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803B1 - 쿨링시트 - Google Patents

쿨링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803B1
KR101027803B1 KR1020080091261A KR20080091261A KR101027803B1 KR 101027803 B1 KR101027803 B1 KR 101027803B1 KR 1020080091261 A KR1020080091261 A KR 1020080091261A KR 20080091261 A KR20080091261 A KR 20080091261A KR 101027803 B1 KR101027803 B1 KR 10102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cks
air
opening
main bod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215A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준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준이앤씨(주) filed Critical 준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08009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8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쿨링시트는 둔부를 지지하며 내부에 공기이송로가 형성되고, 상기 둔부가 지지되는 상면에는 상기 공기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공이 다수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통기공에 마련되어 상기 둔부의 간섭으로 상기 통기공을 개구시키는 통기공 개폐부와; 상기 본체의 상기 공기이송로에 냉/온풍을 공급하는 냉/온풍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둔부에 밀착된 통기공을 통해서만 냉/온풍이 배출되기 때문에, 냉/온풍이 둔부에 원활히 전달되어 집중되게 함으로써, 둔부에 땀이 베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쿨링시트, 둔부, 간섭, 통기공, 개폐

Description

쿨링시트{COOLING SEAT}
본 발명은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착석부위에 냉/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쿨링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석은 딱딱한 바닥이나 의자의 상면에 깔고 사용자가 앉을 때, 둔부의 편안함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방석은 보편적으로 일정 두께로 형성되고 앉을 때 쿠션력이 둔부에 전달되도록 내부에 완충물이 충전되어 있다. 완충물로는 솜, 스폰지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방석은 둔부와 밀착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둔부에 땀이 베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방석에 냉/온풍을 공급하는 통풍수단을 구비한 쿨링시트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쿨링시트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0-0002781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쿨링시트는 좌판과 등판을 구성하는 상면판과 저면판의 사이에 통풍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저면판의 일측에는 바람유입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면판의 표면에는 다수의 장방형 융기부와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요입부에 는 다수의 통기공과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쿨링시트는 냉온풍기에 의해 발생된 냉/온풍이 바람유입공을 통해 쿨링시트의 통풍공간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냉/온풍은 통기공을 통해 배출되면서 사용자의 둔부에 전달되어 둔부에 땀이 베이는 것을 방지하고 보온 효과를 발휘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쿨링시트는 다수의 통기공이 요입부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둔부에 밀착되지 않은 통기공을 통해서도 냉/온풍이 배출된다. 따라서, 둔부의 밀착으로 인해 입구가 작아진 통기공은 둔부에 밀착되지 않은 통기공에 비해 냉/온풍이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냉/온풍의 이용효율이 감소되고, 냉/온풍이 둔부에 원활히 전달되지 못하여 둔부에 땀이 베이는 것을 여전히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둔부에 밀착된 통기공을 통해서만 냉/온풍이 배출되는 쿨링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쿨링시트는 둔부를 지지하며 내부에 공기이송로가 형성되고, 상기 둔부가 지지되는 상면에는 상기 공기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공이 다수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통기공에 마련되어 상기 둔부의 간섭으로 상기 통기공을 개구시키는 통기공 개폐부와; 상기 본체의 상기 공기이송로에 냉/온풍을 공급하는 냉/온풍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통기공과 겹치지 않게 다수의 돌기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 개폐부는 상기 통기공에 인입되어 설치되고 외면이 상기 통기공의 내면과 이격되어 상기 통기공으로의 공기의 이송이 가능하며, 적어도 상기 돌기부재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바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가이드바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통기공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개폐판과,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가이드바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둔부에 간섭되는 헤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바가 상기 통기공내에서 승강될 때 상기 개폐판에 의해 상기 통기공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헤드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승강이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기공 개폐부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통기공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상기 통기공의 형상에 대응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탄성력에 의한 회동에 의해 상기 통기공을 개폐하는 회동개폐판과; 상기 회동개폐판의 상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둔부에 간섭되어 상기 회동개폐판을 회동시키는 간섭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기공 개폐부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통기공을 커버하며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반구형상으로 돌출되고,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통기공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으로 인해 분할되어 형성된 다수의 회동판이 상기 둔부의 간섭으로 탄성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슬릿을 확장 또는 축소시켜 상기 통기공을 개폐하는 반구개폐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온풍 공급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바람을 발생시키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상기 본체의 공기이송로에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수단과; 상기 공기공급관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수단과; 상기 히팅수단 및 상기 냉각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둔부에 밀착된 통기공을 통해서만 냉/온풍이 배출되기 때문에, 냉/온풍이 둔부에 원활히 전달되어 집중되게 함으로써, 둔부에 땀이 베이는 것을 효 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내부에 공기이송로(11)가 형성되고, 둔부가 지지되는 상면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공(12)이 다수 형성된 본체(10)와, 둔부의 간섭에 따라 통기공을 개폐시키는 통기공 개폐부(20)와, 본체(10)의 공기이송로(11)에 냉/온풍을 공급하는 냉/온풍 공급부(3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0)의 상면에는 통기공(12)과 겹치지 않게 다수의 돌기부재(13)가 형성된다.
통기공 개폐부(20)는 통기공(12)내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둔부에 간섭으로 승강되어 통기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21)와, 개폐부재(21)의 승강운동이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개폐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22)로 이루어진다.
개폐부재(21)는 통기공(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통기공(12)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한 가이드바(21a)와,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바(21a)의 선단에 마련되어 가이드바(21a)의 승강시 통기공(12)을 개폐하는 개폐판(21b)과, 본체(10)의 외부에 위치되는 가이드바(21a)의 타단에 마련되어 둔부에 간섭되는 헤드(21c)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바(21a)는 통기공(12)내에서 상승되어 개폐판(21b)이 통기공(12)을 차폐할 때, 돌기부재(13)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둔부에 간섭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 로 형성된다. 즉, 가이드바(21a)의 길이는 적어도 돌기부재(13)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바(21a)의 외경은 통기공(1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되, 통기공(12) 내면과 가이드바(21a) 외면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헤드(21c)는 가이드바(21a)의 선단에 나사결합된다.
탄성부재(22)는 본체(10)의 상면과 헤드(21c)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면과 헤드(21c)의 저면에는 탄성부재(22)가 인입되는 탄성부재 인입홈(22a)이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부재(22)에 의해 지지되는 개폐부재(21)가 항상 정위치에 있게 되므로, 통기공(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 가이드바(21a)에 의해 개폐부재(21)가 통기공(12)의 일측 가장자리로 치우쳐 승강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국, 개폐판(21b)의 통기공(12) 개폐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냉/온풍 공급부(30)는 전원을 공급받아 바람을 발생시키는 블로워(31)와, 블로워(31)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본체(10)의 공기이송로(11)에 공급하는 공기공급관(32)과, 공기공급관(32)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히팅수단(33) 및 냉각수단(34)과, 블로워, 히팅수단 및 냉각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5)으로 이루어진다.
히팅수단(33)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통상적인 열선이 사용된다.
냉각수단(34)은 통상적인 냉동기의 증발기를 공기공급관내에 설치된다. 한 편, 히팅수단으로 열선을 사용하지 않고, 냉각수단의 냉매를 역순환시켜 증발기에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수단(35)은 블로워(31)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히팅수단 및 냉각수단을 선택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타이머등에 의해 블로워의 운전시간을 제어할 수가 있으며, 히팅수단 및 냉각수단의 온도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타이머에 의한 운전시간 제어 및 온도제어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된 부호 40은 쿠션제로 착석자에게 쿠션감을 주기 위한 것이다. 쿠션제는 솜, 스폰지, 헝겁등이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블로워(31)의 구동으로 냉풍 또는 온풍이 본체(10)의 공기이송로(11)에 공급된다. 본체(10)의 통기공(12)은 탄성부재(22)에 의해 상승된 개폐부재(21)로 차폐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착석자가 본체(10)에 착석할 때, 착석자의 둔부가 개폐부재(21)의 헤드(21c)를 간섭하게 된다. 이때, 개폐부재(21)는 하강하게 되고, 개폐판(21b)은 통기공(12)을 개구시키게 된다. 따라서, 개구된 통기공(12)을 통해 공기이송로(11)에 공급된 공기가 배출되어 둔부에 전달된다.
물론, 둔부에 간섭되지 않은 개폐부재(21)는 탄성부재(22)의 탄성력 및 공기이송로(11)내의 공기압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통기공(12)을 차폐하고 있어, 공기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부재(13)에 의해 둔부의 헤드(21c) 간섭은 한계가 있어 개폐부재(21)는 일정거리만큼 하강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통기공(12)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는 돌기부재(13)의 사이 공간을 따라 흐르면서 둔부에 원활히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쿨링시트의 통기공 개폐부의 다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 4,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통기공 개폐부(20)의 다른 실시 예는 통기공(12)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회동되며 통기공(12)을 개폐하는 회동개폐판(23)과, 회동개폐판(23)의 상면에 돌출되어 둔부에 간섭되는 간섭돌기(24)로 이루어져 있다.
회동개폐판(23)은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고, 통기공(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자체 탄성력에 의한 회동은 재질의 탄성한계내에서 이루어진다.
간섭돌기(24)는 둔부에 간섭될 수 있도록 돌기부재(13)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간섭돌기(24)가 둔부에 간섭되어 회동되면, 통기공(12)이 개구되어 공기이송로(11)내의 공기가 배출된다. 또한, 둔부에 간섭되지 않은 간섭돌기(24)는 자체 탄성력 및 공기이송로(11)내의 공기압에 의해 통기공(12)을 차폐하게 된다.
또한, 첨부한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 개폐부(20)는 통기공(12)의 주변에 고정되고 탄성력에 의해 인장되는 탄성지지대(26)에 연결되어 상 기 통기공(12)을 개폐하는 승강개폐판(23')과, 상기 승강개폐판(23')의 상면에 돌출되어 둔부에 간섭되는 간섭돌기(24')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탄성지지대(26)는 통기공(12)의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승강개폐판(23')을 탄성력에 의해 본체(10)의 내부면에 밀착시켜 통기공(12)이 차폐되도록 한다.
간섭돌기(24')는 돌기부재(13)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에, 둔부에 의해 간섭돌기(24')가 간섭되면, 승강개폐판(23')은 탄성지지대(26)의 탄성력에 따른 인장으로 하강되고, 통기공(12)이 개구된다. 그리고, 간섭돌기(24')에 둔부의 간섭이 해제되면, 승강개폐판(23')은 탄성지지대(2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되고, 통기공(12)은 차폐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쿨링시트의 통기공 개폐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 8, 도 9에 나타내 보였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통기공 개폐부의 또 다른 실시 예는 통기공(12)을 커버하며 본체(10)의 상면에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반구개폐부재(25)로 이루어진다.
반구개폐부재(25)는 상면 중앙으로부터 통기공(12)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25a)으로 인해 분할된 다수의 회동판(25b)이 상면에 형성된다.
슬릿(25a)은 십자형으로 형성된다. 회동판(25b)은 재질의 탄성한계내에서 회동된다. 회동판(25b)의 상면에는 돌기(25c)가 형성된다.
둔부에 의해 반구개폐부재(25)의 상면이 간섭되면, 회동판(25b)은 탄성한계내에서 회동된다. 이때, 슬릿(25a)이 확장되어 통기공(12)이 개구된다.
따라서, 공기이송로(11)내의 공기는 통기공(12) 및 확장된 슬릿(25a)을 통해 배출된다.
둔부에 간섭되지 않은 반구개폐부재(25)는 자체 탄성력 및 공기이송로(11)내의 공기압에 의해 반구형상을 유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슬릿(25a)이 축소되어 통기공(12)이 차폐된다.
한편, 회동판(25b)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25c)는 둔부의 간섭으로 인한 회동판(25b)의 회동각을 증대시켜 슬릿(25a)을 더욱 확장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반구개폐부재(25)와 겹치지 않게 본체(10)의 상면에 상기 돌기부재(1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시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쿨링시트의 통기공 개폐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쿨링시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 도 5는 도 1의 쿨링시트의 통기공 개폐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도 7은 도 1의 쿨링시트의 통기공 개폐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도 9는 도 1의 쿨링시트의 통기공 개폐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공기이송로
12 : 통기공 13 : 돌기부재
20 : 통기공 개폐부 21 : 개폐부재
22 : 탄성부재 23 : 회동개폐판
24 : 간섭돌기 25 : 반구개폐부재
30 : 냉/온풍 공급부 40 : 쿠션제

Claims (6)

  1. 둔부를 지지하며 내부에 공기이송로가 형성되고, 상기 둔부가 지지되는 상면에는 상기 공기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공이 다수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통기공에 마련되어 상기 둔부의 간섭으로 상기 통기공을 개구시키는 통기공 개폐부와;
    상기 본체의 상기 공기이송로에 냉/온풍을 공급하는 냉/온풍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공 개폐부는
    상기 통기공을 커버하며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반구형상으로 돌출되고,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통기공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으로 인해 분할되어 형성된 다수의 회동판이 상기 둔부의 간섭으로 탄성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슬릿을 확장 또는 축소시켜 상기 통기공을 개폐하는 반구개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시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통기공과 겹치지 않게 다수의 돌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시트.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 공급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바람을 발생시키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상기 본체의 공기이송로에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수단과;
    상기 공기공급관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수단과;
    상기 히팅수단 및 상기 냉각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시트.
KR1020080091261A 2008-09-17 2008-09-17 쿨링시트 KR10102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61A KR101027803B1 (ko) 2008-09-17 2008-09-17 쿨링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61A KR101027803B1 (ko) 2008-09-17 2008-09-17 쿨링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15A KR20100032215A (ko) 2010-03-25
KR101027803B1 true KR101027803B1 (ko) 2011-04-07

Family

ID=4218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261A KR101027803B1 (ko) 2008-09-17 2008-09-17 쿨링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202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신영트레이딩 에어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2636A (zh) * 2020-10-31 2021-01-05 湖南慕尔普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坐垫
KR20220126317A (ko) * 2021-03-08 2022-09-16 주식회사 에이피스퀘어 통기성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기체 순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978U (ko) * 1993-09-10 1995-04-15 김창문 찬 공기 배출용 방석
KR19990064899A (ko) * 1999-05-20 1999-08-05 차종근 강제 통풍용 깔개
KR200393040Y1 (ko) * 2005-04-13 2005-08-17 배규원 발바닥 지압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978U (ko) * 1993-09-10 1995-04-15 김창문 찬 공기 배출용 방석
KR19990064899A (ko) * 1999-05-20 1999-08-05 차종근 강제 통풍용 깔개
KR200393040Y1 (ko) * 2005-04-13 2005-08-17 배규원 발바닥 지압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202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신영트레이딩 에어 매트
KR101872118B1 (ko) * 2016-11-18 2018-06-27 주식회사 신영트레이딩 에어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15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9403B2 (ja) 冷却寝具、冷却座布団、冷却マット、冷却椅子、冷却服、並びに冷却靴
KR101676799B1 (ko) 마사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트리스
KR20110051692A (ko) 냉·난방을 위한 차량용 시트
JP2010075659A (ja) 下肢用マッサージ装置
JP6279246B2 (ja) マッサージ機
US4218791A (en) Device for use as a bed or bedstead
KR101027803B1 (ko) 쿨링시트
KR101244881B1 (ko) 차량용 통풍시트의 송풍덕트 구조
KR100826793B1 (ko) 열전달편이 배열된 냉온풍 침대
JPWO2004012564A1 (ja) 除湿装置用風路
KR100553222B1 (ko) 건강 방석
KR20150084449A (ko) 히팅 및 통풍시스템이 구비된 사무용의자
JP3205161U (ja) マット
KR100414535B1 (ko) 온풍/냉풍 장치가 구비된 침대
KR200421033Y1 (ko) 의자
KR200426007Y1 (ko) 통풍 기능을 갖는 베개
KR101441342B1 (ko) 탈부착식 냉온수 매트가 구비된 침대 매트리스
KR20170003562U (ko) 온수순환용 기능성 매트리스
TWM608590U (zh) 透氣溫控床墊機構
KR100691456B1 (ko) 냉난방용 공기순환매트
KR20170027964A (ko) 냉온열 송풍베개
KR200339602Y1 (ko) 건강 방석
KR102451799B1 (ko) 에어 쿨링매트
KR20100009876U (ko) 송풍수단을 구비하는 매트리스
JP5683171B2 (ja) 小型マッサー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