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470A - 컨테이너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470A
KR20230027470A KR1020210109291A KR20210109291A KR20230027470A KR 20230027470 A KR20230027470 A KR 20230027470A KR 1020210109291 A KR1020210109291 A KR 1020210109291A KR 20210109291 A KR20210109291 A KR 20210109291A KR 20230027470 A KR20230027470 A KR 20230027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preader
trailer
degre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중
한성기
Original Assignee
지에스아이 주식회사
김세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아이 주식회사, 김세중 filed Critical 지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9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470A/ko
Publication of KR2023002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oisting or lowering heavy load carriers, e.g. freight containers, railway wag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e.g. log saws, pushers for unloading vehicles, means for shunting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적재하는 장치로서, 양측의 레그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일러의 정차 공간 및 상기 컨테이너의 회전 공간을 이루는 크레인 프레임; 상기 컨테이너의 상단에 결합하는 스프레더; 상기 거더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레더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180도 회전시킨 후 내려놓는 트롤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회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회전 장치{CONTAINER ROTATOR}
본 발명은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적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선박으로, 재래의 화물선은 잡화를 하나하나 쌓았으나, 규격형의 상자인 컨테이너에 화물을 넣고 그것을 적하물(積荷物)로 하면, 하역의 수수(手數)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하역이 천후에 관계없이 되며, 하역 작업의 기계화가 되므로 정박 기간의 단축도 된다. 이로 인해 수송능력이 2배 이상으로 되고, 도난 예방도 되며 하물제작비도 대폭 절감되고 다시 철도 수송으로 직결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제조 비용등의 문제로 화물 출입을 위한 도어가 한쪽 측면에만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 적재할 때 신속한 작업을 위해 도어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는다. 도어가 운전석 방향(즉, 전방)을 향하도록으로 놓이게 될 경우에는, 트레일러가 물류창고에 도착하여 도크에 후면으로 접근시키는 경우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다.
한편, 20ft(피트) 컨테이너 2개를 적재하는 트레일러의 경우 두 컨테이너가 도어를 마주하도록 적재된 경우에는 트레일러에서 컨테이너를 내려놓지 않는 이상 화물의 하역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20피트, 40피트를 막론하고 트레일러에 적제하는 컨테이너는 도어의 위치를 후방으로 정렬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59081호, 공개일자 1997년08월12일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도어가 후방을 향하도록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적재하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회전 장치는,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적재하는 장치로서, 양측의 레그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일러의 정차 공간 및 상기 컨테이너의 회전 공간을 이루는 크레인 프레임; 상기 컨테이너의 상단에 결합하는 스프레더; 상기 거더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레더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180도 회전시킨 후 내려놓는 트롤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는 20피트 또는 40피트 규격의 것이고, 상기 트레일러는 상기 20피트 컨테이너를 2개 적재하거나, 상기 40피트 컨테이너를 1개 적재하게 된다.
또한, 적재된 2개의 컨테이너 가운데 선택받은 컨테이너 회전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트레일러의 정차 위치를 표시하는 정위치 표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롤리 및 스프레더를 조작하는 조작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 대상 컨테이너의 인양 작업, 스프레더의 위치 조정, 스프레더의 선회작업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회전 장치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도어가 후방을 향하도록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회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컨테이너 회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회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회전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컨테이너 회전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회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회전 장치(1000)는 트레일러(T)에 적재된 컨테이너(C1, C2)를 들어올려 180도 회전시킨후 다시 트레일러(T)에 적재하는 장치로서, 크레인 프레임(100), 스프레더(300), 트롤리(200), 조작반(400), 정위치 표시기(5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크레인 프레임(100)은 거더 및 거더를 지지하는 레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트레일러의 정차 공간 및 컨테이너의 회전 공간을 형성하도록
Figure pat00001
형태를 가진다. 거더에 트롤리(200)가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비, 유지 보수를 위한 계단과 같은 구조물이 크레인 프레임(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프레더(300)는 컨테이너를 양중하도록 컨테이너의 상단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트롤리(200)는 거더에 배치되어, 스프레더(300)를 일정 높이(예를 들어 3.5미터)로 들어 올려 180도 회전시킨 후 내려놓는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회전 장치(1000)는 20피트 규격 또는 40피트 규격의 컨테이너를 대상으로 한다. 트레일러(T)에 2 개의 20피트 규격 컨테이너(C1, C2)가 적재되었을 때에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컨테이너의 방향을 회전시킨다. 두 컨테이너(C1, C2)가 도어를 마주하도록 적재된 경우에는 회전이 필요한 특정 컨테이너에 대하여 방향을 바꿀 수 있다.
회전 대상 컨테이너의 인양 작업, 스프레더의 위치 조정, 스프레더의 선회작업의 컨트롤은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회전 장치(1000)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적재된 컨테이너의 방향 전환을 수행한다.
1. 도착 및 정위치 단계
트레일러(T)가 컨테이너 회전 장치(1000)에 도착한다. 트레일러 운전사는 트롤리(200) / 스프레더(300)의 가동 위치에 트레일러(T)를 정위치 시킨다.
정확한 위치로 정차를 위해 정위치 표시기(미도시)가 트레일러(T)의 정차 위치를 지면 등에 표시할 수 있다. 정위치 표시기는 레이저 센서, 근접 센서, 지면에 구비되는 위치 표시 마크 등 다양한 방식 중에서 적절한 것이 선택될 수 있다.
2. 잠금장치 해지 단계
운전자가 컨테이너 잠금장치를 해지한다. 컨테이너 회전 장치(1000)는 해지 여부를 확인하는 잠금/풀림 확인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3. 스프레더 포지셔닝 단계
트롤리(200) / 스프레더(300)가 컨테이너에 정확하게 고정되도록 스프레더(300) 하강 전에 위치를 맞춘다. 스프레더(300)는 위치의 정확한 정렬을 위한 카메라와 센서를 구비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4. 스프레더 하강 및 락킹 단계
트롤리(200) / 스프레더(300)의 위치 정렬이 완료되면 스프레더(300)가 컨테이너에 결합한다.
5. 양중 및 회전 단계
컨테이너를 상승시키고 180도 회전시킨다. 리프트 높이는 인접한 장애물 또는 트레일러 헤드에 충돌하지 않을 최소한으로만 상승하여 회전이 이루어진다. 리프트 높이는 3.5미터가 적합하다.
6. 스프레터 포지셔닝 단계
필요에 따라 트롤리(200) / 스프레더(300)의 위치를 재 조정한다.
7. 스프레더 하강 및 락킹 해제 단계
스프레더(300)가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트레일러(T)에 안착시킨다. 안착이 완료되면 락킹을 해제한다.
8. 스프레더 원위치 단계
"1. 도착 및 정위치 단계"에서의 위치로 트롤리(200) / 스프레더(300)의 위치로 원위치 시킨다.
9. 컨테이너 잠금장치 체결 단계
운전자가 컨테이너 잠금장치를 체결하여 컨테이너 회전 작업이 마무리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회전 장치(1000)는 무인 운용(전용 조작자 없이 운용)을 고려한 것으로서, 3단계 ~ 8단계 과정은 자동으로 수행된다. 다만 안전상의 이유 등으로 일부 단계의 진행은 조작원(트레일러 운전자)의 진행 명령 입력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3단계 ~ 8단계 과정은 크레인 프레임(1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조작반(400)에서 수행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우천시에도 작업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조작반(400)은 셸터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자에 따라서는 조작반(400)에 비용 결제(예를 들어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결제 시스템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컨테이너 회전 장치
100 : 크레인 프레임
200 : 트롤리
300 : 스프레더
400 : 조작반

Claims (4)

  1.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적재하는 장치로서,
    양측의 레그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일러의 정차 공간 및 상기 컨테이너의 회전 공간을 이루는 크레인 프레임;
    상기 컨테이너의 상단에 결합하는 스프레더;
    상기 거더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레더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180도 회전시킨 후 내려놓는 트롤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회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재된 1개 또는 2개의 컨테이너 가운데 선택받은 컨테이너 회전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트레일러의 정차 위치를 표시하는 정위치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회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및 스프레더를 조작하는 조작반; 및
    비용 결제을 위한 결제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회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 대상 컨테이너의 인양 작업, 스프레더의 위치 조정, 스프레더의 선회작업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회전 장치.
KR1020210109291A 2021-08-19 2021-08-19 컨테이너 회전 장치 KR20230027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291A KR20230027470A (ko) 2021-08-19 2021-08-19 컨테이너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291A KR20230027470A (ko) 2021-08-19 2021-08-19 컨테이너 회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470A true KR20230027470A (ko) 2023-02-28

Family

ID=8532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291A KR20230027470A (ko) 2021-08-19 2021-08-19 컨테이너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4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9081A (ko) 1996-01-22 1997-08-12 김정국 트랜스퍼 크레인의 회전식 트롤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9081A (ko) 1996-01-22 1997-08-12 김정국 트랜스퍼 크레인의 회전식 트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4078B2 (ja) 貨物を取り扱うシステム
JP4856394B2 (ja) コンテナクレーンの対象物位置計測装置と該対象物位置計測装置を用いた自動荷役装置
US8465244B2 (en) Distribution system
EA012685B1 (ru) Мобильное перева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0098639A (ko)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광학 장치
CN110691752B (zh) 被自动引导的用于集装箱的门式提升装置和用于操作这种门式提升装置的方法
SG194657A1 (en) System for determination of a container's position in a vehicle and/or in its trailer to be loaded with containers
KR101347435B1 (ko) 창고 내의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 특히 표준 컨테이너에서의 화물취급방법
JP4171024B2 (ja) 港湾または内港における荷役設備
KR20230027470A (ko) 컨테이너 회전 장치
CN104822888B (zh) 集成供应链建筑物
JP2022528449A (ja) 多機能貨物移送車及び方法
JP2003517983A (ja) 貨物荷揚げ/船積方法及びその装置
RU2323149C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склада высокоплотного ярусного хранения груза на поддонах
US8978830B2 (en) Lifting apparatus
US20050226713A1 (en) Process for handling cargo and cargo handling facility
KR100507988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JP2008516865A (ja) 40フィートのコンテナをダブル積み下ろしできる両台車コンテナクレーン
CN105829220A (zh) 动态传感器系统和方法
KR101506233B1 (ko)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TWI546241B (zh) 船對船貨櫃運輸系統及其操作方法
US8892243B1 (en) Universal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a container
US20230205226A1 (en) Logistics transport vehicle and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site logistics system
US20230211717A1 (en) Multi-directional cargo loading/unloading system
AU2004213060B2 (en) Transport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