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184A -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184A
KR20230026184A KR1020210108290A KR20210108290A KR20230026184A KR 20230026184 A KR20230026184 A KR 20230026184A KR 1020210108290 A KR1020210108290 A KR 1020210108290A KR 20210108290 A KR20210108290 A KR 20210108290A KR 20230026184 A KR20230026184 A KR 20230026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taverse
user
server
companion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765B1 (ko
Inventor
김철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7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전자장치가 반려동물의 활동 및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1전자장치가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인공지능 분석서버 또는 메타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1전자장치 또는 제2전자장치가 인공지능 분석서버로부터 마케팅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메타버스 서버로부터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OF PROVIDING MARKETING INFORMATON IN METAVERSE ENVIRONMENT BASED ON ANALYSIS OF PET AND USER INFORMATION AND DEVICE OF IMPLEMENTING THEREOF}
본 발명은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 제품, 즉 전자기기들은 사용자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계된 장치들이다. 특히, 최근 사물 인터넷의 부각에 따라 다양한 컴퓨팅 및 통신 기능들이 가전용 전자 제품에 구현되면서 이들 기능을 이용하여 가정 내의 다양한 정보들을 취합하려는 기술적 발전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최근 전자장치들은 다양한 정보들을 산출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인 발전과 함께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 다양한 온라인/가상세계에서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 화폐의 거래를 지원하는 기술적 발전 또한 있었다.
한편, 생활 공간에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가전제품들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을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 5기술들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의 발생 및 처리는 기존의 오프라인에서 획득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과 사용자가 현실 세계와 메타버스 환경에서 심리스(seamless)한 활동을 보여주고 이에 기반하여 마케팅이 이루어지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장치와 블록체인, 메타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전자장치가 산출한 정보들의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본 명세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전제품이나 휴대폰 등의 전자장치가 수집한 반려동물과 사용자의 고부가가치 데이터가 NFT(Non-Fungible Token) 가상자산으로 변환되어 여러 수요자들 사이에서 이전 및 마케팅 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와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전자장치가 수집한 반려동물과 사용자의 활동과 행동이 메타버스 환경에서 캐릭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와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반려동물과 사용자에게 적합한 마케팅 정보를 수집하고 메타버스 환경에서 아이템과 상품, 서비스가 교환 또는 매매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와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공지능 분석서버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로부터 반려동물의 활동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의 정보 및 반려동물의 정보 또는 전자장치를 사용한 내역 또는 사용자나 반려동물에게 제공되었거나 제공 예정인 서비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서버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로부터 반려동물의 활동 및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 및 반려동물이 활동하는 메타버스 환경의 공간에서 장치측 생성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반려동물의 캐릭터를 변경하는 메타버스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전자장치가 반려동물의 활동 및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1전자장치가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인공지능 분석서버 또는 메타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1전자장치 또는 제2전자장치가 인공지능 분석서버로부터 마케팅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메타버스 서버로부터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가전제품이나 휴대폰 등의 전자장치가 수집한 반려동물과 사용자의 고부가가치 데이터가 NFT(Non-Fungible Token) 가상자산으로 변환되어 여러 수요자들 사이에서 이전 및 마케팅 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전자장치가 수집한 반려동물과 사용자의 활동과 행동이 메타버스 환경에서 캐릭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반려동물과 사용자에게 적합한 마케팅 정보를 수집하고 메타버스 환경에서 아이템과 상품, 서비스가 교환 또는 매매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들이 쉽게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들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기반하여 NFT를 생성하는데 관여하는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가 반려동물의 행동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공지능 분석서버가 반려동물의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과 관련한 고부가가치 데이터가 판매되어 마케팅 활동에 사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환경에서 반려동물과 사용자의 상호 작용을 구현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환경에서 아이템을 교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품 구매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환경에서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NFT를 매도/매수 하거나 교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실 세계와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활동이 상호 호환되어 마케팅 활동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나 반려동물의 실제 생활에서의 행동 패턴을 반영하여 이들을 타겟팅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공지능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집안에 배치된 가전제품들이 개, 고양이 등과 같은 반려동물들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결과에서 해당 개/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에 대한 분석 정보를 산출하여 이를 거래 가능한 가상 자산, 예를 들어 NFT(Non-Fungible Token)으로 생성하는 기술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들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기반하여 NFT를 생성하는데 관여하는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자장치(100)는 전자제품, 가전제품 등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전자장치(100)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행동이나 신체 특징, 또는 이와 관련한 사람의 움직임이나 행동 패턴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전자장치(100)는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집안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나 반려동물과 함께 집 외부로 이동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100)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 장치측 생성 정보를 전송한다(S1). 전자장치(100)가 센싱하지 않은 정보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이거나 사용자의 전자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누적 저장한 정보,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개인 정보 역시 S1에서 전송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반려동물과 함께 살며 전자장치(100)를 사용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센서가 센싱한 로우 데이터(raw data), 장치 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혹은 장치를 통해 확인된 반려동물과 사용자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장치측 생성 정보(Information Generated by Device Side)라 지칭하며, 이는 S1과정에서 전송된다.
장치측 생성 정보의 일 실시예로 구성원의 정보는 구성원의 연령과 성별, 몸무게, 키, 보행 습관, 목소리, 반려동물에 관련된 활동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측 생성 정보의 일 실시예로 반려동물의 정보는 반려동물의 연령과 성별, 몸무게, 키, 보행 습관, 식사 습관, 반려동물의 울음 소리, 활동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의 통신부(210, 도 11 참조)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로부터 반려동물의 활동 및 반려동물과 관련된 구성원의 활동에 관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의 인공지능 모듈(220, 도 11 참조)는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구성원의 정보 및 반려동물의 정보 또는 전자장치를 사용한 내역 또는 구성원이나 반려동물에게 제공되었거나 제공 예정인 서비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인공지능 분석서버(AI Analysis Server)(200)는 전자장치(100)가 제공하는 장치측 생성 정보들을 취합하고 취합한 정보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습관이나 식사 시간, 음식이나 물 섭취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반려동물과 상호 동작하는 사용자들의 행동 특성이나 경제력, 구매한 상품 등에 대한 정보 역시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의 분석 대상이 될 수 있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 분석서버(AI Analysis Server)(200)는 해당 반려동물에게 필요하며 사용자가 구매해야 하는 상품, 반려동물의 특징 등을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분석데이터(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생성한다(S2).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반려동물의 생물학적 정보 또는 전자장치를 사용한 내역 또는 구성원 및 반려동물에게 제공되었거나 제공 예정인 서비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물학적 정보는 반려동물의 연령과 성별, 몸무게, 키, 보행 습관, 짖는 소리, 식사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측 생성 정보는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원이 전자장치에 투입하거나 또는 전자장치로부터 반출하는 물품에 대해 전자장치가 생성한 정보와 투입/반출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와 물품의 반복적 투입/반출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고부가가치 분석데이터(또는 줄여서 고부가가치 데이터)란, 전자장치(100)들을 소유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소비 습관, 그리고 반려동물들의 다양한 행동 패턴이나 생체 특징 등을 분석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분석과정에서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다수의 전자장치(100)들이 전송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빅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분석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고부가가치 데이터는 온라인 스토어들에게 판매될 수 있다. 온라인 스토어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나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제품이 무엇인지를 확인한 후, 해당 사용자에게 광고나 쿠폰 발행 등 마케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스토어는 광고, 쿠폰, 상품 상세 정보 링크 등을 포함하는 마케팅 정보를 사용자의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온라인 스토어는 인터넷 상에서 마케팅 활동을 위해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이를 다른 장치에게 전달하거나, 혹은 마케팅 활동을 위한 NFT를 낙찰받거나 혹은 다른 장치로 이를 이전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생성된 고부가가치 분석데이터를 NFT 서버(Non-Fungible Token Server)(300)에게 전송한다(S3). NFT 서버(300)는 분석데이터를 토대로 NFT를 생성하고 이를 인터넷 상에서 유통하는데 필요한 전자지갑을 생성하거나 또는 NFT를 블록체인에 포함시킬 수 있다(S4).
또는 NFT 서버(300)는 이전에 미리 생성해 둔 전자지갑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NFT 서버(300)는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로 NFT의 전부 혹은 일부를 전송한다(S5). 일 실시예로, NFT의 헤더 부분(즉, 표제부)의 내용이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로 전성될 수 있다. 이는 NFT를 유통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는 NFT를 다른 온라인 스토어에 매매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NFT에 대한 홍보도 수행할 수 있다(S6). 매매 과정의 일 실시예로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는 NFT 경매 입찰 공고를 수행한 후 다수의 온라인 스토어들(700a~700b)로부터 입찰가를 전송받는다(S7a, S7b).
S7a, S7b의 일 실시예로, 온라인 스토어들은 환불용 전자지갑 주소를 포함한 코인을 마케팅 플랫폼 서버의 전자지갑 주소(공개키)로 전송을 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인은 가상의 자산을 의미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중에서 소정의 입찰 프로세스에 따라 선정된 온라인 스토어2(700b)에게 최고가 낙찰을 통지한다(S8). 이후 온라인 스토어2(700b)는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에게 전자지갑 주소 및 NFT 낙찰가를 지불하는 코인을 전송한다(S9).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는 온라인 스토어 2(700b)가 전송한 코인 중 일부를 NFT 서버(300)에 전송(일 실시예로 NFT 서버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고(S10), NFT 서버(300)는 S10에서 수신한 코인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 전송한다(S11). 그리고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S11에서 수신한 코인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전자장치(100)를 소유하는 수신자의 전자지갑에 지급한다(S12).
전술한 과정에서 NFT의 안정적인 유통을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결합한 블록 내에 NFT가 포함될 수 있다. 해당 블록의 암호화와 복호화는 해당 블록에 포함된 NFT에 접근 권한을 가진 장치 혹은 당사자에게 할당된 공개키 및 개인키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블록에 대한 접근은 해당 블록에 대한 식별정보, 예를 들어 블록의 주소를 전송 및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NFT를 낙찰받은 온라인 스토어는 마케팅 활동을 위한 정보를 NFT 서버(300) 또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등에게 전달하고, 이들 서버들이 마케팅 활동을 위한 정보를 전자장치(100)에게 전송하여 전자장치(100)는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음성/영상/메일 등으로 출력한다. 그 결과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이용한 타겟팅된 마케팅 활동의 대상자가 된 사용자는 마케팅 활동이 제시하는 광고나 쿠폰 등을 이용하여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는 다수의 온라인 스토어(쇼핑몰 운영자)들에게 NFT를 판매하기 위해 입찰 공고를 내고, 지정한 날짜까지 매수 가격을 입찰하도록 한다(S6, S7a, S7b).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는 최고가를 작성해서 제출한 쇼핑몰 운영자(도 1의 온라인 스토어 2)를 낙찰자로 지정할 수 있다.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는 최고가 낙찰자에게 낙찰정보(가격)과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의 전자지갑주소(일 실시예로 마케팅 플랫폼 서버의 공개키)를 낙찰자인 온라인 스토어 2(700b)에게 전달한다. 또한, 낙찰자인 온라인 스토어 2(700b)에게 NFT 구매비용을 특정한 코인 형태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종류(ex: ERC-20, BEP-20, LG CNS 모나체인 등)에 따라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8).
마케팅 데이터, 즉 NFT를 구매한 온라인 스토어 2(700b)는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의 전자지갑주소(공개키)로 코인을 지불한다(S9).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는 해당 코인 중의 일부를 NFT 서버(300)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여 NFT 구매비용을 지불한다(S10).
NFT 서버(300) 역시 S10에서 수신한 코인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 전송한다(S11). 그리고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S11에서 수신한 코인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전자장치(100)를 소유하는 수신자의 전자지갑에 지급한다(S12).
한편, NFT를 구매했던 온라인 스토어 2(700b)가 제공한 광고 등 마케팅 정보를 해당 NFT를 생성한 고객의 전자장치로 제공한 경우, 해당 고객이 추후 해당 광고 등 마케팅 정보에 대응하여 특정한 활동(구매, 조회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을 전자장치들이 센싱 또는 모니터링하여 산출한 결과를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와 온라인 스토어 2(700b)에게 전달하여 NFT 구매 및 이로 인한 마케팅 행위에서 발생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온라인 스토어(700)가 확보한 NFT 블록은 해당 낙찰자인 온라인 스토어(700)가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이를 제3자에게 이전시킬 수도 있다.
즉, 가전제품 센서 또는 전자장치들이 확보한 장치측 생성정보와 이에 기반하여 생성된 고객의 고부가가치 데이터는 NFT 가상자산으로 생성 및 유통될 수 있다.
그리고, NFT 가상 자산은 마케팅 수요자에게 판매하고 NFT 매수자가 사용하고 남은 고객분석정보, 판매가능한 타겟 제품목록/ 가격목록, 광고매체, 광고시간, 광고기간의 예약정보를 제3자에게 다시 코인을 받고 양도할 수 있다.
이때, 양수받은 제3자가 가정내의 가전제품의 특정 매체(냉장고 디스플레이, 건조기 패널 등)에 광고를 할 수 있는 권리와 1차 매수자가 사용하지 않은 고객 정보를 블록체인을 이용해서 제3자에게 양도 가능하도록 기술이 필요하다.
NFT를 생성한 측(NFT 서버) 외에도 낙찰자가 NFT를 판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NFT의 유통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블록체인의 종류는 NFT가 포함되는 블록체인을 지시하는 정보이며, 종래의 다양한 블록체인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더리움, ERC20(Ethereum Request for Comment 20), 바이낸스 스마트체인, BEP20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NFT를 위해 새로운 블록체인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LG-스마트체인을 구성하여 NFT에 특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각 블록체인에 포함된 NFT 블록은 본 발명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과 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NFT 표제부는 NFT 블록의 공개키(주소)와 수신자 공개키(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해쉬값은 NFT에 포함된 데이터 전체를 해쉬함수에 입력해서 출력된 값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NFT의 공지와 입찰, 유통 등의 과정에서 NFT 내에 포함된 정보를 누구나 알 수 있도록, NFT 본문에 포함된 고부가가치 데이터의 목차가 NFT 표제부에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의 예시로는 "서울/진돗개/2인가구" 또는 "서울/아비시니안고양이/1인가구"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공하는 정보는 마케팅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NFT 표제부는 헤더정보를 암호화 시키지 않고 평문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 키우는 1인가구 데이터" 또는 "진돗개 키우는 2인가구 데이터"와 같이 평문으로 구성되어 NFT가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지 누구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NFT 본문의 구성을 살펴본다. NFT 본문은 암호화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수신자의 공개키로 암호화될 수 있으며, 복호는 수신자만이 수행할 수 있다.
NFT 표제부의 정보들을 확인한 온라인 스토어가 NFT를 구매하면 광고 등의 마케팅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들이 NFT 본문에 포함된다. 또한 NFT를 메타버스(Metaverse)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스코드도 NFT 본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가 반려동물의 행동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반려동물의 예시로 애견(15)을 제시한다. 애견은 집안 내에서 이동하며 식사하거나(16), 잠을 자거나(17) 혹은 장난감을 가지고 놀거나 짖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다. 16 및 17은 애견용품으로 이들 역시 센서가 배치되어 전자장치(100a, 100b, 100c)와 같이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게 센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집안에 배치된 전자장치인 냉장고(100a), 에어컨(100b) 및 CCTV(100c)에 부착된 카메라 센서나 IR 센서 등은 집안 내의 애견(15)이 어떤 방식으로 활동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과정에 따라 산출된 애견(15)의 식사 습관이나 생활 습관 등의 정보, 또는 전자장치들이 촬영한 영상은 모두 장치측 생성 정보로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 전송된다(S1a, S1b, S1c).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전송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애견의 식사습관, 생활습관(수면시간, 낮잠시간, 활동하는 시간 등), 대소변 배변 습관, 운동 패턴, 수면습관, 물 섭취량, 식사량 등의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애견(15)의 식사의 종류와 식사한 양을 분석하여 애견 식사량과 음식물, 물의 종류별로 섭취하는 양에 따라서 대변, 소변의 양과 배변하는 시간과 주기, 배변량을 학습 모델에 입력하여 학습을 수행한다.
즉,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집안 내의 애견용 제품(16, 17)의 센서와 일반 가전제품(100a, 100b)의 센서, 그 외 로봇청소기의 센서 등이 측정한 애견의 식사습관, 생활습관에 관한 데이터의 일부(예를 들어 1/3)를 학습 모델에 입력하여 학습모델을 고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나머지 데이터(예를 들어 2/3)를 학습모델에 입력하여 도출된 분석데이터를 바탕으로 애견의 현재 식사습관, 생활습관, 대소변 배변습관, 운동패턴, 수면습관 등의 현재 상태를 분석한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전자장치들의 센서로 측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애견(15)의 활동 범위를 파악하고 집안 내에서 애견(15)이 움직이는 시간대와 사람이 있는 경우에 애견이 위치하는 영역, 사람이 장주한 공간에 없는 경우에 애견이 움직이는 행동 범위 등을 확인한다.
일 실시예로, 전자장치들의 센서, 예를 들어 TV의 카메라 또는 음향센서, 에어컨(100b)의 동작감지센서 또는 음향센서, 로봇청소기의 초음파센서와 카메라센서, 그리고 집안에 배치된 CCTV(100c)가 측정한 센서데이터와 영상데이터는 무선 통신장치(예를 들어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를 통하여 클라우드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게 전송되어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내에 누적 저장된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해당 애견(15)의 시간대별, 계절별 동작의 특성을 분석하여 애견(15)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성향(ex: 세퍼드처럼 운동성이 높아서 매일 달려야하는 견종, 스피치 강아지처럼 항상 빈번하게 짖는 견종, 리트리버처럼 온순하고 조용한 견종 등)을 분석하여 해당 애견(15)에게 필요한 사항 혹은 부족한 사항을 산출한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산출된 정보, 즉 데이터의 분석된 결과들을 애견주인에게 전달하여 애견의 기본 성향을 이해하고, 애견이 좋아하는 행동, 액티비티,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애견이 현재 누리고 있는 복지와 만족도, 액티비티, 식사, 수면 습관 등을 애견의 주인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애견 주인의 가전제품의 디스플레이, 핸드폰, 냉장고, 세탁기의 디스플레이, 전기레인지의 음성 안내 서비스, 로봇청소기의 음성 안내 서비스로 현재 애견의 심리적/신체적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게 애견의 정보 및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기로 동의한 경우,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사용자의 제품 구매 행위나 거주 지역, 애견의 식사 용품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의 경제적인 가치를 평가한다.
또한,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애견의 평소 생활 습관 속에서 항상 이용하는 애견 목줄, 애견 입마개, 애견의류, 애견신발, 애견 배변 수집봉투, 애견물티슈 등의 필요성을 애견의 평소 행동 습관, 운동 습관과 애견의 심리상태(ex: 짖는 빈도, 짖는 울음소리의 신호처리 분석을 통한 애견의 심리 상태 등)을 분석하여, 애견이 현재 느끼고 있는 욕구의 불만을 해소해 줄 수 있는 제품군들에 관한 리스트와 각 제품들의 가격 목록을 정리한 테이블을 작성한다.
마찬가지로,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고객의 가전 제품 구매 기록을 분석하여, 고객의 경제력의 규모를 예측하고, 가전제품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가족 구성원의 숫자, 나이, 라이프스타일(ex: 부부는 맞벌이, 아이는 8세 미만의 유아로서 오전8시~오후4시까지 어린이집)을 분석하고, 거주 지역(ex: OO구 아파트 1단지 등)의 평균 경제력과 라이프스타일을 분석결과 및 가전제품 구매내역, 세제, 음식 구매 정보 등을 종합하여 분석하여, 한 가정에서 애견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의 규모를 분석한다.
또한,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집안 내에 다수의 반려동물들이 있는 경우에는 집안 내의 가전제품들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들, 예를 들어 카메라(TV, CCTV, 로봇청소기), 음향센서(건조기, 세탁기, TV, 에어컨), 라이다(에어컨), 동작감지센서(전기오븐, 전자레인지, 건조기, 세탁기 등)을 이용하여, 각 반려동물들의 짖는 소리의 성문을 분석하여 각각을 식별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각각의 반려동물들이 짖는 소리와 실내에서 뛰어다니면서 나는 소리의 연관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어떤 동물이 실내에서 어떤 공간에서 머무르고, 어떤 동작을 취하고, 어떻게 짖으며, 숨소리는 어떤지에 대한 정보들을 전자장치들로부터 수신하여 센싱된 데이터들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각 반려동물들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공지능 분석서버가 반려동물의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반려동물과 관련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다(S21).
애견의 경우 수신된 정보의 예시로는, 애견의 성향과 애견의 식사량, 애견의 울음소리의 높낮이, 성량을 분석하여 애견의 생애주기(ex: 10년)에서 몇년차에 해당하는 애견인지 등이 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전술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현재 상태를 진단한다(S22). 현재 상태란 반려동물의 현재 건강상태, 현재 운동상태, 현재 식욕 상태, 그리고 반려동물의 과거 건강상태나 운동/식욕 상태 기준 차이점, 그리고 나이 등이 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부족한 운동역량(ex: 근력부족 등)과 과체중 등의 건강성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해당 반려동물이 섭취하면 건강상태가 개선될 수 있는 건강 식사 목록과 과체중, 저체중, 근력부족 등의 신체적 문제점을 개선해 줄 수 있는 장난감, 운동 보조 기구 등의 제품 목록과 가격을 조사하여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제품 리스트를 추출한다(S23).
아울러,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생성한다(S24). 고부가가치 데이터는 전술한 반려동물의 특징,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정보나 제품, 그리고 반려동물을 키우는 전자장치 사용자의 경제적 특성 등을 포함한다.
이후, 고부가가치 데이터는 NFT 서버(300)를 통해 온라인 스토어에 판매될 수 있고,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구매한 온라인 스토어로부터 광고 또는 쿠폰 등 마케팅 활동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한다(S26).
그리고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수신한 정보를 전자장치에게 제공한 후,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수신하여 NFT 서버(300) 또는 마케팅 활동을 수행한 온라인 스토어에게 제공한다(S27).
일 실시예로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센서 데이터나 그 외에 전자장치들이 전송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된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에 관한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전자장치들 중에서 디스플레이가 있는 가전제품(TV, 휴대폰, 냉장고 전면 패널 등), 소리 재생이 가능한 가전제품(로봇청소기, TV, 전기레인지, 전기오븐, 건조기, 세탁기, 휴대폰 등)에서 영상 또는 소리로 사용자에게 현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와 건강상의 문제점을 알려줄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행동성향, 성격 등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제품들의 목록과 광고 시간대, 광고 반복횟수, 광고 제품별 광고 비용 등을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NFT 서버(300)에게 전송하고 이것이 판매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S27과 같이,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해당 반려동물이 가지는 문제점 해결에 도움이 되는 제품들의 광고를 전자장치(100)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전자장치(100)에게 광고나 쿠폰 등을 제공한다.
즉, S25~S26 과정에서 NFT 서버(300)를 통해서 모집한 광고 낙찰자인 온라인 스토어가 제공한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이는 광고 낙찰자가 코인을 지불하여 계약한 특정 광고시간대, 광고지속시간, 광고빈도수, 프로모션 내용 등을 반려동물의 주인의 이동 경로에 맞추어서 영상 또는 음성 광고를 재생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과 관련한 고부가가치 데이터가 판매되어 마케팅 활동에 사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은 도 1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전자지갑(900)은 전자장치(100)를 소유한 고객(사용자)의 전자지갑(900)으로, 이는 블록체인의 종류나 코인의 종류 등에 따라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다.
블록체인 인증노드(600)는 NFT의 구매 과정에서 교환되는 코인 또는 블록을 인증하는 블록체인 인증노드를 지시한다.
먼저,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반려동물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광고가능한 매체와 광고시간, 광고주기, 광고지속시간, 광고별 예상 수익 등의 정보를 생성하여 NFT 서버(300)에게 전달한다(S30).
NFT 서버(300)는 고부가가치 정보, 광고 정보 등을 담아서 NFT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이를 판매사이트에 경매 공고한다(S31). 이때, 다수의 고객들 각각에 대한 NFT 오브젝트들이 경매 공고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NFT 서버(300)는 반려동물과 관련된 고부가 가치 정보를 메타버스환경에서 판매가 될 수 있도록 입체적 형상정보와 고부가 가치 정보(제품목록, 애견 성격, 애견 건강상태, 애견 나이 등)들을 포함하여 NFT 명세를 작성한다.
NFT 서버(300)가 관리하는 광고 사이트 또는 마케팅플랫폼서버(500)(ex: 네이버, 카카오, 구글, 페이스북 광고 플랫폼 서버 등)에 NFT 오브젝트 정보가 게시되며 최소 입찰가가 공고된다.
이때, 최소입찰가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가 각 정보의 경제적 가치와 가전제품의 디스플레이, 음향 광고를 실시할 경우의 주기성과 반복횟수 및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제적인 가치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따.
그리고, 경매로 입찰공고를 할 때에 낙찰자가 계약해야 하는 최소 광고 계약기간, 최소 광고 가격도 NFT 서버(300)를 통하여 공고될 수 있다.
온라인 스토어(700), 예를 들어 쇼핑 스토어는 판매사이트에 게시된 NFT를 확인한다(S32). 그리고 다수의 NFT들 중에서 선택한 아이템에 구매를 희망한 가격을 제시하여 입찰한다(S33). 또는 하나의 NFT가 다수의 필드로 구성되어 필드 별로 입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NFT 서버(300)는 최고가액을 입찰한 온라인 스토어(700)에게 낙찰시켜주고, NFT가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낙찰자의 공개키와 NFT의 지갑 주소를 요청한다(S34). 낙찰자인 온라인 스토어(700)는 NFT에 대해 지불할 코인과 낙찰자의 공개키를 전송한다(S35).
NFT 서버(300)는 NFT오브젝트의 소유자 정보를 낙찰자인 온라인 스토어(700)로 변경하고, 낙찰자의 공개키로 NFT를 암호화하여 블록을 형성하고 블록체인에 연결을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인증노드(600)(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블록체인 인증노드, 또는 인증노드 등으로 약칭할 수 있음)들에게 전송한다(S36).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인증노드(600)는 NFT 블록이 연결된 체인 상에서 앞블록주소, 뒷블록주소를 검사하여 위변조 되지 않았음을 확인해주는 응답을 보낸다(S37).
그리고 NFT 서버(300)는 낙찰자인 온라인 스토어(700)에게 블록체인상에 연결시킨 NFT 블록의 식별정보, 예를 들어 NFT 블록의 주소를 알려준다(S38).
온라인 스토어(700)는 블록체인에서 NFT 블록을 가져와서 자신의 개인키로 블록 내용을 복호화한다(S39). 한편, NFT 서버(300)는 온라인 스토어(700)로부터 수령한 코인을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게 전달한다(S40).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고객의 전자지갑주소를 확인하고 코인을 전달한다(S41).
이후 낙찰자인 온라인 스토어(700)는 NFT 서버(300)에게 특정 광고시간 대에 사용할 광고 관련된 정보들(광고 요청 정보), 예를 들어, 광고제품, 광고매체, 광고주기, 광고 날짜/시간, 광고용 컨텐츠 등을 전송한다(S42). 그리고 NFT 서버(300)는 전송된 고객 광고 요청 정보를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게 전달한다(S43). 이 과정에서 코인 중 일부가 고객의 전자지갑(900)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고객의 전자장치(100)에게 마케팅 정보, 예를 들어 광고나 할인, 상품 정보 등을 전송한다(S44). 전자장치(100)는 S44 단계에서 전달된 마케팅 정보의 출력, 예를 들어 광고 집행 후 고객의 행동변화를 측정한 광고 대응 데이터를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게 전달한다(S45). 일 실시예로 반려동물과 관련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광고를 보거나 들은 이후 고객의 움직임이나 목소리 등을 센싱한 데이터, 고객이 광고 상품을 인터넷에서 검색했는지 여부, 또는 고객이 광고된 상품을 구매한 이력 등이 광고 대응 데이터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마케팅 정보를 출력했던 전자장치 외에도 해당 공간에 있거나 해당 구성원이 소유하는 전자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상품의 광고를 확인한 구성원이 자신의 휴대폰이나 노트북을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 아이템 등을 검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색 기록 역시 광고 대응 데이터의 일 실시예가 된다.
이후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장치측 생성 정보에 포함된 고객 대응 데이터를 분석하고, 고객의 행동변화정보 추출하여 반응 정보를 생성하여 마케팅 정보를 제공한 온라인 스토어(700)에게 전달한다(S46). 물론, 이 과정에서 정보의 전달이 NFT 서버(300)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고객이 현재 프로모션이 제공 중인 제품을 주문하는 경우에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해당 고객의 구매 행동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며 판매된 프로모션 제품과 유사하면서 고객의 구매력 범위 내에 있는 제품들의 정보와 가격정보를 수집하여,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업데이트된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NFT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NFT 서버(300)는 새로운 NFT를 생성하고, NFT 서버(300) 또는 마케팅플랫폼서버(500)에게 제공하여 새로운 NFT 판매를 공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들이 수집한 반려동물과 사용자의 정보는 메타버스환경 내에서 가상의 캐릭터들을 생성하고 움직이는 데에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및 NFT 서버(300)가 하나의 서버군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서버군이 소정의 메타버스 환경을 제공하고 이 환경 내에서 산출되는 다양한 정보들에 대해 코인으로 보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마케팅 플랫폼 서버(500)는 NFT 서버(300)에게 해당 광고 컨텐츠 및 광고 주기 정보 등을 전달하면 NFT 서버(300)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게 전달하고, 해당 가전제품에게 광고 컨텐츠와 광고 주기, 광고지속시간, 광고 집행 후 고객의 반응을 살펴보는 시간을 설정한다.
광고가 타겟 가전제품의 타겟 매체에서 재생이 된 후에 고객이 보이는 반응을 센서로 측정하여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에게 전달하면 다시 NFT 서버에게 고객반응데이터를 전송하고, NFT 서버(300)는 다시 새로운 NFT를 생성하여, 고객에게 전달한다.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블록체인과 메타버스가 구현된 환경에서 가전제품이나 전자제품 등의 전자장치가 생성한 가상 자산을 거래할 수 있다.
전자장치들이 센싱한 정보를 취득하는 일 실시예로 베란다에 위치한 세탁기의 진동 센서와 음향 센서는 주변에 걸어다니는 사람이나 반려동물의 발걸음 진동과 발걸음 소리, 주변에서 발생한 소음, 음성에 대해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인접한 위치에서 오가는 사람이나 반려동물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센서는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TV 등에 모두 부착되어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가전제품에 장착된 센서들이 측정 및 생성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분석서버(200)가 분석하여 각 가정의 가족 구성원과 반려동물 각각의 정보를 조합하고 분석한 후, 부가 가치가 큰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데이터는 보관, 유통, 판매를 통해 광고와 같은 마케팅 활동에 이용되며 이로 인한 수익 중 일부는 가전제품을 보유한 고객에게 제공된다. 아울러 고객은 자신에게 필요한 제품에 대한 마케팅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이를 메타버스 환경에서 표현할 수 있다.
메타버스 환경에서는 고객이 가진 아바타나 고객이 꾸민 공간에 해당 제품에 대한 마케팅 정보가 표시되거나 해당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환경에서 반려동물과 사용자의 상호 작용을 구현하는 도면이다. 메타버스 서버(1000)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NFT 서버(300)로 구성된 하나의 서버군일 수 있다. 혹은 메타버스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메타버스(Metaverse) 환경이란 다수의 사용자들이 가상 세계 내에서 경제적, 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는 메타버스 세계를 의미하며, 사용자들은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으로 메타버스 서버(1000)에 접속하여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자신의 캐릭터와 가상의 집, 상점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집안에 배치된 다수의 전자장치들(100a, 100e)은 집안 내의 반려동물의 움직임이나 현재 상태를 센싱하여(S51a, S51e), 장치측 생성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메타버스 서버(1000)에 전송한다(S52a, S52e).
메타버스 서버(1000)는 수신된 장치측 생성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반려동물의 캐릭터를 표현한다. 이때, 반려동물의 캐릭터가 표현되는 공간은 고객이 소지한 전자장치(100n)가 메타버스 환경 내에 구축한 가상 세계에서의 집이나 공간이 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이 구축한 상점, 공원 등에서도 반려동물의 캐릭터가 표현될 수 있다.
만약, 반려동물(15)이 집안 내에서 뛰어다니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다면, 이러한 활동을 다수의 전자장치들(100a, 100e)이 센싱할 수 있다. 센싱한 내용에는 반려동물(15)을 촬영한 이미지나 동영상도 포함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1000)는 반려동물(15)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반려동물 캐릭터(1515)를 표시한다. 그리고 고객이 소지한 전자장치(100n)는 메타버스 서버(1000)에 접속하여 반려동물 캐릭터(1515)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반려동물(15)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 역시 메타버스 서버(1000) 내에서 반려동물 캐릭터(1515)에 반영될 수 있다. 만약, 반려동물(15)이 집에서 계속 누워있다면, 메타버스 서버(1000)는 반려동물 캐릭터(1515)가 계속 누워있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주인은 고객 소지 전자장치(100n)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환경(1500)에 접속하여 자신의 반려동물이 계속 누워있다는 것을 반려동물 캐릭터(1515)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의 주인은 반려동물과 떨어져 있어도, 메타버스 환경(1500)에 표현된 반려동물의 캐릭터의 움직임이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서버(1000)는 반려동물의 행동이나 움직임, 상태에 관한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반려동물의 현재 혹은 특정 시점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버(1000)를 구성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가 반려동물(15)에 적합한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추천 상품/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받을 것인지 여부를 고객 소지 전자장치(100n)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고객이 자신의 반려동물(15)의 현재 상태에 적합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받겠다고 승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4의 과정에서 낙찰된 온라인 스토어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추천을 위한 광고, 쿠폰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해당 고객이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별도의 상점에서 고객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도 있다.
도 5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사람캐릭터 중심의 메타버스에 반려동물도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메타버스 환경(1500)이 제공되는 플랫폼에서 구현된 가상세계에서의 놀이와 애완동물을 위한 물품 쇼핑, 건강검진, 반려동물의 나이와 주인(사용자)의 관심사에 부합하는 가상세계의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아이템을 획득하거나 구매 또는 판매할 수 있다.
또한, S51~S53의 과정을 통해, 현실세계의 반려동물의 외형과, 짖는 소리, 움직임, 생활 습관을 센서로 측정하여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동일한 행동 패턴을 보여주는 가상세계의 반려동물 캐릭터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반려동물 캐릭터(1515)를 육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세계에서의 다양한 활동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객 소지 전자장치(100n)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경우, 메타버스 서버(1000)는 이를 다시 전자장치(100a~100e)에게 제공하여 반려동물(15)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메타버스 서버(1000)는 가상세계의 캐릭터(사용자 캐릭터-반려동물 캐릭터)와 현실세계의 사용자-반려동물 간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1000)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아이템들을 소유하거나 거래하는 전자장치들은 블록체인 노드로 기능하면서 새로 생성되는 블록에 대해서 블록체인에 연결해주고 무결성을 검증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의 무결성 검증에 대한 보상으로 메타버스 서버(1000)는 전자장치들에게 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환경에서 아이템을 교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이템은 NFT와 같은 가상 자산을 일 실시예로 한다.
제1사용자(User1) 및 제2사용자(User2)는 메타버스 환경(1500)에 참여하여 아이템을 다른 사용자와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아이템의 거래 과정에서 수수료로 코인을 메타버스 서버(1000) 또는 다른 사용자의 전자지갑에 지불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타버스 서버(1000)에 가입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메타버스 서버(1000의 전자지갑의 주소 및 각 사용자(가입자)의 전자지갑 주소가 교환될 수 있다.
이는 향후 메타버스 서버(1000)가 제공하는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NFT와 같은 아이템의 매매, 경매, 소유권 변동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제공 또는 교환의 대가로 코인을 상대방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이때, 코인을 거래 상대방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는 거래내역은 블록에 기록이 되고 메타버스 서버(1000)가 관리하는 메타버스 환경(1500)에 연결된 노드들(전자장치들)은 해당 블록의 무결성을 검증한 후에 정상이라는 의미의 응답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무결성 검증 과정에 참여하는 보상으로 코인을 수령할 수 있다.
제1사용자(User1)가 소유한 다수의 전자장치들(100a~100c)과 제2사용자(User2)가 소유한 다수의 전자장치들(100e~100g)들은 메타버스 서버(1000)와 통신하며 메타버스 서버(1000)가 구현한 메타버스 환경(1500)의 가상 세계에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일 실시예로 애견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 견주가 메타버스 환경(메타버스 월드, 1500)에 가입을 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제공에 동의를 받고, 성명, 나이, 성별, 거주지, 애견의 나이 등을 입력하면, 메타버스 서버(1000)는 기존에 판매되었던 내역 중에서 해당 주소지와 해당 성명에 해당하는 구매자의 물품 구매습관과 최근에 구매한 제품들을 확인하여, 메타버스에서 입을 견주의 의상, 신발과 애견의 의상, 신발, 애견의 모자 등을 입체적 형상으로 제공한다.
메타버스월드 플랫폼인 메타버스 환경(1500)을 구현하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견주가 어떤 사이버 캐릭터나 아이템(견주 의상, 애견 장난감, 애견 의상, 애견 신발 등)들을 구매하는지 정보를 기록하고 분석하여 반복되는 행동을 파악한다.
만약, 파티의상을 자주 구매하는 견주에게는 메타버스 서버(1000)가 개발한 애견용 파티용 복장 NFT 구매를 프로모션하는 가상 쿠폰을 제시하거나 할인쿠폰을 발행한다. 이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가 관련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일 실시예로 포함한다.
제공되는 프로모션/할인 쿠폰은 블록체인 기반의 쿠폰으로서 입체적 형상을 가지며, 쿠폰을 제공받은 견주의 정보와 쿠폰을 제공받은 이후에 해당 쿠폰을 사용했는지 여부를 블록에 기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 참여하는 노드들에게 전송하여 무결성 검증을 받을 수 있다.
도 6에서 USER1/USER2는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물건을 구매하거나 혹은 판매할 수도 있다. 특히, 현실에 실체를 가지는 제품(냉장고, TV)는 이러한 현실 제품들을 표상하는 NFT(예를 들어 아이템화 된 경우)를 교환하거나 구매/판매하는 과정에서의 대가 지불은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의 코인 교환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품 구매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반려동물(예를 들어 애견)의 주인인 견주가 사용자(USER 1)인 경우를 가정하며, 사용자가 수신한 쿠폰이나 광고에 따라 제품을 구매할 경우에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도 7의 구매 과정의 대상은 실제 현실 세계의 상품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별도의 배송이나 설치가 없는 아이템(NFT와 같은 가상 자산) 역시 도 7의 구매 과정에서 거래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나 배송이 없으므로, S64 단계에서 거래가 종료할 수 있다.
이하 실제 상품의 구매에 중점을 두어 설명한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가 애견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거실에 누워있으며 체온이 상승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견주인 사용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집안 내의 온도가 상승하여 반려견의 건강상태가 나빠지는 경우이다.
이에,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반려견의 건강상태가 나빠진 상황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나 이들 구매를 위한 할인쿠폰이 포함된 메시지를 사용자의 전자장치(100)로 전송한다(S61).
이때,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사용자의 전자장치(100)에게 직접 반려견의 건강을 위한 선풍기나 에어컨의 구매를 제안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사용자에게 광고나 쿠폰 등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와 반려동물의 고부가가치 정보를 낙찰받은 온라인 스토어(700)가 제공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소지하는 다수의 전자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다(S62).
사용자가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광고나 쿠폰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 쿠폰은 메타버스 환경(1500)내에서 구매 가능한 NFT 혹은 현실 세계의 제품을 표상하는 NFT 의 구매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소지한 전자장치(100)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환경 내에 구축된 가상의 가전제품 판매점(온라인 스토어가 관리)에 방문하여 제품의 입체적 형상을 제품 내부, 외부를 상세하게 확대하여 살펴본 후에 구매 요청을 한다(S63).
사용자는 온라인 스토어(700)가 S61에서 제공했던 NFT 할인 쿠폰과 사용자가 소지한 코인을 온라인 스토어(700)가 소지한 전자 지갑으로 전송하고 구매를 희망하는 제품의 NFT를 구매하면 사용자의 전자 지갑(900)에는 제품에 해당하는 NFT가 들어가고, NFT 할인 쿠폰과 LG코인이 빠져나간다(S64).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전자지갑(900)과 온라인 스토어(700)의 전자지갑 사이에서 코인과 NFT의 교환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이러한 교환이 메타버스 환경(1500)을 관리하는 메타버스 서버(1000)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가 양측으로부터 수수료에 대응하는 코인을 수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스토어(700)는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메타버스 서버(1000)가 소지한 전자지갑으로 NFT판매에 대한 수수료로서 코인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 역시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메타버스 서버(1000)가 소지한 전자지갑으로 제품 구매에 대한 대가로서 코인을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과거에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서비스나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면, 메타버스 서버(1000)의 전자 지갑 주소를 보유할 수 있으며, 이 주소로 코인을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장치(100)는 구매한 서비스나 제품에 관한 영상이나 NFT를 표시할 수 있다. NFT에 소리나 음성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장치(100)는 음성/음악/음향 등을 재생할 수 있다(S65).
그리고, 사용자는 전자장치(100)에 표시된 영상이나 음성, 텍스트 등을 선택하거나 터치하거나 또는 소정의 구매나 설치에 대한 명령을 음성으로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NFT가 상징하는 제품의 배송 및 설치를 신청하거나 NFT가 상징하는 서비스를 수령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나 설치, 또는 수령 등을 선택하면, NFT가 표시되는 전자장치(100)의 집주소지 혹은 사용자가 입력해둔 배송지가 자동으로 온라인 스토어(700)에게 전달될 수 있다(S66).
사용자는 온라인 스토어(700)에게 설치 희망날짜를 디스플레이화면에서 터치하거나 음성으로 지정한다. 이때, NFT의 주문여부를 기록하는 항목에 주문한 날짜, 주소, 수량, 설치위치, 설치희망일자, 설치 희망시간, 주문자 정보(성명, 연락처 등)이 블록에 기록되고, 블록은 암호화되어서 블록체인네트워크로 전송되며, 각 노드들의 무결성 검증을 받아서 정상이라고 인정되면 블록체인에 추가가 된다(S67). 해당 블록의 주소는 제품을 제공할 온라인 스토어(7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에게 전달된다.
온라인 스토어(7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블록의 내용을 검증하여 주문사실에 변조나 해킹이 없음을 확인한 후에 제품 발송 및 설치를 위하여 제조사의 공장 서버에게 해당 제품의 수량, 색상, 모델명, 출고 목표날짜와 배송지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조사의 공장 서버는 물류차량에게 해당 제품을 수령하여 중간허브에 지역까지 운반하는 일정, 차량의 경로, 해당 제품의 수령 및 적재할 컨테이너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메타버스 서버(1000)에 해당 정보들이 누적될 수 있고(S68)를 통해 사용자의 전자장치(100)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S69).
메타버스 서버(1000)가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제품의 제조나 배송, 설치의 상황이 확인될 수 있도록 각각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을 취합하여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동일하게 표현한다.
예를 들어, 제품이 조립되는 과정을 메타버스 서버(1000)에게 통지하기 위해, 제조사의 공장서버는 현재 부품이 조립되는 라인번호, 작업자, 작업시작시간, 작업 완료 시간 등의 정보를 블록에 담아서 블록체인에 전송하여 각 노드들(600)로부터 무결성 입증을 받는 후에 블록체인에 해당 블록을 연결시켜둔다. 메타버스 서버(1000)는 해당 블록에 포함된 정보에 대해 전자장치(100)가 요청할 경우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제품의 조립 과정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품의 조립이 완료되면, 공장에서 창고, 혹은 배송지로 이동하기 위해 배송차량에 탑재될 수 있다. 제품이 중간 물류허브로 이동하는 경로, 위치, 속도, 도로의 진동상태, 컨테이너 내부 온도 등의 정보는 모두 메타버스 서버(1000)에게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들은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물류트럭의 화물칸의 동일한 위치에 적재된 제품이 입체적 형상으로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표시되고, 차량의 진동, 차량속도, 내부 온도, 눈, 비 상황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에 의하여 발생하는 화물칸 내부의 제품의 움직임이나 흔들림의 형태도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표현된다.
또한, 메타버스 환경(1500)의 사용자의 캐릭터가 전자지갑에 보관해둔 NFT를 열어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장치(100)를 이용하여 냉장고 디스플레이, 휴대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제품에 해당하는 NFT를 터치 또는 클릭하면 여러 개의 부가 메뉴가 표시되고, 그 중에서 제품의 현재 상태를 클릭할 수 있다.
이때,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제품이 현실세계에서 어떤 경로로 이동하는지, 배송 속도, 제품의 상태, 진동이나 흔들림 등과 같은 정보들이 입체적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배송되는 제품이 현실세계의 집을 형상화한 가상의 집 내에서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설정하거나 배송상의 관문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가로, 세로, 높이와 거주지의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의 가로, 세로 높이 및 거주지의 각 방의 출입문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 구현된 가상의 주거지의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가로, 세로 길이, 가상세계 거주지의 각 방의 출입문의 가로, 세로의 길이 등으로 입력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1000)는 제품의 현실세계에서의 크기를 반영하여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해당 제품을 표현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1000)는 제품을 설치할 때에 각 엘리베이터 문의 크기, 각 방마다의 출입문의 크기, 가전 제품을 놓았을 때 벽에서 튀어나오는 길이 등을 메타버스 환경(1500) 내의 거주지 공간에 입체적 형상으로 표현하여,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전 제품의 운반 방법과 출입문을 통해서 운반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창문을 통해서 이사용 특수차량을 통해서 가전제품을 고층의 거주지로 운반하는 모습을 입체적 형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제품 배송차량이 현실세계의 거주지에 도착하는 경우에는, AS설치 기사들이 제품의 설치위치와 제품의 운반 방법을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미리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가상의 제품으로 운반 경로와 설치경로를 시뮬레이션한 후에 설치 기사들이 실제로 현실세계에서 제품을 차량에서 내려서 이사용 지게차, 또는 사다리차를 이용하거나 사람이 직접 제품을 들고 엘레베이터를 타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목적했던 거주지의 설치 위치로 제품을 운반하여 사전에 시뮬레이션했던 최적의 거주지내의 장소를 메타버스 환경(1500)내의 가상의 거주지의 공간에 반투명한 형태로 표현하고 NFT 구매자인 사용자에게 최종 설치 위치를 지정하도록 요청하는 메세지(텍스트) 또는 영상(냉장고 디스플레이 등) 또는 음성(전기레인지 등)을 전송하고 사용자의 응답이 오면 그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가 설치될 위치를 결정하면, UX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장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전기레인지의 마이크, 건조기/세탁기의 터치패널, 로봇청소기의 마이크)에서 얼굴인식, 지문인식, 음성신호 등을 인식하여 설치자의 신원을 인증한 후에 해당 설치 위치정보를 설치자에게 전송한다.
설치자들은 해당 위치로 제품을 설치하고, 구매자가 설정한 위치와 선반의 높이 및 수도꼭지 연결부위, 전선(멀티탭)의 연장 등의 부가 작업을 실시하고, 기본설치 항목 이외에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설치비용(부자재 부품비(멀티탭), 세탁기호스 수전 연결용 멀티캡 등) 등이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
설치를 작업한 설치자들의 전자장치가 사용자에게 추가 경비 사용 내역(부품명, 부품비, 설치비, 사다리차 임차비용 등)을 전송을 하면서, 비용으로서 코인 수량 등을 청구하면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구매자에게 입체적 형상으로 표현된 청구 항목들(부품의 입체적형상, 사다리차의 입체적 형상 등)을 구매자인 사용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해서 블록을 만들 수 잇다.
생성된 블록은 블록체인 노드들(600)에게 전송되어 각 노드들이 해당 블록의 무결성을 검증한 후에 설치자들이 사용자에게 비용 청구 정보를 전송했음을 사용자의 전자장치(100)로 통지한다.
사용자의 전자장치(100)는 자신의 개인키로 해당 블록을 복호화하여 청구된 비용과 청구 내용을 확인하고, 자신의 전자지갑(900)에서 설치자의 전자장치의 전자지갑주소의 전자지갑 주소로 해당 코인을 암호화하여 블록에 담아서 전송하고 역시 무결성을 검증받느다.
블록체인 노드들(600)이 블록의 무결성을 검증해서 위변조되지 않았음을 확인해주면 사용자는 설치자에게 해당 지갑으로 비용 지불되었음을 통지하고,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도 NFT 아이콘으로 표현되는 코인의 갯수가 줄어드는 것이 표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환경에서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NFT를 매도/매수 하거나 교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사용자의 제1전자장치(100a)와 제2사용자의 제2전자장치(100b)는 메타버스 환경(1500)에 접속할 수 있다. 제1사용자가 매도자이며, 제2사용자가 매수자인 경우를 가정한다. 매도자인 제1사용자는 제1전자장치(100a)를 이용하여 채팅이나 음성 대화 또는 메타버스 환경(1500) 상에서 광고물 홍보를 통해서 자신이 보유한 NFT에 대해서 홍보를 하고 매도할 가격을 산정해서 공고한다(S71).
매수 희망자인 제2사용자는 자신의 제2전자장치(100b)를 이용하여 자신의 공개키를 매도자의 제1전자장치(100a)에게 전송하고, 매수 희망 가격을 전송한다(S72).
매도자인 제1사용자는 제1전자장치(100a)를 이용하여 매수자인 제2사용자의 제2전자장치(100b)에게 자신의 공개키와 전자지갑 주소(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매도 가격을 전송한다(S73).
매수자인 제2사용자의 제2전자장치(100b)는 제1사용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연결하고(S74) 코인을 매도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한다(S75).
매도자인 제1사용자는 제2사용자의 전자 지갑 주소로 NFT가 전달될 수 있도록 매수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추가한다(S76). 그리고, 매도자인 제1사용자의 제1전자장치(100a)는 블록의 식별정보(블록 주소)를 제2전자장치(100b)에게 전송한다(S77).
매수자인 제2사용자의 제2전자장치(100b)는 매수자의 개인키로 해당 NFT를 복호화하여 수령한다(S78).
도 8의 실시예는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사용자의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표상하는 NFT를 구매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전자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NFT를 구매하는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견의 나이와 가정내의 실내에서 전자장치인 가전제품 센서(동작센서, 음향센서, 영상센서, 카메라 등)로 측정한 센서데이터를 인공지능 분석서버(200)가 분석하여, 애견의 성향(활동적인지, 자주 짖는 견인지, 잠을 많이 자는 견인지 등), 실내의 환경에서의 제약으로 인해 애견이 좋아하는 활동(산책, 달리기, 하울링, 공놀이, 땅파기, 영역표시, 다른 이성견들과 친목활동 등)에 관한 정보와 애견을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 목록을 인공지능 분석서버(200)가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현실 세계에서는 시간적 제약,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견주와 애견이 함께 하지 못하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견주와 애견이 함께 할 수 있는 액티비티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타버스 환경(1500)내에 가상의 입체적 형상, 공원, 산책로 등의 공간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사용자인 견주와 애견이 함께 좋아하는 활동을 하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그로 인해, 견주와 애견의 활동을 지속하면서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활동을 함으로서 새롭게 드러나는 견주와 애견의 성향을 발굴할 수 있다. 그리고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발생한 활동들을 다시 인공지능 분석서버(200)가 전자장치(100)에게 피드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애견 캐릭터가 달리기를 한 뒤에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집안 내에 배치된 강아지 러닝 머신(전자장치)에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강아지가 러닝 머신 근처로 오게끔 유도하는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애견 캐릭터가 달리기를 한 것과 같이 현실에서도 강아지가 달리기를 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와 전자장치들이 강아지의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새로운 성향과 관련성이 높고 견주가 해당 제품들을 구매했을 때에 만족도가 높은지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어느 수준의 할인 또는 어떤 형태의 프로모션을 제공했을 때에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과거에는 구매 의사가 낮았던 견주가 제품을 구매하려고 마음을 변경하게 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다시 고부가가치 정보로 변환되어 견주를 타겟으로 하는 마케팅 활동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메타버스 서버(1000)를 구성하는 메타버스 모듈(1020, 도 12 참조)은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을 판매하는 온라인 스토어(700) 또는 제1전자장치(100a)에게 전자장치(100)의 소유자인 사용자의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의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1000)가 온라인 스토어(700) 또는 제1전자장치(100a)로부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할인 쿠폰 또는 광고 또는 구매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마케팅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실 세계와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활동이 상호 호환되어 마케팅 활동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전자장치(100)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다(S81).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구매한 상품/서비스를 분석하여(S82) 상품 또는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는 추천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후,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전자장치(100)에게 추천 리스트를 전송한 후,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취합한다(S84). 반응 정보란 사용자가 추천 리스트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상세 보기를 하거나, 구매를 하거나 혹은 쿠폰을 사용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반응 정보를 기록하여 차후 동일한 사용자 또는 해당 사용자가 포함된 그룹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상품/서비스 추천 시 반영한다(S85). 그룹은 사용자의 연령, 반려동물의 종류, 반려동물의 특성, 사용자의 특성, 또는 거주지 등 다양한 정보들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사용자인 견주 캐릭터와 애견 캐릭터가 함께하는 활동 중에서 만족도가 높은 활동을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고 사용자의 구매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반려동물의 캐릭터를 위한 아이템을 구매한 경우에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해당 아이템과 관련도가 높은 현실 세계의 상품이나 서비스 또는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사용 가능한 또다른 아이템(NFT와 같은 가상 자산)을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애견 캐릭터를 꾸미기 위해 가상 아이템을 구매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해당 구매 이력을 토대로 아이템/상품/서비스 등을 추천할 수 있다.
즉, 견주인 사용자가 사이버캐릭터로 표상되는 애견의 옷이나 신발, 모자, 목줄 등을 구매하기 위해 가상의 상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캐릭터가 메타버스 환경(1500)에 구축된 온라인 쇼핑몰에 입장하면, 사이버 3D캐릭터 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의 추천 제품으로 펫케어 세탁기, 건조기, 롤링 CCTV, 또는 제휴 판매 업체의 상품 목록 등이 메타버스 환경(1500)의 상점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제품들에 대해 구매행위로 전환될 수 있는 할인쿠폰 등의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할인쿠폰을 수령하려고 전자장치(100)의 화면(UX 디스플레이)에서 할인쿠폰을 터치하면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사용자의 전자지갑의 공개키로 해당 할인쿠폰 NFT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에 연결한다.
또한, 연결된 블록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노드들(600)에게 전송되어 무결성 검증이 완료되면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해당 블록주소에 할인쿠폰이 포함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통지 방식으로는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장치인 가전제품의 UX를 담당하는 구성요소들(냉장고 디스플레이, 전기레인지 음성, 로봇청소기 음성 등)이 영상과 소리로 사용자에게 할인쿠폰의 제공을 통지할 수 있다.
할인쿠폰은 공개부와 암호화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암호화부에 할인 혜택이 적용되는 제품의 명칭이나 목록, 제품 모델명, 할인율, 할인을 제공받은 수령자의 ID(견주 이름, 견주 ID 등), 할인쿠폰 유효기간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할인쿠폰의 공개부에는 블록의 해쉬값, 블록체인상의 앞 블록(앞에 연결된 블록)의 주소, 블록체인상의 뒷 블록(뒤에 연결된 블록)의 주소, 암호화부에 담겨있는 정보의 제목(예를 들어 펫케어세탁기 15%할인 쿠폰 등)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애견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아이템 혹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이력이 있는 경우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해당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애견에게 필요한 아이템/상품/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메타버스 환경(1500)에 가입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캐릭터와 반려동물, 예를 들어 애견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사람 캐릭터의 체형, 상의 옷, 하의 옷, 그리고 애견 캐릭터의 애견 옷, 애견 신발, 애견 목줄 등의 가상 아이템들을 지정할 수 있다.
만약 애견이 뚱뚱하거나 반대로 마른 것으로 체형이 설정된 경우에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애견 운동용품, 애견 건강식품(단백질, 다이어트용 사료 등)들의 목록을 제시하고 할인쿠폰을 제시하며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나 반려동물의 실제 생활에서의 행동 패턴을 반영하여 이들을 타겟팅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견주와 애견이 함께하는 활동 중에서 만족도가 높은 활동을 분석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품과 서비스를 추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전자장치(100)가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의 행동을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에게 리포팅한다(S91). 일 실시예로, 전자장치(100)는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의 행동을 센싱하거나 행동을 설명하는 정보를 장치측 생성 정보로 생성하여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에게 전송한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마케팅 활동 정보를 생성한다(S92). 마케팅 활동 정보는 해당 사용자 또는 해당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추천이나 할인 쿠폰의 제공, 광고 등을 포함한다.
또는 마케팅 활동 정보는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에 대한 추천이나 할인 쿠폰의 제공, 광고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의 캐릭터가 접속하거나 메타버스 환경(1500)내에서 캐릭터가 이동하거나 움직이는 경우에,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S92에서 생성한 마케팅 활동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전자장치(100)에게 제공한다(S93). 예를 들어, 현재 메타버스 환경(1500)에 접속한 사용자의 전자장치(100)에서 마케팅 활동 정보가 음성/영상 등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S93).
이후, 사용자가 마케팅 활동 정보로 제공된 상품/서비스/아이템을 선택하여 구매하거나 상세보기 등으로 관심을 표현한 경우(사용자의 반응 정보 전송),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사용자의 전자장치(100)에게 해당 상품/서비스/아이템의 구매나 상세 정보 제공을 위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S94).
그리고, 사용자가 구매를 할 경우,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S95).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발주, 또는 아이템의 구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위해 행동한 행동 패턴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상품이나 서비스가 추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주의 옷, 이불, 생활용품들에서 애견의 털을 떼어낸 이력을 전자장치들이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에서 옷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전자장치들의 센서가 측정하고 인공지능 분석서버(200)가 해당 이물질을 분석하여 동물의 털인 것으로 판정한다.
이 경우,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애견과 견주가 함께 활동(산책, 공놀이, 전시회/공원 참석, 애견 놀이동산 등)을 할 때에 해당 견주 또는 애견에게 필요한 제품(애견전용 세탁세제, 애견 전용 샴푸, 애견 전용 껌, 팻케어 세탁기, 팻케어 건조기, 스타일러 등)의 할인 쿠폰이 포함된 NFT를 입체적 형상으로서 견주인 사용자의 전자장치(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자장치(100)를 이용하여 해당 쿠폰의 수령을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에게 통지한 경우,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해당 쿠폰이 포함된 NFT를 전자장치(100)에게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 견주가 애견 털관련 제품 쿠폰이 포함된 NFT를 터치하여 수령할 의사를 밝히면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견주의 전자지갑의 주소와 공개키를 확인하고 해당 공개키로 제품 할인 쿠폰이 포함된 NFT를 암호화하여 블록을 생성하고 이의 식별 정보를 견주인 사용자의 전자장치(100)에게 전송한다.
이때, 제품 할인 쿠폰이 포함된 NFT에는 공개부, 암호화부가 존재할 수 있음은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 다른 실시예로, 애견의 현실세계의 행동 특성을 전자장치가 센싱하여 이를 기반으로 도 10의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견의 현실세계의 행동 특성을 반영하여 애견과 견주의 가상 캐릭터가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이들의 가상 세계에서의 행동 또는 현실 세계에서의 행동이 누적되어 하나의 행동 패턴으로 분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반려동물에 부착된 전자장치, 예를 들어 애견의 목걸이 센서는 실내, 실외에서 애견이 공원을 걸어다니는 속도나 걸음걸이 진동, 목걸이 센서의 높이에 따른 애견의 키를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폰과 같은 전자장치 역시 애견이 산책할 때 뛰어다니는 공원의 산책코스와 애견이 뒹굴면서 놀기 좋아하는 공원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목걸이 센서와 휴대폰 등의 전자장치가 측정 및 수집한 정보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로 전송되어 분석된다.
그 결과, 애견이 하는 행동을 메타버스 환경(1500)의 애견 캐릭터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91과 같이 현실에서 실제로 산책을 갔던 동일한 특정 지역(공원, 산책로 등) 또는 해당 지역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모래사장, 잔디밭 등)에 대한 정보가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에서 취합될 수 있다. 분석 과정에서 애견의 기본정보(식성, 건강, 나이, 수면상태, 성격)과 심층분석정보(좋아하는 놀이패턴 등)가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환경에서 애견과 관련된 아이템이나 현실세계의 판매 가능한 상품/서비스는 NFT로 구현될 수 있고,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AR/VR/3D 형태의 입체적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견주, 애견 행동패턴 정보를 확보하고, 제품 마케팅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선호하는 캔음식, 선호간식, 선호 장난감, 등)를 도출하고 애견과 견주가 특정 위치(호수 공원)에서 하는 행동을 할 때에 광고판을 메타버스 환경(1500) 내의 해당 지역 주변에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의 유사 지역(A시 호수공원, B시 호수공원)에 애견과 견주 캐릭터가 지나갈 때에도 사이버 세계 내의 매점 전광판이나 상점의 간판의 내용, 또는 애견 용품, 애견 가전 등을 홍보하는 광고 등이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견주가 특정 광고를 터치하거나 클릭을 하는 경우에는 입체적 형상으로 표현된 제품과 광고 동영상, 음성 등이 상세히 출력되며, 제품 할인에 관한 쿠폰이나 광고 등이 포함된 NFT를 견주에게 제시하고, 견주는 해당 할인 NFT를 블록체인을 통해서 수령할 수 있다.
견주가 해당 광고판을 터치하면 공간자체를 메타버스 환경(1500)내의 해당 제품의 홍보매장으로 이동을 시키고, 해당 매장에서 또다른 캐릭터(매장의 전담 직원이 관리하는 캐릭터)가 등장하여 채팅 또는 동영상 또는 화상통화를 통해서 제품에 대한 프로모션과 판매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는 사람이 별도로 관리하지 않는 인공지능(AI) 캐릭터가 채팅, 동영상, 화상통화를 통해서 고객과 구매 유도를 위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이때, 메타버스 환경(1500)에 구축된 가상의 매장에서 견주와 매장직원(사람 또는 AI) 캐릭터가 나누는 대화와 제품 구매 행위에 관한 모든 기록은 블록의 암호화부에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 있다.
각 시간대별로 블록에 포함시켜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을 구성하고 블록 노드들(600)에게 무결성 검증을 받은 후에, 정상인 경우에는 해당 블록이 블록체인에 정상적으로 포함된다. 아울러,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해당 대화내용이 저장된 블록의 주소를 이용하여 블록을 복호화한 후, 구매주문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와 구매자의 주소, 연락처 등의 구매정보를 확인하고 견주에게 진짜로 구매를 신청하였는지 확인하는 메세지를 보낼 수 있다.
고객이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명확하게 구매 의사를 밝힌 경우에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자신의 공개키를 전달하고 코인으로 비용을 요청한 후에 구매자가 자신의 공개키와 코인을 블록에 담아서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한다. 이 과정에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인증 노드(600)들이 블록의 무결성을 검증해서 알려주면,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코인을 수령하고, 해당 주문 제품을 구매자의 주소로 배송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공지능 분석서버(200)의 인공지능 모듈은 전자장치(100)가 배치된 공간의 지역에 대한 경제적 정보, 해당 공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들의 가격, 또는 구성원에게 제공되었거나 혹은 제공 예정인 서비스 정보에서 산출된 구매 또는 구독 내역과 가격, 또는 전자장치가 메타버스 환경에 접속하여 구매한 아이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구성원의 구매력을 산출할 수 있다. 이 정보는 고부가가치 데이터에 포함되어 NFT로 거래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의 분석기는 각 가족 구성원들의 성별, 연령을 고려하여, 부모, 자녀들의 관계를 분석하고, 추가적으로 각 가족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제품, 서비스를 유추한다. 인공지능 모듈의 분석기는 동시에 집에 있는 시간과 대화 여부 등 전자장치가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족 내의 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의 분석기는 반려동물과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에 필요한 상품을 주로 구매하는 가족 구성원에게 관련 상품/서비스/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다.
아울러,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또는 메타버스 서버(1000)는 둘 이상의 가족 구성원이 반려동물과 메타버스 환경(1500)에서 활동하는 내용을 분석하고 또한 현실 세계에서 가족 구성원이 반려동물과 활동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함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가족 구성원을 선별할 수 있다.
그 결과 해당 가족 구성원의 고부가가치 데이터가 포함된 NFT가 다른 가족 구성원의 고부가가치 데이터가 포함된 NFT 보다 높은 가격으로 거래될 수 있다.
NFT 서버(300)는 메타버스 환경에 적합하도록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재가공할 수 있으며, 구성원들의 현재 상태, 취향, 메타버스 내의 캐릭터들의 동작 상황 등을 반영한 가상자산과 업그레이드된 형태의 가산자산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NFT 서버(300)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NFT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전송하고 이 NFT 블록이 전세계 이더리움네트웍(ERC20), BSC 블록체인(BEP-20 등) 또는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인증 노드들은 NFT 서버(300)에게 NFT 블록의 등록된 주소(블록체인 주소, 공개키)를 전송할 수 있다.
생성된 NFT는 각각의 고부가가치 데이터들을 형상화한 가상의 아이템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들 아이템은 각 가족 구성원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아이템을 형상화하여 메타버스 캐릭터를 생성하며, 이들 아이템은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포함한다. NFT는 마케팅을 수행하려는 사업자들에게 유용한 마케팅 포인트와 고객의 구매 성향, 구매력이나 경제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가상 자산 형태로 판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 서버(300)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3D,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또는 입체적인 영상 데이터의 형태 등으로 고객을 표현할 수 있도록 NFT를 생성할 수 있다. NFT 서버(300)는 NFT 내에 전술한 정보들을 포함시켜서 메타버스 환경에서 각 가족구성원의 나이, 성별, 현재 애용하는 제품, 의류 등을 반영하여 입체적 형상을 가지는 캐릭터를 생성하고, 현재 보유중인 제품(가방, 자동차, TV)등도 가상캐릭터로 형성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NFT에는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서 움직이는 캐릭터의 동적 변화를 지시하는 데이터가 소스코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고부가가치 데이터들도, 메타버스에서 입체적 형상으로 표현되도록 소스코드로 작성되어있으며, 고부가가치 데이터도 NFT의 본문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NFT 서버(300)는 NFT를 생성함에 있어서 해당 고객이 보유한 제품들 목록과 가족들의 경제력이나 구매력, 향후에 구매가능한 구매여력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며, 이 정보는 이후에 NFT를 낙찰받는 온라인 스토어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NFT 명세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다.
도 10의 실시예를 정리하면, 메타버스 서버(1000)는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나 반려동물이 즐겨 찾는 공원이나 놀이터에 대한 정보가 메타버스 서버(10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서버(1000)는 가상 공간을 생성한다.
이후,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반려동물의 캐릭터가 가상 공간으로 이동할 경우, 메타버스 서버(1000)는 이들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가상 공간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공지능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통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로부터 반려동물의 활동 및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수신한다.
인공지능 모듈(220)은 통신부(210)가 수신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의 정보 및 반려동물의 정보 또는 전자장치를 사용한 내역 또는 사용자나 반려동물에게 제공되었거나 제공 예정인 서비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아울러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마케팅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품/서비스/아이템의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통신부(1010)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로부터 반려동물의 활동 및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수신한다.
메타버스 모듈(1020)은 사용자 및 반려동물이 활동하는 메타버스 환경의 공간에서 장치측 생성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반려동물의 캐릭터를 변경한다.
아울러 메타버스 서버(100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메타버스 환경을 구현하여 다수의 사용자들과 이들의 반려동물이 메타버스 환경 속에서 캐릭터로 구현되어 다양한 가상 세계에서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타버스 모듈(1020)은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통신부(1010)는 생성한 정보를 사용자의 전자장치(100)에게 전송한다. 그 결과 메타버스 환경(1500) 내에서의 캐릭터들의 움직임과 광고 등의 정보들이 사용자의 전자장치(100)에서 확인될 수 있다.
아울러, 메타버스 서버(1000)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품/서비스/아이템의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1의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및 도 12의 메타버스 서버(1000)는 하나의 장치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통신부, 메타버스 모듈, 인공지능 모듈을 모두 포함하며, 특정 프로세스에서는 전술한 인공지능 분석서버로 동작하고, 또다른 프로세스에서는 전술한 메타버스 서버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 및 메타버스 서버(1000)는 하나의 서버군을 구성하며 긴밀하게 상호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자와 반려동물의 현실세계의 센서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상세계의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다수의 가상 자산을 교환하거나 매매하여 자산과 사이버캐릭터를 보유할 수 있다. 그리고,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행위가 현실세계에서도 똑같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주문하면, 그에 따라 생산, 배송, 설치, AS 등과 같은 현실 세계의 액티비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액티비티의 과정 또는 중간 결과는 가상의 메타버스 환경에서 동일하게 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메타버스 환경에서 가상의 사용자/반려동물의 캐릭터와 실제 현실세계의 가전제품 및 사용자, 반려동물의 정보는 서로 영향을 주거나 혹은 현실세계의 정보가 가상 세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양한 전자장치의 센서, 마이크, 카메라 등으로 측정한 데이터는 인공지능 분석서버(200)로 전송되어 분석되며, 이 과정에서 해당 사용자나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서비스/상품/아이템을 판매할 수 있는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고부가가치 데이터이며, 이를 기반으로 NFT 서버(300)가 NFT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NFT를 구매한 온라인 스토어는 마케팅 정보에 제품의 할인쿠폰, 광고, 또는 상세 정보 등을 포함시켜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실제 현실세계의 제품의 구매, 운반, 설치 과정을 메타버스 환경과 NFT의 이동을 연계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반려동물과 사용자의 일상의 활동이나 행동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들을 타겟으로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아이템의 홍보가 메타버스 환경 및 현실 세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들의 구매나 교환 등이 NFT의 거래, 코인의 교환 등으로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과 변형은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각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구성요소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전자장치 200: 인공지능 분석서버
300: NFT 서버 500: 마케팅 플랫폼 서버
700: 온라인 스토어 900: 전자지갑
1000: 메타버스 서버

Claims (17)

  1.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로부터 반려동물의 활동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의 정보 및 반려동물의 정보 또는 상기 전자장치를 사용한 내역 또는 상기 사용자나 상기 반려동물에게 제공되었거나 제공 예정인 서비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듈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몸무게, 키, 보행 습관, 목소리, 상기 반려동물에 관련된 활동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반려동물의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연령과 성별, 몸무게, 키, 보행 습관, 식사 습관, 반려동물의 울음 소리, 활동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생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을 센싱하거나 또는 상기 행동을 설명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마케팅 활동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마케팅 활동 정보는 상기 인공지능 서버 또는 메타버스 서버가 제공하는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에 대한 추천이나 할인 쿠폰의 제공, 광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전자장치가 배치된 공간의 지역에 대한 경제적 정보, 상기 공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들의 가격, 또는 상기 서비스 정보에서 산출된 구매 또는 구독 내역과 가격, 상기 전자장치가 메타버스 환경에 접속하여 구매한 아이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매력을 산출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장치에게 마케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마케팅 정보가 상기 전자장치에서 출력된 후 상기 전자장치 또는 상기 전자장치가 배치된 공간의 다른 전자장치가 전송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분석하여 반응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마케팅 정보에 대한 상기 반응 정보를 상기 마케팅 정보를 제공한 장치에게 전송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분석서버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반려동물이 활동하는 메타버스 환경의 공간에서 상기 장치측 생성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를 변경하는 메타버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
  7.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로부터 반려동물의 활동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반려동물이 활동하는 메타버스 환경의 공간에서 상기 장치측 생성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를 변경하는 메타버스 모듈을 포함하는, 메타버스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모듈은 상기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전자장치에게 전송하는, 메타버스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모듈은 상기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을 판매하는 온라인 스토어에게 상기 사용자의 상기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온라인 스토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할인 쿠폰 또는 광고 또는 구매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마케팅 정보를 수신하는, 메타버스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모듈은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가 상기 가상 공간으로 이동할 경우,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메타버스 서버.
  11. 제1전자장치가 반려동물의 활동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전자장치가 상기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인공지능 분석서버 또는 메타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전자장치 또는 제2전자장치가 상기 인공지능 분석서버로부터 마케팅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메타버스 서버로부터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몸무게, 키, 보행 습관, 목소리, 상기 반려동물에 관련된 활동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반려동물의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연령과 성별, 몸무게, 키, 보행 습관, 식사 습관, 반려동물의 울음 소리, 활동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측 생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을 센싱하거나 또는 상기 행동을 설명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분석서버는 상기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마케팅 활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케팅 활동 정보는 상기 인공지능 서버 또는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제공하는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에 대한 추천이나 할인 쿠폰의 제공, 광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분석서버는 상기 마케팅 정보가 상기 전자장치에서 출력된 후 상기 전자장치 또는 상기 전자장치가 배치된 공간의 다른 전자장치가 전송한 장치측 생성 정보를 분석하여 반응 정보를 생성한 후,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지능 분석서버는 상기 마케팅 정보에 대한 상기 반응 정보를 상기 마케팅 정보를 제공한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반려동물이 활동하는 메타버스 환경의 공간에서 상기 장치측 생성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을 판매하는 온라인 스토어에게 상기 사용자의 상기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온라인 스토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할인 쿠폰 또는 광고 또는 구매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마케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장치측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가 상기 가상 공간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추천 상품 또는 추천 서비스 또는 추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상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10108290A 2021-08-17 2021-08-17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00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290A KR102600765B1 (ko) 2021-08-17 2021-08-17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290A KR102600765B1 (ko) 2021-08-17 2021-08-17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184A true KR20230026184A (ko) 2023-02-24
KR102600765B1 KR102600765B1 (ko) 2023-11-09

Family

ID=8533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290A KR102600765B1 (ko) 2021-08-17 2021-08-17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782B1 (ko) * 2023-05-16 2024-02-20 주식회사 젭 메타버스 내에서의 nft 아바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600A (ko) * 2003-08-20 2005-03-03 (주)큐론테크놀로지스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및 제공 시스템
KR20200060140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제공 장치에서 결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게임 제공 장치
KR102139922B1 (ko) * 2019-08-26 2020-07-31 이경연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KR20210040590A (ko) * 2019-10-04 2021-04-14 제이엠스마트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600A (ko) * 2003-08-20 2005-03-03 (주)큐론테크놀로지스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및 제공 시스템
KR20200060140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제공 장치에서 결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게임 제공 장치
KR102139922B1 (ko) * 2019-08-26 2020-07-31 이경연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KR20210040590A (ko) * 2019-10-04 2021-04-14 제이엠스마트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782B1 (ko) * 2023-05-16 2024-02-20 주식회사 젭 메타버스 내에서의 nft 아바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765B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74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exchangeable user profiles
US20190325498A1 (en) Useful and novel shopping application
CN103534721B (zh) 一种使用广告服务的方法以及用于执行该方法的计算设备
US202100565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retail offers
Bonetti et al. A review of consumer-facing digital technologies across different types of fashion store formats
US201403100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social shopping game platforms
WO2001069829A2 (en) Networked interactive toy apparatus operative to promote sales
WO2007117592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duct information
TW201337817A (zh) 具推薦人顯示及廣告發佈的社群購物平台及購物方法
TW201140479A (en) Advertisement analysis device and advertisement server
CN105474248A (zh) 用于促销与节目内容相关的项目的系统和方法
KR20130107481A (ko) 적립금 연동 가상 캐릭터 육성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2600765B1 (ko) 반려동물 및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49042A (ko)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인플루언서의 제3 수익 창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415008A (zh) 信用数据管理方法、装置、节点设备、存储介质以及系统
Mun Online collaborative consumption: Exploring meanings, motivations, costs, and benefits
KR101737424B1 (ko) 사용자의 구매 및 참여 가능성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586519B1 (ko) 전자장치가 수집한 정보를 포함하는 nft를 배분하는 서버 및 방법
KR20070049383A (ko) 길드 기반 전자상거래
Hoffmann et al. China’s e-commerce prize
Ayada et al. Advergames on Facebook a new approach to improve the fashion marketing
CN107836002B (zh) 用于生成可交换用户简档的方法和系统
Lehner et al. Digitalization: A Potential Tool for Sustainable Consumption?
WO2001027838A1 (en) Integrated commerce environment (ice) - a method of integrating offline and online business
KR102586520B1 (ko) 전자장치가 수집한 정보를 nft로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