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354A -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354A
KR20230021354A KR1020210103125A KR20210103125A KR20230021354A KR 20230021354 A KR20230021354 A KR 20230021354A KR 1020210103125 A KR1020210103125 A KR 1020210103125A KR 20210103125 A KR20210103125 A KR 20210103125A KR 20230021354 A KR20230021354 A KR 20230021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lor
photographing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훈
양우석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21010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354A/ko
Publication of KR20230021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은 부재별 고유 위치정보 및 고유 색상 코드를 부여 및 입력하여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이터 입력 모듈과, 공사현장의 공사 현황사진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확보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데이터 입력 모듈 및 상기 촬영장치와 연계되며,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와 촬영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부재의 위치 및 색상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과,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과 연계되어 판단결과를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에 표출되도록 하는 데이터 표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Constructio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location and color code of building materials}
본 발명은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실적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의 주요 공사에 투입되는 자재의 생산과 현장 반입 일정은 공기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철저하게 관리가 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공장에서 제작되는 부재는 공장 생산 현장 반입 설치까지 전 단계를 관리하기 위해 기존에는 도면에 직접 마킹 하거나 엑셀 파일을 이용하는 등 수기로 관리되어 자재의 수급 현황이 실시간으로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공장과 현장 사이에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보의 누락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자재의 유실 또는 중복/재 작업을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해 최근 기존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일부 현장에서 BAR/QR code를 이용하거나 RFID를 이용하여 부재의 현황을 추적하는 방식의 도입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BAR/QR code를 이용하는 방식은 개별 부재에 BAR/QR code를 인식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RFID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부재에 RFID태그를 사용하는 것은 태깅을 위한 고가의 장비 도입이 수반되기 때문에 현장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실제 현장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8356호(2019.09.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실적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은 부재별 고유 위치정보 및 고유 색상 코드를 부여 및 입력하여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이터 입력 모듈과, 공사현장의 공사 현황사진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확보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데이터 입력 모듈 및 상기 촬영장치와 연계되며,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와 촬영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부재의 위치 및 색상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과,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과 연계되어 판단결과를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에 표출되도록 하는 데이터 표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은 부재의 고유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1분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분석부는 초기 공사현장에 설치된 부재의 위치 정보 기준점을 정의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제1부분에서 정의된 부재별 위치에 대한 색상 데이터를 도출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제1부분에서 정의된 위치 정보 기준점의 색상 데이터와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매칭률을 확인하는 제3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부분에서는 상기 제1부분에서 정의된 위치 정보 기준점의 색상 데이터의 편차를 지정하고,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가 편차 이내일 시 동일 부재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은 부재의 고유 색상 코드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2분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분석부는 초기 공사현장 반입 또는 설치된 부재의 촬영을 통해 부재의 고유 색상 코드 및 동일 부재에 대한 촬영조건별 색상 코드를 도출하는 제4부분과, 상기 제4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제4부분에서 도출된 색상 코드와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차이 및 매칭률을 확인하는 제5부분과, 상기 제5부분과 연계되어 설치 인식된 부재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제6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5부분에서는 상기 제4부분에서 도출된 색상 코드의 편차를 지정하고,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가 편차 이내일 시 동일 부재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방법은 부재별 고유 위치정보 및 고유 색상 코드를 부여 및 입력하여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를 확보하는 제1단계와, 공사현장의 공사 현황사진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확보하는 제2단계와,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와 촬영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부재의 위치 및 색상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판단결과를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에 표출하는 제4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부재의 고유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1분석단계와, 부재의 고유 색상 코드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2분석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분석단계는 초기 공사현장에 설치된 부재의 위치 정보 기준점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정의된 부재별 위치에 대한 색상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와, 위치 정보 기준점의 색상 데이터와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매칭률을 확인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분석단계는 초기 공사현장 반입 또는 설치된 부재의 촬영을 통해 부재의 고유 색상 코드 및 동일 부재에 대한 촬영조건별 색상 코드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도출된 색상 코드와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차이 및 매칭률을 확인하는 단계와, 설치 인식된 부재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공사실적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분석 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영장치를 통해 공사현장의 공사현황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재가 갖는 고유색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3단계의 세부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분석 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영장치를 통해 공사현장의 공사현황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재가 갖는 고유색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10)은 부재(20)별 고유 위치정보 및 고유 색상 코드를 부여 및 입력하여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이터 입력 모듈(100)과, 공사현장(30)의 공사 현황사진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확보하는 촬영장치(200)와, 데이터 입력 모듈(100) 및 촬영장치(200)와 연계되며,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와 촬영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부재(20)의 위치 및 색상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300)과, 데이터 분석 모듈(300)과 연계되어 판단결과를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에 표출되도록 하는 데이터 표출 모듈(400)을 구비할 수 있다.
촬영장치(200)는 드론이나 타워 크레인을 활용할 수 있고, 항시 일정한 위치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촬영을 하며, 서로 다른 촬영날짜를 비교하여 부재(20)의 설치 전후에 따른 색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공사를 진행할 시, 공사진행에 따라 적갈색의 철골 부재(20)가 설치됨으로써 최초 회색의 기초면(40)을 기준으로 적갈색으로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색상의 변화를 통해 기초면(40)에 철골 부재(20)가 설치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철골 공사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작업으로 인해 철골 부재(20)에 특정 색상을 지니게 되는데, 도 4(a)는 적갈색, 도 4(b)는 녹색의 색상을 가져 주변 환경이나 배경 대비 색상 차별화가 명확하므로 색상으로 부재(20)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c)는 해상 위에 공사가 이루어지는 구조물로써 콘크리트 부재(20)의 색상이 해양 색상 대비 색상 차별화가 명확하고, 도 4(d)는 공사가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외장 부재(20)의 색상이 파란 색상을 가져 주변 지형 대비 색상 차별화가 명확하므로 색상으로 부재(20)를 용이하게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분석 모듈(300)은 부재(20)의 고유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1분석부(310)와, 부재(20)의 고유 색상 코드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2분석부(320)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분석부(310)는 초기 공사현장(30)에 설치된 부재(20)의 위치 정보 기준점을 정의하는 제1부분(311)과, 제1부분(311)과 연계되어 제1부분(311)에서 정의된 부재(20)별 위치에 대한 색상 데이터를 도출하는 제2부분(312)과, 제2부분(312)과 연계되어 제1부분(311)에서 정의된 위치 정보 기준점의 색상 데이터와 촬영장치(200)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매칭률을 확인하는 제3부분(31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부분(313)에서는 제1부분(311)에서 정의된 위치 정보 기준점의 색상 데이터의 편차를 지정하고, 촬영장치(200)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가 편차 이내일 시 동일 부재(20)로 인식하고, 편차 이외일 시 다른 부재(20)로 인식하여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와 촬영 데이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부재(20)의 위치 및 색상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2분석부(320)는 초기 공사현장(30) 반입 또는 설치된 부재(20)의 촬영을 통해 부재(20)의 고유 색상 코드 및 동일 부재(20)에 대한 촬영조건별 색상 코드를 도출하는 제4부분(321)과, 제4부분(321)과 연계되어 제4부분(321)에서 도출된 색상 코드와 촬영장치(200)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차이 및 매칭률을 확인하는 제5부분(322)과, 제5부분(322)과 연계되어 설치 인식된 부재(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제6부분(32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5부분(322)에서는 제4부분(321)에서 도출된 색상 코드의 편차를 지정하고, 촬영장치(200)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가 편차 이내일 시 동일한 부재(20)로 인식하고, 편차 이외일 시 다른 부재(20)로 인식하여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와 촬영 데이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부재(20)의 위치 및 색상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재(20)의 고유 색상과 위치정보를 활용한 디지털화된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바코드 또는 QR 인식 방식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센서 부착으로 발생하는 추가 경비 없이 공사실적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3단계의 세부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방법은 부재(20)별 고유 위치정보 및 고유 색상 코드를 부여 및 입력하여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를 확보하는 제1단계(S100)와, 공사현장(30)의 공사 현황사진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확보하는 제2단계(S200)와,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와 촬영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부재(20)의 위치 및 색상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S300)와, 판단결과를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에 표출하는 제4단계(S4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단계(S300)는 부재(20)의 고유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1분석단계(S310)와, 부재(20)의 고유 색상 코드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2분석단계(S3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분석단계(S310)는 초기 공사현장(30)에 설치된 부재(20)의 위치 정보 기준점을 정의하는 단계(S311)와, 상기 단계에서 정의된 부재(20)별 위치에 대한 색상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S312)와, 위치 정보 기준점의 색상 데이터와 촬영장치(200)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매칭률을 확인하는 단계(S3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분석단계(S320)는 초기 공사현장(30) 반입 또는 설치된 부재(20)의 촬영을 통해 부재(20)의 고유 색상 코드 및 동일 부재(20)에 대한 촬영조건별 색상 코드를 도출하는 단계(S321)와, 상기 단계에서 도출된 색상 코드와 촬영장치(200)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차이 및 매칭률을 확인하는 단계(S322)와, 설치 인식된 부재(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3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20: 부재 30: 공사현장
40: 기초면 100: 데이터 입력 모듈
200: 촬영장치 300: 데이터 분석 모듈
310: 제1분석부 311: 제1부분
312: 제2부분 313: 제3부분
320: 제2분석부 321: 제4부분
322: 제5부분 323: 제6부분
400: 데이터 표출 모듈

Claims (9)

  1. 부재별 고유 위치정보 및 고유 색상 코드를 부여 및 입력하여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이터 입력 모듈과,
    공사현장의 공사 현황사진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확보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데이터 입력 모듈 및 상기 촬영장치와 연계되며,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와 촬영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부재의 위치 및 색상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과,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과 연계되어 판단결과를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에 표출되도록 하는 데이터 표출 모듈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은 부재의 고유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1분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분석부는 초기 공사현장에 설치된 부재의 위치 정보 기준점을 정의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제1부분에서 정의된 부재별 위치에 대한 색상 데이터를 도출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제1부분에서 정의된 위치 정보 기준점의 색상 데이터와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매칭률을 확인하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에서는 상기 제1부분에서 정의된 위치 정보 기준점의 색상 데이터의 편차를 지정하고,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가 편차 이내일 시 동일 부재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은 부재의 고유 색상 코드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2분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분석부는 초기 공사현장 반입 또는 설치된 부재의 촬영을 통해 부재의 고유 색상 코드 및 동일 부재에 대한 촬영조건별 색상 코드를 도출하는 제4부분과, 상기 제4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제4부분에서 도출된 색상 코드와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차이 및 매칭률을 확인하는 제5부분과, 상기 제5부분과 연계되어 설치 인식된 부재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제6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부분에서는 상기 제4부분에서 도출된 색상 코드의 편차를 지정하고,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가 편차 이내일 시 동일 부재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6. 부재별 고유 위치정보 및 고유 색상 코드를 부여 및 입력하여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를 확보하는 제1단계와,
    공사현장의 공사 현황사진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확보하는 제2단계와,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와 촬영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부재의 위치 및 색상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판단결과를 3D 기반의 설계 데이터에 표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부재의 고유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1분석단계와,
    부재의 고유 색상 코드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는 제2분석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석단계는 초기 공사현장에 설치된 부재의 위치 정보 기준점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정의된 부재별 위치에 대한 색상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와,
    위치 정보 기준점의 색상 데이터와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매칭률을 확인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석단계는 초기 공사현장 반입 또는 설치된 부재의 촬영을 통해 부재의 고유 색상 코드 및 동일 부재에 대한 촬영조건별 색상 코드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도출된 색상 코드와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확보된 촬영 데이터 중 색상 데이터의 차이 및 매칭률을 확인하는 단계와,
    설치 인식된 부재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KR1020210103125A 2021-08-05 2021-08-05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1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25A KR20230021354A (ko) 2021-08-05 2021-08-05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25A KR20230021354A (ko) 2021-08-05 2021-08-05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54A true KR20230021354A (ko) 2023-02-14

Family

ID=8522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125A KR20230021354A (ko) 2021-08-05 2021-08-05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13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356B1 (ko) 2018-03-30 2019-09-30 (주)대우건설 공사현장의 3차원 디지털화 및 가상 건설영상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스마트 현장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356B1 (ko) 2018-03-30 2019-09-30 (주)대우건설 공사현장의 3차원 디지털화 및 가상 건설영상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스마트 현장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976B2 (en) Providing information on construction errors based on construction site images
CN111814240B (zh) 一种基于bim技术的公路工程农民工管理系统
US201702780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with a marking robot
US20090015585A1 (en) Raster image data association with a three dimensional model
KR101909212B1 (ko)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CN104567985A (zh) 桥梁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2018180662A (ja) 資材の検収システム
WO20191591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construction site images
KR102370134B1 (ko)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ernand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IM platforms on construction site
CN109214679A (zh) 一种基于建筑信息模型的项目工程管理系统
JP2021156016A (ja) 建設作業支援システムおよび建設作業支援方法
WO2020037547A1 (zh) 一种光纤网络智能维护方法和装置
KR102304781B1 (ko) 시설물 점검 방법 및 시설물 점검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20230021354A (ko) 건축자재의 위치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한 공사실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hmiel et al. Workflow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procedures
CN115329445A (zh) 基于bim的路桥施工监测系统及其控制方法、装置
KR102316632B1 (ko) 건설 현장의 위험성 평가 방법
US202100654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in a vehicle service environment
JP7489802B2 (ja) 建設作業支援システムおよび建設作業支援方法
KR101557693B1 (ko)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449823B1 (ko) 건설 현장의 이미지 태깅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20210047673A (ko) 증강 현실(ar)을 활용한 드로잉 가이드 시스템
CN111722544A (zh) 一种人工智能计量无感设计作业系统及其运行方法
RU2745285C1 (ru) Способ и программно-аппаратный комплекс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работ и услуг в сфере строительства и управления инфраструктур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