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456A - 냉장고 및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456A
KR20230021456A KR1020210103346A KR20210103346A KR20230021456A KR 20230021456 A KR20230021456 A KR 20230021456A KR 1020210103346 A KR1020210103346 A KR 1020210103346A KR 20210103346 A KR20210103346 A KR 20210103346A KR 20230021456 A KR20230021456 A KR 2023002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do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중
박미선
이범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3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456A/ko
Priority to PCT/KR2022/011653 priority patent/WO2023014163A1/en
Publication of KR2023002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가전 기기는,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로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가 선택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 상기 도광판을 통과한 빛을 확산시키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도광판의 둘레는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확산 부재; 및 상기 도광판의 후측을 커버하며, 상기 연장부와 접촉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백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가전기기{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가 배치되는 환경 또는 주위의 가구 또는 가전 제품과의 조화를 위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 전면의 외관을 다양하게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가전기기 전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8789900호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 패널이 장착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데코 패널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사용자가 외관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 데코 패널 전체를 분리 후 교체하여야 하며, 교체 전의 데코 패널은 더 이상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중국특허 제103250018호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반사층과 투명 패널이 구비되고, 반사층의 양측단에 색상을 가지는 발광부재가 장착되어 투명 패널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발광부재가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패널보다 더 내측에 위치하여, 발광부재의 동작시 상기 도어의 양측단부에서 음영이 발생되어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발광부재가 도어의 양단에 위치되어 중앙부에 광량이 부족하여 중앙부의 휘도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전면 전체에 균일한 광량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067382호에는 도어의 내부에 도광판이 구비되고, 도광판의 하방에 엘이디가 구비되어 도어 전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반복적으로 개폐되는 도광판이 고정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 도광판의 고정을 위한 구성이 도광판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도광판의 둘레에는 이러한 구성들을 차폐하기 위한 베젤 구조가 필연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에서 베젤을 제외한 일부 영역에서만 빛이 투과되므로, 냉장고 도어 전면 전체가 균일한 밝기로 빛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장시간 엘이디가 온되는 경우 상기 도광판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때 도광판의 중앙부가 전면의 패널과 닿게 되는 경우 외부에서 볼때 국부적으로 어두운 자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패널의 크기가 큰 경우 보다 빈번하게 발생되어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프론트 플레이트와 도광판의 접촉이 방지되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전체가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패널 어셈블리의 두께가 최소화되어 패널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도어 바디의 단열 공간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 및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로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가 선택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 상기 도광판을 통과한 빛을 확산시키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도광판의 둘레는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확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광판의 후측을 커버하며, 상기 연장부와 접촉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후면 상단에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면 하단에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와, 상기 전면부의 좌우 양측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연장부, 상기 하측 연장부, 상기 한 쌍의 측면부가 상기 도광판이 위치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면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절곡부가 안착되기 위한 함몰된 형태의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의 상하 길이 및 좌우 길이는 상기 도광판의 상하 길이 및 좌우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도광판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접촉되는 리어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는 상기 리어 서포터와 결합되는 커버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커버 바디의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연장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서포터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도광판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설치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하측 연장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도광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도광판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도광판 지지부와 상기 하측 연장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의 일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하면 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부의 일부에 상기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확산 부재에 결합되는 로어 트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트림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부의 일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빛의 투과를 제한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측 연장부를 지지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도어 또는 캐비닛에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된 빛의 투과가 가능한 글래스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 및 상기 백 커버 각각은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제 1 파트와, 상기 제 1 파트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라이팅 장치에서 조사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제 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제 2 파트를 통과하고 상기 제 1 파트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 2 파트에만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에서 상기 제 1 파트와의 경계부 부분의 패턴에 의한 출광량은, 상기 제 2 파트에서 경계부 이외의 부분의 출광량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에서 상기 제 1 파트와의 경계부 부분의 패턴은 상기 제 2 파트에서 경계부 이외의 부분의 패턴과 동일하고, 상기 경계부 부분의 패턴의 밀도는 상기 경계부 이외의 부분의 패턴의 밀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경계부 부분의 패턴의 형태는 상기 경계부 이외의 부분의 패턴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섹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광원과 멀게 위치되는 섹션에서의 출광량이 상기 광원과 가까운 섹션에서의 출광량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광원과 멀게 위치되는 섹션의 패턴의 밀도가 상기 광원과 가깝게 위치되는 섹션의 패턴의 밀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광원과 멀게 위치되는 섹션에서의 패턴 간의 간격은 상기 광원과 가깝게 위치되는 섹션에서의 패턴 간의 간격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광원과 멀게 위치되는 섹션의 패턴의 형태와 상기 광원과 가까운 섹션의 패턴의 형태가 다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진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를 향하여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가 선택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도광판이 이격되도록,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전면부와 함께 상기 도광판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의 둘레에서 절곡되며 상기 연장부와 접촉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및 가전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확산 부재의 전면부가 프론트 플레이트와 도광판 사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므로, 도광판이 열에 의해서 변형되어도 상기 도광판이 프론트 플레이트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플레이트에 얼룩과 같은 어두운 부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확산 부재가 상기 도광판을 지지 및 위치를 고정시키고, 백 커버가 상기 확산 부재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자체의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패널 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패널 어셈블리를 교체하지 않으면서도 도어 전면의 색상을 다양하게 선택 및 가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패널 어셈블리 교체를 위한 비용 및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에서 패널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4-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
도 8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발광 상태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9는 상기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에 따른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11-1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13-1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전기기의 일례로 냉장고에 대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냉장고에 대한 설명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일례로, 공기 조화기, 의류 관리기, 세탁기, 건조기, 식기 세척기, 조리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 에서 보이는 캐비닛을 기준으로 도어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도어를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또는 보관 구역)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10)은 상하로 구획된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은 상부 저장 공간, 상기 냉동실은 하부 저장 공간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20)는 인출입에 의해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01)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1)는 상부 도어 그리고 냉동실 도어(202)는 하부 도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1)는 좌측 냉장실 도어와 우측 냉장실 도어가 나란히 한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와 우측 냉장실 도어는 독립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와 우측 냉장실 도어는 서로 인접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202) 또한, 좌측 냉동실 도어와 우측 냉동실 도어가 나란히 한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와 우측 냉동실 도어는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와 우측 냉동실 도어는 서로 인접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방에 배치되는 구조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2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보이는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전면이 선택적으로 발광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설정된 색상 또는 밝기로 빛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를 분리 또는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20)의 전면 색상 또는 밝기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외관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2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에서 패널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는 도어 바디(40)와,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 패널 어셈블리(3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는, 전면을 형성하는 바디 플레이트(41)와,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플레이트(41)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4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배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도어 바디(21)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데코(44)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41)의 좌우 양측단과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좌우 양측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43)와 로어 캡데코(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43)는 상기 사이드 데코(44)의 상단과 상기 바디 플레이트(41)의 상단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캡데코(45)는 상기 사이드 데코(44)의 하단과 상기 바디 플레이트(41)의 하단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사이드 데코(44),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사이드 데코(44),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도어 바디(40) 내부의 공간에는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를 통해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단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일례로 발포액이 충진된 후에 경화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에는 상기 발포액이 충진되기 위한 주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패널 수용 공간(4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 데코(44)와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의 전단은 상기 바디 플레이트(41)의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 플레이트(41)의 전방에 전면이 개구된 패널 수용 공간(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수용 공간(410)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둘레는 상기 패널 수용 공간(410)의 둘레면 즉, 상기 사이드 데코(44)와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 장착되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을 차폐하여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므로 도어 패널이라 부를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므로 외장 패널이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바디(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이 상기 바디 플레이트(41)와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고정 장착을 위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하단이 로어 캡데코(45)의 하단과 걸림 구속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단이 상기 어퍼 캡데코(43)의 전면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상기 도어 바디(4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서비스 및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도어 바디(40)로부터 분리 장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바디(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면이 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도어(20)의 실질적인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전면 전체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으로 빛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내부에는 라이팅 장치(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전원의 공급 및 제어를 위해 전선(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선(미도시)은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선(미도시)의 단부에는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는 상기 전선의 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라이팅 장치(36)로 전원을 공급기 위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4-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31)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가 빛나도록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36),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 되는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33), 및 상기 도광판(33)과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를 이격시키며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는 도광판(33)을 지지하는 측면에서 지지부재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 및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확산 부재(32)에 장착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청유리, 백유리, 증착유리와 같은 유리소재 또는 ABS,PMMA,PC등과 같이 빛의 투과가 가능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투명판, 또는 아웃 플레이트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은 상기 도광판에서 반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는 정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 또는 온오프 상태에 따라서 다른 색상으로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에는 특정 색상을 가지도록 특정 무늬나 패턴이 인쇄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에 특정 무늬나 색상을 가지는 패턴이 인쇄된 필름이 부착되거나, 프론트 플레이트(31)에 임프린팅(imprinting), 애칭, 초자인쇄 등의 표면처리가 실시 되거나, 특정 색상과 질감을 가지는 코팅 또는 증착 층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되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 후방의 구성들이 비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 자체가 가지는 색상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 내부의 구성들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를 통해서 외부로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오프된 상태에서 적어도 검정색이 아닌 명도 0이상의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은 검정색이 아닌 다른 색상으로 보여 질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에 따라 상기 냉장고의 전면 색상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에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전면은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의 상하 길이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상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의 좌우 길이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좌우 길이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의 상면(321a)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산 부재(32)에 의해서 확산되는 빛은 전체적으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전면 전체가 빛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후면이 상기 확산 부재(32)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가 상기 확산 부재(3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둘레에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가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확산 부재(32)에 의해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와 이격된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33)의 하방에 배치된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광판(33)은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폴리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도광판(33)으로 입사되는 빛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확산제가 첨가되거나, 빛의 확산을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로 빛이 전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전면 전체가 균일한 밝기로 빛날 수 있도록 상기 도광판(33)의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은 전체적으로 상기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크기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광판(33)의 좌우 폭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좌우 폭 보다 작고, 상기 도광판(33)의 상하 길이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상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의 하중은 상기 확산 부재(3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백 커버(39)에 의해서 상기 확산 부재(32)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와 도광판(33)의 사이에는 확산 부재(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는 상기 도광판(33)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도광판(33)의 출광면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는 전면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를 지지하며, 양측면이 상기 도광판(33)의 양단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의 전면은 상기 도광판(33)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33)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확산 부재(32)의 후면과 상기 도광판(33)이 서로 면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확산 부재(32)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가 장착되는 판상의 전면부(321)와, 상기 전면부(321)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21)와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도광판(33)이 위치되기 위한 수용 공간(320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도광판(33)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광판(33)의 둘레는 일례로 상면, 하면,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전면부(321)의 후면 상단에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322)와, 상기 전면부(321)의 후면 하단에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324)와, 상기 전면부(321)의 좌우 양측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327, 3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연장부(322), 상기 하측 연장부(324), 상기 한 쌍의 측면부(327, 328)가 상기 도광판(33)이 위치되기 위한 상기 수용 공간(320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산 부재(32)는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도광판(33)을 수용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면부(321)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와 대응하는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부(321)의 후면에는 상기 도광판(33)의 전면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21)의 상하 길이는 상기 도광판(33)의 상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전면부(321)의 좌우 폭은 상기 도광판(33)의 좌우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확산 부재(32)의 전면부(321)가 프론트 플레이트(31)와 상기 도광판(33) 사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도광판(33)이 열에 의해서 변형되어도 상기 도광판(33)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에 얼룩과 같은 어두운 부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21)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후면은 접착부(313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313)는 일례로 실런트 또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327, 328)는 상기 전면부(321)의 좌우 양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광판(33)의 좌우 양측면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327, 328)는 상기 도광판(33)의 좌우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이 좌우 유동될 때 상기 측면부(327, 328)가 상기 좌우 양측면 중 적어도 한 면 이상과 접촉하여 구속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이 열에 의해서 팽창되는 것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상기 측면부(327, 328)가 상기 도광판(33)의 좌우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연장부(322) 및 하측 연장부(324) 각각은 상기 전면부(3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측 연장부(322) 및 하측 연장부(324)의 각각의 길이는 상기 도광판(33)의 두께 보다 크다.
상기 확산 부재(32)는 빛의 투과 및 확산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가 단일 구성으로 사출 또는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는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 자체가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확산 부재(32)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전면 색상이나 질감 또는 모양이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는 상기 도광판(33)의 하면(333)을 지지하는 도광판 지지부(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 지지부(326)는, 상기 전면부(32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측 연장부(324)의 상방에서 상기 하측 연장부(324)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확산 부재(32)는 복수의 도광판 지지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광판 지지부(326)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에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324a)(또는 수용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24a)은 상기 전면부(321)의 후면 일부가 전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부(321)에서 상기 수용홈(324a)이 형성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을 수 있다.
상기 수용홈(324a)은 상기 도광판 지지부(326)와 상기 하측 연장부(3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상기 수용홈(324a)에 수용되면,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도광판 지지부(326)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기판(361)과 광원(3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361)은 판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361)에는 다수의 광원(362)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은 상기 도광판(33)의 하면(333)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광판(33)의 하면(333)이 입광면이고 상기 도광판(33)의 전면(331)이 출광면이다.
상기 기판(361)은 상기 광원(362)이 상기 도광판(33)의 좌측단에서 타측단까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판(361)의 좌측단 및 우측단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확산 부재(32)의 측면부(327, 328)에 의해서 좌우측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은 상기 도광판(33)의 하면(333)의 수직 하방 즉, 상기 도광판(33)의 하면(333)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은 일례로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은 후술할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RGB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362)은 후술할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상기 제어부(13)에서 설정하는 색상으로 빛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색상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 색상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은 RGB 엘이디 외에도 특정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엘이디들이 조합되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다수의 광원(362)들은 적색, 녹색, 청색의 엘이디로 구성되고 차례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광원(362)들의 동작이 조합되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가 원하는 색상으로 빛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원(362)들의 사이 간격은 상기 도광판 지지부(326)의 좌우 폭 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 지지부(355)가 광원(362)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원(362)에서 조사되는 빛은 인접하는 두 도광판 지지부(326)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도광판(33)의 하면(333)으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확산 부재(32)의 하측 연장부(324)에 안착되는 기판 서포터(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서포터(37)는 상기 하측 연장부(32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361)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서포터(37)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도에 의해 방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서포터(37)는 일례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 서포터(37)는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서포터(37)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금속 소재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서포터(37)의 일부는 상기 수용홈(324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서포터(37)는 상기 백 커버(39)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백 커버(39)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기판 서포터(37)를 통해 상기 백 커버(39) 측으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백 커버(39)를 통해 방열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광판(33)의 후면을 지지하는 리어 서포터(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서포터(34)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33)의 후면에 접착부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서포터(34)는 빛의 투과가 제한되는 불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서포터(34)는 상기 확산 부재(32)가 형성하는 상기 수용 공간(320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연장부(322)는 상기 리어 서포터(34)의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측면부(327, 328)는 상기 리어 서포터(34)의 양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서포터(34)의 하면은 상기 기판(36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리어 서포터(34)의 하면은 상기 기판(36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어 서포터(34)에 의해서 상기 기판(361)의 상측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의 하면(333)은 상기 도광판 지지부(226)의 상면에 안착되므로, 상기 도광판(33)의 하면과 상기 광원(362)의 사이는 설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광판(33)과 상기 광원(362)의 사이 거리 또한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광원(362)에서 조사되는 빛은 설계된 각도로 상기 도광판(33)에 입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원(362)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도광판(33)을 향하여 효과적으로 조사되며, 상기 도광판(33)을 통해 반사되는 빛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를 설정된 밝기로 빛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리어 서포터(34)는 상기 도광판 지지부(326)에 안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어 서포터(34)는 상기 백 커버(39)의 일부가 관통하는 개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39)는, 커버 바디(391)와, 상기 커버 바디(391)의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391)는 상기 리어 서포터(34)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391)는 상기 리어 서포터(34)에 접착부에 의해서 접착되거나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커버 바디(391)의 테두리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측 절곡부(393), 하측 절곡부(396) 및 한 쌍의 측면 절곡부(394, 3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확산 부재(32)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일례로 상기 확산 부재(32)의 연장부에 접착부에 의해서 접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측 절곡부(393)는, 상기 확산 부재(32)의 상측 연장부(322)에 형성되는 함몰된 형태의 상측 안착홈(32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절곡부(396)는 상기 확산 부재(32)의 하측 연장부(324)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절곡부(394, 395)는, 상기 측면 연장부(327, 328)에 형성된 함몰된 형태의 측면 안착홈(327a, 328b)에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확산 부재(32)가 상기 도광판(33)을 지지 및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백 커버(39)가 상기 확산 부재(32)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자체의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패널 어셈블리(3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커버 바디(391)는 상기 도광판(33)을 향하여 절곡되는 가압부(3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92)는 상기 리어 서포터(34)의 개구(342)를 관통하여 상기 도광판(33)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커버 바디(391)는 상기 리어 서포터(34)의 후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리어 서포터(34)를 상기 도광판(33)의 후면 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상기 가압부(392)는 상기 도광판(33)을 직접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홈(324a)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하면(311)과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부(321)의 일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하면(311) 보다 하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는 상기 도광판(33)의 출광면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데, 상기 확산 부재(32)의 일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하면(311)과 낮게 위치되므로, 상기 확산 부재(32)를 통과한 빛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외부로 조사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방지되도록, 본 실시 예의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로어 트림(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트림(35)은, 상기 확산 부재(32)에 접착부 또는 후크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트림(3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351)과, 상기 제 1 부분(35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352)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제 1 부분(351)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부분(351)은 상기 확산 부재(32)에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하면(311) 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부분(351)은 상기 확산 부재(32)에서 상기 수용홈(324a)의 전방에서 상기 수용홈(324a)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352)은 상기 하측 연장부(32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352)에는 상기 백 커버(39)의 하측 절곡부(396)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39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8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발광 상태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에 따른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에서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20)의 전면이 빛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되고 다수의 색상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은 사용자의 조작부(14)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작부(14)는 상기 냉장고(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14)는 필요에 따라 상기 도어(2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4)를 직접 조작하여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켜거나 끌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4)의 조작을 통해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 시간, 동작 조건, 상기 광원(362)의 발광 색상 등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조작부(14)는 정보의 표시와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냉장고(1)와 떨어진 원격 기기(2)를 통해서 작동이 조작되고 동작 조건 등이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어부(13)와 연결된 통신부(17)를 통해서 상기 원격 기기(2)와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가 상기 원격 기기(2)를 통해서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7)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원격 기기(2)와 통신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신부(17)는 유선, 무선 및 근거리 통신(Bluetooth, Wi-Fi, Zigbee, NFC 등)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원격 기기(2)는 전용 단말기, 휴대전화, 태블릿, 휴대용 피시, 데스크탑 피시, 리모컨, 블루투스 스피커 등 통신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원격 기기(2)의 조작을 통해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 시간, 동작 조건, 광원의 발광 색상 등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 상태를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휴대 전화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간편한 조작과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센서에 의해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는 일례로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센서(151)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등 사용자가 냉장고 근처로 근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는 상기 캐비닛(10) 또는 도어(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사용을 위해 상기 냉장고(1)에 설정 거리 만큼 근접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켜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꺼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에 기준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 되거나 밝기가 점차 어두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다시 상기 냉장고(1)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다시 온 되거나 원래의 밝기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는 조도 센서(152) 일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152)는 실내 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가 배치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조도 센서(152)의 감지 조도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도 센서(152)의 감지 조도가 설정 조도 이하가 되어 어두워지게 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도록 하고, 상기 조도 센서(152)의 감지 조도가 설정 조도 이상이 되어 밝아지게 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고내 온도 센서(153)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는 고내 온도 센서(15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내 온도 센서(153)는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는 고내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광원(362)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전면 색상을 통해 고내의 온도 또는 고내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밝기를 다르게 하여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타이머(16)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온 오프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시간에 맞추어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고, 설정된 시간 범위 외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에와 무관하게 단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도어(20) 전면의 밝기 및 색상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라이팅 장치의 동작 상태에 관하여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어부(13)의 지시에 따라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면, 상기 광원(362)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도광판(33)의 하면(333)으로 조사되며, 상기 도광판(33)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안내되는 빛은 출광면을 통과하고 상기 전면부(321)를 지나면서 확산된 후에,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를 통과하여 외부로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 전체는 밝게 빛나게 되며,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설정된 밝기 또는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어 상기 도어(20)의 전면이 밝게 빛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광원(362)들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설정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0)의 전면 색상은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된 상태에서의 색상과는 다른 색상 또는 밝기일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의 전면 색상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가 가지는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에 형성된 질감과 패턴이 보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색상은 명도가 0보다 큰 색상으로, 검정색상이 아닌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된 상태에서의 상기 도어(20) 전면의 색상을 제 1 색상이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색상으로 보여지게 되며, 이때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색상에 의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 내부의 구성들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로 투시되어 외부로 보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면,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상기 제어부(13)에서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게 된다.
상기 제어부(13)에서 상기 도어(20)의 전면이 상기 제 1 색상과 다른 제 2 색상으로 빛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광원(362)이 제 2 색상으로 빛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이 제 2 색상으로 빛나게 되면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반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전면을 통해 상기 제 2 색상의 빛이 투과되며, 상기 도어(20)의 전면 즉,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은 제 2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제 2 색상으로 빛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3)에서 상기 냉장고(1) 전면의 색상을 바꾸도록 제어하게 되면,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상기 제어부(13)에서 재 설정한 색상으로 빛나게 된다.
상기 제어부(13)에서 상기 도어(20)의 전면이 상기 제 1 색상 및 제 2 색상과 다른 제 3 색상으로 빛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광원(362)이 제 3 색상으로 빛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이 제 3 색상으로 빛나게 되면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반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전면을 통해 상기 제 3 색상의 빛이 투과되며, 상기 도어(20)의 전면 즉,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은 제 3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도어(20) 중 일부의 도어(20)가 발광되거나, 다수의 도어(20)들이 독립적으로 발광되어 설정된 색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도 이다.
상기 냉장고(1)는 다수의 도어 들 중 일부 도어(20)가 빛나거나 특정 색상으로 빛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들에 구비되는 라이팅 장치(36)가 모두 동작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도어(20) 중 일부의 도어만 빛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냉장실 도어(201)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빛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와 우측 냉장실 도어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상기 도어(20)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도어(20)가 순차적으로 색상이 변화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둘 이상의 도어(20)가 순차적으로 온오프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에 구비되는 라이팅 장치(36)는 전술한 다양한 조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중 냉장실 도어 또는 냉동실 도어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빛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는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1)가 제 1 색상으로 보이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는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1)가 제 2 색상으로 보이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실 도어(201)와 냉동실 도어(202)를 색상으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고내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냉장실 도어(201)와 냉동실 도어(202)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의 전면 색상을 통해 냉장실과 냉동실의 구분은 물론, 각 저장 공간의 운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11-1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13-1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패널 어셈블리의 기본 구조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다만, 패널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 도어(60)는, 메인 도어(70)와, 상기 메인 도어(7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서브 도어(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70)은,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을 캐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70)는, 메인 도어 개구(7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80)는 상기 메인 도어 개구(70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80)는, 상기 서브 도어(8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는 도어 바디(81)와, 상기 서브 도어(8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81)는, 리어 바디(813)와, 상기 리어 바디(813)와 결합되는 프론트 바디(811)와, 상기 리어 바디(811)와 프론트 바디(813)에 의해서 둘러싸여지는 글래스 어셈블리(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는, 전면 패널(831)과, 상기 전면 패널(831)과 이격되는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832, 833)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라이팅 유닛(19a)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를 투과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832, 833)은, 제 1 단열 패널(832)과, 제 2 단열 패널(8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 패널(832)은 상기 전면 패널(831)과 상기 제 2 단열 패널(83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831)과 상기 제 1 단열 패널(832) 및 상기 제 1 단열 패널(832)과 상기 제 2 단열 패널(833)은 스페이서(834)에 의해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80)가 상기 메인 도어 개구(7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는 상기 메인 도어 개구(702)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82)는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의 전방에서 상기 도어 바디(8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82)의 후면은 상기 전면 패널(831)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전면 패널(831)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82)의 백 커버(39a)는 상기 리어 바디(813), 프론트 바디(811), 및 글래스 어셈블리(83)와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는 공간인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에 일례로 발포액이 충진되어 경화됨에 따라서 단열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의 일부는 상기 백 커버(39a)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81)는, 프론트 플레이트(31)와, 확산 부재(32), 도광판(33) 및 백 커버(39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를 투과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제 1 부분(312a)과, 상기 제 1 부분(312a)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된 빛의 투과될 수 있는 제 2 부분(31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확산 부재(32)에 의해서 확산된 후에 상기 제 2 부분(312b)을 통과하고, 상기 메인 도어(70) 또는 캐비닛(10)에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19a)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를 지나 상기 제 1 부분(312a)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는 전면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21)는 상기 제 1 부분(312a)과 대응되는 개구(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321b)는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를 통과한 빛은 상기 전면부(321)의 개구(321b)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 1 부분(312a)을 투과할 수 있다. 즉, 따라서,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를 통과한 빛은 상기 확산 부재(32)에 의해서 확산되지 않고 바로 상기 제 1 부분(312a)을 투과할 수 있다.
상기 확산 부재(32)는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연장부 들을 포함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광판(33)에는, 상기 도광판(33)에는 상기 도광판(33)을 따라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에 형성되는 패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의 패널 어셈블리(82)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한 형태 및 배치 구조를 가지는 라이팅 장치(36), 기판 서포터(37), 리어 서포터(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의 백 커버(39a)는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 또는 상기 제 1 부분(312a)와 대응되는 개구(39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39a)의 개구(398)는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를 통과한 빛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확산 부재(32) 및 상기 백 커버(39a)가 각각 개구(321b, 398)를 포함하는 것과 달리 상기 도광판(33)은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각 개구(321b, 398)와 마주보는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 개구(321b, 398)를 커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의 패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도광판(33)의 하측에 상기 광원(362)이 위치되므로, 상기 도광판(33)의 하면(333)이 입광면 역할을 한다.
상기 도광판(33)의 전방에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가 위치되므로, 상기 도광판(33)의 전면(331)이 출광면 역할을 한다.
상기 도광판(33)의 출광면에는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광학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의 출광면에서 휘도가 증가되고, 전체적으로 일정 범위 내의 휘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패턴이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출광면 전체에서 위치 별로 패턴의 밀도 및/또는 형태가 다를 수 있다.
다만, 패턴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출광면의 반대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패턴이 형성되는 면을 패턴면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출광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턴(P)을 원형 형태로 간략하게 표시하였으며, 패턴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음각 또는 양각 또는 둘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제 1 부분(312a)과 대응되는 제 1 파트(337a)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제 2 부분(312b)과 대응되는 제 2 파트(33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37a)는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파트(337a)는 상기 확산 부재(32)의 개구(321b)와, 상기 백 커버(39a)의 개구(398)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37a)에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된 빛이 출광되지 않도록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파트(337a)에 패턴이 형성되지 않게 되면,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제 1 파트(337a)를 지나더라도 상기 제 1 파트(337a)의 전면으로 출광되지 않는다.
반면, 상기 제 2 파트(337b)에는 빛이 출광되기 위하여 패턴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파트(337b)가 출광면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파트(337b)에는 패턴이 형성되고, 제 1 파트(337a)에는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빛이 상기 제 1 파트(337a)와 제 2 파트(337b)의 경계부(339)를 통과한 이후에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를 통과하는 경우의 휘도가, 상기 제 2 파트(337b)에서 경계부(339)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과한 이후에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를 통과하는 경우의 휘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에서 상기 경계부(339)와 대응되는 부분, 일례로 상기 제 1 부분(312a)과 제 2 부분(312b)의 경계부의 휘도가 나머지 부분의 휘도 보다 낮아 전체적으로 휘도가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에서 제 2 부분(312b)의 휘도의 균일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도광판(33)에서 제 2 파트(337b)에서 상기 제 1 파트(337a)와의 경계부(339) 부분의 패턴의 밀도는 상기 제 2 파트(337b)에서 나머지 부분의 패턴의 밀도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패턴(P)의 밀도가 높다는 것은, 광의 출광량이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패턴(P)의 밀도가 낮으면 광의 출광량이 작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패턴(P)의 밀도가 높다는 것은 패턴(P) 간의 간격이 적고, 패턴(P)의 밀도가 낮으면, 패턴(P) 간의 간격이 큰 것을 의미한다.
상기 도광판(33)의 출광면에서 상기 경계부(339)는 제1패턴부(339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부(339a)의 적어도 일부의 패턴의 밀도는 상기 경계부(339)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패턴의 밀도 보다 높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광판(33)의 출광면에서 경계부(339) 부분의 출광량이 가장 많을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의 하측에 상기 광원(362)이 위치되므로, 상기 출광면에서 패턴의 밀도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도광판(33)의 출광면 전체적으로 출광량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광판(33)의 높이를 3등분하는 경우 또는 상기 도광판(33)을 상하 방향으로 3등분 하는 경우, 상기 도광판(33)은 하측에서부터 제 1 섹센(338a), 제 2 섹션(338b), 및 제 3 섹션(338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섹션(338a)은, 제 2 패턴부(338a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섹션(338b)은 제 3 패턴부(338b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섹션(338c)은 제 4 패턴부(338c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광판(33)의 출광면에서 출광량의 균일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제 3 패턴부(338b1)의 패턴의 밀도는 상기 제 2 패턴부(338a1)의 패턴의 밀도 보다 크고, 상기 제 4 패턴부(338c1)의 패턴의 밀도는 상기 제 3 패턴부(338b1)의 패턴의 밀도 보다 크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상기 광원(362)과 멀게 위치되는 섹션에서의 패턴 간의 간격은 상기 광원(362)과 가깝게 위치되는 섹션에서의 패턴 간의 간격 보다 작다.
상기 제 3 섹션(338c)과 제 2 섹션(338b)은 상기 제 1 섹션(338a)에 비하여 광원(362)과의 거리가 먼 반면, 출광량이 크도록 패턴의 밀도가 설계 되므로, 상기 출광면 전체적으로는 휘도의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 예로서 도광판(33)의 높이를 3등분 외의 4등분 이상으로 구분하여 각 섹션 별로 패턴의 밀도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광원(362)과의 거리가 고려되어 패턴이 설계되므로, 도어에서 전체적으로 휘도의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도광판(33)의 각 섹션 및 경계부에서 패턴의 형태를 다르게 할 수 있고, 다만, 패턴을 동일하게 하면서 밀도를 다르게 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도록 패턴의 형태가 설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패턴부의 패턴의 형태와 나머지 패턴부 들의 패턴의 형태가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경계부(339)를 제외한 부분에서 구분되는 섹션 별로는 패턴의 형태는 동일하고 패턴의 밀도가 다르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의 냉장고의 경우, 도 7의 블럭도에서 설명한 구성 외에 추가적으로, 라이팅 유닛(19a)과 노크 감지 센서(1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유닛(19a)은 상기 메인 도어(70) 또는 캐비닛(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 센서(19b)는 일례로 상기 서브 도어(8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 센서(19b)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로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 센서(19b)는 일례로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로폰, 진동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광원(362)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도광판(33)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도광판(33)에서 제 2 파트(338b)에서 출광된 후에 상기 확산 부재(32)를 지난 후에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제 2 부분(312b)을 투과하게 된다.
반면, 상기 노크 감지 센서(19b)에서 사용자의 노크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라이팅 유닛(19a)이 온된다. 상기 라이팅 유닛(19a)이 온되면, 상기 라이팅 유닛(19a)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83), 상기 백 커버(39a)의 개구(398), 도광판(33)의 제 1 파트(338a), 상기 확산 부재(32)의 개구(321b)를 통과한 후에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제 1 부분(312a)을 투과하게 된다.
상기 라이팅 유닛(19a)이 온되어 빛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제 1 부분(312a)을 투과하게 되면, 상기 서브 도어(80) 및 상기 메인 도어(7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 내부의 확인이 가능하거나 상기 메인 도어(70)의 수납부에 수납된 음식물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위의 실시 예에서 노크 감지 센서(19b)의 외의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의해서 상기 라이팅 유닛(19a)의 온 명령이 입력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라이팅 유닛(19a)의 온 명령이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1)

  1.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로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가 선택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
    상기 도광판을 통과한 빛을 확산시키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도광판의 둘레는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확산 부재; 및
    상기 도광판의 후측을 커버하며, 상기 연장부와 접촉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백 커버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후면 상단에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면 하단에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와, 상기 전면부의 좌우 양측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연장부, 상기 하측 연장부, 상기 한 쌍의 측면부가 상기 도광판이 위치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가전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면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절곡부가 안착되기 위한 함몰된 형태의 안착홈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상하 길이 및 좌우 길이는 상기 도광판의 상하 길이 및 좌우 길이 보다 크고,
    상기 연장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도광판의 두께 보다 큰 가전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접촉되는 리어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는 상기 리어 서포터와 결합되는 커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커버 바디의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전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서포터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도광판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설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하측 연장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도광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도광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도광판 지지부와 상기 하측 연장부 사이에 위치되는 가전 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일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하면 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부의 일부에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가전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확산 부재에 결합되는 로어 트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 트림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부의 일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빛의 투과를 제한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측 연장부를 지지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또는 캐비닛에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된 빛의 투과가 가능한 글래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 부재 및 상기 백 커버 각각은 상기 글래스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라이팅 유닛에서 조사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제 1 파트와, 상기 제 1 파트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라이팅 장치에서 조사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제 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장치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제 2 파트를 통과하고 상기 제 1 파트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 2 파트에만 패턴이 형성되는 가전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트에서 상기 제 1 파트와의 경계부 부분의 패턴에 의한 출광량은, 상기 제 2 파트에서 경계부 이외의 부분의 출광량 보다 큰 가전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트에서 상기 제 1 파트와의 경계부 부분의 패턴은 상기 제 2 파트에서 경계부 이외의 부분의 패턴과 동일하고,
    상기 경계부 부분의 패턴의 밀도는 상기 경계부 이외의 부분의 패턴의 밀도 보다 큰 가전 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 부분의 패턴의 형태는 상기 경계부 이외의 부분의 패턴의 형태와 다른 가전기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트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섹션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광원과 멀게 위치되는 섹션에서의 출광량이 상기 광원과 가깝게 위치되는 섹션에서의 출광량 보다 큰 가전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멀게 위치되는 섹션의 패턴의 밀도가 상기 광원과 가까운 섹션의 패턴의 밀도 보다 큰 가전기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멀게 위치되는 섹션에서의 패턴 간의 간격은 상기 광원과 가깝게 위치되는 섹션에서의 패턴 간의 간격 보다 작은 가전기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멀게 위치되는 섹션의 패턴의 형태와 상기 광원과 가까운 섹션의 패턴의 형태가 다른 가전기기.
  20. 저장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진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를 향하여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가 선택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도광판이 이격되도록,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전면부와 함께 상기 도광판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의 둘레에서 절곡되며 상기 연장부와 접촉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10103346A 2021-08-05 2021-08-05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21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346A KR20230021456A (ko) 2021-08-05 2021-08-05 냉장고 및 가전기기
PCT/KR2022/011653 WO2023014163A1 (en) 2021-08-05 2022-08-05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346A KR20230021456A (ko) 2021-08-05 2021-08-05 냉장고 및 가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456A true KR20230021456A (ko) 2023-02-14

Family

ID=8515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346A KR20230021456A (ko) 2021-08-05 2021-08-05 냉장고 및 가전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1456A (ko)
WO (1) WO20230141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359A (ko) * 2004-03-26 2005-09-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색깔이 변하는 냉장고
KR20080076594A (ko) * 2007-02-16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52782A (ko) * 2011-11-14 201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5908748B2 (ja) * 2012-02-29 2016-04-26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WO2021107345A1 (ko) * 2019-11-28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4163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6241A (ko) 냉장고
US20230152030A1 (en) Refrigerator
US20230013230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30021456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102596929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102663517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102640325B1 (ko) 냉장고,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KR20230041479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34515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11150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AU2022205217B2 (en) Panel assembly for a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therewith
KR20230011147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US20230015832A1 (en) Panel assembly for a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therewith
KR20230071625A (ko) 가전 기기
KR20230011151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US20230152029A1 (en) Home appliance
KR20230011153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40040686A (ko) 가전기기
KR20230092118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116518A (ko) 가전 기기
KR20230117951A (ko) 가전 기기
KR20240012263A (ko) 냉장고
KR20230071579A (ko) 가전 기기
KR20230071577A (ko) 가전 기기
KR20230014600A (ko) 도어 조립체와 이를 갖는 냉장고 및 홈어플라이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