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172A - 벌룬형 요도 카테터 - Google Patents

벌룬형 요도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172A
KR20230026172A KR1020210108260A KR20210108260A KR20230026172A KR 20230026172 A KR20230026172 A KR 20230026172A KR 1020210108260 A KR1020210108260 A KR 1020210108260A KR 20210108260 A KR20210108260 A KR 20210108260A KR 20230026172 A KR20230026172 A KR 2023002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inlet hole
tube member
bladder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174B1 (ko
Inventor
최진호
박상욱
윤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아이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아이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아이플렉스
Priority to KR102021010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1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4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inflation or def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025/0079Separate user-activated means, e.g. guidewires, guide tubes, balloon catheters or sheaths, for sealing off an orifice, e.g. a lumen or side holes, of a cath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방광 내에 유치시키는 벌룬형 요도 카테터를 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소변 배출로가 마련된 튜브부재와 상기 튜브부재에 형성된 벌룬부를 구비한 벌룬형 요도 카테터로서, 상기 튜브부재의 최선단부와 상기 벌룬부 사이의 상기 튜브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소변 배출로와 연통된 상부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벌룬부의 하부측의 상기 튜브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소변 배출로와 연통된 하부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유입공을 개폐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벌룬형 요도 카테터{Balloon urethral catheter}
본 발명은 요도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룬형 요도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도 카테터는 환자의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방광 내에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요도 카테터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정상인들의 장시간 마취상태 수술시 배뇨가 필요한 경우, 척추손상 등으로 인한 방광 및 요도의 기능 이상 문제로 소변의 배출이 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인위적 도뇨가 필요한 상태이나 요도 괄약근의 강직도가 너무 강하거나 요도 협착이 심하여 요도의 내경이 좁아져 배뇨할 때 마다 도뇨관을 삽입하기 힘든 경우, 또는 방광이 과도하게 예민하여 수축되거나 방광 주위 섬유화로 방광이 수축되어 방광 내 소변 저장능력이 현저히 저하된 경우, 또는 도뇨법 등의 방법으로 인한 요도 손상으로 빈번한 도뇨법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요도 카테터의 일종인 벌룬형 요도 카테터는, 선단을 요도로 삽입시킨 후 방광 내에 도달한 카테터의 전단부에 구성된 벌룬부를 확장시킴으로써, 요도를 통해 삽입된 요도 카테터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방광 내에 설치된 벌룬형 요도 카테터는 요도 카테터 상부 홀을 통해 방광 내의 소변이 유입되어 튜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도 1은 남성과 여성의 인체(방광) 내에 요도 카테터의 삽입 후 최종적으로 위치해야 할 바람직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1에서 (a) 와 (b)는 요도 카테터의 벌룬부(2)가 남/녀의 방광(3)에 위치한 상태에서 팽창 및 고정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벌룬형 요도 카테터는 요도카테터 삽입이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 혹은 숙련자의 실수로 인해 삽입 시 환자의 육체적·정신적 부상을 야기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a)는 종래의 벌륜형 요도 카테터(1)가 방광(3) 내에 양호한 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태는 상태도이다. 한편 도 2의 (b)과 같이 사용자가 미숙하거나 의도치 않은 실수로 인해, 요도 카테터(1)의 벌룬부(2)가 요도(Urethra; 4)를 통과하기 전에 사용자가 요도카테터의 위치 설정을 완료하고, 벌룬부(2)가 요도(4) 내에서 풍선처럼 확장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벌룬부(2)가 요도(2)를 완전하게 통과하지 않은 상태, 즉 요도(2)내에서 팽창하는 경우 환자에게 가해지는 정신적 고통과 유체적 손상은 요도 카테터의 사용상 매우 큰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벌룬부의 확장은 카테터 삽입 후에 진행하여야 되어야 하는데, 이때 일반적인 요도 카테터의 경우 카테터가 완전히 요도를 완전히 통과하여 방광내부에 양호하게 진입된 것을 외부에서 확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요도 카테터의 설치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만한 객관적인 인디케이터가 없다.
이는 도 2의 (b)와 같이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나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요도 카테터의 벌룬부(2)가 방광(3)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벌룬부(2)이 확장되는 경우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요도(4)에 위치한 상태에서 벌룬부(2)가 확장됨으로써, 대상 환자에게 심각한 물리적인 고통과 부상 그리고 정신적 트라우마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93616호(공개일자: 2009년 09월 02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요도 카테터의 벌룬부가 방광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벌룬부가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벌룬형 요도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소변 배출로가 마련된 튜브부재와 상기 튜브부재에 형성된 벌룬부를 구비한 벌룬형 요도 카테터로서, 상기 튜브부재의 최선단부와 상기 벌룬부 사이의 상기 튜브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소변 배출로와 연통된 상부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벌룬부의 하부측의 상기 튜브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소변 배출로와 연통된 하부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유입공을 개폐하는 밸브 부재가 마련된 벌룬형 요도 카테터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벌룬부의 팽창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 유입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벌룬부에 연결된 연동단과 상기 상부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서 팽창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유입공의 폐쇄하는 팽창형 밸브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테터 선단부가 방광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이 하부 유입공을 통해 소변 배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카테터의 양호한 삽입위치를 육안으로 확인 한 후에 벌룬부를 팽창시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요도 카테터의 잘못된 삽입으로 인한 육체적·정신적 데미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남성과 여성의 인체(방광) 내에 요도 카테터가 장착된 상태의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요도 카테터의 바람직한 설치예와 잘못된 설치예의 비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형 요도 카테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형 요도 카테터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형 요도 카테터의 사용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형 요도 카테터의 연동형 밸브부재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형 요도 카테터의 다양한 밸브부재의 구성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형 요도 카테터의 연동형 밸브부재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벌룬형 요도 카테터(100)는 내부에 소변 배출로와 팽창 공기 주입로가 형성된 튜브부재(10)와 튜브부재(10)의 선단측에 배치된 벌룬부(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튜브부재(10)의 선단부(11)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요도의 삽입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단부(11)와 벌룬부(20)의 사이에는 튜브부재(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부 유입공(11h)이 형성된다. 이 상부 유입공(11h)은 튜브부재(10) 내부에 형성된 소변 배출구(16)와 연통한다.
한편 벌룬부(20)의 하부측의 튜브부재(10)의 외측면에는 하부 유입공(12h)이 형성된다. 하부 유입동(12h)도 소변 배출구(16)와 연통한다. 한편 튜브부재(10)의 말단측에는 내부의 팽창 공기 주입로와 연통된 팽창 공급구(34)와, 내부의 소변 배출로와 연통된 소변 배출구(16)가 형성된다. 여기서 팽창 공급구(34)는 유체(또는 공기)를 주입하여 벌룬부(20)를 팽창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벌룬부(20)의 내부에는 팽창 공급공(20h)이 형성되어 팽창 공급구(34)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나 공기가 공급되어 벌룬부(20)를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벌룬형 요도 카테터(100)는 방광(30)의 내부에 발룬부(20)가 위치한 상태까지 요도(40)를 통해 삽입이 이루어진다(도 4의 (a) 참조). 이 상태에서 팽창 공급구(34)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여 벌룬부(20)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때 벌룬부(20)가 방광(30)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된 것에 대한 확인은 방광(30) 내에 노출된 하부 유입공(12h)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튜브부재(10)의 하부 유입공(12h)을 통해 방광(30)의 내부의 소변이 흘러들어가 외부에서 소변 배출구(16)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카테터의 선단부(11)가 요도(40)를 통해 삽입되어 벌룬부(20)가 완전하게 방광부(20)에 위치하는 경우, 방광(30) 내에 노출된 하부 유입공(12h)을 통해 방광(30) 내의 소변이 유입되어 외부에서 이를 확인하는 것으로 카테터의 양호한 삽입 상태의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벌룬부(20)가 완전하게 방광(30) 내에 위치한 것을 확인한 다음, 벌룬부(20)를 팽창시킴으로써 요도(40)의 입구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도 4의 (c) 참조). 이 상태에서는 하부 유입공(12h)은 요도(40)의 측벽에 막혀있는 상태가 되어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 반면, 상부 유입공(11h)은 밸브부재(50)를 개방시킴으로써 상부 유입공(11h)이 개방되어 이를 통해 방광(40) 내의 소변이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벌룬형 카테터는 카테터 삽입시 하부 유입공(12h)을 통해 방광(30) 내부의 소변이 유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요도 카테터의 양호한 삽입위치를 확인한 다음, 벌룬부(20)를 팽창시켜 요도(40) 입구에 양호한 고정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튜브부재(10)의 내부에 설치된 밸브 부재(50)를 상부 유입공(11h)으로부터 개방시킴으로써, 방광(30) 내의 소변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도 4의 (c)참조).
즉, 도 5의 (b)와 같이 밸브부재(50)는 튜브부재(10)의 선단 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를 통해 물리적으로 상부 유입공(11h)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밸브부재(50a)는 벌룬부(20)의 팽창과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부재(50a)는 벌룬부(20)의 외면측에 연결되는 연동단(52)과, 튜브부재(10)의 외측면에 연결된 전환영역(53), 및 상부 유입공(11h)을 폐쇄시키는 개폐단(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6의 (b)와 같이 벌룬부(20)가 팽창하는 경우, 밸브 부재(50a)의 연동단(52)은 벌룬부(20)의 팽창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환영역(53)을 기준으로 개폐단(51)도 시계방향(튜브부재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부 유입공(11h)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벌룬부(20)의 팽창과 연동하도록 밸브부재(50a)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벌룬부(20)의 양호한 설치위치를 확인한 다음 벌룬부(20)를 팽창시키는 동작과 함께, 방광(40) 내의 소변의 배출(즉 상부 유입공; 11h의 개방)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이러한 연동형 밸브 부재(50a)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밸브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는 튜브부재(10)의 선단 내부에 팽창되는 것으로 상부 유입공(11h)을 폐쇄하고, 개방시에는 밸브 부재(50b)를 수축시키는 방식으로 상부 유입공(11h)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와 같이 튜브부재(10)의 내부에 부착된 시트형 밸브부재(50c)가 적용될 수 있고, 도 7의 (C)와 같이 튜브부재(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는 형태의 슬라이딩 밸브부재(50d)가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간단하게 도 7의 (d)와 같이 튜브부재(10)의 내부에서 이동블럭형 밸브부재(50e)가 와이어(55)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부 유입공(11h)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벌룬 연동형 밸브부재(50f)로서 벌룬부(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벌룬부(20)의 팽창에 의해 밸브부재(50f)의 선단측이 튜브부재(1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방광(30) 내의 소변이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벌룬형 요도 카테터는 카테터 선단부가 방광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이 하부 유입공(12h)을 통해 소변 배출구(16)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가 카테터의 양호한 삽입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에 벌룬부(20)를 팽창 및 고정시킬 수 있어 종래에 요도 카테터의 잘못된 삽입으로 인한 육체적·정신적 데미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튜브부재
11: 선단부
11h: 상부 유입공
12h: 하부 유입공
20: 벌룬부
20h: 팽창 공급공
16: 소변 배출구
36: 팽창 공급구
40: 요도
50,50a: 밸브부재
50b: 팽창형 밸브부재
50c: 시트형 밸브부재
50d: 슬라이딩 밸브부재
50e: 이동블럭형 밸브부재
50f: 벌룬 연동형 밸브부재
51: 개폐단
52: 연동단
53: 전환영역

Claims (3)

  1. 내부에 소변 배출로가 마련된 튜브부재와 상기 튜브부재에 형성된 벌룬부를 구비한 벌룬형 요도 카테터로서,
    상기 튜브부재의 최선단부와 상기 벌룬부 사이의 상기 튜브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소변 배출로와 연통된 상부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벌룬부의 하부측의 상기 튜브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소변 배출로와 연통된 하부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유입공을 개폐하는 밸브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형 요도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벌룬부의 팽창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 유입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벌룬부에 연결된 연동단과 상기 상부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형 요도 카테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서 팽창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유입공의 폐쇄하는 팽창형 밸브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형 요도 카테터.
KR1020210108260A 2021-08-17 2021-08-17 벌룬형 요도 카테터 KR102588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260A KR102588174B1 (ko) 2021-08-17 2021-08-17 벌룬형 요도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260A KR102588174B1 (ko) 2021-08-17 2021-08-17 벌룬형 요도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172A true KR20230026172A (ko) 2023-02-24
KR102588174B1 KR102588174B1 (ko) 2023-10-19

Family

ID=8533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260A KR102588174B1 (ko) 2021-08-17 2021-08-17 벌룬형 요도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1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4429B2 (ja) * 1997-07-17 2008-04-09 エスアールエ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流体迂回バルブ
US20130331824A1 (en) * 2012-06-10 2013-12-12 Sungyul D. Kim Catheter and method for its use
WO2019049954A1 (ja) * 2017-09-07 2019-03-14 大塚テクノ株式会社 尿道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4429B2 (ja) * 1997-07-17 2008-04-09 エスアールエ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流体迂回バルブ
US20130331824A1 (en) * 2012-06-10 2013-12-12 Sungyul D. Kim Catheter and method for its use
WO2019049954A1 (ja) * 2017-09-07 2019-03-14 大塚テクノ株式会社 尿道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174B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6417A (en) Detachable catheter apparatus
US10426584B2 (en) Method of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by implanting a reservoir around a urethra of the user
US7264609B2 (e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US8475435B2 (en) Partial-length indwelling urinary catheter permitting selective urine discharge
EP2493543B1 (en) Balloon encapsulated catheter tip
US5441485A (en) Bladder catheter
US5007898A (en) Balloon dilatation catheter
AU613247B2 (en) Prostate balloon dilator
EP0417189B1 (en) Balloon dilation catheter
EP0465417A1 (en) Direct vision prostate balloon catheter
JP4427546B2 (ja) 膨張管アンカー、閉塞抵抗性及び除去機能を有する部分長さの留置前立腺カテーテル
TW201720482A (zh) 用於充氣裝置之閥系統
US20190240448A1 (en) Drainage and anchoring system for a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ATE468145T1 (de) Verkürzter prostata-verweilkatheter mit spulenförmigem aufblasrohr
US6589228B2 (en) Device for aiding urina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JPS63177853A (ja) 失禁制御装置
KR20230026172A (ko) 벌룬형 요도 카테터
JP2009538166A (ja) 前立腺ステント
CN110215543B (zh) 一种医用可引导导尿管
JP4021421B2 (ja) 身体アクセスポート
KR102408167B1 (ko) 요도관 어셈블리
KR20210001149A (ko) 배액용 카테터
KR200269507Y1 (ko) 이중 풍선형 도뇨관
CN210020551U (zh) 一种医用可引导导尿管
KR102534486B1 (ko) 요도 손상이 없는 소변줄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