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458A - 흡수성 혈관문합기 - Google Patents

흡수성 혈관문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458A
KR20230023458A KR1020210105601A KR20210105601A KR20230023458A KR 20230023458 A KR20230023458 A KR 20230023458A KR 1020210105601 A KR1020210105601 A KR 1020210105601A KR 20210105601 A KR20210105601 A KR 20210105601A KR 20230023458 A KR20230023458 A KR 20230023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stomosis
retaining ring
blood vessel
absorptive
vas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대구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3458A/ko
Publication of KR2023002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f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절단된 혈관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흡수성 혈관문합기는 원통 형상의 유지링;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기설정된 방향으로 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굽은 뿔(curved horn); 및 상기 복수개의 굽은 뿔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유지링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되, 상기 굽은 뿔이 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문합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혈관벽이 흡수성 혈관문합기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와 차단되는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흡수성 혈관문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혈관문합기{ABSORBABLE VASCULAR ANASTOMOSIS DEVICE}
본 발명은 흡수성 혈관문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혈관을 연결하기 위한 흡수성 혈관문합기에 관한 것이다.
운동 부족과 실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하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힘으로써 발생하는 소위 혈관폐쇄 질환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심장 질환의 대부분은 심장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허혈증(Ischemia)에 의해 나타나는 심근 경색 및 협심증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폐쇄 혈관 또는 거의 폐쇄된 혈관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수술에 의한 방법이 종종 채택되고 있으며, 이 수술에 의한 방법으로 흔히 채용되는 방법은 문제가 되고 있는 혈관부분을 잘라낸 다음 잘라진 혈관들을 다시 문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혈관문합은 단절된 혈관을 이어주는 수술법으로 혈관폐쇄 질환에서는 물론이거니와, 특히나 외상이나 종양절제 후에 발생한 조직 결손을 수복하기 위해 시행하는 유리피판술이나 장기이식 수술에서 가장 중요한 술식이다.
장기이식술은 공여자의 공여부에서 떼어내는 장기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을 장기와 함께 완전히 절단하여 수혜자의 수혜부로 옮겨와서, 혈관문합수술을 통해 공여자의 장기와 수혜부의 혈관을 연결함으로써 공여자의 장기가 수혜부 혈관으로부터 새롭게 혈액을 공급받아 생존하게 하는 술기를 일컫는다.
20세기 이후 혈관문합술은 다양한 장기 및 조직 이식수술 발전에 기여하였는데, 혈관문합술은 봉합사로 꿰매는 방법과 미세혈관 문합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뉠 수 있다.
여기서 미세혈관 문합은 경험이 많은 미세수술 전문 외과의에 의해서 시행되더라도 수술시간이 약 30분 정도 걸리는 난이도 높은 수술이며, 혈관문합술에서 동맥보다는 정맥인 경우의 봉합난이도가 높고, 이식할 공여 혈관과 수혜부의 혈관 간의 직경의 차이가 크거나 서로 수직으로 놓인 경우 역시 봉합 난이도가 높다.
특히 장기 이식의 경우 장기가 이식되고 이식된 장기의 기능이 보존되어 회복되려면 가장 단시간 내에 혈관을 연결하여 허혈을 최소화하는 것이 절대적일 수밖에 없는데, 이는 문합시간이 오래 걸려 조직이나 장기의 허혈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허혈-재관류손상(ischemia-reperfusion injury)으로 인한 합병증 위험도가 급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근래의 국내 뇌사자의 장기이식통계를 보면 최근까지 급격하게 기증장기의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에서 시행되는 장기이식 수술의 빈도가 그만큼 빈번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세계시장을 독점적인 위치에서 점유하고 있는 MAC SYSTEM의 단점을 극복함으로써 아직까지 적용된 적이 없는 장기이식용 생체흡수성 정맥혈관문합기 시장의 창출 및 선점을 통한 경제적 기대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장기 이식의 마지막 단계는 혈관을 연결하는 것으로, 장기에 연결된 동맥은 굵고 탄력성이 크기 때문에 봉합사로 큰 문제없이 짧은 시간 내에 문합이 가능하지만, 정맥의 경우에는 혈관의 벽이 얇고 안으로 말려 들어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혈관 문합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고, 이러한 이유로 장기이식에서 혈관문합과 연관된 합병증은 거의 대부분 정맥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봉합사에 의한 혈관문합술은 바늘이 혈관 내벽을 통과하면서 혈관 내벽에 손상을 주어 혈전 등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공여부와 수혜부의 혈관 직경차이가 많이 날 때 적용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기계식 혈관문합기의 경우, 비흡수성 소재의 사용에 따른 혈관의 탄성회복 저하가 발생하며, 혈압 변화에 따른 장기 유입 혈액량의 변동폭을 고려할 때 혈관의 탄력성 회복은 혈관문합술에서 해결해야할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혈관문합을 신속하고 정확하며 쉽게 수행할 수 있고, 이물반응 및 합병증이 최소화되고 술기 습득을 위한 시간이 단축되어 결과적으로 혈관문합과 장기이식 수술의 성공률이 증가하여 국민복지에 기여할 수 있는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관련 관상기관의 문합이나 고분자의 분해 속도 제어를 통한 봉합사의 제품군 다양화 및 미세사출성형 기술을 적용한 정밀 의료 부품의 생산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장기이식 수술, 그 중에서 간이식 수술에서의 혈관문합의 경우, 이식용 간은 공여자, 즉 기증자의 체내에 있는 상태로 냉각관류액과 얼음으로 급히 냉각시킨 후 적출하여 냉장 보존하다가 수혜자의 간을 제거한 뒤 이식할 간을 복강에 위치시키고 혈관문합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기증자의 적출된 간을 냉각보존액으로부터 꺼내어 상온 또는 체온에서 혈관을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혈규가 재개되기까지의 시간을 온허혈 시간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온허혈 시간은 장기의 손상이 진행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이 시간을 가능한 짧게 해야만 한다. 이상적인 문합시간을 넘기면 이식 장기의 기능 손상을 야기하고 간염의 재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혈관문합시간을 단축시키고 혈관문합을 안전하게 하는 것은 간이식의 성공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간이식 수술에 있어서 생체흡수성 정맥혈관문합기의 필요성이 높은데, 이러한 생체흡수성 정맥혈관문합기는 간이식의 온허혈 시간을 차지하는 간상방 하대정맥, 간하방 하대정맥 및 간문맥 문합에 적용될 수 있다.
간이식을 포함하는 장기이식 수술에 있어서 생체흡수성 정맥혈관문합기는 문합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출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온허혈 시간의 감소 및 수술 성공률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혈관 문합이 가능해지므로 합병증 발생률이 저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생체흡수성 재료를 사용하므로 문합부위가 장력을 얻게 된 후 생분해되어 문합부위가 혈류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하게 되므로, 생리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상태를 만들어줄 수 있고, 나아가 매우 숙련된 전문가만이 할 수 있었던 이식수술을 보다 일반적인 수술로 만들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혈관 문합 장치는 직경이 서로 다른 내부링과 외부링으로 구성되어 내부링과 외부링이 결합함으로써 혈관의 결합력은 우수하지만 내부링과 외부링 사이에 끼인 혈관벽의 혈관공급이 이중으로 차단된다는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혈관벽에도 혈관이 존재하게 되는데, 혈관 내외부링으로 구성된 문합 장치가 흡수 완료되기 전까지 내외부링에 의해 혈관벽의 내부와 외부가 이중으로 감싸지기 때문에 혈관벽으로 가는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혈관벽이 허혈상태에 빠져 퇴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외부링을 포함하는 혈관 문합 장치를 이용한 혈관 문합 초기에는 혈관개존성이 확보되지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혈관이 위축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시술 후기에는 혈관막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혈관 문합 시술 시 혈관벽이 혈관 문합 장치의 내외부링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는 부위를 최소화하고 흡수성 혈관 문합 장치의 부피를 줄여 흡수를 빠르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두 혈관과 두개의 내부링을 연결하고 외부링을 이용해 두개의 내부링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혈관 문합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454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혈관벽이 흡수성 혈관문합기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와 차단되는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흡수성 혈관문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부피를 줄여 혈관에 흡수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물반응(foreign body reaction)을 최소화할 수 있는 흡수성 혈관문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된 혈관의 문합을 위한 문합단계를 종래의 2단계에서 1단계로 감소시킬 수 있는 흡수성 혈관문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된 혈관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흡수성 혈관문합기는, 원통 형상의 유지링;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기설정된 방향으로 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굽은 뿔(curved horn); 및 상기 복수개의 굽은 뿔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유지링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되, 상기 굽은 뿔이 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문합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흡수성 혈관문합기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하나는 문합 대상혈관 중 하나의 혈관 단부에 체결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문합 대상혈관 중 나머지 하나의 혈관 단부에 체결고정되어,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는 상기 복수개의 문합단의 체결을 통해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문합단은, 상기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가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도록 암 문합단 및 숫 문합단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숫 문합단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결합부; 일단이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 문합단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단부의 내측면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숫 문합단 및 상기 암 문합단은,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어 하나의 굽은 뿔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여 교차 위치하고, 상기 유지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굽은 뿔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에서 상기 유지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60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는, 문합 대상혈관 중 하나의 혈관 단부에 고정되는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 및 상기 문합 대상혈관 중 나머지 하나의 혈관 단부에 고정되는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 및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문합 대상혈관 간의 문합을 위해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며,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 및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 각각은, 내경에 혈관 단부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유지링; 상기 내경에 삽입된 상기 혈관 단부가 뒤집어져 상기 유지링의 일단에 씌워지면 상기 혈관 단부가 상기 유지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유지링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혈관 단부를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굽은 뿔(curved horn); 및 상기 하나의 혈관 단부에 고정된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일단과 상기 나머지 하나의 혈관 단부에 고정된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일단이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면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굽은 뿔들 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유지링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문합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굽은 뿔에는 상기 내경에 삽입된 상기 혈관 단부가 뒤집어지면 뒤집힌 상기 혈관 단부가 고정되되, 상기 유지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기설정된 개수의 굽은 뿔에 먼저 뒤집힌 상기 혈관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문합단은, 암 문합단 및 숫 문합단을 포함하여 마련되고, 상기 암 문합단 및 상기 숫 문합단은,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어 하나의 굽은 뿔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여 교차 위치하고, 상기 유지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와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가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상기 암 문합단과 상기 숫 문합단은 각각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상기 숫 문합단과 상기 암 문합단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와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가 체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숫 문합단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되 상기 굽은 뿔이 굽은 방향과 반대방향인 상기 유지링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부; 일단이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문합단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혈관벽이 흡수성 혈관문합기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와 차단되는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흡수성 혈관문합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부피를 줄여 혈관에 흡수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물반응(foreign body reaction)을 최소화할 수 있는 흡수성 혈관문합기를 제공할 수 있다.
혈관결합부위의 혈관외벽이 외부의 조직과 차단되는 부분을 최소화 하고, 두 혈관이 접촉하는 결합단단부위(intima to intima contact point)는 외부 조직과 직접 접촉됨으로 혈액공급이 원활하여 혈관재생(intima to intima vessel regeneration)이 조기에 이루어 지므로 전체적인 혈관의 위축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성 혈관문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절단된 혈관의 문합을 위한 문합단계를 종래의 2단계에서 1단계로 감소시킬 수 있는 흡수성 혈관문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은 뿔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 중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에 하나의 혈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 중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에 하나의 혈관의 일부분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에 혈관이 각각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이 고정된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가 결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은 뿔(12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단(130, 14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외부링으로 마련되는 종래의 혈관문합기에서 혈관벽이 내외부링에 의해 혈관벽의 혈관공급이 이중으로 차단되어 혈관이 마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흡수성 혈관문합기(100)의 부피를 줄여 흡수를 빠르게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는 유지링(110), 굽은 뿔(120), 문합단(130, 140)을 포함하여 마련되고, 인체에 흡수될 수 있는 흡수성 폴리머(Polymer)로 제작될 수 있다.
먼저 유지링(110)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내경이 비어있도록 마련된다. 유지링(110)의 내경으로는 문합 대상이 되는 절단된 혈관(V)이 삽입되고, 유지링(110)의 외주면에는 삽입된 혈관(V)의 단부가 씌워지는 방식으로 혈관(V)이 유지링(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 유지링(110)의 외직경은 40mm, 내직경은 38.8cm, 두께는 1.2mm, 그리고 높이는 12mm를 기준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를 이루는 굽은 뿔(120) 및 문합단(130, 140)의 직경, 두께 및 길이 등의 구체적인 수치는 상술한 유지링(110)의 외직경, 내직경, 두께 및 높이로 제작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체적인 수치는 문합 대상이 되는 혈관(V)의 직경에 기초하여 유지링(110)의 크기가 변경되면 그에 비례하여 굽은 뿔(120) 및 문합단(130, 140)의 직경, 두께 및 길이 등도 역시 변경됨으로써 흡수성 혈관문합기(100)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각 구성들 간의 비율은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실제 혈관 문합 시 사용되는 유지링(110)의 두께는 1mm 이하로 마련되되, 구조적인 안전성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가능한한 최대한 얇은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굽은 뿔(120)은 유지링(1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기설정된 방향으로 휜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굽은 뿔((120)은 복수개(120-1~120-6)로 마련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방향이라 함은 유지링(110)의 내경에 혈관(V)이 삽입되고 뒤집어 씌워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뒤집힌 혈관(V)의 단부가 유지링(110)으로부터 혈관(V)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지링(110)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이다. 여기서 유지링(110)의 일단은 혈관(V) 단부가 씌워지는 부분이고 유지링(100)은 혈관(V) 단부가 씌워지지 않는 부분이다.
복수개의 굽은 뿔(120-1~120-6) 각각은 유지링(110)의 외주면에 부착된 뿌리의 직경은 넓고, 굽은 뿔들(120-1~120-6)의 끝은 뾰족하게 마련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링(1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굽은 뿔들(120-1~120-6)의 끝은 혈관벽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날카롭고 단단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굽은 뿔(120-1~120-6) 각각은 후술할 숫 문합단(130)과 암 문합단(140) 사이에 하나씩 위치함으로써 유지링(110)의 외주면에서 유지링(1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6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굽은 뿔들(120-1~120-6)의 배치간격은, 봉합사를 이용한 혈관 문합 시 문합된 부위의 혈관의 단부가 주름지거나 일그러져 문합 부위에 누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20도 간격으로 먼저 혈관을 고정한 후 나머지 부분을 문합하는 방법에 기초하여 상정된 배치 간격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링(110)의 외경이 4cm로 마련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굽은 뿔(120)의 뿌리 최대직경인 L1, 그리고 굽은 뿔(120)의 뾰족한 끝과 유지링(110)의 외주면의 직선 거리인 L2 는 2mm로 마련되고, 도 3에 도시된 굽은 뿔(120)의 높이 L3는 4mm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유지링(11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굽은 뿔(120)의 내측면은 유지링(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유지링(110)의 외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되, 유지링(110)의 외주면으로부터 0.08mm만큼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휘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굽은 뿔(120)의 뿌리는 도 3에서와 같이 유지링(110)의 외주면 일단으로부터 곡선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지만, 굽은 뿔(120)의 뿌리 일측이 유지링(110)의 외주면 일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유지링(110)의 외주면 일단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마련된 굽은 뿔(120)에는 유지링(110) 내경에 삽입되어 뒤집어진 혈관(V)의 단부가 뒤집어지며 혈관(V)이 끼워짐으로써 후술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관(V)의 내면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뒤집어져 혈관(V)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문합단(130, 14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가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과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를 포함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면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가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숫 문합단(130)과 암 문합단(140)을 포함하여 마련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문합단(130, 140) 각각은 복수 개의 굽은 뿔들(120-1~120-6)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고, 유지링(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굽은 뿔(120-1)을 사이에 두고 제1 굽은 뿔(120-1)의 일측에 숫 문합단(130)이 위치하면 제1 굽은 뿔(120-1)의 타측에는 암 문합단(140)이 위치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숫 문합단(130) 및 상기 암 문합단(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굽은 뿔(120-1~120-6) 중 하나의 굽은 뿔(120-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여 교차 위치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링(1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숫 문합단(130)과 암 문합단(14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숫 문합단(130) 및 암 문합단(140) 각각의 하단과 혈관 단부가 씌워지지 않는 유지링(110)의 타단 간의 거리는 4.5mm일 수 있다. 즉, 숫 문합단(130)과 암 문합단(140)은 유지링(110)의 타단으로부터 4.5mm 떨어진 거리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숫 문합단(130)은, 암 문합단(140)과 체결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는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과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를 포함하여 한 쌍(100-1, 100-2)으로 마련되어 서로 체결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숫 문합단(130)은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한 쌍을 이루는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의 암 문합단(140')과 끼움 결합하기 위해 결합부(131), 연장부(133) 및 걸림부(135)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31)는 유지링(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부분으로 숫 문합단(130)이 유지링(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결합부(131)의 높이는 총 7.5mm로 마련되고, 유지링(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유지링(110)의 외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되, 도 4에서 유지링(11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결합부(131)의 내측면은 유지링(110)의 외주면으로부터 1.2mm만큼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휘어지도록 마련되고, 결합부(131)가 휘어지는 방향은 굽은 뿔(120)이 휘어지는 방향과는 반대방향, 즉 유지링(100)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숫 문합단(130)의 결합부(131)의 내측면과 유지링(110)의 외주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1.2mm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이렇게 이격된 공간에는 절단된 혈관(V)의 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최소 1.2mm의 거리만큼 이격된다고 설명한 것은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유지링(110)의 곡률에 의해 결합부(131)의 내측면과의 거리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결합부(131)의 내측면이 휘어지는 지점부터 연장부(133)와 연결되는 타단까지의 높이는 3.5mm로 구비되고, 결합부(131)의 타단은 도 4에서와 같이 유지링(110)의 외주면 일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연장부(133)와 연결되는 결합부(131)의 타단의 두께는 3.7mm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31)의 너비는 6mm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133)는 일단이 결합부(131)의 타단과 연결되어 결합부(131)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마련되어 한 쌍을 이룰 수 있고, 한 쌍의 연장부(133)는 암 문합단(140)의 개구부(145)에 삽입됨으로써 숫 문합단(130)과 암 문합단(140)이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연장부(133)의 높이는 4mm로 형성되고, 연장부(133)의 두께는 1mm로 구비되며, 연장부(133)의 너비는 1.5mm로 구비되고, 결합부(131)에서 한 쌍의 연장부(133)가 연장됨에 있어 각 연장부(133)는 0.6mm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133)가 형성되는 위치는 결합부(131) 타단의 두께 3.7mm 중 유지링(110)의 외주면측으로부터 1.6mm만큼 떨어진 위치에 1mm의 두께를 갖는 연장부(133)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결합부(131)의 너비 6mm 중 결합부(131)의 너비 양측에 각각 1.2mm의 간격을 두고 1.5mm의 너비를 갖는 연장부(133)가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135)는 연장부(133)가 암 문합단(140)의 개구부(145)에 삽입되면 개구부(145)를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암 문합단(140)로부터 숫 문합단(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걸림부(135)는 연장부(133)의 타단과 연결되고 연장부(133)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마련되어 연장부(133)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135)의 높이는 1mm로 형성되고 걸림부(135)의 너비는, 1.5mm의 너비를 갖는 연장부(133)의 너비보다 0.5mm 더 큰 2mm의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33)의 너비를 초과하는 부분은 암 문합단(140)의 개구부(145)를 통과하고 제2 단부(143)의 일단에 걸려 암 문합단(140)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암 문합단(140)은 숫 문합단(130)과 체결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가 한 쌍(100-1, 100-2)으로 마련되어 서로 체결가능하도록 하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과 한 쌍을 이루는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의 숫 문합단(130')과 끼움 결합하기 위해 제1 단부(141), 제2 단부(143) 및 개구부(145)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단부(141)는 유지링(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암 문합단(140)을 유지링(110)에 부착되고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1 단부(141)의 높이 중 유지링(110)의 외주면에 부착된 내측면의 높이는 3.5mm로 구비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141)의 외측면이 일정 높이까지는 굴곡진 형상으로 마련되다가 일직선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굴곡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단부(141)의 외측면에 높이는 2.07mm이고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높이는 1.43mm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부(143)는 제1 단부(141)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숫 문합단(130)의 연장부(133)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숫 문합단(130)과 체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단부(143)의 전체 높이는 4mm이고 전체 두께는 4..9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단부(143)의 너비는 6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부(143)에서 유지링(11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내측면의 전체 높이 4mm 중에서 유지링(110)의 외주면과 직접 부착되는 높이는 0.5mm이고, 제2 단부(143)의 내측면 높이 중 나머지 3.5mm는 유지링(110)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부(143)의 내측면이 유지링(110)의 외주면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면 형성되는 공간에는 절단된 혈관(V)의 단부가 끼워지게 되는데, 도4에 도시된 제2 단부(143)와 유지링(110)의 외주면과의 이격거리는 1.2mm이다.
그리고 제2 단부(143)의 타단은 개구부(145)를 통과한 숫 문합단(130)의 걸림부(135)와 접촉함으로써 숫 문합단(130)이 암 문합단(140)에 체결되면 체결 결합된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가 의도하지 않은 외압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부(143)의 높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 문합단(130)의 결합부(131)와 마찬가지로 유지링(110)의 외주면 일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유지링(110)의 외주면 일단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개구부(145)는 제2 단부(143)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이러한 개구부(145)에는 숫 문합단(130)의 연장부(133)가 삽입되어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가 의도하지 않은 외압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이러한 개구부(145)의 너비는 4mm이고, 두께는 1.2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145)는 제2 단부(143)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이므로 개구부(145)의 높이는 제2 단부(143)의 전체높이인 4mm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혈관문합기(100)는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는 숫 문합단(130) 및 암 문합단(140)으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문합단(130, 140)을 포함함으로써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흡수성 혈관문합기인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는 문합 대상혈관(V1, V2) 중 하나의 혈관(V1) 단부에 체결고정되고 나머지 하나의 흡수성 혈관문합기인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는 문합 대상혈관(V1, V2) 중 나머지 하나의 혈관(V2) 단부에 체결고정되고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는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는 혈관벽이 이중으로 둘러싸여 외부와 차단되는 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혈관벽으로의 혈관공급이 원활해지도록 하여 혈관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흡수성 혈관문합기(100)의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흡수성 혈관문합기(100)가 흡수 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절단된 혈관을 문합하는 과정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는 유지링(110) 하나, 즉 내부링 및 외부링의 이중 링이 아닌 단일링을 사용함으로써 외부링을 체결하기 위한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혈관의 문합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 중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에 하나의 혈관(V1)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 중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에 하나의 혈관(V1)의 일부분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에 혈관(V1, V2)이 각각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V1, V2)이 각각 고정된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가 결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 한 쌍을 사용하여 절단된 혈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혈관 문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단계로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의 유지링 내부로 문합 대상혈관(V1, V2) 중 하나의 혈관(V1) 단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모습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의 유지링(110)의 내경으로 혈관(V1)이 삽입된다.
이후 제2 단계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혈관(V1) 단부를 뒤집어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의 유지링(110) 외주면에 위치한 복수개의 굽은 뿔(120-1~120-6) 중 기설정된 개수의 굽은 뿔(120-1, 120-3, 120-5)에 고정시킨다.
이 때 제2 단계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굽은 뿔(120-1, 120-3, 120-5)은 유지링(1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120도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마련된 뿔들이다.
이는 봉합사를 이용한 혈관 문합 시 문합된 부위의 혈관의 단부가 주름지거나 일그러져 문합 부위에 누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20도 간격으로 먼저 혈관을 고정한 후 나머지 부분을 문합하는 방법에 기초하여 상정된 것이다.
제2 단계가 수행되고 나면 제 3단계로 도 7에서와 같이 하나의 혈관(V1) 단부를 뒤집어 상기 유지링(110)의 외주면에 위치한 상기 복수개의 굽은 뿔(120-1~120-6) 중 나머지 굽은 뿔(120-2, 120-4, 120-6)에 고정시킨다. 제3단계를 통해 모든 굽은 뿔(120-1~120-6)은 하나의 혈관(V1)이 뒤집힌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숫 문합단(130)의 결합부(131)와 유지링(110)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 그리고 암 문합단(140)의 제2 단부(143)와 유지링(110)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도 하나의 혈관(V1)이 뒤집힌 상태로 삽입됨으로써 하나의 혈관(V1)의 단부는 유지링(110)의 일단에 씌워진 상태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하나의 혈관(V1)이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통해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에 고정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의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통해 문합 대상혈관(V1, V2) 중 나머지 하나의 혈관(V2) 단부 역시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에는 제 5단계로 도 8에서와 같이 제3 단계가 완료된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의 복수개의 문합단(130, 140)과 제4 단계가 완료된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의 복수개의 문합단(130', 140')이 체결되어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가 결합되는 경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와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에 마련된 문합단(130, 130', 140, 140')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의 숫 문합단(130)과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의 암 문합단(140)이 동일 선상에서 마주보도록 배치한 후 각각의 숫 문합단(130, 130')과 각각의 암 문합단(140, 140')이 서로 끼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의 개구부(145) 너비는 4mm이고, 개구부(145)를 통과하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의 한 쌍의 걸림부(135')의 총 너비는 4.6mm이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확대도에서와 같이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가 체결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에 마련된 숫 문합단(130')의 한 쌍의 걸림부(135')가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의 암 문합단(140)의 개구부(145)를 통과할 때는 한 쌍의 걸림부(135') 간의 거리를 좁혀 모아지면서 개구부(145)로 삽입되고, 개구부(145)를 통과한 후에는 다시 걸림부(135') 간의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걸림부(135')가 제2 단부(143)의 타단에 접촉함으로써 결합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8에서처럼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가 체결 결합되면 개구부(145)를 통과한 상태의 한 쌍의 걸림부(135')가 의도하지 않은 외압이 발생하지 않는 한 개구부(145)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인 제1 및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를 이용한 혈관 문합 방법은 도 8에서와 같이 혈관벽이 이중으로 둘러싸여 외부와 차단되는 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혈관벽으로의 혈관공급이 원활해지도록 하여 혈관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흡수성 혈관문합기(100)의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흡수성 혈관문합기(100)가 흡수 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절단된 혈관을 문합하는 과정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혈관문합기(100)는 유지링(110) 하나, 즉 내부링 및 외부링의 이중링이 아닌 단일링을 사용함으로써 외부링을 체결하기 위한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혈관의 문합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 10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성됨으로써 문합 대상혈관 간의 문합을 위해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므로, 흡수성 혈관문합기(100)를 제작함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의 형상으로 제작할 필요 없이 단일 형상으로만 제작한 후 동일한 형상의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100-1)와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100-2)가 쌍을 이루도록 하여 체결만 시키면 되므로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에 비하여 경제적으로도 효과적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흡수성 혈관문합기 100-1 :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
100-2 :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 110 : 유지링
120 : 굽은 뿔 130, 130' : 숫 문합단
131 : 결합부 133 : 연장부
135, 135' : 걸림부 140, 140' : 암 문합단
141 : 제1 단부 143 : 제2 단부
145 : 개구부

Claims (12)

  1. 절단된 혈관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흡수성 혈관문합기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유지링;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기설정된 방향으로 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굽은 뿔(curved horn); 및
    상기 복수개의 굽은 뿔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유지링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되, 상기 굽은 뿔이 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문합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혈관문합기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하나는 문합 대상혈관 중 하나의 혈관 단부에 체결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문합 대상혈관 중 나머지 하나의 혈관 단부에 체결고정되어,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는 상기 복수개의 문합단의 체결을 통해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합단은,
    상기 한 쌍의 흡수성 혈관문합기가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도록 암 문합단 및 숫 문합단을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숫 문합단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결합부;
    일단이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 문합단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단부의 내측면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숫 문합단 및 상기 암 문합단은,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어 하나의 굽은 뿔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여 교차 위치하고, 상기 유지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굽은 뿔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에서 상기 유지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60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9. 문합 대상혈관 중 하나의 혈관 단부에 고정되는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 및
    상기 문합 대상혈관 중 나머지 하나의 혈관 단부에 고정되는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 및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문합 대상혈관 간의 문합을 위해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며,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 및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 각각은,
    내경에 혈관 단부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유지링;
    상기 내경에 삽입된 상기 혈관 단부가 뒤집어져 상기 유지링의 일단에 씌워지면 상기 혈관 단부가 상기 유지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유지링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혈관 단부를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굽은 뿔(curved horn); 및
    상기 하나의 혈관 단부에 고정된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일단과 상기 나머지 하나의 혈관 단부에 고정된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일단이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면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굽은 뿔들 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유지링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문합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굽은 뿔에는 상기 내경에 삽입된 상기 혈관 단부가 뒤집어지면 뒤집힌 상기 혈관 단부가 고정되되, 상기 유지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기설정된 개수의 굽은 뿔에 먼저 뒤집힌 상기 혈관 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합단은,
    암 문합단 및 숫 문합단을 포함하여 마련되고,
    상기 암 문합단 및 상기 숫 문합단은,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어 하나의 굽은 뿔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여 교차 위치하고, 상기 유지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와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가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상기 암 문합단과 상기 숫 문합단은 각각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의 상기 숫 문합단과 상기 암 문합단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상기 제1 흡수성 혈관문합기와 상기 제2 흡수성 혈관문합기가 체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숫 문합단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되 상기 굽은 뿔이 굽은 방향과 반대방향인 상기 유지링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부;
    일단이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의 너비보다 큰 너비로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문합단은,
    상기 유지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혈관문합기.
KR1020210105601A 2021-08-10 2021-08-10 흡수성 혈관문합기 KR20230023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601A KR20230023458A (ko) 2021-08-10 2021-08-10 흡수성 혈관문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601A KR20230023458A (ko) 2021-08-10 2021-08-10 흡수성 혈관문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458A true KR20230023458A (ko) 2023-02-17

Family

ID=8532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601A KR20230023458A (ko) 2021-08-10 2021-08-10 흡수성 혈관문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34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72016A (zh) * 2023-08-03 2023-09-01 泓欣科创(北京)科技有限公司 血管吻合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04B1 (ko) 2011-12-12 2012-05-15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문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04B1 (ko) 2011-12-12 2012-05-15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문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72016A (zh) * 2023-08-03 2023-09-01 泓欣科创(北京)科技有限公司 血管吻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224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connecting conduits and closing openings in tissue
US8216259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joining non-conjoined lumens
US20040186489A1 (en) Anastomosis device
US2003008825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connecting vessels
JP2010536526A (ja) 吸収性血管吻合装置{Absorbablevascularanastomoticsystem}
KR20230023458A (ko) 흡수성 혈관문합기
Khadra et al. Advantages of polytetrafluoroethylene arteriovenous loops in the thigh for hemodialysis access
Turan et al. Eversion with four sutures: an easy, fast, and reliable technique for microvascular anastomosis
KR102224938B1 (ko) 생분해성 형상기억 고분자 필름 및 스텐트를 포함하는 혈관 문합 장치
ES2348961T3 (es) Composiciones y su uso para aumentar el acceso vascular.
Applebaum et al. Improved hemodialysis access in children
Neville et al. Distal vein patch with an arteriovenous fistula: a viable option for the patient without autogenous conduit and severe distal occlusive disease
Tetik et al. Use of continuous horizontal mattress suture techniques in microsurgery: an experimental study in rats
Radad et al. Clinical and pathological assessment of different suture techniques for microvascular anastomosis in rat femoral artery
CN105559837A (zh) 胰肠外引流硅胶3胰肠支架
US20210244409A1 (en) Suture material developed for end-to-end anastomosis
CN105534625A (zh) 胰肠内引流硅胶3胰肠支架
CN208838245U (zh) 免缝合支架人工血管、超弹编织固定环
CN112294381A (zh) 一种用于显微外科血管及淋巴管吻合的套管装置
RU2613080C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кровообращения у детей младшего возраста с функционально единственным желудочком сердца
KR101747131B1 (ko) 후크 클램프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Graver et al. Use of the variable-length intraluminal sutureless graft
Elkouri et al. Stapled aortic anastomoses: a minimally invasive, feasible alternative to videoscopic aortic suturing?
CN109350156A (zh) 一种医用吻合器及其使用方法
US9687240B2 (en) Implant for facilitating sutureless side-to-side arteriovenous fistula creation and maintaining pat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