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233A - 더블 크랭크모듈에 의한 편심 중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크랭크모듈에 의한 편심 중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233A
KR20230026233A KR1020210108682A KR20210108682A KR20230026233A KR 20230026233 A KR20230026233 A KR 20230026233A KR 1020210108682 A KR1020210108682 A KR 1020210108682A KR 20210108682 A KR20210108682 A KR 20210108682A KR 20230026233 A KR20230026233 A KR 2023002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ain wheel
weight plate
eccentric
inn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욱현
Original Assignee
류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욱현 filed Critical 류욱현
Priority to KR102021010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6233A/ko
Publication of KR2023002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03G3/087Gravity or weight motors
    • F03G3/091Gravity or weight motors using unbalanced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03G3/087Gravity or weight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0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50Control logic embodiment by
    • F05B2270/506Control logic embodiment by hydraulic means, e.g. hydraulic valves within a hydraulic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60Control system actuates through
    • F05B2270/604Control system actuates through hydraulic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메인휠 회전운동에 의해 메인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기어케이스가 9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가 고정축과 거리가 확장되고, 3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가 고정축과 거리가 축소되면서 메인휠 상에 작용하는 편하중을 메인휠 회전운동력으로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고정축(10), 메인휠(20), 주축(30), 기어케이스(40),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링크기어모듈(60), 부스터모듈(7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Eccentric rotary motion device using double weight plate}
본 발명은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휠 회전운동에 의해 메인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기어케이스가 9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가 고정축과 거리가 확장되고, 3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가 고정축과 거리가 축소되면서 메인휠 상에 작용하는 편하중을 메인휠 회전운동력으로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는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발전기는 회전운동력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켜 주는 장치로서, 자석의 양극 사이에서 코일을 회전시키면 코일을 지나는 자기력선의 변화 때문에 코일에 방향이 변하면서 유도 전류가 생성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자동차, 중장비를 포함하는 산업장비는 물론 지구 온난화로 인해 풍력, 수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친환경 에너지 생산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하는 특성상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전기 에너지 생산 편차가 심각하여 안정적인 에너지원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게시된 특허공개번호 제10-2014-10166호에서, 모터는 제1 회전 장치, 제2 회전 장치 및 제동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2 회전 장치는 제1회전 장치와 공통의 축 상에 장착되어 제1 회전 장치와 조화된다. 제동 조립체는 제2 회전 장치에 연결되어 제2회전 장치의 회전을 제한한다. 종래의 모터 또는 발전기의 고정자는 회전자를 둘러싸서 회전자와 공통의 축 상에 장착된 회전 고정자로서 설계되므로 회전 고정자와 회전자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자장에 의해 생성된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모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선공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회전자가 설치된 회전축이 하우징상에서 축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가동고정자는 다른 축베어링에 의해 회전축상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회전자와 가동고정자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발전용량에 비례하게 투입 동력을 증가되므로, 결과적으로 발전효율이 증가에 한계가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메인휠 회전운동에 의해 메인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기어케이스가 9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가 고정축과 거리가 확장되고, 3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가 고정축과 거리가 축소되면서 메인휠 상에 작용하는 편하중을 메인휠 회전운동력으로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는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받침대(11)에 의해 횡방향으로 고정 지지되고, 메인고정기어(12)가 동심원상에 구비되는 고정축(10); 상기 고정축(10)에 설치되어, 구동원에 의해 회전운동되도록 구비되는 메인휠(20); 상기 고정축(10)을 중심으로 메인휠(20)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아이들기어(31)에 의해 고정기어(12)와 연계되어 메인휠(20)과 동일한 회전비로 역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주축(30); 상기 주축(30)에 설치되어 메인휠(20)과 동일한 회전비로 역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일측에 제 1, 2레일(42)(42')이 구비되는 기어케이스(40); 상기 기어케이스(40)의 제 1, 2레일(42)(42')에 각각 설치되고, 링크기어모듈(60)에 의해 기어케이스(40) 회전운동에 연계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도록 구비되는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및 상기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에 연결되어,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의 상호 역방향 직선 왕복 운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부스터모듈(7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휠(20) 회전운동에 의해 메인휠(20)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기어케이스(40)가 9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가 고정축(10)과 거리가 확장되고, 3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가 고정축(10)과 거리가 축소되면서 메인휠(20) 상에 편하중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편심구동모듈(60)은, 메인휠(20)와 대향하게 배치되어 연계구동되고, 주축(30)과 동심원상에 멀티고정기어(61a)가 고정 설치되는 연동휠(61)과, 기어케이스(40) 일측에 설치되고, 멀티고정기어(61a)에 치합되어 증속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제 1크랭크축(62)과, 제 1크랭크축(62)과 제 1커넥팅로드(62a)로 연결되어, 멀티고정기어(61a)와 동심원상에서 회전운동되는 제 1내륜링크기어(63)와, 제 1내륜링크기어(63)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기어케이스(40)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연결축(64a)에 의해 제 1내륜링크기어(63)와 연계 작동되는 제 2내륜링크기어(64)와, 제 2내륜링크기어(64)의 편심 위치에 연결되는 제 2커넥팅로드(65a)에 의해 회전운동되는 제 2크랭크축(65)와, 제 2크랭크축(65)에 연결되어 감속회전되고, 제 2내륜링크기어(64)와 동심원상에 설치되는 제 2외륜링크기어(66)와, 제 2외륜링크기어(66)에 치합되어 증속회전되는 제 3크랭크축(65')과, 제 2내륜링크기어(64)에 설치되어 회전운동되고, 일면에 편심캠레일(67a)이 형성되는 캠휠(67)과, 제 2웨이트플레이트(50')에 설치되고, 편심캠레일(67a)을 타고 캠운동되면서 제 2웨이트플레이트(50')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는 캠롤러(68)와, 제 3크랭크축(65')과 제 3커넥팅로드(69a)로 연결되어, 제 1웨이트플레이트(50)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는 연결핀(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휠(67)은 베벨기어모듈(80)에 의해 제 2내륜링크기어(64)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베벨기어모듈(80)은 제 2내륜링크기어(64)에 설치되는 제 1베벨링기어(81)와, 제 1베벨링기어(81)와 동심원상에 배치되어 캠휠(67)에 장착되는 제 2베벨링기어(82)와, 제 1, 2베벨링기어(81)(82) 사이에 치합되도록 설치되어, 제 1베벨링기어(81)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 2베벨링기어(82)를 회전시키는 베벨기어(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스터모듈(70)은,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72)와, 고정축(10) 및 주축(30)과 동심원상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실린더(72) 측으로 신축방향 유압을 교대로 공급하는 로터리밸브(74)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실린더(72)는 기어케이스(40)가 6시, 12시에 위치되는 구간에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간에 간격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송력이 작용되고, 기어케이스(40)가 3시, 9시에 위치되는 구간에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간에 간격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송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어케이스(40)가 3시, 9시에 위치되는 구간에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간에 간격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구동실린더(72) 이송력이 작용하는 시점에 제 2웨이트플레이트(50')가 제 2편심캠레일(67a)을 타고 캠운동되면서 제 1웨이트플레이트(5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72)는 유압라인에 의해 유압탱크와 연결되고, 유압탱크는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유압탱크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서 유압유가 로터리밸브를 통하여 구동실린더(72) 측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메인휠 회전운동에 의해 메인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기어케이스가 9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가 고정축과 거리가 확장되고, 3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가 고정축과 거리가 축소되면서 메인휠 상에 작용하는 편하중을 메인휠 회전운동력으로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의 제 1, 2웨이트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의 베벨기어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의 제 1, 2웨이트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의 베벨기어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메인휠 회전운동에 의해 메인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기어케이스가 9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가 고정축과 거리가 확장되고, 3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가 고정축과 거리가 축소되면서 메인휠 상에 작용하는 편하중을 메인휠 회전운동력으로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고정축(10), 메인휠(20), 주축(30), 기어케이스(40),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링크기어모듈(60), 부스터모듈(7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축(10)은 받침대(11)에 의해 횡방향으로 고정 지지되고, 메인고정기어(12)가 동심원상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축(10)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받침대(11)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축(10)과 동심원상에 고정기어(12)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아이들기어(31)와 치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휠(20)은 상기 고정축(10)에 설치되어, 구동원에 의해 회전운동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휠(20)의 회전력은 기어, 벨트, 체인을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출력되도록 구비되고, 이때 메인휠(20)은 후술하는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한 편심 하중에 의해 구동원의 출력이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출력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메인휠(20)은 고정축(10)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되고, 외주면 또는 회전중심과 동심원상에 동력전달수단(체인, 기어, 벨트 등)을 연결하여 구동원 동력이 입력됨과 더불어 다른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메인휠(20)의 회전력이 출력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축(30)은 상기 고정축(10)을 중심으로 메인휠(20)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아이들기어(31)에 의해 고정기어(12)와 연계되어 메인휠(20)과 동일한 회전비로 역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도 1에서 상기 주축(30)은 고정축(10)을 중심으로 90°등간격으로 4개소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주축(30)은 4개를 기준으로 2의 배수(4, 6, 8, 10, 12...)로 설치 개수를 증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주축(30)은 메인휠(20)과 함께 고정축(10)을 중심으로 공전운동됨과 동시에 아이들기어(31)에 의해 메인휠(20)과 동일한 회전비로 역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어케이스(40)는 상기 주축(30)에 설치되어 메인휠(20)과 동일한 회전비로 역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일측에 제 1, 2레일(42)(42')이 구비된다.
상기 기어케이스(40)은 주축(30)과 동심원상에 배치되고, 메인휠(20)과 함께 고정축(10)을 중심으로 공전운동하는 중에 메인휠(20)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자전운동)되어 후술하는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는 상기 기어케이스(40)의 제 1, 2레일(42)(42')에 각각 설치되고, 링크기어모듈(60)에 의해 기어케이스(40) 회전운동에 연계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도록 구비된다.
도 1에서 제 1웨이트플레이트(50) 대비 제 2웨이트플레이트(50')가 경량으로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간에 중량비율은 조절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는 도 1과 같이 제 1, 2레일(42)(42')을 타고 횡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휠(20)과 함께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직선 이동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휠(20) 회전운동에 의해 메인휠(20)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기어케이스(40)가 9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가 고정축(10)과 거리가 확장되고, 3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가 고정축(10)과 거리가 축소되면서 메인휠(20) 상에 편하중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가 6시, 12시 지점에 위치시, 도 3과 같이, 3시, 9시 지점의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하여 메인휠(20)에 편하중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상기 편심구동모듈(60)은, 메인휠(20)와 대향하게 배치되어 연계구동되고, 주축(30)과 동심원상에 멀티고정기어(61a)가 고정 설치되는 연동휠(61)과, 기어케이스(40) 일측에 설치되고, 멀티고정기어(61a)에 치합되어 증속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제 1크랭크축(62)과, 제 1크랭크축(62)과 제 1커넥팅로드(62a)로 연결되어, 멀티고정기어(61a)와 동심원상에서 회전운동되는 제 1내륜링크기어(63)와, 제 1내륜링크기어(63)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기어케이스(40)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연결축(64a)에 의해 제 1내륜링크기어(63)와 연계 작동되는 제 2내륜링크기어(64)와, 제 2내륜링크기어(64)의 편심 위치에 연결되는 제 2커넥팅로드(65a)에 의해 회전운동되는 제 2크랭크축(65)와, 제 2크랭크축(65)에 연결되어 감속회전되고, 제 2내륜링크기어(64)와 동심원상에 설치되는 제 2외륜링크기어(66)와, 제 2외륜링크기어(66)에 치합되어 증속회전되는 제 3크랭크축(65')과, 제 2내륜링크기어(64)에 설치되어 회전운동되고, 일면에 편심캠레일(67a)이 형성되는 캠휠(67)과, 제 2웨이트플레이트(50')에 설치되고, 편심캠레일(67a)을 타고 캠운동되면서 제 2웨이트플레이트(50')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는 캠롤러(68)와, 제 3크랭크축(65')과 제 3커넥팅로드(69a)로 연결되어, 제 1웨이트플레이트(50)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는 연결핀(69)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축(64a)은 도 4처럼 제 1, 2내륜링크기어(63)(64)에 치합되는 한 쌍의 아이들기어와, 한 쌍의 아이들기어를 연결하는 축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제 2웨이트플레이트(50')가 편심캠레일(67a)을 타고 캠운동되면서 제 1웨이트플레이트(50)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계작동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후술하는 부스터모듈(70)의 작동력에 의해 제 1웨이트플레이트(50) 이송방향으로 작동력이 가해지는 시점에 제 2웨이트플레이트(50')가 반발력에 의해 제 1웨이트플레이트(50)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구속되고, 이로 인해 후술하는 부스터모듈(70)의 구동실린더(72)가 미세(0.5~2mm)하게 신축이동됨에 따라 유, 공압에너지 소모량이 최소화되는 조건에서 구동실린더(72) 신축 작동력이 전달된다.
도 7에서, 상기 캠휠(67)은 베벨기어모듈(80)에 의해 제 2내륜링크기어(64)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베벨기어모듈(80)은 제 2내륜링크기어(64)에 설치되는 제 1베벨링기어(81)와, 제 1베벨링기어(81)와 동심원상에 배치되어 캠휠(67)에 장착되는 제 2베벨링기어(82)와, 제 1, 2베벨링기어(81)(82) 사이에 치합되도록 설치되어, 제 1베벨링기어(81)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 2베벨링기어(82)를 회전시키는 베벨기어(83)를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베벨기어모듈(80)에 의해 캠휠(67)이 제 2내륜링크기어(64)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편심캠레일(67a)과 캠롤러(68) 사이에 역부하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2크랭크축(62)(65)은 180도 방향으로 엇갈리게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크랭크축이 전진작동시 다른 하나의 크랭크축은 후진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모듈(70)은 상기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에 연결되어,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의 상호 역방향 직선 왕복 운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부스터모듈(70)은,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72)와, 고정축(10) 및 주축(30)과 동심원상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실린더(72) 측으로 신축방향 유압을 교대로 공급하는 로터리밸브(7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실린더(72)는 기어케이스(40)가 6시, 12시에 위치되는 구간에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간에 간격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송력이 작용되고, 기어케이스(40)가 3시, 9시에 위치되는 구간에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간에 간격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송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케이스(40)가 3시, 9시에 위치되는 구간에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간에 간격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구동실린더(72) 이송력이 작용하는 시점에 제 2웨이트플레이트(50')가 제 2편심캠레일(67a)을 타고 캠운동되면서 제 1웨이트플레이트(5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72)는 유압라인에 의해 유압탱크와 연결되고, 유압탱크는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유압탱크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서 유압유가 로터리밸브를 통하여 구동실린더(72) 측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탱크(도시생략)는 제 1, 2유압탱크로 구비되고, 제 1, 2유압탱크는 T 라인의 배관(도시생략)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유압라인에서 누유되는 유압유는 T 라인의 배관을 따라 제1 유압탱크를 사용할 때에는 제2 유압탱크로 포집되고, 제1 유압탱크에 유량이 소진되었을 때는 솔밸브에 의해 제1 유압탱크로 들어오는 에어를 차단한 상태로 제2 유압탱크를 사용하고, 제 2 유압탱크를 사용시 누유되는 유압유는 제1 유압탱크에 포집되도록 구성되어, 주기적으로 제1유압탱크와 제2유압탱크를 교번 사용하여 연속운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제 1유압탱크와 제2유압탱크를 번갈아 쓰는 이유는 미량의 유압유가 T라인을 따라 제1유압탱크에 드레인시키려면 유압탱크 기름수위에 에어압력이 존재하므로 T 라인으로 드레인라인에 역류되는 현상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10: 고정축 20: 메인휠
30: 주축 40: 기어케이스
50, 50': 제 1, 2웨이트플레이트 60: 링크기어모듈
70: 부스터모듈 80: 베벨기어모듈

Claims (5)

  1. 받침대(11)에 의해 횡방향으로 고정 지지되고, 메인고정기어(12)가 동심원상에 구비되는 고정축(10);
    상기 고정축(10)에 설치되어, 구동원에 의해 회전운동되도록 구비되는 메인휠(20);
    상기 고정축(10)을 중심으로 메인휠(20)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아이들기어(31)에 의해 고정기어(12)와 연계되어 메인휠(20)과 동일한 회전비로 역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주축(30);
    상기 주축(30)에 설치되어 메인휠(20)과 동일한 회전비로 역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일측에 제 1, 2레일(42)(42')이 구비되는 기어케이스(40);
    상기 기어케이스(40)의 제 1, 2레일(42)(42')에 각각 설치되고, 링크기어모듈(60)에 의해 기어케이스(40) 회전운동에 연계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도록 구비되는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및
    상기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에 연결되어,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의 상호 역방향 직선 왕복 운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부스터모듈(7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휠(20) 회전운동에 의해 메인휠(20)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기어케이스(40)가 9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가 고정축(10)과 거리가 확장되고, 3시 지점에 위치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가 고정축(10)과 거리가 축소되면서 메인휠(20) 상에 편하중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구동모듈(60)은,
    메인휠(20)와 대향하게 배치되어 연계구동되고, 주축(30)과 동심원상에 멀티고정기어(61a)가 고정 설치되는 연동휠(61)과,
    기어케이스(40) 일측에 설치되고, 멀티고정기어(61a)에 치합되어 증속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제 1크랭크축(62)과,
    제 1크랭크축(62)과 제 1커넥팅로드(62a)로 연결되어, 멀티고정기어(61a)와 동심원상에서 회전운동되는 제 1내륜링크기어(63)와,
    제 1내륜링크기어(63)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기어케이스(40)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연결축(64a)에 의해 제 1내륜링크기어(63)와 연계 작동되는 제 2내륜링크기어(64)와,
    제 2내륜링크기어(64)의 편심 위치에 연결되는 제 2커넥팅로드(65a)에 의해 회전운동되는 제 2크랭크축(65)와,
    제 2크랭크축(65)에 연결되어 감속회전되고, 제 2내륜링크기어(64)와 동심원상에 설치되는 제 2외륜링크기어(66)와,
    제 2외륜링크기어(66)에 치합되어 증속회전되는 제 3크랭크축(65')과,
    제 2내륜링크기어(64)에 설치되어 회전운동되고, 일면에 편심캠레일(67a)이 형성되는 캠휠(67)과,
    제 2웨이트플레이트(50')에 설치되고, 편심캠레일(67a)을 타고 캠운동되면서 제 2웨이트플레이트(50')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는 캠롤러(68)와,
    제 3크랭크축(65')과 제 3커넥팅로드(69a)로 연결되어, 제 1웨이트플레이트(50)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는 연결핀(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휠(67)은 베벨기어모듈(80)에 의해 제 2내륜링크기어(64)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베벨기어모듈(80)은 제 2내륜링크기어(64)에 설치되는 제 1베벨링기어(81)와,
    제 1베벨링기어(81)와 동심원상에 배치되어 캠휠(67)에 장착되는 제 2베벨링기어(82)와,
    제 1, 2베벨링기어(81)(82) 사이에 치합되도록 설치되어, 제 1베벨링기어(81)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 2베벨링기어(82)를 회전시키는 베벨기어(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모듈(70)은,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72)와,
    고정축(10) 및 주축(30)과 동심원상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실린더(72) 측으로 신축방향 유압을 교대로 공급하는 로터리밸브(74)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실린더(72)는 기어케이스(40)가 6시, 12시에 위치되는 구간에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간에 간격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송력이 작용되고, 기어케이스(40)가 3시, 9시에 위치되는 구간에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간에 간격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송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어케이스(40)가 3시, 9시에 위치되는 구간에서 제 1, 2웨이트플레이트(50)(50') 간에 간격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구동실린더(72) 이송력이 작용하는 시점에 제 2웨이트플레이트(50')가 제 2편심캠레일(67a)을 타고 캠운동되면서 제 1웨이트플레이트(5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72)는 유압라인에 의해 유압탱크와 연결되고, 유압탱크는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유압탱크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서 유압유가 로터리밸브를 통하여 구동실린더(72) 측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웨이트플레이트를 이용한 편심 회전운동장치.
KR1020210108682A 2021-08-17 2021-08-17 더블 크랭크모듈에 의한 편심 중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KR20230026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682A KR20230026233A (ko) 2021-08-17 2021-08-17 더블 크랭크모듈에 의한 편심 중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682A KR20230026233A (ko) 2021-08-17 2021-08-17 더블 크랭크모듈에 의한 편심 중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233A true KR20230026233A (ko) 2023-02-24

Family

ID=8533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682A KR20230026233A (ko) 2021-08-17 2021-08-17 더블 크랭크모듈에 의한 편심 중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62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78632B (zh) 电机
CN108036034B (zh) 一种双向输出型谐波减速装置
KR20220159048A (ko) 편심 중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KR20190028483A (ko) 가변 속도 트랜스미션과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US7549357B2 (en) Ratio changing method and apparatus
EP2732160B1 (en) Self adjustable continuously variable power transmission system with a real time variable flow pump.
KR20230026233A (ko) 더블 크랭크모듈에 의한 편심 중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EP2781790A1 (en) Energy generator
CN210793602U (zh) 一种重载无轴推进器
KR20230012940A (ko) 캠과 더블 크랭크모듈에 의한 편심 중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KR20230009782A (ko) 더블 크랭크모듈에 의한 편심 중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CN111207196A (zh) 增力机
WO2008156779A1 (en) Power generation device
CN211908633U (zh) 一种磁力驱动装置
KR102239379B1 (ko) 자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CN210566052U (zh) 一种行星差动减速器
CN110943597B (zh) 一种磁力驱动装置
RU2109392C1 (ru) Силовой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привод
CN103117687A (zh) 磁力变形杠杆机
KR20230063278A (ko) 편하중을 이용한 회전력 항속 유지시스템
CN219045548U (zh) 一种高减速比的二级摆线针轮减速器
US11814960B2 (en) Rotary engine
WO2022130155A1 (en) Method of the planetary mass's energy machine
JP6193883B2 (ja) 再生エネルギー型発電装置
CN103352811A (zh) 借助于磁悬浮物体系统时刻在竖直面内同一点偏心发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