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507Y1 - 이중 풍선형 도뇨관 - Google Patents

이중 풍선형 도뇨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507Y1
KR200269507Y1 KR2020010039297U KR20010039297U KR200269507Y1 KR 200269507 Y1 KR200269507 Y1 KR 200269507Y1 KR 2020010039297 U KR2020010039297 U KR 2020010039297U KR 20010039297 U KR20010039297 U KR 20010039297U KR 200269507 Y1 KR200269507 Y1 KR 200269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ir supply
urethra
supply ho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성
Original Assignee
이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성 filed Critical 이영성
Priority to KR2020010039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50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풍선형 도뇨관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요도를 이중으로 막아 폐쇄시켜 줄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시술후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환자의 방광에 고여 있는 오줌이 어떠한 경우에도 요도를 통해서는 흘러내리지 않고 삽입관을 통해서만 흘러내리도록 함에 따라 요도의 이차적인 질병 발생 요인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프랙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져 선단인 일단은 폐쇄됨과 함께 후단인 다른 일단은 개방된 일정길이의 삽입관(1)상에 공기의 공급에 의해 풍선처럼 부풀려지는 부풀림관(6) 및 보조 부풀림관(9)을 각각 일체 형성하여 시술된 상태에서는 상기 부풀림관(6)이 환자의 방광 내에서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을 폐쇄시켜 주도록 함과 함께 상기 보조 부풀림관(9)이 요도를 폐쇄시켜 주도록 함에 따라 환자의 요도가 이중으로 폐쇄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풍선형 도뇨관{double balloon type catheter}
본 고안은 남자 환자의 방광속에 괴여 있는 오줌(urine)을 요도가 아닌 다른 인공적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한 도뇨관(導尿管)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요도를 통해 삽입될 선단부쪽의 구조를 이중 풍선형 구조로 하여 시술후 사용시 환자의 방광속에 고여있는 오줌(소변)이 상기 도뇨관을 통해서만 흘러내려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이중 풍선형 도뇨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자 환자중 하반신을 수술하기 위해 상기 하반신을 일시적으로 마취시킨 환자나 아니면 여러가지 요인(선천적 및 사고)으로 인해 하반신의 기능이 정지된 환자에 있어서는 정상인 처럼 몸체 내의 방광속에 고이는 오줌을 필요에 따라 요도(尿道)를 통해 몸체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의 제어가 불가능하므로 도뇨관을 사용하여 방광속에 고이는 오줌이 상기 도뇨관을 통해서만 몸체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는데, 만약 환자의 방광속에 고이는 오줌을 도뇨관을 통해 몸체 밖으로 배출시켜 주지 않는다면 오줌이 배출되지 못하는 환자일 경우 상기 방광속에 필요이상으로 오줌이 채워지면서 어느 순간 방광이 터지는 문제가 있고, 오줌이 계속적으로 배출되는 환자일 경우에는 오줌이 요도를 통해 몸체 밖으로 계속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그럼 먼저 종래 도뇨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
인체에 무해하며 질기면서 휨성이 좋은 실리콘과 같은 프랙시블한 재질로 된 일정길이의 삽입관(1)이 있고, 상기 삽입관의 선단인 일단은 폐쇄됨과 함께 후단인 다른 일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관(1)의 선단 바로 후방부에는 삽입관의 내경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주도록 서로 마주보는 양측으로 각각 연통공(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관(1)의 후단에는 시술과정에서 다른 용기(오줌을 받아 채울 수 있는 용기)와의 연결을 원할히 할 수 있도록 내경이 다소 큰 연결관(3)이 상기 삽입관(1)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관(1)의 두께부분 적소에는 공기의 공급로 역할을 하도록 길이를 따라 공기공급공(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관(1)의 후단부분 적소에는 공기공급공(4)과 연통되면서 상기 공기공급공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주입관(5)이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관(1)의 선단부분중 연통공(2) 바로 후방부에는 공기공급공(4)과 연통되면서 공기공급공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채워져 풍선형태로 부풀려지는 부풀림관(6)이 일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삽입관(1)의 선단인 일단은 중심으로 갈수록 부드럽게 모아지는 탄두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도뇨관을 남성 환자에게 시술하는 과정에서 요도를 통해 상기 삽입관(1)을 삽일할 때 그 선단이 요도로 원활히 끼워지면서 삽입되도록 함에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도뇨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의사가 상기 도뇨관을남성 환자에게 시술을 하여야 하는데 그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의사가 삽입관(1)의 선단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선단을 환자의 요도중 몸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생식기 내부의 요도를 통해 일단 끼운 다음 계속적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요도가 몸체 내의 방광과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어느 순간 상기 삽입관(1)의 선단부 구성요소인 연통공(2)과 부풀림관(6)이 방광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서 도 6과 같이 삽입관(1)의 삽입이 완료되는데, 상기 삽입관이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는 삽입관(1)의 후단인 다른 일단이 생식기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삽입관(1)의 후단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3) 및 상기 삽입관(1)에 공기공급공(4)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공기주입관(5)이 생식기 외부에 위치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하여 도뇨관의 삽입관(1)을 환자의 요도를 통해 일단 완전하게 삽입 완료한 후에는 외부에 있는 공기주입관(5)을 통해 별도의 도구(주사기 등)로서 공기를 주입시키면 되는데, 이때 주입된 공기는 삽입관(1)의 두께부분 적소에 길이를 따라 형성된 공기공급공(4)으로 들어가고, 이 들어간 공기는 일단 상기 공기공급공에 안내되면서 상부로 계속 이동한 다음 상기 삽입관(1)의 선단부분중 연통공(2) 바로 후방부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부풀림관(6)으로 들어가므로 도 6과 같이 상기 부풀림관이 공기의 채워짐으로 인해 방광 내에서 풍선처럼 부풀어지면서 상기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을 폐쇄시키고, 이 상태가 남성 환자에게 도뇨관을 시술한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도뇨관을 남성 환자에게 시술할 때 삽입관(1)이 환자의 요도를 통해 원활히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삽입관(1)의 외경이 생식기의 내부인 요도 직경보다 약간 작아야 함은 이해 가능한데, 만약 삽입관(1)의 외경이 생식기의 내부인 요도 직경보다 더 크다면 상기 삽입관이 요도를 통해 끼워지는 과정에서 그 끼워짐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환자가 고통을 격게됨과 함께 요도의 내벽이 필요이상으로 손상되는 문제가 있고, 이와는 반대로 삽입관(1)의 외경이 생식기 내부인 요도 직경보다 필요이상 작다면 상기 삽입관이 요도를 통해 끼워지는 과정에서 그 끼워짐은 원활하지만 시술후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삽입관(1)의 외경과 요도의 직경 사이의 넓은 간격으로 인해 방광에 고인 오줌의 일부가 삽입관의 내경부가 아닌 상기 요도를 통해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으므로 가급적 삽입관(1)의 외경 사이즈는 환자의 생식기 사이즈에 따라 달리 사용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남성 환자에게 도뇨관을 시술한 후 상기 환자의 방광에 오줌이 고이게 되면 이 고인 오줌은 부풀림관(6)이 풍선처럼 부풀어져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을 폐쇄시키고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요도를 통해서는 흘러내리지 못하고 결국 방광 내부에 있는 삽입관(1)의 연통공(2)을 통해서만 상기 삽입관(1)의 내경부로 들어간 다음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이 흘러내리는 오줌은 상기 삽입관(1)의 하단에 일체 형성된 연결관(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지는데, 상기 연결관(3)의 하단을 다른 소변통과 연결시켜 놓았다면 상기 배출되는 오줌은 결국 소변통에 고이게 된다.
따라서 하반신의 기능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정지된 환자라 할지라도 오줌이 방광에 계속적으로 고여있거나 아니면 생식기의 요도를 통해 계속적으로 흘러내리거나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도뇨관은 시술시 환자의 요도를 폐쇄시키기 위한 부풀림관이 한곳에만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풀림관이 공기의 공급에 의해 방광 내에서 부풀어지면서 상기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을 폐쇄시키게 되고, 이 경우 그 폐쇄상태가 완벽하지 못할 수 밖에 없음에 따라 시술후 사용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방광에 채워져 있는 오줌의 일부가 삽입관이 아닌 생식기의 요도를 통해 흘러내려 배출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따라서 방광속에 채워진 오줌은 불순물로서 염기성이 강한 상태임을 감안할 때 상기 오줌이 요도 내에서 오래 머물면서 요도 내벽을 손상시킴은 물론 오줌이 프랙시블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진 삽입관과 오랜시간 접촉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삽입관이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미세한 화확적 반응을 일으키므로 매우 민감한 부분인 요도의 내벽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술후 사용 과정에서 방광에 채워진 오줌의 일부가 요도를 통해 흘러내리는 것을 가급적 방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시술과정에서 요도의 내경부에 최대한 가까운 외경의 삽입관을 갖는 도뇨관을 사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상기 시술과정에서 삽입관의 접촉으로 인한 요도 내경부의 손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요도의 내벽부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손상이 된다면 결국 그 손상부분이 염증이 생기면서 요도염과 같은 이차적인 질명을 일으키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환자의 요도를 이중으로 막아 폐쇄시켜 줄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시술후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환자의 방광에 고여 있는 오줌이 어떠한 경우에도 요도를 통해서는 흘러내리지 않고 삽입관을 통해서만 흘러내리도록 함에 따라 요도의 이차적인 질병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도뇨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 도뇨관을 나타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Ⅱ-Ⅱ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6은 종래 도뇨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 도뇨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 도뇨관을 나타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Ⅳ-Ⅳ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Ⅴ-Ⅴ선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Ⅵ-Ⅵ선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Ⅶ-Ⅶ선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 도뇨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삽입관 2. 연통공
3. 연결관 4. 공기공급공
5. 공기주입관 6. 부풀림관
7. 보조 공기공급공 8. 보조 공기주입관
9. 보조 부풀림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프랙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져 선단인 일단은 폐쇄됨과 함께 후단인 다른 일단은 개방된 일정길이의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선단 바로 후방부에 서로 마주보게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삽입관의 내경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주고 있는 연통공과, 상기 삽입관의 두께부분 적소에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로 역할을 하는 공기공급공과, 상기 삽입관의 후단부에 공기공급공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공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주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선단부분중 연통공 바로 후방부에 공기공급공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공기공급공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채워짐에 따라 풍선처럼 부풀려지는 부풀림관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두께부분 적소에 공기공급공과는 별도로 길이를 따라 형성된 보조 공기공급공과, 상기 삽입관의 후단부에 보조 공기공급공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보조 공기공급공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공기주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선단부분중 부풀림관과 근접된 후방부에 보조 공기공급공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보조 공기공급공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채워짐에따라 풍선처럼 부풀려지는 보조 부풀림관이 더 포함되어 환자에 시술된 상태에서는 상기 부풀림관 및 보조 부풀림관이 각각의 공기 공급에 의해 풍선처럼 부풀려지면서 환자의 요도를 이중으로 폐쇄시켜 주도록 한 이중 풍선형 도뇨관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7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7은 본 고안 이중 풍선형 도뇨관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이중 풍선형 도뇨관을 나타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Ⅳ-Ⅳ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Ⅴ-Ⅴ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8의 Ⅵ-Ⅵ선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Ⅶ-Ⅶ선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 이중 풍선형 도뇨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이다.
본 고안 구성중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락하고, 다만 도면상에는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부여하기로 한다.
그럼 본 고안의 구성중 종래 구성과 다른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삽입관(1)의 두께부분 적소에 공기공급공(4)과는 별도로 보조 공기공급공(7)이 길이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1)의 후단부분에는 보조 공기공급공(7)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보조 공기공급공과 연통된 상태로 보조 공기주입관(8)이 일체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1)의 선단부분중 부풀림관(6)과 근접된 후방부에는 보조 공기공급공(7)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채워짐에 따라 풍선처럼 부풀려지게 상기 보조 공기공급공(7)과 연통된 상태로 보조 부풀림관(9)이 형성되어 환자에 시술된 상태에서는 상기 부풀림관(6) 및 보조 부풀림관(9)이 각각의 공기 공급에 의해 풍선처럼 부풀려지면서 환자의 요도를 이중으로 폐쇄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부풀림관(6)은 공기의 공급에 따라 풍선처럼 부풀려져 있을 경우 그 형태가 원추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본 고안 도뇨관을 환자에 시술한 상태에 있을 때 환자의 몸체 내에 있는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 형상이 원추형임에 따라 상기 풍선처럼 부풀려져 있는 부풀림관(6)이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면서 가급적 완벽하게 폐쇄시켜 주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이중 풍선형 도뇨관의 시술 과정과 시술된 후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사가 본 고안 도뇨관의 구성요소인 삽입관(1)의 선단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선단을 환자의 요도중 생식기 내부인 요도 입구를 통해 일단 끼운 다음 계속적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요도가 몸체 내부로 계속 이어지면서 방광과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어느 순간 상기 삽입관(1)의 선단부 구성요소인 연통공(2)과 부풀림관(6)이 방광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서 도 13과 같이 삽입관(1)의 삽입이 완료되는데, 상기 삽입관이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는 삽입관(1)의 후단부인 다른 일단부가 생식기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삽입관(1)의 후단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3) 및 상기 삽입관(1)에 공기공급공(4)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공기주입관(5) 그리고 삽입관(1)에 보조 공기공급공(7)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보조 공기주입관(8)이 생식기 외부에 위치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관(1)이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는 부풀림관(6)과 근접된 상태로 후방부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보조 부풀림관(9)이 환자의 요도중 방광 바로 후방부에 위치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하여 본 고안 도뇨관의 삽입관(1)을 환자의 요도를 통해 일단 완전하게 삽입 완료한 후에는 외부에 있는 공기주입관(5)을 통해 별도의 도구(주사기 등)로서 공기를 주입시킨 다음 계속해서 보조 공기주입관(8)을 통해 별도의 도구로서 공기를 주입시키면 되는데, 상기 공기주입관(5)을 통해 주입된 공기는 삽입관(1)의 두께부분 적소에 길이를 따라 형성된 공기공급공(4)으로 들어가 안내되면서 상부로 계속 이동한 다음 상기 삽입관(1)의 선단부중 연통공(2) 바로 후방부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부풀림관(6)으로 들어가므로 도 13과 같이 상기 부풀림관이 공기의 채워짐으로 인해 방광 내에서 풍선처럼 부풀어지면서 상기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을 폐쇄시키고, 상기 보조 공기주입관(8)을 통해 주입된 공기는 삽입관(1)의 두께부분 적소에 길이를 따라 형성된 보조 공기공급공(7)으로 들어가 안내되면서 상부로 계속 이동한 다음 보조 부풀림관(9)으로 들어가므로 도 13과 같이 상기 보조 부풀림관이 공기의 채워짐으로 인해 요도의 방광 바로 아래부분을 폐쇄시켜 주므로 이 상태가 남성 환자에게 본 고안 이중 풍선형 도뇨관을 시술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부풀림관(6)이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을 폐쇄시켜 주기 위해 공기의 공급에 따라 풍선처럼 부풀어져 있을 때 상기 부풀어져 있는 부풀림관(6)의 형태가 원추형이라면, 환자의 몸체 내에 있는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 형상이 원추형임을 감안 할 때 상기 풍선처럼 부풀려져 있는 부풀림관(6)이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을 완벽하게 폐쇄시켜 줄 것이다.
한편 남성 환자에게 도뇨관을 시술한 후 상기 환자의 방광에 오줌이 채워지게 되면 이 채워진 오줌은 부풀림관(6)이 풍선처럼 부풀어져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을 폐쇄시키고 있음은 물론 보조 부풀림관(9)이 풍선처럼 부풀어져 요도중 방광 바로 아래부분을 폐쇄시키고 있음을 감안할 때 환자의 요도가 이중으로 폐쇄된 상태가 되어 상기 요도를 통해서는 방광에 채워져 있는 오줌이 흘러내리지 못하게 되고, 결국 방광에 채워져 있는 오줌은 방광 내부에 있는 삽입관(1)의 연통공(2)을 통해서만 상기 삽입관(1)의 내경부로 들어간 다음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되는데, 상기 삽입관을 통해 흘러내리는 오줌은 삽입관(1)의 후단에 일체 형성된 연결관(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지므로 상기 연결관(3)의 후단을 다른 소변통과 연결시켜 놓았다면 상기 배출되는 오줌은 결국 소변통에 고이게 된다.
따라서 하반신의 기능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정지된 환자라 할지라도 오줌이 방광에 계속적으로 고여있거나 아니면 요도를 통해 계속적으로 흘러내리거나 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본 고안 도뇨관은 환자에 시술시 상기 환자의 몸체 내부에 있는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을 폐쇄시키기 위한 부풀림관이 두곳에 구비되어 있어 한곳의 부풀림관은 방광 내에서 부풀어지면서 상기 방광의 요도 연결부분을 폐쇄시켜 줌과함께 다른 한곳의 부풀림관은 요도중 방광 근접부분을 폐쇄시켜 주고 있으므로 시술 완료상태에서는 요도의 폐쇄상태가 이중으로 완벽할 수 밖에 없음에 따라 시술후 사용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방광에 채워져 있는 오줌의 일부가 삽입관이 아닌 요도를 통해 흘러내리는 경우가 거의 없어 상기 오줌이 요도 내에서 오래 머물면서 각종 이차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일이 없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술과정에서 요도의 내경부 크기보다 훨씬 작은 외경의 삽입관을 갖는 도뇨관을 사용하여도 되므로 상기 시술과정에서 삽입관의 접촉으로 인한 요도 내경부의 손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상기 요도 내경부의 손상으로 인한 이차적인 질병발생의 위험성도 없게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프랙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져 선단인 일단은 폐쇄됨과 함께 후단인 다른 일단은 개방된 일정길이의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선단 바로 후방부에 서로 마주보게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삽입관의 내경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주고 있는 연통공과, 상기 삽입관의 두께부분 적소에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로 역할을 하는 공기공급공과, 상기 삽입관의 후단부에 공기공급공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공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주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선단부분중 연통공 바로 후방부에 공기공급공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공기공급공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채워짐에 따라 풍선처럼 부풀려지는 부풀림관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두께부분 적소에 공기공급공과는 별도로 길이를 따라 형성된 보조 공기공급공과,
    상기 삽입관의 후단부에 보조 공기공급공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보조 공기공급공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공기주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선단부분중 부풀림관과 근접된 후방부에 보조 공기공급공과 연통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보조 공기공급공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채워짐에 따라 풍선처럼 부풀려지는 보조 부풀림관이 더 포함되어 환자에 시술된 상태에서는 상기 부풀림관 및 보조 부풀림관이 각각의 공기 공급에 의해 풍선처럼 부풀려지면서 요도를 이중으로 폐쇄시켜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풍선형 도뇨관.
  2. 제 1 항에 있어서,
    부풀림관은 공기가 공급될 경우 원추형상으로 부풀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풍선형 도뇨관.
KR2020010039297U 2001-12-19 2001-12-19 이중 풍선형 도뇨관 KR200269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97U KR200269507Y1 (ko) 2001-12-19 2001-12-19 이중 풍선형 도뇨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97U KR200269507Y1 (ko) 2001-12-19 2001-12-19 이중 풍선형 도뇨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507Y1 true KR200269507Y1 (ko) 2002-03-22

Family

ID=7307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297U KR200269507Y1 (ko) 2001-12-19 2001-12-19 이중 풍선형 도뇨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5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107B1 (ko) * 2017-03-16 2018-08-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요도카테터
KR20210112490A (ko) 2020-03-05 2021-09-1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관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107B1 (ko) * 2017-03-16 2018-08-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요도카테터
KR20210112490A (ko) 2020-03-05 2021-09-1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관 어셈블리
KR20220080068A (ko) 2020-03-05 2022-06-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관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1485A (en) Bladder catheter
US5007898A (en) Balloon dilatation catheter
EP0417189B1 (en) Balloon dilation catheter
US5836951A (en) Balloon dilation catheter
JPS58212457A (ja) 尿道カテ−テル
WO1986007267A1 (en) Variable diameter catheter
JP2007530148A5 (ko)
WO2001056629A3 (en) Prostatic stent facilitating drainage
JPS63177853A (ja) 失禁制御装置
CN209173034U (zh) 一种扩张型导尿管
US4264312A (en) Body channel simulation device
KR200269507Y1 (ko) 이중 풍선형 도뇨관
KR20190036679A (ko) 유치 도뇨관
CN107233655A (zh) 输尿管双球囊引流管的使用方法及其双球囊引流管结构
CN113289215A (zh) 自动防漏尿冲洗导尿管
KR102190984B1 (ko) 요도 카테터
CN2304401Y (zh) 双囊三腔前列腺灌注引流管
CN206404158U (zh) 导尿管
CN206239864U (zh) 男用可交换导尿管
KR102588174B1 (ko) 벌룬형 요도 카테터
CN215608688U (zh) 一种可保护肠道吻合口的肛管
CN2508762Y (zh) 三腔三囊防漏尿管
KR102484716B1 (ko) 요도관 어셈블리
CN204563272U (zh) 导尿引流管
KR102534486B1 (ko) 요도 손상이 없는 소변줄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