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510A -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 Google Patents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510A
KR20230021510A KR1020210103458A KR20210103458A KR20230021510A KR 20230021510 A KR20230021510 A KR 20230021510A KR 1020210103458 A KR1020210103458 A KR 1020210103458A KR 20210103458 A KR20210103458 A KR 20210103458A KR 20230021510 A KR20230021510 A KR 20230021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flowers
cut
nadcc
aqueous solution
flow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준
이면주
강필현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03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510A/ko
Priority to EP22188390.3A priority patent/EP4129063A1/en
Publication of KR2023002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A01N3/02Keeping cut flowers fresh chemical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3/00Fungic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화(cut flower)의 수명 연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Method for extending vase life of cut flowers}
본 발명은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화(cut flowers)는 식물로부터 꽃이나 꽃봉오리를 줄기와 잎과 함께 잘라낸 것을 의미하며, 장식용 또는 관상용으로 사용한다. 절화는 다른 화훼에 비해 성숙에서 노화의 기간이 매우 짧으므로, 절화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일반적으로 수확 후 절화의 수명연장 방법으로는 수확 직후에 화학적인 물질로 절화를 처리하는 전처리와 소비자가 화병의 용액에 화학물질을 적절히 희석하는 후처리로 나누어 생각 할 수 있으며, 또 절화 화훼류의 유통과정으로 습식유통과 건식유통이 있으나 습식유통은 경비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화훼류 수확 후 유통과정에서 수명연장을 위하여 생산자가 직접 화학적인 물질로 절화 화훼류에 직접 전처리하여 유통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현재 우리 나라 화훼류의 수확 후 저장 및 유통과정에서 발생되는 손실은 총 생산량의 30-40% 정도로 추정되며, 국내 화훼류의 수출가능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장기 저장 및 수출에 따른 기술개발은 낙후되어 국제 경쟁력 약화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절화 유통시 신선도 유지와 품질향상을 위한 연속적이고 체계화된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140711호 (2017.12.21)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화훼류의 건식 유통 시에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절화의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수명이 연장된 절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절화(cut flower)를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NaDCC) 수용액에 침지하여 물올림 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절화(cut flower)를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NaDCC) 수용액에 침지하여 물올림 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명이 연장된 절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 수용액을 물올림 한 후 방사선을 조사한 절화는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 또는 방사선을 단독 처리하거나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 수용을 분무 처리한 경우에 비해 절화의 생존율이 현저하게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수명이 연장된 절화는 개화가 36시간 이상 지연되고 수명이 3일 이상 연장되므로, 절화의 저장 및 유통과정에서 발생되는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이로 인해 해외 수출 국가의 다양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NaDCC) 수용액의 농도에 따른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를 생존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방사선 처리와 NaDCC 수용액의 농도에 따른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를 생존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NaDCC 수용액의 처리 방법에 따른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를 나타낸 사진 및 그래프이다. A는 정수물로 물올림 처리한 군, B는 70ppm의 NaDCC로 물올림 처리한 군, C는 70ppm의 NaDCC를 분무한 군을 의미한다.
도 4는 NaDCC, 전자선 또는 이들의 병용 처리시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를 생존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NaDCC, 전자선 또는 이들의 병용 처리시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A는 정수물을 물올림한 대조군, B는 NaDCC를 물올림한 군, C는 NaDCC 물올림 및 전자선 200Gy 조사군, D는 전자선 200Gy 조사군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절화(cut flower)의 수명 연장 방법을 제공한다.
절화의 수명을 연장하는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절화를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NaDCC) 수용액에 침지하여 물올림 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절화(cut flower)'는 식물로부터 꽃이나 꽃봉오리를 줄기와 잎과 함께 잘라낸 것을 의미하는 바, 본 발명에서 상기 절화는 성숙에서 노화까지의 기간이 짧은 화훼절화라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장미, 백합, 국화 등일 수 있다.
상기 '물올림'은 일반적으로 절화한 화훼의 수명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수위의 정수한 물에 절화를 침지시켜 꽃 체내에 물을 순환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는 물 대신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NaDCC) 수용액에 절화를 침지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 수용액은 물올림 처리제로 사용되며 이를 이용하여 절화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는 10ppm 내지 200ppm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 ppm 내지 150ppm, 10 ppm 내지 100ppm, 10 ppm 내지 80ppm, 20 ppm 내지 100ppm, 20 ppm 내지 80ppm, 20 ppm 내지 70ppm, 30 ppm 내지 100ppm, 30 ppm 내지 80ppm, 50 ppm 내지 100ppm, 50 ppm 내지 80ppm, 50 ppm 내지 70ppm 일 수 있다.
상기 침지는 절화의 체내에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 수용액이 순환하는데 통상적으로 소요되는 시간 동안 진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시간 내지 10시간, 2 시간 내지 8시간 또는 3시간 내지 8시간 동안 진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방사선은 절화의 개화를 지연시키거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방사선 일 수 있고, 예컨대 전자선, X선 또는 감마선일 수 있다.
상기 방사선은 100Gy 내지 300Gy의 조사선량, 100 Gy 내지 250 Gy의 조사선량, 100 Gy 내지 200 Gy의 조사선량으로 조사될 수 있다. 방사선을 상기 범위의 조사선량으로 조사하는 경우, 절화의 수명이 전반적으로 더욱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은 상기 물올림된 절화를 상온 또는 냉장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올림된 절화를 소정의 시간 동안 상온에서 보관하거나 냉장 보관 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2 내지 36시간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36시간, 5 내지 24시간, 5 내지 20시간, 8 내지 36시간, 8 내지 24시간, 8 내지 20시간, 10 내지 36시간, 10 내지 24시간, 10 내지 20시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냉장 보관은 1℃ 내지 10℃에서 진행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2℃ 내지 10℃, 3℃ 내지 10℃, 4℃ 내지 1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물올림된 절화를, 상술한 온도 조건에서 상술한 시간 동안 보관하는 단계를 통해, 개화 시 꽃 모양을 좋게 유지할 수 있고 절화의 수명 연장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명 연장 방법을 통해, 단순히 절화에 정제수를 물올림 하던 종래 기술에 비해 36시간 이상 개화가 지연되고, 이를 통해 절화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절화(cut flower)를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NaDCC) 수용액에 침지하여 물올림 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명이 연장된 절화의 제조방법은 상기 물올림된 절화를 소정의 시간 동안 상온 또는 냉장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 수용액, 침지, 물올림, 방사선, 소정의 시간, 냉장 보관에 관한 내용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 수용액의 농도에 따른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
절화 장미에 NaDCC 수용액을 농도 별로 처리한 후 농도에 따른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NaDCC를 정수물에 0, 1, 10, 50, 100, 500ppm 처리하여 NaDCC 농도별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다른 품종 대비 생존력이 약한 애텀파티 품종의 절화 장미를 20송이씩 실험군을 나누고 상기 NaDCC 농도별 수용액 1L에 6시간 동안 침지하여 물올림하였다. 물올림이 끝난 후 정수물 500mL가 담긴 화병에 물올림된 절화 장미를 분리하여 넣고 이때 절화는 화병에 셋팅 전 하단을 새로이 컷팅하였다, 상온에서 5일 동안 보관한 후 절화 장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목 꺾임 된 절화 장미, 꽃잎이 시들거나 떨어진 절화 장미는 생존수에서 제외하였으며, 생존수와 개체수의 비율로부터 생존율을 계산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ppm 내지 100 ppm의 NaDCC 수용액에 침지하여 물올림한 절화 장미는 1ppm 또는 500ppm의 NaDCC 수용액에 침지하여 물올림한 절화 장미 및 무처리 절화 장미와 비교하여 생존율이 현저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방사선 병용 처리 및 NaDCC의 수용액 농도별 처리에 따른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
절화 장미에 NaDCC 수용액을 농도 별로 처리한 후 방사선을 처리하여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NaDCC를 정수물에 0, 1, 10, 50, 100, 200ppm 처리하여 NaDCC 농도별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나르샤 품종의 절화 장미를 20송이씩 실험군을 나누고 상기 NaDCC 농도별 수용액 1L에 6시간 동안 침지하여 물올림한 다음 절화 장미에 200 Gy 0.15mA의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정수물 500mL가 담긴 화병에 방사선 조사된 절화 장미를 분리하여 넣고 이때 절화는 화병에 셋팅 전 하단을 새로이 컷팅하였다. 상온에서 11일 동안 절화 장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목 꺾임 된 절화 장미, 꽃잎이 시들거나 떨어진 절화 장미는 생존수에서 제외하였으며, 생존수와 개체수의 비율로부터 생존율을 계산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 3일 경과 후까지는 모든 군에서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으나, 8일 경과 후에는 50ppm, 100ppm의 NaDCC 수용액에 침지하여 물올림한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가 다른 군 대비 월등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NaDCC 수용액의 처리 방법에 따른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
절화 장미에 NaDCC 수용액을 분무하거나 물올림 한 후 방사선을 처리하여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A)와 물올림군(B)는 각각 정수물 또는 70ppm의 NaDCC 수용액 1L에 나르샤 품종의 절화 장미를 20주씩 침지하여 물올림하였다. 분무군(C)은 70ppm의 NaDCC 수용액 25 mL를 절화 장미 20주에 고르게 분무한 다음 대조군과 같은 방법으로 정수물에 침지하여 물올림하였다. 각각 6시간 동안 물올림 한 후 4℃에서 냉장 보관하고 18시간 후 200 Gy의 선량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정수물 1L가 담긴 화병에 절화 장미를 분리하여 넣고 상온에서 5일 동안 보관한 후 절화 장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목 꺾임 된 절화 장미, 꽃잎이 시들거나 떨어진 절화 장미는 생존수에서 제외하였으며, 생존수와 개체수의 비율로부터 생존율을 계산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NaDCC를 분무 처리한 군에 비해 NaDCC를 물올림 처리한 군에서 45% 이상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NaDCC 수용액과 방사선의 병용 처리에 따른 상승적 수명 연장 효과
절화 장미에 NaDCC 수용액 또는 방사선을 개별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한 후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군으로 각각 1단씩(10주) 나눈 오렌지 골드 품종의 절화 장미에 70ppm의 NaDCC 수용액으로 물올림하거나, 70ppm의 NaDCC 수용액으로 물올림 한 후 200 Gy의 선량으로 전자선을 조사하거나, 200 Gy의 선량으로 전자선만을 조사한 후 정수물 500 mL가 담긴 화병에 절화 장미를 분리하여 넣고 항온 항습(24℃ 습도 60%)에서 3일 동안 보관한 후 절화 장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목 꺾임 된 절화 장미, 꽃잎이 시들거나 떨어진 절화 장미는 생존수에서 제외하였으며, 생존수와 개체수의 비율로부터 생존율을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생존수/개체수 (생존율 %)
무처리 대조군 NaDCC 70ppm 200 Gy 0.15mA NaDCC 70ppm
200 Gy 0.15mA
0일 34L/34 (100%) 34L/34 (100%) 33L/33 (100%) 32L/32 (100%)
1일 24L/34 (70.58%) 34L/34 (100%) 10L/33 (30.30%) 32L/32 (100%)
2일 0L/34 (0%) 29L/34 (85.29%) 0L/33 (0%) 32L/32 (100%)
3일 0L/34 (0%) 2L/34 (5.88%) 0L/33 (0%) 22L/32 (68.75%)
- L: 생존수그 결과, 표 1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사선만 처리한 군은 2일 경과 후부터는 생존한 절화 장미가 없었고, NaDCC만 처리한 군은 3일 경과 후 생존율이 5.88%에 불과하였으나, NaDCC와 방사선을 병용 처리한 군에서는 3일 경과 후에도 생존율이 68.75%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NaDCC 수용액과 방사선을 병용 처리한 경우 NaDCC 수용액만 처리하거나 방사선만 처리한 경우보다 절화의 생존율이 월등하게 상승함을 알 수 있다.
모의수출 냉장조건에 따른 NaDCC 수용액과 방사선의 병용 처리에 따른 상승적 수명 연장 효과
절화 장미에 NaDCC 수용액 또는 방사선을 개별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한 다음 장거리 수출을 가상하여 4℃에서 4일간 냉장 보관한 후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A)와 NaDCC 물올림군(B), NaDCC 물올림-방사선 병용처리군(C), 방사선 처리군(D)으로 대조군과 실험군을 나누고, 각각 정수물 또는 70ppm의 NaDCC 수용액 1L에 나르샤 품종의 절화 장미를 10주씩 침지하여 물올림하였다. 그 후 모든 군의 절화 장미를 대조군과 같은 방법으로 정수물에 침지하여 물올림하였다. 각각 6시간 동안 물올림 한 후 4℃에서 냉장 보관하고 18시간 후 200 Gy의 선량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정수물 1L가 담긴 화병에 절화 장미를 분리하여 넣고 장거리 수송을 가정하여 4일간 냉장 처리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절화 장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4일간 보관 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였을 때 NaDCC 물올림군(B)과 NaDCC 물올림-방사선 병용처리군(C)만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고, NaDCC 물올림군(B)은 생존은 하였으나 병용처리군(C) 대비 노화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NaDCC 수용액 물올림 처리에 따른 개화 지연 효과
절화 장미에 NaDCC 수용액을 물올림하거나 NaDCC 수용액 물올림 후 방사선을 처리한 후 절화 장미의 개화 지연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A)와 NaDCC 물올림군(B), NaDCC 물올림-방사선 병용처리군(C)으로 대조군과 실험군을 나누고, 각각 정수물 또는 70ppm의 NaDCC 수용액 1L에 핑크요요 품종의 절화 장미를 침지하여 물올림하였다. 각각 6시간 동안 물올림 한 후 4℃에서 냉장 보관하였으며, 병용 처리 군은 18시간 후 200 Gy의 선량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정수물 1L가 담긴 화병에 절화 장미를 분리하여 넣고 장거리 수송을 가정하여 4일간 냉장 처리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개화수와 개체수를 확인하고 개화수와 개체수의 비율로부터 개화율을 계산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은 2번 반복하여 진행하였다.
2일 후 6일 후
개화수/개체수 (개화율) 개화수/개체수 (개화율)
정수물 (A) 17/17 (100%) 17/17 (100%)
11/17 (64.7%) 15/17 (88.23%)
NaDCC 70 ppm (B) 10/21 (47.61%) 20/21 (95.24%)
12/21 (57.14%) 16/21 (76.19%)
NaDCC 70 ppm
200 Gy 0.15mA (C)
8/23 (34.78%) 16/23 (69.57%)
5/23 (21.74%) 20/23 (86.96%)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NaDCC를 물올림 처리한 군에서 개화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NaDCC를 물올림 한 후 방사선 처리까지 한 병용 처리군에서는 개화율이 더욱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0)

  1. 절화(cut flower)를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NaDCC) 수용액에 침지하여 물올림 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염화이소시나뉼산 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는 10ppm 내지 200ppm인,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지는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인,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100Gy 내지 300Gy의 조사선량으로 조사하는 것인,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전자선, X선 및 감마선 중 어느 하나인,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올림된 절화를 소정의 시간 동안 상온 또는 냉장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냉장 보관은 1℃ 내지 10℃에서 진행하는 것인,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2 내지 36시간인,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9. 절화(cut flower)를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NaDCC) 수용액에 침지하여 물올림 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명이 연장된 절화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물올림된 절화를 소정의 시간 동안 상온 또는 냉장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명이 연장된 절화의 제조방법.
KR1020210103458A 2021-08-05 2021-08-05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KR20230021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458A KR20230021510A (ko) 2021-08-05 2021-08-05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EP22188390.3A EP4129063A1 (en) 2021-08-05 2022-08-02 Method for extending vase life of cut flow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458A KR20230021510A (ko) 2021-08-05 2021-08-05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510A true KR20230021510A (ko) 2023-02-14

Family

ID=8278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458A KR20230021510A (ko) 2021-08-05 2021-08-05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4129063A1 (ko)
KR (1) KR202300215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711A (ko) 2016-06-13 2017-12-2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절화수명 연장용 절화보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754A (ko) * 2013-12-18 2015-06-29 한국원자력연구원 감마선과 염소처리를 병용하여 살균하는 방법
KR101591734B1 (ko) * 2014-03-13 2016-02-04 한국원자력연구원 고구마 저장병 방제를 위한 감마선과 항균제 처리 방법
KR101782896B1 (ko) * 2014-10-29 2017-09-29 한국원자력연구원 저장성 및 병원균 억제력이 향상된 장미의 제조방법
KR101731440B1 (ko) * 2015-04-10 2017-05-02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온화에너지와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의 병용 처리를 이용한 배의 저장성 병원균 제어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
KR101731441B1 (ko) * 2015-04-13 2017-05-02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온화에너지와 이염화이소시아뉼산 나트륨의 병용 처리를 이용한 감귤의 저장성 병원균 제어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711A (ko) 2016-06-13 2017-12-2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절화수명 연장용 절화보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9063A1 (en)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gimabi Vase life extension of Rose cut flowers (Rosa Hybrida) as influenced by silver nitrate and sucrose pulsing
Halevy et al. Opposing effects of abscisic acid on senescence of rose flowers
Hicklenton GA3 and benzylaminopurine delay leaf yellowing in cut Alstroemeria stems
KR20130059160A (ko)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수명 연장 방법
KR101339971B1 (ko) 절화수명 연장 방법
Butt Extending the vase life of roses (Rosa hybrida) with different preservatives
EP2243359B1 (en) Methods for delaying maturity of crops
KR20230021510A (ko) 절화의 수명 연장 방법
Tafazoli et al.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Long Days and Exogenous Growth Regulators on Growth and Flowering in Strawberry, Fragaria χ Ananassa Duch.
EP2098118B1 (en) Methods of protecting crops from post harvest microbial decay
KR20170140711A (ko) 절화수명 연장용 절화보존 조성물
RU2809599C1 (ru) Способ продления срока жизни срезанных цветов в вазе
KR102143245B1 (ko) 화훼류 건식유통 시 절화수명 연장을 위한 물올림용 전처리제
RU2576528C1 (ru) Способ сохранения цветов живыми до ста дней
Yoo et al. Effects of pretreatment of NaOCl, sucrose, and benzyladenine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flower in standard chrysanthemum ‘Jinba’
Roh et al.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flower by NaOCl and sucrose treatment as wet harvesting solution in standard chrysanthemum ‘Baekma’
KR20150096025A (ko) 절화수명 연장 방법
JPH09512274A (ja) 多価アルコールを使用して植物の生長を調節する方法
Van Meeteren Light-controlled flower-bud abscission of Lilium'Enchantment'is not mediated by photosynthesis
Jowkar et al. Effects of harvesting stages, 8-hydroxyquinoline citrate, silver thiosulphate, silver nitrate on the postharvest life of cut Narcissus tazetta
Choudhari et al. Effect of pulsing on improving the vase life of cut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a Tzevelev.) cv. White Double
Patil et al.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survival and vegetative growth of grapevine cuttings
Yang et al. Comparison of Vase Life on Treatments with Combinations of Postharvest Solutions of Cut Hydrangea Flowers (Hydrangea macrophylla cv.‘Verena’) in Distribution Stage
Aghera et al. Effect of Floral Preservatives on Vase Life of Gerbera Cut (Gerbera jamesonii L.) cv.“Dana Allen”
KR102359231B1 (ko) 절화 수명 연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 수명 연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