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233B1 -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233B1
KR101506233B1 KR20130144146A KR20130144146A KR101506233B1 KR 101506233 B1 KR101506233 B1 KR 101506233B1 KR 20130144146 A KR20130144146 A KR 20130144146A KR 20130144146 A KR20130144146 A KR 20130144146A KR 101506233 B1 KR101506233 B1 KR 101506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upper plate
trailer
hydraulic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테크
Priority to KR2013014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2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carried in at least one vertical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트레일러 카(100)와 결합 되는 차체 바디(220), 적재화물(A)을 적재하는 바디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상판(230), 상기 차체 바디(220)를 지지하는 바퀴(240)들을 포함하는 트레일러(200); 상기 상판(230)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적재화물(A)을 받쳐주고 로딩시키는 리프터(300); 상기 리프터(300)를 움직여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400); 상기 리프터(300)와 상기 높이조절수단(400)을 상기 상판(230)에 설치하기 위해 상판(230)에 구성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리프터(300)에 힘을 전달하여 움직여 주기 위한 구동수단(500);을 포함함으로써, 트레일러 카에 의해 피 견인되는 트레일러에 적재화물을 필요에 따라 들어올리고 내려 적재화물의 상하차 및 화물 적재 공간의 효율적 운용과 활용도를 높이고 작업성과 안전성을 개선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FOR UPPER LAYER PLATE OF TRAILER}
본 발명은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트레일러 카에 의해 피 견인되는 트레일러 상판에 적재화물을 필요에 따라 들어올리고 내려주는 리프터를 설치하여 적재화물의 상차(loading)와 하차(unloading) 및 화물 적재공간의 효율적 운용과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트레일러는 대규모 화물 운송 및 운반용 장비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각종 플랜트 설비, 대형 구조물, 압력 용기, 선박 건조용 구조물 등(이하, '적재화물'로 한다)을 트레일러의 상판 적재부에 상차(loading)시키고 트레일러 카를 통해 트레일러를 끌어서 근원거리 목적지로 적재화물을 운반한 후 정해진 위치에 적재화물을 내려 하차(unloading)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트레일러 상판 위에 올려진 대면적 고 하중 적재화물을 트레일러로부터 내리거나 하역 작업을 할 때 적재화물을 트레일러 상판으로부터 들어올리는 고 하중 리프트 장비를 별도로 운행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운반 비용과 별개로 보조 장비 사용에 따른 하차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적재화물의 하차 장소가 지붕이 있는 건물의 내부일 경우 고 하중 리프트 장비 사용 자체가 불가능하여 하차 작업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를 도 1 및 도 2의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고 하중 대면적 적재화물(A)을 운반하는 대형 구조물 운반 전용 트레일러(10)와 그 트레일러(10)를 끄는 트레일러 카(20)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 및 운송용 트레일러(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트레일러(10)의 개략적인 구조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평면도 이다. 트레일러(10)의 주요 부분은 트레일러 카(20)와 결합되는 커넥터 부분(11)을 포함하는 차체 바디(12) 및 적재화물(A)을 적재하는 상판(13), 바디(12)를 지지하는 여러 개의 바퀴(14)들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트레일러(10)의 상판(13)에 대한 적재화물(A)의 상차와 하차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포함하여 운반이 필요한 적재화물(A)은 크레인(30) 등의 들어올리는 기구 등으로 트레일러(10)의 상판(13) 높이 까지 들어올리고 적재화물(A)을 트레일러(10)의 상판(13) 중심부 근처로 이동시켜 상판(13) 위에 천천히 내려놓는다. 그 후 적재화물(A)이 상판(13) 위에서 구르거나 움직이지 못하도록 와이어 또는 체인 등으로 결속하여 적재화물(A)을 싣는 작업을 마친다. 이렇게 적재화물(A)의 상차가 완료되면 트레일러 카(20)를 트레일러 바디(12)의 커넥터 부분(11)과 연결한 후 트레일러 카(20)을 운행하여 목적지로 적재화물(A)을 운반한다.
목적지에 도착하면 먼저 트레일러(10)에 실린 적재화물(A)의 하차 방법을 선택한다. 공장 안에 적재화물을 내릴 경우 작업 조건 등을 감안하여 크레인 등의 하차용 장비 등을 선택한다.
적재화물을 공장 안에 하차시킬 경우 트레일러(10)를 공장 안까지 진입하도록 하고 공장 밖에 하차시킬 경우 사전에 적재화물의 적재 위치를 선정하여 크레인 등의 하차용 중장비를 운용하여 적재화물을 내려놓게 된다.
한편 적재화물을 공장 안에 하차시킬 경우 트레일러에 실려 있는 적재화물의 최대 높이가 공장 출입문의 최대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트레일러의 진입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는 별도의 트랜스 포터 등을 이용하여 먼저 적재화물을 하차시켜 다시 운반용 차량인 프랜스 포터에 옮겨 실은 후 프랜스 포터를 공장 안으로 진입시키는 방법으로 적재화물을 공장 안에 하차시키게 된다. 트랜스 포터는 조선소에서 선박건조 스케줄에 따라 기중기, 크레인, 타워크레인, 천정크레인 등과 함께 흔히 사용되는 운반용 차량이다.
고 하중 대면적 중량물의 적재화물을 필요로 하는 위치에 하차시키기 위하여 트랜스 포터를 이용하는 작업 방식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 시간과 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만큼 안전 사고 발생률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레일러에 적재된 상태의 고하중 적재화물을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내릴 경우 크레인 장비 운용에 따른 비용 발생과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길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트레일러에 싣는 적재화물의 효율적인 상하차를 유도하기 위한 예가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48226호는 '윙 바디 트레일러의 이중 가변식 적재함'에 관한 기술이다. 트레일러의 공간활용도를 높여 효율적인 화물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화물을 싣고 내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유도하지 못한다. 또 다른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0078731호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2 단식 적재함에 의해 극대화된 적재량에 의해 물류비용을 절감하는 것에 관한 기술로서 모두 적재화물의 적재 효율성 제고와 관련된 기술들로서 적재화물의 상차와 하차 작업성을 개선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과 관련이 없다.
이와 같이 트레일러에 고하중 대면적의 적재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있어서 상차와 하차 작업 시간을 줄이고 상하차 작업을 위한 주변 투입 장비(크레인, 트랜스 포터 등)의 운용을 최대한 적게 하여 상 하차에 투입되는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간단한 방법으로 적재화물을 트레일러에 싣고 내릴 수 있는 안전하면서도 고신뢰성으로 운용될 수 있는 새로운 트레일러를 필요로 하였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48226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7873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일러에 고하중 대면적의 적재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있어서 상차와 하차에 드는 작업 시간과 투입되는 비용을 줄이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일러에 대한 적재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위한 주변 장비 투입을 줄여 간단하게 적재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재화물의 상하차에 투입되는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간단한 방법으로 적재화물을 트레일러에 싣고 내릴 수 있고 안전하게 적재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형 또는 비평형 적재화물 처리에 신속하게 대응하면서도 상하차 작업이 용이한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차량 엔진이 탑재된 트레일러 카; 상기 트레일러 카와 결합 되는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차체 바디, 적재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바디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상판, 상기 차체 바디를 지지하는 바퀴들을 포함하는 트레일러; 상기 상판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적재화물을 받쳐주고 로딩시키는 리프터; 상기 리프터를 움직여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 상기 리프터와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상기 상판에 설치하기 위해 상판에 구성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리프터에 힘을 전달하여 움직여 주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리프터를 상판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상판과 리프터 사이에서 상판을 기준으로 리프터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센서; 및 수평위치를 검출하는 수평위치검출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리프터가 상판과 구분되는 면적을 갖는 적재 패널; 적재화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 패널의 표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리프터가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셀 단위 플레이트로 상판 위에 배열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전체 또는 셀 단위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리프터의 높이조절수단이 트레일러 카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을 중심으로 리프터를 종축 방향에서 받쳐주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들;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의 유동을 막고 리프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리프터의 수평이동수단이 트레일러 카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을 중심으로 리프터를 횡축 방향에서 밀거나 당기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들;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의 유동을 막고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상판에 형성되어 상판을 따르는 리프터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트랙;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구동수단이 차량 엔진의 구동력으로 유압 동력을 생성하는 유압발생부; 유압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유압실린더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들에 대한 공급을 제어하는 유압밸브; 유압밸브에 조작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유압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구동수단이 리프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구동수단이 리프터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센서의 검출신호 또는 컨트롤러의 조작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제어부에 입력하여 종축 방향 유압실린더를 가동하는 해당 유압밸브를 여닫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구동수단이 리프터의 수평 위치를 검출하는 수평위치검출센서의 검출신호 또는 컨트롤러 조작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제어부에 입력하여 횡축 방향 유압실린더를 가동하는 해당 유압밸브를 여닫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차량 엔진이 탑재된 트레일러 카; 트레일러 카와 결합 되는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차체 바디, 적재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바디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상판, 차체 바디를 지지하는 바퀴들을 포함하는 트레일러; 상판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적재화물을 받쳐주고 로딩시키는 리프터; 리프터를 움직여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 리프터와 높이조절수단들을 상판에 설치하기 위해 상판에 구성된 가이드 수단; 리프터에 힘을 전달하여 움직여 주기 위한 구동수단; 리프터를 상판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리프터의 높이조절수단이 트레일러 카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을 중심으로 리프터를 종축 방향에서 받쳐주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들;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의 유동을 막고 리프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리프터의 수평이동수단이 트레일러 카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을 중심으로 리프터를 횡축 방향에서 밀거나 당기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들;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의 유동을 막고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판에 형성되어 상판을 따르는 리프터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트랙;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구동수단이 차량 엔진의 구동력으로 유압 동력을 생성하는 유압발생부; 유압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유압실린더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들에 대한 공급을 제어하는 유압밸브; 유압밸브에 조작신호를 입력하여 유압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판과 리프터 사이에서 상판을 기준으로 리프터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센서; 및 수평위치를 검출하는 수평위치검출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트레일러에 고 하중 대면적의 적재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있어서 트레일러 자체 구조를 통해 상차와 하차 작업 시간을 줄이고 경제적으로 적재화물의 상차와 하차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트레일러에 대한 적재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위한 주변 장비 사용을 줄여 간단하게 적재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적재화물의 상하차에 투입되는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간단한 방법으로 적재화물을 트레일러에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적재화물의 운반과 운송 및 하역 등에서 작업 안정성을 높여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평형 또는 비평형 형상 등의 다양한 적재화물의 상차와 하차가 가능하면서도 상하차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레일러 운용 방식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2의 (a)(b)는 종래의 트레일러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도 3은 트레일러에 적재화물을 적재하는 상차작업 예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을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수단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의 높이조절 및 그에 따른 적재화물의 상차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의 수평방향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 및 유압 제어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형 트레일러는 적재화물이 적재되는 상판이 부동적인 경우 다양한 형상의 대면적 고 하중 적재화물을 상판에 적재하는데 불리할 뿐만 아니라 하차시 구조물 형상에 영향을 받아 최종 하차 목표지점에 적재화물을 하차하는데 있어서도 불리하고 상차와 하차에도 시간이 많이 들고 보조 장비 투입도 대규모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따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트레일러에 고하중 대면적의 적재화물을 싣고 내릴 때 작업 시간과 크레인 및 트랜스 포터 등의 주변 보조 장비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적재화물의 운반과 운송 및 하역 등에서 작업 안정성을 높이고 평형 또는 비평형 형상 등의 다양한 적재화물의 상차와 하차가 가능하면서도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엔진(110)이 탑재된 트레일러 카(100)에 적재화물(A)을 싣는 트레일러(200)가 커넥터 부분(210)을 통해 결합 된다.
트레일러(200)는 트레일러 카(100)와 결합 되는 상기 커넥터 부분(210)을 포함하는 차체 바디(220)로 구성되고, 적재화물(A)을 적재하기 위해 바디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상판(230)으로 구성되며, 차체 바디(220)를 지지하는 바퀴(240)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트레일러(200)에는 리프터(300)가 구성되는데 리프터(300)는 상판(230)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적재화물(A)을 받쳐주고 로딩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리프터(300)를 움직여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400)을 포함하며 리프터(300)와 높이조절수단(400)을 상판(230)에 설치하기 위해 상판(230)에 구성된 가이드 수단, 그리고 리프터(300)에 힘을 전달하여 움직여 주기 위한 구동수단(500)을 포함한다.
또한 리프터(300)를 상판(230)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600)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의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수단(400)의 구체적 구성 예가 나타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의 수평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평이동수단(600)의 구체적 구성 예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수단(400)과 수평이동수단(600)은 상판(230)과 리프터(300) 사이에서 상판(230)을 기준으로 리프터(300)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센서(S1)와 수평위치를 검출하는 수평위치검출센서(S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터(300)는 상판(230)과 구분되는 면적을 갖는 적재 패널(310)과 적재화물(A)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 패널(310)의 표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표면(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리프터(300)는 하나 이상 복수로 상판(230)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통상의 트레일러 상판 표면에 미끄럼 방지 표면을 형성하는 것과는 상이한 결과를 얻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리프터 A/B/C..N들은 미끄럼 방지 표면(320)을 서로 다르게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적재화물(A)을 트레일러에 싣고 내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는 운송 중 적재화물(A)의 유동을 막을 수 있다.
미끄럼 방지 표면(320)의 마찰계수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고무 패드를 장착하거나 또는 리프터(300) 표면 형상을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을 통해 사전에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트레일러의 후미 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리프터(300)의 표면 마찰력을 낮게 하고 중앙부에 위치하는 리프터(300)의 마찰력 크게 하는 경우 적재화물(A)을 밀어서 상차할 때 용이하게 후미부를 통해 끌어내려 하차시킬 때 낮은 마찰력으로 쉽게 적재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의 높이조절 및 그에 따른 적재화물의 상차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의 수평방향 작동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터(300)는 상판(230)의 전체를 커버 하는 형식으로 한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리프터(300)가 한 개 이상의 셀 단위 플레이트로 상판(230) 위에 배열된 예이고 각각의 리프터(300)들은 구동수단(500)에 의해 전체 또는 셀 단위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예이다.
셀 단위로 상판(230)을 따라 배열되는 리프터(300)는 도 7과 같이 각각 높이조절수단(400)에 의해 지지 된다. 높이조절수단(400)은 트레일러 카(100)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230)을 중심으로 리프터(300)를 종축 방향에서 받쳐주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410) 및 유압실린더(410)의 실린더 로드(420)의 유동을 막고 리프터(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30)로 구성된다.
셀 단위로 상판(230)을 따라 배열되는 리프터(300)는 도 8과 같이 각각 수평이동수단(400)에 의해 상판(23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리프터(300)의 수평이동수단(600)은 트레일러 카(100)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230)을 중심으로 리프터(300)를 횡축 방향에서 밀거나 당기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610)과 유압실린더(610)의 실린더 로드(611)의 유동을 막고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620), 그리고 상판(230)에 형성되어 상판(230)을 따르는 리프터(3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트랙(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트랙(630)은 상판(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판(230)을 절결한 슬라이드 홀과 같다. 따라서 리프터(300)의 높이 조절을 위해 상판(230)에 종축 방향으로 유압실린더(410)들을 장착하는 경우 슬라이드 트랙(630)을 자유롭게 이동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 및 유압 제어 블럭도 이다. 구동수단(500)은 도 9를 참조하면 차량 엔진(110)의 구동력으로 유압 동력을 생성하는 유압발생부(120), 유압발생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유압실린더(410)(610)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유압실린더(410)(610)들에 대한 공급을 제어하는 유압밸브(520), 유압밸브(520)에 조작 신호를 입력하여 유압밸브(5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유압밸브(52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다양한 형식의 전자밸브 들을 포함한다. 수조작으로 조작되는 통상의 개폐밸브들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경우는 유압 이상 등과 같은 비상 제어를 위한 예비용 구비될 수 있으며 상시적으로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여닫히는 전자밸브가 선택된다.
구동수단(500)은 리프터(300)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수단(500)은 리프터(300)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센서(S1)의 검출신호 또는 컨트롤러(530)의 조작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제어부(510)에 입력하여 종축 방향 유압실린더(410)를 가동하는 해당 유압밸브(520)를 열고 닫음으로써 수직 방향 유압실런더(410)의 실린더 로드 스트로크에 상응하는 리프터(300)의 높이 'h1' 조절을 유도한다.
여기서 리프터(300)의 높이는 높이검출센서(S1)를 통해 검출되고 그 검출 정보는 제어부(510)에 입력된다. 사전에 높이 설정 기준 값을 제어부(510)에 세팅해 놓으면 제어부(510)는 현재 높이를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 연산하여 유압밸브(520)를 개폐하고 이를 통해 리프터(300)의 높이는 설정 기준 높이에 맞추어 조절되는 자동 높이 조절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터(300)의 높이 조절 기능은 한 개 이상으로 배열된 리프터(300)의 신속한 정열에 유용하다. 즉 리프터의 사용 유무와 관련되는 자세 변화를 초기화 상태로 쉽게 되돌려 줄 수 있으므로 리프터(300)의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구동수단(500)은 리프터(300)의 수평 위치를 검출하는 수평위치검출센서(S2)의 검출신호 또는 컨트롤러(530) 조작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제어부(510)에 입력하여 횡축 방향 유압실린더(610)를 가동하는 유압밸브(520)를 여닫아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유압실린더(610)의 로드 스트로크에 상응하는 리프터(300)의 수평 위치 'L1'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판(230)에 배열된 리프터(300)의 수평 위치는 위치검출센서(S2)를 통해 검출되고 그 검출 정보는 제어부(510)에 입력된다. 사전에 리프터(300)의 위치를 지정하여 기준 값을 설정하여 제어부(510)에 세팅해 놓으면 제어부(510)는 현재 리프터(300)의 위치를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 연산하여 유압밸브(520)를 개폐하고 이를 통해 리프터(300)의 위치는 설정 기준 위치에 맞추어 조절되는 자동 위치 조절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위치 조절 기능은 한 개 이상으로 배열된 리프터(300)의 신속한 정열에 유용하다. 즉 리프터의 사용 유무와 관련되는 자세 변화를 초기화 상태로 쉽게 되돌려 줄 수 있으므로 리프터(300)의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엔진(110)이 탑재된 트레일러 카(100)에 트레일러(2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트레일러(200)는 트레일러 카(100)와 결합 되는 커넥터 부분(210)을 포함하는 차체 바디(220), 적재화물(A)을 적재하기 위해 바디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상판(230), 차체 바디(220)를 지지하는 바퀴(240)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판(230)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적재화물(A)을 받쳐주고 로딩시키는 리프터(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리프터(300)를 움직여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400), 리프터(300)와 높이조절수단(400)을 상기 상판(230)에 설치하기 위해 상판(230)에 구성된 가이드 수단, 리프터(300)에 힘을 전달하여 움직여 주기 위한 구동수단(500), 리프터(300)를 상판(230)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리프터(300)의 높이조절수단(400)을 구비하며 그 높이조절수단(400)은 트레일러 카(100)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230)을 중심으로 리프터(300)를 종축 방향에서 받쳐주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410)들과 유압실린더(410)의 실린더 로드(420)의 유동을 막고 리프터(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리프터(300)의 수평이동수단(600)을 구비하며 그 수평이동수단(600)은 트레일러 카(100)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230)을 중심으로 리프터(300)를 횡축 방향에서 밀거나 당기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610)들과 유압실린더(610)의 실린더 로드(611)의 유동을 막고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620); 및 상기 상판(230)에 형성되어 상판(230)을 따르는 리프터(3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트래랙(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는 구동수단(500)을 구비하며 그 구동수단(500)은 차량 엔진(110)의 구동력으로 유압 동력을 생성하는 유압발생부(120), 유압발생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유압실린더(410)(610)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유압실린더(410)(610)들에 대한 공급을 제어하는 유압밸브(520), 유압밸브(520)에 조작신호를 입력하여 유압밸브(5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30), 그리고 제어부(510)를 포함하며, 상판(230)과 리프터(300) 사이에서 상판(230)을 기준으로 리프터(300)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센서(S1) 및 수평위치를 검출하는 수평위치검출센서(S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의 운용 방법은 먼저 리프터(300)의 위치를 적재화물(A)에 맞추어 리프터(300)의 높이 또는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적재화물을 리프터(300)에 올리거나 운송 후 적재화물(A)을 내릴 때 다시 가장 유리한 작업 조건에서 적재화물(A)을 내릴 수 있도록 적재화물(A)의 위치를 조절한다.
고 하중 대면적의 적재화물(A)을 리프터(300)에 상차할 경우 먼저 리프터(3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리프터(300)의 높이는 적재화물(A)을 싣는데 가장 적합한 위치에 세팅한다. 리프터(300)의 높이는 컨트롤러(530)를 통한 수 조작 또는 제어부(510)를 통해 조절하거나 제어한다.
트레일러(200) 위에 적재화물(A)을 밑으로 내려서 싣는 하향식 적재 작업의 경우 적재화물(A)에 최대한 근접되는 위치로 리프터(300)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리프터(300) 위에 적재화물(A)을 실을 수 있다. 반대로 상량식 적재의 경우 리프터(300)의 높이를 최대한 낮춘 후 적재화물(A)을 실을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을 줄이고 쉽고 안전하게 적재화물(A)을 실을 수 있다.
또한 적재화물(A)의 형상에 따라 리프터(300)들의 높이 및 수평 위치를 바로잡거나 교정이 가능하므로 적재화물(A)의 형상을 감안하여 각각의 리프터(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안전하면서도 쉽게 적재화물(A)을 트레일러(200)의 리프터(300) 위에 실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적재화물(A)의 바닥이 평면이 아니고 중심부가 돌출된 비평면형인 경우 적재화물(A)을 트레일러에 실은 예로서 적재화물(A)의 돌출 부분이 접촉하는 부분의 리프터(300) 높이를 낮추고 그 외곽에 위치하는 리프터(300)들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높여 전체적으로 리프터(300) 위에서 적재화물(A)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받쳐준 상태이다.
한편 트레일러(200)의 리프터(300)에 적재화물(A)을 싣고 트레일러 카(100)를 운행하여 목적지로 운송을 완료 한 후 리프터(300)에 실린 적재화물(A)을 목표지점에 내려 하역 작업을 실시할 경우 필요에 따라 리프터(300)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어 조절하거나 또는 최대한 높여 하역 작업을 가장 유리한 조건에서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예를 들면 목표 지점에 적재화물(A)을 내려놓는 하역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적재화물의 근거리 이동을 위한 트랜스 포터를 사용하지 않고 리프터(300)의 수평 위치 이동 및 높이 조절을 통해 적재화물(A)의 하역 작업을 최대한 유리한 조건에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트레일러의 상판이 동적으로 가변되므로 적재화물 특성과 상하차 작업 조건 등을 고려하는 적재화물의 상하차 위치 조절과 선택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적재화물 취급에서 작업 위험도를 낮추고 상하차 작업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준다.
본 발명은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트레일러 카 110: 차량 엔진
200: 트레일러 210: 커넥터 부분
220: 차체 바디 230: 상판
240: 바퀴 300: 리프터
310: 적재 패널 320: 미끄럼 방지 표면
400: 높이조절수단 410: 유압실린더
420: 실린더 로드 430: 가이드부
500: 구동수단 600: 수평이동수단
610: 유입실린더 611: 실린더 로드
620: 가이드부 630: 슬라이드 트랙

Claims (15)

  1. 차량 엔진(110)이 탑재된 트레일러 카(100); 상기 트레일러 카(100)와 결합 되는 커넥터 부분(210)을 포함하는 차체 바디(220), 적재화물(A)을 적재하는 바디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상판(230), 상기 차체 바디(220)를 지지하는 바퀴(240)들을 포함하는 트레일러(200); 상기 상판(230)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적재화물(A)을 받쳐주고 로딩시키는 리프터(300); 상기 리프터(300)를 움직여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400); 상기 리프터(300)와 상기 높이조절수단(400)을 상기 상판(230)에 설치하기 위해 상판(230)에 구성된 가이드 수단; 상기 리프터(300)에 힘을 전달하여 움직여 주기 위한 구동수단(500); 및
    상기 트레일러 카(100)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230)을 중심으로 리프터(300)를 횡축 방향에서 밀거나 당기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610)들, 상기 유압실린더(610)의 실린더 로드(611)의 유동을 막고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620) 및 상기 상판(230)에 형성되어 상판(230)을 따르는 리프터(3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트랙(630)을 포함하는 수평이동수단(600);을 포함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30)과 리프터(300) 사이에서 상판(230)을 기준으로 리프터(300)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센서(S1); 및 수평위치를 검출하는 수평위치검출센서(S2);를 포함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300)는 상판(230)과 구분되는 면적을 갖는 적재 패널(310); 적재화물(A)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 패널(310)의 표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 표면(320);을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 표면(320)의 마찰계수는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리프터(300)에 비해 중앙부 근처에 위치하는 리프터(300)의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된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300)가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셀 단위 플레이트로 상판(230) 위에 배열되고 상기 구동수단(500)에 의해 전체 또는 셀 단위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300)의 높이조절수단(400)은 상기 트레일러 카(100)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230)을 중심으로 리프터(300)를 종축 방향에서 받쳐주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410)들;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실린더 로드(420)의 유동을 막고 리프터(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30);를 포함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0)은 차량 엔진(110)의 구동력으로 유압 동력을 생성하는 유압발생부(120); 상기 유압발생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유압실린더(410)(610)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유압실린더(410)(610)들에 대한 공급을 제어하는 유압밸브(520); 상기 유압밸브(520)에 조작 신호를 입력하여 유압밸브(5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30);를 포함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0)은 상기 리프터(300)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10);를 더 포함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또는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0)은 상기 리프터(300)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센서(S1)의 검출신호 또는 컨트롤러(530)의 조작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510)에 입력하여 종축 방향 유압실린더(410)를 가동하는 해당 유압밸브(520)를 여닫도록 구성된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또는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0)은 상기 리프터(300)의 수평 위치를 검출하는 수평위치검출센서(S2)의 검출신호 또는 컨트롤러(530) 조작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510)에 입력하여 횡축 방향 유압실린더(610)를 가동하는 유압밸브(520)를 여닫도록 구성된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12. 차량 엔진(110)이 탑재된 트레일러 카(100); 상기 트레일러 카(100)와 결합 되는 커넥터 부분(210)을 포함하는 차체 바디(220), 적재화물(A)을 적재하는 바디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상판(230), 상기 차체 바디(220)를 지지하는 바퀴(240)들을 포함하는 트레일러(200); 상기 상판(230)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적재화물(A)을 받쳐주고 로딩시키는 리프터(300); 상기 리프터(300)를 움직여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400); 상기 리프터(300)와 상기 높이조절수단(400)을 상기 상판(230)에 설치하기 위해 상판(230)에 구성된 가이드 수단; 상기 리프터(300)에 힘을 전달하여 움직여 주기 위한 구동수단(500); 상기 리프터(300)를 상판(230)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리프터(300)의 높이조절수단(400)은 상기 트레일러 카(100)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230)을 중심으로 리프터(300)를 종축 방향에서 받쳐주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410)들;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실린더 로드(420)의 유동을 막고 리프터(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30);를 포함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300)의 수평이동수단(600)은 상기 트레일러 카(100)의 엔진 구동 유압으로 작동하고 상판(230)을 중심으로 리프터(300)를 횡축 방향에서 밀거나 당기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압실린더(610)들; 상기 유압실린더(610)의 실린더 로드(611)의 유동을 막고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620); 및 상기 상판(230)에 형성되어 상판(230)을 따르는 리프터(3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트랙(630);을 포함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0)은 차량 엔진(110)의 구동력으로 유압 동력을 생성하는 유압발생부(120); 상기 유압발생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유압실린더(410)(610)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유압실린더(410)(610)들에 대한 공급을 제어하는 유압밸브(520); 상기 유압밸브(520)에 조작신호를 입력하여 유압밸브(5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30); 그리고 제어부(510)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230)과 리프터(300) 사이에서 상판(230)을 기준으로 리프터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센서(S1) 및 수평위치를 검출하는 수평위치검출센서(S2);를 더 포함하는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KR20130144146A 2013-11-25 2013-11-25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KR101506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4146A KR101506233B1 (ko) 2013-11-25 2013-11-25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4146A KR101506233B1 (ko) 2013-11-25 2013-11-25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233B1 true KR101506233B1 (ko) 2015-04-07

Family

ID=5303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4146A KR101506233B1 (ko) 2013-11-25 2013-11-25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2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889B1 (ko) * 2009-06-05 2010-02-09 지이티 주식회사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KR20110105600A (ko) * 2010-03-19 2011-09-27 (주)범창종합기술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및 컨테이너 이/적재 방법
KR20110105598A (ko) * 2010-03-19 2011-09-27 (주)범창종합기술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
KR20120038711A (ko) * 2010-10-14 2012-04-24 (주) 대동인터내셔날 모바일 데크 리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889B1 (ko) * 2009-06-05 2010-02-09 지이티 주식회사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KR20110105600A (ko) * 2010-03-19 2011-09-27 (주)범창종합기술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및 컨테이너 이/적재 방법
KR20110105598A (ko) * 2010-03-19 2011-09-27 (주)범창종합기술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
KR20120038711A (ko) * 2010-10-14 2012-04-24 (주) 대동인터내셔날 모바일 데크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739B2 (en) Topper lift system and method
US8128064B2 (en) Floor-bound transportation vehicle, in particular for the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US7909561B2 (en) Tow truck with underlift control
EP2128074B1 (en) Straddle carrier
RU2622435C1 (ru) Крупнотоннажный погрузчик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ри строительстве большого корабля или морской установки
KR101549365B1 (ko)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JP2014065488A (ja) コンテナ積み替えシステム
EP3722150B1 (en) A latch for use with a remotely adjustable decking system
CN104936885A (zh) 在多甲板纯汽车/卡车运输船(pctc)上举升承载汽车/卡车的甲板面板的方法和设备
US20150232134A1 (en)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JP4966674B2 (ja) 立体格納庫およびそれによるコンテナの荷役方法
KR101579685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RU2638340C2 (ru) Способ наладки и эксплуатации погрузочной платформ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CN202670800U (zh) 一种移动式液压登车桥
KR101506233B1 (ko) 트레일러의 상판 리프팅 장치
US20160167931A1 (en) Automate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metal goods-transportation boxes for stowage on ships
US10329130B2 (en) Lift chain tension relieving devices and methods
KR101231189B1 (ko) 승강식 컨테이너
CN203392819U (zh) 重型平板运输车偏载保护装置
NL2011391C2 (en) Method for arranging a pile on a vessel.
US8398357B2 (en) Parcel delivery truck with lift or hoist unit
KR102099149B1 (ko) 화물차용 호이스트 장치
KR200359892Y1 (ko) 하부 적재함과 이중 가변식 더블데크 적재함을 구비한 트레일러
KR101740933B1 (ko) 카고 크레인 차량용 셀프 로더 장치
KR102361388B1 (ko) 선박용 차량 데크 일괄 리프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