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219A -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219A
KR20230030219A KR1020210112170A KR20210112170A KR20230030219A KR 20230030219 A KR20230030219 A KR 20230030219A KR 1020210112170 A KR1020210112170 A KR 1020210112170A KR 20210112170 A KR20210112170 A KR 20210112170A KR 20230030219 A KR20230030219 A KR 2023003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wheel
sub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695B1 (ko
Inventor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밴
Priority to KR102021011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69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현가 장치와 각각 링크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메인 바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현가 장치는, 한 쌍의 휠(wheel)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휠 중 어느 하나의 휠이 외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한 쌍의 상기 현가 장치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휠과 결합된 어느 하나의 현가 장치가 상기 외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메인 바가 그 연장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메인 바가 상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현가 장치가 외부의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한 쌍의 상기 휠 중 상기 다른 하나의 현가 장치와 결합된 다른 하나의 휠이 상기 외부의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성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Stabilizer and vehicle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휠의 전후 방향의 간격이 좁게 배치되는 차량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을 따라 인가되는 하중이 변경될 경우 각 휠에 인가되는 하중을 동등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COVID-19의 창궐 및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대면 거래에 비해 비대면 거래의 비중이 증가되고 있다. 비대면 거래는 소비자가 온라인, 모바일 등의 수단을 통해 구매한 물품이 소비자가 원하는 배달처로 배달되어 수행될 수 있다.
최근에는, 오픈마켓 등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직접 물건을 사입하여 자신의 물류 창고에 보관하고, 주문 발생시 보관된 물건을 배달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상기 방안에 따를 경우 신속한 배송이 가능해져 소비자의 만족도가 증가되고 있다.
한편, 오픈마켓 등을 운영하는 사업자는 물류 산업에 전문적으로 종사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따라서, 사입 및 판매되는 물품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물품의 이동을 위해 요구되는 비용 또한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배송을 위한 차량이 물류 창고와 배송처를 오가기 위해 요구되는 유류비 등이 많은 비용을 차지하고 있다.
물류량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1회 출고시 이동되는 물품의 양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있다. 즉, 물류 창고에서 출발하는 차량에 가능한 한 많은 양의 물품을 적재하여, 1회 출고시 배달되는 물품의 양을 증가시키는 방안이다. 상기 방안의 경우, 차량이 물류 창고를 복수 회 방문하지 않고도 배달 가능한 물품의 수가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물류 산업은 트럭 등 단일의 차량에 의해 수행됨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늘어난 물류량에 대응하기 위해, 트럭에 애드-온(add-on) 방식으로 결합 및 탈거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레일러(trailer)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비용 등의 문제로 인해, 트레일러에는 자체 구동을 위한 별도의 동력 수단을 구비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트레일러가 이동되기 위한 구동력은 트레일러가 결합된 트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일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은 전진 및 후진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는, 트레일러가 결합된 트럭이 조향됨에 따라, 트레일러가 트럭의 이동 경로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트럭과 함께 이동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트레일러의 경우, 휠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에 비해 휠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는 면적이 증가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일러에 탑재되는 제품은 트레일러에 하중을 인가한다. 트레일러 내부에 수용된 제품의 질량 중심 혹은 무게 중심이 휠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에 위치될 경우는 별론, 제품의 상, 하차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질량 중심 또는 무게 중심은 확률적으로 휠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부분에 위치되기 쉽다.
이 경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휠 중 어느 하나의 휠에 더 큰 하중이 인가되어, 다른 하나의 휠이 부양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일러가 불안정하게 운행되거나 극단적으로 전복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휠은 항상 동일한 수준의 하중이 인가받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260642호는 수요 공급식 에너지를 갖는 액티브 현가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유압을 이용하여 휠 또는 연계된 차체에 인가되는 다양한 부하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액티브 현가장채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액티브 현가장치는 각 휠을 독립적으로 완충시키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은 각 휠에 인가되는 하중 간에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은 현가 동작을 위해 유압을 요구한다. 따라서, 전달 물질로서의 유체 및 유체를 각 휠에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야만 하므로, 설계 및 구성 요소 배치의 복잡성이 유발될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586838호는 트레일러의 바퀴 자동 승강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트레일러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자동으로 바퀴를 승강시킬 수 있는 트레일러의 바퀴 자동 승강 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바퀴 승강 장치는 상승용 에어백 또는 하강용 에어백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정하여 바퀴를 승강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선행문헌과 같이, 각 바퀴를 독립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유체(즉, 공기) 및 유체를 각 바퀴에 결합된 상승용 에어백 또는 하강용 에어백에 공급하기 위한 추가 부재가 요구된다.
더 나아가, 제시된 선행문헌들은 트레일러 또는 트럭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 중심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트레일러 또는 트럭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260642호 (2021.06.07.)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586838호 (2006.06.0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스태빌라이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차량을 지지하는 휠에 인가되는 하중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 내부에 수용된 물품 등의 무게 중심이 변경되더라도, 차량이 기울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명한 구조로 휠에 인가되는 하중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차종에 적용될 구조의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크기 증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현가 장치와 각각 링크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메인 바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현가 장치는, 한 쌍의 휠(wheel)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휠 중 어느 하나의 휠이 외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한 쌍의 상기 현가 장치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휠과 결합된 어느 하나의 현가 장치가 상기 외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메인 바가 그 연장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메인 바가 상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현가 장치가 외부의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한 쌍의 상기 휠 중 상기 다른 하나의 현가 장치와 결합된 다른 하나의 휠이 상기 외부의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성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인 바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및 한 쌍의 상기 현가 장치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메인 바의 단부 및 상기 현가 장치의 단부를 수용하는 공간; 및 상기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면을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면의 내부에는 서로 같은 중심축을 갖게 관통 형성되는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메인 바의 단부 및 상기 현가 장치의 단부를 링크 결합하는 지지 핀을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는 한 쌍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메인 바는 한 쌍의 상기 현가 장치와 각각 링크 결합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메인 바 사이에 위치되는 조정 부재;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메인 바와 상기 조정 부재 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한 쌍의 상기 메인 바 및 상기 조정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서브 바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바는 상기 조정 부재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서브 바가 상기 조정 부재에 삽입되는 길이는 조정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부재는, 그 내부에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서브 바를 수용하는 조정 공간부; 상기 조정 공간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조정 프레임; 및 상기 조정 프레임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서브 바가 관통되는 바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바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바 결합공을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는 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 바와 상기 조정 프레임이 나사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서브 바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바가 상기 조정 부재에 삽입되는 길이가 조정되면, 상기 휠이 외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휠의 높이가 조정되는, 스태빌라이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형을 형성하는 가이드 프레임; 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각각 복수 개의 현가 장치;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현가 장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휠; 복수 개의 상기 현가 장치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상기 현가 장치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현가 장치는, 상기 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는 전달 암; 상기 전달 암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 및 상기 전달 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축부; 및 상기 회전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 블록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와 링크 결합되는 연결 판을 포함하여, 복수 개의 상기 휠 중 어느 하나의 휠이 상기 회전 축부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그 연장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복수 개의 휠 중 다른 하나의 휠이 상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연결 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판과 링크 결합되는 메인 바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메인 바와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서브 바; 및 상기 서브 바와 나사 결합되는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복수 개의 상기 현가 장치의 연결 판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브라켓; 그 단부가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 판과 링크 결합되는 복수 개의 메인 바; 복수 개의 상기 메인 바와 각각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 개의 서브 바; 및 복수 개의 상기 서브 바 사이에 위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서브 바와 각각 나사 결합되는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서브 바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조정 공간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서브 바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바가 상기 조정 공간부에 수용된 길이가 변경되면, 복수 개의 상기 현가 장치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서브 바와 연결된 어느 하나의 메인 바와 링크 결합되는 어느 하나의 현가 장치에 결합된 상기 휠이 상기 회전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차량에 구비되는 휠은 회전 가능하게 현가 장치에 결합된다. 현가 장치는 차량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되, 그 일부 구성 요소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결합된 휠은 상기 일부 구성 요소와 함께 현가 장치의 내부를 중심으로 하여 공전될 수 있다.
휠 및 현가 장치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된다. 복수 개의 현가 장치는 스태빌라이저와 링크 결합된다. 복수 개의 현가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현가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가 회전되면, 스태빌라이저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그 회전을 복수 개의 현가 장치 중 다른 하나 이상의 현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휠 중 어느 하나의 휠에 인가되는 하중이 증가되면, 휠은 차량을 향해 공전된다. 달리 표현하면, 가이드 프레임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휠이 치우친 부분이 지면을 향해 이동된다. 휠이 공전됨에 따라 현가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가 회전되어 스태빌라이저가 이동된다.
스태빌라이저의 이동에 의해, 복수 개의 휠 중 다른 하나의 휠이 결합된 현가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가 회전된다.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다른 하나의 휠이 차량을 향해 공전된다. 달리 표현하면, 가이드 프레임 중 상기 다른 하나의 휠이 치우친 부분 또한 지면을 향해 이동된다.
따라서, 차량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휠에 인가되는 하중의 균형이 유지되어, 휠과 가이드 프레임, 또는 가이드 프레임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에 적재된 물품 등의 무게 중심이 복수 개의 휠 중 어느 하나의 휠에 치우쳐 위치되어 차량이 기울게 되면, 복수 개의 휠 중 다른 하나의 휠에 치우친 부분 또한 기울게 되어 차량이 평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적재된 물품 등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차량이 그 연장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게 되더라도, 상술한 구성을 통해 차량이 그 연장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즉각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무게 중심의 위치에 대응하여 휠부의 높이가 실시간으로 제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이 기울어지는 상황이 실시간으로 방지하여, 차량이 평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저는 차량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현가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스태빌라이저가 작동되기 위해 별도의 전달 유체나 전기적 장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잡한 설계 및 구성 요소의 배치 과정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복수 개의 휠에 인가되는 하중이 균형 있게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의 평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저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현가 장치는 복수 개의 휠과 각각 연결된다. 스태빌라이저는 조정 부재 및 조정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서브 바를 포함한다. 서브 바는 조정 부재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조정 부재와 결합된다. 서브 바와 조정 부재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서브 바가 조정 부재에 삽입되는 길이가 조정되어 스태빌라이저의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의 길이가 조정되면, 복수 개의 현가 장치가 지면 또는 차량의 메인 프레임 또는 가이드 프레임과 이루는 각도가 변경된다. 상기 각도가 변경되도록 복수 개의 현가 장치가 회전됨에 따라, 복수 개의 현가 장치와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휠부 또한 회전되어 휠부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의 길이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어,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휠부를 구비하는 차량에 스태빌라이저가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태빌라이저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휠부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어, 주행 환경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차량이 다양한 형태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현가 장치는 차량의 연장 방향을 따라 휠부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현가 장치와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는 휠부의 상측에서 현가 장치와 결합되되, 역시 상하 방향으로 휠부 및 현가 장치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가 장치 및 스태빌라이저가 구비되기 위해 차량의 폭의 증가가 요구되지 않는다. 현가 장치 및 스태빌라이저는 기존에 구비되는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 현가 장치 및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 역시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면서도, 현가 장치 및 스태빌라이저가 구비되는 차량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가 적용된 차량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태빌라이저가 적용된 차량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태빌라이저가 적용된 차량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에 적용된 스태빌라이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에 적용된 스태빌라이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차량에 적용된 스태빌라이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차량에 적용된 스태빌라이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차량의 전방 측에 적용된 현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차량의 전방 측에 적용된 현가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차량의 후방 측에 적용된 현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차량의 후방 측에 적용된 현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비되는 스태빌라이저 및 현가 장치에 의해, 휠부의 반력이 평형을 이루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가 장치(100), 스태빌라이저(200) 및 차량(1)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차량"이라는 용어는 외부 또는 내부의 동력원에 의해 작동되어 전진, 후진 및 조향이 가능한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은 내연기관 또는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탈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컨테이너(container)"라는 용어는 내부에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적재된 물품을 일부 또는 전부 외부와 이격시킬 수 있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컨테이너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롤 컨테이너(roll container)"라는 용어는 컨테이너 중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컨테이너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롤 컨테이너는 그 하측에 지면과 접촉되는 바퀴가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후방",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이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1)은 컨테이너 또는 트레일러(trailer)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차량(1)은 롤 컨테이너를 수용하고, 다른 차량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는 롤 컨테이너용 트레일러의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이 롤 컨테이너용 트레일러로 구비됨을 전제하여 설명되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여타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차량(1)은 메인 프레임(10), 차량 연결부(20), 가이드 프레임(30), 휠부(40), 휠 연결부(50), 현가 장치(100) 및 스태빌라이저(stabilizer)(20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의 구성을 설명하되, 현가 장치(100) 및 스태빌라이저(2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메인 프레임(10)은 차량(1)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메인 프레임(10)은 차량(1)에 수용된 물품을 지지한다. 메인 프레임(10)에는 휠부(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10)에는 현가 장치(100) 및 스태빌라이저(200) 또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10)은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수용된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1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10)은 메인 공간(11), 경사부(12) 및 메인 플레이트(13)를 포함한다.
메인 공간(11)은 차량(1)에 탑재된 물품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메인 공간(11)은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 형성된다.
메인 공간(11)은 외부와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공간(11)의 상측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공간(11)에 수용되는 물품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차량 연결부(20)에 반대되는 메인 공간(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공간(11)의 상기 후방 측은 후술될 가이드 프레임(30)의 후방 측 부분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물품은 메인 공간(11)의 상기 후방 측을 통해 메인 공간(11)에 수용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메인 공간(11)의 상기 후방 측에는 경사부(12)가 구비된다.
경사부(12)는 물품이 메인 공간(11)에 수용되거나 메인 공간(11)에서 인출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한다. 메인 공간(11)은 휠부(40)에 의해 지면과 이격되게 위치되는데, 경사부(12)는 지면에서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지면과 메인 공간(11)을 연결한다.
경사부(12)는 폴딩(folding)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물품의 수용 및 인출이 요구되지 않는 상황, 예를 들면 차량(1)이 주행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경사부(12)는 접혀 메인 공간(11)에 수용될 수 있다.
경사부(12)는 메인 플레이트(13)와 연결된다.
메인 플레이트(13)는 메인 공간(11)을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서 둘러싼다. 달리 표현하면, 메인 플레이트(13)는 메인 공간(11)에 수용된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메인 플레이트(1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인 플레이트(13)는 메인 프레임(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3)는 경사부(12)와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장 후방 측에 위치되는 메인 플레이트(13)는 경사부(12)의 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경사부(12)가 접힐 경우, 상기 가장 후방 측에 위치되는 메인 플레이트(13)에 경사부(12)가 적층될 수 있다.
차량 연결부(20)는 차량(1)을 외부의 다른 차량과 연결한다. 차량 연결부(20)는 외부의 다른 차량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차량 연결부(20)는 메인 프레임(10)의 연장 방향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 구비된다. 차량 연결부(20)는 메인 프레임(10)의 상기 타측 단부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연결부(20)는 메인 프레임(10)의 상기 타측 단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은 다른 차량에 결합되어 이동됨을 전제한다. 따라서, 차량 연결부(20)는 차량(1)의 전진 방향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차량 연결부(20)는 고정 부재(21)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21)는 차량(1)과 외부의 차량을 탈거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부재(21)는 핀(pin) 부재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차량(1) 및 차량 연결부(20)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21)가 핀 부재의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외부의 차량이 조향되는 경우에도, 차량(1)은 상기 외부의 차량을 따라 안정적으로 주행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30)은 차량(1)에 수용된 물품을 다른 방향에서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은 메인 프레임(10)에 의해 하측에서 지지된다. 이에, 가이드 프레임(30)은 그 외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및 우측을 지지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 프레임(30)은 메인 프레임(10)과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프레임(30)과 메인 프레임(10)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30)은 휠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달리 표현하면, 휠부(40)는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 프레임(30)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30)은 메인 프레임(10)과 결합되므로, 휠부(40)는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프레임(30)은 차량(1)의 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제1 부분의 각 단부에서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제2 부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3 부분은 탈거 가능하게 제2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물품은 상기 제3 부분이 탈거된 후 메인 공간(11)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부분은 메인 공간(11)의 후방 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고 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30)은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수용된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프레임(3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프레임(30)은 제1 가이드 프레임(3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32)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 프레임(31)은 메인 공간(11)을 수평 방향에서 둘러싼다. 달리 표현하면, 제1 가이드 프레임(31)은 메인 공간(11)을 전방 측, 좌측, 우측 및 후방 측에서 둘러싸게 구성된다. 제1 가이드 프레임(31)의 후방 측 부분은 탈거 가능하게 좌측 및 우측 부분에 결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메인 공간(11)에 수용된 물품은 제1 가이드 프레임(31)에 의해 메인 공간(11)에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1 가이드 프레임(31)은 복수 개의 리브(rib)를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1 가이드 프레임(31)은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경량화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프레임(31)은 메인 프레임(1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프레임(31)은 메인 플레이트(13)의 상측 부분과 결합되어, 복수 개의 메인 플레이트(13)를 둘러싸게 형성된다.
제1 가이드 프레임(31)은 제2 가이드 프레임(32)과 결합된다.
제2 가이드 프레임(32)은 메인 프레임(10)의 강성을 보강한다. 또한, 제2 가이드 프레임(32)은 휠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는 후술될 현가 장치(100)와 제2 가이드 프레임(32)의 결합에 의해 달성된다.
제2 가이드 프레임(3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프레임(32)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1 가이드 프레임(31)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가이드 프레임(32)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휠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프레임(32)은 두 개 구비되어, 각각 메인 프레임(1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다.
제2 가이드 프레임(32)은 소정의 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프레임(32)은 전방 측에 위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상측 단부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후방 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연장부의 높이는 메인 플레이트(13)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휠부(40)의 직경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가이드 프레임(30)과 휠부(40)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메인 프레임(10) 및 이에 결합된 가이드 프레임(30)이 승강되는 경우에도, 가이드 프레임(30)과 휠부(40)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프레임(32)의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에는 후술될 현가 장치(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프레임(32)의 상기 제1 연장부, 제3 연장부, 현가 장치(100) 및 현가 장치(100)에 연결된 스태빌라이저(200)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현가 장치(100) 및 스태빌라이저(200)가 점유하는 공간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의 소형화 및 폭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휠부(4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차량(1)이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휠부(40)는 가이드 프레임(30),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휠부(40)는 차량(1)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휠부(40)는 차량(1)을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10), 차량 연결부(20), 가이드 프레임(30) 및 수용된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휠부(40)는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쌍의 휠부(4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10), 차량 연결부(20) 및 가이드 프레임(30)을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40)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차량(1)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다.
휠부(4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휠부(40)는 현가 장치(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현가 장치(100)는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 프레임(30)에 결합된다. 따라서, 휠부(40)는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 프레임(30)에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휠부(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휠부(40)는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40)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전방 휠(41)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후방 휠(42)을 포함한다.
전방 휠(41) 및 후방 휠(42)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별도의 조향 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차량(1)의 특성상, 차량(1)이 연결된 외부의 차량이 조향될 경우 안정적으로 상기 외부의 차량을 추종하기 위함이다.
전방 휠(41)과 후방 휠(42)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물품이 수용되는 메인 공간(11)의 부분 중 휠부(4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의 면적은 휠부(4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부분의 면적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메인 공간(11)에 수용된 물품이 메인 프레임(10)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쏠릴 경우, 전방 휠(41) 및 후방 휠(42)에 서로 다른 크기의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차량(1)은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더 큰 크기의 하중이 인가되는 부분을 따라 기울 수 있다. 심한 경우, 차량(1)이 전복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방 휠(41) 및 후방 휠(42)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가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은 현가 장치(100) 및 스태빌라이저(200)를 제공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휠 연결부(50)는 휠부(40)를 현가 장치(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후술될 바와 같이, 현가 장치(100)는 회전 가능하게 제2 가이드 프레임(32)에 결합된다. 따라서, 휠 연결부(50)는 휠부(40)를 현가 장치(100) 및 제2 가이드 프레임(32)에 결합시킨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휠 연결부(50)는 휠부(40) 및 현가 장치(100)에 각각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 연결부(50)는 핀(pin) 부재의 형태로 구비되어, 휠부(40) 및 현가 장치(100)의 디스크(110) 및 전달 암(1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휠 연결부(50)는 휠부(40), 디스크(110) 및 전달 암(120)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휠 연결부(50)는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쌍의 휠 연결부(5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휠부(40)를 현가 장치(100) 및 제2 가이드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 연결부(50)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차량(1)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다.
휠 연결부(5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휠 연결부(50)는 각각 서로 다른 휠부(40) 및 현가 장치(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 연결부(50)는 전방 휠 연결부(51) 및 후방 휠 연결부(5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전방 휠 연결부(51)는 전방 휠(41)을 현가 장치(100) 및 제2 가이드 프레임(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후방 휠 연결부(52)는 후방 휠(42)을 현가 장치(100) 및 제2 가이드 프레임(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가 장치(10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은 현가 장치(100)를 포함한다.
현가 장치(100)는 차량(1)이 주행됨에 따라 노면에서 인가되는 반력 또는 차량(1) 및 차량(1)에 수용된 물품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게 구성된다. 즉, 현가 장치(100)는 서스펜션(suspension)으로 기능된다.
현가 장치(100)는 휠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휠부(40)는 휠 연결부(50)를 통해 현가 장치(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현가 장치(100)는 가이드 프레임(30),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현가 장치(100)는 복수 개의 구성 요소가 회전 가능하게, 또는 형상 변형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현가 장치(100)는 제2 가이드 프레임(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또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현가 장치(100)는 휠부(40)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탄성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가 장치(100)는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쌍의 현가 장치(10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휠부(40)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탄성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현가 장치(100)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차량(1)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두 쌍의 휠부(40)를 지지한다.
현가 장치(1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현가 장치(100)는 각각 서로 다른 휠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현가 장치(100)는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구비되어, 전방 휠(41) 및 후방 휠(42)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현가 장치(100)의 개수는 휠부(4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단수 개의 현가 장치(100)는 단수 개의 휠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단수 개의 현가 장치(100)는 단수 개의 휠부(40)에 대해서만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휠부(40), 특히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방 휠(41) 및 후방 휠(42) 사이에 동일한 하중이 인가되도록, 서로 인접한 복수 개의 현가 장치(100)가 완충을 위해 인가하는 힘이 동기화(synchronize)될 필요가 있다. 이는 후술될 스태빌라이저(20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현가 장치(100)는 스태빌라이저(2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각 쌍의 현가 장치(100), 즉 전방 휠(41)과 연결되는 현가 장치(100) 및 후방 휠(42)과 연결되는 현가 장치(100)는 동일한 스태빌라이저(2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현가 장치(100)가 각 휠부(40)의 완충을 위해 인가하는 힘이 동기화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현가 장치(100)는 서로 이격되어 제2 가이드 프레임(32)과 각각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휠(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현가 장치(100)는 제2 가이드 프레임(32)의 전방 측에 결합된다. 또한, 후방 휠(4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현가 장치(100)는 제2 가이드 프레임(32)의 후방 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현가 장치(100)는 한 쌍의 휠부(40)를 사이에 두고 차량(1)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가 장치(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현가 장치(100)는 디스크(110), 전달 암(120), 지지 블록(130), 지지 판(140), 회전 축부(150), 탄성 부재(160), 연결 판(170), 지지 프레임(180) 및 가이드 부재(190)를 포함한다.
디스크(110)는 휠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디스크(110)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휠 연결부(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디스크(110)는 원판형으로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크(110)는 그 중심이 휠부(40)의 중심 및 휠 연결부(50)의 중심과 같은 축 상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110)의 단면의 직경은 휠부(40)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디스크(110)는 그 두께 방향으로 휠부(40)에 완전히 덮이게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크(110)의 외주는 휠부(40)의 내주보다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디스크(110)는 차량(1)의 내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 위치되는 휠부(40)와 결합되는 디스크(110)는 좌측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좌측에 위치되는 휠부(40)와 결합되는 디스크(110)는 우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디스크(110)는 차량(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디스크(1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스크(110)는 복수 개의 휠부(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디스크(110)는 네 개 구비되어, 네 개의 휠부(40)에 각각 결합된다.
디스크(110)는 휠부(40)와 전달 암(120) 사이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디스크(110)는 휠부(40)를 덮게 배치되고, 전달 암(120)은 디스크(110)와 휠부(40)를 덮게 배치된다.
전달 암(120)은 디스크(110) 및 휠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전달 암(120)은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에 따라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중을 연결 판(170)을 통해 스태빌라이저(200)에 전달한다.
더 나아가, 전달 암(120)은 스태빌라이저(200)의 이동에 따른 연결 판(170)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전달 암(120)은 휠부(40) 및 디스크(110)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휠 연결부(50)가 휠부(40), 디스크(110) 및 전달 암(120)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달성될 수 있다.
전달 암(1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달 암(120)은 서로 다른 휠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달 암(120)은 두 개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전방 휠(41) 및 후방 휠(42)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전달 암(120)은 제2 가이드 프레임(33)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전달 암(120)은 회전 축부(150)를 통해 제2 가이드 프레임(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달 암(120)은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암(120)은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전달 암(120)은 휠부(40)와 결합된 상태이므로, 전달 암(120)이 회전됨에 따라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각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 및 서로 인접한 각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이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달 암(120)은 차량(1)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달 암(120)은 그 연장 방향 중 휠부(4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 단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중앙 부분을 향하는 단부가 휠부(40) 및 디스크(1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전달 암(120)은 그 연장 방향 중 회전 축부(150)를 향하는 타측 단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향하는 단부가 회전 축부(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전달 암(120)의 상기 타측 단부는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과 접촉되어, 전달 암(120)의 회전이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에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달 암(120)은 제1 가압부(121), 제2 가압부(122) 및 디스크 연결부(123)를 포함한다.
제1 가압부(121)는 지지 블록(130)을 가압하거나, 지지 블록(130)에 의해 가압된다. 전달 암(120)이 휠부(40)와 함께 회전되면, 제1 가압부(121)는 지지 블록(130)을 가압하여 그 회전력을 전달한다. 전달된 회전력은 연결 판(170)을 통해 스태빌라이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태빌라이저(200)와 연결된 다른 현가 장치(100) 및 이에 연결된 다른 휠부(40)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1 가압부(121)는 전달 암(120)의 연장 방향의 타측 단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가압부(121)는 회전 축부(150)를 향하는 전달 암(120)의 단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1 가압부(121)는 지지 블록(13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압부(121)는 지지 블록(130)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가압부(121)의 상측에는 제2 가압부(122)가 형성된다.
제2 가압부(122)는 지지 판(140)을 가압하거나, 지지 판(140)에 의해 가압된다. 전달 암(120)이 휠부(40)와 함께 회전되면, 제2 가압부(122)는 지지 판(140)을 가압하여 그 회전력을 전달한다. 전달된 회전력은 연결 판(170)을 통해 스태빌라이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태빌라이저(200)와 연결된 다른 현가 장치(100) 및 이에 연결된 다른 휠부(40)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어, 인접한 한 쌍의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이 동기화될 수 있다.
제2 가압부(122)는 전달 암(120)의 연장 방향의 타측 단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가압부(122)는 회전 축부(150)를 향하는 전달 암(120)의 단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제2 가압부(122)는 지지 판(14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가압부(122)는 지지 판(140)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가압부(122)는 제1 가압부(12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가압부(122)는 제1 가압부(121)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1 가압부(121) 및 제2 가압부(122) 모두에 의해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이 각각 가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은 각각 제1 가압부(121) 및 제2 가압부(122) 모두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가압부(121) 및 제2 가압부(12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압부(121) 및 제2 가압부(122)는 각각 한 쌍 구비되어, 차량(1)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휠부(40) 및 이에 따른 전달 암(120)의 회전력이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에 신뢰성 있게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태빌라이저(200)의 이동에 따른 연결 판(170)의 회전이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을 통해 전달 암(120)에 신뢰성 있게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가 장치(100)에 의한 완충 효과 및 스태빌라이저(200)에 의한 동기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크 연결부(123)는 휠부(40) 및 디스크(110)와 화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전달 암(120)은 휠부(40)의 회전(즉, 휠 연결부(5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아닌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휠부(40) 또한 전달 암(120)의 회전(즉,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 연결부(123)는 전달 암(120)의 연장 방향의 일측 단부를 형성한다. 달리 표현하면, 디스크 연결부(123)는 휠부(40)의 중심, 또는 휠 연결부(50)를 향하는 전달 암(120)의 단부를 형성한다.
디스크 연결부(123)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에는 휠 연결부(5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의 중심은 휠부(40)의 중심, 휠 연결부(50)의 중심 및 디스크(110)의 중심과 같은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블록(130)은 전달 암(120)의 제1 가압부(121)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지지 블록(130)은 연결 판(170)과 연결되어, 지지 블록(130)이 회전됨에 따라 연결 판(17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블록(130)은 연결 판(170)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지지 블록(130)이 회전됨에 따라, 인접하게 위치된 제1 가압부(121)가 가압되어 전달 암(120) 및 이에 연결된 휠부(40)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지지 블록(130)은 전달 암(120) 및 연결 판(17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다른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지지 블록(130)은 전달 암(1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블록(130)은 전달 암(120)의 제1 가압부(12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블록(130)은 지지 판(140)의 하측에 위치된다.
지지 블록(130)은 회전 축부(150)와 연결된다. 지지 블록(130)은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압부(121)는 복수 개 구비되어 차량(1)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지지 블록(130) 또한 상기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복수 개의 제1 가압부(121)와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지지 블록(130)에 인접하게 지지 판(140)이 위치된다.
지지 판(140)은 전달 암(120)의 제2 가압부(122)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지지 판(140)은 연결 판(170)과 연결되어, 지지 판(140)이 회전됨에 따라 연결 판(17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판(140)은 연결 판(170)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지지 판(140)이 회전됨에 따라, 인접하게 위치된 제2 가압부(122)가 가압되어 전달 암(120) 및 이에 연결된 휠부(40)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지지 판(140)은 전달 암(120) 및 연결 판(17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다른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판(140)은 상술한 지지 블록(130)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함이 이해될 것이다.
지지 판(140)은 전달 암(1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판(140)은 전달 암(120)의 제2 가압부(122)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판(140)은 지지 블록(130)의 상측에 위치된다.
지지 판(140)은 회전 축부(150)와 연결된다. 지지 판(140)은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가압부(122)는 복수 개 구비되어 차량(1)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지지 판(140) 또한 상기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복수 개의 제2 가압부(122)와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이 모두 구비됨에 따라, 전달 암(120) 및 연결 판(17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은 다른 하나에 신뢰성 있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가 장치(100)에 의한 완충 효과 및 스태빌라이저(200)에 의한 동기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회전 축부(150)는 전달 암(120), 지지 블록(130), 지지 판(140), 탄성 부재(160) 및 연결 판(170)과 각각 결합된다. 전달 암(120), 지지 블록(130), 지지 판(140), 탄성 부재(160) 및 연결 판(170)은 각각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회전 축부(150)는 상기 구성 요소들의 회전축(axis of rotation)으로 기능된다.
회전 축부(150)는 전달 암(120)이 연장되는 방향의 타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축부(150)는 전달 암(120)의 제1 가압부(121), 제2 가압부(122) 및 이들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회전 축부(150)는 제2 가이드 프레임(33)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회전 축부(150)는 제2 가이드 프레임(33)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축부(150)는 제2 가이드 프레임(33)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달 암(120), 지지 블록(130), 지지 판(140), 탄성 부재(160) 및 연결 판(17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탄성 부재(160)는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복원력을 저장한다. 탄성 부재(160)가 저장한 복원력은 하중의 변화에 따라 휠부(40)에 제공되어,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을 완화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60)는 서스펜션으로 기능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탄성 부재(160)는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160)는 복수 개의 판이 적층 형성된 판 스프링으로 구비되나, 대안적으로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160)는 회전 축부(150) 및 스태빌라이저(200) 사이에서 연장된다. 탄성 부재(160)의 연장 방향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회전 축부(150)와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160)는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탄성 부재(160)의 연장 방향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연결 판(170)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160)의 형상 변형 및 회전은 연결 판(170)에 전달될 수 있다.
탄성 부재(160)는 연결 판(170)과 결합된다. 탄성 부재(160)는 연결 판(170)과 함께 회전되거나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연결 판(170)은 회전 축부(150)와 연결되어,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연결 판(170)은 전달 암(120) 및 스태빌라이저(200)와 각각 연결된다.
전달 암(120)의 회전은 연결 판(170)을 통해 스태빌라이저(200)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달 암(120)의 회전은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에 전달되고,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의 회전은 연결 판(170)에 전달된다. 연결 판(170)의 회전은 스태빌라이저(200)에 전달되어, 스태빌라이저(200)가 차량(1)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태빌라이저(200)의 이동은 연결 판(170)을 통해 전달 암(120)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태빌라이저(200)의 이동은 연결 판(170)에 전달되고, 연결 판(170)의 회전은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에 전달된다.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의 회전은 전달 암(120)에 전달되어, 전달 암(120)에 연결된 휠부(40)가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연결 판(170)은 회전 축부(150)와 스태빌라이저(200) 사이에서 연장된다. 회전 축부(150)를 향하는 연결 판(170)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회전 축부(150)와 연결된다. 연결 판(170)은 상기 하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200)를 향하는 연결 판(170)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스태빌라이저(200)와 연결된다. 연결 판(170)의 회전은 상기 상측 단부를 통해 스태빌라이저(200)의 직선 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연결 판(170)은 강체(rigid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 암(120) 및 스태빌라이저(200)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을 다른 하나에 신뢰성 있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연결 판(170)은 탄성 부재(16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결 판(170)은 탄성 부재(160)보다 길게 연장되어, 탄성 부재(160)는 연결 판(17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연결 판(170)은 기하학적 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결 판(170)은 회전 축부(150)에서 스태빌라이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세 개의 만곡부를 갖게 형성된다. 연결 판(170)은 전달 암(120) 및 스태빌라이저(200)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을 다른 하나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결 판(170)은 축 결합부(171), 연장부(172) 및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를 포함한다.
축 결합부(171)는 연결 판(170)이 회전 축부(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축 결합부(171)는 회전 축부(150)를 향하는 연결 판(170)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로 정의된다.
축 결합부(171)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 결합부(171)는 휠부(40)에 반대되는 방향, 즉 인접한 제2 가이드 프레임(32)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 결합부(171)는 회전 축부(150)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축 결합부(171)는 연장부(172)와 연속된다.
연장부(172)는 회전 축부(150)와 스태빌라이저(200) 사이에서 연장된다. 연장부(172)에는 탄성 부재(160)가 결합된다. 연장부(172)는 탄성 부재(16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연장부(172)는 축 결합부(171) 및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와 각각 연속된다. 달리 표현하면, 연장부(172)는 축 결합부(171) 및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 사이에서 연장된다.
연장부(172)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172)는 휠부(40)를 향하는 방향, 즉 인접한 제2 가이드 프레임(32)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 형성된다. 연장부(172)가 라운드지는 방향은 축 결합부(171)가 라운드지는 방향과 반대임이 이해될 것이다.
이에 따라, 연장부(172)와 제2 가이드 프레임(32) 사이의 임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어, 연결 판(170)의 기능이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다.
연장부(172)는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와 연속된다.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연결 판(170)이 스태빌라이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스태빌라이저(200)를 향하는 연결 판(170)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로 정의된다.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휠부(40)에 반대되는 방향, 즉 인접한 제2 가이드 프레임(32)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 형성된다.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스태빌라이저(200)의 브라켓(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가 라운드져 형성되는 공간에는 스태빌라이저(200)의 지지 핀(221)이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스태빌라이저(200)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80)은 지지 판(140)과 함께 회전되되, 지지 판(140)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18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탄성 부재(160) 및 연결 판(170)이 삽입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80)의 일부는 브라켓(bracket)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80)의 나머지 일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핀 부재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80)의 상기 나머지 일부는 가이드 부재(190)와 결합된다.
지지 프레임(180)의 상기 일부는 지지 판(14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180)의 상기 일부는 상기 나머지 일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탄성 부재(160) 및 연결 판(170)의 오목한 부분,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프레임(32)을 향하는 일측은 지지 프레임(180)의 상기 나머지 일부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90)는 지지 프레임(180)과 결합된다. 가이드 부재(190)는 탄성 부재(160) 및 연결 판(170)의 볼록한 부분,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40)를 향하는 타측을 가이드 한다.
즉, 탄성 부재(160) 및 연결 판(170) 은 지지 프레임(180) 및 가이드 부재(190)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 거리가 제한(또는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90)에는 핀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핀 부재(미도시)는 가이드 부재(190)에서 지지 프레임(18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핀 부재(미도시)는 탄성 부재(160)에 관통되고 연결 판(17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60), 연결 판(170) 및 가이드 부재(190)의 상대적인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90)는 지지 프레임(180)의 상기 일부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가이드 부재(190)는 지지 판(14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190)는 전달 암(120) 및 스태빌라이저(200)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부재(190)에 결합된 탄성 부재(160) 및 연결 판(170) 또한 전달 암(120) 및 스태빌라이저(200)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현가 장치(100) 및 스태빌라이저(200)가 서로 연동되어 회전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현가 장치(100)는 가이드 프레임(30),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 프레임(3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현가 장치(100)가 구비되기 위해 별도의 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현가 장치(100)는 차량(1)의 주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휠부(40)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현가 장치(100)는 휠부(4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현가 장치(10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차량(1)의 폭의 증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현가 장치(100)는 스태빌라이저(2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휠부(40) 및 현가 장치(100)는 스태빌라이저(200)와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현가 장치(100) 및 후술될 스태빌라이저(20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차량(1)의 높이 또는 길이의 증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20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은 스태빌라이저(200)를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2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현가 장치(100) 및 각 현가 장치(100)에 결합된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을 동기화한다. 스태빌라이저(200)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가 균형 있게 조정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200)는 현가 장치(1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스태빌라이저(200)는 현가 장치(10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200)의 직선 이동은 현가 장치(100)의 회전과 연동되므로, 스태빌라이저(200)는 현가 장치(100)와 링크 결합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스태빌라이저(2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태빌라이저(20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현가 장치(10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200)는 차량(1)의 진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태빌라이저(20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단부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현가 장치(100)마다 구비되는 연결 판(170)의 상측 단부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태빌라이저(200)의 전후 방향의 직선 이동은 연결된 현가 장치(100)의 회전과 연동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현가 장치(10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해 스태빌라이저(200)가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스태빌라이저(200)의 상기 직선 이동은 한 쌍의 현가 장치(100) 중 다른 하나의 회전으로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200)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현가 장치(100)의 회전이 연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가 장치(100)의 회전은 현가 장치(100)가 결합된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와 연동된다. 결과적으로, 스태빌라이저(2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휠부(40) 각각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를 연동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스태빌라이저(2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휠부(40)와 각각 연결되는 현가 장치(100)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태빌라이저(20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가 서로 다른 현가 장치(1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태빌라이저(200)의 길이는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정은 메인 바(220)에 수용되는 서브 바(230)의 일 부분의 길이 또는 조정 부재(250)의 조정 공간부(253)에 수용된 서브 바(230)의 다른 부분의 길이를 조정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2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태빌라이저(200)는 브라켓(210), 메인 바(220), 서브 바(230), 체결 부재(240) 및 조정 부재(250)를 포함한다.
브라켓(210)은 스태빌라이저(200)와 현가 장치(10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브라켓(210)에는 현가 장치(100)의 연결 판(170)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연결 판(170)의 회전 이동이 스태빌라이저(200)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브라켓(210)은 스태빌라이저(200)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210)은 복수 개 구비되어, 스태빌라이저(20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마다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브라켓(210)은 스태빌라이저(200)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브라켓(210a) 및 스태빌라이저(200)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브라켓(210b)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브라켓(2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연결 판(170)의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브라켓(210)의 상기 공간은 복수 개의 면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브라켓(210)은 메인 바(220)에 반대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의 각 단부에서 메인 바(220)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면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은 제1 면 및 한 쌍의 제2 면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브라켓(210)의 한 쌍의 제2 면에는 복수 개의 천공부(211)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211) 중 어느 하나에는 지지 핀(221)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지지 핀(221)은 한 쌍의 제2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서 브라켓(2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을 가로질러 다른 하나의 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천공부(211)는 그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같은 중심축을 갖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210)의 상기 공간에 수용된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상기 지지 핀(2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10)에는 메인 바(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바(220)는 연결 판(170)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되며, 어느 하나의 휠부(40)의 회전을 다른 하나의 휠부(40)에 전달한다.
메인 바(220)는 차량(1)의 진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메인 바(220)는 브라켓(21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220)는 브라켓(210)의 천공부(211)에 관통 결합된 지지 핀(221)에 의해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바(220)는 조정 부재(250)에 반대되는 일측 단부(즉, 전방 측의 메인 바(220)의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의 메인 바(220)의 후방 측 단부)가 브라켓(210)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210)에는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가 지지 핀(2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지지 핀(221)은 메인 바(220) 및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메인 바(220)는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메인 바(220)는 서브 바(23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바(220)는 조정 부재(250)를 향하는 타측 단부(즉, 전방 측의 메인 바(220)의 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의 메인 바(220)의 전방 측 단부)가 서브 바(230)와 결합된다.
메인 바(220)의 내부에는 중공(hollow)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을 둘러싸는 메인 바(220)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서브 바(230)의 외주면(231)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바(230)가 메인 바(220)에 삽입 결합되는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메인 바(220)의 상기 중공에 서브 바(230)가 수용되기 위해, 메인 바(220)의 단면의 직경은 서브 바(230)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2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인 바(220)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브라켓(210) 및 서브 바(23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바(220)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메인 바(220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메인 바(220b)를 포함한다.
서브 바(230)는 메인 바(220)와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현가 장치(100)의 회전을 다른 하나의 현가 장치(100)에 전달한다. 또한, 서브 바(230)는 메인 바(220) 및 조정 부재(250)와 결합되어, 스태빌라이저(2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서브 바(230)는 차량(1)의 진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서브 바(230)의 연장 방향이 메인 바(220)의 연장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서브 바(23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중 메인 바(220)를 향하는 일측 단부(전방 측의 서브 바(230)의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의 서브 바(230)의 후방 측 단부)는 메인 바(220)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바(230)는 메인 바(2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바(230)의 외주면(231)에 형성된 나사산과 메인 바(22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서브 바(23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중 조정 부재(250)를 향하는 타측 단부(전방 측의 서브 바(230)의 후방 측 단부 및 전방 측의 서브 바(230)의 전방 측 단부)는 조정 부재(250)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바(230)는 조정 부재(250)에 관통 형성된 바 결합공(252)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바(230)의 외주면(231)에 형성된 나사산과 바 결합공(252)을 둘러싸는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바(230)와 메인 바(220)의 결합 길이 및 서브 바(230)와 조정 부재(250)의 결합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태빌라이저(200)의 연장 길이가 조정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서브 바(2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브 바(230)는 조정 부재(250) 및 서로 다른 메인 바(22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바(230)는 전방 측의 제1 메인 바(220a) 및 조정 부재(250)와 결합되는 제1 서브 바(230a) 및 후방 측의 제2 메인 바(220b) 및 조정 부재(250)와 결합되는 제2 서브 바(230b)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서브 바(230)의 개수는 메인 바(220) 및 조정 부재(25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서브 바(230)는 외주면(231)을 포함한다. 외주면(231)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주면(231)에 형성된 나사산은 메인 바(22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 또는 조정 부재(25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240)는 메인 바(220) 및 서브 바(230)와 각각 결합되어, 메인 바(220)와 서브 바(230)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체결 부재(240)는 메인 바(220) 및 서브 바(230)가 결합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240)는 메인 바(220) 및 서브 바(230)가 서로를 향하는 각 단부에 위치된다.
체결 부재(240)는 메인 바(220)와 서브 바(230)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240)는 너트(nut)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240)는 서브 바(230)의 외주면(231)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2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 부재(240)는 메인 바(220)와 서브 바(230)가 결합된 각 쌍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240)는 두 개 구비되어, 제1 메인 바(220a)와 제1 서브 바(230a)의 결합 부분 및 제2 메인 바(220b)와 제2 서브 바(230b)의 결합 부분에 각각 배치된다.
체결 부재(240)의 개수는 메인 바(220) 및 서브 바(23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조정 부재(250)는 스태빌라이저(200)의 연장 길이를 조정한다. 조정 부재(250)가 구비됨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휠부(4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스태빌라이저(200)의 길이 또한 조정되어 각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이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저(200)의 길이가 조정됨에 따라, 브라켓(210)의 위치 또한 조정되어, 현가 장치(100), 구체적으로 연결 판(170)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연결 판(170)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전달 암(120)의 각도 또한 변경되어, 휠부(40)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조정 부재(250)는 서브 바(230)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 부재(250)는 서브 바(23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서브 바(230)의 일부는 조정 부재(25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고, 서브 바(230)의 나머지 일부는 조정 부재(25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부재(250)는 조정 프레임(251), 바 결합공(252) 및 조정 공간부(253)를 포함한다.
조정 프레임(251)은 조정 부재(250)의 외형을 형성한다. 조정 프레임(251)에는 서브 바(230)가 결합된다.
조정 프레임(251)은 스태빌라이저(20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프레임(251)은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밑면으로 하고, 전후 방향의 높이를 갖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게 형성된다. 상기 형상에 의해, 조정 프레임(251)은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경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정 프레임(251)은 충분한 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조정 프레임(251)의 양측 단부의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 및 후방 측 면에는 바 결합공(252)이 형성된다.
바 결합공(252)은 서브 바(230)가 관통 결합되는 통로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서브 바(230)는 전방 측의 제1 서브 바(230a) 및 후방 측의 제2 서브 바(230b)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이에, 바 결합공(252) 또한 조정 프레임(251)의 상기 전방 측 면 및 후방 측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 결합공(252)을 둘러싸는 조정 프레임(251)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바 결합공(252)의 방사상 외측에 형성되는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서브 바(230)의 외주면(231)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바(230) 및 조정 부재(25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 서브 바(230)와 조정 부재(250)의 결합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태빌라이저(200)의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조정에 의해, 휠부(40)의 높이가 조정되어, 차량(1)의 높이 또한 조정될 수 있다.
바 결합공(252)은 조정 공간부(253)와 연통된다.
조정 공간부(253)는 조정 부재(250)와 결합된 서브 바(230)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조정 공간부(253)는 조정 프레임(251)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조정 공간부(253)는 조정 프레임(251)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조정 공간부(253)는 조정 프레임(251)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바(230) 및 조정 부재(25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조정 공간부(253)에 수용된 서브 바(230)의 부분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가 장치(100), 스태빌라이저(200)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1)의 작동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가 장치(100), 스태빌라이저(200)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1)은 휠부(40)에 인가되는 하중을 동기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에 수용된 물품이 균형 있게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1)의 기욺 또는 전복이 방지될 수 있고, 차량(1)의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가 장치(100), 스태빌라이저(200)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1)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에 구비되는 휠부(40), 현가 장치(100) 및 스태빌라이저(200)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휠부(40)는 현가 장치(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휠부(40)는 휠 연결부(50)를 중심으로 자전될 수 있고,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공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전방 휠(41)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가 증가된 순간을 전제한다. 전방 휠(41)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전방 휠(41)은 메인 프레임(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전방 휠(41)은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하여, 반 시계 방향으로 공전됨이 이해될 것이다.
차량(1)의 관점에서 보면,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0)의 전방 측이 하측으로 쳐져, 차량(1)이 전방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전방 휠(41)이 반 시계 방향으로 공전됨에 따라, 전방 휠(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달 암(120) 또한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전달 암(120)의 제1 가압부(121) 및 제2 가압부(122)가 각각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을 반 시계 방향으로 가압한다.
가압된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지지 블록(130)은 회전 축부(150)에, 지지 판(140)은 지지 프레임(18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에 의해 회전 축부(150) 및 지지 프레임(180) 또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 축부(150) 및 지지 프레임(180)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에 결합된 탄성 부재(160) 및 연결 판(170) 또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 휠(41)의 회전(즉, 공전)이 소정 크기만큼 완충됨이 이해될 것이다.
연결 판(170)의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상기 회전에 의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브라켓(210)에 의해 스태빌라이저(200)와 링크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 판(170)의 회전은 스태빌라이저(200)의 직선 이동, 구체적으로 전방을 향한 직선 이동으로 전환된다.
스태빌라이저(200)가 전방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후방 휠(42)이 결합된 현가 장치(100)가 작동된다.
먼저, 연결 판(170)의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스태빌라이저(200)의 상기 이동에 의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가 브라켓(210)에 의해 스태빌라이저(200)와 링크 결합되어 달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연결 판(170)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연결 판(170)과 결합된 탄성 부재(160)가 함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 휠(42)의 회전(즉, 공전)이 소정 크기만큼 완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후방 휠(42)에 결합된 탄성 부재(160)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의 크기는 전방 휠(41)에 결합된 탄성 부재(160)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의 크기와 같을 수 있다.
연결 판(170)이 회전됨에 따라, 연결 판(170)과 결합된 회전 축부(150) 및 지지 프레임(180) 또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 또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전달 암(120)의 제1 가압부(121) 및 제2 가압부(122)를 반 시계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가압에 의해, 전달 암(120) 및 전달 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 휠(42)은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후방 휠(42) 또한 메인 프레임(1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차량(1)의 관점에서 보면,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0)이 후방 측으로도 쳐져, 차량이 평형을 유지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차량(1)에 수용된 물품의 무게 중심이 차량(1)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어느 하나로 치우쳐 위치되더라도, 차량(1)이 평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에 구비되는 휠부(40), 현가 장치(100) 및 스태빌라이저(200)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휠부(40)는 현가 장치(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휠부(40)는 휠 연결부(50)를 중심으로 자전될 수 있고,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공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후방 휠(42)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가 증가된 순간을 전제한다. 후방 휠(42)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후방 휠(42)은 메인 프레임(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후방 휠(42)은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공전됨이 이해될 것이다.
차량(1)의 관점에서 보면,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0)의 후방 측이 하측으로 쳐져, 차량(1)이 후방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후방 휠(42)이 시계 방향으로 공전됨에 따라, 후방 휠(4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달 암(120) 또한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전달 암(120)의 제1 가압부(121) 및 제2 가압부(122)가 각각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을 시계 방향으로 가압한다.
가압된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지지 블록(130)은 회전 축부(150)에, 지지 판(140)은 지지 프레임(18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에 의해 회전 축부(150) 및 지지 프레임(180)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 축부(150) 및 지지 프레임(18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에 결합된 탄성 부재(160) 및 연결 판(170)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 휠(42)의 회전(즉, 공전)이 소정 크기만큼 완충됨이 이해될 것이다.
연결 판(170)의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상기 회전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브라켓(210)에 의해 스태빌라이저(200)와 링크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 판(170)의 회전은 스태빌라이저(200)의 직선 이동, 구체적으로 후방을 향한 직선 이동으로 전환된다.
스태빌라이저(200)가 후방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전방 휠(41)이 결합된 현가 장치(100)가 작동된다.
먼저, 연결 판(170)의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는 스태빌라이저(200)의 상기 이동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스태빌라이저 결합부(173)가 브라켓(210)에 의해 스태빌라이저(200)와 링크 결합되어 달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연결 판(17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연결 판(170)과 결합된 탄성 부재(160)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 휠(41)의 회전(즉, 공전)이 소정 크기만큼 완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방 휠(41)에 결합된 탄성 부재(160)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의 크기는 후방 휠(42)에 결합된 탄성 부재(160)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의 크기와 같을 수 있다.
연결 판(170)이 회전됨에 따라, 연결 판(170)과 결합된 회전 축부(150) 및 지지 프레임(180)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지지 블록(130) 및 지지 판(140)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전달 암(120)의 제1 가압부(121) 및 제2 가압부(122)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가압에 의해, 전달 암(120) 및 전달 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휠(41)은 회전 축부(15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전방 휠(41) 또한 메인 프레임(1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차량(1)의 관점에서 보면, 물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0)이 후방 측으로도 쳐져, 차량이 평형을 유지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차량(1)에 수용된 물품의 무게 중심이 차량(1)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어느 하나로 치우쳐 위치되더라도, 차량(1)이 평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과정은 별도의 유체 등 동력 전달 물질 없이도 수행될 수 있어, 불균형 발생시 즉각적이고도 신속하게 균형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량
10: 메인 프레임
11: 메인 공간
12: 경사부
13: 메인 플레이트
20: 차량 연결부
21: 고정 부재
30: 가이드 프레임
31: 제1 가이드 프레임
32: 제2 가이드 프레임
40: 휠부
41: 전방 휠
42: 후방 휠
50: 휠 연결부
51: 전방 휠 연결부
52: 후방 휠 연결부
100: 현가 장치
110: 디스크
120: 전달 암
121: 제1 가압부
122: 제2 가압부
123: 디스크 연결부
130: 지지 블록
140: 지지 판
150: 회전 축부
160: 탄성 부재
170: 연결 판
171: 축 결합부
172: 연장부
173: 스태빌라이저 결합부
180: 지지 프레임
190: 가이드 부재
200: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210: 브라켓
210a: 제1 브라켓
210b: 제2 브라켓
211: 천공부
220: 메인 바
220a: 제1 메인 바
220b: 제2 메인 바
221: 지지 핀
230: 서브 바
230a: 제1 서브 바
230b: 제2 서브 바
231: 외주면
240: 체결 부재
250: 조정 부재
251: 조정 프레임
252: 바 결합공
253: 조정 공간부

Claims (13)

  1. 한 쌍의 현가 장치와 각각 링크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메인 바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현가 장치는, 한 쌍의 휠(wheel)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휠 중 어느 하나의 휠이 외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한 쌍의 상기 현가 장치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휠과 결합된 어느 하나의 현가 장치가 상기 외부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메인 바가 그 연장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메인 바가 상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현가 장치가 외부의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한 쌍의 상기 휠 중 상기 다른 하나의 현가 장치와 결합된 다른 하나의 휠이 상기 외부의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성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및 한 쌍의 상기 현가 장치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메인 바의 단부 및 상기 현가 장치의 단부를 수용하는 공간; 및
    상기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면을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면의 내부에는 서로 같은 중심축을 갖게 관통 형성되는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메인 바의 단부 및 상기 현가 장치의 단부를 링크 결합하는 지지 핀을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는 한 쌍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메인 바는 한 쌍의 상기 현가 장치와 각각 링크 결합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메인 바 사이에 위치되는 조정 부재;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메인 바와 상기 조정 부재 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한 쌍의 상기 메인 바 및 상기 조정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서브 바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는 상기 조정 부재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서브 바가 상기 조정 부재에 삽입되는 길이는 조정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그 내부에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서브 바를 수용하는 조정 공간부;
    상기 조정 공간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조정 프레임; 및
    상기 조정 프레임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서브 바가 관통되는 바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바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바 결합공을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는 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 바와 상기 조정 프레임이 나사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
  8. 제6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서브 바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바가 상기 조정 부재에 삽입되는 길이가 조정되면,
    상기 휠이 외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휠의 높이가 조정되는,
    스태빌라이저.
  9. 외형을 형성하는 가이드 프레임;
    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각각 복수 개의 현가 장치;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현가 장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휠;
    복수 개의 상기 현가 장치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상기 현가 장치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현가 장치는,
    상기 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는 전달 암;
    상기 전달 암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 및 상기 전달 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축부; 및
    상기 회전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 블록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와 링크 결합되는 연결 판을 포함하여,
    복수 개의 상기 휠 중 어느 하나의 휠이 상기 회전 축부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그 연장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복수 개의 휠 중 다른 하나의 휠이 상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연결 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판과 링크 결합되는 메인 바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메인 바와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서브 바; 및
    상기 서브 바와 나사 결합되는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복수 개의 상기 현가 장치의 연결 판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브라켓;
    그 단부가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 판과 링크 결합되는 복수 개의 메인 바;
    복수 개의 상기 메인 바와 각각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 개의 서브 바; 및
    복수 개의 상기 서브 바 사이에 위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서브 바와 각각 나사 결합되는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서브 바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조정 공간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서브 바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바가 상기 조정 공간부에 수용된 길이가 변경되면,
    복수 개의 상기 현가 장치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서브 바와 연결된 어느 하나의 메인 바와 링크 결합되는 어느 하나의 현가 장치에 결합된 상기 휠이 상기 회전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차량.
KR1020210112170A 2021-08-25 2021-08-25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51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170A KR102514695B1 (ko) 2021-08-25 2021-08-25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170A KR102514695B1 (ko) 2021-08-25 2021-08-25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219A true KR20230030219A (ko) 2023-03-06
KR102514695B1 KR102514695B1 (ko) 2023-03-29

Family

ID=8550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170A KR102514695B1 (ko) 2021-08-25 2021-08-25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6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605U (ko) * 1995-12-30 1997-07-24 자동차 현가장치의 피치제어장치
KR19990047759A (ko) * 1997-12-05 1999-07-05 오상수 탄성 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후륜 현가장치
KR20020015140A (ko) * 2000-08-21 2002-02-27 이계안 차량의 액티브 롤 조절장치
KR100586838B1 (ko) 2005-01-04 2006-06-09 유병식 트레일러의 바퀴 자동 승강 장치
JP2008100668A (ja) * 2006-09-22 2008-05-01 Nissan Motor Co Ltd 車輪位置可変車両
WO2012147174A1 (ja) * 2011-04-27 2012-11-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KR102260642B1 (ko) 2013-03-15 2021-06-07 클리어모션, 아이엔씨. 수요 공급식 에너지를 갖는 액티브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605U (ko) * 1995-12-30 1997-07-24 자동차 현가장치의 피치제어장치
KR19990047759A (ko) * 1997-12-05 1999-07-05 오상수 탄성 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후륜 현가장치
KR20020015140A (ko) * 2000-08-21 2002-02-27 이계안 차량의 액티브 롤 조절장치
KR100586838B1 (ko) 2005-01-04 2006-06-09 유병식 트레일러의 바퀴 자동 승강 장치
JP2008100668A (ja) * 2006-09-22 2008-05-01 Nissan Motor Co Ltd 車輪位置可変車両
WO2012147174A1 (ja) * 2011-04-27 2012-11-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KR102260642B1 (ko) 2013-03-15 2021-06-07 클리어모션, 아이엔씨. 수요 공급식 에너지를 갖는 액티브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695B1 (ko)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8933B (zh) 用于座件、尤其是椅子的座件的运动耦合的伺服装置
US6273438B1 (en) Hand truck
CA2593469C (en) Delivery vehicle
JP2004500277A (ja) 車輌を平衡させるトレーラー
RU2131363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контейнера или аналогичного груза на погрузочную платформу и снятия их с нее
US20020109319A1 (en) Ergonomic merchandiser
KR102514695B1 (ko)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0838216B1 (ko) 이앙기의 프런트 서스펜션 구조
US6616395B2 (en) Pallet lifting fork truck
KR100219819B1 (ko) 화물수송용 차량에 대한 바퀴축구조
EP0958150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stor wheels
KR20150029142A (ko) 운반용 카트
FR2715150A1 (fr) Chariot élévateur.
SE1551067A1 (en) Roll container
KR20100123577A (ko) 대차
KR102512613B1 (ko) 오토바이 배달통
JP3314008B2 (ja) 自走台車の駆動輪サスペンション機構
KR102447266B1 (ko) 컨테이너 캐리어
JP2010018414A (ja) かご台車固定用アタッチメント
JP3584992B2 (ja) ヒンジ構造
US20220289541A1 (en) Industrial truck having at least one support wheel
KR102586221B1 (ko) 셀프로더
JP4530496B2 (ja) 作業車輛の梱包用枠体
JP445790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KR200495861Y1 (ko) 유압쇼바를 구비한 롤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