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425A - 카메라 제어 방법, 장치 및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 - Google Patents

카메라 제어 방법, 장치 및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425A
KR20230026425A KR1020237001770A KR20237001770A KR20230026425A KR 20230026425 A KR20230026425 A KR 20230026425A KR 1020237001770 A KR1020237001770 A KR 1020237001770A KR 20237001770 A KR20237001770 A KR 20237001770A KR 20230026425 A KR20230026425 A KR 20230026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isplay
glass
convex
lamp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 까오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2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 장치 및 언더스크린 카메라 구조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카메라가 턴-온 상태이면,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램프 비드를 턴-오프하고,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비-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및 카메라가 턴-오프 상태이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가 모두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 백라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카메라가 턴-온될 때,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카메라에 대해 광 보충을 수행하므로,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가 제한된 광의 입사로 인해 주변광이 약할 때 촬영 효과가 좋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여, 주변광이 약할 때의 촬영 효과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카메라 제어 방법, 장치 및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단말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카메라 제어 방법, 장치 및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풀스크린이란 말 그대로 휴대폰의 앞면이 모두 스크린이라는 뜻이며, 휴대폰의 4개의 베젤 위치가 모두 베젤이 없게 디자인되어 100%에 가까운 화면 비율을 추구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현재 기술의 제한으로 인해, 현재로서는 화면 비율이 매우 높은 휴대폰일 뿐으로, 휴대폰 앞면의 화면 비율이 100%인 휴대폰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모두가 말하는 풀스크린 휴대폰이란 화면 비율이 90% 이상에 도달할 수 있고, 초슬림 베젤 디자인을 갖는 휴대폰이다.
모든 풀스크린 휴대폰 제조업체는, 사용자의 일상적인 수요로 인해 수화기, 전면 카메라 및 다양한 센서가 반드시 휴대폰 앞면에 배치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소자들이 휴대폰 앞면에 배치될 경우 필연적으로 디스플레이 면적의 일부를 차지하게 되는 공통의 문제에 직면하고 해결해야 한다. 현재의 주요한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모두 이러한 기능 소자가 차지하는 면적을 축소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 자체의 풀스크린 휴대폰을 출시하였고, “M자 탈모 스크린”, “물방울 스크린”, “구멍이 뚫린 스크린” 등과 같은 다양한 풀스크린이 잇달아 등장하였다.
관련 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모듈, 광유도 부재 및 광원 부재가 포함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백라이트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고,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개공이 설치된다. 상기 광유도 부재는 상기 제1 개공에 삽입되어, 상기 광유도 부재에 진입되는 라이트빔을 상기 제1 개공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영역으로 안내한다. 상기 광원 부재는 상기 광유도 부재에 광원을 제공한다. 상기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가 작동될 때, 상기 광원 부재가 턴-오프되고, 상기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광원 부재가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관통홀 또는 블라인드홀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다시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 품질을 여전히 유지한다.
측면 광유도 부재를 통해 광원을 제공하게 되면, 광선 방향을 조정하고 모을 수 없어 대부분의 광선이 상방을 향해 유리 영역으로 입사될 수 없어 백라이트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아울러, 전면 카메라 사용 시, 보상 광선을 제공할 수 없다.
관련 기술에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가 제한된 광의 입사로 인해 주변광이 약할 때 촬영 효과가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어도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가 제한된 광의 입사로 인해 주변광이 약할 때 촬영 효과가 좋지 않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 방법, 장치 및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를 제공하고, 이는 디스플레이 유리 및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방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의 상측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에 개공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는 상기 개공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를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면 유리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면 유리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는 환형 원뿔 구조의 하나의 플렉서블 회로 기판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을 둘러싸고,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에는 상기 카메라 단부로부터 상기 볼록면 유리 단부까지 복수의 램프 비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카메라가 턴-온 상태이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에서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는 턴-오프 상태이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는 점등 상태이며,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비-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가 턴-오프 상태이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는 모두 점등 상태이고, 상기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 백라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는 최대 밝기 값이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경사 각도는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brightness),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를 도통시키고, 백라이트 칩에 연결되며, 상기 백라이트 칩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밝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이는,
카메라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를 턴-오프하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비-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되, 상기 카메라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 및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상측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에 개공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는 상기 개공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를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면 유리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면 유리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는 환형 원뿔 구조의 하나의 플렉서블 회로 기판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을 둘러싸며,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에는 상기 카메라 단부로부터 상기 볼록면 유리 단부까지 복수의 램프 비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가 모두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 백라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를 턴-오프하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 상기 볼록면 유리의 라디안 및 상기 램프 비드의 발광각에 따라,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광선이 상기 볼록면 유리를 거쳐 반사된 후의 광선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광선 각도, 상기 램프 비드의 발광각 및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에 따라, 상기 제1 유형 램프 비드 및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및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및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경사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개수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배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최대 밝기 값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백라이트 칩을 통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를 도통시키며, 상기 백라이트 칩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 이는,
카메라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를 턴-오프하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비-디스플레이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되, 상기 카메라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 및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상측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에 개공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는 상기 개공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를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면 유리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면 유리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는 환형 원뿔 구조의 하나의 플렉서블 회로 기판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을 둘러싸며,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에는 상기 카메라 단부로부터 상기 볼록면 유리 단부까지 복수의 램프 비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제어 모듈; 및
상기 카메라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가 모두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 백라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는,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제1 결정 모듈;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 상기 볼록면 유리의 라디안 및 상기 램프 비드의 발광각에 따라,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광선이 상기 볼록면 유리를 거쳐 반사된 후의 광선 각도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제2 결정 모듈; 및
상기 광선 각도, 상기 램프 비드의 발광각 및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에 따라, 상기 제1 유형 램프 비드 및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제3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및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를 획득하도록 설정되는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및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한 후, 상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개수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배열 방식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제4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는,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최대 밝기 값으로 조정하도록 설정되는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또한,
백라이트 칩을 통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를 도통시키며, 상기 백라이트 칩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 시 상술한 어느 하나의 방법 실시예의 단계가 수행되도록 설정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술한 어느 하나의 방법 실시예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리의 하측에 볼록면 유리를 설치하고, 볼록면 유리의 하측에 복수의 램프 비드를 설치하며, 카메라를 디스플레이 유리의 하측에 설치함으로써, 카메라가 턴-오프될 경우, 볼록면 유리는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유리로 되고, 카메라가 턴-온될 경우, 일부 램프 비드와 볼록면 유리 중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턴-오프하며,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카메라에 대해 광 보충을 수행하므로,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가 제한된 광의 입사로 인해 주변광이 약할 때 촬영 효과가 좋지 않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주변광이 약할 때의 촬영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카메라 제어 방법의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조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 1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 2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 3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 4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 5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및 상기 도면 중의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객체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반드시 특정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 컴퓨터 단말기 또는 유사한 연산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예로 들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의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조 블록도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도 1에서는 하나만 도시됨) 프로세서(102)(프로세서(10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CU)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FPGA) 등 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통신 기능 용 전송 기기(106) 및 입출력 기기(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조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메모리(10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에 대응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04)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자기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비휘발성 고체 상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현예로는 인터넷,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송 장치(106)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한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현예로는 이동 단말기의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전송 장치(106)는 기지국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는 하나의 네트워크 어댑터(Network Interface Controller, 약칭: NIC)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는, 전송 장치(106)는 무선 방식으로 인터넷과 통신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약칭: RF) 모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수행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스는 하기와 같은 단계 S202, S204를 포함한다.
단계 S202에서는, 카메라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를 턴-오프하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비-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되, 상기 카메라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 및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상측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에 개공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는 상기 개공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를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면 유리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면 유리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는 환형 원뿔 구조의 하나의 플렉서블 회로 기판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을 둘러싸며,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에는 상기 카메라 단부로부터 상기 볼록면 유리 단부까지 복수의 램프 비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계 S202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를 턴-오프하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4에서는, 상기 카메라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가 모두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 백라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계 S204는 구체적으로, 백라이트 칩을 통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를 도통(conduct)시키며, 상기 백라이트 칩에 연결된다.
상기 단계 S202 내지 단계 S208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리의 하측에 볼록면 유리를 설치하고, 볼록면 유리의 하측에 복수의 램프 비드를 설치하며, 카메라를 디스플레이 유리의 하측에 설치함으로써, 카메라가 턴-오프될 경우, 볼록면 유리는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유리이고, 카메라가 턴-온될 경우, 일부 램프 비드와 볼록면 유리 중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턴-오프하며,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카메라에 대해 광 보충을 수행하므로,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가 제한된 광의 입사로 인해 주변광이 약할 때 촬영 효과가 좋지 않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주변광이 약할 때의 촬영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최대 밝기 값으로 조정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를 턴-오프하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기 전에,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고, 더 나아가,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및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를 획득하며,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및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 상기 볼록면 유리의 라디안 및 상기 램프 비드의 발광각에 따라,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광선이 상기 볼록면 유리를 거쳐 반사된 후의 광선 각도를 결정하며, 상기 광선 각도, 상기 램프 비드의 발광각 및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에 따라, 상기 제1 유형 램프 비드 및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결정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개수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배열 방식을 결정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조합한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단말 기기(휴대폰,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여러개의 명령이 포함된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는 언더 디스플레이 스크린 카메라 구조를 더 제공하고,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방에 설치되는 카메라(2)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은 디스플레이 유리(11) 및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12)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2) 상측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에 개공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11)는 상기 개공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2)를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면 유리(13)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면 유리(13)와 상기 카메라(22) 사이에는 환형 원뿔 구조의 하나의 플렉서블 회로 기판(3)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2)의 시야각을 둘러싸고,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3)에는 상기 카메라(2) 단부로부터 상기 볼록면 유리 단부까지 복수의 램프 비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2)가 턴-온 상태이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에서 상기 카메라(2) 단부에 가까운 램프 비드는 턴-오프 상태이고, 상기 카메라(2)에서 멀리 떨어진 램프 비드는 점등 상태이며, 상기 카메라(2)에서 멀리 떨어진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볼록면 유리(13)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13)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13)가 화면 비-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2)가 턴-오프 상태이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는 모두 점등 상태이고, 상기 볼록면 유리(13)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13)에 백라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13)가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2)에서 멀리 떨어진 램프 비드는 밝기 최댓값이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3)의 환형 원뿔 구조의 각도는 상기 카메라(2)의 시야각, 상기 카메라(2)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3)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를 도통시키고, 백라이트 칩에 연결되며, 상기 백라이트 칩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밝기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리(11)는 정상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 유리(12) 및 전면 카메라 영역의 볼록면 유리(13)로 나뉘고; 전면 카메라(2)의 광 입사 각도는 시야각 301이며; 정상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12)는 기존 백라이트 구조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면 카메라 영역 백라이트(4)는 복수의 작은 LED 램프 비드 및 플렉서블 회로 기판(3)으로 나뉘며, 플렉서블 회로 기판(3)은 복수의 LED 램프 비드를 연결 및 도통시키고, 백라이트 칩을 통해 각각의 램프 비드의 밝기 크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전면 카메라 영역 백라이트(4)는 전체적으로 환형 원뿔 구조를 가지고, 중심 개공은 전면 카메라(2)의 시야각을 피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 1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풀스크린 디스플레이가 필요할 경우, LED 램프 비드는 빛을 방출하여 전면 카메라 영역 디스플레이 유리에 백라이트를 제공한다. 각각의 LED 램프 비드는 모두 일정한 조사각을 가지고, 전면 카메라 영역 디스플레이 유리의 전체를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칩을 통해 각각의 LED 램프 비드의 밝기를 조절하여, 전면 카메라 영역 디스플레이 유리 전체의 백라이트가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고, 빛 산란재 또는 도광재를 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없다. LED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광선은 전면 카메라 영역의 볼록면 유리(13)의 수렴 작용을 거쳐 집중적으로 위를 향해 스크린 밖으로 방출되어, 보다 좋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달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 2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카메라를 사용해야 할 때, 만약 LED 램프 비드의 모든 램프 비드가 여전이 점등 상태이면, 전면 카메라에 가까운 LED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광선의 일부는 볼록면 유리(13)의 반사를 거쳐 전면 카메라 시야각에 진입하여, 전면 카메라 이미징을 간섭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 3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카메라 사용 시, LED 램프 비드는 전면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일부만 턴-온되어, LED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광선이 반사를 거쳐 전면 카메라 시야각에 진입하지 않도록 보장하고, 턴-온된 LED 램프 비드는 최대 밝기로 조정되며, 이때의 볼록면 유리(13)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광환을 형성한다. 전면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된 것은 대부분 근거리 인물과 풍경 사물로, 광환에서 방출되는 광선이 근거리의 인물과 풍경 사물에 조사된 다음, 반사되어, 전면 카메라(2)에 진입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켜 이미징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 4이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카메라를 켤 때 어느 LED 램프 비드가 점등될 수 있는지 여부는 3D 시뮬레이션 계산과 블랙박스 디버깅(black-box debugging) 테스트가 서로 결합된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이는 주로 플렉서블 회로 기판의 경사 각도(a), 볼록면 유리의 라디안(b), LED 램프 비드의 발광각(c), 전면 카메라의 광 입사각(d),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광선이 볼록면 유리를 거쳐 반사된 후의 광선 각도(e), 백라이트 개공 가장자리에서 전면 카메라 중심까지의 횡방향 거리(f), 램프 비드에서 플렉서블 회로 기판 가장자리까지의 거리(g), 램프 비드에서 전면 카메라 중심까지의 횡방향 거리(h)와 관련이 있다.
3D 시뮬레이션 계산을 수행할 경우, 가중 중요한 2개의 요소는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광선이 볼록면 유리를 거쳐 반사된 후의 광선 각도(e)와 램프 비드에서 전면 카메라 중심까지의 횡방향 거리(h)이다. 광선 각도(e)가 작을수록 광선이 전면 카메라에 진입하는 것이 더 어려워지고, 램프 비드에서 전면 카메라 중심까지의 횡방향 거리(h)가 클수록 광선이 전면 카메라에 진입하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
도 7에 표기된 각 사이즈 사이의 관계에 따라, e=90°-a+(c/2)-2b, h=f-g*sin(a)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계산 공식에 의해, 일정한 정도 내에서, 각도 a 및 각도 b가 클수록 각도 e가 더 작아지고; 각도 c가 작을수록 각도 e가 더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일정한 정도 내에서, 거리 f가 클수록 거리 h가 더 커지고; 거리 g 및 각도 a가 작을수록 거리 h가 더 커진다. 플렉서블 회로 기판이 전면 카메라 시야각을 가리는 것과, 백라이트 개공이 너무 커서 전면 카메라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피하도록, 구체적인 각 사이즈 및 각도는 디자인할 때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실제 응용 시 먼저 3D 시뮬레이션 계산을 거쳐 초보적인 LED 램프 비드 디자인 방안을 얻고, 전면 카메라를 사용할 때 어느 LED 램프 비드가 턴-온될 수 있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하려면, 블랙박스에서 세부 테스트를 수행해야 하며, 전체를 블랙박스에 넣고, 3D 시뮬레이션 계산에 의해 얻어진 점등될 수 있는 일부 램프 비드를 턴-온하는 동시에 전면 카메라를 켜고, 만약 전면 카메라의 감광 소자가 광선을 감지할 수 있으면, 전면 카메라의 감광 소자가 LED 램프 비드에 의해 반사된 광선을 감지할 수 없을 때까지 전면 카메라에 가까운 1열의 램프 비드를 턴-오프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의 모식도 5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면 유리(13)의 수렴 작용은 또한 전면 카메라 시야각으로 조사될 수 없었던 주변광을 수렴하여 전면 카메라 시야각에 입사되도록 하므로, 전면 카메라에 진입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켜 이미징 효과를 더 개선시키는 데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실시예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며, 이미 설명된 것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 용어는 소정 기능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지만,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카메라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를 턴-오프하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비-디스플레이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되, 상기 카메라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 및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상측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에 개공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는 상기 개공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를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면 유리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면 유리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는 환형 원뿔 구조의 하나의 플렉서블 회로 기판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을 둘러싸며,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에는 상기 카메라 단부로부터 상기 볼록면 유리 단부까지 복수의 램프 비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제어 모듈(92); 및
상기 카메라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가 모두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 백라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는 제2 제어 모듈(94)을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는,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제1 결정 모듈;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 상기 볼록면 유리의 라디안 및 상기 램프 비드의 발광각에 따라,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광선이 상기 볼록면 유리를 거쳐 반사된 후의 광선 각도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제2 결정 모듈; 및
상기 광선 각도, 상기 램프 비드의 발광각 및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에 따라, 상기 제1 유형 램프 비드 및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제3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및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를 획득하도록 설정되는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및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한 후, 상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개수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배열 방식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제4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는,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최대 밝기 값으로 조정하도록 설정되는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제어 모듈(84)은 또한,
백라이트 칩을 통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를 도통시키며, 상기 백라이트 칩에 연결된다.
설명할 것은, 상기 각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 상기 모듈이 모두 동일한 프로세서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각 모듈이 임의로 조합된 형태로 서로 다른 프로세서에 각각 위치하는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 시 상술한 어느 하나의 방법 실시예의 단계가 수행되도록 설정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약칭: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약칭: RAM), 외장 하드,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술한 어느 하나의 방법 실시예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전송 기기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입출력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상기 실시예 및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구현예를 참고할 수 있고,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술한 본 발명의 각 모듈 또는 각 단계는 범용 컴퓨팅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이들은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집적되거나, 복수의 컴퓨팅 장치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에 분포될 수 있으며, 이들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저장 장치에 저장하여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할 수 있고, 일부 경우, 여기서의 순서와 다른 순서에 따라 도시 또는 설명된 단계를 수행할 수 있거나, 이들을 각 집적 회로 모듈로 각각 제작하거나, 이들 중의 복수의 모듈 또는 단계를 하나의 집적 회로 모듈로 제작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균등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스마트 단말기 분야에 응용되어,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가 제한된 광의 입사로 인해 주변광이 약할 때 촬영 효과가 좋지 않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주변광이 약할 때의 촬영 효과를 향상시킨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 유리 및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방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상측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에 개공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는 상기 개공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를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면 유리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면 유리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는 환형 원뿔 구조의 하나의 플렉서블 회로 기판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을 둘러싸고,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에는 상기 카메라 단부로부터 상기 볼록면 유리 단부까지 복수의 램프 비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로서,
    상기 카메라가 턴-온 상태이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에서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는 턴-오프 상태이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는 점등 상태이며,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비-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가 턴-오프 상태이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는 모두 점등 상태이고, 상기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 백라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는 최대 밝기 값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는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및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를 도통시키고, 백라이트 칩에 연결되며, 상기 백라이트 칩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밝기를 제어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
  5.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카메라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를 턴-오프하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비-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되, 상기 카메라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 및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상측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에 개공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는 상기 개공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를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면 유리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면 유리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는 환형 원뿔 구조의 하나의 플렉서블 회로 기판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을 둘러싸며,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에는 상기 카메라 단부로부터 상기 볼록면 유리 단부까지 복수의 램프 비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는 상기 제1 유형 램프 비드와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가 모두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 백라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를 턴-오프하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 상기 볼록면 유리의 라디안 및 상기 램프 비드의 발광각에 따라,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광선이 상기 볼록면 유리를 거쳐 반사된 후의 광선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광선 각도, 상기 램프 비드의 발광각 및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에 따라, 상기 제1 유형 램프 비드 및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및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의 광 입사각, 상기 카메라의 픽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의 두께 및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밝기, 상기 환형 원뿔 구조의 경사 각도, 상기 개공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개수와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의 배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최대 밝기 값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방법.
  10.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장치로서,
    카메라가 턴-온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 단부에 가까운 제1 유형 램프 비드를 턴-오프하고, 미리 결정된 상기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유형 램프 비드가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에서 방출되는 빛은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서 광환을 형성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비-디스플레이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되, 상기 카메라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 및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상측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백라이트에 개공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리는 상기 개공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를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면 유리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면 유리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는 환형 원뿔 구조의 하나의 플렉서블 회로 기판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을 둘러싸며, 상기 플렉서블 회로 기판에는 상기 카메라 단부로부터 상기 볼록면 유리 단부까지 복수의 램프 비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는 상기 제1 유형 램프 비드와 상기 제2 유형 램프 비드를 포함하는 제1 제어 모듈; 및
    상기 카메라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복수의 램프 비드가 모두 점등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볼록면 유리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상기 볼록면 유리에 백라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볼록면 유리가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제어 장치.
  11.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 시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도록 설정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2.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KR1020237001770A 2020-06-16 2021-05-18 카메라 제어 방법, 장치 및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 KR202300264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49854.0A CN113810564A (zh) 2020-06-16 2020-06-16 摄像头控制方法、装置以及屏下摄像头结构
CN202010549854.0 2020-06-16
PCT/CN2021/094304 WO2021254069A1 (zh) 2020-06-16 2021-05-18 摄像头控制方法、装置以及屏下摄像头结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425A true KR20230026425A (ko) 2023-02-24

Family

ID=7894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770A KR20230026425A (ko) 2020-06-16 2021-05-18 카메라 제어 방법, 장치 및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51552A1 (ko)
EP (1) EP4167561A4 (ko)
JP (1) JP2023529717A (ko)
KR (1) KR20230026425A (ko)
CN (1) CN113810564A (ko)
WO (1) WO2021254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3908B (zh) * 2022-03-18 2023-06-0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车载显示屏的控制方法及其控制装置、电子设备
CN114895475B (zh) * 2022-04-25 2023-11-07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1699A1 (ja) * 2008-11-27 2010-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薄型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CN111107192A (zh) * 2018-10-29 2020-05-05 印象认知(北京)科技有限公司 终端设备的显示屏以及终端设备
CN110658582A (zh) * 2019-05-10 2020-01-0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491290A (zh) * 2019-07-29 2019-11-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10441958A (zh) * 2019-07-05 2019-11-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模组
CN111050045B (zh) * 2019-12-25 2022-03-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198458A (zh) * 2020-03-02 2020-05-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9717A (ja) 2023-07-11
EP4167561A4 (en) 2023-11-15
EP4167561A1 (en) 2023-04-19
CN113810564A (zh) 2021-12-17
US20230251552A1 (en) 2023-08-10
WO2021254069A1 (zh)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2028A1 (en) Optical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9582083B2 (en) Directional light sensors
KR20230026425A (ko) 카메라 제어 방법, 장치 및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구조
CN209590474U (zh) 一种高屏占比的液晶显示装置及终端设备
US9472602B2 (en) Display systems and devices having array of photovoltaic material configured to absorb and convert light into electronic current
CN105319772B (zh) 显示组件
CN111294523B (zh) 拍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21129709A1 (zh) 电子设备
CN108172199B (zh) 显示方法、显示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992047B (zh) 一种光感装置
CN110276312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9466246B1 (en) Display stacks with integrated ambient light sensors
US201501872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22505161A (ja) 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電子機器及び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の制御方法
CN110646978B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10187537A (zh) 一种终端
TW202241113A (zh) 顯示器下相機系統及方法
US10558301B2 (en) Projection display unit
CN111263060A (zh) 一种调整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917992B (zh) 终端、终端的补光控制方法、制备方法及装置
CN209373305U (zh) 背光模组和显示装置
US108470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onal liquid crystal display back light unit dimming using electrochromic material
US20210248345A1 (en) Fingerprint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Fingerprint Acquisition Method
CN113031346B (zh) 背光模组及显示设备的显示方法
US201402541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onstruct an Ultrathin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