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444A -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444A
KR20230021444A KR1020210103314A KR20210103314A KR20230021444A KR 20230021444 A KR20230021444 A KR 20230021444A KR 1020210103314 A KR1020210103314 A KR 1020210103314A KR 20210103314 A KR20210103314 A KR 20210103314A KR 20230021444 A KR20230021444 A KR 20230021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pressure
intensity
area
mat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우
문유진
서영주
이혜영
김한들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444A/ko
Publication of KR20230021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침대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송풍구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가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송풍구를 통해서만 유출입되도록 상기 유입구와 상기 송풍구를 제외한 부분이 밀폐된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에 배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매트리스로 유입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BLOWER B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리스의 상부에 구비된 송풍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송풍 침대로서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소정 조건 해당 시 최대 송풍 세기를 제한하는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사람이 누워 잘 수 있도록 만들어진 가구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용자가 눕는 매트리스와,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한다. 종래의 매트리스는 송풍 기능을 가지지 않으며, 침구의 건조가 필요하거나 사용자가 더위를 느껴 이를 해소하고자 할 경우에 선풍기 등의 별도 송풍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주식회사 지비에너지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05330호는 매트리스 내부로 송풍을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온풍 매트리스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온풍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상부로 송풍을 하여 침구를 건조시키거나 사용자에게 냉감을 전달하는 것과 관련된 구성을 구비하지 않으며, 건조 및 냉방 등을 위해서는 별도의 송풍 장치가 여전히 요구된다.
주식회사 마이알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13307호는 매트리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자형태의 에어셀부와, 에어셀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구동부를 가지는 다기능 욕창방지 매트리스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트리스 역시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상부로 송풍을 하여 침구를 건조시키거나 사용자에게 냉감을 전달하는 것과 관련된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일본등록특허문헌 제5960669호는 매트리스 상부에 쿨 매트 또는 온열 매트와 같은 구성을 설치하지 않고, 매트리스가 놓여진 침대 프레임에 송풍기를 설치하며, 송풍기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가 구비된 공조 침대를 제시한다. 상기 문헌에 따르면, 매트리스 자체의 쾌적함과 안락함을 제공하면서도, 침실의 온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에게 냉감 또는 온열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송풍기에 의해 이송된 공기가 매트리스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매트리스의 측부를 통해 공기가 누설되어, 실제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공기의 양은 많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913785호에서는 매트리스의 측부에 비통기성 재질의 바닥부를 설치하여, 송풍기로부터 이송된 공기가 통기부를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 제시된다. 하지만, 이 역시 사용자가 인식할 정도로 충분한 양의 공기가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매트리스의 상부로 충분한 양의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 침대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송풍 침대는 사용자가 누워있을 때 송풍의 최대 세기에 대한 제한이 요구될 수 있다. 사용자의 수면 시 송풍의 세기가 과도하게 높으면 송풍 소음으로 인한 수면의 질 저하, 저체온증 등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0533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13307호 일본등록특허문헌 제5960669호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913785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은 매트리스에 가해진 압력의 증가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 조건 해당 시 매트리스의 송풍 최대 세기를 제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은 복수개의 작동 모드 중 설정된 작동 모드에 따라 송풍이 이루어지되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한 경우 최대 송풍 세기를 제한함으로써 최대 송풍 세기 제한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압력의 증가 후 압력 감소가 발생한 경우 최대 송풍 세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된 침구 케어 모드를 실행하여 침구의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은 매트리스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영역별로 송풍의 제어 및 최대 송풍 세기의 제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침대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송풍구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가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송풍구를 통해서만 유출입되도록 상기 유입구와 상기 송풍구를 제외한 부분이 밀폐된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에 배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매트리스로 유입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최대 송풍 세기가 제 1 세기로 설정된 제 1 모드와, 최대 송풍 세기가 상기 제 1 세기보다 큰 제 2 세기로 설정된 제 2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모드에서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최대 송풍 세기를 제 1 세기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최대 송풍 세기가 제 1 세기로 설정된 제 1 모드와, 최대 송풍 세기가 상기 제 1 세기보다 크게 설정된 침구 케어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하여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한 뒤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침구 케어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에 있어서,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는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에 상응하는 크기 이상의 압력 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폭방향을 따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개별적으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복수의 송풍구를 구비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유입구 및 상기 제 2 영역의 유입구에 개별적으로 대응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유입구에 대응되어 설치된 송풍부 및 상기 제 2 영역의 유입구에 대응되어 설치된 송풍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각각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역의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폭방향을 따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개별적으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복수의 송풍구를 구비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송풍력을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으로 각각 제공되도록 분지된 제 1 유로와 제 2 유로,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로 조절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각각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역에 제공되는 최대 송풍 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되도록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 및 상기 유로 조절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침대 제어 방법은, 송풍부가 매트리스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침대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매트리스에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제어 방법은,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된 뒤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 중 하나인 침구 케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구 케어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 중 최대 송풍 세기가 가장 작은 모드가 아닌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제어 방법은,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는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에 상응하는 크기 이상의 압력 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은 매트리스에 가해진 압력의 증가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 조건 해당 시 매트리스의 송풍 최대 세기를 제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은 복수개의 작동 모드 중 설정된 작동 모드에 따라 송풍이 이루어지되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한 경우 최대 송풍 세기를 제한함으로써 최대 송풍 세기 제한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압력의 증가 후 압력 감소가 발생한 경우 최대 송풍 세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된 침구 케어 모드를 실행하여 침구의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은 매트리스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영역별로 송풍의 제어 및 최대 송풍 세기의 제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의 상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의 하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에서 탑퍼를 제거한 상태의 상측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의 송풍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의 공기 유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의 상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에서 매트리스 상부 및 스프링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의 송풍부 및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에서 매트리스 상부 및 스프링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제어 방법의 흐름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는, 매트리스(100), 감지부(200), 송풍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매트리스(10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0)를 구비하고, 상부에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송풍구(160)를 구비하며, 공기가 유입구(120) 및 송풍구(160)를 통해서만 유출입되도록 유입구(120)와 송풍구(160)를 제외한 부분이 밀폐된다. 한편, 매트리스(100)는 하부에 설치된 다리부(101)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며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매트리스(100)는 유입구(120)와 송풍구(160)와 함께, 하부 지지부(110), 상부 커버부(130), 밀폐부(140) 및 스프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지지부(110)는 매트리스(100)의 하부에서 상부의 구성들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력을 제공한다. 하부 지지부(110)를 통해 매트리스(100)는 자체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부(110)는 프레임(111)과 밀폐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11)은 복수개 구비되되,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11)은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밀폐판(112)은 유입구(120)를 제외한 매트리스(100)의 하부를 밀폐하고, 스프링(15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유입구(120)는 밀폐판(11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유입구(120)를 통해서만 매트리스(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입구(120)는 밀폐판(112)에 소정의 크기로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커버부(130)는 하부 지지부(110)로부터 소정 간격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부 커버부(130)는 하부 지지부(110)와의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하며, 유입구(120)를 통해 매트리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공간(S) 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공간(S)에 스프링(15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부(130)는 내장폼(131)과 탑퍼(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장폼(131)은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한다. 내장폼(131)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복원력을 갖는 임의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탑퍼(132)는 내장폼(131)의 상부에 구비된다. 탑퍼(132)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탑퍼(132)는 송풍구(160)를 가지지 않으며, 통기성을 가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탑퍼(132)가 통기성을 가짐에 따라 내장폼(131)에 형성된 송풍구(160)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매트리스(100)의 상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탑퍼(132)를 통과하여 매트리스(100)의 상측으로 전달되는 공기는 사용자에게 냉감을 제공하거나 침구의 건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밀폐부(140)는 하부 지지부(110)와 상부 커버부(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의 상부와 측면을 외부 공기에 대해 밀폐한다. 밀폐부(140)는 상부 커버부(130)의 하부에 접하며 공간(S)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부분(141)과 공간(S)의 측면을 외부 공기와 차단하는 제 2 부분(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밀폐부(140)는 하부 지지부(110)의 밀폐판(112)과 함께 공기가 유입구(120) 및 송풍구(160)를 통해서만 유출입되도록 매트리스(100) 중 유입구(120)와 송풍구(160)를 제외한 부분을 밀폐한다.
스프링(150)은 하부 지지부(110)와 상부 커버부(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설치된다. 스프링(150)은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150)의 하부는 하부 지지부(110)와 연결되고, 상부는 밀폐부(140)의 제 1 부분(141) 및 상부 커버부(13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스프링(150)은 상부 커버부(130)를 지지하면서 사용자의 체압을 분산한다. 예를 들면, 스프링(150)은 본넬 스프링 또는 포켓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스프링(150)이 설치되어 공간(S)이 확보되고, 밀폐판(112)과 밀폐부(140)에 의한 밀폐가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공간(S) 내에서 압력 평형을 이룰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공간(S) 전체에 걸쳐 동일한 압력의 공기가 위치되고, 복수개의 송풍구(160)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균일한 압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공기의 유로 형성이 잘못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매트리스(100)의 표면에 국부적으로 공기가 전달될 수 있으며, 손실량이 많을 경우 공기의 전달이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매트리스(100) 내부의 공간(S) 내에서 압력 평형에 도달할 수 있어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송풍구(160)는 내장폼(131) 및 밀폐부(140)의 제 1 부분(141)을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송풍구(160)는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구(160)는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입구(120)를 통해 매트리스(100)의 내부의 공간(S)으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구(160)를 통해 매트리스(100)의 상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매트리스(100)는 열선(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열선(180)은 상부 커버부(13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열선(180)이 켜진 상태에서 송풍이 수행될 경우 송풍구(1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데워지며 온풍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부(200)는 매트리스(100)에 배치되어 압력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감지부(200)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부(200)는 매트리스(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감지부(200)는 상부 커버부(130))의 내장폼(131)에 내장될 수 있다.
감지부(200)에 의한 감지 정보는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이를 위하여 감지부(200)는 제어부(400)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풍부(300)는 공기가 유입구(120)를 통해 매트리스(100)로 유입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부(300)는 매트리스(100)의 하부에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부(300)는 하우징(310), 송풍팬(320) 및 덕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10)은 하부와 측부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하우징(310)의 개방된 하부는 흡입구(311)가 되고, 개방된 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배출구(312)가 된다. 흡입구(311)에는 필터(f)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송풍팬(320)의 동작에 의해 흡입구(311)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필터(f)에 의해 걸러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물질이 필터링된 신선한 외기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송풍팬(320)이 배치된다. 한편, 하우징(3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제어부(4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송풍팬(320)은 하우징(310)의 흡입구(311)로부터 배출구(312)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송풍팬(320)은 임펠러, 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320)은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330)는 하우징(310)의 배출구(312)와 매트리스(100)의 유입구(120)를 연결하며 설치된다. 즉, 하우징(310)의 배출구(3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덕트(330)를 거쳐 유입구(120)로 진행할 수 있다. 덕트(330)는 하우징(310)의 흡입구(311)로 흡입되어 하우징(310)의 배출구(312)로 배출되는 공기가 모두 유입구(120)를 통해 매트리스(100)의 내부의 공간(S)으로 유입되도록 경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송풍부(300)는 송풍팬(320)의 동작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310)의 흡입구(311)로 유입되어 배출구(312)로 배출된 후 덕트(330)를 통과하여 유입구(120)를 통해 매트리스(100) 내부의 공간(S)으로 유동하게 해준다.
제어부(400)는 송풍부(300)의 최대 송풍 세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작동 모드에 따라 송풍부(300)를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설정된 작동 모드와 무관하게 송풍부(300)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한다.
제어부(400)는 송풍 침대의 전원이 켜지고, 사용자가 조작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사전에 설정된 복수개의 작동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작동 모드를 수행한다. 제어부(400)는 작동 모드별로 사전에 입력된 방식에 따라 송풍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각 작동 모드에서 사용자는 설정된 범위에서 송풍 세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선택된 작동 모드의 수행 중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제어부(400)는 초기 압력 설정치를 저장하고 있으며, 초기 압력 설정치 대비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증가한 경우 압력의 증가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초기 압력 설정치는 매트리스(100) 위에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압력 증가의 설정 기준은 사용자가 매트리스(100) 위에 위치하게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압력의 증가치 가운데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선택된 작동 모드의 실행 중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의 증가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현재 실행 중인 작동 모드와 관계없이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한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는 사용자가 매트리스(100) 상에 위치하지 않았다가 매트리스(100)에 위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송풍 소음의 방지, 저체온증 유발 방지 등을 위하여 최대 송풍 세기를 제한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범위의 최대 송풍 세기는 송풍 소음 또는 저체온증 유발 방지를 위해 적절한 수준에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모드는 최대 송풍 세기가 제 1 세기로 설정된 제 1 모드와, 최대 송풍 세기가 상기 제 1 세기보다 큰 제 2 세기로 설정된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모드는 사용자가 매트리스(100)에 위치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송풍 모드 또는 수면 모드가 될 수 있다. 즉, 제 1 모드는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하기 위해 매트리스(100)의 표면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한편, 제 2 모드는 매트리스(100)의 상부 커버부(130) 또는 매트리스(100)의 상면에 놓여진 침구의 건조 등을 위한 침구 케어 모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모드는 사용자가 매트리스(100)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침구의 건조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의 송풍이 가능한 모드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복수의 작동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작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최대 송풍 세기를 사전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드에서 사용자는 조작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송풍 세기를 제 1 단계 내지 제 4 단계 중에 선택할 수 있고, 제 2 모드에서 사용자는 송풍 세기를 제 1 단계 내지 제 5 단계 중에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가 높을수록 송풍 세기가 커지는 것으로 할 때, 제 1 모드에서의 최대 송풍 세기인 제 1 세기는 제 4 단계이고, 제 2 모드에서 최대 송풍 세기인 제 2 세기는 제 5 단계가 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최대 송풍 세기를 제 1 세기(제 4 단계)로 유지하되, 상기 제 2 모드에서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최대 송풍 세기를 제 2 세기(제 5 단계)에서 제 1 세기(제 4 단계)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하여 송풍부(300)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한 뒤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작동 모드 중 최대 송풍 세기가 가장 작은 모드가 아닌 침구 케어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침구 케어 모드는 최대 송풍 세기가 가장 크게 설정된 모드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가압 압력 설정치를 저장하고 있으며, 가압 압력 설정치 대비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감소한 경우 압력의 감소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 압력 설정치는 매트리스(100) 위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상태를 전제로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압력 감소의 설정 기준은 사용자가 매트리스(100) 위에서 이탈하게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압력의 감소치 가운데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는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에 상응하는 크기 이상의 압력 감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침구 케어 모드는 사용자가 매트리스(100)에 위치하지 않음을 전제로 침구를 건조하기 위해 강한 송풍을 제공하는 모드로서 모드의 진행이 사전에 설정된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는, 매트리스(100)가 폭방향을 따라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때, 매트리스(100))는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이 서로에 대해 밀폐되도록 매트리스(100)의 내부를 구획하며 배치되는 격벽(170)을 구비할 수 있다. 격벽(170)은 밀폐부(14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은 개별적으로 유입구(120) 및 복수의 송풍구(160)를 구비하며, 감지부(200)는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에 각각 배치되고, 송풍부(300) 역시 제 1 영역(A1)의 유입구(120) 및 제 2 영역(A2)의 유입구(120)에 개별적으로 대응되어 설치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 1 영역(A1)의 유입구(120)에 대응되어 설치된 송풍부(300) 및 제 2 영역(A2)의 유입구(120)에 대응되어 설치된 송풍부(300)에 각각 배치되며, 제 1 영역(A1)에 배치된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압력 및 제 2 영역(A2)에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각각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역에 대해 설정된 작동 모드와 무관하게 해당 영역의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는, 하나의 매트리스(100)가 2개로 구획되고, 각 구획에 감지부(200), 송풍부(300) 및 제어부(400)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구획별로 독립적인 송풍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매트리스(100)가 크고(예를 들면, 킹사이즈 매트리스),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는, 매트리스(100)가 폭방향을 따라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때, 매트리스(100))는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이 서로에 대해 밀폐되도록 매트리스(100)의 내부를 구획하며 배치되는 격벽(170)을 구비할 수 있다. 격벽(170)은 밀폐부(14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은 개별적으로 유입구(120) 및 복수의 송풍구(160)를 구비하며, 감지부(200)는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송풍부(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우징(310) 및 송풍팬(320)을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송풍력이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으로 각각 제공되도록 분지된 제 1 유로(330a)와 제 2 유로(330b), 제 1 유로(330a) 및 제 2 유로(330b)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로 조절 수단(35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유로(330a)와 제 2 유로(330b)는 하우징(310)의 배출구(312)와 연결된 분지된 형태의 덕트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조절 수단(350)은 제 1 유로(330a) 또는 제 2 유로(330b)로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개폐 부재(351)와 개폐 부재(351)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 부재(35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폐 부재(351)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동 부재(352)는 개폐 부재(351)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제 1 영역(A1)에 배치된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압력 및 제 2 영역(A2)에 배치된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각각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역에 제공되는 최대 송풍 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되도록 송풍부(300)의 최대 송풍 세기 및 유로 조절 수단(3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400)는 송풍팬(320)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최대 송풍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구동 부재(352)를 제어하여 개폐 부재(351)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으로 유입되는 송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제어 방법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 제어 방법은 송풍부가 매트리스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침대의 제어 방법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침대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되는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침대의 제어부(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송풍부(300)의 최대 송풍 세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S10)가 수행된다. 제어부(400)는 송풍 침대의 전원이 켜지고,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복수개의 작동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작동 모드를 수행한다. 제어부(400)는 작동 모드별로 사전에 입력된 방식에 따라 송풍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트리스(100)에 배치된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 제어부(400)는 초기 압력 설정치를 저장하고 있으며, 초기 압력 설정치 대비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증가한 경우 압력의 증가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초기 압력 설정치는 매트리스(100) 위에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압력 증가의 설정 기준은 사용자가 매트리스(100) 위에 위치하게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압력의 증가치 가운데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실행 중인 작동 모드와 무관하게 송풍부(300)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단계(S30)가 수행된다. 제어부(400)는 선택된 작동 모드의 실행 중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의 증가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한다. 이때, 최대 송풍 세기의 제한은 현재 실행 중인 작동 모드와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다.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는 사용자가 매트리스(100) 상에 위치하지 않았다가 매트리스(100)에 위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송풍 소음의 방지, 저체온증 유발 방지 등을 위하여 최대 송풍 세기를 제한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범위의 최대 송풍 세기는 송풍 소음 또는 저체온증 유발 방지를 위해 적절한 수준에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송풍부(300)의 최대 송풍 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된 뒤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가 수행된다. 제어부(400)는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하여 송풍부(300)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한 뒤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작동 모드 중 중 최대 송풍 세기가 가장 작은 모드가 아닌 침구 케어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침구 케어 모드는 최대 송풍 세기가 가장 크게 설정된 모드일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가압 압력 설정치를 저장하고 있으며, 가압 압력 설정치 대비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감소한 경우 압력의 감소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 압력 설정치는 매트리스(100) 위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상태를 전제로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압력 감소의 설정 기준은 사용자가 매트리스(100) 위에서 이탈하게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압력의 감소치 가운데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는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에 상응하는 크기 이상의 압력 감소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작동 모드 중 최대 송풍 세기가 가장 작은 모드가 아닌 침구 케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50)가 수행된다. 침구 케어 모드는 사용자가 매트리스(100)에 위치하지 않음을 전제로 침구를 건조하기 위해 강한 송풍을 제공하는 모드로서 최대 송풍 세기가 가장 크게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모드의 진행이 사전에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제어부(40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400)는 송풍부(300)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최대 송풍 세기를 제한하는 단계(S30)를 수행하면서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40)를 동시에 수행하고,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최대 송풍 세기를 제한하는 단계(S30)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매트리스 200: 감지부
300: 송풍부 400: 제어부

Claims (10)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송풍구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가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송풍구를 통해서만 유출입되도록 상기 유입구와 상기 송풍구를 제외한 부분이 밀폐된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에 배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매트리스로 유입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최대 송풍 세기가 제 1 세기로 설정된 제 1 모드와, 최대 송풍 세기가 상기 제 1 세기보다 큰 제 2 세기로 설정된 제 2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모드에서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최대 송풍 세기를 제 1 세기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최대 송풍 세기가 제 1 세기로 설정된 제 1 모드와, 최대 송풍 세기가 상기 제 1 세기보다 크게 설정된 침구 케어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하여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한 뒤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침구 케어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는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에 상응하는 크기 이상의 압력 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폭방향을 따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개별적으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복수의 송풍구를 구비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유입구 및 상기 제 2 영역의 유입구에 개별적으로 대응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유입구에 대응되어 설치된 송풍부 및 상기 제 2 영역의 유입구에 대응되어 설치된 송풍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각각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역의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폭방향을 따라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개별적으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복수의 송풍구를 구비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송풍력을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으로 각각 제공되도록 분지된 제 1 유로와 제 2 유로,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로 조절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각각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역에 제공되는 최대 송풍 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되도록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 및 상기 유로 조절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침대.
  7. 송풍부가 매트리스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침대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매트리스에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분석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침대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된 뒤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 중 하나인 침구 케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구 케어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 중 최대 송풍 세기가 가장 작은 모드가 아닌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침대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송풍부의 최대 송풍 세기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침대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감소는 상기 설정 기준 이상의 압력 증가에 상응하는 크기 이상의 압력 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침대 제어 방법.
KR1020210103314A 2021-08-05 2021-08-05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21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314A KR20230021444A (ko) 2021-08-05 2021-08-05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314A KR20230021444A (ko) 2021-08-05 2021-08-05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444A true KR20230021444A (ko) 2023-02-14

Family

ID=8522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314A KR20230021444A (ko) 2021-08-05 2021-08-05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144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0669B2 (ja) 2006-10-13 2016-08-02 ジェンサ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空調ベッド
KR101913785B1 (ko) 2016-09-20 2018-11-02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에어 매트리스
KR20190005330A (ko)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지비에너지 온풍 매트리스
KR20200013307A (ko)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마이알 다기능 욕창방지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0669B2 (ja) 2006-10-13 2016-08-02 ジェンサ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空調ベッド
KR101913785B1 (ko) 2016-09-20 2018-11-02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에어 매트리스
KR20190005330A (ko)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지비에너지 온풍 매트리스
KR20200013307A (ko)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마이알 다기능 욕창방지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7439B1 (ko) 열 회수 시스템을 갖는 주변 침대
CN108698473B (zh) 座位空调装置
EP3662788B1 (en) Dryer for bed
JP6201632B2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US20170000669A1 (en) Microclimate system for a patient support apparatus
US20080060131A1 (en) Portable Ventilation System
JP2006524159A (ja) 車両シート
US11129482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 with ingress/egress assist
CN110944545A (zh) 主动式舒适度控制寝具系统
KR20170109928A (ko) 욕창방지매트를 구비한 침대용 에어 매트리스
EP2957191A1 (en) A top mattress
KR20190052468A (ko) 스마트 베드 시스템
KR20230021444A (ko) 송풍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CN117042654A (zh) 床用集成风扇组件
KR102589797B1 (ko) 스마트 베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H10165259A (ja) 通気性マットレス及び送風パッド
JP4561716B2 (ja) 空調機付きベッドおよびその空調制御方法
KR101027803B1 (ko) 쿨링시트
WO2022091743A1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3205161U (ja) マット
KR100691456B1 (ko) 냉난방용 공기순환매트
KR102434524B1 (ko) 블로워를 구비한 침구
KR101655199B1 (ko)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
KR200368796Y1 (ko) 냉난방장치를 갖는 자동차 시트
KR200357474Y1 (ko) 냉난방장치를 갖는 자동차 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