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374A -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374A
KR20230021374A KR1020210103173A KR20210103173A KR20230021374A KR 20230021374 A KR20230021374 A KR 20230021374A KR 1020210103173 A KR1020210103173 A KR 1020210103173A KR 20210103173 A KR20210103173 A KR 20210103173A KR 20230021374 A KR20230021374 A KR 20230021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ug
expansion
medicin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승
이은지
박수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1010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374A/ko
Priority to PCT/KR2022/011669 priority patent/WO2023014173A1/ko
Publication of KR2023002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61K9/0036Devices retained in the vagina or cervix for a prolonged period, e.g. intravaginal rings, medicated tampons, medicated 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7Injectors for solid bodies, e.g. supposi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75Vagi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 내측 공간의 약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Vaginal insertion type drug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다수의 폐경 여성 및 호르몬 변화를 겪고 있는 여성들은 질 점막 조직이 위축되고 질액 분비량이 적어진다. 이에. 질 내부가 건조해져 작은 자극에도 취약해지고 통증, 가려움, 악취, 세균 감염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질이 건조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질 내부에 호르몬과 같은 약제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치료하고 있으나, 약제를 주입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약제가 건조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가 계속하여 발생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약제를 주입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일시에 많은 양의 약제가 한꺼번에 주입되어 주입대상에 채 흡수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일본등록특허문헌 제1998-512783호는 장기로 약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광이나 자궁을 포함하는 군에 속하는 장기로 약품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공성 막으로 형성되는 공급 풍선으로 약액을 주입하고, 공급 풍선을 통해 약품을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은 개시되나, 약액을 지속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인식은 없다.
(특허문헌 1) 일본등록특허문헌 제1998-5127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질 내에 약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질 내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상에서 사용하여도 불편함 없이 해당 장치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질 내에 약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되, 약제를 주입 시 미끄러움으로 인해 삽입 풍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약제를 주입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질 내측에 삽입되고,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인 팽창부(110)와, 상기 팽창부(110)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그 내부에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120)를 포함하는 삽입 풍선(100); 및 상기 팽창부(110)와 연통되어 상기 팽창부(110)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상기 팽창부(110)의 에어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에어 주입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120)의 외측면에는 질 내측 공간(S)과 연통되는 다수의 약제 배출홀(130)이 형성되는, 약제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 주입부(200)에서 상기 팽창부(110)로 에어가 주입되면 상기 팽창부(110)가 팽창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120)에 위치한 약제가 상기 약제 배출 약제 배출홀(130)을 통해 상기 질 내측 공간(S)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풍선(100)의 양측면은 하측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 주입부(200)에서 상기 팽창부(110)로 에어가 주입되면 상기 약제 수용부(120)의 상면 양측 말단은 질 내측 공간(S)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110)와 상기 에어 주입부(200)을 연결하며, 에어가 유동되는 커넥터(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주입부(200)는 질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에어 주입부(200)는 상기 커넥터(300)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커넥터(300)와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00)에 위치되며, 상기 약제 수용부(120)에 위치한 약제의 양에 따라 이동하는 계측부(410)를 갖는 유량 계측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00)는 상기 약제 수용부(120)의 약제 잔여량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고, 상기 계측부(410)와 접촉하는 계측기 연결부(3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 연결부(31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계측부(410)가 안내부(4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110)와 상기 약제 수용부(12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110)의 팽창에 따라 상기 약제 수용부(120)도 함께 팽창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120)의 팽창에 따라 상기 약제 배출홀(130)의 직경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은 질 내에 약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 풍선에 공기를 주입한 후에는 에어 주입부를 분리 가능하여, 약제가 계속하여 주입될 동안, 불편함 없이 해당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를 주입 시 미끄러움으로 인해 삽입 풍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가 질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유량 계측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에서 에어가 공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가 질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에서 에어가 공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약제"란, 호르몬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 적합한 치료 약제일 수도 있다.
이하, "상측"이란 신체의 자궁 방향을 의미하고, "하측"이란 상측의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후술하는 삽입 풍선(100)을 질 내측 공간(S)으로 삽입하는 것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삽입 풍선(100)을 신체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질 내측 공간(S)"에 약제를 주입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약제가 주입되는 부위는 질 내측 공간(S)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부위에도 본 발명의 약제 주입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삽입 풍선(100)의 형상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고 동작 원리는 동일한 바, 공통되는 부분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는 삽입 풍선(100), 에어 주입부(200), 커넥터(300) 및 유량 계측기(4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를 설명한다.
삽입 풍선(100)은 질 내측 공간(S)에 삽입되어, 질 내측 공간(S)으로 약제를 공급한다.
삽입 풍선(100)의 재질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의 주입에 따라 팽창과 수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삽입 풍선(100)은 팽창부(110)와 약제 수용부(120)를 포함한다.
팽창부(110)는 삽입 풍선(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팽창부(110)는 후술하는 에어 주입부(200)과 연통되어 에어 주입부(200)으로부터 에어가 주입될 수 있고, 에어의 주입에 따라 팽창과 수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약제 수용부(120)는 팽창부(110)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그 내부에 약제가 수용된다.
약제 수용부(120)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약제 배출홀(130)이 형성된다. 약제 수용부(120)는 다수의 약제 배출홀(130)을 통해 질 내측 공간(S)과 연통될 수 있다.
약제 수용부(120)와 팽창부(110)는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나, 약제 수용부(120)는 팽창부(11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함께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다.
약제 수용부(120)의 외측 표면에 위치한 다수의 약제 배출홀(130)은 에어가 주입되기 전에는 약제를 배출되지 않도록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에어가 주입되면 약제 배출홀(130)의 직경이 확장되어 약제를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약제 수용부(120)에 수용된 약제는 팽창부(110)가 팽창하면서, 삽입 풍선(100)의 외측으로부터 압력을 인가받아 약제 수용부(120)에 형성된 다수의 약제 배출홀(130)을 통해, 약제 수용부(120)으로부터 약제가 질 내측 공간(S)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부(110)와 약제 수용부(12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약제 배출홀(130)의 개수, 크기 및 형상은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삽입 풍선(100)은 팽창 시 원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따라, 삽입 풍선(100)의 형상은, 질 내측 공간(S)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삽입 풍선(100)을 설명한다.
삽입 풍선(100)에서 외측으로 약제를 공급할 때, 공급되는 약제로 인해 미끄러워 삽입 풍선(100)이 질 내측 공간(S)에 고정이 되지 않고, 질 내측 공간(S)을 이탈할 수 있다.
삽입 풍선(100)의 양측면은 하측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에어 주입부(200)에서 팽창부(110)로 에어가 주입되면 약제 수용부(120)의 상면 양측 말단은 질 내측 공간(S)의 내측면의 상단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약제 수용부(120)에서 질 내측 공간(S)으로 약제가 공급되는 동안, 삽입 풍선(100)이 질 내측 공간(S)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삽입 풍선(100)의 형상은 에어 주입부(200)에서 팽창부(110)로 에어가 주입된 후 삽입 풍선(100)의 양측면이 하측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 주입부(200)는 에어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팽창부(110)와 연통되어 팽창부(110)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팽창부(110)의 에어를 흡입한다.
에어 주입부(200)는 후술하는 커넥터(300)에 의해 팽창부(110)로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부(200)는 질 내측 공간(S)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팽창부(110)로 에어를 모두 공급한 이후에는 삽입 풍선(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 때, 에어 주입부(200)는 질 내측 공간(S)의 하측으로 위치한다.
커넥터(300)는 팽창부(110)와 에어 주입부(200)을 연결하며, 에어 주입부(200)에 수용된 에어가 유동하도록 중공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300)의 형상, 크기는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300)의 말단으로는 에어 주입부(200)이 위치될 수 있다. 커넥터(300)에는 팽창부(110)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300)에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고, 에어 주입부(200)는은 커넥터(300)에 연결된 부분을 자르는 형식으로도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에어 주입부(200)이 커넥터(300)에 결합되는 방식은 특정한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300)의 측면으로 유량 계측기(400)가 위치될 수 있어, 약제 수용부(120)에 위치한 약제의 양을 계측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커넥터(300)와 유량 계측기(400)를 설명한다.
커넥터(300)은 유량 계측기(400)와 연결되기 위한 부분인 계측기 연결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측기 연결부(310)는 커넥터(300)상에 형성되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계측기 연결부(310)는 커넥터(300) 상을 유동하는 윤활제의 유량에 따라 더 팽창하거나 수축될 수 있다.
계측기 연결부(310)는 유량 계측기(400)와 연결될 수 있고, 계측부(410)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계측기 연결부(310)는 계측부(410)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바, 커넥터(300) 상을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에 따라 계측기 연결부(310)가 계측부(410)를 밀어 유량의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윤활제를 모두 주입한 후 시간이 지나면서 윤활제가 빠져나가면 계측기 연결부(310)의 돌출된 부분도 역시 줄어들게 되고, 계측부(410)가 Jack-knife운동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면서 남은 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유량 계측기(400)는 약제 수용부(120)에 위치한 약제의 양에 따라 이동하는 계측부(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계측부(410)를 안내하며 약제의 양이 표시되는 안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부(410)가 안내부(4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계측부(410)는 유량 계측기(400)의 내측에서 계측기 연결부(310)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량 계측기(400)는 커넥터(300)와 연결되어, 커넥터(300) 상을 유동하는 윤활제의 유량에 따라 유량을 표시할 수 있다. 계측부(410)의 일단은 유량 계측기(400)의 일측에 고정되고, 계측부(410)의 타단은 계측기 연결부(31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안내부(420)를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계측부(410)의 형상은 계측기 연결부(310)와 접하여, 유량을 표시할 수 있으면 족하고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300)의 일측으로 커넥터(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에어 주입부(200)에서 모두 공기를 주입한 후에는 커넥터(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후 삽입 풍선(100)을 분리할 때 커넥터(300)를 당겨 삽입 풍선(100)을 분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질 내측 공간(S)으로 약제를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에어 주입부(200)에서 팽창부(110)로 에어가 주입되면 팽창부(110)가 팽창한다. 팽창부(110)가 팽창하면 약제 수용부(120)가 함께 팽창하며, 약제 수용부(120)에 위치한 약제가 다수의 약제 배출홀(130)을 통해, 질 내측 공간(S)으로 유출된다.
도 4(a) 및 도 7(a)는 각기 에어 주입부(200)에서 팽창부(110)로 에어를 주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며, 도 4(b) 및 도 7(b)는 에어 주입부(200)에서 팽창부(110)로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부(110)와 약제 수용부(120)가 팽창하고, 약제 배출홀(130)을 통해 약제가 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c) 및 도 7(c)는 에어 주입부(200)에서 에어를 모두 주입하고, 약제 수용부(120)에서 약제가 모두 유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도 4(b) 및 도 7(b)는 에어 주입부(200)에서 팽창부(110)로 모두 에어를 주입한 후 에어 주입부(200)를 분리한 것을 도시하고, 이와 같이 에어 주입부(200)에서 팽창부(110)로 에어를 모두 주입하여, 팽창부(110)와 약제 수용부(120)를 팽창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에어 주입부(200)에서 에어가 공급되는 정도를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팽창된 약제 수용부(120)와 팽창부(110)는 약제의 유출과 함께 서서히 수축할 수 있다. 이 때, 에어를 모두 공급한 후, 팽창된 약제 수용부(120)가 약제의 유출로 인해 수축되는 시간은 대략 3시간 내지 4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에어 주입부(200)에서 팽창부(110)로 에어 주입이 완료되면, 커넥터(300)에 연결된 에어 주입부(200)의 연결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팽창부(110)에 주입된 에어는 약제 수용부(120)에서 약제가 모두 배출되면, 커넥터(3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300)를 자르는 방식으로 팽창부(110)에 주입된 에어를 커넥터(300)를 통해 배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삽입 풍선(100)을 질 내측 공간(S)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삽입 풍선
110: 팽창부
120: 약제 수용부
130: 약제 배출홀
200: 에어 주입부
300: 커넥터
310: 계측기 연결부
400: 유량 계측기
410: 계측부
420: 안내부
S: 질 내측 공간
D: 약제

Claims (8)

  1. 질 내측에 삽입되고,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인 팽창부(110)와, 상기 팽창부(110)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그 내부에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120)를 포함하는 삽입 풍선(100); 및
    상기 팽창부(110)와 연통되어 상기 팽창부(110)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상기 팽창부(110)의 에어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에어 주입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120)의 외측면에는 질 내측 공간(S)과 연통되는 다수의 약제 배출홀(130)이 형성되는,
    약제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주입부(200)에서 상기 팽창부(110)로 에어가 주입되면 상기 팽창부(110)가 팽창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120)에 위치한 약제가 상기 약제 배출홀(130)을 통해 상기 질 내측 공간(S)으로 유출되는,
    약제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풍선(100)의 양측면은 하측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 주입부(200)에서 상기 팽창부(110)로 에어가 주입되면 상기 약제 수용부(120)의 상면 양측 말단은 질 내측 공간(S)의 상단에 고정되는,
    약제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110)와 상기 에어 주입부(200)을 연결하며, 에어가 유동되는 커넥터(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주입부(200)는 질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에어 주입부(200)는 상기 커넥터(300)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커넥터(300)와 분리 가능한,
    약제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약제 수용부(120)에 위치한 약제의 양에 따라 이동하는 계측부(410)를 갖는 유량 계측기(400)를 더 포함하는,
    약제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00)는 상기 약제 수용부(120)의 약제 잔여량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고, 상기 계측부(410)와 접촉하는 계측기 연결부(3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 연결부(310)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상기 계측부(410)가 안내부(420)를 따라 이동하는,
    약제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110)와 상기 약제 수용부(12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는,
    약제 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110)의 팽창에 따라 상기 약제 수용부(120)도 함께 팽창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120)의 팽창에 따라 상기 약제 배출홀(130)의 직경이 커지는,
    약제 공급 장치.
KR1020210103173A 2021-08-05 2021-08-05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KR20230021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73A KR20230021374A (ko) 2021-08-05 2021-08-05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PCT/KR2022/011669 WO2023014173A1 (ko) 2021-08-05 2022-08-05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73A KR20230021374A (ko) 2021-08-05 2021-08-05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74A true KR20230021374A (ko) 2023-02-14

Family

ID=8515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173A KR20230021374A (ko) 2021-08-05 2021-08-05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1374A (ko)
WO (1) WO20230141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145A (ja) * 1992-08-19 1994-03-08 Buaayu:Kk 血管内投薬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7673631B2 (en) * 2005-10-25 2010-03-09 Ethicon, Inc. Adjustable vaginal splint for pelvic floor support
JP5280307B2 (ja) * 2009-07-03 2013-09-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ルーン制御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US8968170B2 (en) * 2009-09-21 2015-03-03 Cathol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Intrauterine radiation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an individually inflating balloon
US9775864B2 (en) * 2013-01-31 2017-10-03 Ams Research Corporation Vaginal laxity therapy utilizing cell-based bulk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4173A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980B1 (en) Cervical drug delivery system
US6004260A (en) Intrauterine delivery arrangement
FI94028C (fi) Laite nenäsairauksien diagnoosia ja hoitoa varten
US6010448A (en) Embryo transfer arrangement
US3871374A (en) Dispensing instrument
US10406381B2 (en) Multi-balloon catheter for medical applications
US117934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ild-bearing monitoring and assistance
EP0474906A1 (en) Double-balloon catheter for perfusing the cervix uteri
US8529543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FI62768B (fi) Instrument foer infoering av ett preparat i aeggledarkanalerna
US64509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ltrasonic imaging of the uterus and fallopian tubes using air and saline
US20190069929A1 (en) Postpartum hemorrhage balloon system
US20090204099A1 (en) Cervical dilating and ripening catheter system and method
US11141307B2 (en) Device, system and apparatus for female urine collection
EP3542848A1 (en) Cervical canal dilation device
KR101903591B1 (ko) 지혈성분을 포함한 질 내 풍선 카테터
WO2011068874A2 (en) Drug delivery device for ovarian cancer
KR20230021374A (ko)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US1120710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hild birth
CN108366855A (zh) 可膨胀的插管组件
US11318291B2 (en) Device for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nasal and paranasal sinus diseases
WO2001068181A1 (en) Inflatable cervical dilation device
US20160000464A1 (en) Medical device for reducing bleeding
US2008002741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uterine anesthesia
CN114904128B (zh) 一种宫颈扩张与给药系统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