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847A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847A
KR20230025847A KR1020230020348A KR20230020348A KR20230025847A KR 20230025847 A KR20230025847 A KR 20230025847A KR 1020230020348 A KR1020230020348 A KR 1020230020348A KR 20230020348 A KR20230020348 A KR 20230020348A KR 20230025847 A KR20230025847 A KR 20230025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lens barrel
protrusion
camera modu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847A/en
Publication of KR2023002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8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module, which includes: a lens unit including a cylindrical body and a flange unit protruding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a bobbin having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ody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lange unit to fix the lens unit; and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from either the first stepped surface formed by the lens unit body and the flange unit or the second stepped surface formed by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ccordingly, when assembling the bobbin and the lens barrel, tilting may be improved by using the protrusion.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Camera module {CAMERA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빈과 렌즈부의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 bobbin and a lens unit.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various portable terminals is widely generalized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are commercialized, consumers' demands related to portable terminals are also diversifying.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additional devices are being installed in portable terminals.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Among them, a typical camera module is capable of taking a picture or video of a subject, storing the image data, and then edit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s needed.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small camera modules is increasing for various multimedia fields such as notebook-type personal computers, camera phones, PDAs, smart phones, and toys, and image input devices such as information terminals for surveillance cameras and video tape recorders. .

렌즈 배럴과 보빈이 나사산 결합하는 경우, 포커싱 조정작업시 렌즈 배럴의 틸트(tilt)에 대한 보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When the lens barrel and the bobbin are screwed together, it is difficult to correct the tilt of the lens barrel during focusing adjustment.

실시예는 렌즈 배럴과 보빈의 상호 대향면에 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조립시 틸트 개선을 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may provide a camera module capable of improving tilt during assembly by forming protrusions on mutually opposing surfaces of the lens barrel and the bobbin.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몸체에 대응되는 제1 내주면과 상기 플랜지부에 대응되는 제2 내주면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 및 상기 렌즈부의 몸체와 플랜지부가 형성하는 제1 단차면 또는 상기 보빈의 제1 내주면과 제2 내주면이 형성하는 제2 단차면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body and a lens unit including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a bobbin having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ody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lange portion to fix the lens unit; and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from either a first stepped surface formed by the body and the flange of the lens unit or a second stepped surface formed by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provides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보빈의 제1 내주면과 제2 단차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몸체와 제1 단차면이 형성하는 각도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Also, when viewed from the side, an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stepped surface of the bobbin may correspond to an angle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first stepped surface.

또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보빈의 내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unit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bobbi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렌즈부와 보빈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 또는 충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dhesive may be applied or filled between the lens unit and the bobbin.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렌즈부의 몸체와 플랜지부가 형성하는 제1 단차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2 단차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stepped surface formed by the body of the lens unit and the flange unit; and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stepped surface to face the first protrusion.

또한, 상기 제1 돌기 또는 제2 돌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되되, 등간격을 이루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or more first protrusions or second protrusions may be formed so as not to form equal intervals.

또한, 상기 돌기는 측면에서 볼 때 V자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be V-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또한, 상기 돌기는 측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be U-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몸체에 대응되는 제1 내주면과 상기 플랜지부에 대응되는 제2 내주면과 상기 제1 내주면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바닥면을 일부 지지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보빈; 및 상기 몸체의 바닥면 또는 상기 안착부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ns unit including a cylindrical body and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A bobbin including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ody,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lange portion, and a seating part protruding inward of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artially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y on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the mounting portion.

여기서, 상기 돌기는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와 대향되도록 상기 안착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otrusion includes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to face the first protrus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과 렌즈 배럴의 조립시 돌출부를 이용하여 틸팅을 개선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module capable of improving tilting may be implemented by using a protruding portion when assembling a bobbin and a lens barr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빈과 렌즈부의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과 렌즈부의 부분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과 렌즈부의 조립시 틸팅각 조절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and a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and a lens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ilting angle adjustment when assembling a bobbin and a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f a term used in this specification conflicts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 definition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all apply.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owever,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렌즈구동모터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lens driving motor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빈과 렌즈부의 부분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and a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00)는 렌즈 배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100)가 렌즈 배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3 , the lens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ens barr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holder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a lens may be included. In the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lens unit 100 is a lens barre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부(100)는 원통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몸체(110)의 상측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1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20)는 돌출부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cylindrical body 110 and a flange unit 120 protruding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110 . As shown, the flange portion 1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10 or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10 . The flange portion 120 may be a protruding portion.

즉, 상기 렌즈부(100)가 후술할 보빈(200)에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120)의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도시된 렌즈부(100)는 후술할 보빈(2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플랜지부(120)가 상기 몸체(1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 of the flange part 120 may change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ns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bobbin 200 to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illustrated lens unit 100 is assembled in such a way that it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flange unit 1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10.

이러한 플랜지부(120)는 상기 몸체(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20)의 높이는 상기 몸체(110)의 높이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flange portion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10 and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lso, the height of the flange portion 12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body 110 .

상기 렌즈부(100)의 몸체(110)와 플랜지부(120)가 형성하는 제1 단차면(125), 즉, 상기 플랜지부(12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기(13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이 형성되며,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등간격을 이루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tepped surface 125 formed by the body 110 and the flange portion 120 of the lens unit 100, that is,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13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0 can be formed. At least one or more of these first protrusions 130 may be formed, or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and may be formed so as not to form equal interval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 돌기(130)가 등간격을 이루며 상기 제1 단차면(125)에 배치된다면, 후술할 제2 돌기(230)의 형상을 제1 돌기(130)와 다르게 형성하거나, 제2 돌기(230) 각각의 경사면의 경사각을 다르게 형성하여 각각의 제2 돌기(230)에 배치되는 제1 돌기(130)들의 위치를 다르게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30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first stepped surface 125,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s 2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first protrusions 130, Different positions of the first protrusions 130 disposed on the second protrusions 230 may be induced by differently forming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respective inclined surfaces of the second protrusions 230 .

이러한 제1 돌기(130)는 상기 렌즈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서 볼 때,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돌기(130)는 일면만 경사각을 갖는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어느 일면이 상기 제1 단차면(125)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형상이면 족하다.The first protrusion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ns unit 100, and may be formed in a V-shape or a U-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lternatively, the first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in a right triangle shape having only one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at least one surface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tepped surface 125 enough

한편, 상기 렌즈부(100)는 내부에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lens unit 100 may accommodate one or more lenses (not shown) therei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빈(200)은 내측에 상기 렌즈부(100)를 수용하여 상기 렌즈부(100)를 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bobbin 200 may fix the lens unit 100 by accommodating the lens unit 100 therein.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부(100)와 보빈(200)의 결합방식은 나사산을 보빈(200)의 내주면과 렌즈부(10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하여 체결하는 나사산 결합방식이 아닌, 무나사산 방식으로써 결합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lens unit 100 and the bobbin 200 is not a screw thread coupling method in which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2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respectively, but in a non-threaded method. can be combined

무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상기 보빈(200) 내부에 상기 렌즈부(10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보빈(200)의 내주면과 상기 렌즈부(100)의 외주면 사이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도포 또는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부(100)는 상기 보빈(200)의 내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dhesive (not shown) may be applied or fill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2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to fix the lens unit 100 inside the bobbin 200 in a threadless coupling method. can Therefore, the lens unit 1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bobbin 2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성 에폭시 또는 UV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 또는 UV의 노출에 의해 경화된다. 다만, 열경화성 에폭시를 사용하면 오븐에 이동하여 또는 직접 열을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며, UV(자외선) 에폭시를 사용하면 상기 접착제에 UV(자외선)를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다.Here, the adhesive may be implemented as a thermosetting epoxy or UV epoxy, and is cured by exposure to heat or UV. However, if a thermosetting epoxy is used, it is a method of curing by moving to an oven or by directly applying heat, and if a UV (ultraviolet ray) epoxy is used, it is a method of curing by applying UV (ultraviolet rays) to the adhesive.

또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와 UV(자외선)경화가 혼용될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으며, 열경화나 UV(자외선)경화 모두 가능하여 이중에 어느 한가지로 선택하여 경화될 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에 한하지 않으며 접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대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dhesive may be an epoxy capable of both thermal curing and UV (ultraviolet ray) curing, and may be an epoxy capable of both thermal curing and UV (ultraviolet ray) curing, and may be cured by selecting one of the two. The adhesive is not limited to the epoxy, and any adhesive material can be substitu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빈(200)은 상기 렌즈부(100)의 몸체(110)에 대응되는 제1 내주면(210)과 상기 플랜지부(120)에 대응되는 제2 내주면(2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bobbi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 corresponding to the body 110 of the lens unit 100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 corresponding to the flange portion 120. can be formed.

여기서, 상기 제1 내주면(210)과 상기 몸체(110)의 간격(d1)은 상기 제2 내주면(220)과 상기 플랜지부(120)의 간격(d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렌즈부(100)를 보빈(200)에 삽입시 틸팅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며, 상기 간격(d2)에 접착제를 유입하였을 때, 상기 간격(d1)으로 과도한 접착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Here, the distance (d 1 ) between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 and the body 110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d 2 ) between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 and the flange portion 120 . This is to minimize the tilting angle when the lens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bobbin 200, and when the adhesive is introduced into the gap d 2 , to prevent excessive flow of the adhesive into the gap d 1 It is for

또한, 상기 보빈(200)은 상기 렌즈부(100)에 형성된 상기 제1 돌기(130)와 대향되도록, 상기 보빈(200)의 제1 내주면(210)과 제2 내주면(220)이 형성하는 제2 단차면(2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보빈(200)의 제1 내주면(210)과 제2 단차면(215)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몸체(110)와 제1 단차면(125)이 형성하는 각도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bbin 200 is formed by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 an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 of the bobbin 200 so as to face the first protrusion 130 formed on the lens unit 100. Two stepped surfaces 215 may be formed,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 and the second stepped surface 215 of the bobbin 200 is the angle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first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ngle formed by the stepped surface 125 .

즉, 상기 제1 내주면(210)과 제2 단차면(215)이 형성하는 각도 및 상기 몸체(110)와 제1 단차면(125)이 형성하는 각도는 측면에서 볼 때, 직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예각 또는 둔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 and the second stepped surface 215 and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first stepped surface 125 are shown as right angles when viewed from the side, but , can also be formed at an acute angle or an obtuse angle.

또한, 상기 보빈(200)은 상기 제1 돌기(130)와 대향되도록 상기 보빈(200)의 제1 내주면(210)과 제2 내주면(220)이 형성하는 제2 단차면(215)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2 돌기(23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bbin 200 has at least one second stepped surface 215 formed by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 an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20 of the bobbin 200 to face the first protrusion 130. Two or more protruding second protrusions 230 may be formed.

이러한 제2 돌기(23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이 형성되며,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등간격을 이루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such second protrusions 230 may be formed, two or more may be formed, and also may be formed not to form equal interval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2 돌기(230)가 등간격을 이루며 상기 제2 단차면(215)에 배치된다면, 상기 제1 돌기(130)의 형상을 제2 돌기(230)와 다르게 형성하거나, 제1 돌기(130) 각각의 경사면의 경사각을 다르게 형성하여 각각의 제1 돌기(130)에 배치되는 제2 돌기(230)들의 위치를 다르게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30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econd stepped surface 215, the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at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or The positions of the second protrusions 230 disposed on the respective first protrusions 130 may be induced differently by forming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30 differently.

이러한 제2 돌기(230)는 상기 보빈(2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서 볼 때,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돌기(230)는 일면만 경사각을 갖는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어느 일면이 상기 제2 단차면(215)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형상이면 족하다.The second protrusion 2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bbin 200, and may be formed in a V-shape or a U-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lternatively, the second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having only one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at least one surface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epped surface 215 enough

또한, 상기 보빈(200)의 외측면은 내측면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빈(200)의 외측면에는 코일(미도시)이 권선되거나 장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like the inner surface, but may also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Here, a guide groove 240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00 to guide coils (not shown) being wound or mounted.

이러한 가이드홈(240)은 상기 보빈(20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빈(200)의 일측면 및/또는 그의 대향면에 권선된 코일의 일단 또는 타단이 외부로 유도되는 유도홈(2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se guide grooves 240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00, and one or the other end of a coil wound on one side and/or the opposite side of the bobbin 200 is guided to the outside. A guide groove 250 may be further formed.

또한, 상기 보빈(200)의 상측면 및/또는 하측면에는 상측 스프링 및/또는 하측 스프링이 체결되는 체결돌기(260)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astening protrusion 260 to which the upper spring and/or the lower spring are fasten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or lower surface of the bobbin 200 .

또한, 상기 보빈(200)은 미도시된 커버캔의 이너요크가 상기 보빈(200)과 코일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측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 요입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입부(270)는 상기 보빈(20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변의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obbin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oncave portion 270 form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inner yoke of the cover can (not show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obbin 200 and the coil portion. there is. The concave portion 270 is shown as being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bobbin 200, but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each side.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과 렌즈부의 부분 측단면도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 4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and a lens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전술한 일실시예와 다른 점은 보빈(1200)이 두 번 단차진 내측면을 형성한다는 점과, 제1 돌기(1130) 및/또는 제2 돌기(1230)의 형성 위치가 상기 보빈(1200) 또는 렌즈부(1100)에서 일실시예와 다르게 형성되는 것에 있다. 따라서, 전술한 일실시예에서의 보빈(1200)과 렌즈부(1100)에 대한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겹치는 설명은 생략한다.That is,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that the bobbin 1200 forms a twice-stepped inner surface, an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first projection 1130 and/or the second projection 1230 is the bobbin ( 1200) or the lens unit 1100 is formed differently from one embodiment. Therefore, since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bobbin 1200 and the lens unit 110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상기 렌즈부(1100)는 원통형상의 몸체(1110)와, 상기 몸체(11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1120)를 포함하며, 제1 돌기(1130)는 상기 몸체(1110)의 바닥면(1115)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lens unit 110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1110 and a flange unit 1120 protruding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1110, and the first protrusion 1130 is the bottom of the body 1110. At least on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1115.

상기 보빈(1200)은 상기 렌즈부(1100)의 몸체(1110)에 대응되는 제1 내주면(1210)과 상기 플랜지부(1120)에 대응되는 제2 내주면(1220)과 상기 제1 내주면(121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1110)의 바닥면(1115)을 일부 지지하는 도넛 형상의 안착부(1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돌기(1130)와 대향되도록 상기 안착부(1250)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제2 돌기(1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bbin 1200 includes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10 corresponding to the body 1110 of the lens unit 1100,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0 corresponding to the flange portion 1120, and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10. It may include a donut-shaped seating portion 1250 protruding inwardly to partially support the bottom surface 1115 of the body 1110, and facing the first protrusion 1130 to the seating portion 1250. ), at least one protruding second protrusion 1230 may be included.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에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와 보빈의 조립시 틸팅각 보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When assembling the lens unit and the bobb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lting angle correction may be performed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과 렌즈부의 조립시 틸팅각 조절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이에 대한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규정되나, 다른 실시예에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ilting angle adjustment when assembling a bobbin and a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for this are defined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applicable to other embodiments, of course.

도 5의 (a) 상태는 제1 돌기(130)와 제2 돌기(230)가 상호 겹쳐지지 않게 배치된 상태이다. 즉, 상기 제1 돌기(130)는 제2 단차면(215) 또는 안착부(1250, 도 4 참조)의 상측에 닿아 있는 상태이고, 상기 제2 돌기(230)는 상기 제1 단차면(125) 또는 몸체(1110)의 바닥면(1115)에 닿아 있는 상태이다.In (a) of FIG. 5 , the first protrusion 13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ar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protrusion 130 is in a state of contacti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tepped surface 215 or the seating portion 1250 (see FIG. 4), and the second protrusion 230 is the first stepped surface 125 ) or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15 of the body 1110.

이러한 상태에서 광축 보정을 위해 상기 렌즈부(10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도 5의 (b) 또는 (c)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부(10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돌기(130)는 상기 제2 돌기(23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므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제1 돌기(130) 또는 제2 돌기(230)가 복수 개로 형성될 때 등간격으로 형성되지 않거나, 각각의 제1 돌기(130) 또는 각각의 제2 돌기(230)가 상호 경사각이 달리 형성되기 때문이다. 렌즈 배럴(100)은 몸체(110)와, 몸체(110)로부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200)은 렌즈 배럴(100)의 몸체(110)와 마주보는 제1면과, 렌즈 배럴(100)의 돌출부(120)와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100)의 몸체(110)와 보빈(200)의 제1면의 일부의 간격은 렌즈 배럴(100)의 몸체(110)와 보빈(200)의 제1면의 나머지의 간격과 상이할 수 있다. 렌즈 배럴(100)의 돌출부(120)와 보빈(200)의 제2면의 일부의 간격은 렌즈 배럴(100)의 돌출부(120)와 보빈(200)의 제2면의 나머지의 간격과 상이할 수 있다. 렌즈 배럴(100)의 몸체(110)의 외측면은 보빈(200)의 제1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배럴(100)의 돌출부(120)의 외측면은 보빈(200)의 제2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배럴(100)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틸팅되어 보빈(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state, if the lens unit 100 is turn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for optical axis correction, the state of FIG. 5 (b) or (c) may be obtained. That is, as the lens unit 100 rotates, the first protrusion 130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230, so it may be biased to one side. In this case, wh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30 or second protrusions 230 are formed, they are not formed at equal intervals, or each of the first protrusions 130 and each of the second protrusions 230 have a mutual inclination angle. because it is formed differently. The lens barrel 100 may include a body 110 and a protrusion 120 protruding from the body 1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direction. The bobbin 20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facing the body 110 of the lens barrel 100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protrusion 120 of the lens barrel 100 . The distance between the body 110 of the lens barrel 100 and the part of the first surface of the bobbin 200 may be different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body 110 of the lens barrel 100 and the rest of the first surface of the bobbin 200. can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ion 120 of the lens barrel 100 and the part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bobbin 200 may be different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ion 120 of the lens barrel 100 and the rest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bobbin 200. ca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of the lens barrel 100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obbin 200 . An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20 of the lens barrel 100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obbin 200 . The lens barrel 100 may be til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disposed within the bobbin 200 .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렌즈부(100)를 보빈(200)에 조립시 상기 렌즈부(100) 또는 보빈(200)을 회전시켜 틸팅각을 조정함으로써 광축 정렬을 더욱 용이하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ssembling the lens unit 100 to the bobbin 200, the lens unit 100 or the bobbin 200 is rotated to adjust the tilting angle, so that the alignment of the optical axis can be more easily and accurately implemented. .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렌즈부(100)와 보빈(200) 중 어느 하나에만 돌기부가 형성되어 틸팅을 조절할 수도 있다.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only one of the lens unit 100 and the bobbin 200 in the above embodiments, so that tilting may be adjusted.

한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보빈에 고정되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 및 보빈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여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캔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ctuator for moving the lens unit fixed to the bobbin, a base for supporting the actuator and the bobbin, and a cover can combined with the base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camera module. there is.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권선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외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AF(Auto Focusing) 타입의 액추에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actuator is implemented as an AF (Auto Focusing) type actuator including a coil part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a magnet part disposed opposite to the outside of the coil part, and a housing fixing the magnet part It can be.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마그넷부의 하측에 대향되게 구비되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코일부와, 상기 OIS 코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FPC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넷부의 위상을 센싱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하여, OIS 타입의 액추레이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ctuator may further include an 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oil part provided opposite to the lower side of the magnet part, and an FPCB for applying power to the OIS coil part, Hall sensor for sensing the phase of the magnet part Including further, it may be implemented as an OIS type actuator.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며, 이지미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보빈 또는 하우징의 이동 시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for applying power to the actuator and mounting an image sensor, and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unit providing a return force when the bobbin or housing moves. may be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know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claims It must be determined by the scope and its equivalent scope.

100, 1100: 렌즈부
110, 1110: 몸체
120, 1120: 플랜지부
125, 1125: 제1 단차면
130, 1130: 제1 돌기
200, 1200: 보빈
210, 1210: 제1 내주면
215, 1215: 제2 단차면
220, 1220: 제2 내주면
230, 1230: 제2 돌기
1115: 바닥면
1250: 안착부
100, 1100: lens unit
110, 1110: body
120, 1120: flange part
125, 1125: first step surface
130, 1130: first protrusion
200, 1200: bobbin
210, 1210: first inner surface
215, 1215: second step surface
220, 1220: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30, 1230: second protrusion
1115: bottom surface
1250: seating part

Claims (2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및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 내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몸체와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몸체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면의 간격은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보빈의 상기 제2면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몸체의 외측면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은 상기 보빈의 상기 제2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housing;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nd
a lens barrel including a lens and disposed within the bobbin;
The lens barrel includes a body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direction;
The bobbin includes a first surface of the lens barrel facing the body and a second surface of the lens barrel facing the protrusion,
a distance between the body of the lens barrel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bobbin is small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 of the lens barrel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obbi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lens barrel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obbin,
An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of the lens barrel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obb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내주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외주면 사이에 접착제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n adhesive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몸체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면의 일부의 간격은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몸체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면의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간격과 상이한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distance between the body of the lens barrel and a part of the first surface of the bobbin is different from a distance other than the body of the lens barrel and the part of the first surface of the bobb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보빈의 상기 제2면의 일부의 간격은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보빈의 상기 제2면의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간격과 상이한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 of the lens barrel and a part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bobbin is different from a distance other than the protrusion of the lens barrel and the part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bobb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몸체와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1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제1부분과 마주보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하나 돌출 형성되는 제1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제2부분은 적어도 하나 돌출 형성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barrel includes a first portion connecting the body and the protrusion,
The bobbin includes a second part facing the first part,
The first portion of the lens barrel includes at least one protruding first protrusion;
The second portion of the bobbin includes at least one protruding second protrus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보빈의 상기 제2부분 사이에 접착제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5,
An adhesiv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of the lens barrel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bobb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몸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module wherein a length of the protruding part is smaller than a length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렌즈 배럴의 하면과 마주보고 내측으로 돌출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바닥면과 상기 보빈의 상기 안착부는 돌기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bobbin includes a seating portion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and protruding inward;
A camera module in which a bottom surface of the lens barrel and the seating portion of the bobbin are formed with protrusio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2돌기는 측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인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projection of the lens barrel has a U-shaped camera module when viewed from the 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2돌기는 측면에서 볼 때 V자 형상인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lens barrel has a V-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camera modu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제1돌기의 경사면의 경사각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각각의 상기 제1돌기에 배치되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기 제2돌기의 위치를 다르게 유도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5,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 wherein inclination angles of inclined surfaces of the first protrusions of the bobbin are differently formed to induce different positions of the second protrusions of the lens barrel disposed on the first protrus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보빈의 내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barrel is a camera modul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bobbi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제2부분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5,
The camera module wherein the bobbin is formed with a secon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몸체와 상기 제1부분이 형성하는 각도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0,
An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obbin is formed to correspond to an angle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first part when viewed from the si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이 형성하는 각도 및 상기 몸체와 제1부분이 형성하는 각도는 측면에서 볼 때 직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0,
An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obbin and an angle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first part are formed as a right angle when viewed from th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는 코일이 권선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상기 보빈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module wherein a guide groove for guiding coil winding is continuously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bbin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bobbi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보빈의 일측면에 권선된 코일의 일단 또는 타단이 외부로 유도되는 유도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6,
The guide groove is a camera module in which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coil wound on one side of the bobbin is guided to the out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보빈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projec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bb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틸팅되어 상기 보빈 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barrel is til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disposed in the bobbin.
제1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camera module of claim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및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 내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housing;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nd
a lens barrel including a lens and disposed within the bobbin;
The lens barrel includes a body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KR1020230020348A 2014-08-11 2023-02-15 Camera module KR202300258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348A KR20230025847A (en) 2014-08-11 2023-02-15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453A KR102320883B1 (en) 2014-08-11 2014-08-11 Camera module
KR1020210145043A KR102501791B1 (en) 2014-08-11 2021-10-27 Camera module
KR1020230020348A KR20230025847A (en) 2014-08-11 2023-02-15 Camera mod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043A Division KR102501791B1 (en) 2014-08-11 2021-10-27 Camera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847A true KR20230025847A (en) 2023-02-23

Family

ID=5544867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453A KR102320883B1 (en) 2014-08-11 2014-08-11 Camera module
KR1020210145043A KR102501791B1 (en) 2014-08-11 2021-10-27 Camera module
KR1020230020348A KR20230025847A (en) 2014-08-11 2023-02-15 Camera modul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453A KR102320883B1 (en) 2014-08-11 2014-08-11 Camera module
KR1020210145043A KR102501791B1 (en) 2014-08-11 2021-10-27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208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0103A (en) * 2015-11-04 2023-08-08 Lg伊诺特有限公司 Image pickup device module and mobile device
WO2024054076A1 (en) * 2022-09-07 2024-03-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5051B2 (en) * 2003-11-07 2010-08-18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Lens unit manufacturing method, lens unit, optical head, and optical pickup device
KR20080065140A (en) * 2007-01-08 200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Surface mounting type camera module
JP2010224208A (en) * 2009-03-24 2010-10-07 Panasonic Corp Optical unit and imaging device provided with the optical unit
KR101177231B1 (en) * 2009-10-29 2012-08-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KR101744352B1 (en) * 2010-09-28 2017-06-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KR101259030B1 (en) * 2011-12-30 2013-04-29 자화전자 주식회사 Camera lens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209A (en) 2016-02-19
KR102320883B1 (en) 2021-11-03
KR20210133925A (en) 2021-11-08
KR102501791B1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5909B2 (en) Lens drive motor
CN109917530B (en) Lens moving device
US9632280B2 (en) Lens actuator having autofocus function and hand-shake correction function
KR20230025847A (en) Camera module
KR20160121298A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102556051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71759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20150051683A (en) Camera module
KR20150071354A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20150101676A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20150051685A (en) Camera Module
KR20150101671A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20150073369A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551233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60118837A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60131367A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400657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444963B1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374765B1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345956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97326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01739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90115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60077904A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20000870A (en) Motor for actuating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