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969A -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 Google Patents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969A
KR20230023969A KR1020210105914A KR20210105914A KR20230023969A KR 20230023969 A KR20230023969 A KR 20230023969A KR 1020210105914 A KR1020210105914 A KR 1020210105914A KR 20210105914 A KR20210105914 A KR 20210105914A KR 20230023969 A KR20230023969 A KR 20230023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main body
inner space
spac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전태구
Original Assignee
이성훈
주식회사 오리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주식회사 오리엔트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210105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3969A/ko
Publication of KR2023002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이 수용되는 내부공간(111)이 형성되고, 상단 입구 가장자리에 링 형상의 패킹(112)이 인입되는 홈(113)이 형성된 본체(110),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공간(111)을 밀폐하는 뚜껑(120), 및 뚜껑(120)의 측면 일측에 만입 형성된 안착공간(131)에 밀폐된 내부공간(111)의 습도를 지지하는 습도지시 종이(132)가 삽입되고, 안착공간(131)에는 본체(110)의 내부공간(111)과 연통되는 다수의 연통홀(133)이 관통 형성되고, 습도지시 종이(132)가 삽입된 안착공간(131)을 기밀시켜 커버하는 투명 투시창(134)이 형성된, 습도 확인부(130)를 포함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습기로 인한 습도를 습도 확인부(130)를 통해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납골함을 부패없이 편리하고 항구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CHARNEL CASE HAVING FUNCTION OF IDENTIFYING INNER HUMIDITY}
본 발명은 납골함 내부공간에 질소를 충진하고 패킹을 개재하여 밀폐하여 반영구적으로 보존하도록 할 수 있고,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습기로 인한 습도를 독립된 밀폐공간에 형성된 습도지시 종이를 통해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납골함을 부패없이 편리하고 항구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는,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매장위주의 장묘 습관으로 인한 국토의 잠식과 매장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장문화의 확산을 위해 다양한 홍보로 납골묘를 권장하면서 화장문화가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있다.
한편, 화장 후 발생되는 유골을 납골함에 넣어 납골묘에 안장시키고 분말인 유골을 돌, 도자기 등으로 제조된 납골함에 보관하여, 날씨와 계절의 변화 또는 일별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으로 인해 납골함 내부로 수분이 스며들어 유골이 부패하여 악취를 유발하고, 벌레, 박테리아 균 등이 발생하기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3732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통풍 및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납골함은, 용기 및 용기 뚜껑을 옥 분말에 석고, 토르말린, 매직스톤, 섬록암, 숯, 은나노 물질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 이상 혼합하여 제조하여 통기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온도 및 습도 조절을 자연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하지만, 자연적으로 통기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납골함을 제작하더라도 납골함의 내부 습도를 정확히 식별할 수 없어 이미 상당히 부패가 진행된 상황에서 냄새로만 부패 여부를 확인하게 되므로, 이를 개선하여 납골함을 외부에 육안으로 내부 습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0387호 (온도 및 습도 조절이 우수한 납골함)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4284호 (공기 순환 및 습도 조절 기능을 지닌 납골 단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3732호 (통풍 및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납골함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납골함 내부공간에 질소를 충진하고 패킹을 개재하여 밀폐하여 반영구적으로 보존하도록 할 수 있고,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습기로 인한 습도를 독립된 밀폐공간에 형성된 습도지시 종이를 통해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납골함을 부패없이 편리하고 항구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는,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유골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입구 가장자리에 링 형상의 패킹이 인입되는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측면 일측에 만입 형성된 안착공간에 밀폐된 내부공간의 습도를 지지하는 습도지시 종이가 삽입되고, 상기 안착공간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습도지시 종이가 삽입된 상기 안착공간을 기밀시켜 커버하는 투명 투시창이 형성된, 습도 확인부;를 포함하는,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습도지시 종이는 습도의 증가에 따라 적색으로 발색되는 염화 코발트가 코팅된 종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이 결합하여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습기가 제거된 질소를 충진시키는 질소 투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질소 투입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질소 투입구 및 상기 공기 배출구의 각 입구에는, 질소 충진 완료 후,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마개가 기밀되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소 투입구를 통한 질소 투입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골분진의 상기 공기 배출구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상단을 커버하는 한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습도 확인부의 안착공간에는 활성탄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납골함 내부공간에 질소를 충진하고 패킹을 개재하여 밀폐하여 반영구적으로 보존하도록 할 수 있고,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습기로 인한 습도를 독립된 밀폐공간에 형성된 습도지시 종이를 통해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납골함을 부패없이 편리하고 항구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의 사시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의 분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의 단면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은, 유골이 수용되는 내부공간(111)이 형성되고, 상단 입구 가장자리에 링 형상의 패킹(112)이 인입되는 홈(113)이 형성된 본체(110),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공간(111)을 밀폐하는 뚜껑(120), 및 뚜껑(120)의 측면 일측에 만입 형성된 안착공간(131)에 밀폐된 내부공간(111)의 습도를 지지하는 습도지시 종이(132)가 삽입되고, 안착공간(131)에는 본체(110)의 내부공간(111)과 연통되는 다수의 연통홀(133)이 관통 형성되고, 습도지시 종이(132)가 삽입된 안착공간(131)을 기밀시켜 커버하는 투명 투시창(134)이 형성된, 습도 확인부(130)를 포함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습기로 인한 습도를 습도 확인부(130)를 통해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납골함을 부패없이 편리하고 항구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10)는 순동 또는 도자기, 옥, 대리석 등의 석재 재질로 구성되어, 본체(110)에는 망자의 유골이 수용되는 내부공간(111)이 형성되고, 상단 입구 가장자리에는 링 형상의 패킹(112)이 인입되는 홈(113)(도 3 및 도 4 참조)이 형성된다.
여기서, 패킹(112)을 개재하여 본체(110)와 뚜껑(120)이 상호 결합하여 밀폐되어 내부공간(111)을 기밀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본체(110)의 내부공간(111)과 격벽(115)에 의해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여서, 분리된 공간에 습기제거제를 선택적으로 투입하도록 하거나, 내부 습기로 인한 수분이 유골이 수용된 내부공간(111)이 아니라 본체(110)의 내부면을 타고 흘러내리되 격벽(115)에 의해 내부공간(111)과 분리되도록 하여, 유골에 수분이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뚜껑(120)은 순동 또는 도자기, 옥, 대리석 등의 석재 재질로 구성되고, 본체(110)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본체(110)의 상단에 패킹(112)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내부공간(111)을 밀폐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체(110)의 상단 입구 가장자리 외주면에는 나사산(114)이 형성되고, 본체(110)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뚜껑(12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14)에 대응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본체(110)와 뚜껑(120)이 회전에 의해 나사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뚜겅(120)의 상단 모서리 외주면에는 본체(110)와의 회전체결을 쉽도록 하는 회전홈(124)이 방사형으로 다수 만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0)의 상단 중앙에는 체결식으로 결합되거나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습기제거부(1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습기제거부(140)는 뚜껑(120)의 상단 중앙에는 습기제거제(141)를 수용하는 공간이 만입 형성되고, 습기제거제(141)가 수용된 공간에는 본체(110)의 내부공간(111)과 연통되는 다수의 미세홀(142)이 형성되고, 만입 형성된 공간에 체결식으로 결합되거나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손잡이(143)로 구성되어, 손잡이(143)와 뚜껑(120)의 분리 및 체결구조에 의해 수명이 다한 습기제거제(141)를 교체하도록 하거나, 습도 확인부(130)에 의해 내부공간(111)에 습기가 차있는 상태로 식별되면 습기제거제(141)를 투입하거나 교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습도 확인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0)의 측면 일측에 만입 형성된 안착공간(131)에 밀폐된 내부공간(111)의 습도를 지지하는 습도지시 종이(132)가 삽입되고, 안착공간(131)에는 본체(110)의 내부공간(111)과 연통되는 다수의 연통홀(133)이 관통 형성되고, 습도지시 종이(132)가 삽입된 안착공간(131)을 패킹(135)을 개재하여 기밀시켜 커버하는 투명 투시창(134)이 형성된다.
여기서, 습도지시 종이(132)는 습도의 증가에 따라 적색으로 발색되는 염화 코발트(CoCl2)가 코팅된 종이일 수 있다.
예컨대, 습도 지시 종이(132)는 습기와 접촉하면 다음의 [화학식 1]에 의해 청색에서 적색으로 변화하여, 내부공간(111)의 습도 변화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한편, 내부공간(111)에 습기가 제거된 마른 질소를 투입하여 충진할 수 있는데 후술하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뚜껑(120)에는, 유골이 수용되어 본체(110)와 뚜껑(120)이 결합하여 밀폐된 상태에서, 본체(110)의 내부공간(111)으로 습기가 제거된 마른 질소를 충진시키는 질소 투입구(121)가 관통 형성되고, 질소 투입에 따라 내부공간(11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122)가 본체(110)의 내부공간(111)과 연통되어 관통 형성되고, 질소 투입구(121) 및 공기 배출구(122)의 각 입구에는, 질소 충진 완료 후, 본체(110)의 내부공간(111)을 밀폐하는 마개가 기밀되어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내부공간(111)에 유골이 수용된 상태에서, 본체(110)와 뚜껑(120)을 상호 기밀하여 결합하고, 마른 질소를 충진시키고 기존 공기를 배출한 후, 질소 투입구(121) 및 공기 배출구(122)의 각 입구를 패킹 역할을 하는 마개로 밀봉하여서, 내부공간(111)을 외부와 격리시켜 유골을 보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질소 투입구(121)를 통한 질소 투입시에, 질소의 유입과 공기의 유출에 따라 유골에 영향을 주어 흩날릴 수 있으므로, 본체(110)의 내부공간(111)에 수용된 유골분진의 공기 배출구(122)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10)의 내부공간(111) 상단을 커버하는 한지층(1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층(123)에 의해 질소와 공기는 통과하고 유골분진은 통과하지 못하므로 유골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질소 투입구(121) 및 공기 배출구(122)는 별도로 구성되어 뚜껑(120)에 패킹을 개재하여 관통 삽입될 수도 있고, 뚜껑(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습도 확인부(130)의 안착공간(131)에는 활성탄이 삽입되어서, 내부공간(111)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발생되는 극히 소량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질소 투입시 유입될 수 있는 습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의 구성에 의해서, 납골함 내부공간에 질소를 충진하고 패킹을 개재하여 밀폐하여 반영구적으로 보존하도록 할 수 있고,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습기로 인한 습도를 독립된 밀폐공간에 형성된 습도지시 종이를 통해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납골함을 부패없이 편리하고 항구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110 : 본체 111 : 내부공간
112 : 패킹 113 : 홈
114 :나사산 115 : 격벽
120 : 뚜껑 121 : 질소 투입구
122 : 공기 배출구 123 : 한지층
124 : 회전홈 130 : 습도 확인부
131 : 안착공간 132 : 습도지시 종이
133 : 연통홀 134 : 투명 투시창
135 : 패킹 141 : 습기제거제
142 : 미세홀 143 : 손잡이

Claims (5)

  1. 유골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입구 가장자리에 링 형상의 패킹이 인입되는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측면 일측에 만입 형성된 안착공간에 밀폐된 내부공간의 습도를 지지하는 습도지시 종이가 삽입되고, 상기 안착공간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연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습도지시 종이가 삽입된 상기 안착공간을 기밀시켜 커버하는 투명 투시창이 형성된, 습도 확인부;를 포함하는,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지시 종이는 습도의 증가에 따라 적색으로 발색되는 염화 코발트가 코팅된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이 결합하여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습기가 제거된 질소를 충진시키는 질소 투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질소 투입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질소 투입구 및 상기 공기 배출구의 각 입구에는, 질소 충진 완료 후,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마개가 기밀되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투입구를 통한 질소 투입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골분진의 상기 공기 배출구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상단을 커버하는 한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확인부의 안착공간에는 활성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KR1020210105914A 2021-08-11 2021-08-11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KR20230023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914A KR20230023969A (ko) 2021-08-11 2021-08-11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914A KR20230023969A (ko) 2021-08-11 2021-08-11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69A true KR20230023969A (ko) 2023-02-20

Family

ID=8532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914A KR20230023969A (ko) 2021-08-11 2021-08-11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396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284Y1 (ko) 2003-03-04 2003-05-23 신오하 공기 순환 및 습도 조절 기능을 지닌 납골 단지
KR100500387B1 (ko) 2004-12-15 2005-07-18 이유라 온도 및 습도 조절이 우수한 납골함
KR20120083732A (ko)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케이이씨맥 통풍 및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납골함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284Y1 (ko) 2003-03-04 2003-05-23 신오하 공기 순환 및 습도 조절 기능을 지닌 납골 단지
KR100500387B1 (ko) 2004-12-15 2005-07-18 이유라 온도 및 습도 조절이 우수한 납골함
KR20120083732A (ko)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케이이씨맥 통풍 및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납골함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2681T3 (es) Procedimiento para crear una junta de estanqueidad en la tapa de cierre de un contenedor
KR20230023969A (ko) 내부습도 확인 기능을 구비한 납골함
KR101215544B1 (ko) 봉안함
CN109311582B (zh) 真空密封容器
KR101038514B1 (ko) 납골 단지
KR20120075922A (ko) 진공 납골함
KR102418196B1 (ko) 유골함
CN109809045A (zh) 一种储茶盒
KR101038513B1 (ko) 납골 단지
KR20120014402A (ko) 봉안함
KR101170434B1 (ko) 납골 단지
US20200383862A1 (en) Cinerary urn set
KR200303011Y1 (ko) 이중 구조의 납골단지
KR102467076B1 (ko) 나노 셀룰로오스 분말제품 보관용기
KR200306309Y1 (ko) 납골함
KR101876324B1 (ko) 진공 데시케이터
CN210162515U (zh) 一种带有显色指示结构的双盖
KR200403946Y1 (ko) 납골함
KR101170431B1 (ko) 납골 단지
KR20240003452A (ko) 기능성 유골함
KR101105649B1 (ko) 납골 단지
CN218578247U (zh) 一种可以锁香的茶叶香气装置
KR200281069Y1 (ko)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JPS622055Y2 (ko)
KR100818319B1 (ko) 진공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