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568A - 차량용 레그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레그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568A
KR20230024568A KR1020210106510A KR20210106510A KR20230024568A KR 20230024568 A KR20230024568 A KR 20230024568A KR 1020210106510 A KR1020210106510 A KR 1020210106510A KR 20210106510 A KR20210106510 A KR 20210106510A KR 20230024568 A KR20230024568 A KR 20230024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ink
bracket
unit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4793B1 (ko
Inventor
김봉구
김한상
박수헌
오희택
배상화
임민진
Original Assignee
광명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명산업(주) filed Critical 광명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10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7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용 레그레스트가 제공된다. 차량의 시트 전방 하단에 장착되고, 수납 위치에서 전개 위치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받치는 패널부;와 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패널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패널부를 각도 조절 및 확장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확장플레이트와 연결되는 확장링크브라켓; 및 상기 구동부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확장링크브라켓과 연결되고, 타단은 확장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확장패널을 슬라이드 시키는 확장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그레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레그레스트{LEG-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받칠 수 있는 차량용 레그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을 이용한 캠핑 및 장거리 여행이 증가하면서, 차량에 각종 편의장치의 추가적인 장착이 증가되고 있다. 레그레스트(leg-rest)는 승객석 시트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어 시트의 편의장치 중 하나로써 장착이 이뤄지고 있다. 차량용 레그레스트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을 지지하여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용 레그레스트는 사용자가 손으로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로 전환시키는 수동식과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전개위치로 전환되는 자동식이 개발된 바 있다. 종래의 수동식과 자동식 레그레스트는 공통적으로 링크장치의 링크운동에 의해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로 전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6544호 (2014년 07월 29일자 등록)가 있다. 본 선행 기술은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구동부와 2절 링크부에 각각 배치되는 모터에 의해 레그 레스트의 틸팅 및 슬라이딩이 이뤄질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모터가 구비되어 스위치 작동에 의해 동작하는 레그레스트의 경우에는, 각도 조절 및 확장을 위한 모터가 최소한 두 개가 요구되었다. 즉, 하나의 모터가 레그레스트의 각도 조절 및 확장을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에는 링크 부재들간의 간섭이 발생되어 정상작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6544호 (2014. 07. 29.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받칠 수 있는 차량용 레그레스트에 있어서, 하나의 모터부만으로 패널부의 각도 조절 및 확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차량용 레그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시트 전방 하단에 장착되고, 수납 위치에서 전개 위치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받치는 패널부;와 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패널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패널부를 각도 조절 및 확장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확장플레이트와 연결되는 확장링크브라켓; 및 상기 구동부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확장링크브라켓과 연결되고, 타단은 확장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확장패널을 슬라이드 시키는 확장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그레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레그레스트는 한 개의 모터부만으로 패널부의 각도 조절 및 확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레그레스트는 모터부의 작동 시 제1링크브라켓과 확장링크브라켓에 동시에 동력이 전달되므로, 사용자가 한 번의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차량용 레그레스트를 조작할 수 있는 특징과 한 개의 모터부만 사용하므로 종래의 기술 대비 원가 절감에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레그레스트는 패널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확장플레이트가 메인브라켓과 베이스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어, 확장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른 타 구성들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레스트의 접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그레스트의 전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그레스트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레그레스트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그레스트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레스트의 접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그레스트의 전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레그레스트(100)는 차량의 시트 전방 하단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전개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받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레그레스트(100)는 사용자의 다리를 받칠 수 있는 패널부(110), 패널부(110)의 각도 조절 및 확장시키는 구동부(120) 및 구동부(120)와 패널부(110)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부(110)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틸팅과 동시에 확장되어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구동부(120)는 패널부(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링크부(13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링크부(130)는 패널부(110) 및 구동부(120)에 각각 연결되어, 구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패널부(110)를 틸팅 및 확장시킬 수 있다. 패널부(110), 구동부(120) 및 링크부(130)는 서로 상호 작용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그레스트의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패널부(110)는 사용자의 다리를 받칠 수 있는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패널부(110)는 차량의 시트 전방 하단에 장착되되, 필요에 따라 수납 위치에서 전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패널부(110)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확장되어 사용자의 다리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즉, 패널부(110)는 차량의 시트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부(110)는 구동부(120)와 링크부(130)가 배치되는 베이스 패널(111), 베이스 패널(111)과 이중 구조로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확장되는 확장패널(112) 및 베이스 패널(111)과 확장패널(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11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패널(111)은 시트와 동일 또는 유사한 폭을 갖는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패널(111)은 시트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고, 차량용 레그레스트(100)의 미사용 시에는 베이스 패널(111)이 시트의 하단에 접힌 상태로 수납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레그레스트(100)의 사용 시에는, 베이스 패널(111)이 시트의 전방 방향으로 틸팅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받칠 수 있다. 베이스 패널(111)은 확장패널(112)의 하측에 배치되어, 확장패널(112)이 베이스 패널(1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패널(111)의 하단에는 후술할 구동부(120) 및 링크부(130)가 배치되어, 자동으로 베이스 패널(111)의 각도 조절 및 확장패널(112)을 슬라이드 인출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패널(111)은 확장패널(112)이 슬라이드 이동 시 후술할 확장플레이트(136)의 일단 및 타단이 이동되는 공간만큼 개방되는 제1개방부(111a) 및 제2개방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개방부(111a, 111b)는 후술할 구동부(120)의 메인브라켓(121)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패널(111)의 양 측에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2개방부(111a, 111b)는 구동부(120)의 작동 시, 후술할 확장플레이트(136)가 간섭받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후술할 확장링크브라켓(135)과 제1연결부(136a)의 연결부가 배치되는 개방부를 제1개방부(111a), 제2연결부(136b)와 확장패널(112)과의 연결부가 배치되는 개방부를 제2개방부(111b)로 구분해 지칭하기로 한다.
제1개방부(111a)는 베이스 패널(111)에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개방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개방부(111a)는 확장링크브라켓(135)과 제1연결부(136a)의 핀 연결부의 이동 경로만큼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개방부(111a)는 확장링크브라켓(135)과 제1연결부(136a)의 핀 연결부가 이동 시, 베이스 패널(111)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제2개방부(111b)는 베이스 패널(111)에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개방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개방부(111b)는 제1개방부(111a)와 메인브라켓(12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개방부(111b)는 제2연결부(136b)와 확장패널(112)간의 핀 연결부의 이동 경로만큼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개방부(111b)는 제2연결부(136b)의 확장패널(112)간의 핀 연결부가 이동 시, 베이스 패널(111)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확장패널(112)은 베이스 패널(1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고, 베이스 패널(111)과 겹쳐진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패널(112)은 슬라이더(113)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 패널(1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부(110)가 수납 위치일 때, 확장패널(112)은 베이스 패널(111)과 겹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패널부(110)가 전개 위치로 전환 시, 확장패널(112)은 베이스 패널(111)을 따라 슬라이드 인출될 수 있다. 즉, 확장패널(112)은 시트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어 더 넓은 면적의 하체를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113)는 베이스 패널(111)의 상단과 확장패널(112)의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113)는 패널부(110)가 수납 위치 및 전개 위치로 전환 시 확장패널(112)이 베이스 패널(1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구동부(120)는 패널부(110)의 하단에 배치되고, 링크부(130)와 연결되어 링크부(130)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20)는 베이스 패널(111)의 하단에 배치되는 메인브라켓(121), 메인브라켓(121)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모터부(122), 모터부(122)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리드스크류(123) 및 리드스크류(123)와 연결되는 링크샤프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브라켓(121)은 양측이 절곡 형성된 판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브라켓(121)의 외주면에는 모터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브라켓(121)은 베이스 패널(111)과 중심부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메인브라켓(121)과 베이스 패널(111)과의 사이에 확장플레이트(13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브라켓(121)과 확장플레이트(136)의 사이는 확장플레이트(136)의 회동홀(136c)이 메인브라켓(121)의 일측면과 핀으로 고정될 수 있다. 확장플레이트(136)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홀(136c)은 메인브라켓(12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회동홀(136c)을 중심으로 확장플레이트(136)가 회동될 수 있다.
모터부(122)는 메인브라켓(121)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부(122)는 리드스크류(123)와 연결되어, 리드스크류(12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터부(122)는 차량 또는 시트의 일측에 배치된 스위치(미도시)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스위치(미도시) 조작으로 모터부(122)가 제어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123)는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123)는 모터부(122)와 연결되어, 모터부(122)의 작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123)는 일측에 링크샤프트(124)가 연결되어, 리드스크류(123)의 상하 이동에 따라 링크샤프트(12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링크샤프트(124)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링크샤프트(124)의 일측은 리드스크류(123)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제1링크브라켓(132)의 샤프트 연결부(132a) 및 확장링크브라켓(135)과 연결될 수 있다. 링크샤프트(124)는 모터부(122)의 작동에 따라 상승 및 하강되는 리드스크류(123)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링크샤프트(124)와 연결된 제1링크브라켓(132) 및 확장링크브라켓(135)이 링크샤프트(124)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패널부(110)를 틸팅 및 인출시킬 수 있다.
한편, 링크부(130)는 구동부(120)와 패널부(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모터부(122)에서 발생된 동력을 리드스크류(123) 및 링크샤프트(124)를 거쳐 패널부(1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링크부(130)는 베이스 패널(111)에 배치되는 베이스 브라켓(131), 베이스 브라켓(131)에 순차적으로 핀으로 연결되는 제1링크브라켓(132), 제2링크브라켓(133), 제2링크브라켓(133)과 연결되고 차량의 시트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34), 링크샤프트(124)에 연결되는 확장링크브라켓(135) 및 확장링크브라켓(135)과 확장패널(112)에 연결되는 확장플레이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131)은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브라켓(131)은 베이스 패널(1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패널(1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131)의 최상단에는 고정브라켓(134)과 연결되는 홀이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제1링크브라켓(132)과 연결되는 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브라켓(131)은 베이스 패널(111)의 양 측 가장자리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131)은 제1, 2링크브라켓(132, 133) 및 고정브라켓(134)과 순서대로 연결되어, 구동부(120)의 작동에 대응하여 베이스 패널(111)을 틸팅시킬 수 있다.
제1링크브라켓(132)은 양 끝단에 홀을 포함한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링크브라켓(132)은 베이스 브라켓(131)의 개수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1링크브라켓(132)의 일단은 베이스 브라켓(131)의 중심부에 구비된 홀과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브라켓(132)의 타단은 제2링크브라켓(133)의 일단과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브라켓(132)은 양 끝단의 홀 사이에 샤프트 연결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연결부(132a)는 링크샤프트(124)와 연결되어, 링크샤프트(124)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1링크브라켓(13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링크브라켓(132)은 링크샤프트(124)의 이동에 대응하여, 연결된 베이스 브라켓(131) 및 제2링크브라켓(133)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샤프트(124)가 상승 시, 제1링크브라켓(132)이 상측으로 밀리며, 제1링크브라켓(132)과 제2링크브라켓(133)이 이루는 각도가 완만해지고, 제1링크브라켓(132)과 베이스 브라켓(131)이 이루는 각도가 좁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링크부(130)와 연결된 패널부(110)가 상승되며, 전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제2링크브라켓(133)은 양 끝단에 홀을 포함한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링크브라켓(133)은 베이스 브라켓(131)의 개수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2링크브라켓(133)의 일단은 제1링크브라켓(132)의 일단에 구비된 홀과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링크브라켓(133)의 타단은 고정브라켓(134)의 일단과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링크브라켓(133)은 제1링크브라켓(132) 및 고정브라켓(134)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링크브라켓(13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고정브라켓(134)은 양 끝단에 홀을 포함한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34)은 베이스 브라켓(131)의 개수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고정브라켓(134)의 일단은 제2링크브라켓(133)의 일단에 구비된 홀과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34)의 타단은 차량의 시트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브라켓(134)은 차량의 시트와 연결되어 패널부(110)를 지지하고, 고정브라켓(134)과 연결된 링크부(130)의 동작에 의해 패널부(110)를 상승 및 하강되게 할 수 있다.
확장링크브라켓(135)은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링크브라켓(135)은 일단이 링크샤프트(124)와 연결되고, 타단은 확장플레이트(136)의 제1연결부(136a)와 연결될 수 있다. 확장링크브라켓(135)은 링크샤프트(124)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타단에 연결된 확장플레이트(136)의 제1연결부(136a)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확장링크브라켓(135)은 제1연결부(136a)와 핀으로 연결되어, 확장링크브라켓(135)의 상하 이동시, 확장플레이트(136)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확장플레이트(136)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플레이트(136)는 일단이 확장링크브라켓(135)과 연결되고, 타단은 확장패널(112)에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확장플레이트(136)는 메인브라켓(121)과 베이스 패널(1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 시 타 부품으로부터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확장플레이트(136)는 구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확장플레이트(136)와 연결된 확장패널(112)이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확장플레이트(136)는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136a), 제2연결부(136b) 및 중심부에 형성되는 회동홀(136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136a)는 확장플레이트(136)의 일단에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핀으로 확장링크브라켓(135)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136a)는 타원형이므로, 확장링크브라켓(135)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1연결부(136a)의 내부에서 핀의 이동이 가능하다.
제2연결부(136b)는 확장플레이트(136)의 타단에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핀으로 확장패널(11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136b)는 타원형이므로, 확장플레이트(136)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2연결부(136b)의 내부에서 핀의 이동이 가능하다.
회동홀(136c)은 확장플레이트(136)의 중심부에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홀(136c)은 내부의 핀으로 메인브라켓(121)과 연결되어, 회동홀(136c)을 축으로 확장플레이트(136)가 회동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확장링크브라켓(135)과 제1연결부(136a)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회동홀(136c)을 중심으로 확장플레이트(136)가 회동되며, 제2연결부(136b)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레그레스트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그레스트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a), (b), (c)의 작동 상태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a), (b), (c)의 작동 상태에 대응된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이상과 같은 차량용 레그레스트(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4 내지 5의 (a)는 패널부(110)가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내지 5의 (a)를 참조하면, 패널부(110)가 수납 위치에 있는 경우, 고정브라켓(134)과 베이스 브라켓(131)이 80˚ 내지 85˚각도를 형성하여, 시트의 하측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리드스크류(123)는 모터부(122)에서 최대한 인입되어, 링크샤프트(124)가 모터부(122)와 가능한 한 인접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확장플레이트(136)는 상측으로 당겨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연결부(136a)는 제1개방부(111a)의 최하측에 배치되고, 제2연결부(136b)는 제2개방부(111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확장패널(112)은 가장 상측으로 상승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5의 (b)는 패널부(110)가 수납 위치에서 전개 위치로 전환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6의 (b)를 참조하면, 패널부(110)가 130˚ 내지 140˚각도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리드스크류(123)는 모터부(122)에서 소정 정도 인출되어, 링크샤프트(124)가 모터부(122)에서 소정 정도 이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샤프트(124)와 연결된 제1링크브라켓(132)이 상측으로 밀리며, 베이스 브라켓(131)과 고정브라켓(134), 제1링크브라켓(132)과 제2링크브라켓(133)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링크샤프트(124)와 연결된 확장링크브라켓(135)이 확장플레이트(136)의 제1연결부(136a)를 상측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136a)의 타측 단부인 제2연결부(136b)는 반대로 하측으로 하강되며, 제2연결부(136b)와 연결된 확장패널(112)을 하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6의 (c)는 패널부(110)가 최대 각도로 전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6의 (c)를 참조하면, 패널부(110)가 최대 전개 위치에 있는 경우, 고정브라켓(134)과 베이스 브라켓(131)이 160˚내지 170˚각도를 형성하여, 시트의 전방 방향으로 최대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리드스크류(123)는 모터부(122)에서 최대한 상측으로 인출되어, 링크샤프트(124)가 모터부(122)와 가능한 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링크샤프트(124)와 연결된 제1링크브라켓(132)이 상측으로 가능한 한 밀리며, 베이스 브라켓(131)과 고정브라켓(134), 제1링크브라켓(132)과 제2링크브라켓(133)이 최대 각도로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링크샤프트(124)와 연결된 확장링크브라켓(135)이 확장플레이트(136)의 제1연결부(136a)를 상측으로 가능한 한 끌어올릴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136a)의 타측 단부인 제2연결부(136b)는 반대로 하측으로 최대한 하강되며, 제2연결부(136b)와 연결된 확장패널(112)을 하측으로 최대한 인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레그레스트(100)는 한 개의 모터부(122)만으로 패널부(110)의 각도 조절 및 확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구동부(120)의 링크샤프트(124)는 패널부(1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1링크브라켓(132)과 패널부(110)를 확장할 수 있는 확장링크브라켓(135)이 동시에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레그레스트(100)는 모터부(122)의 작동 시 제1링크브라켓(132)과 확장링크브라켓(135)에 동시에 동력이 전달되므로, 사용자가 한 번의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차량용 레그레스트(100)를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레그레스트(100)는 패널부(1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확장플레이트(136)가 메인브라켓(121)과 베이스 패널(111)의 사이에 배치되어, 확장플레이트(136)의 이동에 따른 타 구성들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레그레스트(100)는 패널부(110)의 각도 조절과 슬라이드 이동이 동시에 이뤄지며 타 구성들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확장플레이트(136)를 배치하여, 하나의 모터부(122)만으로도 패널부(110)가 안정적으로 각도 조절 및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레그레스트 110: 패널부
111: 베이스 패널 111a: 제1개방부
111b: 제2개방부 112: 확장패널
113: 슬라이더 120: 구동부
121: 메인브라켓 122: 모터부
123: 리드스크류 124: 링크샤프트
130: 링크부 131: 베이스 브라켓
132: 제1링크브라켓 133: 제2링크브라켓
134: 고정브라켓 135: 확장링크브라켓
136: 확장플레이트 136a: 제1연결부
136b: 제2연결부 136c: 회동홀

Claims (8)

  1. 차량의 시트 전방 하단에 장착되고, 수납 위치에서 전개 위치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받치는 패널부(110);
    링크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13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120); 및
    상기 구동부(120) 및 상기 패널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패널부(110)를 각도 조절 및 확장시키는 링크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130)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120)와 연결되고, 타단은 확장플레이트(136)와 연결되는 확장링크브라켓(135); 및
    상기 구동부(120)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확장링크브라켓(135)과 연결되고, 타단은 확장패널(112)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1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확장패널(112)을 슬라이드 시키는 확장플레이트(136);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그레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110)는,
    시트에 장착되어 수납 위치에서 전개 위치로 전환되는 베이스 패널(111);
    상기 베이스 패널(111)에 겹쳐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패널(111)이 전개 위치로 전환 시 슬라이딩 인출되는 확장패널(112); 및
    상기 베이스 패널(111) 및 상기 확장패널(1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확장패널(112)을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더(113);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그레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0)는,
    모터부(122);
    상기 모터부(122)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122)의 작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리드스크류(123); 및
    상기 리드스크류(123)의 일측에 연결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확장링크브라켓(135)과 연결되는 링크샤프트(124);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그레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0)는,
    베이스 패널(111)과 중심부가 이격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11)과의 사이에 상기 확장플레이트(136)가 배치되고, 외주면에는 모터부(122)가 배치되는 메인브라켓(121);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레그레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130)는,
    베이스 패널(111)에 연결되는 베이스 브라켓(131);
    차량의 시트에 연결되는 고정브라켓(134);
    일단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131)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브라켓(133)과 연결되는 제1링크브라켓(132); 및
    일단은 상기 제1링크브라켓(13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브라켓(134)과 연결되는 제2링크브라켓(133);을 포함하는, 차량용 레그레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플레이트(136)는,
    상기 확장플레이트(136)의 일단에 타원형의 홀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링크브라켓(135)과 핀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136a); 및
    상기 확장플레이트(136)의 타단에 타원형의 홀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패널(112)과 핀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136b);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그레스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플레이트(136)는,
    상기 확장플레이트(136)의 중심부에 원형의 홀로 형성되어, 메인브라켓(121)과 연결되고, 상기 확장플레이트(136)의 회동 축 역할을 하는 회동홀(136c);을 포함하는, 차량용 레그레스트.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111)은,
    상기 확장패널(112)이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확장플레이트(136)의 일단 및 타단의 핀이 이동되는 공간만큼 개방 형성되는 제1개방부(111a); 및 제2개방부(111b);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그레스트.
KR1020210106510A 2021-08-12 2021-08-12 차량용 레그레스트 KR102664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10A KR102664793B1 (ko) 2021-08-12 2021-08-12 차량용 레그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10A KR102664793B1 (ko) 2021-08-12 2021-08-12 차량용 레그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568A true KR20230024568A (ko) 2023-02-21
KR102664793B1 KR102664793B1 (ko) 2024-05-10

Family

ID=8532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510A KR102664793B1 (ko) 2021-08-12 2021-08-12 차량용 레그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79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1609A1 (en) * 1994-10-12 1996-04-25 La-Z-Boy Chair Company Dual leg rest assembly
JP2000175763A (ja) * 1998-12-18 2000-06-27 Ikeda Bussan Co Ltd 電動オットマン装置
JP2002186540A (ja) * 2000-12-22 2002-07-02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電動オットマン装置
KR20120045648A (ko) * 2010-10-29 201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레그레스트
KR101426544B1 (ko) 2012-10-30 2014-08-05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KR20160005274A (ko) * 2014-07-04 2016-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그 레스트 장치
KR20180091346A (ko) * 2017-02-06 2018-08-16 대원산업 주식회사 레그레스트의 구조
CN110217146A (zh) * 2019-07-19 2019-09-10 麦格纳汽车技术(上海)有限公司徐汇分公司 一种汽车座椅用腿托装置
CN110588470A (zh) * 2019-10-10 2019-12-20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电动无缝大腿腿托
CN110626242A (zh) * 2019-10-31 2019-12-31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座椅及其腿托机构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1609A1 (en) * 1994-10-12 1996-04-25 La-Z-Boy Chair Company Dual leg rest assembly
JP2000175763A (ja) * 1998-12-18 2000-06-27 Ikeda Bussan Co Ltd 電動オットマン装置
JP2002186540A (ja) * 2000-12-22 2002-07-02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電動オットマン装置
KR20120045648A (ko) * 2010-10-29 201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레그레스트
KR101426544B1 (ko) 2012-10-30 2014-08-05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KR20160005274A (ko) * 2014-07-04 2016-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그 레스트 장치
KR20180091346A (ko) * 2017-02-06 2018-08-16 대원산업 주식회사 레그레스트의 구조
CN110217146A (zh) * 2019-07-19 2019-09-10 麦格纳汽车技术(上海)有限公司徐汇分公司 一种汽车座椅用腿托装置
CN110588470A (zh) * 2019-10-10 2019-12-20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电动无缝大腿腿托
CN110626242A (zh) * 2019-10-31 2019-12-31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座椅及其腿托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793B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7975B2 (ja) 車両用シート
US7543888B2 (en) Vehicle seats
US6688691B2 (en) Multiple position seat for plane
CN111216606B (zh) 车辆座椅的高度调节装置
EP2155554B1 (en) Table apparatus for a vehicle seat
CN203472581U (zh) 车辆座椅组件
JP2004516189A (ja) 特に航空機の寝台に変換可能なシート
WO2011059058A1 (ja) 天板付き家具
RU2695548C2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гибкий закр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US20200101873A1 (en) Retractable tray device for vehicle seat
KR101662390B1 (ko)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996817B1 (ko) 자동차의 콘솔 테이블 장치
CN100439150C (zh) 可收起的座椅
US7794005B2 (en) Motor vehicle seat assembly equipped with a load floor for a trunk
JP2004262293A (ja) 格納式シート
GB2425947A (en) Stowable seat system
KR20210057989A (ko) 자동차용 파워 테이블 장치
WO1995030813A1 (fr) Chaise de type a empiler
KR20230024568A (ko) 차량용 레그레스트
US11447044B1 (en) Seat support assembly
KR101926382B1 (ko) 자동차의 콘솔 테이블 지지장치
KR101317653B1 (ko) 시트백 틸팅장치
KR102607198B1 (ko) 확장형 레그레스트
US20230008478A1 (en) Console element for a vehicle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