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668A -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 Google Patents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668A
KR20230022668A KR1020210104699A KR20210104699A KR20230022668A KR 20230022668 A KR20230022668 A KR 20230022668A KR 1020210104699 A KR1020210104699 A KR 1020210104699A KR 20210104699 A KR20210104699 A KR 20210104699A KR 20230022668 A KR20230022668 A KR 20230022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lowers
opening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328B1 (ko
Inventor
강선영
Original Assignee
강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영 filed Critical 강선영
Priority to KR1020210104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32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3Needle cushions or needle plates for supporting flowers in pots or v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A47G7/07Guiding means for flowers in vases, e.g. perforated covers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꽃다발이 투입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개방구로 꽃다발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개방구에 의해 상기 꽃다발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CONTAINER FOR FROWER}
본 발명은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꽃병은 단순하게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통 형상으로, 화병 본체 상부에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꽃이 수용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따라서 투입구의 크기보다 적은 양의 꽃다발을 꽂아 놓게 되면 꽃이 퍼져 옆으로 누워버리게 되어 미적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었으며, 투입구의 크기보다 많은 양의 꽃다발을 꽂는 경우는 무리가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다양한 크기의 투입구를 가진 꽃병을 각각 구매하거나, 일정한 크기의 투입구를 가진 꽃병의 비실용성으로 인하여 구매 의욕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꽃다발 포장을 위해 사용된 일회성 포장지나 바구니 등은 재활용이 불가능한 일반 쓰레기로 분리하여 배출해야 하여 많은 쓰레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꽃의 양에 맞는 적정한 꽃병이 집에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꽃다발을 아무 통에나 꽂는 등 난감한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포장지로 감싼 꽃다발 형식의 포장은 수분 공급과 보충이 쉽지 않아 꽃다발 상태로 장시간 노출하게 되면 꽃이 쉽게 시든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986호(2015.08.06.)
본 발명은 꽃이 투입되는 투입구의 조절이 가능하여, 하나의 용기로 다양한 양의 꽃을 꽂을 수 있게 만들어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분 부족으로 인해 꽃의 시듬 없이 장시간 꽃의 휴대를 가능하게 하고, 포장지, 바구니 등의 일회성 쓰레기 배출이 발생하지 않으며, 별도의 준비된 꽃병 없이도 꽃다발 작품 그대로를 계속 유지하고 감상할 수 있으며, 영구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꽃다발을 포장하여 휴대용으로 사용도 가능하며, 집에서 꽃다발을 장식해두고 사용할 수 있는 영구 사용도 가능한,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꽃다발이 투입되는 투입구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하나의 용기로 다양한 양의 꽃을 꽂을 수 있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꽃다발이 투입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개방구로 꽃다발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개방구에 의해 상기 꽃다발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캡에는, 상기 개방구에서부터 상부까지 복수개가 이격 되며 형성되는 상기 개방구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의 상기 캡을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캡의 소정 높이를 절개하여 분리함에 따라, 상기 개방구의 크기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에는, 일 측에 상하 길이를 따라 절단된 부분인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을 통해 절단된 상기 캡의 양 단을 외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캡 내측 공간을 개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에는, 상기 절개선이 형성된 양 측 상단 각각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양 측의 상기 고리부에는 고정밴드가 설치 가능하며, 상기 고정밴드가 상기 절개선 양 측의 상기 고리부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캡 내부가 차폐된 상태의 형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일 영역 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침이 형성되어, 꽃의 줄기 또는 식물의 끝 단부가 상기 고정침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침봉을 포함하는 식물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꽃의 줄기 또는 식물의 끝 단부가 상기 침봉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꽃이 투입되는 투입구의 조절이 가능하여, 하나의 용기로 다양한 양의 꽃을 꽂을 수 있다.
또한, 수분 부족으로 인해 꽃의 시듬 없이 장시간 꽃의 휴대를 가능하게 하고, 포장지, 바구니 등의 일회성 쓰레기 배출이 발생하지 않으며, 별도의 준비된 꽃병 없이도 꽃다발 작품 그대로를 계속 유지하고 감상할 수 있으며, 영구적으로 재사용 가능하다.
또한, 꽃다발을 포장하여 휴대용으로 사용도 가능하며, 집에서 꽃다발을 장식해두고 사용할 수 있는 영구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꽃다발이 투입되는 투입구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하나의 용기로 다양한 양의 꽃을 꽂을 수 있다.
또한, 꽃의 포장과 휴대, 그리고 보관이 쉬워짐으로써 좀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쉽고 편하게 꽃을 가까이 두고 즐기고 사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에 꽃다발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이 꽃다발의 양에 따라 변형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이 조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더 포함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11는 도 10에 따른 뚜껑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에 돌기부가 더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에 조명부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에 꽃다발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이 꽃다발의 양에 따라 변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1)는 본체(10), 캡(20) 및 식물고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다양한 형상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수용공간(11), 투입구(12) 및 고정침(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11)은 본체(10) 내부의 공간으로써, 수용공간(11)에 꽃다발 혹은 식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공간(11)에는 꽃의 줄기나 식물의 뿌리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투입구(12)는 본체(10)의 개방된 상단으로써, 투입구(12)에 후술할 캡(20)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침(13)은 본체(10) 내부의 바닥면의 일 영역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침(13)은 본체(10) 내부의 바닥면 중심부의 소정의 영역내에서 복수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고정침(13)은 서로의 이격 간격이 촘촘하게 형성됨으로써, 꽃의 줄기나 식물의 끝 단부가 복수의 고정침(13)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고정침(13)의 상단은 점차 직경이 얇아지는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꽃 줄기의 하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고정침(13)에 꽃 줄기의 하단이 꽂히는 형태가 됨으로써, 꽃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캡(20)은 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캡(20)은 본체(10)의 투입구(12)에 안착될 수 있다. 캡(2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꽃다발이 투입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개방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캡(20)은 고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캡(20)은 원형 둘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캡(20)은 본체(10)의 형상에 따라 사다리꼴 형상의 4개의 면이 사각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고깔 형상의 캡(20)이 본체(10)의 상부에 안착될 때, 캡(20)의 폭이 좁아지는 부분이 하측에 위치되어 본체(10) 내부로 삽입되어, 캡(20)의 폭이 가장 넓은 부분은 본체(10)의 투입구(12)의 폭 이상으로 형성되어, 캡(20)의 폭이 가장 넓은 상부가 본체(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캡(20)은 개방구(21), 절취선(22), 절개선(23), 고리부(24) 및 고정밴드(25)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구(21)는 캡(20)의 하단의 개방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캡(20)이 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꽃 한송이 또는 꽃다발을 꽂는 경우 개방구(21) 상측의 캡(20) 내측에 꽃다발이 안착되고, 개방구(21)를 통해 꽃의 줄기가 본체(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개방구(21)로 꽃다발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개방구(21)에 의해 상기 꽃다발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꽃의 양에 따라, 절취선(22)을 이용하여 캡(20)의 하부를 절개함에 따라 개방구(21) 크기를 조절하여 개방구(21)에 삽입된 꽃다발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절취선(22)은 개방구(21)에서부터 상부까지 복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으며, 절취선(22)은 개방구(21)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과 같이 개방구(21)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절취선(22)은 캡(20)의 둘레를 따라 개방구(21)와 소정 간격씩 이격되며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의 캡(20)에 절취선(22)이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의 절취선(22) 중 어느 하나의 절취선(22)을 따라 캡(20)의 소정 높이를 절개하여 분리함에 따라, 개방구(21)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절취선(22)을 따라 캡(20)의 소정 높이를 절개하기 전의 개방구(21)의 크기는 꽃 한송에서 꽃 다섯 송이 정도의 꽃 줄기가 고정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꽃다발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절취선(22)을 따라 캡(20)의 하부를 절개하여 양이 증가된 꽃다발이 안정적으로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절개선(23)는 일 측에 상하 길이를 따라 절단된 부분일 수 있다. 절개선(23)를 통해 절단된 캡(20)의 양 단을 외측으로 벤딩하는 경우, 캡(20) 내측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일 예로, 개방구(21)는 꽃의 줄기의 양에 맞춰져 있는 상태인데, 꽃의 잎부분인 꽃다발 상단부는 부피가 줄기 부분에 비해서 크다. 따라서, 꽃다발을 안정적으로 캡(20) 내부에 위치시키기 위해, 절개선(23)를 통해 양 단을 외측으로 벌려서 개방구(21)로 꽃다발의 줄기를 위치시킨 후에 다시 절개선(23)가 형성된 캡(20)의 양 단이 접촉되도록 하여 꽃다발의 줄기를 개방구(21)에 위치시킬 수 있다.
고리부(24)는 절개선(23)의 양 측 상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양 측의 고리부(24)에는 고정밴드(25)가 묶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밴드(25)가 양 측의 고리부(24)에 걸려서, 고정밴드(25)가 절개선(23) 양 측의 고리부(24)를 고정함에 따라 캡(20) 내부가 차폐된 상태의 형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밴드(25)에는 식물 이름표, 물 주는 시기 등이 기입된 카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밴드(25)는 밴드, 리본, 꽃설명서끈 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20)은 탄성고정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고정부(27)는 캡(20) 하부의 소정 길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고정부(27)는 캡(20)의 개방구(21)가 형성된 하단에서부터 상측으로 소정 길이로, 하부 둘레가 일정 간격씩 절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구(21)로 삽입되는 꽃의 양에 따라 복수의 탄성고정부(27)가 서로 이격 또는 인접해짐으로써, 개방구(21)에 삽입되는 꽃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캡(20)에 삽입되는 꽃의 양이 많은 경우, 개방구(21)로 삽입되는 꽃의 줄기가 두껍게 되고, 이에 따라, 하단이 서로 복수개로 분리되어 있는 탄성고정부(27)의 하부가 꽃다발의 양에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식물고정부(30)는 본체(10)에 삽입되어, 본체(10) 내부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식물고정부(30)는 하판(31) 및 침봉(32)을 포함할 수 있다.
하판(31)에는 홀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홀부(311)는 하판(3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홀 로써,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침(13)의 영역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판(31)이 본체(10) 내부에 안착될 때, 홀부(311)를 통해 고정침(13)에 관통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침봉(32)은 하판(31)에서 상부로 복수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침봉(32)은 상단이 얇아지는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침봉(32)은 서로의 이격 간격이 촘촘하게 형성됨으로써, 꽃의 줄기나 식물의 끝 단부가 복수의 고정침(13)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뾰족한 형태의 침봉(32)이 꽃 줄기의 하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침봉(32)이 꽃 줄기의 하단이 꽂히는 형태가 됨으로써, 꽃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절취선(22)에 의해 캡(20)의 높이가 변형될 수 있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 3송이가 꽂아지는 경우, 절취선(22)에 의해 캡(20)이 절개되지 않은 상태로써, 개방구(21)는 D1의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높이는 L1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탄성고정부(27)가 개방구(21)에 삽입되는 꽃의 양에 따라 서로 이격되거나 인접되어, 꽃을 고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꽃이 꽂아지는 경우, 복수의 절취선(22) 중 어느 하나의 절취선(22)에 의해 캡(20)이 절개됨으로써, 개방구(21)의 직경은 D1보다 큰 D2 직경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높이는 L1보다 짧은 길이인 L2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이 조임망(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캡(20)은 조임망(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임망(28)은 캡(20) 하부의 소정 높이가 망 형태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일 예로, 조임망(28)은 그물망이나 철망 등과 같이 망 형태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구(21)로 삽입되는 꽃의 양에 따라 조임망(28)이 인장되어, 개방구(21)에 삽입되는 꽃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캡(20)에 삽입되는 꽃의 양이 많은 경우, 개방구(21)로 삽입되는 꽃다발 전체의 줄기 두께가 두껍게 되고, 이에 따라 조임망(28) 하단의 개방구(21)가 인장될 수 있다.
이때, 조임망(28)은 복원하려는 탄성을 가지며 형성되기 때문에, 개방구(21)로 삽입되는 꽃다발 줄기를 조이며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40)을 더 포함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뚜껑(4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1)는 뚜껑(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40)은 캡(20)의 상단에 위치되어, 꽃다발의 상부가 벌어지지 않고 모아지도록 고정할 수 있다.
뚜껑(40)은 입구부(41), 절취라인(42) 및 절개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40)은 입구부(41)가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뚜껑(40)은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예를 들어,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40)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고깔 형태일 수 있다. 입구부(41)는 뚜껑(40)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 꽃다발이 삽입될 수 있다.
절취라인(42)은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절취라인(42) 형상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꽃다발의 양에 따라 절취라인(42)을 따라서 뚜껑(40) 상단의 입구부(41)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절개라인(43)은 뚜껑(40)의 측면에 형성되어 뚜껑(40)이 양 단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개라인(43)은 캡(20)의 절개선(23)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뚜껑(40)의 높이 A는 캡(20)의 높이 B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뚜껑(40)이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되는 길이에 의해 꽃다발을 꽂았을 때, 본체(10)가 옆으로 쓰러지지 않을 수 있도록, 뚜껑(40)의 높이 A는 본체(10) 높이의 1/10 길이 이내 및 캡(20)의 높이 B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뚜껑(40)이 안착되는 경우, 꽃다발 줄기의 상부를 개방구(21)로 고정함으로써, 꽃다발이 퍼지지 않고 이쁘게 모여진 형태로 장식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1)는, 절취선(22)을 따라 캡(20)이 절개될 수 있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꽃집에서 포장시에 꽃다발 양에 따라 개방구(21)를 조절하여 포장 판매할 수 있고, 구매자는 그대로 집에 장식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포장지 등 쓰레기 배출 없이 꽃 포장 및 보관 장식이 용이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20)에 돌기부(26)가 더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캡(20)에 돌기부(2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6)는 캡(20)의 내측면에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26)는 복수의 절취선(22)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돌기부(26)가 형성되는 경우, 캡(20)의 절취선(22)을 따라 절개한 하측 부분을 도 12b와 같이 상측 부분의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절개된 하측 부분의 캡(20)은 상측 부분의 캡(20) 내측면에서 돌출된 돌기부(26)에 안착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절개된 하부가 절개된 상부 내측에 위치되는 경우, 절개된 하부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좁은 형태가 되도록 개방구(21)의 위치를 상측으로 위치시키고, 절개된 상부는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좁은 형태를 유지하여 크기가 커진 개방구(21)가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2b와 같이, 절개된 하부를 상부 내측에 안착시킴으로써, 꽃다발의 줄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뿐만 아니라, 꽃다발 줄기의 상부도 모아줌으로써 장식을 더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5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50)은 도 1 또는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캡(20)의 상단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판(50)은 본체(10)의 투입구(12)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본체(10)의 투입구(12)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고정판(50)은 제1 플레이트(51) 및 제2 플레이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51)는 중심홀(511) 및 끼움홀(512)을 포함하며, 제2 플레이트(52)는 메인홀(521) 및 인입홀(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51)와 제2 플레이트(52)가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상태로 고정되며, 축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측에 위치되는 제2 플레이트(52)는 제1 플레이트(51)의 상면에서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되, 소정 직경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51) 상측에 제2 플레이트(52)가 고정되는 경우, 중심홀(511)과 메인홀(521)은 서로 동일한 위치 및 직경으로 형성되며 개방구(21)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끼움홀(512)과 인입홀(522)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52)를 회전시킴에 따라 끼움홀(512)과 인입홀(522)은 연통시킬 수도 있고, 엇갈리게 위치시켜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판(50)은 중심홀(511)과 메인홀(521)이 연통되 상태로써 개방구(21)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꽃다발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추가로 꽃을 한송이씩 추가하고 싶은 경우, 끼움홀(512)과 인입홀(522)을 연통시켜서 꽃을 용이하게 꽂아서 고정할 수 있다. 꽃을 추가로 꽂지 않는 경우에는 끼움홀(512)과 인입홀(522)이 엇갈리도록 하여 본체(10)의 수용공간(11)을 차폐함으로써 이물질이나 먼지가 내부로 유입되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20)에 조명부(60)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캡(20)의 내측면에는 조명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명부(60)는 일반적으로 식물을 키울 때 많이 사용하는 조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햇빛이 잘 들지 않는 위치에 장식하더라도 조명부(60)를 통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명부(60)는 본체(10) 외부에 부착될 수 있는 건전지 모듈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10: 본체 11: 수용공간
12: 투입구 13: 고정침
20: 캡 21: 개방구
22: 절취선 23: 절개선
24: 고리부 25: 고정밴드
26: 돌기부 27: 탄성고정부
29: 조임망 30: 식물고정부
31: 하판 311: 홀부
32: 침봉 40: 뚜껑
41: 입구부 42: 절취라인
43: 절개라인 50: 고정판
51: 제1 플레이트 511: 중심홀
512: 끼움홀 52: 제2 플레이트
521: 메인홀 522: 인입홀
60: 조명부

Claims (8)

  1.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꽃이 투입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개방구로 꽃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개방구에 의해 하나 이상의 꽃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개방구가 형성된 하단에서부터 소정 길이로, 하부 둘레가 일정 간격씩 절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개방구로 삽입되는 꽃의 양에 따라 복수의 상기 탄성고정부가 서로 이격 또는 인접해짐으로써, 상기 개방구에 삽입되는 꽃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은,
    하부의 소정 높이가 망 형태의 재질로 형성되는 조임망;을 더 포함하여,
    상기 개방구로 삽입되는 꽃의 양에 따라 상기 조임망이 조여지거나 인장되어, 상기 개방구에 삽입되는 꽃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개방구에서부터 상부까지 복수개가 이격 되며 형성되는 상기 개방구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의 상기 캡을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캡의 소정 높이를 절개하여 분리함에 따라, 상기 개방구의 폭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일 측에 상하 길이를 따라 절단 가능한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을 통해 절단된 상기 캡의 양 단을 외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캡 내측 공간을 개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절개선이 형성된 양 측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양 측의 상기 고리부에는 고정밴드가 설치 가능하며,
    상기 절개선을 따라 절단하여 상기 캡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고정밴드가 상기 절개선 양 측의 상기 고리부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캡 내부가 차폐된 상태의 형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일 영역 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침이 형성되어,
    꽃의 줄기 또는 식물의 끝 단부가 상기 고정침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꽃의 줄기 또는 식물의 끝 단부가 고정침에 꽃혀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침봉을 포함하는 식물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꽃의 줄기 또는 식물의 끝 단부가 상기 침봉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꽃의 줄기 또는 식물의 끝 단부가 상기 침봉에 꽃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KR1020210104699A 2021-08-09 2021-08-09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KR102527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99A KR102527328B1 (ko) 2021-08-09 2021-08-09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99A KR102527328B1 (ko) 2021-08-09 2021-08-09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68A true KR20230022668A (ko) 2023-02-16
KR102527328B1 KR102527328B1 (ko) 2023-04-27

Family

ID=8532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699A KR102527328B1 (ko) 2021-08-09 2021-08-09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3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7963U (ko) * 1987-02-24 1987-12-16
JP3091097U (ja) * 2002-06-28 2003-01-17 株式会社福井クラフト 花 器
JP3503900B2 (ja) * 1995-05-24 2004-03-08 シャリン,フィリップ 花束展示装置
KR20120004584U (ko) * 2010-12-16 2012-06-26 이계경 꽃 포장용 케이스
KR200477986Y1 (ko) 2015-03-12 2015-08-12 손원모 도자기꽃병
KR200488538Y1 (ko) * 2018-07-30 2019-05-21 권미숙 꽃꽂이 침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097B2 (ja) * 1994-10-28 2000-09-25 東洋鋼鈑株式会社 潤滑剤を塗布したラミネート板、その製造法および製造設備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7963U (ko) * 1987-02-24 1987-12-16
JPH0335187Y2 (ko) * 1987-02-24 1991-07-25
JP3503900B2 (ja) * 1995-05-24 2004-03-08 シャリン,フィリップ 花束展示装置
JP3091097U (ja) * 2002-06-28 2003-01-17 株式会社福井クラフト 花 器
KR20120004584U (ko) * 2010-12-16 2012-06-26 이계경 꽃 포장용 케이스
KR200477986Y1 (ko) 2015-03-12 2015-08-12 손원모 도자기꽃병
KR200488538Y1 (ko) * 2018-07-30 2019-05-21 권미숙 꽃꽂이 침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328B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9744B1 (en) Support for articles having an elongated portion
US6523301B2 (en) Floral arranging device
US7406798B2 (en) Floral arranging vase cover
BG63186B1 (bg) Декоративна опаковка за цветя
US20110277381A1 (en) Bio-degradable pot for pre-planted bulbs
KR102527328B1 (ko) 양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꽃을 담는 용기
US20060288641A1 (en) Floral design container system
JP2007215405A (ja) 栽培システム並びに栽培システムの用土充填容器及び組立式プランター
KR200482741Y1 (ko) 새싹 재배용 키트
KR101456594B1 (ko) 화분
WO2003015496A2 (en) Bulb container and method of planting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JP3536126B2 (ja) 育苗具
JP7166814B2 (ja) 植物育成体、植物育成容器及び植栽方法
KR200351523Y1 (ko) 화분 포장용 박스
JP3068041B2 (ja) 栽培容器
JP3167907U (ja) 植木鉢および栽培セット
KR200180142Y1 (ko) 아이스크림용기를 이용한 화분
JP3061891U (ja) 花束結束用補助具
JP3206283U (ja) 植物保持材
KR20090001158U (ko) 화초지지구
KR200291856Y1 (ko) 식물재배장치
JP2528668Y2 (ja) 植物包装体
WO1996010906A1 (en) Leak-resistant container and water reservoir
KR200293986Y1 (ko) 뿌리있는 생화 포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