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124A -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124A
KR20230025124A KR1020210107241A KR20210107241A KR20230025124A KR 20230025124 A KR20230025124 A KR 20230025124A KR 1020210107241 A KR1020210107241 A KR 1020210107241A KR 20210107241 A KR20210107241 A KR 20210107241A KR 20230025124 A KR20230025124 A KR 20230025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 hose
stopper
hose
verif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효
김국현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21010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124A/ko
Publication of KR2023002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60T17/043Brake line couplings, air hoses and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호스와, 상기 차량용 호스를 차량의 연결대상부에 연결시키는 연결용 구조체와, 상기 차량용 호스와 상기 연결용 구조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용 구조체에 대해 미리 결정된 회전각으로 상기 차량용 호스를 회전시켜 상기 차량용 호스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Vehicle hose assembly status verification modul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다양한 계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브레이크 라인, 연료 라인, 파워스티어링 라인, 에어컨 라인, 저압 라인 등의 계통을 포함하며, 이러한 계통에는 차량용 호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호스의 경우, 그 계통에 따라 관로로서 요구되는 기본 성능 외에 각 계통에서 요구되는 기계적 성질과 관체로서 유동성을 다르게 가질 수 있다.
차량용 호스를 차량에 설치 시, 차량용 호스를 차량에 연결하는 연결용 금구(金)와의 설치 각도에 따라 탄성체인 차량용 호스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제 차량용 호스를 차량에 설치하기에 앞서, 차량용 호스의 설치 상태 및 주변부와의 간섭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 차량용 호스의 설치 위치, 연결용 금구의 종류 및 연결용 금구와의 설치 각도 등에 맞춰, 각각의 상태에 대응되는 다수의 검증용 샘플을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제품으로, 차량에 설치 시 차량용 호스의 다양한 설치 각도에 다른 주변부와의 간섭 여부 및 간섭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은, 차량용 호스와, 상기 차량용 호스를 차량의 연결대상부에 연결시키는 연결용 구조체와, 상기 차량용 호스와 상기 연결용 구조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용 구조체에 대해 미리 결정된 회전각으로 상기 차량용 호스를 회전시켜 상기 차량용 호스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은 서로 다른 복수개의 회전각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 유닛은, 상기 차량용 호스의 위치를 상기 서로 다른 복수개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 유닛은, 바디와,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차량용 호스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용 호스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기어와, 회전 운동을 선택적으로 중단시키는 스토퍼(stopper)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제1 걸림단부 및 상기 제1 걸림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걸림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기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걸림단부와 상기 제2 걸림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걸림단부와 상기 제2 걸림단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걸림단부와 상기 제2 걸림단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가능 상태와, 상기제1 걸림단부와 상기 제2 걸림단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회전 운동이 중단된 고정 상태 사이에서, 작동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단부와 상기 제2 걸림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회전기어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방지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 유닛은 라쳇(ratche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은, 위치조절 유닛을 이용하여 연결용 구조체에 결합된 차량용 호스를 회전시켜, 차량용 호스와 연결용 구조체 사이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양한 설치 각도별로 조립 상태 검증용 샘플들 따로 제작할 필요 없이, 위치조절 유닛을 통해 차량용 호스의 조립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설치 각도에서 차량용 호스의 설치 위치 주변부에 위치한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 여부 및 간섭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유닛의 일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위치조절 유닛의 반대측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호스(100)는 브레이크 호스 및 파워 스티어링 호스 등 압력전달 메커니즘에 사용되는 차량용 호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호스의 예로 브레이크 호스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브레이크 호스에 적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호스는 차량 실내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으로 브레이크 파이프(60)의 끝단으로 압유가 공급되도록 하는 마스터 실린더(70)와, 마스터 실린더(70)로부터 압유가 유입되도록 하는 휠 실린더를 연결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마스터 실린더(70)에서 유압이 발생되고, 유압에 의해 브레이크 호스를 통해 휠 실린더로 압유가 압송된다. 이때, 휠 실린더가 압유에 의해 확장되어 브레이크 슈를 드럼(50)에 압착되게 함으로써, 차량이 제동 상태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 유닛의 일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위치조절 유닛의 반대측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10)은, 차량용 호스(100)를 차량에 설치 시, 차량용 호스(100)의 설치 위치 및 그 주변부에 배치된 다른 차량용 부품들과의 배치 관계 또는 간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10)은 차량용 호스(100)와, 연결용 구조체(200)와, 위치조절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호스(100)는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호스, 파워 스티어링 호스 등일 수 있다.
연결용 구조체(200)는 차량용 호스(100)를 차량에 연결시키는 부품일 수 있다. 연결용 구조체(200)는 차량용 호스(100)가 연결된 상태로, 차량의 연결대상부에 설치됨으로써, 차량용 호스(100)가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연결용 구조체(200)는 메인 프레임 및 이에 배치된 연결용 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용 구조체(200)는 연결용 파이프가, 차량용 호스(100)의 일단에 연통되어, 차량용 호스(100)의 외부로부터 압유 등의 유체를 차량용 호스(100) 내부로 주입시키거나, 차량용 호스(100) 내부에 주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호스(100)의 양단이 차량에 결합되는 경우, 차량용 호스(100)의 일단에는 연결용 구조체(200)가 연결되고, 차량용 호스(100)의 타단에는 별개의 다른 연결용 구조체(2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술할 위치조절 유닛(300)은 차량용 호스(100)의 양단 중 하나에만 설치됨으로써, 차량용 호스(100)의 조립 상태(예를 들어,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위치조절 유닛(300)은 차량용 호스(100)의 조립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절 유닛(300)은 연결용 구조체(200)에 결합된 차량용 호스(100)의 조립 상태를 변경시키거나, 또는 연결용 구조체(200)를 통해 차량에 조립된 차량용 호스(100)의 조립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변경되는 차량용 호스(100)의 조립 상태는, 연결용 구조체(200)에 대한 차량용 호스(100)의 설치 각도일 수 있다. 위치조절 유닛(300)은 일 예로, 라쳇(ratchet)일 수 있다.
위치조절 유닛(300)은 차량용 호스(100)와 연결용 구조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위치조절 유닛(300)과 차량용 호스(100) 및 연결용 구조체(200)의 구체적인 결합구조 및 방식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위치조절 유닛(300)은 바디(310)와, 회전기어(320)와, 스토퍼(stopper)(330)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3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하우징 형태일 수 있다. 바디(310)의 수용공간에는 회전기어(320)와 스토퍼(330)가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다.
회전기어(320)는 바디(31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기어(320)는 그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용 구조체(200)의 연결용 파이프가 회전기어(320)의 일 측면으로부터, 회전기어(320)의 관통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호스(100)의 일단(이하, 제1 단부)이 회전기어(320)의 타측면으로부터, 회전기어(320)의 관통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관통홀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용 파이프가 차량용 호스(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연통됨으로써, 차량용 호스(100)가 위치조절 유닛(300)과 연결용 구조체(20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기어(320)는 바디(310)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회전기어(320)가 회전 시, 회전기어(320)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100)의 일단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차량에 고정된 연결용 구조체(200)에 대한 차량용 호스(100)의 설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호스(100)는 제1 단부가 위치조절 유닛(300)을 통해 연결용 구조체(20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기어(320)의 회전에 의해 제1 단부의 반대측 단부(이하, 제2 단부)가 회전함으로써, 차량용 호스(100)의 설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차량용 호스(100)는, 도면의 ZX평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가, 연결용 구조체(200)에 고정된 제1 단부를 중심으로 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그 설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330)는 회전기어(320)의 회전 운동을 선택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330)는, 회전기어(320)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330)는 회전기어(320)가 제1 회전방향(R1)의 반대 방향인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토퍼(330)의 구체적인 작동 방식은 후술하기로 한다.
스토퍼(330)는 일 실시예로서,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330)는, 스토퍼(330)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을 항해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h)을 구비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스토퍼(330)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가 끊어진 형태의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스토퍼(330)는 제1 걸림단부(331)와, 제2 걸림단부(33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걸림단부(331)는, 제1 걸림단부(331)와 마주보게 배치된 제2 걸림단부(332)와 함께 걸림홈(h)을 획정할 수 있다. 즉, 제1 걸림단부(331) 및 제2 걸림단부(332)는 걸림홈(h)의 양측 단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걸림단부(331)와 제2 걸림단부(33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1 걸림단부(331)와 제2 걸림단부(332)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기어(320) 및 스토퍼(330)가 바디(310)에 설치 시, 회전기어(3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걸림단부(331)와 제2 걸림단부(3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기어(320)에 구비된 복수의 톱니부(T) 중 일부가, 제1 걸림단부(331)와 제2 걸림단부(3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기어(320)가 특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기어(320)에 구비된 복수개의 톱니부(T) 중 어느 하나가, 제1 걸림단부(331) 또는 제2 걸림단부(332)에 맞닿아 걸림으로써, 회전기어(320)의 회전운동이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기어(320)가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톱니부(T)가 제1 걸림단부(331)에 걸림으로써 제2 회전방향(R2)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기어(320)의 회전이 중단될 수 있다.
스토퍼(330)는 제1 회전축(C1)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330)는 후술할 잠금부(미도시)를 통해, 회전 가능 상태 및 고정 상태 사이에서 작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330)는 돌출부재(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재(340)는, 회전 가능 상태인 스토퍼(330)를 회전시킬 때,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10)의 사용자(이하, 사용자)가 파지하여 힘을 가하기 위한 레버(lever)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재(340)의 일단(이하, 제1 단부)은 스토퍼(330)와 함께 제2 회전축(C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재(340)의 제1 단부는 스토퍼(330)에 고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재(340)의 타단(이하, 제2 단부)은 스토퍼(33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바디(3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돌출부재(340)의 제2 단부에 제1 작동방향(r1) 또는 제2 작동방향(r2)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돌출부재(340)의 제1 단부는, 제1 단부에 결합된 스토퍼(330)와 함께 제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330)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제1 걸림단부(331)와 제2 걸림단부(33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스토퍼(330)는 돌출부재(340)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잠금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스토퍼(330)의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잠금부를 잠금 해제 상태(unlocked state)로 변경하여, 스토퍼(330)를 회전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회전 가능 상태에서, 사용자는 돌출부재(340)에 원하는 작동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스토퍼(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스토퍼(33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되어 스토퍼(3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경우, 잠금부를 잠금 상태(locked state)로 변경하여 스토퍼(330)를 고정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고정 상태에서는, 돌출부재(340)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도, 스토퍼(330)가 미세한 회전 범위 내에서의 회전 운동만이 가능할 수 있다.
차량용 호스의 조립 상태를 검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위치조절 유닛(300)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100)를 일 방향[예를 들어,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켜 설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차량용 호스(100)의 조립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조절되는 설치 각도는, 차량용 호스(100)의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호스(100)의 설치 환경은, 차량용 호스(100)가 설치되는 차량의 종류 또는 차량 내에서 차량용 호스(100)의 설치 위치 및 그 주변부에 위치한 다른 부품들의 형상, 설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설치 각도까지 차량용 호스(100)의 조립 상태를 변경한 이후, 사용자는 해당 조립 상태에서, 주변에 위치한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간섭상태는 해당 조립 상태에서, 차량용 호스(100)의 일부가, 설치 위치 주변부의 다른 부픔과 접촉 여부, 다른 부품의 배치에 의한 차량용 호스(100)의 꼬임 또는 찌그러짐 발생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용 호스(100)의 설치 환경을 다양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회전각으로 차량용 호스(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여러 가지 설치 환경에서의 차량용 호스(100)의 주변부에 설치된 다른 부품들과 간섭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토퍼(330)는, 회전기어(320)와 마주보는 외측면에 접촉방지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면은,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반경방향 외측을 따라 형성된 스토퍼(330)의 둘레표면일 수 있다.
접촉방지홈은 회전기어(320)의 회전운동 시, 회전기어(320)와 스토퍼(33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기어(320)는 톱니부(T)가 스토퍼(330)의 외측면과 비접촉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톱니부(T)와 스토퍼(330)의 외측면 사이의 부딪힘으로 인한 충격 발생 또는 마찰력 발생 등으로 인해, 회전기어(320)의 회전 운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방지홈은 한쌍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접촉방지홈 중 하나인 제1-1 접촉방지홈(331a)은, 제1 걸림단부(331)와 인접한 스토퍼(330)의 외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1 접촉방지홈(331a)은 스토퍼(330)의 측면과 평행한 방향(예를 들어, ZX평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와 같은 원호(arc)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1 접촉방지홈(331a)의 원호 형상 횡단면의 곡률반경은, 제1 회전축(C1)으로부터 톱니부(T)의 끝단까지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톱니부(T)의 끝단과 제1-1 접촉방지홈(331a)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이 존재하게 되어, 회전기어(320)의 회전 시, 톱니부(T)가 스토퍼(330)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1-1 접촉방지홈(331a)은 스토퍼(330)의 폭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스토퍼(330)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기어(320)의 톱니부(T)가, 스토퍼(330)의 폭과 동일한 두께나, 더 큰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회전기어(320) 회전 시, 톱니부(T)가 스토퍼(330)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쌍의 접촉방지홈 중 다른 하나인 제1-2 접촉방지홈(332a)는, 제2 걸림단부(332)와 인접한 스토퍼(330)의 외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접촉방지홈(332a)은 제1-1 접촉방지홈(331a)과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외에, 제1-2 접촉방지홈(332a)의 구체적인 특징은 제1-1 접촉방지홈(331a)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접촉방지홈 중 하나인 제2-1 접촉방지홈(331b)은, 제1 걸림단부(331)와 인접한 스토퍼(330)의 외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1 접촉방지홈(331b)은 스토퍼(330)의 측면과 평행한 방향(ZX평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와 같은 꺽쇠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1 접촉방지홈(331b)의 꺽쇠 형상 횡단면의 기울기는, 톱니부(T)의 끝단보다 완만한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1 접촉방지홈(331b)의 깊이는, 톱니부(T)의 끝단이 제2-1 접촉방지홈(331b)의 내면에 닿지 않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접촉방지홈(331b)의 깊이는, 회전기어(320)와 스토퍼(330)가 바디(3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축(C1)으로부터 제2-1 접촉방지홈(331b)의 내면까지 거리가, 제1 회전축(C1)으로부터 톱니부(T)의 끝단까지의 길이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톱니부(T)의 끝단과, 제2-1 접촉방지홈(331b)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이 존재하게 되어, 회전기어(320)가 회전하는 동안, 톱니부(T)가 스토퍼(330)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1 접촉방지홈(331b)은 스토퍼(330)의 폭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스토퍼(330)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기어(320)의 톱니부(T)가, 스토퍼(330)의 폭과 동일한 두께나, 더 큰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회전기어(320) 회전 시, 톱니부(T)가 스토퍼(330)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쌍의 접촉방지홈 중 다른 하나인 제2-2 접촉방지홈(332b)는, 제2 걸림단부(332)와 인접한 스토퍼(330)의 외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2 접촉방지홈(332b)은 제2-1 접촉방지홈(332a)과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외에, 제2-2 접촉방지홈(332b)의 구체적인 특징은 제2-1 접촉방지홈(332a)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토퍼(33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쌍의 접촉방지홈을 구비함으로써, 회전기어(320)가 제1 회전방향(R1) 또는 제2 회전방향(R2) 중 어떠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라도, 톱니부(T)와 스토퍼(330) 사이의 충돌이나, 마찰력 발생으로 인한 회전 운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10)은, 위치조절 유닛(300)을 이용하여 연결용 구조체(200)에 결합된 차량용 호스(100)를 회전시켜, 차량용 호스(100)와 연결용 구조체(200) 사이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양한 설치 각도별로 조립 상태 검증용 샘플들 따로 제작할 필요 없이, 위치조절 유닛(300)을 통해 차량용 호스(100)의 조립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설치 각도에서 차량용 호스(100)의 설치 위치 주변부에 위치한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 여부 및 간섭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100: 차량용 호스
200: 연결용 구조체
300: 위치조절 유닛
310: 바디
320: 회전기어
330: 스토퍼
340: 돌출부재

Claims (7)

  1. 차량용 호스;
    상기 차량용 호스를 차량의 연결대상부에 연결시키는 연결용 구조체; 및
    상기 차량용 호스와 상기 연결용 구조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용 구조체에 대해 미리 결정된 회전각으로 상기 차량용 호스를 회전시켜 상기 차량용 호스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 유닛은,
    바디;와,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차량용 호스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용 호스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기어;와, 회전 운동을 선택적으로 중단시키는 스토퍼(stopper);를 구비한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제1 걸림단부 및 상기 제1 걸림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걸림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기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걸림단부와 상기 제2 걸림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걸림단부와 상기 제2 걸림단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걸림단부와 상기 제2 걸림단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가능 상태와, 상기제1 걸림단부와 상기 제2 걸림단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회전 운동이 중단된 고정 상태 사이에서, 작동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단부와 상기 제2 걸림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회전기어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방지홈을 구비한,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 유닛은 라쳇(ratchet)으로 구성된,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KR1020210107241A 2021-08-13 2021-08-13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KR20230025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241A KR20230025124A (ko) 2021-08-13 2021-08-13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241A KR20230025124A (ko) 2021-08-13 2021-08-13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124A true KR20230025124A (ko) 2023-02-21

Family

ID=8532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241A KR20230025124A (ko) 2021-08-13 2021-08-13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51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4299B2 (ja) 自動車シート調節装置用、特に背もたれヒンジ部品用の揺動継手部品
US10975916B2 (en) Connecting structure and hydraulic drive device
US9109652B2 (en) Selection of components of a disc brake and disc brake
CN106438772B (zh) 用于将磨损传感器固定在车辆制动器的制动杠杆处的装置
CN215487331U (zh) 鼓式制动设备
JP6360472B2 (ja) 動力伝達装置
JP2014508260A (ja) 引き摺りを低減するための、クラッチパックストローク補償装置
KR20230025124A (ko) 차량용 호스 조립 상태 검증 모듈
US10480598B2 (en) Guide device for the brake caliper of a floating caliper disc brake
US20170051802A1 (en) Brake for vehicle
KR102176060B1 (ko)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장치
JP2012524209A (ja) 調節された行程容積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JP4243895B2 (ja) 2重巻ブレーキバンド装置
JP2009243598A (ja) 発進装置
WO2022114202A1 (ja) 固定構造
WO2012169018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及びキャリパスライド機構
KR20150012838A (ko)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CN112026599A (zh) 用于泵送装置的离合器凸轮
JP6198889B1 (ja) 車両用ドラムブレーキ
JP642124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721827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2548143B1 (ko) 드럼 브레이크
JP6759179B2 (ja) 軸受構造及び車両用ペダル装置
KR20190130737A (ko) 드럼 브레이크
KR100523697B1 (ko) 댐퍼및이것을이용한페달식파킹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