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764A -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 Google Patents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764A
KR20230024764A KR1020210106911A KR20210106911A KR20230024764A KR 20230024764 A KR20230024764 A KR 20230024764A KR 1020210106911 A KR1020210106911 A KR 1020210106911A KR 20210106911 A KR20210106911 A KR 20210106911A KR 20230024764 A KR20230024764 A KR 20230024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lter
exhaust control
lower plate
ventilation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011B1 (ko
Inventor
성경선
심기훈
호종범
Original Assignee
성경선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경선,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성경선
Priority to KR1020210106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0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환기 디퓨저에 정착되어서 환기 디퓨저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필터가 마련되고, 환기 디퓨저의 본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후 실내로 공급되게 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으로,
본체에 체결되는 소정 길이의 체결봉이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상부를 차단하는 필터; 및
상기 체결봉에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봉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내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판의 테두리를 가압하여서 상기 필터를 하부판의 상부에 고정하는 상부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Exhaust control plate for ventilation diffuser}
본 발명은 환기 디퓨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배기조절판으로, 특히 내부에 필터가 마련되고, 환기 디퓨저의 본체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필터로 정화한 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하여 냉,난방용 공기나 외기를 직접 실내에 투입하기도 하지만, 공기조화기를 별도의 공조실에 설치하고, 냉,난방용 공기나 외부로부터 흡입(이하, 이를 단순히 "공조"라고도 함)한 공기를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덕트를 통하여 실내의 각 룸에 투입하기도 한다. 특히, 대형병원, 대형 실험실, 대형 공장, 대형 빌딩 등 업무용 건물에 있어서는 대용량의 공기조화기로부터 여러 룸에 사용할 공기를 공조한 후 이를 덕트를 통하여 실내에 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덕트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덕트의 실내측 말단에는 덕트보다 단면적을 확대하여 공기를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켜 주기 위한 환기 디퓨저(diffuser)가 연결된다.
상기 환기 디퓨저는 건물 실내의 천장 또는 벽체에 설치되고, 냉,난방용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거나 건물 내외부의 공기를 자연스럽게 환기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환기 디퓨저의 하부에는 환기 디퓨저 본체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배기조절판이 장착된다.
공기조화기나 에어컨 또는 히터에 의해 냉각되거나 가열되는 공기는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이거나, 실내 공기에 일부 외부 공기를 혼합한 공기이고, 환기장치에서 공급하는 공기는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 중에는 열교환기, 히터, 필터, 팬, 덕트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세균뿐만 아니라, 외부 공기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초)미세먼지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와 세균이 포함된 공기가 실내에 투입되면, 호흡기 질환, 피부 질환 등 각종 인체 질환을 일으키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 특히 병원이나 실험실 등에서는 이러한 미세먼지와 세균이 포함된 공기가 실내에 투입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으므로, 공기가 실내에 투입되기 전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세균을 확실히 필터링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물 실내에 대형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거나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구비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자 실내의 각 룸마다 공기청정기를 설치할 경우, 각각의 룸에 설치될 다수의 공기청정기를 새로이 구매해야하고, 이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28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88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환기 디퓨저의 배기조절판에 필터가 마련되고, 외부 공기가 환기 디퓨저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때,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각종 오염물질을 필터에 의해 필터링한 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을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배기조절판이 상부판와 하부판로 분리/결합하고, 배기조절판의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필터가 마련되며, 상부판과 하부판의 결합 시 상부판의 가압에 의해 필터가 배기조절판 내부에 고정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은, 환기 디퓨저의 본체 하측에 배치되고, 본체 내부의 고정구에 체결봉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본체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배기조절판;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이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상부를 차단하는 필터; 및
상기 체결봉에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봉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내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판의 테두리를 가압하여서 상기 필터를 하부판의 상부에 고정하는 상부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결봉이 상기 하부판의 테두리 또는 안착부에서 하부판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대에 의해 상기 하부판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판은 상기 하부판의 지지대에 대응하는 살대가 상기 통기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안착하고, 상기 살대와 지지대가 상,하로 적층되어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판은,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소정 높이의 가드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되고, 테두리에는 상기 가드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링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봉이 상기 안착부의 내주연에 연결되는 지지대에 의해 내측에 고정되는 필터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배기조절판은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분리되고, 내부에 필터가 마련되며, 상기 필터가 상부판과 하부판의 결합에 의해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배기조절판의 내부에 필터를 고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기조절판은 상부판과 하부판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필터의 분리 및 교체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기 디퓨저의 본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본 발명의 배기조절판의 필터를 통해 필터링됨으로써, 실내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필터가 배기조절판의 상부판 살대와 하부판의 지지대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상부판의 제1 평판부와 하부판의 제2 평판부에 의해서도 쉽게 고정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분해도 및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상부판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및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하부판 분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분해도 및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상부판 개략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및 개략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의 하부판 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건물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환기 디퓨저에 장착되는 것으로, 덕트와 연결되는 환기 디퓨저에서 배출되거나 실내에서 환기 디퓨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배기조절판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디퓨저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천장에 설치되며, 상부에 덕트가 연결되는 본체(1); 및 상기 본체(1)의 하측에 배치되고, 체결봉(22d)이 상기 고정구(2a)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본체(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배기조절판(1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는, 관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덕트와 연결되는 흡기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흡기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가 형성되고, 배기부의 외측에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는,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을 차단하면서 플랜지부에 결합하고, 내부에 고정구(2a)가 형성되는 링 형상의 고정판(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2)은 천장에 체결되는 본체(1)의 하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배기조절판(100)의 체결을 위한 고정구(2a) 또는 고정수단이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2a)는, 링 또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고정대(2b)에 의해 고정판(2) 내부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배기조절판(100)의 체결봉(22d)이 나사방식으로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고정구(2a)는 본체(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기조절판(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배기부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배기부의 하측에서 체결봉(22d)이 상기 고정구(2a)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1) 하부의 배기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며, 이로 인해 상기 본체(1)에서 실내로 공급되거나 실내에서 본체(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조절판(100)은, 소정 길이의 체결봉(22d)이 형성되고, 바닥면 및/또는 측면에 다수의 통공(21a)이 형성되는 하부판(20); 상기 체결봉(22d)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공(13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봉(22d)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내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11)와 상기 통기부(11) 사이에 형성되는 살대(12)를 갖는 상부판(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 사이에는 필터(30)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조절판(100)은, 상부판(10)과 하부판(20)이 체결봉(22d)과 체결공(13a)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부에는 상부판(10)과 하부판(20) 사이에 필터(30)가 구비되며, 상부판(10)이 체결공(13a)을 따라 하강하여 상부판(10)의 하부가 하부판(20)의 테두리를 가압함으로써, 필터(30)가 가압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판(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갓, 나팔, 혼(horn), 꼬깔 또는 마름모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소정 반경의 제1 평판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평판부(13)의 내측에는 체결봉(22d)이 체결되는 체결공(13a)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소정 면적으로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11)가 제1 평판부(13)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기부(11) 사이에는 살대(12)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평판 형태의 밀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10)은, 체결공(13a)과 하부판(20)의 체결봉(22d)이 나사결합방식의 체결에 의해 상기 하부판(20)과 결합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체결봉(22d)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체결봉(22d)과 체결공(13a)은 나사결합방식 외에 억지끼움방식 또는 기어결합형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봉(22d)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탄성에 의해 돌출되는 탄성돌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공(13a)의 내주연에는 상기 탄성돌기부에 대응하는 체결홈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판(20)은, 판 형태으로 형성되고, 테두리에는 소정 높이의 안착부(22a)가 소정 폭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21a)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상부판(10)의 체결공(13a)과 본체(1)의 고정구(2a)에 체결되는 체결봉(22d)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봉(22d)은 하부판(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판(20)의 바닥면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착부(22a)에서 하부판(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2b)에 의해 하부판(20)의 중앙부에는 고정될 수 있으며,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후술할 고정핀(22f)이 삽입되는 중공홈(22e)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봉(22d)은, 본체(1)의 고정구(2a)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구(2a)에 체결되기 전, 상기 상부판(10)의 체결공(13a)에 먼저 체결된다. 즉, 상기 체결봉(22d)은 상부판(10)의 체결공(13a)에 체결되어 상부판(10)과 하부판(20)이 결합한 후, 본체(1)의 고정구(2a)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핀(22f)은, 소정 길이의 몸체부가 체결봉(22d)의 상면에 형성되는 중공홈(22e)에 억지끼움 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하고,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머리부는 체결봉(22d)의 외경 또는 고정구(2a)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봉(22d)이 본체(1)의 고정구(2a)에 체결된 후 고정구(2a)의 상측에서 중공홈(22e)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체결봉(22d)이 고정구(2a)에서 분리되어 배기조절판(100)이 본체(1)에서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22f)은 상기 상부판(10)이 체결봉(22d)을 따라 상승하다가 체결봉(22d)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판(10)과 하부판이 분리된 상태에서, 필터(30)로 상기 하부판(20)의 상부를 차단하고, 필터(30)의 테두리가 상기 하부판(20)의 테두리 또는 안착부(22a)에 지지되며, 이후 상부판(10)의 체결공(13a)에 체결봉(22d)을 체결하여 상부판(10)과 하부판(20)을 결합하고, 상부판(10)이 체결봉(22d)을 따라 하강하다가 상기 상부판(10)의 하부가 상기 필터(30)와 하부판(20)의 테두리 또는 안착부(22a)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필터(30)가 상부판(10)과 하부판(20)의 사이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판(10)은, 하부의 반경이 하부판(20)의 안착부(22a)의 외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하부가 상기 안착부(22a)를 가압하거나 안착부(22a) 내측의 상기 하부판(20)의 바닥면을 가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20)은, 테두리에 소정 높이의 가드부(21b)가 형성되고, 상기 가드부(21b)에서 하부판(20)의 내측으로 소정 폭을 갖는 링 형태의 안착부(22a)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봉(22d)은 상기 안착부(22a)의 내주연에서 하부판(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22b)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10)은 하부의 반경이 상기 안착부(22a)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안착부(22a)를 가압한다.
상기 지지대(22b)는, 안착부(22a)와 체결봉(22d)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봉(22d)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판(20)의 안착부(22a)에 필터(30)의 테두리가 안착 및 지지되고, 상기 상부판(10)이 회전에 의해 체결봉(22d)을 따라 하강하다가 필터(30)와 안착부(22a)를 가압하여, 이로 인해 상기 필터(30)가 하부판(2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기조절판(100)은, 상부판(10)과 하부판(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판(20)의 상부가 필터(30)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상부판(10)이 체결봉(22d)을 따라 하부판(20)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필터(30) 및 하부판(20)의 안착부(22a)를 가압하고, 이로 인해 안착부(22a)에 안착한 상기 필터(30)의 테두리가 상기 상부판(1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필터(30)가 배기조절판(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환기 디퓨저의 본체(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부판(10)의 통기부(11)를 통해 배기조절판(1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배기조절판(100)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30)에 의해 정화된 후 상기 하부판(20)의 통공(21a)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실내의 공기가 하부판(20)의 통공(21a)을 통해 배기조절판(1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실내 공기가 필터(30)를 통과하여 정화되며, 이후 상부판(10)의 통기부(11)를 통해 본체(1)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기조절판(100)의 상부판(10)에 형성되는 통기부(11)에도 필터(30)를 마련하여, 상기 통기부(11)로 유입 또는 배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필터(30)의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필터(30)는 상부판(10)의 하부 외경에 대응하는 반경으로 형성거나 조금 큰 반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필터(30)의 중앙부에는 체결봉(22d)이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32) 또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판(20)의 지지대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꼬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절개부(32)에서 테두리까지 직선의 절단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필터(30)를 꼬깔 형태로 쉽게 형성되고, 절단부에 의해 벌어진 필터(30)의 양측 단부를 중첩시키고, 중첩된 필터(30)의 양측 단부를 어느 하나의 지지대(22b)의 상부에 배치한 후, 상부판(10)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부판(10)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통기부(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통기부(11)는 다양한 형상 및/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30)는 하부판(20)의 지지대(22b)의 상부에 안착 및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상부판(10)이 체결봉(22d)을 따라 하강하여 하부판(20)을 가압할 때, 상기 상부판(10)의 살대(12)가 상기 지지대(22b)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하로 중첩되는 상기 살대(12)와 지지대(22b)에 의해서 상기 필터(30)가 상기 상부판(10)과 하부판(2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대(12)의 가로 폭(D2)은 상기 지지대(22b)의 가로 폭(D1)보다 조금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지지대(22b)의 가로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살대(12) 또는 지지대(22b) 중 어느 하나의 폭을 더 크게 형성해줌으로써, 살대(12)와 지지대(22b)가 상,하로 쉽게 중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지지대(22b)의 가로 폭(D1)이 살대(12)의 가로 폭(D2)보다 더 크게 형성될 경우에는 살대(12)가 지지대(22b)의 상부에 쉽게 적층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10)의 하면에는 상기 안착부(22a)에 밀착할 수 있는 밀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밀팍부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밀착부(14)의 내측으로 경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14)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하부판(20)의 안착부(22a)에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판(10)이 하부판(20)를 가압하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결합 시, 상기 살대(12)와 지지대(22b)가 상,하로 중첩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판(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에는 소정 높이의 가드부(21b)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통공(21a)이 형성되는 베이스부(21); 및 상기 베이스부(21)에 삽입되고, 테두리에는 상기 가드부(21b)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링 형태의 안착부(22a)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봉(22d)이 상기 안착부(22a)의 내주연에 연결되는 지지대(22b)에 의해 내측에 고정되는 필터 지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21)와 필터 지지부(22)는 억지끼움방식, 나사결합방식 또는 접착수단 등에 의해 상호 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지지부(22)는, 상부판(10)의 제1 평판부(13)에 대응하는 제2 평판부(22c)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평판부(22c)의 내측에 체결봉(22d)이 형성되며, 제2 평판부(22c)의 외주연에는 상기 지지대(22b)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30)는, 상기 상부판(10)이 체결봉(22d)을 따라 하강 시, 상기 제1 평판부(13)가 제2 평판부(22c)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부판(10)와 하부판(2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100)은, 상부판(10)과 하부판(20)으로 분리/결합하고, 상부판(10)과 하부판(20)의 사이에 필터(30)가 마련되며, 상기 필터(30)를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상부판(10)과 하부판(20)의 결합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필터(30)의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본체 2 : 고정판
10 : 상판부 11 : 통기부
12 : 살대 13 : 제1 평판부
13a : 체결공 14 : 밀착부
20 : 하부판 21 : 베이스부
21a : 통공 21b : 가드부
22 : 필터 지지부 22a : 안착부
22b : 지지대 22c : 제2 평판부
22d : 체결봉 22e : 중공홈
22f : 고정핀 30 : 필터
100 : 배기조절판

Claims (9)

  1. 환기 디퓨저의 본체(1)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구(2a)에 체결봉(22a)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본체(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100)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22d)이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21a)이 형성되는 하부판(20);
    상기 하부판(20)의 상부를 차단하는 필터(30); 및
    상기 체결봉(22d)에 체결되는 체결공(13a)이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봉(22d)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판(20)의 테두리를 가압하여서 상기 필터(30)를 하부판(20)의 상부에 고정하는 상부판(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20)의 테두리에는 안착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30)의 테두리가 상기 안착부(22a)에 안착하며,
    상기 상부판(10)의 하부 반경은 상기 안착부(22a)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10)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22a)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3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22d)은 상기 하부판(20)의 테두리에서 하부판(2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대(22b)에 의해 상기 하부판(20)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판(10)의 통기부(11) 사이에는 상기 하부판(20)의 지지대(22b)에 대응하는 살대(12)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30)는, 상기 지지대(22b)의 상부에 안착하고,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살대(12)와 지지대(22b)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2b)는 가로 폭이 상기 살대(12)의 가로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20)은,
    테두리에 소정 높이의 가드부(21b)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상기 통공(21a)이 형성되는 베이스부(21); 및
    상기 베이스부(21)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테두리에는 상기 가드부(21b)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링 형태의 안착부(22a)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2a)에 연결되는 지지대(22d)에 의해 상기 체결봉(22d)이 안착부(22a)의 내측에 고정되는 필터 지지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결봉(22d)의 상부에 형성되는 중공홈(22e); 및
    상기 중공홈(22e)에 결합하고, 중공홈(22e)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머리부가 본체(1)의 고정구(2a) 또는 상부판(10)의 체결공(13a)보다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는 고정핀(22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판(10)의 상부에 소정 반경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체결공(13a)이 형성되는 제1 평판부(13); 및
    상기 제1 평판부(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체결봉(22d)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지지대(22b)가 연결되는 제2 평판부(2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8. 제5항에 있어서,
    상부판(10)의 하부 반경은 안착부(22a)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10)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22a)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부판(10)의 하부에는 하부판(20)의 테두리 또는 하부판(20)에 형성되는 안착부(22a)에 밀착하는 밀착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구비되는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KR1020210106911A 2021-08-12 2021-08-12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KR102589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911A KR102589011B1 (ko) 2021-08-12 2021-08-12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911A KR102589011B1 (ko) 2021-08-12 2021-08-12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64A true KR20230024764A (ko) 2023-02-21
KR102589011B1 KR102589011B1 (ko) 2023-10-12

Family

ID=8532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911A KR102589011B1 (ko) 2021-08-12 2021-08-12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569B1 (ko) * 2023-07-03 2024-05-03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환기유도 덕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120Y1 (ko) * 2005-11-02 2006-01-20 주식회사 진도리빙텍 디퓨저
KR100978862B1 (ko) 2010-04-29 2010-09-02 최진규 가변형 코어를 갖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KR20110108937A (ko) * 2010-03-30 2011-10-06 장동식 자동 개폐식 디퓨저
KR20130092894A (ko) 2012-02-13 2013-08-21 유원엔지니어링(주) 변풍량 디퓨저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공기조화 온도제어 시스템
KR101595499B1 (ko) * 2014-11-28 2016-02-18 (주)영진이앤씨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200125269A (ko) * 2019-04-26 2020-11-04 성경선 필터가 구비되는 환기 디퓨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120Y1 (ko) * 2005-11-02 2006-01-20 주식회사 진도리빙텍 디퓨저
KR20110108937A (ko) * 2010-03-30 2011-10-06 장동식 자동 개폐식 디퓨저
KR100978862B1 (ko) 2010-04-29 2010-09-02 최진규 가변형 코어를 갖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KR20130092894A (ko) 2012-02-13 2013-08-21 유원엔지니어링(주) 변풍량 디퓨저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공기조화 온도제어 시스템
KR101595499B1 (ko) * 2014-11-28 2016-02-18 (주)영진이앤씨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200125269A (ko) * 2019-04-26 2020-11-04 성경선 필터가 구비되는 환기 디퓨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569B1 (ko) * 2023-07-03 2024-05-03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환기유도 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011B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82016B (zh) 个性化空气净化装置
US7497771B2 (en) Ventilating system
KR101842003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EP3317583B1 (en) Airflow-channeling surgical light system and method
KR101899141B1 (ko) 다단 흡입구를 가진 양압 공기정화살균장치
US20140273803A1 (en) Airflow diffuser with integrated light fixture
KR101296089B1 (ko) 실내 디퓨져 항균필터
KR20230024764A (ko)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KR102100221B1 (ko) 천장형 공기청정기
KR102267416B1 (ko) 필터 교환형 환기 디퓨저
KR102225287B1 (ko) 필터가 구비되는 환기 디퓨저
JP6284806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フィルタエレメント組立体、および空気清浄システム
KR101981240B1 (ko) 조명일체 천정형 공기청정기
KR20170040498A (ko) 360도 전방향 공기순환 및 밀폐성능을 구현한 공기청정기
JPH02187548A (ja) クリーン空気領域形成装置
CN208205321U (zh) 用于室内净化装置的新风系统
JP2551923Y2 (ja) クリーンルーム
JPH0612811Y2 (ja) 喫煙ユニット
KR102267418B1 (ko)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KR102381515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JPH08200787A (ja) 天井冷暖房システムの通気性天井材の構造及び通気性天井材の取り付け構造
KR102402755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KR101468603B1 (ko) 공기 조화기의 정압유지장치
US20240019139A1 (en) Air purifier and passive humidity module
CN212618760U (zh) 落地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