 체어(unit chair)에 누운 상태로 의사가 환자의 구강 내 치아를 치료하게 된다. 또한 환자가 앉는 유니트 체어에 인접하여 의료용 작업 테이블이 위치한다. 의룔 작업 테이블은 유니트 체어와 일체일 수도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의료용 작업 테이블의 상부에는 관절운동이 가능한 다관절의 아암 기구가 설치되고 아암 기구의 선단부에는 구강 내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 구강 내를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한 현미경 카메라 및/또는 내시경 등을 구비한 툴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의사는 툴 어셈블리를 환자의 구강 위치에 맞추기 위해 툴 어셈블리를 자유롭게 움직여야 하고 일단 위치를 맞춘 후에는 툴 어셈블리를 고정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의사가 환자의 진료와 치료에 집중하기 위해서는 툴 어셈블리의 움직임과 고정을 위한 동작이 번거롭지 않아야 하고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툴 어셈블리의 움직임과 고정을 전환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2015-0086133호 (2015년 07월 27일 공개) 특허문헌2: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49780호 (2011년 05월 12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아암 기구의 선단에 설치된 툴 어셈블리를 자유롭게 움직이다가 필요시 툴 어셈블리의 움직임을 멈추고 고정시키는 동작을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아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아암의 일단부와 제2 아암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관절부를 구비한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로서, 상기 관절부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상기 볼트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도록 체결된 기어; 상기 볼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슬라이딩 블록; 및 상기 볼트의 제2 단부에 체결된 제2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아암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 슬라이딩 블록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움직임으로써 상기 제1 심축과 제2 심축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된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제어모터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치과용 작업 테이블 장치의 본체부에 대해 아암 기구(제1 아암 및 제2 아암)와 툴 어셈블리의 동작을 한번에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터를 구동하는 스위치를 발판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작업자가 발을 이용하여 아암 기구와 툴 어셈블리의 움직임과 정지 사이의 전환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양손으로 툴 어셈블리를 이용한 조작이나 진료나 치료 행위에 집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를 구비한 작업 테이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의 분해사시도,
도3은 하우징을 제거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부 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폭, 두께 등의 수치는 기술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 '아래',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을 포함한다', '~으로 구성된다' 및 '~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에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를 구비한 작업 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작업 테이블 장치는 본체부(110) 및 본체부(110) 위에 설치된 아암 기구(100) 및 터치 스크린(130)을 포함한다. 아암 기구(100)는 본체부(110)에 직접적으로 또는 지지대(115)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암 기구(100)는 제1 아암(40)과 제2 아암(50) 및 두 아암(40,50) 사이를 연결하는 관절부(1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아암(40)의 일단이 관절부(1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예컨대 무게추(140)가 부착되며 제2 아암(50)의 일단은 관절부(1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툴 어셈블리(120)가 부착될 수 있다.
툴 어셈블리(120)는 예컨대 현미경 카메라, 내시경 등 치과 시술에 사용되는 임의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현미경 카메라나 내시경 등으로 구강 내부를 확대 촬영할 경우 촬영되는 영상이 별도의 모니터(도시 생략)에 출력될 수 있다.
본체부(110)에 지지대(115)가 설치된 경우 지지대(115)의 상단에 관절구조(117)에 의해 아암 기구(100)가 부착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아암 기구(100)는 제어모터(13)의 동작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사나 시술자 등)가 터치 스크린(130)을 이용하여 제어모터(13)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아암(40,50)의 움직임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그 외에 터치 스크린(130)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작업 테이블의 전체적인 제어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관절부(10)와 관절구조(117) 사이에 배치된 제1 아암(40)은 하우징(41,42) 및 그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심축(20)을 포함한다. 제1 심축(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왕복 할 수 있다. 관절부(10)와 툴 어셈블리(120) 사이에 배치된 제2 아암(50)은 하우징(51,52) 및 그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심축(30)을 포함한다. 제2 심축(30)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왕복 할 수 있다.
도3은 하우징을 제거한 아암 기구(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4는 관절부(10)의 일부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5는 제1 및 제2 커버(11,12)와 제어모터(13) 및 구동기어(14)를 제거한 상태에서 관절부(10)의 일부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관절부(10)는 제1 커버(11), 제2 커버(12), 아암 제어모터(13), 제1 및 제2 커버(11,12) 내부에 배치된 볼트(16), 그리고 볼트(16)에 결합된 제1 및 제2 너트블록(17,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1)는 제1 아암(40)의 하우징(41,42)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커버(12)는 제2 아암(50)의 하우징(51,52)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커버(11)와 제2 커버(12)는 회전축(예컨대 도5의 볼트(16)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간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버(11)와 제2 커버(12)의 서로 밀착하는 면에 예컨대 고무나 와셔 등과 같이 마찰력이 큰 재질이 각각 코팅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의사가 제1 아암(40)에 대해 제2 아암(5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제2 아암(50)이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5와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아암 제어모터(13)(이하 간단히 "모터"라고도 함)가 제1 커버(11) 또는 제1 아암(40)에 부착되어 있다. 모터(13)의 구동축에 구동기어(14)가 체결되어 있고, 피동기어(15)가 구동기어(14)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것처럼, 피동기어(15)가 볼트(16)의 제1 단부(도5에서 오른쪽 단부)에 체결되어 있다. 볼트(16)의 표면에 나사산(16a)이 형성되어 있고, 피동기어(15)가 나사산(16a)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볼트(16)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13)가 작동하면 모터의 회전력이 구동기어(14)를 통해 피동기어(15)를 회전시킬 수 있고, 피동기어(15)가 회전하면서 볼트(16)의 표면을 따라 볼트(16)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볼트(16)에는 제1 슬라이딩 블록(17) 및 제2 슬라이딩 블록(18)이 체결되어 있다. 제1 슬라이딩 블록(17)은 볼트(16)가 관통하는 관통구를 가지며, 피동기어(15)에 볼트(16)에 끼워져서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슬라이딩 블록(17)은 볼트(16)에 대해 상대적으로 볼트의 길이방향(즉,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블록(18)은 볼트(16)의 제2 단부(도5에서 왼쪽 단부)에 끼워져서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슬라이딩 블록(18)은 볼트(16)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 슬라이딩 블록(17)의 측면의 일부 표면(도6의 17a)(도5에서는 제1 슬라이딩 블록(17)의 하부 표면)과 제1 심축(20)의 일단부(20a)(도5에는 제1 심축(20)의 상단부)가 서로 접하여 밀착할 수 있다. 도5의 실시예에서 제1 심축(20)의 일단부(20a)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접하는 제1 슬라이딩 블록(17)의 경사진 표면(17a)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슬라이딩 블록(17)이 볼트(16)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움직일 때 이와 접하고 있는 제1 심축(20)이 제1 슬라이딩 블록(17)의 경사진 표면(17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피동기어(15)와 제1 슬라이딩 블록(17)의 사이에 볼 베어링(19)이 개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슬라이딩 블록(18)의 측면의 일부 표면(18a)(도5에서는 제2 슬라이딩 블록(18)의 상부 표면)과 제2 심축(30)의 일단부(30a)(도5에는 제2 심축(30)의 하단부)가 서로 접하여 밀착할 수 있다. 도5의 실시예에서 제2 심축(30)의 일단부(30a)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와 접하는 제2 슬라이딩 블록(18)의 표면(18a)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슬라이딩 블록(18)이 볼트(16)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움직일 때 이와 접하고 있는 제2 심축(30)이 제2 슬라이딩 블록(18)의 경사진 표면(18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슬라이딩 블록(17)의 표면에는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볼트(16)을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버(11)의 내측에 돌기부(17b)에 대응하는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1 슬라이딩 블록(17)이 자체로 회전하지 않으면서 제1 커버(11) 내에서 볼트(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블록(18)의 표면에도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볼트(16)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부(18b)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커버(12)의 내측에 돌기부(18b)에 대응하는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16)와 제2 슬라이딩 블록(18)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볼트(16)와 제2 슬라이딩 블록(18)이 자체로 회전하지 않으면서 제2 커버(12) 내에서 볼트(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버(11)와 제2 커버(12)가 서로 밀착하는 부위에 하나 이상의 와셔가 배치될 수 있다. 도4와 도5를 참조할 때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버(11)는 제2 커버(12)측에 인접하여 제1 와셔(61)를 포함하고 제2 커버(12)는 제1 커버(11)측에 인접하여 제2 와셔(62)를 포함한다. 제1 와셔(61)는 제1 커버(11)에 고정될 수도 있고 길이방향으로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유격을 가지며 제1 커버(11)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2 와셔(62)는 제2 커버(12)에 고정될 수도 있고 길이방향으로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유격을 가지며 제2 커버(12)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와셔(61)와 제2 와셔(62) 사이에 제3 와셔(6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와셔(63)는 제1 커버(11)나 제2 커버(12)에 부착되지 않고 제1 와셔(61)와 제2 와셔(62)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제3 와셔(60)는 양쪽 표면에 요철 형상(60a,60b)을 가진다. 제3 와셔(60)의 일 측면에 제1 요철(60a)이 형성된 경우, 이와 마주보는 제1 와셔(61)의 표면에도 대응하는 요철(6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와셔(60)의 타 측면에 제2 요철(60b)이 형성된 경우, 이와 마주보는 제2 와셔(62)의 표면에도 대응하는 요철(6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제1 및 제2 슬라이딩 블록(17,18)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제1 슬라이딩 블록(17)이 제1 와셔(61)를 밀고 제2 슬라이딩 블록(18)이 제2 와셔(62)를 밀게 되면 제1 내지 제3 와셔(61,62,60)의 서로 마주보는 요철이 맞물리면서 서로 밀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커버(11)와 제2 커버(12)의 서로에 대해 움직임이 정지되어 제1 및 제2 커버(11,12)가 고정된다.
이제 도6을 참조하여 피동기어(15)의 회전에 따른 제1 아암(40)과 제2 아암(50)의 고정 및 고정 해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6(a)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슬라이딩 블록(17)과 제2 슬라이딩 블록(18)이 볼트(16)에 끼워져 있다고 가정한다. 발명 구성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6에서 제1 커버(11)와 제2 커버(12)를 제거하였지만 제1 및 제2 와셔(61,62)가 각각 제1 커버(11)와 제2 커버(12)에 (고정되어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제1 슬라이딩 블록(17)과 제2 슬라이딩 블록(18)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제1 내지 제3 와셔(61,62,60)가 그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 상태에서, 모터(13)가 작동하게 되면 구동기어(14)에 의해 피동기어(15)가 회전한다. 피동기어(15)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동기어(15)가 볼트(16)의 나사산(16a)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1 슬라이딩 블록(17)을 향해(즉 도6(a)에서 왼쪽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에 의해 제1 슬라이딩 블록(17) 도6(b)에 도시한 것처럼 왼쪽으로 움직인다. 이 때 제1 슬라이딩 블록(17)의 경사진 표면(17a)에 밀착해 있는 제1 아암(20)이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움직이게 된다.
한편 피동기어(15)가 예컨대 제1 케이스(11) 등의 구조에 막혀서 더 이상 왼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면, 피동기어(15)가 회전함에 따라 볼트(16) 및 이에 결합된 제2 슬라이딩 블록(18)이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될 것이다. 즉 제2 슬라이딩 블록(18) 도6(b)에 도시한 것처럼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제2 슬라이딩 블록(18)의 경사진 표면(18a)에 밀착해 있는 제2 아암(30)이 위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13)로 피동기어(15)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 및 제2 슬라이딩 블록(17,18)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움직임으로써 제1 심축(20)과 제2 심축(30)이 각각 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2 슬라이딩 블록(18)이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돌기부(18b)가 제2 와셔(62)를 밀게 되어 도6(b)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내지 제3 와셔(61,62,60)가 서로 밀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커버(11)와 제2 커버(12)의 회전이 제한되어 고정된다.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모터(13)에 의해 피동기어(15)를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볼트(16)가 회전할 수 없으므로 볼트(16)에 대해 피동기어(15)가 회전하면서 제1 슬라이딩 블록(1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며 제1 슬라이딩 블록(17)과 제2 슬라이딩 블록(18)이 서로 멀어지게 된다. 제1 및 제2 심축(20,30)의 각각의 경사면(20a,30a)이 각각 제1 및 제2 슬라이딩 블록(17,18)의 경사면(17a, 18a)과 접하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 심축(20,30)의 자체 무게 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약간의 힘에 의해서도 심축(20,30)이 도6(b)에서 도6(a)와 같이 움직일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 와셔(61,62)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면 두 와셔(61,62) 사이에 자연적으로 약간의 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커버(11,12)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6(a)와 도6(b)는 본 발명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심축(20,30)과 슬라이딩 블록(17,18)의 움직임 범위를 과장하여 도시한 것이고, 실제 본 발명의 구현에서는 슬라이딩 블록(17,18)이나 심축(20,30)이 수 분의 1 mm 내지 수 mm 정도로 약간만 움직여도 제1 및 제2 아암(40,50)의 고정 해제 및 제1 및 제2 커버(11,12)의 움직임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도1에 도시한 것처럼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암(40)의 타단부는 치과 시술용 작업 테이블에 설치된 지지대(115)에 관절구조(117)에 의해 관절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관절구조(117)는 예를 들어 지지대(115)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관절볼(도시 생략)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아암(40) 내부의 제1 심축(20)의 타단부가 제1 관절볼에 밀착하거나 제1 관절볼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피동기어(15)의 회전에 의해 제1 슬라이딩 블록(17)이 도6(a)의 상태에서 도6(b)의 상태가 되도록 움직이면 제1 심축(20)이 아래로 소정 거리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심축(20)의 타단부가 제1 관절볼에 밀착하게 되고 제1 심축(20)의 타단부와 제1 관절볼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관절구조(117)의 관절 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아암(50)의 타단부가 관절구조에 의해 툴 어셈블리(120)에 관절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이 관절구조도 툴 어셈블리(120)에서 제2 관절볼(도시 생략)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제2 아암(50)의 타단부가 제2 관절볼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아암(50) 내부의 제2 심축(30)의 타단부가 제2 관절볼에 밀착하거나 제2 관절볼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피동기어(15)의 회전에 의해 제2 슬라이딩 블록(18)이 도6(a)의 상태에서 도6(b)의 상태가 되도록 움직이면 제2 심축(30)이 위로 소정 거리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심축(30)의 타단부가 제2 관절볼에 밀착하게 되어 제2 심축(30)의 타단부와 제2 관절볼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제2 아암(50)에 대한 툴 어셈블리(120)의 상대적 운동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사나 시술자)가 모터(13)의 작동을 제어하여 피동기어(15)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심축(20)과 제2 심축(30)이 각각 관절구조(117)의 제1 관절볼과 툴 어셈블리(120)의 제2 관절볼에 밀착하여 마찰력에 의해 관절운동을 정지시키고 이에 따라 치과용 작업 테이블 장치의 본체부(110)에 대해 제1 아암(40), 제2 아암(50), 및 툴 어셈블리(120)의 동작을 한번에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모터(13)를 반대로 동작시키면 피동기어(15)가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1 심축(20)과 제2 심축(30)이 각각 도6(b)의 상태에서 도6(a)의 상태로 움직이므로 각각 제1 관절볼과 제2 관절볼을 밀착하던 마찰력이 사라지게 되어, 제1 아암(40)이 지지대(115)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절운동이 가능해지고 툴 어셈블리(120)도 제2 아암(50)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절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작업자가 모터(13)의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터(13)를 작동하는 스위치를 발판으로 구현하여 본체부(110)의 하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작업자가 제1 발판을 밟으면 모터(13)의 구동축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발판을 밟으면 모터(13)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자가 발을 이용하여 아암 기구와 툴 어셈블리의 움직임과 정지 사이의 전환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양손으로 툴 어셈블리(120)를 이용한 조작이나 진료나 치료 행위에 집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관절부
20, 30: 심축
40, 50: 아암
100: 아암 기구
110: 본체부
120: 툴 어셈블리
130: 터치 스크린
140: 무게추

Claims (3)

  1. 제1 아암(40)의 일단부와 제2 아암(50)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관절부(10)를 구비한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로서, 상기 관절부(10)는,
    표면에 나사산(16a)이 형성된 볼트(16);
    상기 볼트(16)의 제1 단부에서 상기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도록 체결된 기어(15);
    상기 볼트(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슬라이딩 블록(17); 및
    상기 볼트(16)의 제2 단부에 체결된 제2 슬라이딩 블록(18);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40)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심축(20)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아암(50)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심축(30)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15)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 슬라이딩 블록(17,18)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움직임으로써 상기 제1 심축(20)과 제2 심축(30)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축(20)의 일단부와 접하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17)의 표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심축(30)의 일단부와 접하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18)의 표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아암(40)의 타단부가 치과 시술용 작업장치에 설치된 제1 관절볼에 관절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2 아암(50)의 타단부는 툴 어셈블리(120)에 형성된 제2 관절볼에 관절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기어(15)의 회전에 의해 제1 심축(20)이 상기 제1 아암(40)의 타단부를 향해 움직여서 제1 관절볼에 밀착되고 제2 심축(30)이 상기 제2 아암(50)의 타단부를 향해 움직여서 제2 관절볼에 밀착됨으로써 제1 관절볼에 대한 제1 아암(40)의 관절운동 및 제2 관절볼에 대한 제2 아암(50)의 관절운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아암 기구.
KR1020210112484A 2021-08-25 2021-08-25 치과 시술용 아암 구조 KR20230030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84A KR20230030356A (ko) 2021-08-25 2021-08-25 치과 시술용 아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84A KR20230030356A (ko) 2021-08-25 2021-08-25 치과 시술용 아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356A true KR20230030356A (ko) 2023-03-06

Family

ID=8550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484A KR20230030356A (ko) 2021-08-25 2021-08-25 치과 시술용 아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035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780A (ko) 2008-06-27 2011-05-12 플란메카 오이 치과용 케어 기구
KR20150086133A (ko) 2014-01-17 2015-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용 작업 테이블 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780A (ko) 2008-06-27 2011-05-12 플란메카 오이 치과용 케어 기구
KR20150086133A (ko) 2014-01-17 2015-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용 작업 테이블 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3048B2 (ja) 連続可変角度部を含む側方研削ドリル
JP5788029B2 (ja) 医療用マニピュレータ
AU2008234966B2 (en) A control assembly
US7347862B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medical instrument relative to a patient
US9192515B2 (en) Pneumatically driven ophthalmic scanning endoprobe
US20230355328A1 (en) Geared grip actuation for medical instruments
US10543049B2 (en) Medical manipulator
JPH0852158A (ja) 関節式器具保持アーム
KR20140090993A (ko) 스테디 핸드 현미조작 로봇
JP2012187311A (ja) 医療用処置具およびマニピュレータ
JP2009201607A (ja) マニピュレータ
KR102418655B1 (ko) 마그네틱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구동 유닛
AU2016306164A1 (en) Control unit for a flexible endoscope
KR20210070914A (ko) 수동 관절 장치, 케이블 가이드, 동력 전달 기구
CN101380249A (zh) 一种操作医疗设备的装置
KR20230030356A (ko) 치과 시술용 아암 구조
KR20230030353A (ko) 툴 어셈블리를 구비한 치과용 작업 테이블 시스템
JP6676643B2 (ja) 手術中に腹腔鏡を保持し移動させる為のデバイス
JP2012100683A (ja) 内視鏡の湾曲操作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内視鏡装置
JP2005224367A (ja) 医療用器具保持装置及び医療用器具保持システム
JP3960746B2 (ja) 手術用顕微鏡装置
JP4365458B2 (ja) 医療用マニピュレータ装置
US20230372055A1 (en) Motorized positioning arm
WO2022082374A1 (zh) 驱动组件、执行机构及手术机器人
WO2022082350A1 (zh) 传动件、驱动组件、执行机构及手术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