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613A -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613A
KR20230021613A KR1020220097206A KR20220097206A KR20230021613A KR 20230021613 A KR20230021613 A KR 20230021613A KR 1020220097206 A KR1020220097206 A KR 1020220097206A KR 20220097206 A KR20220097206 A KR 20220097206A KR 20230021613 A KR20230021613 A KR 20230021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drop
drop composition
dry eye
eye
lecoflav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151B1 (ko
Inventor
김은정
박준상
Original Assignee
지엘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엘팜텍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1156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14117A1/ko
Publication of KR20230021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613A/ko
Priority to KR1020230121461A priority patent/KR2023013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코플라본을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활성성분인 레코플라본이 생체 내 각막 상피세포에 충분히 전달되어 유효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도록 조성물 중 주성분을 일정 농도 이상 함유하고 투과증진제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안구건조 증상 개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점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Ophthalmic composition containing recoflavone for dry eye syndrom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4',5-트리메톡시플라본 유도체 화합물인 레코플라본(recoflavone)을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활성성분인 레코플라본이 생체 내 각막을 충분히 투과하여 유효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도록 조성물 중 주성분을 일정 농도 이상 함유하고 1종 이상의 투과증진제를 포함하여 안구건조 증상 개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구건조증은 눈물 결핍이나 과도한 눈물 증발로 인해 눈물 삼투압이 증가하고 눈물 항상성이 상실되어 안구 표면에 염증과 눈이 불편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개념이 광범위하고 원인 또한 다양한 것으로 보고되어, 2017년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Society (TFOS)에서 다음과 같이 안구건조증을 정의하고 있다. 안구건조증은 안구표면의 다요인성 질병으로서 눈물막이 항상성을 상실하고 안구증상이 동반되는 특징을 가지는데, 눈물막의 불안정, 고삼투압, 안구 표면의 염증 및 손상, 신경감각 이상 등이 원인 역할을 한다 (TFOS DEWS II introduction. Ocul. Surf. 2017, 15, 269-275). 안구건조증의 진단에는 불편감에 대한 설문과 눈물분비, 눈물막 파괴시간, 눈물 오스몰농도, 각결막 염색 및 지질층과 마이봄샘 분석 등이 이용되며 안구건조증의 정도에 따라 단계를 나누어 인공누액, 항염증제, 눈물분비 촉진제, 자가혈청 및 눈꺼풀 치료 등이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J. Korean Med. Assoc. 2018, 61(6), 352-364).
안구건조 증상 치료제로는 인공눈물과 같은 안구표면 윤활제가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히알루론산 나트륨(sodium hyaluronate) 제제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나트륨(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제제가 대표적이다. 항염증 치료에는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제제를 사용하여 각결막상피의 면역활성 마커(예, human leukocyte antigen-antigen D related), 세포자멸사 마커(예, Fas)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예, interleukin-6) 등을 감소시켜 안구표면의 염증반응을 치료하여 안구건조증의 증상을 개선하며, 최근 개발된 디쿠아포솔(diquafosol tetrasodium) 제제는 P2Y2 수용체에 작용하는 길항제로서 눈물의 수성 성분과 점액 성분의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일본에서는 레바미피드(rebamipide) 현탁제제가 눈의 배상세포 밀도 증가, 점액 및 수성 성분 증가 효과가 입증되어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레코플라본은 화학식 C20H18O8과 분자량 386.4이며, 화학명 2-((2-(3,4-디메톡시페닐)-5-메톡시-4-옥소-4H-크로멘-7-일)옥시)아세트산(2-((2-(3,4-dimethoxyphenyl)-5-methoxy-4-oxo-4H-chromen-7-yl)oxy)acetic acid)을 갖는 3',4',5-트리메톡시 플라본 유도체 화합물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7918호, 제10-0327621호 및 제10-0644928호에서 레코플라본의 항염증작용 및 위점액 분비촉진 작용을 통해 위염, 위궤양 등의 위장관 질병과 크론병, 대장염 등의 염증성 장질환에 사용 가능성을 공지하였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467호에서 레코플라본을 비롯한 3',4',5-트리메톡시 플라본 유도체들이 결막 내 점액 분비 촉진작용이 확인되어 안구 건조증 치료 및 예방제로서 사용 가능성을 공지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4928호에서 레코플라본은 그 자체로서 무수물의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나, 흡습성으로 인해 취급과 관리에 문제점을 나타내어, 수화물의 형태로 사용할 경우 흡습성이 개선됨을 공지하였다.
레코플라본의 물에서의 용해도는 난용성으로 분류되며, 낮은 pH 용액에서는 녹지 않으나, pH가 증가할수록 이온화되어 용해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용해되더라도 이온성이 강해 세포투과성이 좋지 않은 특성을 나타내어 생체 내 흡수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제로 토끼 눈에 3% 점안액을 투여 후 시간에 따라 눈 조직별 약물 분포를 평가한 결과, 눈 내부에 위치한 조직들에는 잘 분포하지 않고, 눈의 겉면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인 각막, 결막, 공막 등에 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각막 부위에서는 투여 직후는 약물 농도가 높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급속히 감소하고 주로 결막과 공막에 분포하였다. (데이터 미공개)
따라서 레코플라본이 안구건조 증상 전반에 유효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일정량 이상이 생체 내 각결막을 투과할 수 있는 점안제 및 이의 제조법의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76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79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49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467호
TFOS DEWS II introduction. Ocul. Surf. 2017, 15, 269-275 J. Korean Med. Assoc. 2018, 61(6), 352-364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4, 55(10), 6569~6574 Cornea, 2017, 36(6), 712-718 Br. J. Ophthalmol. 2010, 94, 1519~1522
본 발명은 레코플라본을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레코플라본이 안구건조 증상 전반에 유효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일정량 이상의 활성물질이 생체 내 각결막을 투과할 수 있는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467호에서 레코플라본의 약효검색 시험 결과 낮은 약물 농도에서도 점액 분비 촉진과 같은 안구건조 치료를 위한 지표들이 일부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고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개발가능성 확인이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각결막에 상처가 발생하면 주요 뮤신 단백질인 MUC1, MUC4, MUC16, MUC5AC 등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안구건조증 환자의 경우 각막 상처가 쉽게 생기는 반면에 점액 분비는 원활하지 않아서 불편함을 호소한다. 레코플라본의 약리기전 확인 시험으로 사람 각결막 상피세포에서의 뮤신 분비 시험 중 활성성분 농도 100 μM 용액 적용시 뮤신층의 두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확인하였으나, 안구건조 증상과 관련된 주요 뮤신 단백질인 MUC1, MUC4, MUC16, MUC5AC는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을 통한 확인에서 대부분 빠르게 증가 후 4시간까지만 차이를 나타내고 급속히 감소하였으며,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한 확인에서는 MUC5AC만 일부 증가하고 그 외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nvestigative Ophthalmology and Visual Science, 2014, 55(10), 6569~6574). 이러한 결과는 레코플라본의 약리작용이 안구건조 증상 중 일부만을 개선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발병요인에 의해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 안구건조증의 특성을 감안하면 그 치료제로서 개발가능성을 제한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레코플라본을 함유한 제형을 안구건조 치료제로 개발과정 중 약물의 농도가 낮고 단순히 용해된 상태만으로는 생체 내 시험에서 안구건조 증상이 전반적으로 유효하게 개선되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을 통해, 활성성분이 일정량 이상 생체 내 조직 및 세포로 투과할 수 있어야 안구건조 증상들이 전반적으로 유효하게 개선되면서 실질적인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개발 가능한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레코플라본을 함유한 제형이 효율적으로 각막을 투과하여 생체 내 조직 및 세포에서 안구건조 증상을 유효하게 개선할 수 있는 제형 및 이의 제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레코플라본을 함유한 제형이 효율적으로 각결막에 약물을 전달하여 생체 내 조직 및 세포에서 유효한 안구건조 증상 개선을 나타낼 수 있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a) 본 발명에서 점안액 중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의 유효 농도는 5%(w/v) 이상이며,
(b) 투과증진제 0.1 내지 5.0 %(w/v) 및 0.01 내지 1.0 %(w/v)의 등장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성분인 레코플라본이 투명하게 용해될 수 있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a) 레코플라본,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고,
(b) 레코플라본 대비 염기성 pH 조절제의 몰농도 비율이 1.05 이상인 염기성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코플라본을 함유한 제형이 효율적으로 각결막에 약물을 전달하여 생체 내 조직 및 세포에서 유효한 안구건조 증상 개선을 나타낼 수 있는 점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S1) 멸균 정제수에 염기성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용해한 용액에 레코플라본,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
(S2) 상기 (S1)을 통해 얻어진 용액에 산성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pH를 4 내지 8의 범위가 되도록 조절하는 단계;
(S3) 상기 (S2)를 통해 얻어진 용액에 투과증진제, 등장화제, 완충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 및
(S4) 상기 (S3)을 통해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pH 안정성이 유지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a)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고,
(b) 0.01 내지 3.0 %(w/v)의 pH 조절제를 포함하면서
(c) 장기보관조건(25℃/60%RH)에서 점안액의 pH가 4 내지 8 범위에서 유지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안 조성물의 투여방법(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a)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고,
(b) 0.1 내지 5.0 %(w/v)의 투과증진제를 포함하며,
(c) 1회 1 내지 2 방울을 1일 3회 이상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레코플라본을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의 생체 내 각결막 투과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안구건조 증상들을 유효하게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이를 통해 안구건조 증상의 개선지표인 눈물분비량, 각막형광염색지수, 각막상피세포 박리상태, 각막표면굴곡성, 배상세포밀도 및 뮤신분포 등이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임상시험에서 위약 대비 안구건조증상 지표의 개선을 확인함으로써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및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는 점안 조성물을 투명한 용액으로 만들기 위해 상업적으로 적용 가능한 조성 및 제조방법을 완성하였으며,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점안 조성물은 놀랍게도 필요에 따라 조성 중 완충제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장기보관조건(25℃/60%RH)에서 점안 조성물의 pH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미니피그 각막에서 6시간동안 레코플라본의 누적 각막 투과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안구건조증 동물모델에서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의 눈물 분비량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안구건조증 동물모델에서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의 각막 형광염색지수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안구건조증 동물모델에서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의 각막 표면 굴곡성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안구건조증 동물모델에서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의 각막 상피세포에서 박리된 세포 수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안구건조증 동물모델에서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의 배상세포 밀도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안구건조증 동물모델에서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의 뮤신 밀도 비교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안구건조증 동물모델에서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의 뮤신 밀도 비교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표 2의 결과로서 레코플라본을 5%(w/v)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공정 중 사용하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몰농도에 따라 레코플라본의 용해 상태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임상시험에서 안구건조증상 지표인 플루오레신(fluorescein)을 이용한 각막염색검사 점수(TCSS)의 기저치(baseline) 대비 변화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 5의 조성으로 제조된 점안 조성물의 장기보관조건(25℃/60%RH)에서 pH 안정성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에 대한 다른 설명 및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에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레코플라본을 함유한 제형을 안구건조 치료제로 개발과정 중 약물의 농도가 낮고 단순히 용해된 상태만으로는 생체 내 시험에서 안구건조 증상이 전반적으로 유효하게 개선되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여 레코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 개발하던 중 레코플라본을 5 %(w/v) 이상 함유하고, 투과증진제를 0.1 내지 5.0 %(w/v) 포함할 경우 생체 내 각결막 투과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안구건조 증상들을 유효하게 개선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는 점안 조성물을 투명한 용액으로 만들기 위해 상업적으로 적용 가능한 조성 및 제조방법을 완성하였으며,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는 점안 조성물은 놀랍게도 필요에 따라 조성 중 완충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장기보관조건(25℃/60%RH)에서 점안 조성물의 pH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한다는 것은 레코플라본으로서 5 %(w/v) 이상 함유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시로 기재한 내용과 유사한 기재의 내용에 대해서도 모두 레코플라본으로서 함유하는 농도를 의미한다. 또한 레코플라본의 농도 역시 레코플라본으로서의 농도를 의미한다.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본 발명의 점안 조성물은 5%(w/v) 이상의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과 투과증진제, 등장화제, 필요에 따라 점증제, 완충제, pH 조절제 및 보존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고, 0.1 내지 5.0 %(w/v)의 투과증진제 및 0.01 내지 1.0 %(w/v)의 등장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레코플라본은 무수물 또는 수화물과 같은 용매화물의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며, 레코플라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레코플라본은 종래 알려진 제조방법으로 직접 제조하거나,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레코플라본」이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3',4',5-트리메톡시 플라본 유도체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레코플라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4928호에서, 상기 화학식 자체인 무수물의 형태로는 흡습성이 존재하고, 수화물 형태일 때 흡습성이 없고 안정하며, 다양한 용매화물로도 존재할 수 있는 것을 공지하였다. 따라서, 정제, 캡슐제 등과 같은 고형 의약품에서는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수화물을 포함한 용매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점안제과 같은 액상 의약품에서는 무수물, 수화물을 포함한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레코플라본이 사용가능하다.
주성분의 함유량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467호 및 선행 문헌에서 1 내지 3%(w/v)을 실시하여 사용가능성을 제시한 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반적인 안구건조 증상을 유효하게 개선하기 위해서 일정량 이상의 레코플라본이 생체 내 조직을 투과해야 하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 경우 레코플라본이 5%(w/v) 이상 함유되어야 충분한 양이 투과되도록 설계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때, 레코플라본의 농도는 5 %(w/v) 이상이면서 10 %(w/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코플라본을 10%(w/v) 초과하여 함유하는 것은 점안제제 중 삼투압 등과 같은 물리적특성의 어려움 및 제품 원가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과증진제」란, 레코플라본을 함유한 점안 조성물을 안구에 투여했을 때, 안구건조 증상을 유효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생체 내 각막에서 레코플라본을 일정량 이상 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레코플라본의 세포막 투과기능을 높이는 역할의 계면활성제류일 수 있다.
상기 투과증진제는 폴리소르베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마크로골 1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실글리세리드, 토코페릴 폴리에틸렌글리콜 숙시네이트, 폴록사머 및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유도체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실 10 올레일 에테르, 솔루톨 HS15, 라우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 비타민 E-TPGS, 폴록사머 407 및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과증진제는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조합으로 포함될 경우 점안 조성물 중 0.1 내지 5.0 %(w/v)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눈물과 등장으로 맞추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등장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니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말토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글루코스 등과 같은 비이온성 화합물 또는 염화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등과 같은 이온성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등장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하여 눈물과 유사한 삼투압을 갖도록 조정할 수 있고, 점안조성물 중 0.01 내지 1.0%(w/v)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은 점증제, 완충제, pH 조절제 및 보존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점증제, 완충제, pH 조절제 및 보존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통상적으로 점안액에 사용되는 「점증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등과 같은 비이온성 고분자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폴리카보필, 카보머 등과 같은 이온성 고분자류, 글루칸, 키토산, 트레할로스 등과 같은 당류 및 잔탐검 등과 같은 검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점안 조성물 중 0 내지 3.0 %(w/v)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완충제로는 인산염, 구연산염, 아세테이트, 탄산수소염, 탄산염, 글루콘산염, 젖산, 프로피온산염, 트리스(TRIS) 또는 붕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안 조성물 중 0 내지 3.0 %(w/v)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임의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완충제는 일반적으로 제품의 유효기간 동안 물리화학적 특성, 특히 pH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 대부분의 점안제 조성에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점안제에 통상 사용하고 있는 완충제인 붕산염, 인산염, 구연산염 또는 트리스(TRIS) 완충액이 인간 각막윤부 상피세포(human corneal-limbal epithelial cells)와 인간 결막 상피세포(human conjunctival epithelial cells)에 고농도로 노출 시 독성을 보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Cornea, 2017, 36(6), 712~718). 또한 인산염 완충제를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점안제가 안구 상처 부위에서 작열감(burning)이나 각막 석회화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 보고되었다(Br. J. Ophthalmol. 2010, 94, 1519~1522).
이를 고려할 때 완충제는 주요 목적인 점안제의 pH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면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w/v) 이상 함유한 점안 조성물의 경우 놀랍게도 완충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장시간 보관 중 pH가 변화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반면에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제외한 위약 조성은 pH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각막, 결막에 자극 또는 손상을 주지 않는 범위의 pH로 조절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안과용 제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pH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절제로는 염산, 젖산, 아세트산, 인산, 붕산 및 시트르산과 같은 통상의 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통상의 염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임의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안 조성물 중 pH 조절제와 그 양은 pH 4 내지 8 범위가 되도록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조제 시 pH 5 내지 7 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점안 조성물 중 0.01 내지 3.0 %(w/v)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안액이 세균 또는 진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통상적으로 점안액에 사용되는 「보존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점안제제의 포장 시 다회용기 또는 일회용기의 사용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과 같은 3급 암모늄염;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과 같은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클로로부탄올 및 벤질 알코올과 같은 알코올류; 초산클로르헥시딘 및 에데트산나트륨 등을 단독 또는 임의의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점안 조성물 중 0 내지 0.1 %(w/v)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은 점증제, 완충제 및/또는 보존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며, 포함하지 않을 경우 각 성분의 함량의 하한값이 0 %(w/v)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0 %(w/v)의 의미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점안 조성물의 투과 개선
본 발명에 있어서,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은 6시간동안 미니피그 각막에서 레코플라본의 누적 투과량은 130 μg/cm2 이상이거나 투과증진제를 제외한 점안 조성물과 비교할 때 3배 이상이다. 이 때 레코플라본의 누적 투과량은 시험예 1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6시간동안 미니피그의 각막을 투과한 레코플라본의 총량을 의미한다.
각막은 눈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약물 흡수에도 장벽으로 작용하므로, 성공적인 점안제의 개발을 위해서는 약물의 적절한 각막 투과량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레코플라본은 3 %(w/v) 또는 5 %(w/v)의 고농도에서도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서 충분히 투명한 용액상태의 점안액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농도로 단순 용해한 레코플라본은 생체 내 시험에서 안구건조 증상을 전반적으로 유효하게 개선하지 못하였으며, 각막 투과도를 평가한 결과, 고농도로 용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양이 투과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조성물에 각막 투과에 도움을 주는 투과증진제를 포함할 때 레코플라본의 각막 투과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동물모델에서 안구건조 증상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에서도 위약 대비 유의한 안구건조증 개선결과를 획득하였다.
이 때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점안 조성물의 투과 개선에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에서 설명한 내용은 점안 조성물의 투과 개선에 모두 차용할 수 있다.
염기성 pH 조절제의 함량이 조절된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은 주성분인 레코플라본이 투명하게 용해될 수 있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레코플라본,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고,
레코플라본 대비 염기성 pH 조절제의 몰농도 비율이 1.05 이상인 염기성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기성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때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염기성 pH 조절제의 함량이 조절된 점안조성물에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염기성 pH 조절제의 함량이 조절된 점안 조성물에 모두 차용할 수 있다.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의 제조방법
또한 본 발명은 유효한 안구건조 증상 개선을 나타낼 수 있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S1) 멸균 정제수에 염기성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용해한 용액에 레코플라본,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 (S2) 상기 (S1)을 통해 얻어진 용액에 산성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pH를 4 내지 8의 범위가 되도록 조절하는 단계; (S3) 상기 (S2)를 통해 얻어진 용액에 투과증진제, 등장화제, 완충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 및 (S4) 상기 (S3)을 통해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레코플라본,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은 레코플라본으로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점안 조성물은 안구에서의 사용감과 약물의 원활한 흡수 등을 고려할 때 투명한 용액상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레코플라본은 수화물 등의 형태로 사용시 물에서 난용성이므로 투명한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별도의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조할 때 레코플라본이 멸균 정제수에서 용해되지 않는 경우, (S1) 단계를 통해 투명한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염기성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이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이다. (S2) 단계에서 산성 pH 조절제는 염산, 젖산, 아세트산, 인산, 붕산 및 시트르산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산, 인산 및 아세트산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산을 사용한다.
제조공정 중 레코플라본이 멸균 정제수에 용해되지 않는 경우, 상기 (S1) 단계에서, 염기성 pH 조절제인 수산화나트륨을 레코플라본 대비 몰농도 비율 1.05 이상의 양을 첨가한다. 여기서 몰농도 비율은 점안액 중 포함되어 있는 수산화나트륨의 몰농도를 레코플라본의 몰농도로 나눈 값으로 표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S1) 단계에서, 멸균 정제수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몰농도 0.16 M 이하 또는 0.19 M 이상의 수용액으로 제조한 후 레코플라본을 용해하는 공정이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진행할 경우 레코플라본이 투명하게 용해될 수 있다.
상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는 최종 부피에서의 몰농도가 아닌 레코플라본을 녹이는 용해공정에서 수산화나트륨의 몰농도를 의미한다. 즉, 레코블라본 용해 시 몰농도 0.16 M 이하 또는 0.19 M 이상을 벗어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는 수시간을 교반하여도 레코플라본이 투명하게 용해되지 않아서 점안 조성물을 원활하게 제조할 수 없게 된다. 해당 내용은 하기 표 1, 2 및 도 9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염기성 pH 조절제, 특히 수산화나트륨의 양은 점안 조성물의 삼투압을 고려하여 사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조절이 가능하며, 이 경우 몰농도 비율 2.0 이상을 사용하지 않는다.
몰농도 비율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몰농도 (M)
레코플라본일수화물
수용액의 몰농도 (M)
용해상태
0.93 0.196 0.211 투명하게 용해되지 않음
0.97 0.196 0.201 투명하게 용해되지 않음
1.00 0.196 0.196 투명하게 용해되지 않음
1.05 0.194 0.184 투명하게 용해됨
1.06 0.203 0.192 투명하게 용해됨
최종
부피
레코플라본 농도
(w/v)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몰농도 (M)
멸균정제수 양 (mL) 레코플라본의
용해상태
수산화나트륨의 몰농도 비율
100 mL 3 % 0.086 90 투명 용해 1.05
0.097 80 투명 용해 -
0.111 70 투명 용해 -
5 % 0.137 100 투명 용해 1.05
0.152 90 투명 용해 -
0.172 80 투명 용해되지 않음 -
0.183 75 투명 용해되지 않음 -
0.196 70 투명 용해 -
0.392 70 투명 용해 -
6 % 0.181 90 용해되지 않음 1.05
0.204 80 투명 용해 -
0.233 70 투명 용해 -
0.466 70 투명 용해 -
7 % 0.195 100 투명 용해 1.05
0.279 70 투명 용해 -
0.558 70 투명 용해 -
30 L 5 % 0.172 24,000 투명 용해되지 않음 1.05 ~ 1.06
40 L 0.196 28,000 투명 용해 1.05 ~ 1.06
70 L 0.196 49,000 투명 용해 1.05 ~ 1.06
레코플라본을 7 %(w/v) 이상 함유하는 점안제 중 수산화나트륨을 주성분 대비 몰농도 비율 1.05 이상 함유하게 되면, 점안제의 최종 부피에 해당하는 멸균 정제수를 모두 사용하더라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몰농도가 0.19 M 이상에 해당하여 제조공정 중 주성분의 용해에 큰 어려움이 없게 된다.
레코플라본 3 %(w/v) 함유 점안제는 반대의 경우에 해당하여 역시 주성분의 용해에 큰 어려움이 없게 된다.
그러나, 레코플라본 5 %(w/v) 또는 6 %(w/v) 함유 점안제 조제 시에는 제조공정 중 우선 사용하는 멸균 정제수의 양에 따라서 0.16 M 이하 또는 0.19 M 이상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으며, 이에 해당하여 주성분이 용해되지 않게 되면, 최종 부피로 맞추는데 필요한 멸균 정제수를 추가하여 몰농도를 0.16 M 이하로 조정하고 수시간을 교반하더라도 주성분이 투명하게 용해되지 않는 특성을 나타내어 점안제제 생산 과정 중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레코플라본,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점안 조성물 내 레코플라본으로서 5 %(w/v) 이상을 투명하게 용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점안 조성물 내 레코플라본으로서 5 % 내지 10 %(w/v)가 되도록 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pH 조절제는 산성 pH 조절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 단계에서 레코플라본의 용해를 위해 염기성 pH 조절제를 이용하게 되면 용액 내 pH가 10 이상으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S2) 단계에서는 안구에 직접 투여하는 점안 조성물로서의 특성과 레코플라본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산성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pH를 4 내지 8의 범위가 되도록 조절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첨가 시, 투과증진제를 점안 조성물 내 0.1 내지 5.0 %(w/v), 등장화제를 점안 조성물 내 0.01 내지 1.0 %(w/v), pH 조절제를 점안 조성물 내 0.01 내지 3.0 %(w/v)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pH 조절제는 구체적으로 0.01 내지 2.5 %(w/v)의 염기성 pH 조절제 및 0.001 내지 0.5 %(w/v)의 산성 pH 조절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첨가 시, 완충제를 점안 조성물 내 0 내지 3.0 %(w/v), 보존제를 점안 조성물 내 0 내지 0.1 %(w/v)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과증진제는 폴리소르베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실글리세리드, 토코페릴 폴리에틸렌글리콜 숙시네이트, 폴록사머 및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유도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실 10 올레일 에테르, 솔루톨 HS15, 라우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 비타민 E-TPGS, 폴록사머 407 및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등장화제는 만니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말토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글루코스로 구성된 비이온성 화합물 또는 염화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으로 구성된 이온성 화합물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 이전에 상기 (S3)을 통해 얻어진 용액에 점증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필수 단계가 아니며, 0 내지 3.0 %(w/v)의 점증제를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 이전에 (S3)을 통해 얻어진 용액에 멸균 정제수를 첨가하면서, pH가 4 내지 8의 범위 내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H가 4 내지 8 범위 내인지 확인 후, 필요에 따라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pH의 범위를 4 내지 8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염기성 pH 조절제의 함량이 조절된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염기성 pH 조절제의 함량이 조절된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에서 설명한 내용은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모두 차용할 수 있다.
pH 안정성이 유지되는 점안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완충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점안액의 pH 안정성이 유지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고,
0.01 내지 3.0 %(w/v)의 pH 조절제를 포함하면서, 장기보관조건(25℃/60%RH)에서 점안액의 pH가 4 내지 8 범위에서 유지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때 pH 조절제는 더욱 구체적으로 0.01 내지 2.5 %(w/v)의 염기성 pH조절제 및 0.001 내지 0.5 %(w/v)의 산성 pH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기성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성 pH조절제는 염산, 젖산, 아세트산, 인산, 붕산 및 시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pH 안정성이 유지되는 점안 조성물의 경우 장기보관조건(25℃/60%RH)에서 pH 범위가 4 내지 8, 구체적으로 pH 범위가 5 내지 7로 유지되어 점안 조성물의 pH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기보관조건(25℃/60%RH)에서 18개월 동안 보관 시 pH 가 안정적으로 4 내지 8, 구체적으로는 5 내지 7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pH 안정성이 유지되는 점안조성물에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pH 안정성이 유지되는 점안 조성물에 모두 차용할 수 있다.
점안 조성물의 용법
또한 본 발명은 점안 조성물의 투여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고,
0.1 내지 5.0 %(w/v)의 투과증진제를 포함하며,
1회 1 내지 2 방울을 1일 3회 이상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안 조성물은 전반적인 안구 건조증상의 유효한 개선을 위해 약물이 일정량 이상 안구의 각결막 세포 내외에 전달될 수 있도록 안구에 활성성분의 노출이 충분히 이뤄지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안 조성물의 투여 방법은 1회 1 내지 2 방울, 1일 3회 이상 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회 1 방울을 3회 이상, 4회 이상, 5회 이상 또는 6회 이상 점안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회 1 방울을 3회 내지 6회 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과증진제는 폴리소르베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실글리세리드, 토코페릴 폴리에틸렌글리콜 숙시네이트, 폴록사머 및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유도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실 10 올레일 에테르, 솔루톨 HS15, 라우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 비타민 E-TPGS, 폴록사머 407 및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레코플라본의 농도는 5 %(w/v) 이상이면서 10 %(w/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코플라본을 10%(w/v) 초과하여 함유하는 것은 점안제제 중 삼투압 등과 같은 물리적특성의 어려움 및 제품 원가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 조성물은 다른 점안제를 병용 투여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최소 5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투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점안 조성물의 용법에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에서 설명한 내용은 점안 조성물의 용법에 모두 차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점안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 비율에 따라 점안 조성물을 제조한다. 적절한 양의 멸균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수산화나트륨을 넣어 용해 후 레코플라본 일수화물을 첨가하여 투명하게 용해한다. 용해된 용액에 염산을 추가하여 pH 4 내지 8로 조정하고 이후 투과촉진제, 등장화제, 완충제 및 보존제를 가하여 용해한다. 점증제는 별도로 일정량의 멸균 정제수에 넣어 종류에 따라 가온하여 용해하거나 실온에서 용해 후 상기 용액에 추가하고 혼합한다. 단, 보존제, 투과증진제, 점증제, 삼투압 조절제는 그 종류와 양에 따라 투입 순서를 바꿀 수 있으며, 점증제, 완충제 및 보존제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혼합된 용액은 멸균된 정제수로 정량하고 pH가 4 내지 8 인지 확인하고 필요하면 pH 조절제로 조정 후, 0.22 μm 이하 멸균 필터로 여과하여 투명한 점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농도 단위
(%, w/v)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레코플라본 5% 3% - 5% 5% 5% 5% 5%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 1% 1% 1% - 5% 1% 1%
폴록사머 407 - - - - 0.1% - 0.2% -
폴리비닐알콜 - - - - 0.25% - - -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 - - - 0.1% - - -
염화벤잘코늄 - - - - - 0.01% - 0.01%
수산화나트륨 0.55% 0.33% 0.55% 0.55% 0.55% 0.55% 0.55% 0.55%
염산 0.03% 0.02% 0.50% 0.03% 0.03% 0.03% 0.03% 0.03%
염화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글리세린 - - - - 적량 - - -
소르비톨 - - - - - 적량 - -
트레할로스 - 적량 -
멸균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시험예 1: 각막 투과도 시험
점안 조성물에 대한 각결막에서 투과 정도를 평가하고자 상대적으로 투과가 용이하지 않으면서 각막 투과 시험이 가능한 미니피그의 각막을 이용하여 투과 증진율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결막은 각막에 비해 2~3배 투과가 용이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점안 조성물의 in vitro 각막 투과량 비교시험은 수직형태의 프란츠 확산 셀(Franz diffusion cell)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용 각막은 40 내지 50 kg의 미니피그 안구에서 각막을 둘러싼 공막을 포함하여 적출하였다. 이를 프란츠 확산 셀(Franz diffusion cell) 사이에 고정하며, 각막 부위만 리셉터 챔버에 노출되도록 중앙에 맞추고 도너 챔버(donor chamber)을 덮고 조인트로 고정하였다. 리셉터 챔버와 각막이 만나는 부분에 공기가 없도록 주의한다. 리셉터 챔버에는 pH 7.4 인산염 용액(PBS buffer) 5 mL와 교반용 자석을 넣는다. 도너 챔버에 시험액 1 mL를 넣고 뚜껑을 닫고 파라 필름을 이용하여 밀봉하였으며, 투과도 시험시 교반기는 약 500 rpm을 유지하고 프란츠 확산 셀(Franz diffusion cell)은 36.5℃를 유지하도록 시험하였다. 시험 개시 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에 200 μL씩 샘플을 채취하고, 동량의 pH 7.4 인산염(PBS buffer) 용액을 보충하였다. 채취된 샘플은 HPLC 분석 기기를 통해 약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각 샘플에서 측정된 농도를 시간별 투과량으로 환산하고, 희석량을 보정하여 6시간 동안 투과한 레코플라본의 누적투과량을 산출하였다. 미니피그 각막을 이용한 in vitro 투과도 시험을 통하여 투과증진제를 포함한 실시예 조성들의 누적투과량이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단위면적당 투과된 개체별 누적량을 샘플링 시간에 따라 평균 값으로 도표화하고 해당 결과의 추세선을 산출하고 그 기울기를 약물의 6시간동안 평균 투과속도(Flux)로 산출하였다. 상대 투과증진 비율은 비교예 1에 대비 각 실시예의 6시간동안 평균 투과속도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식 1 참조).
[식 1]
Figure pat00002
위 방법을 통해 실시예 1 내지 3의 점안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점안 조성물의 각막의 단위면적당 시간에 따른 평균 누적 투과량 및 평균 투과속도, 그리고 상대투과증진 비율을 계산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를 참조하면, 활성성분만 함유하여 일반 점안제 조성에 해당하는 비교예 1의 점안 조성물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점안 조성물을 통해 동일 농도에서 투과증진제의 유무에 따라 약물의 투과가 달라짐을 확인하였고, 비교예 2와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을 통해 동일 조성에서 레코플라본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투과 증진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점안 조성물을 통해 레코플라본의 농도가 낮을지라도 투과증진제를 포함하는 점안액의 레코플라본 투과도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시험을 통해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은 6시간 평균 투과속도가 27 μg/cm2/hr로서 투과증진제를 제외한 비교예 1의 점안 조성물 대비 상대 투과 증진비율이 3.4배로 도달하였다.
이를 통해 아래의 시험예들에서 생체 내 안구 건조증상 개선을 비교 평가한 결과, 투과증진을 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전반적으로 우월하게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단순한 시험지표의 개선이 아닌 생체 내 안구 건조증상의 전반적 개선을 위해서는 투과증진제를 제외한 점안제 조성인 비교예 1 대비 미니피그 각막에서 6시간동안 상대 투과 증진 비율은 3.0 이상이거나, 누적 투과량이 130 μg/c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n=6)
비교예 2
(n=6)
실시예 1
(n=6)
실시예 2
(n=3)
실시예 3
(n=3)
누적 투과량
(μg/cm2)
43.21 81.14 149.53 315.09 252.31
비교예 1 대비
누적 투과량의 비율
1.00 1.88 3.46 7.29 5.84
평균 투과속도
(μg/cm2/hr)
7.86 14.64 27.04 56.35 45.36
비교예 1 대비
상대 투과 증진 비율
1.00 1.86 3.44 7.17 5.77
시험예 2: 눈물 분비량 측정
각막 투과량이 개선된 점안 조성물에서 안구건조증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구건조증 유발 모델에서 눈물 분비량의 개선 여부를 평가하였다.
NOD.B10.H2b 마우스종 12 내지 14주령(Jackson Laboratory, Bar Harbor, USA)을 7일 간 순화기간 후 10일 동안 매일 4회(오전 8시, 11시, 오후 2시, 5시)씩 0.5 mg/0.2 mL 스코폴라민 브롬화수소산염(scopolamine hydrobromide)를 대퇴부에 피하주사하면서 습도 40% 이하로 사육환경을 유지하여 건성안을 유발하였다. 건성안 유발을 확인한 후 비교예 3(위약 조성, 실시예 1 중 주성분을 제외한 조성), 비교예 1의 점안 조성물 및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을 각각 매일 4회씩 21일 동안 5 μL씩 양안에 점안하였다.
투약 21일 후 눈물 생성량은 페놀레드가 함유된 면 실(Phenol red-impregnated cotton threads)을 이용하여 안각의 끝에 20초 동안 접촉하여 눈물이 흡수된 실의 길이를 측정한 다음 마이크로리터(μL)로 환산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안구건조증이 유발된 비임상시험 마우스시험에서 눈물 분비량을 비교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의 점안 조성물은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과 동일한 레코플라본 5%(w/v)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눈물분비량이 위약인 비교예 3과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못한 반면에, 각막 투과량이 증가된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은 눈물분비량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각막 형광 염색(Corneal Fluorescein Stain; CFS) 지수
각막 투과량이 개선된 조성에서 안구건조증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구건조증 유발 모델에서 각막 형광 염색(CFS) 지수의 감소 여부를 평가하였다.
시험예 2와 동일 시험조건에서 비교예 3,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을 투약 10일 후 1%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시약 1 μL을 점안한 후 식염수로 세척하여 각막을 염색하고 세극등 현미경(Digital slit lamp)으로 이미지 촬영을 하여 상피손상 정도(형광염색이 묻어나는 정도)를 점수화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각막의 영역을 5개로 구분하여 한 개 영역당 1 내지 3점의 점수를 측정하여 합산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안구건조증 개선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지표로서 각막 형광 염색지수(CFS)를 측정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점안 조성물은 위약 (비교예 3) 대비 개선효과가 없는 반면에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은 각막 형광 염색 지수(CFS)가 크게 감소되어 안구건조 증상이 많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각막 표면 굴곡성 평가
각막 투과량이 개선된 조성에서 안구건조증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구건조증 유발 모델에서 각막 표면 굴곡성의 개선 여부를 평가하였다.
시험예 2와 동일 시험조건에서 비교예 3,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의 투약 10일 후 실체 현미경(SZX7, Olympus)의 광섬유 링 조명으로부터 각막에 반사된 흰색 링의 반사이미지를 얻었다. 반사된 링이 불규칙성 없음은 0점, 1/4등분의 불규칙성을 1점, 2/4등분의 불규칙성을 2점, 3/4등분의 불규칙성을 3점, 모두 불규칙한 정도를 4점, 심각한 정도의 불규칙성을 5점을 부여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각막 치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각막 표면 굴곡성을 비교한 결과(도 4 참조) 비교예 1의 점안 조성물은 위약인 비교예 3과 차이가 없으나,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은 각막 표면 굴곡이 약 30 % 정도 감소되어 안구건조 증상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각막 상피세포 박리 상태
각막 투과량이 개선된 조성에서 안구건조증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구건조증 유발 모델에서 각막 상피세포 박리 상태를 평가하였다.
시험예 2와 동일 시험조건에서 비교예 3,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의 투약 21일 후 동물을 안락사하고, 안구주변부와 눈물샘을 적출하여 10% 포르말린에 3일간 고정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였다. 마이크로톰으로 조직을 5 μm 두께로 절편하여 슬라이드에 부착시킨 후 1시간 가량 건조한 뒤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H&E) 염색방법에 따라 조직을 전처리하고 가상현미경(Nanozoomer 2.0RS, Hamamatsu, Japan)을 이용하여 각막 부위 1mm2 면적에서 상피 세포의 박리 정도를 평가하였다. 해당 증상 개선 정도를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해 안구 건조가 충분히 유발되어 약물을 투여하기 직전 시점(초기)의 안구조직 및 10일간의 약물 및 건조환경 스트레스에 노출하지 않은 정상 마우스의 안구(정상안)을 함께 비교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각막 상피세포의 박리 현상을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정상안은 상피세포 박리현상이 매우 적었으나, 10일간의 건성안 유발 환경을 통해 박리현상이 매우 심하게 증가하였고(초기), 비교예 1의 점안 조성물은 위약인 비교예 3보다도 명확한 개선 효과를 보였으나,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은 정상안과 유사한 상태까지 회복되는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각막 상피세포의 박리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결막 배상세포 밀도 측정
각막 투과량이 개선된 조성에서 안구건조증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구건조증 유발 모델에서 점액성분 분비를 담당하는 배상세포의 밀도를 평가하였다.
시험예 5와 동일 시험조건으로 진행하여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을 절편하여 슬라이드에 부착시킨 후 PAS(Periodic-Acid-Schiff) 키트를 이용하여 제공된 프로토콜에 따라 염색하고 가상현미경(Nanozoomer 2.0RS, Hamamatsu, Japan)을 이용하여 결막 부위 1 mm2 면적에서 배상세포의 분포 밀도를 평가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결막 배상세포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10일간의 건성안 유발 환경을 통해 결막 배상세포가 정상안에 비해 상당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으며(초기), 위약인 비교예 3은 결막 배상세포를 전혀 회복시키지 못하였고, 비교예 1의 점안 조성물은 위약 (비교예 3)보다는 명확한 개선 효과를 보였으나,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은 비교예 1의 점안 조성물보다도 개선되어 정상안 수준에 가깝게 회복되는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7: 뮤신 분포 측정
각막 투과량이 개선된 조성에서 안구건조증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구건조증 유발 모델에서 주요 점액 성분인 뮤신 분포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5와 동일 시험조건으로 진행하여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을 절편하여 슬라이드에 부착시킨 후 알시안 블루 염색 키트(Alcian blue stain kit)을 이용하여 제공된 프로토콜에 따라 염색하고 가상현미경(Nanozoomer 2.0RS, Hamamatsu, Japan)을 이용하여 각막과 결막 부위의 1 mm2 면적에서 평가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뮤신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10일간의 건성안 유발 환경을 통해 뮤신이 정상안에 비해 상당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으며(초기), 위약인 비교예 3은 주요 점액 성분인 뮤신을 전혀 회복시키지 못하였고, 비교예 1의 점안 조성물은 위약(비교예 3)보다는 명확한 개선 효과를 보였으나, 실시예 1의 점안 조성물은 비교예 1의 점안 조성물보다도 개선되어 정상안에 더욱 가깝게 회복되는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시험예 6에 제시된 뮤신 분비를 담당하는 배상세포 밀도 측정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8: 점안조성물의 임상시험
본 발명 중 레코플라본 5%(w/v) 함유 점안조성물(실시예 5)을 사용하여 피험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을 대조로 하는 임상 2상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임상시험 참여에 적합한 환자를 선별한 후 일정시간 동안 사전투약기간(run-in period)을 갖고, 적절한 기준이상의 복약순응도를 보인 환자를 대상으로 3군(위약군, 시험약 3회 투약군, 시험약 6회 투약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각 군별로 33명을 배정하고 1 방울씩 1일 3회 또는 6회를 최대 12주간 투약하면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유효성 평가 지표로서 플루오레신(fluorescein)을 이용한 각막염색검사 점수(TCSS)의 기저치(baseline) 대비 변화량 등을 측정하였고, 각 방문시점 별로 이상반응, 활력징후, 실험실적 검사, 심전도 검사 및 안과검사 등을 실시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일차 유효성 평가지표인 각막염색검사(TCSS) 변화량을 표 5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투약시간이 지속될수록 위약군과 차이가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군간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p<0.05 수준에서 t-test를 실시하였을 때, 투약 후 2주까지는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8주에서는 위약군 대비 3회 투여군과 6회 투여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3회 투여군과 6회 투여군 간에는 2주와 8주에서 모두 변화량의 값 차이도 크지 않았으며,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통해 개발된 투과증진제를 함유하는 신규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조성물은, 기존 발명들에서 극복하지 못했던, 실질적으로 인체에서의 안구건조증을 유의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약군 3회투여군 6회투여군
2주 -1.36±1.80 -1.85±1.72 -1.91±2.69
8주 -2.22±2.17 -3.45±1.95* -3.35±2.24*
* 위약 대비 p<0.05 수준에서 유의함.
시험예 9: 점안액의 pH 안정성 평가
제조된 실시예 5 및 위약을 장기보존조건(25℃/60%RH)에 보관하면서 점안액의 pH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는 완충제를 포함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장기보관조건에서 18개월 동안 pH가 변화하지 않고 초기 pH인 6 내지 7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반면에 레코플라본을 제외한 위약 조성은 pH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완충제는 일반적으로 제품의 유효기간 동안 물리화학적 특성, 특히 pH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 대부분의 점안제 조성에 사용되지만, 최근 완충제를 포함할 경우 문제점이 제기된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점안 조성물은 놀랍게도 필요에 따라 조성 중 완충제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장기보존조건(25℃/60%RH)에서 점안 조성물의 pH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될 것이다.

Claims (8)

  1.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고,
    0.1 내지 5.0 %(w/v)의 투과증진제 및
    0.01 내지 1.0 %(w/v)의 등장화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은 점증제, 완충제, pH 조절제 및 보존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은 6시간에 걸쳐, 미니피그 각막에서의 프란츠 확산 셀에서 측정된 레코플라본의 누적 투과량이 130 μg/cm2 이상이거나 투과증진제를 제외한 점안 조성물과 비교할 때 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증진제는 폴리소르베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마크로골 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실글리세리드, 토코페릴 폴리에틸렌글리콜 숙시네이트, 폴록사머 및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유도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증진제는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실 10 올레일 에테르, 솔루톨 HS15, 라우로일 폴리옥실글리세리드, 비타민 E-TPGS, 폴록사머 407 및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등장화제는 만니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말토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글루코스로 구성된 비이온성 화합물 또는 염화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으로 구성된 이온성 화합물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7. 레코플라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무수물 또는 용매화물을 5 %(w/v) 이상 함유하고,
    0.1 내지 5.0 %(w/v)의 투과증진제를 포함하며,
    1회 1 내지 2 방울을 1일 3회 이상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안 조성물은 1회 1 방울, 1일 3회 내지 6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KR1020220097206A 2021-08-05 2022-08-04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3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1567 WO2023014117A1 (ko) 2021-08-05 2022-08-04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30121461A KR20230136579A (ko) 2021-08-05 2023-09-13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200 2021-08-05
KR20210103200 2021-08-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1461A Division KR20230136579A (ko) 2021-08-05 2023-09-13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613A true KR20230021613A (ko) 2023-02-14
KR102583151B1 KR102583151B1 (ko) 2023-09-26

Family

ID=8522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206A KR102583151B1 (ko) 2021-08-05 2022-08-04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42453A1 (ko)
KR (1) KR102583151B1 (ko)
CN (1) CN11779451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621B1 (ko) 1999-09-22 2002-03-15 유충식 7-카르복시메틸옥시-3',4',5-트리메톡시플라본의 제조방법
KR100447918B1 (ko) 1996-07-25 2005-09-28 동아제약주식회사 대장을포함한위장관보호작용을갖는플라본및플라바논화합물
KR100644928B1 (ko) 2003-09-04 2006-11-15 동아제약주식회사 7­카르복시메틸옥시­3',4',5­트리메톡시 플라본·일수화물,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80107542A (ko) * 2007-06-07 2008-12-11 동아제약주식회사 점액분비를 촉진시키는 3',4',5-트리메톡시 플라본 유도체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약학적 용도
KR20210038600A (ko) * 2018-07-27 2021-04-07 존슨 앤드 존슨 서지컬 비전, 인코포레이티드 눈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918B1 (ko) 1996-07-25 2005-09-28 동아제약주식회사 대장을포함한위장관보호작용을갖는플라본및플라바논화합물
KR100327621B1 (ko) 1999-09-22 2002-03-15 유충식 7-카르복시메틸옥시-3',4',5-트리메톡시플라본의 제조방법
KR100644928B1 (ko) 2003-09-04 2006-11-15 동아제약주식회사 7­카르복시메틸옥시­3',4',5­트리메톡시 플라본·일수화물,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80107542A (ko) * 2007-06-07 2008-12-11 동아제약주식회사 점액분비를 촉진시키는 3',4',5-트리메톡시 플라본 유도체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약학적 용도
KR100930467B1 (ko) 2007-06-07 2009-12-08 동아제약주식회사 점액분비를 촉진시키는 3',4',5-트리메톡시 플라본 유도체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약학적 용도
KR20210038600A (ko) * 2018-07-27 2021-04-07 존슨 앤드 존슨 서지컬 비전, 인코포레이티드 눈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 J. Ophthalmol. 2010, 94, 1519~1522
Cornea, 2017, 36(6), 712-718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4, 55(10), 6569~6574
J. Korean Med. Assoc. 2018, 61(6), 352-364
TFOS DEWS II introduction. Ocul. Surf. 2017, 15, 269-27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42453A1 (en) 2024-03-27
CN117794515A (zh) 2024-03-29
KR102583151B1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39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medical and veterinary ophthalmology
ES2773641T3 (es) Composición oftálmica que comprende ciclosporina y trehalosa
US11896559B2 (en) Opthalmic compositions comprising F6H8
EP4342452A1 (en) Eye drop composition comprising recoflavone for treatment of xerophthalmia
TWI827800B (zh) 4-(7-羥基-2-異丙基-4-側氧基-4h-喹唑啉-3-基)-苄腈之配製物
BRPI0620080A2 (pt) formulações tópicas de mecamilamina para adminstração ocular e usos das mesma
US10993937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eye syndrome, containing polyethylene glycol and flavonoid nanocomposite as active ingredient
CN105566100B (zh) 一种苯乙烯酸类化合物,包含其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583151B1 (ko)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36579A (ko)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레코플라본 함유 점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9677A (ko) 안구 표면 통증의 치료 방법
EP4282401A1 (en) Ophthalmic preparation administered by eye drops and use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ry macular degeneration and retinal light damage
CN117503702A (zh) 一种含环孢素的组合物、纳米胶束、其制备方法及其应用
US20200147170A1 (en) Ophthalmic compositions of cyclosporine
JP2007161686A (ja) 糖尿病網膜症治療剤及び眼局所投与用製剤
KR20230015999A (ko) 펩스타틴 및 알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L237591B1 (pl) Nowe zastosowanie medyczne kwasu kynureninowego i jego soli w leczeniu spojówki i rogówki oka
KR20170084871A (ko) 안구건조에 따른 장애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사이클로스포린 및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