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082A - 모듈식 거푸집 - Google Patents

모듈식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082A
KR20230025082A KR1020210107124A KR20210107124A KR20230025082A KR 20230025082 A KR20230025082 A KR 20230025082A KR 1020210107124 A KR1020210107124 A KR 1020210107124A KR 20210107124 A KR20210107124 A KR 20210107124A KR 20230025082 A KR20230025082 A KR 20230025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odule
unit
wall modu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준
Original Assignee
김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준 filed Critical 김태준
Priority to KR102021010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082A/ko
Publication of KR2023002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모듈식 거푸집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식 거푸집은, 다수의 제1 단위벽체모듈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마련되되 기립 배치되는 제1 벽체모듈과, 다수의 제2 단위벽체모듈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마련되되 제1 벽체모듈과 상호 대향되게 기립 배치되어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벽체를 지지하는 기립 지지면부를 제공하는 제2 벽체모듈과, 다수의 제1 단위벽체모듈을 상호 결합시켜 제1 벽체모듈로 조립하는 제1 벽체 조립모듈과, 다수의 제2 단위벽체모듈을 상호 결합시켜 제2 벽체모듈로 조립하는 제2 벽체 조립모듈을 구비하는 거푸집 벽체유닛; 및 제1 벽체모듈 및 제2 벽체모듈에 결합되어 제1 벽체모듈과 제2 벽체모듈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며 상호 고정시키는 벽체 이격고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식 거푸집{Modular Formwork}
본 발명은, 모듈식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벼운 무게로 제작되어 이를 운반하는 근로자의 노동 강도를 경감시키고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 벽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한 구조를 가지며, 나아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결합구조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의 타설 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보다 손쉬운 방식으로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모듈식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콘크리트 벽체 및 슬라브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를 시공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벽체 및 슬라브의 형상에 맞게 다수의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을 사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의 종류는, 거푸집을 구성하는 패널의 재질에 따라 구별될 수 있으며, 목재로 제작되는 목재 거푸집 패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갱폼, 목재와 철제로 구성되는 유로폼 및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알폼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 패널들 중에서 목재 거푸집은 내구성이 약하여 사용횟수가 한정되며 나아가 그 무게가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금속재 거푸집은 내구성은 좋으나 가격이 고가이며, 특히 설치 및 해체 시 발생하는 망치 및 패널간 부딪치는 소음 등으로 인하여 빈번한 민원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중량이 무거워 근로자의 근골격 손상 등의 우려가 있으며, 근로자의 노동 강도가 매우 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8117호, (2002.12.1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벼운 무게로 제작되어 이를 운반하는 근로자의 노동 강도를 경감시키고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 벽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한 구조를 가지며, 나아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결합구조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의 타설 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보다 손쉬운 방식으로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모듈식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제1 단위벽체모듈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마련되되 기립 배치되는 제1 벽체모듈과, 다수의 제2 단위벽체모듈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마련되되 상기 제1 벽체모듈과 상호 대향되게 기립 배치되어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지지하는 기립 지지면부를 제공하는 제2 벽체모듈과, 상기 다수의 제1 단위벽체모듈을 상호 결합시켜 상기 제1 벽체모듈로 조립하는 제1 벽체 조립모듈과, 상기 다수의 제2 단위벽체모듈을 상호 결합시켜 상기 제2 벽체모듈로 조립하는 제2 벽체 조립모듈을 구비하는 거푸집 벽체유닛; 및 상기 제1 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벽체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벽체모듈과 상기 제2 벽체모듈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며 상호 고정시키는 벽체 이격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벽체 조립모듈 및 제2 벽체 조립모듈 각각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에 각각 마련되되 상호 연통되는 한 쌍의 결합공에 관통 배치되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을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각각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지지하는 기립 지지면부를 제공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프레임을 형성하는 골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각각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합성수지 등의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골격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벌집 구조에 의해 상기 바디부의 휨을 방지하는 휨방지 벌집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각각은, 상기 골격부가, 중앙 영역에 마련되되 홀 구조에 의해 상기 골격부의 휨을 방지하는 휨방지 홀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격부에는 상기 결합공이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 벽체 조립모듈 및 상기 제2 벽체 조립모듈 각각은, 상기 골격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공 중에서 선택된 인접한 한 쌍의 결합공에 동시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끼움결합봉; 상기 한 쌍의 끼움결합봉이 동시에 끼움결합되는 인접한 한 쌍의 결합공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며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끼움결합봉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작업자에게 그립영역을 제공하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끼움결합봉은 타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벽체 조립모듈 및 상기 제2 벽체 조립모듈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끼움결합봉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끼움결합봉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끼움결합봉이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회전 잠금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 이격고정유닛은,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각각의 상기 골격부 측면에 마련되는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시키는 이격거리 조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 조절모듈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너트; 및 일측은 상기 센터 너트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제1 나사결합봉 및 제2 나사결합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 조절모듈은, 상기 센터 너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나사결합봉 및 상기 제2 나사결합봉이 관통배치되며,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상기 제1 나사결합봉 및 상기 제2 나사결합봉이 분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 조절모듈의 상기 제1 나사결합봉 및 상기 제2 나사결합봉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벽체모듈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을 지지하는 전도방지 보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방지 보강유닛은,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각각의 상기 골격부와 접촉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보강재; 및 상기 이격거리 조절모듈의 상기 제1 나사결합봉 및 상기 제2 나사결합봉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 보강재를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결합봉 및 상기 제2 나사결합봉 각각은,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표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사결합봉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보강재에는, 상기 나사결합봉돌출부가 관통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보강재 및 지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수직 보강재를 지지하는 전도방지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합성수지 등의 가벼운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다수의 단위벽체모듈을 조립하여 형성할 수 있는 가벼운 무게의 거푸집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운반하는 근로자의 노동 강도를 경감시키고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벽체 조립모듈과 벽체 이격고정유닛을 사용하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결합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의 타설 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보다 손쉬운 방식으로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벽체 이격고정유닛을 이용하는 전도방지 보강유닛을 마련함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인 결합구조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 등의 타설 시 콘크리트 벽체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식 거푸집을 조립하는 과정을 차례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듈식 거푸집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모듈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1 벽체 조립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벽체 이격고정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벽체 이격고정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식 거푸집을 조립하는 과정을 차례대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듈식 거푸집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모듈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1 벽체 조립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벽체 이격고정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벽체 이격고정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식 거푸집은, 거푸집 벽체유닛(100)과, 벽체 이격고정유닛(300)과, 전도방지 보강유닛(500)과, 전도방지 지지유닛(700)을 포함한다.
먼저, 거푸집 벽체유닛(100)은 상호 대향되게 기립 배치되어 콘크리트 벽체(CW, 도 6 및 도 7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벽체(CW)를 지지하는 기립 지지면부(F, 도 1 참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제1 벽체모듈(110)과, 제1 벽체 조립모듈(120)과, 제2 벽체모듈(130)과, 제2 벽체 조립모듈(140)을 포함한다.
즉,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체모듈(110)과 제1 벽체 조립모듈(120)이 서로의 기립 지지면부(F)를 마주보는 상태로 서로 반대편을 향해 배치됨으로서, 한 쌍의 기립 지지면부(F) 사이에 콘크리트 벽체(CW, 도 6 및 도 7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벽체모듈(110)은 다수의 제1 단위벽체모듈(111, 도 1 참조)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마련되되 기립 배치되는 벽체이며, 제1 벽체 조립모듈(120)은 다수의 제1 단위벽체모듈(111)을 상호 결합시켜 제1 벽체모듈(110)로 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 벽체모듈(130)은 다수의 제2 단위벽체모듈(131, 도 1 참조)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마련되되 제1 벽체모듈(110)과 상호 대향되게 기립 배치되어 콘크리트 벽체(CW)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벽체(CW)를 지지하는 기립 지지면부(F)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제2 벽체 조립모듈(140)은 다수의 제2 단위벽체모듈(131)을 상호 결합시켜 제2 벽체모듈(130)로 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1에는 하나의 제1 단위벽체모듈(111)과 하나의 제2 단위벽체모듈(131)이 상호 대향되게 기립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이러한 형태에서 확장되어 다수의 제1 단위벽체모듈(111)과 다수의 제2 단위벽체모듈(131)이 각각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도 3과 같이 좌우로 연장되고, 상하로 층을 이루며 쌓이면서 도 4와 같이 높이가 연장되는 형태의 제1 벽체모듈(110)과 제2 벽체모듈(130)을 이루게 된다.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은,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 지지면부(F)가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반대편을 향해 배치되는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는 단위벽체모듈을 편의상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로 구분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단위벽체모듈(111)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위벽체모듈(111)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형으로 마련된다.
이렇게,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합성수지 등의 가벼운 무게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다수의 제1 단위벽체모듈(111)을 마련하고, 다수의 제1 단위벽체모듈(111)들을 조립하여 형성하는 가벼운 무게의 거푸집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운반하는 근로자의 노동 강도를 경감시키고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가벼운 무게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1 단위벽체모듈(111)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콘트리트 벽체(CW)를 타설할 때 아직 건조되지 않은 콘크리트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여 제1 단위벽체모듈(111)이 휘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위벽체모듈(111)은,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2)와 골격부(115)를 포함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바디부(112)는 콘크리트 벽체(CW)를 지지하는 기립 지지면부(F)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골격부(115)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벌집 구조에 의해 바디부(112)의 휨을 방지하는 휨방지 벌집구조체(113)를 포함한다.
그리고, 골격부(115)는 밭 전자(田)의 형태를 이루면서 바디부(112)의 일측으로 돌출될 정도로 바디부(11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마련되어, 프레임을 형성하여 바디부(112)의 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준다.
또한, 골격부(115)는 중앙 영역에는 마련되되 홀 구조에 의해 골격부(115)의 휨을 방지하는 휨방지 홀구조체(116)를 포함함으로써, 골격부(115) 자체가 휘는 현상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즉, 콘크리트 벽체(CW)를 지지하는 기립 지지면부(F)를 제공하는 바디부(112)는 얇은 판상형으로 제작되지만, 프레임을 형성하는 田자 형태의 골격부(115)가 1차적로 바디부(112)의 휨을 방지하게 되고, 골격부(115)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벌집 구조의 휨방지 벌집구조체(113)에 의해 2차적으로 바디부(112)의 휨을 방지하게 되며, 나아가 골격부(115)의 중앙 영역에는 마련되는 홀 구조의 휨방지 홀구조체(116)에 의해 골격부(115)의 휨도 방지하게 되므로, 비록 가벼운 무게의 재료를 이용하여 마련된 제1 단위벽체모듈(111)이라도 쉽게 휘어지지 않으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콘크리트 벽체(CW)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벽체 조립모듈(120)과 제2 벽체 조립모듈(140)을 사용하여,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들을 조립 및 해체시킬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결합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의 타설 시 제1 벽체모듈(110)과 제2 벽체모듈(130)의 설치 및 해체를 보다 손쉬운 방식으로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단위벽체모듈(111)의 골격부(115)에는 결합공(118)이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단위벽체모듈(111)의 골격부(115)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결합공(118)에 제1 벽체 조립모듈(120)을 끼움결합시키는 동작만으로 상호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벽체의 타설 시 제1 벽체모듈(110)과 제2 벽체모듈(130)의 설치 및 해체를 보다 손쉬운 방식으로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즉, 제1 벽체 조립모듈(120) 및 제2 벽체 조립모듈(140) 각각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에 각각 마련되되 상호 연통되는 한 쌍의 결합공(118)에 관통 배치되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 단위벽체모듈(111)을 나란하게 배치되면, 서로 맞닿은 측면 골격부(115)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결합공(118)이 상호 연통되게 되는데, 이렇게 상호 연통되는 한 쌍의 결합공(118)에 제1 벽체 조립모듈(120) 및 제2 벽체 조립모듈(140)의 일부분이 관통 배치됨으로서 서로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제1 벽체 조립모듈(120) 및 제2 벽체 조립모듈(140)은,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과 마찬가지로, 제1 벽체모듈(110) 및 제2 벽체모듈(130)을 각각 조립하기 위한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는 벽체 조립모듈을 편의상 제1 벽체 조립모듈(120) 및 제2 벽체 조립모듈(140)로 구분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벽체 조립모듈(12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체 조립모듈(120)은 끼움결합봉(121)과, 몸체부(123)와, 그립부(125)와, 회전 잠금헤드(127)를 포함한다.
끼움결합봉(121)은 골격부(115)에 상호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공(118) 중에서 선택된 인접한 한 쌍의 결합공(118)에 동시에 끼움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렇게 한 쌍으로 마련됨으로써, 하나의 제1 벽체 조립모듈(120)을 두 개의 결합공(118)에 동시에 끼움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 및 해체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한 쌍의 끼움결합봉(121)을 고정시키는 몸체부(123)에 의해 두 개의 결합공(118) 사이에서 골격부(115)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공(118)은 타원형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결합공(118)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봉(121)은 동일한 형태의 타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몸체부(123)는 한 쌍의 끼움결합봉(121)이 동시에 끼움결합되는 인접한 한 쌍의 결합공(118)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며 결합되는 장소이다.
그립부(125)는 몸체부(123)의 중앙 영역에서 한 쌍의 끼움결합봉(121)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작업자에게 그립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 잠금헤드(127)는 한 쌍의 끼움결합봉(12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끼움결합봉(121)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회전 동작에 의해 한 쌍의 끼움결합봉(121)이 결합공(118)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제1 벽체 조립모듈(1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상태는 제1 벽체 조립모듈(120)이 결합공(118)에 끼움결합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 잠금헤드(127)가 끼움결합봉(121)의 단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회전되어 잠겨진 상태이다.
이와 달리 회전 잠금헤드(127)가 끼움결합봉(121)의 단부와 일치된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는, 회전 잠금헤드(127)와 끼움결합봉(121)이 차례로 골격부(115)의 결합공(118)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제1 벽체 조립모듈(120)의 끼움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제1 벽체 조립모듈(120)은 회전 잠금헤드(127)가 끼움결합봉(121)의 단부와 일치된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골격부(115)의 결합공(118)에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조립되며, 이후에 회전 잠금헤드(127)를 직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8과 같은 잠금상태가 되어 제1 벽체 조립모듈(120)이 골격부(115)의 결합공(118)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벽체 이격고정유닛(300)은 제1 벽체모듈(110) 및 제2 벽체모듈(130)에 결합되어 제1 벽체모듈(110)과 제2 벽체모듈(1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며 상호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벽체 이격고정유닛(300)은, 도 9 및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10)와, 이격거리 조절모듈(330)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0)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 각각의 골격부(115) 측면에 마련되는 끼움홈(117)에 끼움결합되며,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1 단위벽체모듈(111)과 제2 단위벽체모듈(131)에 각각 하나씩 끼움결합된다.
이격거리 조절모듈(330)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 사이에 결합되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격거리 조절모듈(330)은 센터 너트(331)와,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과, 제1 실린더(337) 및 제2 실린더(338)를 포함한다.
센터 너트(331)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은 일측이 센터 너트(331)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은,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을 향해 각각 돌출되도록 센터 너트(331)에 결합되는,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는 나사결합봉을 편의상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으로 구분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나사결합봉(332)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나사결합봉(332)은, 도 9 및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형 나사결합봉(332a)과 마감형 나사결합봉(332b)을 포함하며, 돌출형 나사결합봉(332a)을 포함함으로써 돌출형 벽체 이격고정유닛(300)이 마련되고, 마감형 나사결합봉(332b)을 포함함으로써 마감형 벽체 이격고정유닛(300')이 마련될 수 있다.
돌출형 나사결합봉(332a)은 일단부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의 표면을 관통하여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사결합봉돌출부(33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형 나사결합봉(332a)을 포함하는 돌출형 벽체 이격고정유닛(300)이 제1 단위벽체모듈(111)의 좌우 측면에 위치한 골격부(115)에 결합되고, 마감형 나사결합봉(332b)을 포함하는 마감형 벽체 이격고정유닛(300')이 제1 단위벽체모듈(111)의 상하에 위치한 골격부(1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인접한 한 쌍의 제1 단위벽체모듈(111)의 좌우 측면에 위치한 한 쌍의 골격부(115)가 맞닿은 상태에서, 돌출되는 나사결합봉돌출부(335)를 이용하여 후술할 전도방지 보강유닛(500)을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인 결합구조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 등의 타설 시 콘크리트 벽체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실린더(337) 및 제2 실린더(338)는 센터 너트(331)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이 관통배치되며,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CW)로부터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이 분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이격거리 조절모듈(330)의 설정 및 역할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 각각의 골격부(115) 측면에 마련되는 끼움홈(117)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가 정해지므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설정은,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거리 조절모듈(33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이 센터 너트(331)에 결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가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결합에 의해 회전하며 이동시킴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실린더(337) 및 제2 실린더(338)를 원하는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맞춰서 마련하고, 여기에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이 관통배치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가 결합된다.
제1 실린더(337) 및 제2 실린더(338)를 마련함으로써,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이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벽체가 건조된 이후에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을 센터 너트(331)로부터 분리시키면서 콘크리트 벽체의 내부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도방지 보강유닛(500)은 이격거리 조절모듈(330)의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에 결합되어 제1 벽체모듈(110) 및 제2 벽체모듈(130)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도방지 보강유닛(500)은 수직 보강재(510)와, 고정헤드(530)를 포함한다.
수직 보강재(510)는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 각각의 골격부(115)와 접촉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어 제1 벽체모듈(110) 및 제2 벽체모듈(130)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직 보강재(510)에는 전술한 나사결합봉돌출부(335)가 관통배치되는 관통공(511)이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봉돌출부(335)를 이용하여 수직 보강재(510)를 골격부(115)에 접촉 배치한 상태로 고정헤드(530)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하고 효율적인 결합구조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 등의 타설 시 콘크리트 벽체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헤드(530)는 이격거리 조절모듈(330)의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에 나사결합되어 수직 보강재(510)를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도방지 지지유닛(700)은 수직 보강재(510) 및 지반에 각각 연결되어, 수직 보강재(5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도방지 지지유닛(700)은, 도 4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방지 지지유닛(700)은 수직 보강재(510)에 결합되는 수직 보강재 결합부(710)와, 지반에 결합되는 지반 결합부(720)와, 제1 지지봉(730) 및 제2 지지봉(740)을 포함하는 구조로 마련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 벽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전도방지 지지유닛(700)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모듈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트리트 벽체(CW)를 타설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식 거푸집을 조립하는 과정을 차례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단계는,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은,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 지지면부(F)가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반대편을 향해 배치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단계는, 타설을 원하는 콘트리트 벽체(CW)의 두께를 설정하기 위하여, 제1 벽체모듈(110) 및 제2 벽체모듈(130)에 결합되어 제1 벽체모듈(110)과 제2 벽체모듈(1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며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벽체 이격고정유닛(300)을 제1 단위벽체모듈(111)과 제2 단위벽체모듈(131)에 각각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벽체 이격고정유닛(300)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 사이에 결합되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이격거리 조절모듈(330)의 결합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절된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0)를 골격부(115)의 끼움홈(117)에 간단하게 끼우는 동작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단계는, 제1 단위벽체모듈(111)과 제2 단위벽체모듈(131)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타설을 원하는 콘트리트 벽체(CW)의 크기에 맞게 제1 벽체모듈(110)과 제2 벽체모듈(130)을 확장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이격거리를 유지되도록 고정된 제1 단위벽체모듈(111)과 제2 단위벽체모듈(131) 각각의 좌우 측면 및 상부에 새로운 제1 단위벽체모듈(111)과 제2 단위벽체모듈(131)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골격부(115)의 결합공(118)을 통해 제1 벽체 조립모듈(120) 및 제2 벽체 조립모듈(140)의 끼움결합봉이 끼움결합되어 단단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벽체 조립모듈(120) 및 제2 벽체 조립모듈(140) 각각의 사이에는 다수의 벽체 이격고정유닛(300, 300')이 결합되면서, 확장되는 제1 벽체모듈(110)과 제2 벽체모듈(130) 사이의 이격거리를 동일하게 유지시켜 준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단계는, 확장이 완료된 제1 벽체모듈(110)과 제2 벽체모듈(130)에 전도방지 보강유닛(500)과 전도방지 지지유닛(700)이 결합되어 제1 벽체모듈(110)과 제2 벽체모듈(130)이 콘트리트 벽체(CW)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해 주는 단계이다.
이 때, 돌출형 벽체 이격고정유닛(300)의 나사결합봉돌출부(335)가 수직 보강재(510)의 관통공(511)에 관통배치되도록, 수직 보강재(510)가 골격부(115)와 접촉한 상태로 상호 이격 배치되며, 고정헤드(530)가 나사결합봉돌출부(335)에 나사결합되어 수직 보강재(510)를 제1 단위벽체모듈(111) 및 제2 단위벽체모듈(131)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제1 벽체모듈(110) 및 제2 벽체모듈(130)을 지지하여 보강하면서 모듈식 거푸집의 조립이 완성된다.
도 6 및 도 7은 조립이 완료된 모듈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모듈식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건조되면, 콘크리트 벽체(CW)가 형성된다.
이후에, 전술한 모듈식 거푸집의 조립순서와 역순으로 해체 작업이 진행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CW)만 남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거푸집을 이용하는 경우에, 제1 나사결합봉(332) 및 제2 나사결합봉(333)은 콘크리트 벽체(CW)의 내부에서 쉽세 제거되지만, 센터 너트(331)와, 제1 실린더(337) 및 제2 실린더(338)는 콘크리트 벽체(CW)의 내부에 남게 되면서 홀(H)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홀(H)은 필요에 따라 메우거나 철근을 심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합성수지 등의 가벼운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다수의 단위벽체모듈을 조립하여 형성할 수 있는 가벼운 무게의 거푸집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운반하는 근로자의 노동 강도를 경감시키고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벽체 조립모듈과 벽체 이격고정유닛을 사용하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결합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의 타설 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보다 손쉬운 방식으로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벽체 이격고정유닛을 이용하는 전도방지 보강유닛을 마련함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인 결합구조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 등의 타설 시 콘크리트 벽체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W: 콘크리트 벽체 F: 기립 지지면부
100: 거푸집 벽체유닛 110: 제1 벽체모듈
111: 제1 단위벽체모듈 112: 바디부
113: 휨방지 벌집구조체 115: 골격부
116: 휨방지 홀구조체 117: 끼움홈
118: 결합공 120: 제1 벽체 조립모듈
121: 끼움결합봉 123: 몸체부
125: 그립부 127: 회전 잠금헤드
130: 제2 벽체모듈 140: 제2 벽체 조립모듈
300: 벽체 이격고정유닛 310: 지지 플레이트
330: 이격거리 조절모듈 500: 전도방지 보강유닛
510: 수직 보강재 530: 고정헤드

Claims (14)

  1. 다수의 제1 단위벽체모듈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마련되되 기립 배치되는 제1 벽체모듈과, 다수의 제2 단위벽체모듈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마련되되 상기 제1 벽체모듈과 상호 대향되게 기립 배치되어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지지하는 기립 지지면부를 제공하는 제2 벽체모듈과, 상기 다수의 제1 단위벽체모듈을 상호 결합시켜 상기 제1 벽체모듈로 조립하는 제1 벽체 조립모듈과, 상기 다수의 제2 단위벽체모듈을 상호 결합시켜 상기 제2 벽체모듈로 조립하는 제2 벽체 조립모듈을 구비하는 거푸집 벽체유닛; 및
    상기 제1 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벽체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벽체모듈과 상기 제2 벽체모듈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며 상호 고정시키는 벽체 이격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체 조립모듈 및 제2 벽체 조립모듈 각각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에 각각 마련되되 상호 연통되는 한 쌍의 결합공에 관통 배치되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각각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지지하는 기립 지지면부를 제공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프레임을 형성하는 골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각각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합성수지 등의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골격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벌집 구조에 의해 상기 바디부의 휨을 방지하는 휨방지 벌집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각각은,
    상기 골격부가, 중앙 영역에 마련되되 홀 구조에 의해 상기 골격부의 휨을 방지하는 휨방지 홀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에는 상기 결합공이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 벽체 조립모듈 및 상기 제2 벽체 조립모듈 각각은,
    상기 골격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공 중에서 선택된 인접한 한 쌍의 결합공에 동시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끼움결합봉;
    상기 한 쌍의 끼움결합봉이 동시에 끼움결합되는 인접한 한 쌍의 결합공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며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끼움결합봉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작업자에게 그립영역을 제공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끼움결합봉은 타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벽체 조립모듈 및 상기 제2 벽체 조립모듈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끼움결합봉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끼움결합봉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끼움결합봉이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회전 잠금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이격고정유닛은,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각각의 상기 골격부 측면에 마련되는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시키는 이격거리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거리 조절모듈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너트; 및
    일측은 상기 센터 너트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제1 나사결합봉 및 제2 나사결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거리 조절모듈은,
    상기 센터 너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나사결합봉 및 상기 제2 나사결합봉이 관통배치되며,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상기 제1 나사결합봉 및 상기 제2 나사결합봉이 분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거리 조절모듈의 상기 제1 나사결합봉 및 상기 제2 나사결합봉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벽체모듈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을 지지하는 전도방지 보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방지 보강유닛은,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각각의 상기 골격부와 접촉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보강재; 및
    상기 이격거리 조절모듈의 상기 제1 나사결합봉 및 상기 제2 나사결합봉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 보강재를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결합봉 및 상기 제2 나사결합봉 각각은,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표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위벽체모듈 및 상기 제2 단위벽체모듈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사결합봉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보강재에는, 상기 나사결합봉돌출부가 관통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보강재 및 지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수직 보강재를 지지하는 전도방지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거푸집.
KR1020210107124A 2021-08-13 2021-08-13 모듈식 거푸집 KR20230025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24A KR20230025082A (ko) 2021-08-13 2021-08-13 모듈식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24A KR20230025082A (ko) 2021-08-13 2021-08-13 모듈식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082A true KR20230025082A (ko) 2023-02-21

Family

ID=8532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24A KR20230025082A (ko) 2021-08-13 2021-08-13 모듈식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50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117Y1 (ko) 2002-09-19 2002-12-12 이광국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117Y1 (ko) 2002-09-19 2002-12-12 이광국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6922A (en) Wall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 wall of hardenable material
KR102038061B1 (ko)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US6419204B1 (en) Outside conversion corner for form work
US20020195536A1 (en) Conversion corner chamfer for form work
US8790109B1 (en) Pre-cast concrete wall system
CZ279361B6 (cs) Bednicí panel
KR20180037977A (ko) 지보부재,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20130087922A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24652B1 (ko) 허니콤부재를 이용한 토건용 거푸집 패널
JP7325835B2 (ja) 建築システム
KR101310844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GB2216584A (en) Assembly of surfaces for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injection moulds
KR20230025082A (ko) 모듈식 거푸집
KR200311206Y1 (ko) 분해조립형 컨테이너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102255700B1 (ko)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KR102120426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KR20180012535A (ko) 각도조절용 타이
CN112727083A (zh) 一种预留洞口的支模方法
KR102242175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제조 금형
JP7365518B1 (ja) パネル支柱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枠構造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KR950008099B1 (ko) 플라스틱 거푸집 시공장치
JPH0711183B2 (ja) コンクリートの型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