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015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015A
KR20230022015A KR1020210104133A KR20210104133A KR20230022015A KR 20230022015 A KR20230022015 A KR 20230022015A KR 1020210104133 A KR1020210104133 A KR 1020210104133A KR 20210104133 A KR20210104133 A KR 20210104133A KR 20230022015 A KR20230022015 A KR 20230022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odules
unique information
identified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2015A/ko
Priority to PCT/KR2022/010427 priority patent/WO2023013919A1/ko
Publication of KR2023002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식별된 저항 값 및 상기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고, 출력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출력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추가를 인식하고, 추가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기초하여 최적 해상도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추가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최적 해상도를 출력하는 방법이 없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경우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즈와 해상도로 제약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의 장점을 살릴 수 없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수 또는 해상도 차이에 따라서 해당 해상도에 맞는 별도의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야 해서, 제작 공정상의 불편함이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경우 모듈의 추가를 인지하는 별도의 구조 또는 설계가 없는 경우 새롭게 디스플레이 모듈이 추가되더라도, 새롭게 디스플레이 모듈이 추가된 디스플레이 영역이 활용되지 못하거나, 활용되더라도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고 있던 영상의 해상도가 그대로 재생되어 영상을 최적의 해상도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추가를 인식하여 추가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맞게 최적 해상도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저항 값 및 상기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해상도가 매칭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식별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된 해상도를 출력 해상도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제1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된 노드의 전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노드의 전압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획득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저항 값 및 상기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제1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부에 추가로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저항 값 및 상기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출력 해상도를 제2 출력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구동부와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저항 값 및 상기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해상도가 매칭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식별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된 해상도를 출력 해상도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제1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된 노드의 전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노드의 전압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저항 값 및 상기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제1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연결부에 추가로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저항 값 및 상기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출력 해상도를 제2 출력 해상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구동부와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저항 값 및 상기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을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추가를 인식하여 최적의 해상도를 제공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프로세서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식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구동부 식별 전압, 식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 또는 식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추가로 연결되었을 때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추가로 연결되었을 때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에 기초하여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구동부(120), 연결부(130), 메모리(140), 통신 인터페이스(150), 입출력 인터페이스(160), 사용자 인터페이스(170),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비디오월, 모니터와 같은 다른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1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하여 조립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프레임으로부터 개별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구동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조된 크기에 따라 표현 가능한 해상도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현 가능한 해상도는 480x27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8x8 매트릭스 형태로 구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3840x2160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은 자발광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LED 모듈(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LED 모듈) 및/또는, 복수의 LED 캐비넷(cabin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LED 모듈은 복수 개의 LED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LED 픽셀은 RGB LED로 구현될 수 있으며, RGB LED는 RED LED, GREEN LED 및 BLUE LED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터치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자 장치(100)의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자 징치(100)의 프레임은 하나의 프레임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프레임은 복수의 단위 프레임을 연결하여 조립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프레임은 단위 프레임을 추가로 연결하여 조립될 수 있는 프레임일 수 있다. 하나의 단위 프레임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하나의 단위 프레임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별도의 프레임 없이 디스플레이 모듈간에 연결되고 조립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자 장치(100)에 추가적으로 장착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자 장치(100)의 프레임에 추가적으로 장착 또는 제거될 수 있다. 프레임에 장착된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구동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내부에 하드웨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특정 저항 값을 갖는 저항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내부에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포함된 메모리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저항의 저항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포함된 메모리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연결부(130), 통신 인터페이스(150), 입출력 인터페이스(160)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 내부에 포함된 저항의 저항 값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프로세서(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110)를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다양한 하드웨어 설계가 적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하드웨어 장치 및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20)는 프로세서(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110)를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발광 소자(예를 들어, LED 픽셀)를 구동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거나 구동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0)를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전자 장치(100)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부(130)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구동부(120) 사이를 연결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연결부(130)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구동부(120) 사이를 연결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HDMI 포트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 모듈과 구동부(12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를 자성적인 연결하는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130)가 자석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자석과 프레임에 포함된 자석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전자 장치에(1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140)는 구동부에서 식별된 전압 값,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출력 해상도가 매칭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구동부(120)에 포함된 저항의 저항 값에 대한 정보와 구동부(120)에 포함된 저항과 연결되어 있는 전압원의 전압 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저항의 저항 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메모리(140)라는 용어는 메모리(140), 프로세서(18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며, 외부 기기 및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 기기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와이파이 모듈(미도시), 블루투스 모듈(미도시), IR(infrared) 모듈, 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Ethernet)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USB(Universal Serial Bus), MIPI CS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Camera Serial Interfac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다양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 외부 장치,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저항의 저항 값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되는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HDMI 포트로 구현되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 또한 HDMI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 및 외부 기기는 각 HDMI 포트 및 이를 연결하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s) 케이블,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케이블, D-SUB(D-subminiature) 케이블, VGA(Video Graphics Array) 케이블, V-by-One 케이블 또는 광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 외부 장치,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저항의 저항 값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전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4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과 연결되며, 상술한 바와 같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드웨어 컨트롤 로직, 하드웨어 유한 상태 기계(hardware Finite State Machine, FSM),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프로세서(180)라는 용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MPU(Main Processing Unit)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추가로 장착되는 경우,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추가 장착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연결부(130)를 통해 구동부(12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0)는 연결부(130)를 통해 구동부(120)와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가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식별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110)에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제조사가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0)는 식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 및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메모리(140)에 기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출력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가 출력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3a 내지 도 3b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80)는 식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 및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제1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연결부(130)를 통하여 구동부(120)에 추가로 연결되면, 프로세서(18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출력 해상도를 제2 출력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연결부에 추가로 연결되면, 프로세서(180)가 제1 출력 해상도를 제2 출력 해상도로 변경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4a 내지 도 4b 및 도 5a 내지 도 5b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80)는 식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부(120)는 연결부(130)의 복수의 포트(Port) 중 하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구동부(120)는 자성적인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복수의 포트 각각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연결부(130)의 각각의 포트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식별된 합성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 포트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하나의 제1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8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가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출력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4c 및 도 5c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프로세서(18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식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식별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220,230,240)에 포함된 내부 회로 각각은 저항(211,221,231,241)을 포함될 수 있다. 각 저항(211,221,231,241)은 특정한 저항 값을 갖는 제1 저항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각 저항의 저항 값은 상이할 수 있다. 각 저항(211,221,231,241)은 그라운드와 연결된 풀다운(Pulldown) 저항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전원과 연결된 풀업(Pullup) 저항 등 다양한 방식으로 회로에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30)에 포함된 내부 회로는 제2 저항(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항은 전원에 연결된 풀업 저항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풀다운 저항 등 다양한 방식으로 회로에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220,230,240)이 구동부(120)와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저항(210,220,230,240)과 구동부(130)에 포함된 제2저항(132)은 연결부(1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저항(210,220,230,240)은 병렬로 구동부(130)에 포함된 저항과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저항은 구동부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120)의 저항(122)에 연결된 전압원에 의한 전압(123)은 제1 저항 및 제2 저항에 분배된다. 전압이 분배되는 비율은 제2 저항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211,221,231,241)의 합성 저항 값의 비율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전압원(123)에 의한 전압이 제2 저항에 분배되는 전압 값을 획득하여, 구동부(12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0)는 제2 저항(122)과 연결된 노드(121)의 전압을 식별할 수 있다. 제2 저항(122)과 노드(121)는 도2와 같이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2 저항과 노드 사이(121)에 회로 소자와 같은 다양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식별된 노드(121)의 전압에 기초하여, 구동부(120)와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220,230,240)의 합성 저항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전압원(123)에 의한 전압에서 프로세서(180)가 식별한 노드의 전압을 제외한 값이 제2 저항에 분배된 전압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가 식별한 노드(121)의 전압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211,221,231,241)에 분배된 전압일 수 있다. 도2를 참고하면, 프로세서(180)는 식별된 노드(121)의 전압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211,221,231,241)에 분배된 전압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2 저항(122)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220,230,240)의 저항(211,221,231,241)에 분배된 전압 값의 비율은 제2 저항(122)의 저항 값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211,221,231,241)의 합성 저항 값의 비율일 수 있다. 이 때, 제2 저항(122)의 저항 값에 대한 정보 및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저항(211,221,231,241)의 각 저항 값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14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80)는 노드(121)에서 식별된 전압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220,230,240)에 포함된 저항(211,221,231,241)의 저항 값 각각은 10킬로옴[Kohm]일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220,230,240)에 포함된 저항(211,221,231,241)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저항(122) 값은 10킬로옴[Kohm]일 수 있다. 제2 저항(122)은 전압원(123)과 연결될 수 있다. 전압원(123)에 의한 전압은 5V일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80)는 노드(121)의 전압을 1볼트[V]임을 식별할 수 있다. 제2 저항(122)에 분배된 전압은 전압원(123)에 의한 5볼트[V]에서 식별된 전압 1볼트[V]가 제외된 4볼트[V]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에 분배된 전압의 비율은 식별된 전압인 1V일 수 있다. 4볼트[V]와 1볼트[V]의 비율은 제2 저항(122)의 저항 값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220,230,240)에 포함된 저항(211,221,231,241)의 합성 저항 값의 비율과 일치하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220,230,240)에 포함된 저항 (211,221,231,241)의 합성 저항 값은 2.5킬로옴[Kohm]일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220,230,240)에 포함된 저항(211,221,231,241)의 각 저항 값은 10킬로옴[Kohm]이고, 합성 저항 값은 2.5킬로옴[Kohm]이고, 각 저항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프로세서(180)는 합성 저항 값을 이용하여 각 저항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저항의 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220,230,240)의 수와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가 노드(121)의 전압을 식별하고, 식별된 전압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에 기초하여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3a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구동부(123) 식별 전압, 식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 또는 식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메모리(140)는 구동부 식별 전압,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해상도가 매칭된 룩업 테이블(310, 320)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구동부 식별 전압과 구동부 식별 전압에 대응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과 출력 해상도 값에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이 메모리(14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룩업 테이블은 구동부 식별 전압과 출력 해상도 값에 대한 정보만 기재되어 있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과 출력 해상도 값에 대한 정보만 기재되는 등, 다양한 조합으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구동부(120)에 포함된 저항과 연결된 노드에서 전압을 식별하고, 식별된 전압과 해상도가 매칭되어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출력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동부 식별 전압은 구동부에 포함된 저항과 연결된 노드에서 식별된 전압 값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합성 저항은 구동부(120)와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저항의 합성 저항 값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구동부 식별 전압 및 디스플레이 모듈 합성 저항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압 및 합성 저항에 대응되는 출력 해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구동부 식별 전압 값,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과 매칭된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룩업 테이블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식별된 시리얼 넘버(S/N)의 수와 대응되는 출력 해상도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이 메모리(14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나, 시리얼 넘버가 아닌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MAC Address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에 대한 다양한 조합으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구동부(12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시리얼 넘버의 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식별된 시리얼 넘버의 수에 대응되는 출력 해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 도 5a 내지 도 5c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추가로 연결되었을 때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110)는 6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11,512,513,514,515,516)이 조립되어 연결된 디스플레이(110)일 수 있다. 즉, 6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11,512,513,514,515,516)이 구동부(120)와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6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11,512,513,514,515,516)로 구성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이 제1 해상도로 출력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1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21)이 구동부(120)와 연결부(130)를 통해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7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11,512,513,514,515,516,522)이 구동부(12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모듈(511,512,513,514,515,516,522)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 6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11,512,513,514,515,516)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새롭게 추가된 디스플레이 모듈(521)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 모듈의 다양한 조합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식별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나의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으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이 출력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 5b를 참고하면, 플레이 모듈(511,512,513,514,515,516)로 이루어진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이 제1 해상도로 출력되는 동안, 1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21)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이 제2 해상도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상이 TV 화면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UI와 같이 다양한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상에 표시되는 UI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UI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TV인 경우, TV의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TV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UI일 수 있다. 또는, 제2 영상에 표시되는 UI는 제1 영상에 표시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영상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영상에 표시되는 UI는 제1 영상과 대응되는 UI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TV일 수 있고, 제1 영상에 영화가 표시되는 동안 제2 영상에 표시되는 UI는 영화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제2 영상은 종류의 제한 없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c를 참고하면, 도 4a와 비교하여 6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21,522,523,524,525,526)이 구동부(120)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110)는 1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11,512,513,514,515,516,521,522,523,524,525,526)이 조립되어 연결된 디스플레이(110)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구동부(120)에 연결된 1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11,512,513,514,515,516,521,522,523,524,525,526)의 합성 저항 값 또는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출력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c를 참고하면, 1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11,512,513,514,515,516,521,522,523,524,525,526)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을 제2 해상도로 출력하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이 추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거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거되면, 제거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식별된 모듈의 개수를 바탕으로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여 변경된 해상도로 영상을 출력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여 복수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에 기초하여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S610). 전자 장치(100)는 구동부(120)에 포함된 저항과 연결된 노드에서의 전압을 식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연결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S620).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출력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획득한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합성 저항 값 및 획득된 고유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 해상도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된 출력 해상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S630).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50),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를 식별된 출력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출력 해상도로 변경된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예: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100 : 전자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20 : 구동부 130 : 연결부
140 : 메모리 150 : 통신 인터페이스
160: 입출력 인터페이스 17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80 : 프로세서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저항 값 및 상기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해상도가 매칭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식별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된 해상도를 출력 해상도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제1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된 노드의 전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노드의 전압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저항 값 및 상기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제1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부에 추가로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저항 값 및 상기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출력 해상도를 제2 출력 해상도로 변경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구동부와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저항 값 및 상기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해상도가 매칭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식별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된 해상도를 출력 해상도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제1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된 노드의 전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노드의 전압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합성 저항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저항 값 및 상기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제1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연결부에 추가로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저항 값 및 상기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출력 해상도를 제2 출력 해상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구동부와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항 값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저항 값 및 상기 식별된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의 출력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10104133A 2021-08-06 2021-08-0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22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33A KR20230022015A (ko) 2021-08-06 2021-08-0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10427 WO2023013919A1 (ko) 2021-08-06 2022-07-18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33A KR20230022015A (ko) 2021-08-06 2021-08-0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015A true KR20230022015A (ko) 2023-02-14

Family

ID=8515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133A KR20230022015A (ko) 2021-08-06 2021-08-0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2015A (ko)
WO (1) WO202301391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7028A1 (en) * 2016-05-17 2017-11-23 Qisd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dular display frame
KR20180077411A (ko) * 2016-12-28 2018-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구동방법
KR102436020B1 (ko) * 2019-01-31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32857A (ko) * 2019-09-17 2021-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93671A (ko) * 2020-01-20 2021-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3919A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805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249191B1 (ko) 전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599950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2785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0609668B (zh) 电子设备和用于控制该电子设备的方法
JP7198292B2 (ja) 表示のネイティブの色域及び明るさに基づくソース側のトーンマッピング
US1082537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402040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or optimization with sub-pixel openings
US1148851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20180213198A1 (en) Display processing method, display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WO2016017635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TWI696154B (zh) 低延遲顯示系統及方法
KR1025663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2201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3285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401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36905B2 (en) Storing index information for pixel combinations with similarity to a pixel to replace the pixel information
US201601919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181703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146402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6513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57988A1 (en) Display driver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in foveated images
US8681167B2 (en) Processing pixel planes representing visual information
WO2023113825A1 (en) Backlight controls
KR202300688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