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211A - 도어 폐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 폐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211A
KR20230024211A KR1020220096778A KR20220096778A KR20230024211A KR 20230024211 A KR20230024211 A KR 20230024211A KR 1020220096778 A KR1020220096778 A KR 1020220096778A KR 20220096778 A KR20220096778 A KR 20220096778A KR 20230024211 A KR20230024211 A KR 20230024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s
control unit
monitoring system
targ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찬 마티유
Original Assignee
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마 filed Critical 포마
Publication of KR2023002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02Cabins; Ski-lif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7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vehicles or vehicle train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in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수송 시스템에서 이동하는 카의 도어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카(10)는 두 개의 도어들(11, 12)을 포함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도어(11, 12) 상의 검출 타겟(13, 14), 및 작용 필드를 갖는 근접 스위치와 같은 고정된 검출 디바이스(23, 24, 28)를 포함하며, 이는 타겟이 작용 필드를 통과할 때 검출 신호를 방출하며, 이는 제어 유닛에 연결되고, 카(10)가 제어 구역(20)을 통과할 때 검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제어 유닛은 두 개의 도어들(11, 12) 사이의 거리(16)가 미리 결정된 개방 임계치 미만인 경우, 카(10)의 두 개의 도어들(11, 12)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다고 결정한다.

Description

도어 폐쇄 모니터링 시스템{DOOR CLOSUR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오버헤드 케이블 카(overhead cable car)에 의해, 특히 스키 리조트(ski resort)에서 사용되는 스키 리프트(ski lift)를 위해 또는 도시 지역에서 대중 교통을 위해 사람들을 수송하도록 설계된 시스템들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케이블 수송 시스템에서 카의 도어가 적절하게 폐쇄되는 것을 보장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카 수송 시스템은 오버헤드 홀 로프(overhead haul rope)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카들을 갖는 연속적으로 이동하는(예를 들어, 최대 5-7 m/s로 주행하는) 장치이다. 각 카는 특정 수의 탑승객들, 전형적으로 2 내지 10명의 탑승객들을 수송할 수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각 케이블 카는 탑승객들이 하강 및 상승할 수 있도록, 카가 출발 및 도착 단자들(스테이션들이라고도 함)을 통과하는 동안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두 개의 도어들(게이트들이라고도 함)을 갖는다. 두 개의 도어들의 개방및 폐쇄 움직임은 슬라이딩 또는 회전일 수 있다. 슬라이딩이라는 용어는 두 개의 도어들의 움직임이 단지 하나의 축(개방/폐쇄 축으로 지칭됨)을 따르는 것을 의미하는 한편, 회전이라는 용어는 두 개 도어들이 또한 수직 축에서 약간의 이동을 하여, 일반적으로 개방 프로세스 동안 카 쉘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일반적인 실시예에서, 카들은 메인 케이블 카 홀 로프로부터 분리가능하다고 하며, 즉 각 카는 스테이션들에 있는 동안 케이블 카 홀 로프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부착부(또는 클램프)를 갖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설비들에서, 카들이 홀 로프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카들은 스테이션들에서 소모된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탑승객 탑승 및 하차 동작 중에 여전히 저속(예를 들어, 0.3 내지 0.5 m/s)으로 이동한다.
카 도어들의 개방 및 폐쇄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스프링 및 톱니 휠과 같은 기계적 수단들을 사용하여, 카가 분리되면 스테이션에서 자동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스테이션 진출 시 카를 홀 로프에 재결합시키기 전에, 명백한 안전상의 이유로, 카 도어들이 폐쇄되거나,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이들이 적절한 위치에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로, 스테이션을 떠날 때 홀 로프에 대한 카의 재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카의 도어들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을 수 있지만 폐쇄된 것으로 간주되기 위해 그들 사이에 작은 간격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이러한 도어 위치 모니터링 절차는 카가 검증 구역이라 불리는 구역에서 저속으로 이동할 때 수행된다. 이러한 모니터링 동작이 확정적이지 않으면(즉, 도어가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으면), 카는 홀 로프에 재연결되지 않고, 도어 개방 에러가 시그널링된다.
도어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이들의 폐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카 도어들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기계적 수단들을 사용하는 것이 이미 존재한다. 그러나, 이들 수단들은 설치 및 조절하기가 다소 어렵고, 슬라이딩 모션을 갖는 도어들보다 회전 모션을 갖는 도어들에 더 적합하다.
문헌 EP2067682는 또한 카의 출발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카 내부에 위치된 잠금 및 검출 수단들뿐만 아니라 검출 수단들에 관한 정보를 스테이션 내의 중앙 지점으로 송신하기 위한 전자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도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기술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 수송 시스템의 각 카들은 이들 검출 수단들 및 이들 통신 수단들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케이블 카의 도어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선하는 것을 추구하며, 이 시스템은 구현하기 쉽고, 솔루션의 비용 및 단순성과 관련된 명백한 이유로, 각 카 내부에 전자 수단을 포함하지 않으며, 또한 슬라이딩 도어에 잘 적응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 수송 시스템에서 이동하는 카의 도어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카는 두 개의 도어들을 포함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도어 상의 검출 타겟, 및 작용 필드를 갖추고 타겟이 작용 필드 내에서 통과할 때 검출 신호를 방출하는 근접 센서 타입의 고정된 검출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이는 제어 유닛에 연결되고, 카가 제어 구역을 통과할 때 검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어 유닛은 두 개의 도어들 사이의 간격이 미리 결정된 개방 임계치 미만인 경우, 카의 두 개의 도어들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다고 결정한다.
일 특징에 따르면, 검출 디바이스는 두 개의 고정된 센서들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카가 제어 구역을 통과하는 동안 양 센서들로부터 검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카의 양 도어들이 적절하게 위치되어 있고 결정할 것이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검출 디바이스는 단일의 고정된 센서를 갖고, 제어 유닛은 센서로부터 제1 검출 신호를 수신한 다음, 최대 시간보다 짧은 시간 후에 제2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카의 양 도어들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다고 결정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최대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검출 영역에서 카의 위치를 측정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 유닛이, 카가 제어 구역을 통과할 때 두 개의 도어들이 적절하게 위치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한다면, 카의 도어들의 적절한 개방 실패를 시그널링한다. 제어 유닛은 도어들의 개방 실패의 경우에 카를 정지시키도록 명령을 내린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타겟들은 수동형(passive)이고,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타겟들은 자기적(magnetic) 타겟들이고, 센서들은 자기 근접 스위치들이거나, 또는 타겟들은 금속 타겟들이고, 센서들은 유도(inductive) 근접 스위치들이거나, 또는 타겟들은 반사형(reflective) 타겟들이고, 센서들은 광전 스위치들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카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카 타입의 오버헤드 케이블 수송 시스템으로서, 수송 시스템은 시스템의 다양한 카들의 도어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타입 오버헤드 케이블 수송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다른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의 일례의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2: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카 스테이션의 제어 구역 내의 환경에서의 카를 도시한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도해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오버헤드 케이블 카 수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카(10)를 도시한다. 본 시스템은 메인 홀 로프(haul rope)에 의해 구동되고 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스테이션들에 카들이 있을 때 분리가능한 다수의 카들을 포함한다. 각 카(10)는 두 개의 이동가능한 도어들, 이 경우 제1 도어(11) 및 제2 도어(12)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도어들은 카(10)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X)을 따라 활주한다. 카(10)는 예를 들어, 스테이션에서 순환할 때 그리고 메인 홀링 케이블로부터 분리될 때 트랙(15)에 매달려 있다.
카(10)가 스테이션을 통과할 때, 도어들(11 및 12)의 개폐는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공지된 수단에들 의해 자동으로 트리거된다. 그러나, 스테이션으로부터 각 카를 출발시키기 전에, 캐빈은 카의 도어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도어들이 폐쇄되거나, 또는 보다 정확하게 도어들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보장하는 시스템을 갖는다.
본 문헌의 목적을 위해, 카(10)의 도어들(11 및 12)은 미리 결정된 개방 임계치(S) 미만인 도어들(11과 12) 사이의 간격(16)이 존재하는 경우, 스테이션으로부터 카(10)의 출발을 허용하도록 양호하게 위치되어 있다고 한다. 현재 시행 중인 표준은 카가 홀 로프에 재결합될 수 있게 하도록 카의 도어들 사이에 110 mm의 최대 개방 간격을 허용하지만, 수송 시스템은 명백하게 표준에 의해 부과되는 이 최대 임계치보다 낮은 개방 임계치(S)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전자 제어 유닛,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래머블 로직 제어기 또는 같은 유형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스테이션에 배치되고, 카(10)가 제어 구역(20)으로 불리는 구역을 통과할 때 카 도어들의 정확한 위치를 점검하는 것을 담당한다. 이 제어 구역(20)에서, 카는 이동가능하고, X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21)을 따라 저속으로 순환한다. 제어 구역(20)은 바람직하게는, 승객들이 카(10)에 탑승한 후 그리고 카(10)가 스테이션으로부터 출발하기 위해 메인 홀 로프에 재결합되기 전에 위치된다.
제어 유닛이 도어들(11, 12)이 잘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즉 간격(16)이 미리 결정된 개방 임계치(S)보다 크기 때문에 도어들이 너무 넓게 개방된 것으로 결정한다면, 제어 유닛은 다양한 종래의 수단들(경보, 에러 메시지, ...)에 의해 개방 에러를 시그널링하고, 또한 사람의 개입이 발생할 수 있도록 카(10)의 셧다운을 지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11, 12)가 각각 검출 타겟(13, 14)을 포함하는 것을 규정한다. 이 경우, 제1 도어(11)는 제1 타겟(13)을 포함하고, 제2 도어(14)는 제2 타겟(1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타겟들(13, 14)은 수동형이고,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캐빈에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받는 능동 타겟들도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또한 스테이션에 장착되고 제어 유닛에 연결되는 검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 검출 디바이스는 근접 검출기 타입인, 즉 작용 필드(또한 검출 로브(lobe)로 지칭됨)를 갖추고, 타겟이 그 작용 필드에 위치될 때 전기적 검출 신호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고정된 검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바(22)에 부착되는, 두 개의 분리되고 대체로 동일한 센서들(23, 24)을 포함하지만, 다른 부착 수단들이 분명히 가능하다.
제1 센서(23)는 제어 구역(20)을 통한 카(10)의 통과 중에 제1 타겟(13)을 검출할 수 있도록 위치되고, 제2 센서(24)는 제어 구역(20)을 통한 카(10)의 통과 중에 제2 타겟(14)을 검출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타겟(13, 14 각각)이 고정 센서(23, 24 각각) 근처를 통과할 때, 제어 유닛은 이 센서(23, 24 각각)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검출 구역(20)을 통한 카(10)의 통과 동안 소정의 순간에 제어 유닛이 두 개의 센서들(23, 24)로부터 전기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그리고 그러한 경우에만, 카(10)의 도어들(11, 12)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다고 결정한다. 실제로, 이는 이 소정의 순간에, 두 개의 타겟들(13, 14 각각)이 두 개의 센서들(23, 24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이에 따라 도어들(11과 12) 사이의 간격(16)이 개방 임계치(S)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카(10)가 통과할 때, 타겟들(13, 14 각각)이 대응하는 센서(23, 24 각각)의 작용 필드로 잘 들어가도록 하는 두 개의 고정된 센서들(23, 24)의 높이 및 깊이 위치 설정을 위한 조절이 중요하다. 또한, X축을 따른 두 개의 센서들(23, 24) 사이의 거리(25)의 조절은 필수적인데, 이는 이 거리(25)가 두 개의 카 도어들이 양호하게 위치된 것으로 간주되도록 제어 유닛에 의해 수용되는 개방 임계치(S)의 값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도어들의 개방 간격(16)이 개방 임계치(S) 미만인 경우, 즉 간격(16)의 허용된 값이 0(도어가 완전히 폐쇄됨을 의미함)으로부터 임계치(S)로 들어갈 수 있는 경우, 도어들은 잘 위치된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이 상기된다.
센서들(23, 24)이 스테이션 플로어에 부착되고, 타겟들(13, 14)이 도어들(11, 12)에 부착되기 때문에, 이는 개방 임계치(S)의 값이 두 개의 센서들(23, 24) 사이의 거리(25)의 함수이고, 도어들 사이의 간격(16)의 허용 가능한 값이 타겟들(13, 14)의 폭의 함수라는 것(명백하게는 센서들(23, 24)의 검출 빔의 폭을 고려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0 내지 110 mm와 같은 임계치(S) 사이의 수용 가능한 간격을 얻기 위해, 각 타겟(13, 14)은 축(X)을 따라 55 mm와 같은 폭을 가져야 한다.
더욱이, 높이에 관한 특정 공차를 제공하기 위해, 모든 타겟들(13, 14)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카에 탑승한 탑승객들의 수의 함수로서 카(10)의 가능한 수직 시프트를 보상하기 위해 X에 수직인 축을 따라 상당한 충분한 높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타겟들(13, 14)의 높이는 약 25 mm이다. 이로 인해, 타겟들(13, 14)은 카(10)의 중량에 관계없이 각 센서의 작용 필드 내에 오게 된다.
이동 카(10)가 방향(21)으로 제어 구역(20)을 통과할 때, 작동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a) 카(10)의 도착 전에, 센서들(23, 24) 중 어느 것도 명백하게 타겟(13, 14)의 전방에 위치되지 않아서, 제어 유닛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b) 소정의 순간에, 제1 도어(11)는 제2 센서(24)의 전방을 통과할 것이며, 이에 따라 제1 센서(23)가 아직 아무것도 검출하지 않는 동안 제1 타겟(13)의 작용 필드에서의 통과를 검출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제2 센서(24)로부터의 신호만을 수신한다.
c) 그 다음, 제1 타겟(13)은 제2 센서(24)의 작용 필드 밖으로 나온 다음, 제1 센서(23)의 작용 필드에 들어갈 것이다. 소정의 순간에, 제2 센서(24)가 제2 타겟(14)이 또한 그 작용 필드에 있음을 검출한다면, 도어들(11, 12) 사이의 거리가 개방 임계치(S) 미만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 다음, 제어기는 두 센서들(23, 24)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고, 도어들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다고 결정한다. 반대로, 도어들(11, 12)이 너무 멀리 개방된다면, 제2 타겟(14)이 제2 센서(24)의 작용 필드에 들어가기 전에 제1 타겟(13)은 제1 센서(23)의 작용 필드를 떠날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은 양 센서들(23, 24)로부터 신호를 결코 동시에 수신하지 않을 것이고, 카(10)의 도어들의 개방 실패를 시그널링 수 있다.
d) 마지막으로, 제어 구역(20) 내로의 카(10)의 통과의 마지막에, 제1 센서(23)는 제2 타겟(14)의 통과를 검출하지만, 제2 센서(24)는 더 이상 아무것도 검출하지 않는다.
제어 구역(20) 내외로의 카(10)의 진입 및 진출은 임의의 공지된 감지 수단들을 통해 제어 유닛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는 제어 유닛이 카(10)가 제어 구역(20) 내에 존재한다고 결정하고, 제어 구역(20)의 진입과 진출 사이의 카(10)의 통과 중에 양 센서들(23, 24)이 동시에 이들의 신호를 발송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타겟들(13 및 14)은 단순한 자기적 플레이트들이고, 센서들(23, 24)은 자기 근접 검출기들이다. 이 솔루션은 간단하고, 저렴하며, 센서들의 작용 필드를 약 100 mm의 거리까지 허용하여, 센서들이 타겟들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도 근접 검출기들과 금속 타겟들 또는 광전 근접 검출기들과 반사형 타겟들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변형예들도 매우 실현가능하다.
더욱이, 검출 디바이스의 작용 필드가 X에 수직인 축을 따른 도어들의 이동과 관련하여 충분히 크다면, 본 발명은 또한 회전 도어들을 갖는 카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타겟들(13, 14)은 센서들(23, 24)뿐만 아니라, 도어들의 상부에 그리고 서로에 대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그러나, 제1 타겟(13)이 제2 타겟(14)에 대해 상이한 높이에서 제1 도어(11) 상에 고정되게 하는 것 그리고 이에 따라 각각 제1 센서(23)가 제2 센서(24)에 대해 상이한 높이에 있는 것과 같은 다른 대안예들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카(10)가 검출 구역(20)에서 통과하는 동안 제1 센서(23)가 제2 타겟(14)을 검출하는 것이 방지되고, 반대로 제2 센서(24)가 제1 타겟(13)을 검출하는 것이 방지된다(위에서 설명된 b) 및 d)의 경우들 참조). 그러나, 이러한 대안예는 타겟들의 구성에 관계없이, 제어 유닛에 대한 이 제1 실시예에서의 중요한 조건이 카(10)가 검출 구역 내로 통과하는 소정의 시간에 항상 양 센서들(23, 24)로부터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것이기 때문에, 설명된 절차를 실제로 개선하지는 않는다.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센서 디바이스는 단일의 고정된 근접 유형 센서(28)만을 포함한다. 이 센서(28)는 상술한 두 개의 센서들(23, 24)과 유사할 수 있다. 스테이션에서, 센서(28)는 예를 들어, 이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22)에 부착될 수 있지만, 다른 부착 수단들이 명백히 실현 가능하다. 고정식 센서(28)는 카(10)가 제어 구역(20)을 통과할 때 제1 타겟(13) 그리고 그 다음 제2 타겟(14)을 검출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타겟(13, 14 각각)이 센서(28)의 작용 필드(29) 내에서 통과할 때, 제어 유닛은 이 센서(28)로부터 전기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그 다음, 절차는 다음의 시퀀스를 수반한다: 카(10)가 방향(21)으로 검출 구역(20)으로 통과할 때, 제1 도어(11)의 제1 타겟(13)은 센서(28)의 작용 필드(29)로 통과할 것이며, 이에 따라 센서(28)는 제1 검출 신호(S1)를 제어 유닛으로 발송한다. 그 다음, 제1 타겟(13)은 센서(28)의 작용 필드(29)를 떠날 것이며, 이는 제1 신호(S1)를 정지시킨다. 그 다음, 제2 도어(12)의 제2 타겟(14)은 차례로 센서(28)의 작용 필드(29)로 통과할 것이며, 이 다음 센서(28)는 제2 검출 신호(S2)를 제어 유닛으로 발송한다.
이 제2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제1 검출 신호(S1) 및 제2 검출 신호(S2)가 최대 시간 미만인 시간(T)만큼 이격되는 경우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만, 카(10)가 검출 구역(20)을 통과할 때 카(10)의 도어들(11, 12)이 잘 위치되어 있다고 결정한다. 이 최대 시간은 도어들(11, 12) 상의 타겟들(13, 14)의 위치, 미리 결정된 개방 임계치(S) 및 검출 구역(20)에서의 카(10)의 속도(V)의 함수이다.
카(10)가 일반적으로 검출 구역(20)을 통해 일정한 속도로 통과하기 때문에, 이러한 일정한 속도를 카(10)의 속도(V) 그리고 이에 따라 최대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양호한 정확도를 얻기 위해 카(10)의 실제 속도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레일(15) 상의 증분 인코더 또는 다른 공지된 수단들에 의해 카(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로 인해, 제어 유닛은 제어 구역(20)을 통과하는 카(10)의 실제 속도(V)를 항상 인지하고, 이에 따라 두 개의 신호들(S1 및 S2) 사이에서 측정된 시간(T)으로부터, 두 개의 도어들(11, 12) 사이의 실제 간격(16)을 추론하여, 그것이 미리 결정된 개방 임계치(S) 미만인지, 그리고 이에 따라 도어들(11, 12)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구역(20)으로의 카(10)의 진입 및 진출은 임의의 공지된 검출 수단들을 통해 제어 유닛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는 제어 유닛이 양 신호들(S1 및 S2)의 수신을 모니터링해야 할 때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으로 인해, 각 카에 장착되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부분은 임의의 온-보드 전자 장치 없이, 지면 상의 임의의 특정 기계적 수단 없이, 각 도어 상의 타겟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매우 제한된다. 더욱이, 타겟들은 바람직하게는 수동형이며, 이는 또한 전력 공급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한다. 이에 따라, 양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매우 경제적이고, 구현하기 쉬우며,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스테이션에서의 개별 카들과 제어 유닛 사이의 통신 또는 전기적 연결이 이러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다.
당연히, 본 발명은 전술한 내용에서 예로서 설명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13)

  1. 케이블 수송 시스템에서 이동하는 카의 도어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카(10)는 두 개의 도어들(11, 12)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도어(11, 12) 상의 검출 타겟(13, 14), 및 작용 필드를 갖고, 타겟이 상기 작용 필드를 통과할 때 검출 신호를 방출하는 근접 검출기 타입의 고정된 검출 디바이스(23, 24, 28)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카(10)가 제어 구역(20)을 통과할 때 검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수신된 상기 검출 신호들로부터, 두 개의 상기 도어들(11, 12) 사이의 간격(16)이 미리 결정된 개방 임계치보다 작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카(10)의 상기 두 개의 도어들(11, 12)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디바이스는 두 개의 고정된 센서들(23, 2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카(10)가 상기 제어 구역(20)을 통과하는 동안 양 센서들(23, 24)로부터 검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상기 카(10)의 양 도어들(11, 12)이 정확한 위치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디바이스는 단일의 고정된 센서(28)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센서(28)로부터 제1 검출 신호를 수신한 다음, 최대 시간보다 짧은 시간 후에 제2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간격(16)이 상기 미리 결정된 개방 임계치보다 작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구역(20)에서 상기 카(1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카(10)가 상기 제어 구역(20)을 통과할 때 두 개의 상기 도어들(11, 12)이 잘 위치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한다면, 상기 카(10)의 상기 도어들(11, 12)의 도어 개방 실패를 시그널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도어들(11, 12)의 도어 개방 실패의 경우에 상기 카를 정지시키도록 명령을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들(13, 14)은 수동형(passive)이고,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들(13, 14)은 자기적(magnetic) 타겟들이고, 상기 센서들(23, 24)은 자기 근접 검출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들은 금속 타겟들이고, 상기 센서들은 유도(inductive) 근접 검출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들은 반사형(reflective) 타겟들이고, 상기 센서들은 광전 검출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10)의 상기 도어들(11, 12)은 슬라이딩 도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10)의 상기 도어들(11, 12)은 회전 도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13. 복수의 카들(10)을 포함하는 케이블 카 타입의 오버헤드 케이블 수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송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의 상기 카들(10)의 상기 도어들(11, 12)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타입 오버헤드 케이블 수송 시스템.
KR1020220096778A 2021-08-11 2022-08-03 도어 폐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24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8643 2021-08-11
FR2108643A FR3126114B1 (fr) 2021-08-11 2021-08-11 Système de contrôle de fermeture de por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211A true KR20230024211A (ko) 2023-02-20

Family

ID=7808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778A KR20230024211A (ko) 2021-08-11 2022-08-03 도어 폐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45835A1 (ko)
EP (1) EP4134290B1 (ko)
JP (1) JP2023026352A (ko)
KR (1) KR20230024211A (ko)
CN (1) CN115703488A (ko)
CO (1) CO2022010389A1 (ko)
FR (1) FR31261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9067A (ja) * 1991-05-14 1992-11-26 Nippon Cable Co Ltd 索道の搬器扉の異状検出装置
CH699647B1 (de) * 2007-05-10 2010-04-15 Cwa Const Sa Verriegelungsüberwachung.
ITMI20072296A1 (it) 2007-12-06 2009-06-07 Rolic Invest Sarl Sistema per il monitoraggio di un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JP5348981B2 (ja) * 2008-09-11 2013-11-20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ゴンドラリフトの扉挟み込み検出装置
AT520065B1 (de) * 2017-06-12 2022-12-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 mit Verriegelungsüberwachung eines Fahrzeugs
DE102017217830A1 (de) * 2017-10-06 2019-04-11 Zf Friedrichshafen Ag Verschleißüberwachungs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von Zustandsgrößen einer seilbetriebenen Transport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2022010389A1 (es) 2023-01-26
US20230045835A1 (en) 2023-02-16
EP4134290B1 (fr) 2024-05-08
CN115703488A (zh) 2023-02-17
FR3126114A1 (fr) 2023-02-17
FR3126114B1 (fr) 2023-07-28
EP4134290A1 (fr) 2023-02-15
JP2023026352A (ja)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2783B1 (en) Elevator rope slippage detecting device, and elevator apparatus
KR100949632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KR20150108909A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150246679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in platform doors
CN107148392A (zh) 具有非中心的电子安全系统的电梯
US11124388B2 (en) Locking system for elevator car door
CN105431342B (zh) 用于监控被引导车辆的正确复轨的方法和设备
CN104271484B (zh) 测试设备和安全配置件
CN102428019B (zh) 电梯的异常检测装置
RU2729102C1 (ru) Канатная дорога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US11458999B2 (en) On-board control apparatus and platform-door control system
CN107848543A (zh) 用于生成防护门的门释放信号的装置和方法
US202000480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movement of an elevator door using rfid
JP2004133585A (ja) 移動体の運行制御システム
KR20230024211A (ko) 도어 폐쇄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276823A1 (en) Elevator safety systems
JP3607966B2 (ja) 走行支援システム
US20220169290A1 (en) Passage Detection for a Cableway
KR100897405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개폐 시스템
EP3418237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a safety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 2d-sensor for contactless supervising a supervision plane
KR102498589B1 (ko)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철도 안전 시스템
CN111170102B (zh) 用于监测电梯系统的方法和装置
US20220379938A1 (e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arrying out track work
KR100852571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WO2007039750A2 (en) Elevator floor levelling senso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