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983A -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 - Google Patents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983A
KR20230028983A KR1020210110924A KR20210110924A KR20230028983A KR 20230028983 A KR20230028983 A KR 20230028983A KR 1020210110924 A KR1020210110924 A KR 1020210110924A KR 20210110924 A KR20210110924 A KR 20210110924A KR 20230028983 A KR20230028983 A KR 2023002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plate
coupling
rotating ro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442B1 (ko
Inventor
정회민
Original Assignee
정회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회민 filed Critical 정회민
Priority to KR102021011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44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0Book covers with lock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2Fasteners;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6Books or filing applian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자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한쪽 표지의 펼침단에 고정결합되는 결속판의 결속부에 회전봉의 일측인 결속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회전봉의 타측인 자유단부는 다른 한쪽 표지의 펼침단에 고정결합되는 결합판의 닫힘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책 표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Book cover with binding stick}
본 발명은 책자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한쪽 표지의 펼침단에 고정결합되는 결속판의 결속부에 회전봉의 일측인 결속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회전봉의 타측인 자유단부는 다른 한쪽 표지의 펼침단에 고정결합되는 결합판의 닫힘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책 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이나, 노트, 연습장, 다이어리, 일기장 등의 책자는 속지와 앞표지 및 뒷표지, 그리고 이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책등부를 포함하고, 상기 책등부의 반대쪽에는 사용자가 속지를 자유롭게 펼쳐 볼 수 있도록 양쪽 표지의 단부가 모두 노출되어 있는 소위 펼침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책자의 펼침단이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75906호(2015.01.06.등록)에서 처럼 한쪽 표지의 펼침단에 탄성밴드를 고정결합한 후 탄성밴드의 탄성력으로 표지와 속지를 함께 둘러 감싸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3874호(2015.10.23.공개)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91616호(2020.05.04.등록)에서는 띠 형태의 가죽끈과 같은 결속밴드의 일단을 한쪽 표지의 펼침단에 고정시키고, 결속밴드의 타단과 다른 한쪽 표지에는 서로 대응하는 결합수단(자석, 스냅단추 등)을 구비하여, 결속밴드의 타단이 다른 한쪽 표지의 결합수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펼침단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2075926호(2020.02.05.등록)에서는 양쪽 표지의 펼침단에 각각 날개부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도록 하고, 양쪽 날개부의 타단에는 자석을 내장하여 자석의 자력으로 양쪽 날개부가 결합되는 힘으로 펼침단이 펼져지지 않도록 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43960호(2004.02.25.등록)에서는 양쪽 표지의 펼침단에 고정후크와 걸림편 등의 작동을 통해 펼침단이 펼쳐지지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마련하고, 이 잠금장치는 다수개의 다이얼에 미리 입력된 특정값을 맞추는 방식의 록킹부재를 통해 잠금이 해제되도록하는 비밀번호 입력형식의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75906호(2015.01.06.등록)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3874호(2015.10.23.공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91616호(2020.05.04.등록) 국내 등록특허 제10-2075926호(2020.02.05.등록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43960호(2004.02.25.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기술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펼침단을 잠금 및 잠금해제할 수 있는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를 소개하여 풍부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책자의 마무리 과정으로 진행되는 결속부재의 결합시에 결속부재로 사용되는 탄성밴드, 결속밴드 또는 양쪽 날개부는 이러한 결속부재를 표지에 결합시키기 위해 약 3 내지 4톤의 큰 하중으로 책자를 압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압착과정에서 탄성밴드, 결속밴드 또는 양쪽 날개부의 눌린 자국이 표지에 그대로 남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제품의 하자에 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압착시 결속부재의 눌린 자국으로 인한 제품 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책등부의 양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속지를 감싸는 양쪽 표지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펼침단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책표지에 있어서, 한쪽 표지의 펼침단에 고정결합되는 결속판의 결속부에 회전봉의 일측인 결속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회전봉의 타측인 자유단부는 다른 한쪽 표지의 펼침단에 고정결합되는 결합판의 닫힘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판의 닫힘결합부에 상기 자유단부가 탈착하는 상기 회전봉의 결속단부는 상기 결속판의 결속부에 구속되어 회전하되, 그 회전의 방향은 책등부를 향해 회전하거나, 또는 펼침단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판의 결속부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축형 결속부로 형성되거나, 또는 개방작동공을 통해 개방되는 볼수용홀을 내부에 구비하는 볼형 결속부로 구성될 수 있는바, 이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봉의 결속단부는 회전축에 대응하는 축봉과 볼수용홀에 대응하는 회전볼을 구비하여, 각각 선형으로 축회전하거나 또는 일점을 기준으로 개방작동공을 따라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부재의 잠금을 해제하여 책자의 속지를 사용할 때, 상기 회전봉이 펼침단 밖으로 전개되어 장애가 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봉을 상기 펼침단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과, 상기 결속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결속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부를 이용해 상기 회전봉을 상기 결속부에 구비된 펼침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책표지는 양쪽 표지 각각 고정성치되는 결속판과 결합판에 막대형태의 회전봉이 일측은 결속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결합판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는 독특한 구성으로, 이는 탄성밴드, 결속밴드, 양쪽 날개결합 또는 비밀번호 잠금장치와는 차별되는 기술의 다양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책자의 펼침단을 열고 책자를 사용할 때에는 펼침단의 양단을 잠그고 있던 회전봉이, 펼침단과 동일방향으로 나란하게 한쪽 표지에 고정된 결속판의 펼침고정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한쪽 표지의 겉표면에 접촉될때까지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회전봉으로 인한 걸림과 같은 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공정을 끝낸 책자의 표지에 결속수배를 단순하게 접착고정시키기 때문에, 압착에 의해 결속부재의 눌린 자국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제품 하자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형 결속부의 일실시예를 책표지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리상태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형 결속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형 결속부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표지는 책등부(3)의 양쪽으로 속지(4)를 감싸는 양쪽 표지(1,2)의 각 펼침단(1a,2a)에 결속부재(10)를 구비하여, 상기 양쪽 펼침단(1a,2a)을 선택적으로 고정결합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결속부재(10)는 한쪽 표지(1)의 펼침단(1a)에 고정결합되는 결속판(100), 상기 결속판(100)의 결속부(12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200) 및 다른 한쪽 표지(2)의 펼침단(2a)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회전봉(200)의 타단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판(3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결속판(100)은 상기 한쪽 표지(1)의 펼침단(1a)에 고정결합되는 결속몸판(110)과, 상기 펼침단(1a)의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결속몸판(110)에 연결형성되는 결속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봉(200)은 전체적으로 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인 결속단부(210)가 상기 결속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인 자유단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판(300)은 상기 다른 한쪽 표지(2)의 펼침단(2a)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몸판(301)과, 상기 펼침단(2a)의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결합몸판(301)에 연결형성되는 닫힘결합부(302)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몸판(110) 및 상기 결합몸판(301)은 상기 표지(1,2)의 펼침단(1a,2a)을 클립형태로 물어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표지(1,2)의 펼침단(1a,2a)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지(1,2)의 펼침단(1a,2a) 표면에 박음질 또는 접착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결속몸판(110) 및 상기 결합몸판(301)은 바람직하게 상기 표지(1,2)의 펼침단(1a,2a) 표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되는 형태를 취한다. 이에 따라 표지(1,2)의 펼침단(1a,2a) 표면과 접촉하는 상기 결속몸판(110) 및 상기 결합몸판(301)의 일면인 각각의 접착면에는 이 접착면의 테두리를 따라 홈형태의 판홈(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면의 상기 판홈(F) 안쪽으로만 접착제를 바르고, 상기 결속몸판(110) 및 상기 결합몸판(301)을 표지(1,2)의 펼침단(1a,2a)에 접착시키면, 상기 판홈(F) 안쪽의 접착제는 판홈(F)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결속몸판(110) 및 결합몸판(301)의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속지(4)와 표지(1,2)의 결합을 위한 고하중 압착 등의 책자를 만드는 모든 공정을 끝낸 후 표지(1,2)의 펼침단(1a,2a) 표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상기 결속판(100) 및 상기 결합판(300)을 간단하게 고정하기 때문에, 책자의 제조공정 상에서 결속부재(10)와 함께 책자를 압착할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결속판(100) 및 상기 결합판(300)이 표지(1,2)에 눌려 발생할 수 있는 눌린 자국에 의한 제품 하자가 발생할 여지가 없다.
상기 결속판(100)의 결속부(120)에는 기본적으로 상기 회전봉(200)이 지지되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해야 한다. 이에 상기 회전봉(200)을 구속하여 회전에 필요한 구성이 자리잡을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필요한데, 그 필요 공간 확보의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상기 결속부(120)를 펼침단(1a) 밖으로 노출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펼침단(1a)의 밖이란 책등부(3)의 반대쪽으로 표지(1)가 연장되는 표지(1)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렇게 표지(1)의 연장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펼침단(1a) 밖에 상기 결속부(120)를 구성하는 것이 본 발명 결속부재(10)가 표지(1)에 가장 최소의 부피로 설치되는 방법이다. 물론, 상기 결속몸판(110)의 겉표면을 향하는 방향인 표지(1)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도 결속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상기 결속부(120)가 표지(1)의 겉표면 쪽으로 상대적으로 더 높게 솟아오르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책자의 적층에 불리할 수 있다.
이 같은 이유로, 상기 회전봉(200)이 지지되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상기 결속판(100)의 결속부(1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은 회전축형 결속부(120a)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3과 같은 볼형 결속부(120b)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한쪽 표지(1)의 펼침단(1a)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축형 결속부(120a)는 중심부에 구비되는 회전공간(121)의 양쪽으로 회전축(122)을 구비하는 한 쌍의 축고정구(123)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한쪽 표지(1)의 겉표면에는 상기 결속몸판(110)이 고정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몸판(110)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형 결속부(120a)가 펼침단(1a)의 밖으로 노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형 결속부(120a)의 양쪽으로 상기 축고정구(12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축고정구(123)의 사이는 공간인 회전공간(1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공간(121)과 접하는 상기 한 쌍의 축고정구(123)의 내측단면에는 상기 회전축(122)이 상기 회전공간(121)을 향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22)은 상기 회전공간(121)을 사이로 서로 대면하는 상기 한 쌍의 축고정구(123)의 내측단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형 회전축(122a)이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축고정구(123)의 내측단면이 홈 형태로 움푹 파여서 형성되는 홈형 회전축(122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축(122) 중 한쪽 회전축(122)은 상기 한쪽 축고정구(123)의 내측단면에 돌출형 회전축(122a)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 회전축(122)은 다른 한쪽 축고정구(123)의 내측면에 홈형 회전축(122b)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형 결속부(120a)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봉(200)의 결속단부(210)에는 축봉(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봉(210a)은 상기 회전축(122)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회전공간(121)에 수용되는데, 이때 축봉(210a)의 양단은 상기 돌출형 회전축(122a), 홈형 회전축(122b) 또는 돌출형과 홈형의 혼합형 회전축(122a,122b)에 대응하여 홈형태의 봉홈(211) 및/또는 돌출형태의 봉축(21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축봉형 결속단부(210a)의 봉홈(211) 및/또는 봉축(212)이 상기 회전축형 결속부(120a)의 회전축(122)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축봉(210a)의 중간부에는 축봉(210a)과 수직하게 일체로 돌출 연장되는 상기 자유단부(2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형 결속부(120a)는, 상기 결속부(120)의 한 쌍의 축고정구(123)가 도 1 및 도 2의 (A) 내지 (D)와 같이 상기 한쪽 표지(1)의 펼침단(1a)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2의 (E)와 같이 펼침단(1a)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A) 내지 (C)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축고정구(123)가 상기 한쪽 표지(1)의 펼침단(1a)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회전축형 결속부(120a)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회전봉(200)은 책등부(3)를 향해 회전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그러나 도 2의 (D)처럼, 한 쌍의 축고정구(123)가 한 쪽 표지(1)의 펼침단(1a)과 나란하게 형성되더라도, 축봉형 결속단부(210a)에 힌지부(23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봉(200)은 자유단부가 펼침단(1a)과 나란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D)와 같이, 상기 항 쌍의 축고정구(123)가 상기 한쪽 표지(1)의 펼침단(1a)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형 결속부(120a)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회전봉(200)은 책등부(3)를 향해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펼침단(1a)과 나란하게 회전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봉(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봉(200)의 자유단부(220)를 탈착시키는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 개방 방향은 변경된다. 즉, 도 1 및 도 2의 (A) 내지 (C)에서 처럼, 상기 회전봉(200)이 책등부(3)를 향해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닫힘결합부(302)의 개방 방향은 다른 한쪽 표지(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된다. 그런데 도 2의 (D) 및 (E)에서 처럼, 상기 회전봉(200)이 펼침단(1a,2a)과 나란하게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닫힘결합부(302)의 개방 방향은 펼침단(1a,2a)과 나란한 방향이 된다.
또한, 펼침단(1a,2a)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결속부(1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한쪽 표지(1)의 겉표면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 회전하여 한쪽 표지(1)의 겉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펼침단(1a,2a)이 펼쳐질 경우 회전봉(200)에 의한 걸림 등의 장애를 발생시키지 않아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회전봉(200)이 상기 결속부(1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2(A)와 같이 상기 회전봉(200)의 자유단부(220)가 책등부(3)를 향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형 결속부(120a)의 경우, 상기 회전봉(200)의 결속단부(210)인 상기 축봉(210a)의 중간부에는 상기 회전봉(200)의 자유단부(220)가 펼침단(1a)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 동작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230)는 통상의 힌지장치로, 축봉(210a)에 돌출형성된 힌지돌출편, 이 힌지돌출편에 형성된 힌지공, 및 상기 힌지돌출편을 수용하는 슬롯의 사이로 상기 힌지공에 힌지봉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힌지슬롯편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230)를 이용하면 상기 회전봉(200)은 펼침단(1a)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결속판(100)의 결속부(120)에는 C자 형태의 클립으로 형성되는 펼침고정구(130)가 구비되는데, 상기 펼침고정구(130)에 상기 힌지부(230)를 통해 펼침단(1a)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한 상기 회전봉(200)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2의 (E)에서 처럼, 상기 회전봉(200)의 자유단부(220)가 펼침단(1a)과 나란하게 회전 동작하는 경우에는 회전봉(200)의 회전동작으로 자유단부(220)가 상기 결속부(120)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회전봉(200)에 상기와 같은 힌지부(230)가 필요하지 않다. 다만, 상기 결속부(120)에는 C자형 클립형태인 상기 펼침고정구(130)를 설치하여 회전봉(200)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상기와는 달리 펼침단(1a,2a)이 펼쳐질 경우, 회전봉(200)에 의한 걸림 등의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봉(200)이 상기 한쪽 표지(1)의 겉표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도 2의 (B)와 (C)처럼 상기 결속부(1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결속부(120)의 회전축(122)은 상기 결속몸판(110)의 겉표면 바깥 쪽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결속부(120)는 상기 결속몸판(110)에 브릿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부(120)와 상기 결속몸판(110)의 이격거리는 상기 회전봉(200)의 길이방향 절단면의 폭보다 크거나 같다. 즉, 봉 형태인 상기 회전봉(200)의 지름크기 이상으로 결속부(120)와 결속몸판(110)의 이격거리를 설정하면, 상기 결속부(120)에 축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00)이 상기 한쪽 표지(1)의 겉표면에 완전히 접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상기 결속부(120)의 회전축(122)은 상기 결속몸판(110)의 겉표면 쪽으로 편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편향이란 결속몸판(110)과 결속부(120)가 서로 이격거리를 형성하지 않은채, 각 구성의 일부가 겹치도록 구성되는 것을 말하며, 결속부(120)에 대해 회전봉(200)이 편심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결속부(120)가 결속몸판(110)의 겉표면 쪽으로 편향되는 정도는 회전봉(200)의 길이방향 절단면의 폭인 회전봉(200)의 지름크기 이상이다. 이렇게 회전봉(200)의 지름크기 이상으로 결속부(120)가 결속몸판(110)의 겉표면 쪽으로 편향되어야 회전봉(200)이 한쪽 표지(1)의 겉표면에 완전히 접하도록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책표지는 표지(1,2)를 책등부(3)를 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책등부(3)의 반대쪽에 위치한 펼침단(1a,2a)이 펼쳐지는 구조이다. 그런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펼침단(1a,2a)이 펼쳐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외력의 발생시에도 상기 회전봉(200)의 자유단부(220)가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에 걸림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회전봉(200)의 자유단부(220)에는 닫힘고정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닫힘고정구(221)는 도면에 표시된 것 처럼 상기 자유단부(220)의 단부보다 확장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자유단부(220)의 일부분을 홈 형태로 파내 주변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닫힘고정구(221)는 이 닫힘고정구(221)의 주변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일정크기 이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가 닫힘고정구(221)에 걸려 펼침단(1a,2a)이 펼쳐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한쪽 표지(1)의 펼침단(1a)에 구비되는 상기 볼형 결속부(120b)는 개방작동공(124)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구(球)형태의 볼수용홀(125)을 내부에 구비하여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볼형 결속부(120b)는 상기 한쪽 표지(1)의 겉표면에 상기 결속몸판(110)이 고정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몸판(110)의 단부 중간부에 상기 볼형 결속부(120b)가 펼침단(1a)의 밖으로 노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볼형 결속부(120b)는 내부에 공모양의 볼수용홀(125)이 형성되고, 상기 볼수용홀(125)은 개방작동공(124)을 통해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볼형 결속부(120b)는 상기 회전봉(2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볼형 결속부(120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회전봉(200)의 결속단부(210)는 상기 볼수용홀(125)에 대응하는 회전볼(210b)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볼(210b)의 상측에 해당하는 회전봉(200)은 상기 개방작동공(12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회전볼(210b)이 상기 볼수용홀(125)에서 자유롭게 회전 동작이 가능하나, 실질적으로는 상기 개방작동공(124)에 그 회전 동작이 구속된다. 또한, 상기 회전볼(210b)로 형성되는 결속단부(210)의 반대쪽인 상기 자유단부(220)는 회전축형 결속부(120a)에서 상술한 상기 회전봉(200)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방작동공(124)은 1개 또는 서로 연결되는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B)는 상기 개방작동공(124)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00)이 펼침단(1a)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1개의 개방작동공(124)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상기 개방작동공(124)은 상기 회전봉(200)이 펼침단(1a)과 나란하게 회전 동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바람직한 상기 회전봉(200)의 회전구간인 개방작동공(124)의 형성구간은 상기 회전봉(200)이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와 상기 결속판(100)의 펼침고정구(13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이다. 상기 닫힘결합부(302)와 펼침고정구(130)는 상술한 회전축형 결속부(120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C) 또한 1개의 상기 개방작동공(124)이 형성됨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도 3(B)의 상기 개방작동공(124)이 펼침단(1a)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반면, 도 3(C)의 상기 개방작동공(124)은 그 형성구간의 양단이 모두 책등부(3)를 향하도록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렇게 상기 1개의 개방작동공(124) 양단을 모두 책등부(3)를 향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1개의 개방작동공(124) 일단까지 회전한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1개의 개방작동공(124) 타단까지 회전한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한쪽 표지(1)의 겉표면에 완전히 밀착되기 때문에 회전봉(200)으로 인한 걸림과 같은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책자를 펼때 회전봉(200)으로 인한 걸림과 같은 장애가 발생하지 않기에 상기 결속판(100)의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봉(200)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상기 펼침고정구(130)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3(A)는 상기 개방작동공(124)이 2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2개의 개방작동공(124) 일단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그 타단은 책등부(3)를 향해 각기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2개의 개방작동공(124)에 회전동작이 구속되는 상기 회전봉(200)은 하나의 개방작동공(124)에 안내되어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개방작동공(124)에 안내되어 상기 결속판(100)의 펼침고정구(13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1,1a: 한쪽 표지 2,2a: 다른 한쪽 표지
3: 책등부 4: 속지
10: 결속부재 100: 결속판
110: 결속몸판 120,120a,120b: 결속부
121: 회전공간 122,122a,122b: 회전축
123: 축고정구 124: 개방작동공
125: 볼수용홀 130: 펼침고정구
200: 회전봉 210,210a,210b: 결속단부
220: 자유단부 221: 닫힘고정구
230: 힌지부 300: 결합판
301: 결합몸판 302: 닫힘결합부
F: 판홈

Claims (10)

  1. 책등부(3)의 양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속지(4)를 감싸는 양쪽 표지(1.2)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펼침단(1a,2a)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책표지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0)는,
    상기 한쪽 표지(1)의 펼침단(1a)에 고정결합되는 결속몸판(110)에 펼침단(1a) 밖으로 노출되는 결속부(120)가 형성되는 결속판(100);
    상기 결속부(120)에 봉 형태의 일단인 결속단부(2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부(220)인 회전봉(200);
    상기 다른 한쪽 표지(2)의 펼침단(2a)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결속부(1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00)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닫힘결합부(302)를 구비하는 결합판(300); 을 포함하는 책표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20)는 중간부에 구비되는 회전공간(121)을 향하는 회전축(122)을 구비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는 축고정구(123)를 갖는 회전축형 결속부(120a)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봉(200)의 결속단부(210)는 상기 회전축(122)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공간(121)에 수용되는 축봉(210a)을 구비하여,
    상기 축봉(210a)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봉(200)이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책표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20)를 상기 결속몸판(110)의 겉표면 쪽으로 편향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결속부(120)를 브릿지로 연결하여 상기 결속몸판(110)의 겉표면 바깥 쪽에 일정거리 이격배치하여,
    상기 결속부(120)에 구속되어 회전 동작하는 상기 회전봉(200)을 상기 한쪽 표지(1)의 겉표면에 접하도록 회전시키는 책표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결속부(120)에 구속되어 책등부(3)를 향해 회전 동작하여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결합되고,
    상기 회전봉(200)의 결속단부(210)에는 상기 자유단부(220)를 펼침단(1a)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동작하게 하는 힌지부(230)가 구비되며,
    상기 결속판(100)의 결속부(120)에는 상기 힌지부(230)를 축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00)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펼침고정구(130)가 더 구비되는 책표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결속부(120)에 구속되어 펼침단(1a)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 동작하여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결합되고,
    상기 결속판(100)의 결속부(120) 단부에는 상기 결속부(120)를 축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00)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펼침고정구(130)가 더 구비되는 책표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판(100)은 상기 한쪽 표지(1)의 단부에 고정결합되는 상기 결속몸판(110)의 바깥 단부에 상기 결속부(120)가 형성되되, 상기 결속부(120)는 개방작동공(124)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구(球) 형태의 볼수용홀(125)이 내부에 형성되는 볼형 결속부(120b)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봉(200)의 결속단부(210)는 상기 볼수용홀(125)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볼(210b)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볼(210b)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개방작동공(124)에 안내되는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책표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작동공(124)은 상기 회전봉(200)이 왕복동작 가능하도록 일정한 형성구간을 갖는 1개의 개방작동공(124)으로 형성되되,
    상기 개방작동공(124)의 형성구간은 펼침단(1a)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작동공(124)의 일단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와 탈착 가능하게 고정결합되고, 상기 개방작동공(124)의 타단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결속판(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펼침고정구(13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개방작동공(124)의 형성구간 양단은 모두 책등부(3)를 향해 진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작동공(124)의 일단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와 탈착 가능하게 고정결합되고, 상기 개방작동공(124)의 타단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한쪽 표지(1)의 겉표면에 접하는 책표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작동공(124)은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그 타단이 모두 책등부(3)를 향해 진행되는 2개의 개방작동공(124)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나의 개방작동공(124)의 타단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와 탈착 가능하게 고정결합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개방작동공(124)의 타단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결속판(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펼침고정구(13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결합되는 책표지.
  9. 제1항, 제2항,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00)은 상기 자유단부(220)에 일정크기 이하의 외력작용시 상기 결합판(300)의 닫힘결합부(302)에 걸림지지되어 펼침단(1a,2a)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닫힘고정구(221)가 더 구비되는 책표지.
  10. 제1항, 제2항,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의 표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고정결합되는 상기 결속판(100)의 접착면 및 상기 결합판(300)의 접착면에는 접착제가 상기 접착면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판홈(F)이 상기 접착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책표지.
KR1020210110924A 2021-08-23 2021-08-23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 KR10254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924A KR102544442B1 (ko) 2021-08-23 2021-08-23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924A KR102544442B1 (ko) 2021-08-23 2021-08-23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983A true KR20230028983A (ko) 2023-03-03
KR102544442B1 KR102544442B1 (ko) 2023-06-20

Family

ID=8551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924A KR102544442B1 (ko) 2021-08-23 2021-08-23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44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960Y1 (ko) 2003-11-28 2004-03-06 서문식 다이어리 잠금장치
KR100789901B1 (ko) * 2006-12-27 2007-12-28 박광춘 밴딩기능을 갖는 양장 제본 다이어리
KR20130082231A (ko) * 2012-01-11 2013-07-19 네오프린텍(주) 분리가능한 식별태그
KR200475906Y1 (ko) 2013-06-27 2015-01-21 허욱 잠금이 가능한 다기능 다이어리
KR20150003874U (ko) 2014-04-15 2015-10-23 주식회사 비핸즈 다이어리 커버
KR20160004454U (ko) * 2015-06-17 2016-12-27 추한용 펜홀더를 구비한 다이어리
KR102075926B1 (ko) 2019-09-09 2020-02-11 추한용 자석 잠금장치가 구비된 다이어리
KR200491616Y1 (ko) 2018-04-26 2020-05-11 주식회사 바이블코리아 결속밴드가 설치된 책 표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960Y1 (ko) 2003-11-28 2004-03-06 서문식 다이어리 잠금장치
KR100789901B1 (ko) * 2006-12-27 2007-12-28 박광춘 밴딩기능을 갖는 양장 제본 다이어리
KR20130082231A (ko) * 2012-01-11 2013-07-19 네오프린텍(주) 분리가능한 식별태그
KR200475906Y1 (ko) 2013-06-27 2015-01-21 허욱 잠금이 가능한 다기능 다이어리
KR20150003874U (ko) 2014-04-15 2015-10-23 주식회사 비핸즈 다이어리 커버
KR20160004454U (ko) * 2015-06-17 2016-12-27 추한용 펜홀더를 구비한 다이어리
KR200491616Y1 (ko) 2018-04-26 2020-05-11 주식회사 바이블코리아 결속밴드가 설치된 책 표지
KR102075926B1 (ko) 2019-09-09 2020-02-11 추한용 자석 잠금장치가 구비된 다이어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442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22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 ear warmer and an ear warmer frame
CN100456988C (zh) 具有装配的衣袋的手提箱
JP3732619B2 (ja) ヒンジ装置
CN106444993B (zh) 一种复合转轴组件、多功能键盘及平板电脑套件
TW573104B (en) Hinge devic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0660696B1 (ko)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CN208618956U (zh) 拉链头锁
KR102544442B1 (ko) 결속부재가 설치된 책표지
US20020078529A1 (en) Spring-loaded hinge and damping arrangement, specifically for a spring-loaded hinge
TW201245938A (en) Hinge device, opening-closing device and portable machine
CN201818110U (zh) 一种把手定位结构
KR10054772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회전 멈춤 장치
KR100988605B1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CN109415921A (zh) 铰接机构和铰接组件
KR100700022B1 (ko)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
CN116069130B (zh) 张紧结构、转轴机构及电子设备
KR100859378B1 (ko) 폴더의 절첩구조
KR101322113B1 (ko) 팝 업 방식의 매립형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KR200276094Y1 (ko) 휴대용 텐트의 절첩구조
TW201042172A (en) Hinge device
KR200423873Y1 (ko) 가방용 괘정구
KR100602678B1 (ko) 글로브 박스의 힌지부
KR200452109Y1 (ko) 슬라이드 개폐장치용 스프링모듈
TWM297995U (en) Multifunctional fireproof door lock
JP3102440U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