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246A - 가전 기기,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246A
KR20230025246A KR1020210107535A KR20210107535A KR20230025246A KR 20230025246 A KR20230025246 A KR 20230025246A KR 1020210107535 A KR1020210107535 A KR 1020210107535A KR 20210107535 A KR20210107535 A KR 20210107535A KR 20230025246 A KR20230025246 A KR 20230025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user terminal
remote control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호
서종현
전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246A/ko
Publication of KR20230025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중계기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 중에서 제1 가전 기기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중계기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direct access)을 형성하기 위한 D2D 연결 정보(Device to Device access information)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D2D 연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2D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1 제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 기기,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Home appliance, method for performing remote control by home appliance, electronic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ppliance by electronic device}
개시된 실시예들은 가전 기기,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제품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주변의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됨에 의해, 사람들의 삶이 이전보다 윤택 해져가고 있다. 하지만 많은 IoT 제품들은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스크린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 입력이 매우 제한적이다.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IoT 제품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제약 사항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IoT 장치들 중에서 물을 사용하거나 내부 히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도어에 의해서 내부와 외부가 분리되는 가전 기기(예를 들면,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오븐 등), 조리를 위해 열을 사용하는 가전 기기(예를 들면, 인덕션, 레인지 등)와 같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는 원격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안전 문제로 인한 제약이 존재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기가 위험한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 및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인 중계기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 중에서 제1 가전 기기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중계기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direct access)을 형성하기 위한 D2D 연결 정보(Device to Device access information)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D2D 연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2D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1 제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유형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dangerous home appliances)에 해당한다고 식별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의 형성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가전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의 위험 요소가 식별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의 형성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2D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근거리에 위치되었음을 식별 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D2D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2D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AP(Access Point)의 SSID를 포함하고, 상기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와 상기 중계기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AP의 SSID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센서를 통해서 획득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상태가 변경됨으로써 발생된 위험 요소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요소를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위험 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위험 요소에 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의 수행을 완료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기와 통신 연결을 재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다른 일 측면인 가전 기기는,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중계기로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direct access)을 형성하기 위한 D2D 연결 정보(Device to Device access information)를 생성하고, 상기 D2D 연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D2D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1 제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다른 일 측면인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중계기로부터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의 각각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제1 가전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에 의해서 생성된, D2D 연결 정보(Device to Device access information)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D2D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1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상기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유형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dangerous home appliances)에 해당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한다고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의 형성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가전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의 위험 요소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요소를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의 형성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2D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근거리에 위치되었음을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에 형성되는 근거리 통신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D2D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2D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AP(Access Point)의 SSID를 포함하고, 상기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AP의 SSID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한 결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식별한 상기 제1 가전 기기에게 발생된 위험 요소에 관한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전 기기에게 발생된 위험 요소에 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다른 일 측면인 사용자 단말기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중계기로부터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의 각각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제1 가전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에 의해서 가 생성된, D2D 연결 정보(Device to Device access information)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D2D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1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상기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가전 기기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중계기 및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중계기 및 서버 사이의 통신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위한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도록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및 중계기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중계기 및 서버 사이의 통신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및 가전 기기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중계기 및 서버 사이의 통신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및 가전 기기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중계기 및 서버 사이의 통신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및 가전 기기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항에 기재된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의 원리를 설명하고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unit)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모듈” 또는 “부”가 하나의 요소(element)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모듈” 또는 “부”가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작용 원리 및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중계기 및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 가전 기기(20), 중계기(30) 및 서버(40) 사이에 통신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와 중계기(30) 사이에 통신 연결(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20)와 중계기(30) 사이에 통신 연결(1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계기(30)와 서버(40) 사이에 통신 연결(1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와 서버(40) 사이에 통신 연결(1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 사이에 통신 연결(150)이 형성될 수 있다. 유선 통신 기술(이더넷, 전력선 통신 등) 및/또는 무선 통신 기술(Wifi, Bluetooth, UWB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 가전 기기(20), 중계기(30) 및 서버(40)들의 사이의 통신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가 가전 기기(2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컴퓨터, 월패드, 중앙 제어 단말기와 같은 고정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 프로세서(13), 메모리(17) 및 통신 모듈(18)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0)의 구성요소의 모두가 사용자 단말기(1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0)의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기(10)가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0)의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기(10)가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가가 수행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1)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key),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 디바이스 등과 같은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사용자 단말기(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메모리(17)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커맨드를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11), 메모리(17) 및 통신 모듈(18)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는 가전 기기(20)로 전송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18)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가전 기기(20)로부터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 센서 검출 값 등을 수신하도록 통신 모듈(18)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가전 기기(2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센서 검출 값 등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2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메모리(17)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7)에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는 메모리(17)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는 통신 모듈(18)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파일이나 프로그램 등을 메모리(17)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명령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는 가전 기기(20)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통신 모듈(18)은 가전 기기(20), 중계기(30) 및 서버(4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8)은 가전 기기(20) 및 서버(40)와 통신한다. 통신 모듈(18)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8)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가전 기기(20) 및/또는 중계기(3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8)은 원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버(4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8)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8)은 블루투스 기술,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 와이파이 기술, 지그비(Zigbee) 기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기술, WFD(Wi-Fi Direct) 기술, UWB(ultra wideband) 기술, Ant+ 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18)은 와이파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와이파이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8)은 와이파이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가전 기기(20)로부터 전송된 와이파이 비콘을 검출하고, 가전 기기(20)와 와이파이 기술을 이용한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18)은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8)은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기술, 5G 네트워크 기술,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기술,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기술 등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원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통신 모듈(18)은 프로세서(13)의 제어에 따라 가전 기기(20), 중계기(30) 및 서버(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18)은 가전 기기(20), 중계기(30) 또는 서버(40)로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가전 기기(20), 중계기(30) 또는 서버(4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기이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냉장고, 김치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공기청정기, 청소 로봇, 청소기, 의류관리기, 오븐, 전자레인지, 인덕션, 오디오 출력장치, 또는 스마트홈 허브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냉장고는 냉각기, 컨테이너, 도어, 온도 센서, 도어 개폐 센서, 전등 등과 같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세탁기는 세탁조, 모터, 도어, 도어 개폐 센서, 급수부, 배수부 등과 같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청소기는 진공 흡입 어셈블리, 먼지통, 브러쉬 등과 같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통신 연결이 가능한 사물 인터넷(IoT) 장치 일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의 센서를 통해서 획득한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를 통신 연결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프로세서(23), 센서(26), 메모리(27) 및 통신 모듈(28)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가전 기기(20)의 구성요소의 모두가 가전 기기(2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가전 기기(20)의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가전 기기(20)가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가전 기기(20)의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가전 기기(20)가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3)는 가전 기기(20)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3)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3)는, 메모리(27)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커맨드를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센서(26), 메모리(27) 및 통신 모듈(28)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센서(26)는 본연의 목적에 맞게 가전 기기(2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여 전기 신호로 바꾸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센서(26)는 가전 기기(20)의 내부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 센서, 가전 기기(20)의 내부의 균형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균형 센서, 가전 기기(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센서, 가전 기기(20)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6), 가전 기기(2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26)는 가전 기기(20)의 외부 음성 신호를 획득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7)는 가전 기기(2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명령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7)는 가전 기기(20)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7)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7)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7)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통신 모듈(28)은 사용자 단말기(10), 중계기(30) 및 서버(4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 및/또는 중계기(3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은 사용자 단말기(10) 및/또는 중계기(30)를 통해서 서버(4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은 중계기(30)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28)은 블루투스 기술,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 와이파이 기술, 지그비(Zigbee) 기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기술, WFD(Wi-Fi Direct) 기술, UWB(ultra wideband) 기술, Ant+ 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은 프로세서(23)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 중계기(30) 및 서버(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은 사용자 단말기(10), 중계기(30) 또는 서버(40)로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 중계기(30) 또는 서버(40)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의 와이파이 기능이 활성화되면, 프로세서(23)는 가전 기기(20)의 통신 모듈(28)이 소프트 AP로 동작 가능하도록, 소프트 AP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23)는 소프트 AP 동작을 수행하는 소정의 명령어를 수행함으로써, 통신 모듈(28)이 소프트 AP로 동작하도록 통신 모듈(28)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3)는 통신 모듈(28)에 SSID를 부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는 가전 기기(20)에 미리 부여된 SSID를 소프트 AP의 SSID로 설정한다. 미리 부여된 SSID는 소정의 SSID 관련 정보에 매칭된다. SSID 관련 정보는 가전 기기(20)의 제조자 ID 및 초기 설정 ID를 포함할 수 있다. SSID는 제조자 ID 및 초기 설정 ID에 매칭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물을 사용하거나 내부 히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도어에 의해서 내부와 외부가 분리되는 가전 기기(예를 들면,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오븐 등), 조리를 위해 열을 사용하는 가전 기기(예를 들면, 인덕션, 레인지 등)와 같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30)는 사용자 단말기(10), 가전 기기(20) 및 서버(4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한다. 중계기(3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가전 기기(20) 및/또는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중계기(30)는 가전 기기(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 및/또는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40)는 복수의 기기와 통신하면서,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고, 복수의 기기에서 요청한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서버(40)는 사용자 단말기(10) 및/또는 중계기(30)와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서버(40)는 복수의 기기와 원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거리 통신 기술은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기술, 5G 네트워크 기술,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기술,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예: LAN 또는 WAN)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본연의 기능을 동작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가전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연결된 중계기(30)를 경유하여 가전 기기(20)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연결된 중계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서버(40)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서버(40) 및 중계기(30)를 통해서 가전 기기(20)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데이터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 상에서 가전 기기(2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의 맥 어드레스, IP 어드레스가 식별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는 가전 기기(20)의 유형(예를 들면, 세탁기, 건조기, 인덕션, 전등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는 가전 기기(20)의 설정을 변경하고, 가전 기기(20)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제어 데이터는 세탁기가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헹굼/탈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 데이터는 인덕션의 화구의 화력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는 가전 기기(20)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는 가전 기기(20)의 전원이 on/off 인지에 관한 정보, 가전 기기(20)가 작동 중인지에 관한 정보, 가전 기기(20)의 내부의 무게/균형/진동/온도의 변화에 관련된 정보와 같은 가전 기기(20)의 상태와 가전 기기(20)의 주변 환경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전 기기들 중에는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dangerous home appliances)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을 사용하거나 내부 히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도어에 의해서 내부와 외부가 분리되는 가전 기기(예를 들면,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오븐 등), 조리를 위해 열을 사용하는 가전 기기(예를 들면, 인덕션, 레인지 등)가 위험한 가전 기기일 수 있다. 위험한 가전 기기는 원격 제어로 작동시에 안전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사용자가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없는 경우에 원격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약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위험한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격 제어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하고, 가전 기기의 상태의 변화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단계 250 및 270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210에서, 가전 기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가전 기기가 수행할 기능에 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는 집안의 에어컨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의 전원을 on/off 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는 세탁기가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사용자 단말기가 생성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는 가전 기기가 연결된 중계기로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중계기를 통해서 가전 기기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연결된 중계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서버(40)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서버(40) 및 중계기(30)를 통해서 가전 기기(20)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가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로부터 가전 기기가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가전 기기의 유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가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물을 이용하기 위해서 도어에 의해서 내부와 외부가 분리되는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됨을 식별 정보에 포함된 유형에 관한 정보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는 안전 기준에 의해서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한다고 지정된 가전 기기의 유형과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가전 기기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가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가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는 전등, 에어컨과 같이 안전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가전 기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원을 on/off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가전 기기가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원격 제어가 설정되었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250가 진행된다.
단계 250에서,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의 원격 제어가 설정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제1 상태 또는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제2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제1 상태로 설정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세탁기의 전면 상단에 위치한 원격 제어 설정 버튼(예를 들면, 스마트 컨트롤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였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는 원격 제어 설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 것에 대응하여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제2 상태인 경우에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가 세탁기의 전면 상단에 위치한 원격 제어 설정 버튼(예를 들면, 스마트 컨트롤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세탁기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제1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 설정 시기 이후에 가전 기기의 상태의 변화가 존재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270이 진행된다.
단계 270에서,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의 상태 변화가 존재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제1 상태로 설정된 시기 이후에 가전 기기의 센서를 통해서 획득된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로부터 가전 기기에게 발생된 이벤트 및/또는 가전 기기의 상태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원격 제어 설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 이후에 발생된 이벤트 및/또는 가전 기기의 상태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가전 기기에게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고 가전 기기의 상태의 변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290가 진행될 수 있다. 즉, 가전 기기는 원격 제어 설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 때와 가전 기기의 상태가 동일해서 안전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낮으므로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어린이나 동물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도어 센서를 통해서 획득한 세탁기의 상태 정보로부터 세탁기의 도어가 개방되었다는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는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세탁기는 무게 센서를 통해서 획득한 세탁조 내부의 무게 변화에 관한 상태 정보로부터 소정의 임계값 이상으로 세탁조 내부의 무게가 급격하게 증가된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는 어린이나 동물이 세탁조 내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세탁조 내부의 무게가 급격하게 증가된 경우에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인덕션은 압력 감지 센서를 통해서 획득한 인덕션의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불규칙한 변화가 감지되는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인덕션은 인덕션의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불규칙한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에, 인덕션의 상부에 동물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에게 발생된 상태의 변화를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진동 감지 센서를 통해서 획득한 세탁조 내부에서 진동에 관한 상태 정보로부터 원격 제어 설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 이후에 발생된 세탁기의 상태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조 내부에 지속적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어린이나 동물이 내부에 들어간 것일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세탁기는 균형 감지 센서를 통해서 획득한 세탁조의 균형에 관한 상태 정보로부터 세탁기의 상태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조가 지속적으로 흔들리는 경우에 어린이나 동물이 내부에 들어간 것일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세탁기는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서 획득한 세탁조 내부의 온도에 관한 상태 정보로부터 세탁기의 상태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는 운행없이 세탁조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 어린이나 동물이 내부에 들어간 것일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세탁기는 마이크를 통해서 획득한 세탁조 내부의 소리에 관한 상태 정보로부터 세탁기의 상태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는 어린이나 동물의 음성의 음역대에 해당하는 세탁조 내부의 소리를 감지한 경우에, 세탁조 내부에 어린이나 동물이 들어간 것 일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의 상태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에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결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를 통해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 290에서, 가전 기기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세탁조의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헹굼/탈수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인덕션은 화구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에어컨은 전원을 on/off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중계기 및 서버 사이의 통신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이더넷, 전력망 통신 기술과 같은 유선 통신 기술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중계기(30)와 통신 연결(310)을 형성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이더넷, 전력망 통신 기술과 같은 유선 통신 기술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중계기(30)와 통신 연결(3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30)는 통신사의 기지국을 통해서 서버(40)와 통신 연결(33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는 셀룰러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서버(40)와 통신 연결(3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중계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통신 연결(310)을 통해서 중계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통신 연결(340)을 통해서 서버(4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버(4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중계기(3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는 중계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중계기(30)는 통신 연결(330)을 통해서 가전 기기(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 및/또는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를 중계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생성한 제어 데이터를 중계기(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는 원격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약이 존재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가전 기기(20)의 근거리에 위치하여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가 제약없이 가전 기기(20)를 원격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근거리에 위치한 경우에 위험한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 사이에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고,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원격 제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가전 기기(2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위험한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위한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도록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및 중계기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단계 410에서, 중계기(30)는 가전 기기(20)와 통신 연결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중계기(30)가 와이파이 기술을 이용하여 브로드 캐스트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로 접속함으로써, 중계기(30)와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30)는 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단계 410에서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해서 중계기(30)로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는 가전 기기(20)가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는 가전 기기(20)의 유형(예를 들면, 세탁기, 건조기, 인덕션, 전등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단계 410에서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해서 중계기(30)로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의 전원이 on/off 인지에 관한 정보, 가전 기기(20)가 작동 중인지에 관한 정보, 가전 기기(20)의 내부의 무게/균형/진동/온도의 변화에 관련된 정보와 같은 가전 기기(20)의 상태와 가전 기기(20)의 주변 환경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중계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중계기(30)는 중계기(30)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의 식별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를 원격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스마트 씽스)을 이용하여 중계기(30)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의 각각의 식별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중계기(30)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 중에서 원격 제어를 할 가전 기기(20)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중계기(30)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복수의 가전 기기들의 목록을 복수의 가전 기기들의 각각의 상태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복수의 가전 기기들의 목록 중에서 가전 기기(20)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원격 제어를 할 가전 기기(20)에게 전송할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10)가 가전 기기(20)를 제어하기 위해서, 가전 기기(20)의 승인을 요청하는 데이터이다.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는 가전 기기(20)가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하는데 이용하는 인증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미리 약속된 소정의 암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가전 기기(20)의 유형에 관한 정보와 기관에 의해서 정해진 안전 기준에 의해서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한다고 지정된 가전 기기의 유형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20)가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중계기(30)로부터 수신한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가전 기기(20)의 유형에 관한 정보)로부터 가전 기기(20)가 위험한 가전 기기(예를 들면,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오븐, 인덕션, 레인지 등)에 해당함을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 가전 기기(20)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여도 안전 사고가 발생하기 않을 것이므로, 가전 기기(20)가 원격 제어를 바로 수행하도록 제어 데이터가 포함된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460 및 단계 470은 진행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가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근거리에서 가전 기기(2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의 형성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에 대한 원격 제어의 위험 요소를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의 형성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로부터 가전 기기(20)의 상태의 변화를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의 위험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는 세탁기의 내부의 무게 변화, 세탁조 내부에서 발생된 진동이나 소리로부터 세탁조에 어린이나 동물이 존재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근거리에 위치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함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의 형성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는 사용자가 선택한 원격 제어를 수행할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요청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메시지 형식의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는 직접 연결되지 않고 중계기(30)를 통해서 연결되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기(10)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중계기(30)로 전송한다.
단계 450에서, 중계기(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30)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기(30)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 중에서 가전 기기(20)로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60에서, 가전 기기(20)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10)와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D2D 연결 정보(Device to Device access inform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D2D 연결 정보는 장치간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형성하는 통신 연결에 관한 정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2D 연결 정보는 가전 기기(20)에서 생성되는 소프트 AP(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가전 기기(20)의 맥 어드레스 등),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의 맥 어드레스, 사용자 단말기(10)의 이름 등)에 기초하여 생성(예를 들면,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조합)된 SSID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가 가전 기기(20)의 근거리에 위치되었음을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D2D 연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가 동일한 중계기(30)에 연결되었음을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D2D 연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의 GPS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 셀룰러 기지국들으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비콘의 삼각 측량으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등)와 가전 기기(20)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비콘의 삼각 측량으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등)가 동일함을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D2D 연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출력된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스캔한 결과에 기초하여, D2D 연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가 출력한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사용자 단말기(10)가 스캔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결과에 기초하여, D2D 연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D2D 연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D2D 연결 정보를 중계기(30)로 전송함으로써, 중계기(30)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10)로 D2D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기(3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D2D 연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는 SSID를 브로드캐스팅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로 D2D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는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팅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로 D2D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7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수신한 D2D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20)와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와이파이 기술을 이용해서 D2D 연결 정보에 포함된 SSID로 접속함으로써, 가전 기기(20)와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스캔함으로써,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대응하는 BLE 스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BLE 스캔 결과 데이터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함으로써, BLE 기술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20)와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 및 가전 기기(20)는 직접 통신 연결이 형성된 것에 대응하여, 직접 통신 연결의 초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가전 기기(20)를 원격 제어가 가능한 가전 기기로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를 원격 제어 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초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 및 가전 기기(20)는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데 이용할 프로토콜의 종류 및/또는 버전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가전 기기(20)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중계기 및 서버 사이의 통신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 및 가전 기기(20)의 각각의 통신 연결이 스위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 및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중계기(30) 사이의 통신 연결(510) 및 가전 기기(20)와 중계기(30) 사이의 통신 연결(520)을 해제하고,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는 직접 통신 연결(550)을 형성함으로써, 통신 연결을 스위칭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소프트 AP를 생성하기 위해서, 가전 기기(20)와 중계기(30) 사이의 통신 연결(520)을 해제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생성한 소프트 AP로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10)와 중계기(30) 사이의 통신 연결(510)을 해제한다. 한편, 중계기(30)와 서버(40) 사이의 통신 연결(530)은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550)과 무관하므로, 유지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40)와 통신 연결(540)을 유지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서버(40)를 통해서 중계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의 원격 제어와 함께 중계기(30)에 연결된 다른 가전 기기의 원격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20)는 직접 통신 연결(550)이 형성된 사용자 단말기(10)만으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전 기기(20)의 원격 제어를 수행할 때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및 가전 기기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전 기기(20)는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가전 기기(20)는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서, D2D 연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가전 기기(20)가 D2D 연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방법은 도 4의 단계 460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단계 620a에서,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와 중계기(30) 사이의 통신 연결을 해제한다. 일 시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는 소프트 AP를 생성하기 위해서, 가전 기기(20)와 중계기(30) 사이의 통신 연결을 해제한다.
단계 620b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중계기(30) 사이의 통신 연결을 해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생성한 소프트 AP로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10)와 중계기(30) 사이의 통신 연결을 해제한다.
단계 63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수신한 D2D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0)와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한다. 직접 통신 연결이 형성되는 방법은 도 4의 단계 470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단계 64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세탁기의 전원에 관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on/off 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세탁기가 세탁을 수행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기가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세탁기가 세탁물을 세탁할 시간을 설정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세탁기가 세탁을 수행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세탁기의 내부의 습도에 관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를 위해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세탁기의 내부의 온도에 관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64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가전 기기(20)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 장치를 인증하는데 이용할 인증 정보가 포함된 제어 데이터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제어 데이터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로부터 수신한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제어 데이터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와 미리 약속된 소정의 암호(예를 들면, OTP 등)가 포함된 제어 데이터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650에서, 가전 기기(20)는 원격 제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가전 기기(20)로 전송된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의 제1 식별 정보와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10)의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한다는 비교 결과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10)가 인증된 단말기임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10)가 가전 기기(20)로부터 수신한 가전 기기(20)의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가전 기기(20)의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한다는 비교 결과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10)가 인증된 단말기임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미리 약속된 소정의 암호(예를 들면, OTP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비밀키,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 정보, 가전 기기(20)의 비밀키, 가전 기기(20)의 식별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난수인 소정의 암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60에서, 가전 기기(20)는 인증된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세탁기의 전원을 on/off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할 시간을 설정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기의 도어를 개폐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의 상태가 변경됨으로써 발생된 위험 요소에 따라서,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의 센서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20)의 상태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가전 기기(20)의 내부의 무게의 변화의 변화에 관한 정보,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리에 관한 정보, 가전 기기(20)의 균형에 관한 정보, 가전 기기(2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관한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소정 시간 동안 센서를 통해서 획득한 가전 기기(20)의 상태에 관한 정보로부터 가전 기기(20)의 상태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중계기(30)와 연결될 때 획득한 가전 기기(20)의 상태와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때 획득한 가전 기기(20)의 상태의 차이로부터 가전 기기(20)의 상태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때 획득한 가전 기기(20)의 상태와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때 획득한 가전 기기(20)의 상태의 차이로부터 가전 기기(20)의 상태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의 상태가 변경됨으로써 발생되는 위험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세탁조 내부의 무게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세탁조 내부에서 진동이 발생된 경우, 세탁조 내부에서 소리가 발생된 경우에 세탁조 내부에 어린이나 동물이 들어가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세탁기는 균형의 변화로부터 세탁기가 넘어질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인덕션의 상부에 인가되는 압력의 불규칙한 변동으로부터 인덕션의 상단에 동물이 올라가 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식별된 위험 요소로부터 안전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는 세탁조 내부에 어린이나 동물이 들어가 있다고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세탁을 수행하라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인덕션은 상단에 동물이 올라갔다고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화구에 전원을 공급하라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였다는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못하였다는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로부터 식별된 위험 요소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 식별된 위험 요소에 관한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결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를 통해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중계기 및 서버 사이의 통신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는 Bluetooth 기술, UWB (ultrawide band) 기술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 연결(750)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는 직접 통신 연결(750)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로 직접 통신 연결(750)을 통해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직접 통신 연결(750)을 통해서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통신 연결(750)이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와 중계기(30)의 통신 연결(710) 및 사용자 단말기(10)와 서버(40)의 통신 연결(740)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의 원격 제어와 함께 중계기(30)에 연결된 다른 가전 기기의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30)와 서버(40) 사이의 통신 연결(730)은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750)과 무관하므로,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만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직접 통신 연결(750)이 형성될 때 중계기(30)와의 통신 연결(720)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전 기기(20)의 원격 제어를 수행할 때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및 가전 기기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Bluetooth 기술을 이용해서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는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810에서,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와 사용자 단말기(10)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서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가전 기기(20)의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10)로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은 도 4 및 도 6의 D2D 연결 정보에 대응한다.
단계 83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출력한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스캔함으로써, 가전 기기(20)로 BLE 연결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BLE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사용자 단말기(10)가 스캔함으로써 생성한 BLE 스캔 결과 데이터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함으로써, BLE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850에서,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는 BLE 연결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BLE 스캔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와 직접 통신 연결로서 BLE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 및 가전 기기(20)는 BLE 연결이 형성된 것에 대응하여, BLE 연결의 초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가전 기기(20)를 원격 제어가 가능한 가전 기기로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를 원격 제어 장치로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증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초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 및 가전 기기(20)는 BLE 연결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데 이용할 프로토콜의 종류 및/또는 버전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87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형성된 BLE 연결을 통해서 가전 기기(20)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제어 데이터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가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 장치를 인증하는데 이용할 인증 정보가 포함된 제어 데이터를 가전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가 가전 기기(20)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단계 890에서,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가전 기기, 중계기 및 서버 사이의 통신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 및 가전 기기(20)는 통신 연결을 스위칭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가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 및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의 사이에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950)을 해제하고, 사용자 단말기(10)와 중계기(30) 사이의 통신 연결(910) 및 가전 기기(20)와 중계기(30) 사이의 통신 연결(920)을 재형성함으로써, 통신 연결을 스위칭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40)와 통신 연결(940)을 유지한다. 중계기(30)와 서버(40) 사이의 통신 연결(930)은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950)과 무관하므로, 유지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가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사용자 단말기 및 가전 기기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전 기기(20)는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01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와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한다. 직접 통신 연결이 형성되는 방법은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단계 103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가전 기기(20)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0)가 가전 기기(20)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단계 1050에서,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는 가전 기기(20)의 상태가 변경됨으로써 발생된 위험 요소에 따라서,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가전 기기(20)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단계 1070에서, 가전 기기(20)는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였다는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전 기기(20)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못하였다는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의 상태 정보로부터 식별된 위험 요소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20)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 가전 기기(20)는 식별된 위험 요소에 관한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1070에서, 가전 기기(20)는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수신된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20)를 원격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였다는 결과 또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결과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를 통해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전 기기(20)를 원격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위험 요소에 관한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를 통해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 1090에서, 가전 기기(20)가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 및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의 사이에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가전 기기(20)가 원격 제어의 수행을 완료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 및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의 사이에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20)가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 및 가전 기기(2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전 기기(20)의 사이에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전 기기(20)를 원격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직접 통신 연결이 해제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를 통해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가 근거리에서 가전 기기(2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데 제약이 완화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안전 사고의 위험성도 감소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중계기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 중에서 제1 가전 기기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direct access)을 형성하기 위한 D2D 연결 정보(Device to Device access information)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D2D 연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2D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1 제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유형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dangerous home appliances)에 해당한다고 식별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의 형성을 요청하는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가전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의 위험 요소가 식별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의 형성을 요청하는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2D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근거리에 위치되었음을 식별 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D2D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2D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AP(Access Point)의 SSID를 포함하고,
    상기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와 상기 중계기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AP의 SSID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센서를 통해서 획득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상태가 변경됨으로써 발생된 위험 요소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요소를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위험 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위험 요소에 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의 수행을 완료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기와 통신 연결을 재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가전 기기에 있어서,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중계기로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direct access)을 형성하기 위한 D2D 연결 정보(Device to Device access information)를 생성하고,
    상기 D2D 연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D2D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1 제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가전 기기.
  11.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계기로부터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의 각각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제1 가전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에 의해서 생성된, D2D 연결 정보(Device to Device access information)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D2D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1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상기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유형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전 기기(dangerous home appliances)에 해당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위험한 가전 기기에 해당한다고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의 형성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가전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의 위험 요소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요소를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의 형성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2D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근거리에 위치되었음을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에 형성되는 근거리 통신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D2D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2D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AP(Access Point)의 SSID를 포함하고,
    상기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AP의 SSID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한 결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식별한 상기 제1 가전 기기에게 발생된 위험 요소에 관한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전 기기에게 발생된 위험 요소에 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제1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입출력 인터페이스;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중계기로부터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 기기들의 각각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제1 가전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원격 제어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에 의해서 가 생성된, D2D 연결 정보(Device to Device access information)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D2D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전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 연결을 형성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1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상기 형성된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20.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1항 내지 제18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107535A 2021-08-13 2021-08-13 가전 기기,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KR20230025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535A KR20230025246A (ko) 2021-08-13 2021-08-13 가전 기기,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535A KR20230025246A (ko) 2021-08-13 2021-08-13 가전 기기,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246A true KR20230025246A (ko) 2023-02-21

Family

ID=8532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535A KR20230025246A (ko) 2021-08-13 2021-08-13 가전 기기,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52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4197B2 (en) Network device source entity triggered device configuration setup
US9426153B2 (en) Setup of multiple IOT devices
US99782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TWI544804B (zh) 遙控操作系統之登錄支援系統、通信終端裝置、及電子機器
KR20160021046A (ko) 통신 태그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사용자 단말기, 디바이스, 및 시스템
WO2016028779A1 (en) Retail triggered device configuration setup
WO2016004134A2 (en) Systems and techniques for wireless device configuration
EP3389332B1 (en) Commissioning of a plurality of devices
TW201417539A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CN109890065B (zh) 一种家电设备的组网方法及系统
KR102470455B1 (ko)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20160024386A (ko) 구성 접속 디바이스
US20160239651A1 (en)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to operate using a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JP6469770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における登録支援システム
WO2015001772A1 (ja) 無線接続設定方法、無線通信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17204872A (ja) 遠隔操作システムにおける登録支援システム
KR101772408B1 (ko) 무선랜을 이용한 스마트가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5246A (ko) 가전 기기, 가전 기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가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JP6352077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専用操作器
JP6270491B2 (ja) 認証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JP6657025B2 (ja) 操作者推定システム
JP2015154419A (ja) 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制御システム
JP2015015619A (ja) 操作端末
KR20220050565A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전자 기기 등록 방법
KR101667027B1 (ko) 무선랜을 이용한 원스톱 가전제품 제어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