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002A - 건어물용 건조대 - Google Patents

건어물용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002A
KR20230026002A KR1020210107850A KR20210107850A KR20230026002A KR 20230026002 A KR20230026002 A KR 20230026002A KR 1020210107850 A KR1020210107850 A KR 1020210107850A KR 20210107850 A KR20210107850 A KR 20210107850A KR 20230026002 A KR20230026002 A KR 20230026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bar
dried fish
squid
drying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089B1 (ko
Inventor
한석만
김종순
한채윤
한수민
Original Assignee
한석만
김종순
한채윤
한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석만, 김종순, 한채윤, 한수민 filed Critical 한석만
Priority to KR102021010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0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어물을 제조하기 위해 생물을 건조하는 건어물용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징어와 같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고 넓게 펼쳐 건조하는 건어물의 건조에 보다 적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용 건조대는 둘레에는 산과 골이 반복하여 형성된 물결무늬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산의 정점은 라운드 가공된 건조 바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어물용 건조대{A drying rack for dried fish}
본 발명은 건어물을 제조하기 위해 생물을 널어 건조하는 건어물용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징어와 같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고 넓게 펼쳐 건조하는 건어물의 건조에 보다 적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어패류 즉 생선, 조개류를 장시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냉동품으로 냉동하여 보관하거나 건어물로 건조하여 보관하는 방법 등이 있다.
냉동품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냉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육질에 수분이 함유되어 어패류의 맛과 식감이 생물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지속적으로 냉동시설에 보관하여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어패류를 건어물로 제조하여 보관할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 다소 불편함이 있으나, 육질의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보관됨에 따라 조리 시에 어패류의 본연의 맛과 식감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냉동품에 비해 다소 제조에 어려움이 따르는 건어물의 상품성이 더 인정받고 있다.
한편, 건어물로는 다양한 종류의 생선과 조개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 오징어를 건조할 경우 오징어 생물을 절개한 후 펼쳐서 건조하기 때문에 건조하는 오징어의 두께가 얇고 넓다는 특징이 있다.
오징어의 건조 특징에 따라 건조 시에 오징어를 조심히 다루어야 함에 따라 다른 건어물에 비해 건조에 어려움이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징어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징어 건조대에 오징어를 건조하는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오징어 건조대(1)는 거치대(50)와 건조용 바(60)를 포함한다.
거치대(50)는 건조용 바(60)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대(50)는 바퀴(11)가 장착된 하단프레임(10), 하단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제1수직 바(21)와 제2수직 바(31), 그리고 제1수직 바(21)와 제2수직 바(31)에 수평하게 연결된 복수의 수평 바(22, 32)를 포함한다.
건조용 바(60)는 제1수직 바(21)의 수평 바(22)와 제2수직 바(31)의 수평 바(32) 중에서 상호 마주하게 위치하는 수평 바(22, 32)에 건조용 바(60)의 양단이 올려져 거치된다.
한편 건조용 바(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ㄷ'자 구조의 형강으로서, 양측의 마주하는 두 플랜지(60F)의 끝단에는 삼각구조의 돌기(61)들이 뾰족하게 돌출되어 건조용 바(6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웨브(60W)의 바깥면은 수평 바(22, 32)의 상면에 접하여 안착된다.
통상적으로 수평 바(22, 32)는 파이프로서, 단면이 원형인 수평 바(22, 32)와 평면의 웨브(60W)를 갖는 건조용 바(60)는 선접촉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오징어 건조대(1)에 오징어를 널어 건조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친 오징어를 건조용 바(60)의 두 플랜지(60F)의 끝단에 안착시키게 되는데, 두 플랜지(60F)의 끝단이 뾰족한 돌기(61)로 형성됨에 따라 자칫 돌기(61)가 얇으면서 부드러운 오징어를 뚫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오징어를 건조하는 중에 오징어에 손상이 가해지면 오징어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작업자가 오징어를 건조하는 중에 뾰족한 돌기(61)에 접하여 상처를 입거나 옷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오징어 건조대(1)는 건조용 바(60)와 수평 바(22, 32)가 선접촉을 하기 때문에 오징어 건조대(1)가 경사지에 위치한 경우 마주하는 수평 바(22, 32)의 높이가 다르게 되고, 이 상태에서 건조용 바(60)를 양측 수평 바(22, 32)에 올릴 경우 건조용 바(60) 또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건조용 바(60)의 한쪽에 오징어를 올리게 되면 한 쪽으로 건조용 바(60)가 넘어지거나 접촉면적이 작은 관계로 수평 바(22, 32)에 안착된 건조용 바(60)가 한 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됨에 따라 건조 중인 오징어가 지면으로 떨어져 오염 또는 손상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기술에서는 건조용 바(60)에 착탈부(63)가 부가하여 설치하고 있지만, 착탈부(63)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 설계 및 제작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착탈부(63)는 수평 바(22, 32)를 감싸는 구조로서 수평 바(22, 32)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어려워 건조용 바(60)가 수평 바(22, 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 구조의 건조용 바(60)의 경우에는 접혀진 오징어와 건조용 바(60)의 플랜지(60F)가 마주하여 접하게 됨에 따라 건조용 바(60)의 안쪽으로 통기성이 떨어져 건조용 바(60)에 걸쳐지는 오징어의 중심부 건조가 다른 부위에 비해 늦거나 건조 불량에 따른 곰팡이 등이 번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0984(2017년11월01일)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얇고 부드러운 육질의 건어물(오징어)을 널어 건조함에 있어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위생적이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함과 더불어 건조대 구조적 불안정에 의한 건어물의 추락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구성한 건어물용 건조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용 건조대는 둘레에는 산과 골이 반복하여 형성된 물결무늬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산의 정점은 라운드 가공된 건조 바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어물 건조대는 상호 마주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수평 바를 구비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건조 바는 수평 바에 정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바는, 수평한 플랜지의 폭 중심에 웨브가 수직하게 연결되며, 웨브의 상단과 플랜지의 좌우 양측에는 물결무늬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바에는 건조 바가 정합하는 홈이 형성되며, 홈에는 물결무늬의 골에 정합하는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바의 홈의 바닥에는 건조 바의 플랜지 저면이 접하고, 홈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는 플랜지 측면에 형성된 물결무늬의 골에 정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바에 형성된 물결무늬의 피치와 골의 깊이는 1.5cm 내지 2.5cm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바의 홈에 형성된 돌기는 높이와 폭이 1.5cm 내지 2.5cm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용 건조대는 건조 바를 수평 바의 홈에 안착시키면 건조 바의 산과 골에 홈의 돌기가 정합됨에 따라 별도의 구성없이도 건조 바가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수평 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건어물을 널 때에 건조 바가 추락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건조 바의 웨브와 플랜지에 형성된 물결무늬에 있어 산의 정점을 라운드 처리하여 건어물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상해 및 옷 찢김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건어물용 건조대의 건조 바는 그 단면이 'ㅗ'자 구조이며, 건조 바의 웨브 상단과 플랜지의 좌우 양측에 물결무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건조 바에 오징어를 접어 널게 되면 플랜지는 널린 오징어의 아랫방향으로 노출됨에 따라 플랜지와 웨브의 물결무늬 골을 통해 공기가 건조 바의 안쪽으로 통하게 되고, 이와 같은 건조 바의 구조에 의해 접혀져서 건조되는 오징어의 안쪽까지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징어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징어 건조대에 오징어를 건조하는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용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건조용 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건조용 바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수평 바와 건조용 바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건어물용 건조대에 오징어가 널리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용 건조대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건어물의 한 예로 오징어를 선택하여 설명한 것이며 오징어가 아닌 다른 어패류를 건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용 건조대를 사용 가능하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용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건조용 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건조용 바의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수평 바와 건조용 바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건어물용 건조대에 오징어가 널리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어물용 건조대(100)는 지면에 세워져 위치하는 프레임(110)과, 얇게 펼쳐진 여러 오징어를 널 수 있게 구성되며 프레임(110)에 양단이 정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건조 바(16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건어물용 건조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바퀴(113)가 장착된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수직 바(120)와, 수직 바(120)에 상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 바(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단이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 길이방향의 선단과 후단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10)의 선단에 고정된 수직 바(120)와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단에 고정된 수직 바(120)는 상호 마주하게 위치한다.
또한 양측 수직 바(120)에 상하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 바(130) 또한 상호 마주하도록 각각의 수직 바(120)에 고정되는 수평 바(130)의 높이가 일치하며 간격 또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바(160)의 양단은 상호 마주하는 수평 바(130)에 각각 올려지면서 수평 바(130)와 건조 바(160)가 상호 정합된다. 아래에서는 수평 바(130)와 건조 바(160)의 구조 및 정합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건조 바(160)는 그 단면이 'ㅗ'자 구조로서 수평한 플랜지(160F)의 폭 중심에 웨브(160W)가 수직하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더불어 웨브(160W)의 상단과 플랜지(160F)의 좌우 양측에는 산(151)과 골(152)이 교번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물결무늬(150)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물결무늬(150)를 형성하는 산(151)의 정점은 라운드 처리되어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수평 바(130)는 그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홈(131)들이 형성된다. 홈(131)에는 건조 바(160)의 단부가 안착되어 정합되는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홈(131)은 바닥면(131B)과 양 측면(131S)으로 구성되며, 바닥면(131B)에 건조 바(160)의 플랜지(160F) 저면이 접하도록 안착되고 플랜지(160F)의 양측은 홈(131)의 양 측면(131S)과 마주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이 수평 바(130)의 홈(131)에 건조 바(160)의 단부가 안착됨에 있어서, 건조 바(160)가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홈(131)의 측면(131S)에는 돌기(140)가 형성된다. 돌기(140)는 건조 바(16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물결무늬(150)의 골(152)에 정합되는 모양의 돌기(140)이다.
따라서 건어물용 건조대(100)의 같은 높이에서 마주하는 수평 바(130)에 건조 바(160)의 양단을 위치한 후 건조 바(160)의 양단을 수평 바(130)의 홈(131)에 삽입하면 건조 바(160)의 플랜지(160F)의 저면은 홈(131)의 바닥면에 접하게 되고, 플랜지(160F)의 양측에 형성된 물결무늬(150)의 골(152)에 홈(131)의 돌기(140)가 정합된다. 이와 같이 건조 바(160)의 양단이 수평 바(130)의 홈(131)에 정합되면 건조 바(160)는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며 오직 홈(131)의 상부로만 이탈할 수 있게 정합된다.
한편, 건조 바(160)의 단부가 수평 바(130)의 홈(131)에 정합하면, 건조 바(160)의 플랜지(160F)의 폭 중심에 수직하게 위치한 웨브(160W)가 홈(131) 상부로 돌출되며, 작업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친 오징어를 건조 바(160)의 웨브(160W) 상단에 걸쳐 널게 된다.
이때 웨브(160W)의 상단 또한 물결무늬(150)가 형성되며, 물결무늬(150)의 산(151) 정점은 둥글게 라운드 처리됨에 따라 얇고 연한 오징어의 살이 뚫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건조 바(160)에 오징어를 널어 건조하는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상해 및 옷 찢김 등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 건조대(100)에 있어서, 건조 바(160)의 물결무늬(150)의 피치와 골(152)의 깊이는 1.5cm 내지 2.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결무늬(150)의 피치와 골(152)이 1.5cm 미만일 경우에는 웨브(160W)와 플랜지(160F) 안쪽의 통기성이 떨어져 균일한 건조에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건어물과 접하는 물결무늬의 산들이 많아짐에 따라 건어물에 자국이 많이 생겨 건어물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결무늬(150)의 피치와 골(152)이 깊이는 2.5cm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어물을 지탱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 건조대(100)는 도 6에 보이듯이 오징어를 접어 건조 바에 널 경우, 건조 바(160)의 플랜지(160F)가 오징어의 아래쪽을 향해 위치함에 따라 플랜지(160F)에 형성된 골(152)이 대기 중에 노출되어 건조 바(160)의 안쪽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하게 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ㄷ'자형 구조의 건조용 바(도 2의 60)의 경우에는 접혀진 오징어와 건조용 바(60)의 플랜지가 마주하여 접하게 됨에 따라 건조용 바(60)의 안쪽으로 통기성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바(160)에 비해 현격히 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 건조대(100)의 건조 바(160)가 'ㅗ'인 단면 구조이며 웨브(160W)의 상단에 그리고 플랜지(160F)의 양측에 각각 물결무늬(150)가 형성된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 바(160)의 안쪽까지 통기성을 확보하여 건어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건조 바(160)의 물결무늬의 피치와 골(152)이 깊이는 1.5cm 내지 2.5cm임에 따라 수평 바(130)의 홈(131)에 형성된 돌기(140) 또한 그 높이와 폭이 1.5cm 내지 2.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 건조대(100)에 있어서, 건어물을 대표하여 오징어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오징어가 아닌 다양한 어류 등을 동일하게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 건조대를 통해 건조 가능하다.
100 : 건어물 건조대
110 : 프레임
111 : 베이스 프레임
113 : 바퀴
120 : 수직 바
130 : 수평 바
131 : 홈
131B : 바닥면
131S : 측면
140 : 돌기
150 : 물결무늬
151 : 산
152 : 골
160 : 건조 바
160F : 플랜지
160W : 웨브

Claims (7)

  1. 둘레에는 산(151)과 골(152)이 반복하여 형성된 물결무늬(15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산(151)의 정점은 라운드 가공된 건조 바(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건어물 건조대는 상호 마주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수평 바(130)를 구비한 프레임(110)을 더 포함하며, 건조 바(160)는 수평 바(130)에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건조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 바(160)는, 수평한 플랜지(160F)의 폭 중심에 웨브(160W)가 수직하게 연결되며, 웨브(160W)의 상단과 플랜지(160F)의 좌우 양측에는 물결무늬(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건조대.
  4. 제2항에 있어서,
    수평 바(130)에는 건조 바(160)가 정합하는 홈(131)이 형성되며, 홈(131)에는 물결무늬(150)의 골(152)에 정합하는 돌기(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건조대.
  5. 제3항에 있어서,
    수평 바(130)의 홈(131)의 바닥에는 건조 바(160)의 플랜지(160F) 저면이 접하고, 홈(131)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140)는 플랜지(160F) 측면에 형성된 물결무늬(150)의 골(152)에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건조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 바(160)에 형성된 물결무늬(150)의 피치와 골(152)의 깊이는 1.5cm 내지 2.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건조대.
  7. 제4항에 있어서,
    수평 바(130)의 홈(131)에 형성된 돌기(140)는 높이와 폭이 1.5cm 내지 2.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건조대.
KR1020210107850A 2021-08-17 2021-08-17 건어물용 건조대 KR102638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850A KR102638089B1 (ko) 2021-08-17 2021-08-17 건어물용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850A KR102638089B1 (ko) 2021-08-17 2021-08-17 건어물용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002A true KR20230026002A (ko) 2023-02-24
KR102638089B1 KR102638089B1 (ko) 2024-02-22

Family

ID=8533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850A KR102638089B1 (ko) 2021-08-17 2021-08-17 건어물용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0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061U (ko) * 1983-06-21 1985-02-27 합명회사신흥기업사 이동식 어물건조대
KR101029744B1 (ko) * 2010-10-26 2011-04-19 한석만 오징어 건조장치
KR101411511B1 (ko) * 2013-02-08 2014-06-24 한석만 오징어 건조장치
KR20140101178A (ko) * 2013-02-08 2014-08-19 한석만 오징어 건조방법
KR20170120984A (ko) 2016-04-22 2017-11-01 한석만 오징어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061U (ko) * 1983-06-21 1985-02-27 합명회사신흥기업사 이동식 어물건조대
KR101029744B1 (ko) * 2010-10-26 2011-04-19 한석만 오징어 건조장치
KR101411511B1 (ko) * 2013-02-08 2014-06-24 한석만 오징어 건조장치
KR20140101178A (ko) * 2013-02-08 2014-08-19 한석만 오징어 건조방법
KR20170120984A (ko) 2016-04-22 2017-11-01 한석만 오징어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089B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12976A (en) Rack
US5887513A (en) Multiple kabob holder
US5996820A (en) Hanging rack for beef jerky
KR20230026002A (ko) 건어물용 건조대
US351760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large sausage products
US5423437A (en) Security drainer basket for kitchen utensils
JP6045109B2 (ja) 干し柿乾燥用の乾燥用具
US3405631A (en) Roasting and slicing rack with serving platter
US3162417A (en) Smoke rack and trees
KR20140113227A (ko) 멸치 삶기 및 건조용 발
US3331493A (en) Protector device for brush head
US4215488A (en) Tray for the field drying of fruit
KR101843780B1 (ko) 오징어 건조장치
US3370816A (en) Iron holder
US2002838A (en) Bread baking pan
CN209820026U (zh) 一种冻干机
US1866793A (en) Smokehouse teolley
US1942893A (en) Apparatus for hanging tobacco
US2752846A (en) Camp grill
US6012590A (en) Strand of Christmas ornament hooks
KR900004420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US1972773A (en) Tobacco hanger
KR101405833B1 (ko) 고추건조대
US5791064A (en) Bar for drying pasta
KR102149403B1 (ko) 김발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