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925A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925A
KR20230022925A KR1020230014971A KR20230014971A KR20230022925A KR 20230022925 A KR20230022925 A KR 20230022925A KR 1020230014971 A KR1020230014971 A KR 1020230014971A KR 20230014971 A KR20230014971 A KR 20230014971A KR 20230022925 A KR20230022925 A KR 20230022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unit
tank
sterilizing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086B1 (ko
Inventor
엄주혁
이정환
주우진
신현수
박순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4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08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원수를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만드는 살균수 생성부; 및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에 연결된 제1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 대신에 제2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추출코크;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는 등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는 동안에도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장치는 물을 여과하는 등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처리장치로 정수기나 연수기 또는 이온수기 등이 있다.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물, 예컨대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 등은 일반적으로 저장탱크 등을 포함하는 저장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부에 저장된 처리된 물이 추출코크 등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장시간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저장부에는 물때 등이 낄 수 있으며 외부의 세균이 유입되어 번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위생성이 저하되고 사용자에게 위생성이 낮은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저장부를 주기적으로 살균하여 저장부의 위생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위생성이 높은 물을 공급하였다. 그러나, 저장부의 살균을 위해서는, 저장부에 살균수가 유입되도록 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저장부가 살균되는 동안에 사용자는 처리된 물, 예컨대 정수를 공급받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하는 동안에도 사용자에게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저장부와 별도로 여과부에서 여과되는 정수를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원수를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만드는 살균수 생성부; 및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에 연결된 제1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 대신에 제2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추출코크; 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추출코크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를 세척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 대신에 상기 제2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는 동안, 상기 제1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추출코크로의 살균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추출코크로 정수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와 별도로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가 살균수에 의하여 살균되는 동안에 상기 제2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추출코크로 정수를 공급하는 간이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의 살균이 끝난 후에 상기 간이저장부에 저장된 정수는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간이저장부는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간이저장부는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된 후 세척수에 의해서 세척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정수필터는 복수개이며, 상기 살균수 생성부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정수필터 중 적어도 일부의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만들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된 후 상기 복수개의 정수필터에 포함되는 멤브레인필터 이외의 다른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인 세척수에 의해서 세척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별도로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를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하는 동안에도 사용자에게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과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100)는 여과부(200), 저장부(300), 살균수 생성부(400) 및, 간이저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0)는 원수를 여과하는 정수필터(210,220,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0)는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원수공급유로(L1)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공급원의 원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유로(L1)를 통해 여과부(200)에 유입될 수 있다.
여과부(200)에는 복수개의 정수필터(210,220,23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정수필터(210,220,2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복합필터(210)와 멤브레인필터(220) 및 카본필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정수필터(210,220,230)의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들의 조합이라도 가능하다.
여과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정수필터(210,220,230)도 포함할 수도 있지만, 물을 여과할 수 있다면 하나의 정수필터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전술한 멤브레인필터(220)는, 예컨대 원수의 일부는 여과되고 나머지는 여과되지 못하여 생활용수로서 외부로 배수되는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일 수 있다.
그러나, 멤브레인필터(220)는 UF멤브레인(중공사막)필터일 수도 있으며, 멤브레인필터라면 주지의 어떠한 멤브레인필터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전처리 복합필터(210)와 멤브레인필터(220) 및 카본필터(230)는 정수유로(L2,L5,L6,L7)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공급유로(L1)에 의해서 여과부(200)에 유입된 원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복합필터(210)와 멤브레인필터(220) 및 카본필터(230)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여과되어 정수가 될 수 있다.
정수유로(L2)에는 원수차단밸브(NOS)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차단밸브(NOS)가 열리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여과부(200)에 유입되고, 원수차단밸브(NOS)가 닫히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여과부(200)에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정수유로(L5)에는 피드밸브(FV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피드밸브(FV1)가 열리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복합필터(21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가 멤브레인필터(22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밸브(FV1)가 닫히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복합필터(21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가 멤브레인필터(220)에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정수유로(L7)에는 탱크입수 유로전환밸브(V1)가 구비될 수 있다. 탱크입수 유로전환밸브(V1)는 필터드레인유로(DL3)에 의해서 메인드레인유로(DL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본필터(23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가 탱크입수 유로전환밸브(V1)에 의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입수유로(L8)를 통해 저장부(300)에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터드레인유로(DL3)를 통해 메인드레인유로(DL1)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필터(220)가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일 때, 멤브레인필터(220)는 생활용수유로(L11)에 의해서 메인드레인유로(DL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의해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는 생활용수유로(L11)를 통해 메인드레인유로(DL1)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생활용수유로(L11)에는 물의 여과를 위해서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서 필요한 압력이 생성되도록 생활용수밸브(DV)가 구비되며, 생활용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역류방지밸브(CV2)가 구비될 수 있다.
원수차단밸브(NOS)에는 살균수 생성부(400)에 연결되는 살균수 생성유로(L3)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살균수 생성유로(L3)에는 정수유로(L6)에 연결된 바이패스유로(L4)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유로(L4)에는 피드밸브(FV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드밸브(FV3)가 열리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복합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가 멤브레인필터(22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유로(L4)를 통해 카본필터(230)에 유입되어 카본필터(230)에 의해서 여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멤브레인필터(220)에 의해서 여과되지 않고 전처리 복합필터(210)와 카본필터(23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는 세척수가 되어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된 저장부(300)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할 수 있다.
저장부(30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저장부(300)는 탱크입수유로(L8)에 의해서 여과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300)는,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310)와 냉수탱크(320) 및 온수탱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탱크(310)는 탱크입수유로(L8)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는 탱크입수유로(L8)를 통해 정수탱크(310)에 유입되어 정수탱크(310)에 저장될 수 있다.
냉수탱크(320)는 정수탱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냉수탱크(320)는 정수탱크(310)와 일체로 되며, 연결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분리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정수탱크(310)와 구획될 수 있다. 그러나, 냉수탱크(320)는 정수탱크(310)와 별도로 되며 연결유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냉수탱크(32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도시되지 않음) 등의 냉각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탱크(310)로부터 냉수탱크(320)에 유입되어 저장된 정수가 냉각유닛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될 수 있다.
온수탱크(330)는 정수탱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온수탱크(330)는, 예컨대 연결유로에 의해서 정수탱크(3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온수탱크(330)는 정수탱크(310)와 일체로 되고, 연결구멍이 형성된 분리부재에 의해서 정수탱크(310)와 구획될 수도 있다.
온수탱크(330)에는 전열선 등의 가열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탱크(310)로부터 온수탱크(330)에 유입되어 저장된 정수가 가열유닛에 의해서 가열되어 온수가 될 수 있다.
온수탱크(33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온수드레인유로(DL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온수드레인유로(DL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드레인유로(DL1)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300)에 포함되는 구성은 전술한 정수탱크(310)와 냉수탱크(320) 및 온수탱크(330)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중 하나나 둘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구성, 예컨대 정수탱크(310)나 냉수탱크(320) 또는 온수탱크(330)에 구비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300)는 탱크살균유로(L9)에 의해서 살균수 생성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 생성부(400)에서 만들어진 살균수가 저장부(300)에 유입되어 저장부(30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00)는 추출유로(PL1,PL2,PL3)에 의해서 추출코크(6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저장부(300)에 저장된 정수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유로(PL1,PL2,PL3)와 추출코크(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300)가 정수탱크(310)와 냉수탱크(320) 및 온수탱크(330)를 포함하는 경우에, 추출유로(PL1,PL2,PL3)는 정수탱크(310)에 연결된 정수추출유로(PL1)와 냉수탱크(320)에 연결된 냉수추출유로(PL2) 및 온수탱크(330)에 연결된 온수추출유로(PL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수추출유로(PL1)와 냉수추출유로(PL2) 및 온수추출유로(PL3)에는 각각 정수추출밸브(WV1)과 냉수추출밸브(WV2) 및 온수추출밸브(WV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추출밸브(WV1)가 열리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310)에 저장된 정수가 정수추출유로(PL1)와 추출코크(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냉수추출밸브(WV2)가 열리면, 냉수탱크(320)에 저장된 냉수가 냉수추출유로(PL2)와 추출코크(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추출밸브(WV3)가 열리면, 온수탱크(330)에 저장된 온수가 온수추출유로(PL3)와 추출코크(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추출유로(PL1,PL2,PL3)에는 코크부 유로전환밸브(V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코크부 유로전환밸브(V2)에는 메인드레인유로(DL1)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에 저장된 정수나 냉수 또는 온수가 코크부 유로전환밸브(V2)에 의해서 추출유로(PL1,PL2,PL3)와 추출코크(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를 살균한 살균수나,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된 저장부(300)를 세척한 세척수가 코크부 유로전환밸브(V2)에 의해서 추출유로(PL1,PL2,PL3)를 통해 메인드레인유로(DL1)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메인드레인유로(DL1)에는 배수펌프(8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드레인유로(DL1)를 통한 살균수나 세척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배수펌프(800) 후단의 메인드레인유로(DL1)에는 역류방지밸브(CV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메인드레인유로(DL1)를 유동하는 살균수나 세척수 등이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살균수 생성부(400)는 정수필터(210,220,23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살균수 생성부(400)는 살균수 생성유로(L3)에 의해서 여과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살균수 생성유로(L3)에는 피드밸브(FV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피드밸브(FV2)가 열리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10,220,23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가 살균수 생성부(40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살균수 생성유로(L3)에는 정유량밸브(CFV)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210,220,230)에 의해서 여과된 일정 유량의 정수가 살균수 생성부(400)에 유입될 수 있다.
살균수 생성부(400)는, 예컨대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살균수 생성부(400)에서 살균수를 만드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살균수를 만드는 구성이라면 살균수 생성부(400)에 유입된 정수에 살균제를 투입하여 살균수를 만드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살균수 생성부(400)는 탱크살균유로(L9)에 의해서 저장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탱크살균유로(L9)에는 피드밸브(FV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드밸브(FV4)가 열리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 생성부(400)에서 만들어진 살균수가 탱크살균유로(L9)를 통해 저장부(300)에 유입되어 저장부(300)를 살균할 수 있다.
살균수 생성부(400)는 코크살균유로(L10)에 의해서 추출유로(PL1,PL2,PL3)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코크살균유로(L10)에는 피드밸브(FV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드밸브(FV5)가 열리면 살균수 생성부(400)에서 만들어진 살균수가 코크살균유로(L10)를 통해 추출코크(600)에 유입되어 추출코크(600)를 살균할 수 있다. 추출코크(600)를 살균한 살균수는 추출코크(600)에 연결된 드레인용기(700)에 담길 수 있다. 그러나, 메인드레인유로(DL1)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수될 수도 있다.
살균수 생성부(400)에는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정수필터(210, 220, 230) 중 적어도 일부의 정수필터(210, 220, 23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만들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 생성유로(L3)는 정수유로(L2)에 연결됨으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복합필터(21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가 살균수 생성부(400)에 유입되어 살균수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전처리 복합필터(210)와 멤브레인필터(22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가 살균수 생성부(400)에 유입되어 살균수를 만들 수도 있으며,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모든 정수필터(210,220,23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가 살균수 생성부(400)에 유입되어 살균수를 만들 수도 있다.
간이저장부(500)는 저장부(300)와 별도로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는 동안에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간이저장부(500)는 여과부(200)에 연결되는 간이저장탱크(510)를 포함할 수 있다. 간이저장탱크(510)는 간이탱크 저장유로(L12)에 의해서 여과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간이탱크 저장유로(L12)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유로(L7)와 탱크입수유로(L8)가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되어 여과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간이저장탱크(510)는 간이탱크 추출유로(L13)에 의해서 추출코크(6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탱크 추출유로(L13)는 코크부 유로전환밸브(V2)와 추출코크(600) 사이의 추출유로(PL1,PL2,PL3)에 연결되어 추출코크(6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간이탱크 저장유로(L12)에는 간이탱크 저장밸브(EV1)가 구비되고, 간이탱크 추출유로(L13)에는 간이탱크 추출밸브(EV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부(300)에 저장되는 경우에, 간이탱크 저장밸브(EV1)가 열리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간이저장부(500)의 간이저장탱크(51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부(300)와 간이저장탱크(510)에 함께 저장될 수도 있지만, 저장부(300)에만 또는 간이저장탱크(510)에만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에 의해서 저장부(300)가 살균되는 동안에 간이탱크 추출밸브(EV2)가 열리면 간이저장탱크(510)에 저장된 정수가 간이탱크 추출유로(L13)와 추출코크(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살균수에 의한 저장부(300)의 살균이 끝난 후에 간이저장탱크(510)에 저장된 정수는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이저장탱크(510)에 정수가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간이저장탱크(510)에 정수가 장시간 저장되어 간이저장탱크(510)에 물때가 끼거나 외부에서 유입된 세균이 번식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서 간이저장탱크(510)의 위생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간이탱크 추출유로(L13)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드레인유로(DL1)에 간이탱크 드레인유로(DL4)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간이탱크 추출유로(L13)와 간이탱크 드레인유로(DL4)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간이탱크 유로전환밸브(V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이저장탱크(510)에 저장된 정수가 간이탱크 드레인유로(D4)로 유동하도록 간이탱크 유로전환밸브(V3)를 조작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저장탱크(510)에 저장된 정수가 간이탱크 추출유로(L13)와 간이탱크 드레인유로(DL4)를 통해 메인드레인유로(DL1)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간이저장탱크(510)에 저장된 정수가 간이탱크 추출유로(L13)로 유동하도록 간이탱크 유로전환밸브(V3)를 조작하면,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저장탱크(510)에 저장된 정수가 추출코크(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00)는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된 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에 의해서 세척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밸브(FV1,FV2)가 닫힌 상태에서 피드밸브(FV3)를 열면, 전처리 복합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가 멤브레인필터(220)에 유입되지 않고 카본필터(230)에 유입되고 여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멤브레인필터(220) 이외에 전처리 복합필터(210)와 카본필터(23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인 세척수는 정수유로(L7)와 탱크입수유로(L8)를 통해 저장부(30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된 저장부(300)를 세척할 수 있다. 저장부(300)를 세척한 세척수는 코크부 유로전환밸브(V2)에 의해서 추출유로(PL1,PL2,PL3)와 메인드레인유로(DL1)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간이저장부(500)는 저장부(300)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된 후 세척수에 의해서 세척되는 동안에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가 살균된 후 세척될 때에도, 간이저장탱크(510)에 저장된 정수가 간이탱크 유로전환밸브(V3)와 간이탱크 추출밸브(EV2)에 의해서 간이탱크 추출유로(L13)와 추출유로(PL1,PL2,PL3)를 유동하여 추출코크(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저장부(300)의 세척이 끝난 후에 간이저장탱크(510)에 저장된 정수는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저장탱크(510)에 저장된 정수는 간이탱크 유로전환밸브(V3)에 의해서 간이탱크 추출유로(L13)와 간이탱크 드레인유로(DL4)를 통해 메인드레인유로(DL1)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
이하, 도6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7과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와 간이저장탱크(510)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서 간이저장탱크(510)는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저장탱크(510)는 간이탱크 살균유로(L14)에 의해서 살균수 생성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간이탱크 살균유로(L14)에는 간이탱크 살균밸브(SV)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이탱크 살균밸브(SV)가 열리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 생성부(400)에서 만들어진 살균수가 간이저장탱크(510)에 유입되어 간이저장탱크(51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간이저장탱크(510)를 살균한 살균수는 간이탱크 유로전환밸브(V3)에 의해서 간이탱크 추출유로(L13)와 간이탱크 드레인유로(DL4)를 통해 메인드레인유로(DL1)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간이저장탱크(5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된 후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에 의해서 세척될 수 있다.
간이저장탱크(510)를 세척하는 세척수는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정수필터(210,220,230)의 일부 또는 전체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일 수 있다. 이러한 세척수는 간이탱크 저장밸크(EV1)가 열리면, 간이탱크 저장유로(L12)를 통해 간이저장탱크(510)에 유입되어 간이저장탱크(510)를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간이저장탱크(510)를 세척한 세척수는 전술한 살균수와 같이 간이탱크 유로전환밸브(V3)에 의해서 간이탱크 추출유로(L13)와 간이탱크 드레인유로(DL4)를 통해 메인드레인유로(DL1)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이러한 간이저장탱크(510)의 살균 또는 살균과 세척은 별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부(300)에 저장되고 추출코크(60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과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별도로 여과부에서 여과되는 정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부를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하는 동안에도 사용자에게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처리장치 200 : 여과부
210 : 전처리 복합필터 220 : 멤브레인필터
230 : 카본필터 300 : 저장부
310: 정수탱크 320 : 냉수탱크
330 : 온수탱크 400 : 살균수 생성부
500 : 간이저장부 510 : 간이저장탱크
600 : 추출코크 700 : 드레인용기
800 : 배수펌프 NOS : 원수차단밸브
CV1, CV2 : 역류방지밸브 DV : 생활용수밸브
FV1, FV2, FV3, FV4, FV5 : 피드밸브 CFV : 정유량밸브
WV1 : 정수추출밸브 WV2 : 냉수추출밸브
WV3 : 온수추출밸브 EV1 : 간이탱크 저장밸브
EV2 : 간이탱크 추출밸브 SV : 간이탱크 살균밸브
V1 : 탱크입수 유로전환밸브 V2 : 코크부 유로전환밸브
V3 : 간이탱크 유로전환밸브 DL1 : 메인드레인유로
DL2 : 온수드레인유로 DL3 : 필터드레인유로
DL4 : 간이탱크 드레인유로 L1 : 원수공급유로
L2, L5, L6, L7 : 정수유로 L3 : 살균수 생성유로
L4 : 바이패스유로 L8 : 탱크입수유로
L9 : 탱크살균유로 L10 : 코크살균유로
L11 : 생활용수유로 L12 : 간이탱크 저장유로

Claims (9)

  1. 원수를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만드는 살균수 생성부; 및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에 연결된 제1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 대신에 제2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추출코크;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코크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를 세척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 대신에 상기 제2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는 동안, 상기 제1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추출코크로의 살균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추출코크로 정수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와 별도로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저장부가 살균수에 의하여 살균되는 동안에 상기 제2 추출유로를 통하여 상기 추출코크로 정수를 공급하는 간이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살균이 끝난 후에 상기 간이저장부에 저장된 정수는 외부로 배수되는 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저장부는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는 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저장부는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된 후 세척수에 의해서 세척되는 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는 복수개이며, 상기 살균수 생성부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정수필터 중 적어도 일부의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만드는 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된 후 상기 복수개의 정수필터에 포함되는 멤브레인필터 이외의 다른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인 세척수에 의해서 세척되는 수처리장치.
KR1020230014971A 2015-03-26 2023-02-03 수처리장치 KR102634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971A KR102634086B1 (ko) 2015-03-26 2023-02-03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221A KR20160116142A (ko) 2015-03-26 2015-03-26 수처리장치
KR1020230014971A KR102634086B1 (ko) 2015-03-26 2023-02-03 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221A Division KR20160116142A (ko) 2015-03-26 2015-03-26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925A true KR20230022925A (ko) 2023-02-16
KR102634086B1 KR102634086B1 (ko) 2024-02-07

Family

ID=571453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221A KR20160116142A (ko) 2015-03-26 2015-03-26 수처리장치
KR1020230014971A KR102634086B1 (ko) 2015-03-26 2023-02-03 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221A KR20160116142A (ko) 2015-03-26 2015-03-26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1161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646B1 (ko) * 2018-10-10 2024-01-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10115962A (ko) * 2020-03-17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704A (ko) * 2011-05-31 2012-1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기기
KR20140071833A (ko) * 2012-12-04 2014-06-12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704A (ko) * 2011-05-31 2012-1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기기
KR20140071833A (ko) * 2012-12-04 2014-06-12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142A (ko) 2016-10-07
KR102634086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4086B1 (ko) 수처리장치
KR20170067579A (ko) 수처리 장치
KR20230160221A (ko) 수처리장치
KR101293233B1 (ko) 정수기
KR20170074641A (ko) 수처리장치
KR102462650B1 (ko) 수처리장치, 수처리장치의 세척시스템 및 그 세척방법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1987801B1 (ko) 수처리장치
KR101296549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521937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CN110316888B (zh) 一种自循环消毒的柜式纯水处理设备
CN210438556U (zh) 一种自循环消毒的柜式纯水处理设备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30131964A (ko)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KR20130009327A (ko) 정수기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KR101305328B1 (ko) 정수기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70074643A (ko) 수처리장치
KR101305330B1 (ko) 정수기
KR20120113166A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KR101446128B1 (ko) 수처리방법
KR20120078137A (ko) 살균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온수기 및 그의 살균방법
KR20240050791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