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152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152A
KR20230021152A KR1020237002758A KR20237002758A KR20230021152A KR 20230021152 A KR20230021152 A KR 20230021152A KR 1020237002758 A KR1020237002758 A KR 1020237002758A KR 20237002758 A KR20237002758 A KR 20237002758A KR 20230021152 A KR20230021152 A KR 20230021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os
threshold
base station
bfd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077B1 (ko
Inventor
실바 이카로 엘. 제이. 다
클래스 타이드스타브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3002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빔을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기지국은 UE를 서빙한다. UE는 기지국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한다(1202).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UE는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한다(1203).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UE는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고(1205),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UE는 RLF 타이머를 시작한다(1206a).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THODS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기지국 및 이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도록 UE를 구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이동국, 스테이션(station, STA) 및/또는 사용자 장치(UE)로서도 알려진 무선 디바이스는 WiFi 네트워크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을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와 통신한다. RAN은 서비스 영역 또는 셀 영역으로 분할되는 지리적 영역을 커버하며, 이는 또한 빔 또는 빔 그룹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비스 영역 또는 셀 영역은 무선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Wi-Fi 액세스 포인트 또는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RBS)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되며, 이러한 노드는 일부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5G로 표시된 바와 같이 NodeB, eNodeB(eNB) 또는 gNB로 표시될 수 있다. 서비스 영역 또는 셀 영역은 무선 커버리지가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지리적 영역이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범위 내의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4세대(4G) 네트워크라고도 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에 대한 사양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내에서 완료되었으며, 이러한 작업은 향후 3GPP 릴리스(release)에서 예를 들어 5G NR(New Radio)라고도 하는 5세대(5G)를 명시하기 위해 계속된다. EPS는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라고도 하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코어 네트워크라고도 하는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한다. E-UTRAN/LTE는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변형이며,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3G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RNC보다는 EPC 코어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E-UTRAN/LTE에서, 3G RNC의 기능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LTE의 eNodeB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 분산된다. 이와 같이, EPS의 RAN은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노드, 즉 RNC에 연결되지 않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본질적으로 "평평한(flat)" 아키텍처를 갖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E-UTRAN 사양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 간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로 표시된다.
다중 안테나 기술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속도와 신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송신기와 수신기 모두에 다중 안테나가 장착되는 경우에 성능이 특히 향상되며, 이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통신 채널을 생성시킨다. 이러한 시스템 및/또는 관련된 기술은 일반적으로 MIMO로서 지칭된다.
더 빠른 최대 인터넷 연결 속도 외에도, 5G 계획은 현재 4G보다 더 높은 용량을 목표로 하여, 영역 단위당 더 많은 모바일 광대역 사용자를 허용하고, 달 및 사용자마다 기가바이트 단위로 더 많거나 무제한의 데이터 양을 소비할 수 있다. 이것은 인구의 상당 부분이 Wi-Fi 핫스팟(hotspot)에 도달하지 못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루에 여러 시간 동안 고화질 미디어를 스트리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5G 연구 및 개발은 또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으로서도 알려진 기계간 통신에 대한 향상된 지원을 목표로 하고, 4G 장치보다 낮은 비용, 낮은 배터리 소비 및 낮은 대기 시간을 목표로 한다.
NR의 다중 안테나 방식
NR에 대한 다중 안테나 방식은 현재 3GPP에서 논의되고 있다. NR의 경우, 최대 100GHz의 주파수 범위가 고려된다. 6GHz 이상의 고주파 무선 통신은 경로 손실 및 침투 손실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솔루션은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를 배치하여 높은 빔포밍 이득(beamforming gain)을 달성하는 것이며, 이는 작은 파장의 고주파 신호로 인해 합리적인 솔루션이다. 따라서, NR에 대한 MIMO 방식을 대규모 MIMO라고도 한다. 약 30/70GHz의 경우, 최대 256개의 송신(Tx) 및 수신(Rx) 안테나 요소가 가정된다. 70GHz에서 1024Tx를 지원하기 위한 확장이 합의되었고, 30GHz에 대해 논의 중이다. 6GHz 미만의 통신의 경우, 안테나 요소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더 많은 빔포밍 및 멀티플렉싱 이득을 얻는 것이 또한 추세이다.
대규모 MIMO를 통해, 빔포밍에 대한 3가지 접근 방식(아날로그, 디지털 및 둘의 조합인 하이브리드)이 논의되었다.
아날로그 빔포밍은 NR 시나리오에서 높은 경로 손실을 보상하지만, 디지털 프리코딩은 6GHz 이하의 반송파 주파수(소위 6GHz 미만의 시나리오)에 대한 MIMO와 유사한 부가적인 성능 이득을 제공한다. 아날로그 빔포밍의 구현 복잡성은 디지털 프리코딩보다 훨씬 적다. 이것은 단순한 위상 시프터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점은 다방향 유연성(multi-direction flexibility)에서의 한계이며, 즉 한 번에 하나의 빔만이 형성될 수 있고, 그 후 빔은 시간 도메인에서 스위칭된다. 광대역 송신만이 부대역, 아날로그 도메인에서 피할 수없는 부정확성 등을 통해 송신할 수 없다.
오늘날 LTE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빔포밍은 값비싸게 디지털 도메인에서 IF 도메인으로 및/또는 IF 도메인에서 디지털 도메인으로의 변환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는 데이터 속도 및 멀티플렉싱 능력의 측면에서 최상의 성능을 제공하며, 한 번에 다수의 부대역를 통한 다수의 빔이 형성될 수 있지만, 동시에 전력 소비, 통합 및 비용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게다가 비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동안 이득은 송신 및/또는 수신 유닛의 수에 따라 선형적으로 확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용 효율적인 아날로그 빔포밍과 고용량 디지털 빔포밍의 이점을 얻기 위해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지원하는 것이 NR에는 바람직하다.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위한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IFFT는 역 푸리에 변환을 의미하고,
P/S는 병렬-직렬 변환을 의미하고,
DAC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를 의미하며,
PA는 전력 증폭기를 의미한다.
빔포밍은 송신 빔 및/또는 수신 빔, 네트워크 측 또는 UE 측에 있을 수 있다.
빔 스위핑(beam sweeping)
서브어레이의 아날로그 빔은 각각의 OFDM 심볼에서 단일 방향으로 조향(steering)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서브어레이의 수는 빔 방향의 수 및 각각의 OFDM 심볼에 대한 상응하는 커버리지를 결정한다. 그러나, 전체 서빙 영역을 커버하기 위한 빔의 수는 통상적으로 서브어레이의 수보다 많으며, 특히 개별 빔폭이 작을 때, 또한 좁은 것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전체 서빙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시간 도메인에서 상이하게 조향된 좁은 빔을 갖는 다중 송신이 또한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좁은 커버리지 빔을 제공하는 것은 "빔 스위핑"이라고 불린다. 아날로그 및 하이브리드 빔포밍의 경우, 빔 스위핑은 NR의 기본 커버리지를 제공하는데 필수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를 위해, 상이하게 조향된 빔이 서브어레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는 다수의 OFDM 심볼이 할당되고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도 2는 2개의 서브어레이 상의 Tx 빔 스위핑을 도시한다.
도 3은 3개의 서브어레이 상의 Tx 빔 스위핑을 도시한다.
동기화 신호(SS) 블록 구성
본 명세서에서 다른 실시예에서 가정될 수 있는 SS 블록 및 SS 버스트 구성의 비제한적인 예가 설명된다.
SS 블록: NR-PSS, NR-SSS 및/또는 NR-PBCH는 SS 블록 내에서 송신될 수 있다.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 대해, SS 블록은 특정, 예를 들어 디폴트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한 N개의 OFDM 심볼에 상응하며, N은 상수이다. UE는 SS 블록으로부터 적어도 OFDM 심볼 인덱스, 무선 프레임에서의 슬롯 인덱스 및 무선 프레임 수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 또는 SS 버스트 세트에 대하여)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의 단일 세트는 주파수 대역마다 명시된다. 적어도 다중-빔의 경우에, 적어도 SS 블록의 시간 인덱스가 UE에 나타내어진다. 실제 송신된 SS 블록의 위치는 CONNECTED/IDLE 모드 측정을 돕고, CONNECTED 모드 UE가 사용되지 않은 SS 블록에서 DL 데이터/제어를 수신하도록 돕고, IDLE 모드 UE가 사용되지 않은 SS 블록에서 DL 데이터/제어를 수신하도록 잠재적으로 돕기 위해 알려질 수 있다.
SS 버스트: 하나 또는 다수의 SS 블록은 SS 버스트를 구성한다. SS 버스트 세트 내의 최대 SS 블록의 수 L은 예를 들어 반송파 주파수에 의존적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주파수 범위 카테고리 #A(예를 들어, 0 ~ 6GHz)의 경우, 수(L)는 L≤ [16] 내의 TBD이다.
Figure pat00002
주파수 범위 카테고리 #B(예를 들어, 6 ~ 60GHz)의 경우, 수는 L≤ [128] 내의 TBD이다.
SS 버스트 세트: 하나 또는 다수의 SS 블록은 SS 버스트 세트를 구성한다. SS 버스트 세트 내의 최대 SS 블록의 수 L은 예를 들어 반송파 주파수에 의존적일 수 있다:
Figure pat00003
주파수 범위 카테고리 #A(예를 들어, 0 ~ 3GHz)의 경우, 수(L)는 L=4이다.
Figure pat00004
주파수 범위 카테고리 #B(예를 들어, 3 ~ 6GHz)의 경우, 수는 L=8이다.
Figure pat00005
주파수 범위 카테고리 #A(예를 들어, 6 ~ 60GHz)의 경우, 수(L)는 L=64이다.
SS 버스트 세트 송신: 물리적 계층 사양 관점에서, SS 버스트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가 지원된다. UE 관점에서, SS 버스트 세트 송신은 주기적이다. 적어도 초기 셀 선택을 위해, UE는 주어진 반송파 주파수에 대한 SS 버스트 세트 송신의 디폴트 주기, 5ms,10ms, 20ms, 40ms, 80ms 또는 160ms 중 하나를 가정할 수 있다. UE는 주어진 SS 블록이 SS 버스트 세트 주기로 반복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UE는 gNB가 SS 버스트 세트 내의 상이한 SS 블록에 걸쳐 동일한 수의 물리적 빔도 송신한다고 가정할 수 없고 동일한 물리적 빔도 송신한다고 가정할 수 없다.
각각의 반송파에 대해, SS 블록은 시간 정렬되거나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될 수 있거나, SS 블록의 시작은 예를 들어 송신된 SS 블록의 실제 수가 셀마다 상이할 때 시간 정렬될 수 있다.
도 4는 SS 블록, SS 버스트 및 SS 버스트 세트/시리즈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NR의 이동성 및 빔 관리
NR에서는 두 가지 레벨의 이동성, 즉 셀 내 이동성(intra-cell mobility)이라고도 하고, 어떤 부분은 종종 빔 관리(beam management)라고 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에 관련되지 않은 이동성, 및 RRC에 관련되고, 셀 레벨 이동성이라고도 하는 다른 타입의 이동성이 있음에 동의했다. 셀 레벨 이동성은 TS 38.300 사양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셀 레벨 이동성은 트리거링될 명시적 RRC 시그널링, 즉 핸드오버를 필요로 한다. 핸드오버 시그널링 절차는 3GPP TS 36.300에 명시된 바와 같이 Release 13 E-UTRAN과 동일한 원리을 채택한다. gNB 간 핸드오버(inter-gNB handover)의 경우, 시그널링 절차는 도 5에 도시된 적어도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 gNB 간 핸드오버 절차로 구성된다.
1. 소스 gNB는 핸드오버를 개시하고,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오버 요청을 발행한다. Xn 인터페이스는 gNB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2. 타겟 gNB는 승인 제어를 수행하고, 핸드오버 확인 응답(Handover Acknowledgement)의 일부로서 RRC 구성을 제공한다.
3. 소스 gNB는 핸드오버 명령에서 RRC 구성을 UE에 제공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UE가 시스템 정보를 판독하지 않고 타겟 셀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적어도 셀 ID 및 타겟 셀에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경쟁 기반 및 무경쟁 랜덤 액세스에 필요한 정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타겟 셀로의 액세스 정보는 있다면 빔 특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4. UE는 RRC 연결부(RRC connection)를 타겟 gNB로 이동시키고, 핸드오버 완료(Handover Complete)를 응답한다.
RRC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핸드오버 메커니즘은 UE가 적어도 MAC(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를 리세팅하고 RLC를 재설정할 것을 요구한다. RLC AM(Acknowledged Mode) 모드를 사용하는 DRB(Data Radio Bearer)의 경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는 보안 키 변경과 함께 재설정되거나 키 변경없이 데이터 복구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RLC 확인 응답된 모드(UM) 모드를 사용하는 DRB 및 SRB의 경우, PDCP는 보안 키 변경과 함께 재설정되거나 키 변경없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타겟 gNB가 소스 gNB와 동일한 DRB 구성 및 QoS 흐름 대 DRB 매핑을 사용할 때 핸드오버에서 데이터 포워딩, 시퀀스 내 전달(in-sequence delivery) 및 복제 방지는 보장될 수 있다.
빔 레벨 이동성은 트리거링될 명시적 RRC 시그널링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 이는 하위 계층에서 처리되며 - RRC는 주어진 시점에 어떤 빔이 사용되는지를 알 필요가 없다.
빔 레벨 이동성은 종종 빔 관리 절차라고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RAN1에서 빔 관리에 사용될 1차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할 수 있는 CSI(Channel State Information)-RS라는데 동의했다.
LTE에서의 CSI-RS 구성 및 MAC CE(Control Element) 활성화/비활성화의 사용
LTE에서, Release 13까지, UE가 CSI 계산을 위해 사용하는 모든 기준 신호 CRS, CSI-RS가 프리코딩되지 않음으로서, UE는 원시 채널을 측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계산된 피드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Tx 안테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드백의 양은 커진다. LTE Release 10에서, 8Tx 폐루프 프리코딩에 대한 지원이 도입되었을 때, UE가 먼저 광대역 코스(coarse) 프리코더를 선택한 다음 부대역마다 제 2 코드워드를 선택하는 이중 코드북 접근법이 도입되었다.
다른 가능한 접근법은 eNB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가 기준 신호를 빔포밍하고, UE는 그 위에서 피드백을 계산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LTE Release 13 및 다음 섹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FD(Full-Dimension)-MIMO에 대한 하나의 옵션에서 채택되었다.
LTE의 Release 13 FD-MIMO 사양은 빔포밍된 CSI-RS에 대한 Class B라고 하는 향상된 CSI-RS 보고를 지원한다. 여기서, LTE RRC_CONNECTED UE는 K개의 CSI-RS 자원(여기서 8>K>1)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CSI-RS 자원에 대해 1, 2, 4 또는 8개의 포트일 수 있다. 각각의 CSI-RS 자원은 CRI(CSI-RS Resource Indicator)와 연관된다. UE는 레거시 코드북(legacy codebook)(즉, Rel-12)에 기초하여 RI/CQI/PMI와 함께 바람직한 CSI-RS 자원을 나타내기 위해 CRI를 보고한다.
Release-14의 경우, eFD(enhanced Full-Dimension)-MIMO 비주기적 CSI-RS는 상이한 두 가지 서브플레이버(sub-flavor)로 도입되었다. CSI-RS 자원은 LTE Release 13에서와 같이 UE에 대해 구성되고, K개의 CSI-RS 자원의 세트가 비주기적, 비주기적-비주기적 또는 멀티샷 비주기적(multi shot-aperiodic)으로서 작업하도록 구성되면, UE는 K개의 CSI-RS 자원 중 N개에 대한 MAC CE 활성화를 기다린다. 비주기적-비주기적의 경우, UE는 MAC CE에 부가하여 보고 전에 CSI-RS 자원의 DCI 활성화를 기다린다.
활성화/비활성화 명령은 섹션 5.19가 다음과 같이 설명하는 3GPP TS36.321에 명시되어 있다:
네트워크는 하위 조항(sub clause) 6.1.3.14에 설명된 CSI-RS 자원 MAC 제어 요소의 활성화/비활성화(Activation/Deactivation of CSI-RS resources MAC control element)를 UE에 송신함으로써 서빙 셀의 구성된 CSI-RS 자원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수 있다. 구성된 CSI-RS 자원는 처음에 구성 시 및 핸드오버 후에 비활성화된다. 도 6에서, eNB는 빔포밍된 CSI-RS 1, 2 및 3을 송신한다. UE는 이러한 CSI-RS 1, 2 및 3을 측정하고, 빔 CSI RS 2가 최상의 결과를 제공하므로, UE는 CRI = 2 및 RI/CSI-RS 2에서 측정되는 RI/CQI/PMI를 보고한다.
TS 36.321의 섹션 6.1.3.14는 다음을 설명한다:
CSI-RS 자원 MAC 제어 요소의 활성화/비활성화는 표 6.2.1-1에 명시된 바와 같이 논리 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fier, LCID)를 가진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서브헤더에 의해 식별된다. 이는 구성된 CSI 프로세스의 수(N)로서 가변 크기를 가지며, 도 6.1.3.14-1에 정의되어 있다. 활성화/비활성화 CSI-RS 명령은 도 6.1.3.14-2에 정의되어 있으며, CSI 프로세스 동안 CSI-RS 자원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한다. CSI-RS 자원 MAC 제어 요소의 활성화/비활성화는 UE가 CSI-RS 자원 MAC 제어 요소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수신하는 서빙 셀에 적용된다.
CSI-RS 자원 MAC 제어 요소의 활성화/비활성화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Ri: 이러한 필드는 CSI-RS 프로세스 동안 CSI-RS-ConfigNZPId i와 연관된 CSI-RS 자원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낸다. Ri 필드는 "1"로 설정되어 CSI-RS 프로세스 동안 CSI-RS-ConfigNZPId i와 연관된 CSI-RS 자원이 활성화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Ri 필드는 "0"으로 설정되어 CSI-RS-ConfigNZPId i가 비활성화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ConfigNZPId는 구성 Non Zero Power Identifier를 의미한다. 도 6.1.3.14-1은 도 7에 도시되고, CSI-RS 자원 MAC Control Element의 활성화/비활성화를 나타낸다. 도 6.1.3.14-2는 도 8에 되시되고, 활성화/비활성화 CSI-RS 명령을 나타낸다.
MAC CE 활성화는 MAC CE가 지원되는 최대 CSI-RS 자원까지 선택적으로 활성화함에 따라 UE가 피드백을 지원할 수 있는 UE에 대해 더 많은 CSI-RS 자원를 구성할 수 있도록 LTE에 도입되었다. 그 후, RRC에 의해 재구성할 필요없이, 네트워크는 UE에 대해 구성된 자원 중에서 다른 세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LTE의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RLM) 및 NR의 잠재적 차이
UE에서의 RLM 기능의 목적은 RRC_CONNECTED 상태에서 서빙 셀의 다운링크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며, LTE에서, 항상 주어진 LTE 셀과 연관되고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 PCI)로부터 도출되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에 기초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RRC_CONNECTED 상태에 있을 때 UE가 서빙 셀과 관련하여 동기화(in-synchronization)(sync) 상태에 있는지 비동기화(out-of-sync) 상태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다운링크 무선 링크 품질의 UE의 추정치는 RLM의 목적을 위해 각각 비동기화 및 동기화 임계치 Qout 및 Qin과 비교된다. 이러한 임계치는 서빙 셀로부터의 가상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송신의 블록 에러 레이트(Block Error Rate, BLER)의 측면에서 표현된다. 구체적으로, Qout은 10% BLER에 상응하지만, Qin은 2% BLER에 상응한다. DRX(Discontinuous Reception)를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임계치 레벨이 적용 가능하다.
CRS 기반 다운링크 품질과 가상 PDCCH BLER 간의 매핑은 UE 구현에 달려 있다. 그러나, 다양한 환경에 대해 정의된 적합성 테스트에 의해 성능은 검증된다. 또한 UE는 PDCCH가 스케줄링될 위치를 반드시 알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 대역을 통해 수신된 CRS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품질을 계산할 수 있다.
도 9는 PDCCH가 전체 다운링크 송신 대역폭에 걸쳐 어디에서도 스케줄링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DRX가 구성되지 않을 때, 마지막 200ms 기간에 걸쳐 추정된 다운링크 무선 링크 품질이 임계치 Qout보다 나빠질 때 비동기화가 발생한다. 유사하게, DRX 없이, 마지막 100ms 기간에 걸쳐 추정된 다운링크 무선 링크 품질이 임계치 Qin보다 좋아질 때 동기화가 발생한다. 비동기화를 검출하면, UE는 동기화의 평가를 개시한다. 비동기화 및 동기화의 발생은 UE의 물리적 계층에 의해 내부적으로 상위 계층에 보고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RLF(Radio Link Failure)의 평가를 위해 계층 3(즉, 상위 계층) 필터링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LTE의 상위 계층 RLM 절차를 도시한다.
DRX가 사용 중일 때, 충분한 UE 전력 절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비동기화 및 동기화 평가 기간은 연장되고, 구성된 DRX 사이클 길이에 의존한다. 비동기화가 발생할 때마다 UE는 동기화 평가를 시작한다. 따라서, TEvaluate_Qout_DRX라고도 하는 동일한 기간은 비동기화 및 동기화의 평가를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만료될 때까지 T310이라고 하는 RLF 타이머를 시작하면, 동기화 평가 기간은 100ms로 단축되며, 이는 DRX가 없는 것과 같다. N311 연속적 동기화 인디케이션(indication)으로 인해 타이머 T310이 중지되면, UE는 DRX 기반 기간(TEvaluate_Qout_DRX)에 따라 동기화 평가를 수행한다. N311을 동기화 카운터라고 한다.
LTE에서 RLM에 사용되는 전체 방법은, 즉 PDCCH 품질을 "추정"하기 위해 CRS를 측정하는 것은 UE가 PDCCH 및 CRS를 송신하는 단일 연결 엔티티인 LTE 셀에 연결된다는 사실에 의존한다.
빔 복구
NR에서, 빔 복구라는 절차가 정의되고 있다. 빔 복구에서, RRC_CONNECTED UE는 서빙 링크의 품질과 연관된 측정을 수행하고, 그 품질이 주어진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면, UE는 빔 복구를 수행한다. 이러한 절차는 gNodeB와 UE의 TX 및 RX 빔이 오정렬되었지만, gNodeB와 UE 사이의 연결을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부가적인 빔이 있는 상황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빔 고장(beam failure) 복구 절차에는 다음과 같은 양태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6
빔 고장 검출: 여기서 UE는 서빙 링크의 품질을 추정하기 위해 특정 주기적 기준 신호(RS)를 모니터링한다. 해당 링크의 품질이 특정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면, UE는 빔 복구를 시작한다.
Figure pat00007
새로운 후보 빔 식별. 빔 고장이 검출되었으면, UE는 적절한 품질을 제공하는 새로운 빔을 식별하려고 시도한다. 그 후, UE는 동일한 노드로부터 송신되지만, 다른 후보 빔에서 송신되는 특정 RS를 검색한다. 이러한 검색 절차 동안, UE는 또한 이의 RX 빔을 변경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빔 고장 복구 요청 송신. 새로운 후보 빔이 발견되었으면, UE는 특정 UL 자원을 사용하여 UL 신호를 송신한다. gNodeB는 이러한 UL 자원에서 UL 신호를 수신하도록 준비되고, 수신 UL 신호에 기초하여 UE가 어떤 후보 빔을 선택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gNodeB가 빔 고장 복구 요청을 수신했을 때, 이는 새로운 빔의 지식을 사용하여 요청을 수신했음을 UE에 나타내기 위해 DL 응답을 송신한다.
Figure pat00010
UE는 빔 고장 복구 요청에 대한 gNB 응답을 모니터링한다. UE가 응답을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빔 복구가 완료된다.
NR에서, 서빙 링크의 품질을 추정하기 위해 UE가 모니터링하는 주기적 RS와 관련하여 몇 가지 옵션이 논의되고 있다:
Figure pat00011
네트워크는 SS 블록에서 송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빔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UE를 구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12
네트워크는 또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에 기초하여 빔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UE를 구성할 수 있다.
후보 빔 식별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한 옵션이 논의되고 있다. 적어도 CSI-RS의 경우, 두 가지 목적을 위해 상이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빔 고장 복구 요청에 사용되는 UL 신호에 대한 하나의 후보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이며, 초기 액세스 중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타입의 신호이다. PRACH를 사용하여 송신하기 위해, UE는 이용 가능한 PRACH 시퀀스 중에서 하나의 시퀀스를 선택한다. 따라서, PRACH는 임의의 페이로드를 반송하지 않는다. 정보는 상이한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전달된다. 초기 액세스 동안, UE는 이용 가능한 많은 PRACH 시퀀스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PRACH 시퀀스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다른 경우에, 예를 들어 핸드오버 동안, UE는 하나의 요소만을 갖는 세트로부터 PRACH 시퀀스를 선택할 수 있다.
빔 복구 절차는 RLF 및 RRC 재설정 절차와 다소 유사하다. 주요 차이는 빔 복구가 더 빠른 절차라는 것이다. 또한, 서빙 셀과의 연결이 재설정된다: UE는 다른 셀을 검색하지 않을 것이다.
빔 복구를 통해, UE는 서빙 셀과 빠르게 재연결할 수 있다.
MediaTek Inc: "RLM and RLF in HF NR", 3GPP TSG-RAN WG2 Meeting 97bis, Spokane, USA, 3rd-7th April 2017, R2-1702770은 빔 관리로 RLM이 수행되는 방법과 다중 빔 동작으로 RLF가 NR에서 선언되는 방법을 개시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목적은 빔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빔을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기지국은 UE를 서빙한다. UE는 기지국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UE는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한다.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eam Failure Detection, 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UE는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고,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UE는 RLF 타이머를 시작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는 UE를 구성하기 위해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기지국은 UE를 서빙한다. 기지국은,
- 기지국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고,
-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eam Failure Detection, 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며,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UE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달성된다. 기지국은 UE를 서빙한다. UE는,
- 기지국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고,
-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며,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는 UE를 구성하기 위해 기지국에 의해 달성된다. 기지국은 UE를 서빙한다. 기지국은,
- 기지국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고,
-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며,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UE를 구성하는데 적합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장점은 UE 모니터링 동작을 단순화하는 빔 고장 검출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위한 측정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UE의 구현, 네트워크 구성의 양 및 UE가 수행할 측정의 양을 단순화하여 빔을 이용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UE에서 배터리 소모를 더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a는 UE에서의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b는 UE에서의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기지국에서의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UE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5는 기지국의 실시예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6은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부분적으로 무선 연결부를 통해 기지국을 경유하여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의 일반화된 블록도이다.
도 18 내지 21은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을 개발하는 일부로서, 문제가 먼저 식별되고 논의될 것이다.
UE가 서빙 셀에서 다운링크 문제를 검출하고, 네트워크가 최상으로서 가정할 수 있는 DL 빔(즉, 네트워크가 UE와 접촉하기 위해, 예를 들어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PDCCH 송신에 사용한 DL 빔)이 더 이상 충분하지 않거나 더 이상 최상이 아님을 네트워크에 나타내는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서 5G NR(new radio)에 대한 빔 복구가 논의되었다. 빔 복구 절차와 관련하여, 다음의 것이 3GPP TS 38.213, 섹션 6의 RAN1#88에서 합의되었다.
합의:
Figure pat00013
UE 빔 고장 복구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은 양태를 포함한다.
- 빔 고장 검출
- 새로운 후보 빔 식별
- 빔 고장 복구 요청 송신
- UE는 빔 고장 복구 요청에 대한 gNB 응답을 모니터링한다.
Figure pat00014
빔 고장 검출
- UE는 빔 고장 검출 RS를 모니터링하여 빔 고장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평가한다.
- 빔 고장 검출 RS는 적어도 빔 관리를 위한 주기적 CSI-RS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15
SS 블록이 빔 관리에도 사용되는 경우 서빙 셀 내의 SS 블록이 고려될 수 있다.
- FFS(For Further Study): 빔 고장을 선언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
Figure pat00016
새로운 후보 빔 식별
- UE는 새로운 후보 빔을 찾기 위해 빔 식별 RS를 모니터링함
- 빔 식별 RS는,
Figure pat00017
NW에 의해 구성될 경우 빔 관리를 위한 주기적 CSI-RS
Figure pat00018
SS 블록이 빔 관리에도 사용되는 경우 서빙 셀 내의 주기적 CSI-RS 및 SS 블록
Figure pat00019
빔 고장 복구 요청 송신
- 빔 고장 복구 요청에 의해 반송되는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20
UE 및 새로운 gNB TX 빔 정보 식별에 관한 명시적/암시적 정보
Figure pat00021
UE 식별 및 새로운 후보 빔의 존재 여부에 관한 명시적/암시적 정보
Figure pat00022
FFS:
Figure pat00023
UE 빔 고장을 나타내는 정보
Figure pat00024
부가적인 정보, 예를 들어, 새로운 빔 품질
- 빔 고장 복구 요청 송신을 위해 다음의 옵션 간의 다운 선택(down-selection)
Figure pat00025
PRACH
Figure pat00026
PUCCH
Figure pat00027
PRACH형(PRACH-like)(예를 들어, 프리앰블 시퀀스에 대해 PRACH와 상이한 파라미터)
- 빔 고장 복구 요청 자원/신호는 부가적으로 스케줄링 요청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28
UE는 빔 고장 복구 요청에 대한 gNB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제어 채널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함
- FFS: 제어 채널 검색 공간은 서빙 BPL과 연관된 현재 제어 채널 검색 공간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 FFS: gNB가 빔 고장 복구 요청 송신을 수신하지 않을 경우 UE의 추가 반응
다음과 같이 RAN1 또는 RAN2에서 논의되지 않은 해결될 특정 수의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이의 각각에 대한 한 세트의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목적은 빔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예는 빔 복구 절차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UE 및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에 의해 실행되는 한 세트의 방법을 포함하고, UE가 서빙 셀에서 빔의 가능한 고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UE 동작 및 네트워크 구성의 세트를 포함한다. 이것은,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UE가 네트워크가 PDCCH 또는 임의의 다른 다운링크 제어 채널로 UE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없다고 추정하고; PDCCH에 대한 다운링크에서 사용될 새로운 빔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네트워크에 통지하기 위해 UE 동작을 트리거링하고; 빔 복구가 성공적이었는지 여부, 및 새롭게 선택된 빔, 예를 들어 빔 관리 관련된 구성; 해당 네트워크 응답 시의 UE 동작; 빔 복구가 통지되기 전후에 UE가 도달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네트워크 동작에 기초하여 UE에서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통지를 UE에 송신하도록 네트워크를 트리거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개요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하나 이상의 RAN 및 하나 이상의 CN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Wi-Fi,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5G, NR(New Radio),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GSM/EDGE(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enhanced Data rate for GSM Evolutio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UMB(Ultra Mobile Broadband)와 같은 다수의 상이한 기술을 이용하여 몇몇 가능한 구현을 언급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5G 콘텍스트에서 특히 관심 있는 최근의 기술 동향에 관한 것이지만, 실시예는 또한 예를 들어 WCDMA 및 LTE와 같은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추가 개발에 적용 가능하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무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이동국, 넌-액세스 포인트(non-access point, non-AP) STA, STA 및/또는 무선 단말기와 같은 UE(120)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AN), 예를 들어 RAN을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와 통신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무선 디바이스"가 임의의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 장치,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 D2D(Device to Device) 단말기, 또는 노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랩톱, 휴대폰, 센서, 릴레이, 모바일 태블릿 또는 심지어 셀 내에서 통신하는 소형 기지국을 의미하는 비제한적인 용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지리적 영역, 즉 서비스 영역(11)을 통해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기지국(110)을 포함하며, 서비스 영역(11)은 또한 5G, LTE, Wi-Fi 등과 같은 제 1 무선 액세스 기술(RAT)의 빔 또는 빔 그룹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예를 들어 송수신 포인트, 예를 들어 WLAN(Wreless Local Area Network) 액세스 포인트 또는 AP STA(Access Point Station), 액세스 제어기, 기지국, 예를 들어 NodeB와 같은 무선 기지국, evolved Node B(eNB, eNode B), 5G NodeB(gNB, gNodeB), 송수신 기지국, 무선 원격 유닛,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기지국 라우터, 무선 기지국의 송신 장치, 독립형 액세스 포인트, 또는 예를 들어 사용된 제 1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용어에 따라 기지국(110)에 의해 서빙되는 서비스 영역 내에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유닛과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기지국(110)은 서빙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서 지칭될 수 있고, UE(120)로의 다운링크(DL) 송신 및 UE(120)로부터의 업링크(UL) 송신이 이루어지는 UE(120)와 통신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으로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도록 UE(120)를 구성하는 방법은 기지국(110)에 의해 수행된다.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130)에 포함되는 분산 노드(Distributed Node, DN) 및 기능은 방법을 수행하거나 부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UE(120)에 의해 수행된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2a에 도시된다. 기지국(110)은 UE(120)를 서빙한다. 방법은 먼저 일반적인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고, 이는 이후에 더 상세하고 예와 함께 설명될 것이다.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동작이 취해질 수 있는 다음의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동작은 도 12a의 점선으로 제시된다.
동작(1201)
이러한 동작은 선택적이다. UE(120)는 먼저 예를 들어 기지국(110)과 같은 네트워크로부터의 구성을 수신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UE(120)는 기지국(110)으로부터의 구성을 수신한다. 구성은 빔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는 빔 고장 검출(Beam Failure Detection, BFD) 및 셀 레벨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RLM)을 위해 UE(120)에 의해 모니터링될 것이다.
동작(1202)
UE(120)는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빔은 기지국(110)으로부터 송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신호는 BFD 및 셀 레벨 RLM에 대해 UE(120)에 의해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동작(1203)
빔 고장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UE(120)는 측정된 CSI-RS와 같은 기준 신호의 품질에 기초하여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해야 한다. 따라서, 기준 신호의 품질이 Thr-oos로도 지칭되는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UE(120)는 OOS 이벤트를 생성한다.
동작(1204)
이러한 동작은 선택적이다. 어떤 종류의 복구를 검출하기 위해, UE(120)는 측정된 CSI-RS와 같은 기준 신호의 품질에 기초하여 IS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신호의 품질이 Thr-is라고도 하는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UE(120)는 일부 실시예에서 IS(In-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1205)
OOS 이벤트의 수가 N-oos-bfd라고도 하는 OOS 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UE(120)는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한다. UE(120)가 N-oos-bfd OOS 인디케이션을 검출하면, UE(120)는 현재 빔에 따른 문제가 있다고 결정하고, 빔을 복구할 준비를 시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더욱이, 빔 복구 준비 절차의 트리거링은 IS 이벤트의 수가 N-is-bfd라고도 하는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수행된다. UE(120)가 더 적은 N-is-bfd IS 인디케이션을 검출하였으므로, UE(120)는 현재 빔에 따른 문제가 있다고 결정하고, 빔을 복구할 준비를 시작한다.
동작(1206a)
OOS 이벤트의 수가 N-oos-rlm이라고도 하는 OOS 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UE(120)는 Timer-oos-rlm이라고도 하는 RLF 타이머를 시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더욱이, RLF 타이머의 시작은 IS 이벤트의 수가 N-is-rlm이라고도 하는 IS RLM 임계치 미만일 때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LF 타이머의 시작은 IS 이벤트를 카운트하기 시작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것은 일부 실시예에서 RLF를 선언할지 타이머를 중지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동작(1206b)
이것은 선택적 대안이다.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았을 동안 RLF 타이머가 만료되면, UE(120)는 RLF를 선언할 수 있다.
동작(1207)
이것은 선택적 대안이다. RLF 타이머가 실행되는 동안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에 도달하면, UE(120)는 RLF 타이머를 중지시킬 수 있다.
OOS RLM 임계치 및 OO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IS RLM 임계치 및 I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UE(120)에 의해 수행된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2b에 도시된다. 기지국(110)은 UE(120)를 서빙한다.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동작이 취해질 수 있는 다음의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기지국(110)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1202),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며(1203),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IS(In-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며(1204),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하고, 아마 IS 이벤트의 수가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며(1205),
OOS 이벤트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에 도달하고, 아마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 미만일 때, 빔과 관련된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며(1206),
OOS RLM 임계치 및 OOS BFD 임계치 및 아마 IS RLM 임계치 및 I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으로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도록 UE(120)를 구성하기 위해 기지국(11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실시예을 도시하는 흐름도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다. 기지국(110)은 UE(120)를 서빙한다.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동작이 취해질 수 있는 다음의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상술한 방법 동작을 수행하도록 UE(120)를 구성한다.
동작(1301)
기지국(110)은,
- 기지국(110)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 이벤트를 생성하고,
- OOS 이벤트의 수가 OOS 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며, OOS 이벤트의 수가 OOS 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UE(120)를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지국(110)은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IS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UE(120)를 더 구성한다.
이러한 실시예 중 일부에서, 더욱이, 기지국(110)은 IS 이벤트의 수가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수행될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도록 UE(120)를 더 구성한다.
더욱이, 기지국(110)은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 미만일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UE(120)를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지국(110)은 RLF 타이머를 시작할 때 IS 이벤트를 카운트하여 다음에 따라 동작하도록 UE(120)를 구성한다: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았을 동안 RLF 타이머가 만료되면,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고, RLF 타이머가 실행되는 동안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에 도달하면, 타이머를 중지한다.
OOS RLM 임계치 및 OO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IS RLM 임계치 및 I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확장 및 변형
아래에서 논의되는 UE는 UE(120)를 지칭할 수 있고, 아래에서 논의되는 네트워크는 기지국(110)을 지칭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아래의 UE로서 지칭되는 UE(120) 및 아래의 네트워크로서 지칭되는 기지국(110)으로부터의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파트 1, 빔 고장 검출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위한 RS 구성
RRC_CONNECTED UE는 예를 들어 셀 레벨 무선 링크 모니터링 및 빔 고장 검출을 위해 모니터링될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과 함께 예를 들어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정 CSI-RS가 송신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자원은 시간 도메인,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수의 OFDM 심볼, 주파수 도메인 및/또는 시퀀스 도메인, 예를 들어 가상 셀 ID와 같은 주어진 시드(seed)에 있을 수 있다. UE는 CSI-RS 자원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에서 특정 빔에 매핑하는 방법, 즉 UE가 단순히 해당 특정 자원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방법을 알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네트워크 측에서, 구성된 CSI-RS는 폴백(fallback) PDCCH와 유사하게 빔포밍되며, 즉, 이는 네트워크가 PDSCH 송신에 사용되는 좁은 빔과 같은 임의의 더욱 세밀한 정보(granular information)를 갖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가 UE에 도달해야 하는 방법이다. 네트워크 측에서, 이러한 두 가지 목적, 즉 빔 고장 검출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에 대한 정확한 구성은 RRC_IDLE에서 RRC_CONNECTED로의 상태 전환 동안 또는 핸드오버 후에 네트워크가 랜덤 액세스 절차 동안 획득할 수 있는 초기 다운링크 빔 지식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RRC 연결이 설정되었을 때 UE는 RRC_CONNECTED에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즉 RRC 연결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UE는 RRC_IDLE 또는 RRC_INACTIVE 상태에 있다. 다시 말하면, 랜덤 액세스 후, 예를 들어, SS 블록에서 송신된 RS를 사용하는 빔 선택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는 UE가 커버되는 최상의 DL 빔을 알고 있다.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두 가지 케이스가 있을 수 있다.
- 네트워크가 셀을 커버하기 위해 주기적 CSI-RS의 빔 스위핑을 수행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해당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 송신된 DL 빔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즉, 네트워크는 실제로 해당 방향으로 송신하는 CSI-RS 자원을 선택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네트워크는 UE가 랜덤 액세스 동안 UE 선택에 따라 최상인 DL 빔으로 송신된 CSI-RS 자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셀이 적재(load)되고, 많은 UE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셀 커버리지에 걸쳐 많은 빔을 전부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 경우 네트워크는 해당 구성을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 네트워크가 셀을 커버하기 위해 주기적 CSI-RS의 빔 스위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는 빔 추적을 수행하기 위한 유연성을 갖는다. 이 경우에,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동안 UE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빔에서 송신하기 위해 임의의 이용 가능한 자원, 시간, 주파수, 시퀀스를 선택할 수 있다. 셀이 다른 셀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방향으로의 스위핑(sweeping)을 피하기 위해 적재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는 해당 구성을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파트 2, 빔 고장 검출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 및 UE 모니터링 동작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구성
UE가 주어진 빔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한 동일한 RS 구성이 두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UE에는 빔 고장 검출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상이한 기준이 구성된다.
빔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 UE는 측정된 기준 신호, 예를 들어 CSI-RS의 품질에 기초하여 비동기화(OOS) 이벤트를 생성시켜야 한다. 어떤 종류의 복구를 검출하기 위해, UE는 측정된 기준 신호, 예를 들어 CSI-RS의 품질에 기초하여 동기화(IS) 이벤트를 생성해야 한다. 이러한 이벤트가 생성될 수 있는 상이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의 품질이 특정 임계치 미만일 때 OOS 이벤트가 생성될 수 있다. IS 이벤트는 예를 들어 기준 신호의 품질이 특정 임계치를 초과할 때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는 임계치 Thr-oos를 갖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며, 여기서 임계치는 구성된 기준 신호, 예를 들어 CSI-RS의 품질이 해당 값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UE가 OSS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카운트하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임계치 Thr-oos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 1 임계치라고 한다. 유사하게, UE는 임계치 Thr-is를 갖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고, 여기서 임계치는 구성된 기준 신호, 예를 들어 CSI-RS의 품질이 해당 값을 초과할 경우, UE는 IS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카운트하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임계치 Thr-is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 2 임계치하고 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UE 구현은 주어진 정확도에 대해 미리 정의된 측정된 간격으로 주어진 PDCH BLER, 예를 들어 2%를 매핑하는 내부 임계치 Thr-oos 및 Thr-is를 정의한다. 임계치 Thr-oos는 구성된 기준 신호, 예를 들어 CSI-RS의 품질이 해당 값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UE가 OOS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카운트하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이 빔 고장의 초기 인디케이션이다. 임계치 Thr-is는 구성된 CSI-RS의 품질이 해당 값을 초과할 경우, UE가 IS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카운트하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UE에는 또한 빔 고장 검출 및 무선 링크 고장 검출의 트리거링과 관련된 다음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일부가 구성되며, 아래의 파라미터에서 "N"은 "수(number)"를 의미한다.
- N-oos-bfd: OOS 이벤트 수가 이러한 값 N-oos-bfd에 도달할 때 나중에 설명될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어야 한다. 이것은 개시되는 타이머의 시작일 수 있고, 만료되면, UE는 빔 고장 검출을 선언할 수 있다.
- Timer-oos-bfd: 이러한 타이머는 OOS 이벤트의 수가 N-oos-bfd 값에 도달하면 시작된다. 해당 타이머가 시작되면, UE는 동기화 이벤트의 수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 가능하거나, 예를 들어 주어진 정확도와 측정 간격에 대해 2% BLER와 같이 PDCCH 품질과 관련된 요구 사항에 기초하여 정의된 임계치와 연관된 임계치가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가 N-oos-bfd에 도달하면 UE가 즉시 빔 복구를 트리거링하게 하기를 원할 경우 타이머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대안으로, 다른 실시예는 타이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 N-is-bfd: Timer-oos-bfd가 시작된 후, UE는 구성된 CSI-RS의 품질 및 IS 이벤트의 발생을 계속 모니터링해야 한다. IS 이벤트의 수가 해당 값을 초과하면, 타이머는 중지되어야 하고, UE는 빔 복구 절차에 들어가는 상태를 벗어나야 한다(leave). 타이머가 ZERO로 설정되면, 해당 파라미터는 구성될 필요가 없다. 파라미터 Timer-oos-bfd가 없는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파라미터는 또한 존재할 필요가 없다.
- N-oos-rlm: N-oos-rlm은 LTE의 N310과 유사하다. OOS 이벤트의 수가 해당 값에 도달할 때 RLF 타이머는 시작되어야 한다. N-oos-bfd가 도달될 때, 타이머 Timer-oos-bfd는 시작되고, OOS 이벤트의 수는 계속 카운트될 것이다. 이러한 값은 바람직하게는 N-oos-bfd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LTE의 N310 파라미터와 동등하며, RLF 타이머는 LTE의 T310과 동등하다.
o 타이머 Timer-oos-bfd가 실행되는 동안 N-oos-rlm에 도달하면, UE는 RLF가 선언되기 전에 타이머가 완료하기를 기다려야 한다. 이것은 RLF가 선언되기 전에 동일한 셀 내에서 빔 복구 시도를 완료할 기회를 UE(120)에게 제공한다.
- Timer-oos-rlm: 이러한 타이머는 OOS 이벤트의 수가 N-oos-rlm 값에 도달하면 시작된다. 타이머가 시작되면, UE는 IS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값은 N-oos-bfd보다 높게 구성되어야 한다. 해당 타이머가 실행되는 동안, UE는 잘 정의된 동작에 따라 동일한 셀 내에서 빔 복구 절차를 여전히 수행하도록 허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타이머가 실행되는 동안, UE는 백오프(back-off) 시간 동안 중지하기 전에 최대 시도의 수를 시도하고, 다시 시도해야 한다. UE는 또한 Tx 빔의 변화 등과 같은 랜덤 액세스 전력 램프업 동작을 사용할 수 있다. 구성된 CSI-RS에 대해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빔 또는 빔 쌍 스위칭의 영향으로 들어오는 IS 이벤트에 의해 상위 계층에서 성공적인 시도가 감지될 수 있다. 타이머 Timer-oos-rlm이 만료되면, UE는 RLF를 선언한다.
- N-is-rlm: IS 이벤트의 수가 이러한 값 N-is-rlm에 도달할 때 LTE의 T310과 동등한 RLF 타이머는 중지되어야 한다.
하위 계층은 항상 IS 및 OOS 이벤트를 UE에서의 상위 계층에 제공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그러나, 상위 계층이 아마 Timer-oos-rlm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항상 OOS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지만, IS 이벤트는 타이머가 트리거링된 후에만 카운트된다.
파트 3, UE 모니터링 동작
UE가 파트 2에 설명된 파라미터로 구성되면, UE는 구성된 기준 신호, 예를 들어, CSI-RS를 모니터링하고, 이의 품질을 임계치와 비교할 것이다. 품질이 Thr-oos보다 작으면, UE는 OOS 이벤트를 생성해야 한다. 이러한 이벤트는 예를 들어 RRC와 같은 RLM, 및 예를 들어 MAC, PHY(Physical) 또는 RRC와 같은 빔 고장 검출을 담당하는 계층에 나타내어진다. 빔 고장 검출을 담당하는 UE에서의 계층은 OOS 이벤트의 수가 N-oos-bfd에 도달하는지를 모니터링하며, 병행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계층은 OOS 이벤트의 수가 N-oos-rlm에 도달하는지를 모니터링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카운터는 제 1 OOS 이벤트가 도달되면 시작된다. 두 개의 병렬 카운터를 유지하는 것은 하나의 단순화된 구현이라는 것을 주목하며, 하나는 단일의 카운터를 유지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동일한 계층(또는 UE에서의 기능)이 빔 고장 검출 및 RLM 절차를 모두 처리하는 경우에 두 임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빔 고장 검출 계층의 동작
일 실시예에서, OOS 이벤트의 수가 N-oos-bfd에 도달할 때, UE는 빔 고장의 검출을 선언하고, 빔 복구 절차를 호출해야 한다. 이것은 매우 간단한 솔루션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OOS 이벤트의 수가 N-oos-bfd에 도달할 때, UE는 타이머 Timer-oos-bfd를 시작하고, IS 이벤트를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N-is-bfd에 도달하지 않았을 동안 타이머가 만료되면, UE는 빔 고장의 검출을 선언하고, 빔 복구 절차를 호출해야 한다.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타이머가 실행되는 동안 N-is-bfd에 도달하면, UE는 해당 상태를 벗어나 타이머를 중지시켜야 한다. 이것은 빔 고장 검출에 의해 트리거링되지 않은 L1 보고에 기초하여 복구할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를 나타낼 필요없이 UE에게 복구할 시간을 제공한다.
주석: 다음의 부분(파트 4)은 빔 고장 검출 시의 UE 동작, 즉 빔 복구 절차 및 네트워크 응답에 대해 설명한다.
무선 링크 모니터링 계층의 동작
일 실시예에서, OOS 이벤트의 수가 N-oos-rlm에 도달할 때, UE는 타이머 Timer-oos-rlm을 시작하고, IS 이벤트를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N-is-rlm에 도달하지 않았을 동안 타이머가 만료되면, UE는 RLF를 선언해야 한다.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타이머가 실행되는 동안, N-is-rlm에 도달하면, UE는 해당 상태, 즉 타이머가 실행하는 상태를 벗어나 타이머를 중지시켜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의 상태"라는 단어는 타이머가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UE(120)는 도 14에 도시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UE(120)는 기지국(110)에 의해 서빙되도록 구성된다.
UE(120)는, 예를 들어 UE(120)의 모니터링 모듈(1410)에 의해, 기지국(110)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UE(120)는, 예를 들어 UE(120)의 생성 모듈(1420)에 의해,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UE(120)는, 예를 들어 UE(120)의 트리거링 모듈(1430)에 의해, OOS 이벤트의 수가 OOS 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도록 더 구성된다.
UE(120)는, 예를 들어 UE(120)의 트리거링 모듈(1430)에 의해, OOS 이벤트의 수가 OOS 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더 구성된다.
UE(120)는, 예를 들어 UE(120)의 수신 모듈(1450)에 의해, 기지국(110)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구성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 신호는 BFD 및 셀 레벨 RLM에 대해 UE(120)에 의해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UE(120)는, 예를 들어 UE(120)의 생성 모듈(1420)에 의해,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IS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UE(120)는, 예를 들어 UE(120)의 트리거링 모듈(1430)에 의해, 더욱이, IS 이벤트의 수가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UE(120)는, 예를 들어 UE(120)의 트리거링 모듈(1430)에 의해, 더욱이,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 미만일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UE(120)는, 예를 들어 UE(120)의 트리거링 모듈(1430)에 의해, RLF 타이머를 시작하고, 또한 IS 이벤트를 카운트하기 시작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UE(120)는, 예를 들어 UE(120)의 선언 모듈(1440)에 의해,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았을 동안 RLF 타이머가 만료되면,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UE(12)는, 예를 들어 UE(120)의 프로세서(1460)에 의해, RLF 타이머가 실행되는 동안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에 도달하면, RLF 타이머를 중지시키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OOS RLM 임계치 및 OO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S RLM 임계치 및 I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으로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도록 UE(120)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110)은 도 15에 도시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UE(120)는 기지국(110)에 의해 서빙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110)은, 예를 들어 UE(120)의 구성 모듈(1510)에 의해,
- 기지국(110)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 이벤트를 생성하고,
- OOS 이벤트의 수가 OOS 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며,
- OOS 이벤트 수가 OOS 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UE(120)를 구성하도록 적응된다.
기지국(110)은, 예를 들어 UE(120)의 구성 모듈(1510)에 의해,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IS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UE(120)를 구성하기 위해 더 적응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예를 들어 UE(120)의 구성 모듈(1510)에 의해, 더욱이, IS 이벤트의 수가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수행될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도록 UE(120)를 구성하기 위해 더 적응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예를 들어 UE(120)의 구성 모듈(1510)에 의해, 더욱이,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 미만일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UE(120)를 구성하기 위해 더 적응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예를 들어 UE(120)의 구성 모듈(1510)에 의해, RLF 타이머를 시작하고, 또한 IS 이벤트를 카운트하기 시작하도록 UE(120)를 구성하기 위해 더 적응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예를 들어 UE(120)의 구성 모듈(1510)에 의해,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았을 동안 RLF 타이머가 만료되면,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도록 UE(120)를 구성하기 위해 더 적응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예를 들어 UE(120)의 구성 모듈(1510)에 의해, RLF 타이머가 실행되는 동안 카운트된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에 도달하면, RLF 타이머를 중지시키도록 UE(120)를 구성하기 위해 더 적응될 수 있다.
OOS RLM 임계치 및 OOS BFD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S RLM 임계치 및 I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20)는 기지국(110)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1400)는 무선 수신기(도시되지 않음) 및 무선 송신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UE(1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1500)는 무선 수신기(도시되지 않음) 및 무선 송신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본 실시예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와 함께 도 15에 도시된 기지국(110)의 처리 회로의 각각의 프로세서(1520) 및 도 14에 도시된 UE(120)의 처리 회로의 프로세서(1460)와 같은 각각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예를 들어 각각의 기지국(110) 및 UE(120)에 적재될 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하는 데이터 반송파의 형태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반송파 중 하나는 CD ROM 디스크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 스틱(stick)과 같은 다른 데이터 반송파로 실현 가능하다. 더욱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서버 상에서 순수한 프로그램 코드로서 제공될 수 있고, 각각의 기지국(110) 및 UE(120)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기지국(110) 및 UE(120)는 각각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메모리(1470) 및 (1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각각의 기지국(110) 및 UE(120)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각각의 기지국(110) 및 UE(120)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예를 들어 피드백 옵션, 정보, 데이터, 구성 및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각각의 기지국(110) 및 UE(12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반송파는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반송파는 전자 신호, 광 신호, 전자기 신호, 자기 신호, 전기 신호, 무선 신호, 마이크로파 신호 또는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3210), 예를 들어 3GPP 타입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WLAN을 포함하며, 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3211) 및 코어 네트워크(3214)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3211)는 각각 상응하는 커버리지 영역(3213a, 3213b, 3213c)을 정의하는 AP STA NB, eNB, gNB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복수의 기지국(3212a, 3212b, 3212c)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지국(3212a, 3212b, 3212c)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부(3215)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3214)에 연결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3213c)에 위치된 Non-AP STA(3291)과 같은 제 1 사용자 장치(UE)는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상응하는 기지국(3212c)에 의해 페이징된다. 커버리지 영역(3213a) 내의 Non-AP STA과 같은 제 2 UE(3292)는 상응하는 기지국(3212a)에 무선으로 연결 가능하다. 이러한 예에서는 복수의 UE(3291, 3292)가 도시되지만, 개시된 실시예는 단독 UE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거나 단독 UE가 상응하는 기지국(3212)에 연결하는 상황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통신 네트워크(3210)는 그 자체가 호스트 컴퓨터(3230)에 연결되며, 이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 구현된 서버, 분산형 서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서버 팜에서 처리 자원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3230)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 또는 제어하에 있을 수 있거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동작되거나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 동작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3210)와 호스트 컴퓨터(3230) 사이의 연결부(3221, 3222)는 코어 네트워크(3214)로부터 호스트 컴퓨터(3230)로 직접 연장될 수 있거나 선택적인 중간 네트워크(3220)를 경유하여 진행할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3220)는 공중, 사설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며; 중간 네트워크(3220)는, 존재한다면, 백본(backbone)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일 수 있고; 특히, 중간 네트워크(3220)는 2개 이상의 서브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통신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연결된 UE(3291, 3292) 중 하나와 호스트 컴퓨터(3230)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연결은 OTT(over-the-top) 연결부(3250)로서 설명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3230) 및 연결된 UE(3291, 3292)는 액세스 네트워크(3211), 코어 네트워크(3214), 임의의 중간 네트워크(3220) 및 가능한 추가의 인프라(도시되지 않음)를 중개자(intermediary)로서 사용하여 OTT 연결부(3250)를 통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OTT 연결부(3250)는 OTT 연결부(3250)가 통과하는 참여한 통신 디바이스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3212)은 연결된 UE(3291)로 포워딩(예를 들어, 핸드오버)될 호스트 컴퓨터(3230)로부터 발신된 데이터와의 들어오는(incoming) 다운링크 통신의 지난 라우팅에 대해 알려질 수 없거나 알려질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3212)은 UE(3291)로부터 호스트 컴퓨터(3230)를 향하여 발신하는 나가는(outgoing) 업링크 통신의 향후 라우팅을 알 필요가 없다.
실시예에 따라, 이전의 단락에서 논의된 UE, 기지국 및 호스트 컴퓨터의 예시적인 구현은 이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3300)에서, 호스트 컴퓨터(3310)는 통신 시스템(330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3316)를 포함하는 하드웨어(3315)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3310)는 저장 및/또는 처리 능력을 가질 수 있는 처리 회로(3318)를 더 포함한다. 특히, 처리 회로(3318)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이의 조합(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3310)는 호스트 컴퓨터(3310)에 저장되거나 액세스 가능하고, 처리 회로(3318)에 의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331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3311)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3312)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3312)은 UE(3330) 및 호스트 컴퓨터(3310)에서 종료하는 OTT 연결부(3350)를 통해 연결하는 UE(3330)와 같은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에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3312)은 OTT 연결부(3350)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3300)은 통신 시스템에 제공되고, 호스트 컴퓨터(3310) 및 UE(333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3325)를 포함하는 기지국(3320)을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3325)는 통신 시스템(330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3326)뿐만 아니라 기지국(3320)에 의해 서빙되는 커버리지 영역(도 17에 도시되지 않음)에 위치된 UE(3330)와의 적어도 무선 연결부(3370)를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33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326)는 호스트 컴퓨터(3310)에 대한 연결부(3360)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3360)는 직접적일 수 있거나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도 17에 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통신 시스템 외부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지국(3320)의 하드웨어(3325)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이의 조합(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3328)를 더 포함한다. 기지국(3320)은 또한 내부에 저장되거나 외부 연결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소프트웨어(3321)를 갖는다.
통신 시스템(3300)은 이미 언급된 UE(3330)를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3335)는 UE(3330)가 현재 위치되는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과의 무선 연결부(3370)를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3337)를 포함할 수 있다. UE(3330)의 하드웨어(3335)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이의 조합(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3338)를 더 포함한다. UE(3330)는 UE(3330)에 저장되거나 UE(333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고, 처리 회로(3334)에 의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333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3331)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3332)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3332)은 호스트 컴퓨터(3310)의 지원과 함께 UE(3330)를 통해 인간 또는 비인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3310)에서, 실행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3312)은 UE(3330) 및 호스트에서 종료하는 OTT 연결부(3350)를 통해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3332)과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333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3312)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연결부(3350)는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3332)은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3310), 기지국(3320) 및 UE(3330)는 각각 호스트 컴퓨터(3230), 기지국(3212a, 3212b, 3212c) 중 하나 및 도 16의 UE(3291, 3292) 중 하나와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즉, 이러한 엔티티의 내부 동작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16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일 수 있다.
도 17에서, OTT 연결부(3350)는 임의의 중간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를 통한 메시지의 정확한 라우팅을 명시적으로 참조하지 않고 기지국(3320)을 통한 호스트 컴퓨터(3310)와 사용 장치(3330) 사이의 통신을 예시하기 위해 추상적으로 도시되었다. 네트워크 인프라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으며, 라우팅은 UE(3330) 또는 호스트 컴퓨터(3310)를 동작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둘 다로부터 숨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OTT 연결부(3350)가 활성적일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로드 밸런싱 고려(load balancing consideration) 또는 재구성에 기초하여)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을 더 취할 수 있다.
UE(3330)와 기지국(3320) 사이의 무선 연결부(3370)는 본 개시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른다.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은 무선 연결부(3370)가 마지막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OTT 연결부(3350)를 사용하여 UE(3330)에 제공되는 OTT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데이터 속도, 대기 시간 및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개선되는 다른 요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측정 절차가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의 변동에 응답하여 호스트 컴퓨터(3310)와 UE(3330) 사이에서 OTT 연결부(3350)를 재구성하기 위한 선택적인 네트워크 기능이 더 존재할 수 있다. OTT 연결부(3350)를 재구성하기 위한 측정 절차 및/또는 네트워크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3310)의 소프트웨어(3311) 또는 UE(3330)의 소프트웨어(3333), 또는 둘 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도시되지 않음)는 OTT 연결부(3350)가 통과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배치되거나 이와 연관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된 모니터링된 수량의 값을 공급하거나, 소프트웨어(3311, 3331)가 모니터링된 수량을 계산하거나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 수량의 값을 공급함으로써 측정 절차에 참여할 수 있다. OTT 연결부(3350)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송신 세팅, 바람직한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기지국(3320)에 영향을 줄 필요는 없고, 기지국(3320)에 알려지지 않거나 인식될 수 없다. 이러한 절차 및 기능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고 실시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측정은 처리량, 전파 시간, 대기 시간 등의 호스트 컴퓨터(3310)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적 UE 시그널링에 관련될 수 있다. 측정은 소프트웨어(3311, 3331)가 전파 시간, 에러 등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OTT 연결부(3350)를 사용하여 메시지, 특히 빈 메시지 또는 '더미(dummy)'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호스트 컴퓨터, AP STA과 같은 기지국, 및 Non-AP STA과 같은 UE를 포함하며, 이는 도 16 및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간략화를 위해, 도 18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러한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제 1 단계(341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 1 단계(3410)의 선택적인 하위 단계(3411)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 2 단계(342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송신을 개시한다. 선택적인 제 3 단계(3430)에서, 기지국은 본 개시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가 개시한 송신에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송신한다. 선택적인 제 4 단계(3440)에서,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호스트 컴퓨터, AP STA과 같은 기지국, 및 Non-AP STA과 같은 UE를 포함하며, 이는 도 16 및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간략화를 위해, 도 19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러한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제 1 단계(351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선택적인 하위 단계(도시되지 않음)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 2 단계(352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송신을 개시한다. 송신은 본 개시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 기지국을 통해 통과할 수 있다. 선택적인 제 3 단계(3530)에서, UE는 송신에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호스트 컴퓨터, AP STA과 같은 기지국, 및 Non-AP STA과 같은 UE를 포함하며, 이는 도 16 및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간략화를 위해, 도 20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러한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선택적인 제 1 단계(3610)에서,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제공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선택적 제 2 단계(3620)에서, UE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 2 단계(3620)의 선택적 하위 단계(3621)에서, UE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 1 단계(3610)의 추가의 선택적인 하위 단계(3611)에서,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반응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함에서,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된 특정 방식에 관계없이, UE는, 선택적인 제 3 하위 단계(3630)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는 것을 개시한다. 방법의 제 4 단계(364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 개시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 UE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호스트 컴퓨터, AP STA과 같은 기지국, 및 Non-AP STA과 같은 UE를 포함하며, 이는 도 16 및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간략화를 위해, 도 21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러한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선택적인 제 1 단계(3710)에서, 본 개시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 기지국은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선택적인 제 2 단계(3720)에서, 기지국은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는 것을 개시한다. 제 3 단계(373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송신에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1-9로 번호가 매겨진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는 아래에 설명된다:
다음의 실시예는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한다.
실시예 1.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UE)(12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110)은 UE(120)를 서빙하며, 방법은,
기지국(110)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1202),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1203),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IS(In-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1204),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하고, 아마 IS 이벤트의 수가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는 단계(1205),
OOS 이벤트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에 도달하고, 아마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 미만일 때, 빔과 관련된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는 단계(120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OOS RLM 임계치 및 OOS BFD 임계치 및 아마 IS RLM 임계치 및 I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따른 방법.
기지국(110)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1201)로서, 이러한 기준 신호는 빔 고장 검출(BFD) 및 셀 레벨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위해 UE(120)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실시예 3.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실시예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실시예 4. 실시예 3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반송파로서, 반송파는 전자 신호, 광 신호, 전자기 신호, 자기 신호, 전기 신호, 무선 신호, 마이크로파 신호 또는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실시예 5.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으로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도록 UE(120)를 구성하기 위해 기지국(11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110)은 UE(120)를 서빙하며, 방법은,
기지국(110)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고,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IS(In-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고,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하고, 아마 IS 이벤트의 수가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고,
OOS 이벤트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에 도달하고, 아마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 미만일 때, 빔과 관련된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도록 UE(120)를 구성하는 단계(1301)를 포함하며,
OOS RLM 임계치 및 OOS BFD 임계치 및 아마 IS RLM 임계치 및 I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6.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임의의 실시예 5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실시예 7. 실시예 6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반송파로서, 반송파는 전자 신호, 광 신호, 전자기 신호, 자기 신호, 전기 신호, 무선 신호, 마이크로파 신호 또는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실시예 8.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장치(UE)(120)로서, 기지국(110)은 UE(120)를 서빙하도록 구성되고, UE(120)는,
예를 들어 UE(120)의 모니터링 모듈(1410)에 의해, 기지국(110)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예를 들어 UE(120)의 생성 모듈(1420)에 의해,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고,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예를 들어 UE(120)의 생성 모듈(1420)에 의해, IS(In-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고,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하고, 아마 IS 이벤트의 수가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예를 들어 UE(120)의 트리거링 모듈(1430)에 의해,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고,
OOS 이벤트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에 도달하고, 아마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 미만일 때, 예를 들어 UE(120)의 선언 모듈(1440)에 의해, 빔과 관련된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도록 구성되며,
OOS RLM 임계치 및 OOS BFD 임계치 및 아마 IS RLM 임계치 및 I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 따른 UE(120), UE(12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기준 신호는, 예를 들어 UE(120)의 수신 모듈(1450)에 의해, 빔 고장 검출(BFD) 및 셀 레벨 무선 링크 모니터링(RNM)에 대해 UE(120)에 의해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실시예 10.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기지국(110)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예를 들어 UE(120)를 구성하는 기지국(110)으로서, 기지국(110)은, 예를 들어 기지국(110)의 구성 모듈(1510)에 의해,
기지국(110)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고,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IS(In-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고,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하고, 아마 IS 이벤트의 수가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며,
OOS 이벤트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에 도달하고, 아마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 미만일 때, 빔과 관련된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위해 UE(120)를 구성하도록 적응되며,
OOS RLM 임계치 및 OOS BFD 임계치 및 아마 IS RLM 임계치 및 I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을 선언하기 전에 빔 복구 준비 절차가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각각의 기지국(110) 및 UE(120)의 모듈이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의 조합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상술한 프로세서와 같은 각각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UE(120) 및/또는 기지국(11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지칭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과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는 단일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ry)에 포함될 수 있거나 여러 프로세서와 다양한 디지털 하드웨어가 개별적으로 패키징되는지 SoC(system-on-a-chip)로 조립되는지를 여러 별개의 구성 요소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포함하다(comprise)"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이는 비제한적인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즉 "적어도 구성되는(consist at least of)"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UE를 서빙하는 기지국에 의해서 송신된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는 단계로서, OO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RLF)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해서 UE에 의해서 사용된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 미만인,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준 신호는 BFD 및 셀 레벨 RLM을 위해 UE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IS(In-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는 단계는, IS 이벤트의 수가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수행되는,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에 의해서 송신된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UE를 구성하는 단계, 및
    UE에 의해서 생성된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도록 UE에 의해서 사용되는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로 UE를 구성하는 단계로서, OOS BFD 임계치는 무선 링크 고장(RLF)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해서 UE에 의해서 사용된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 미만인, UE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UE에 의해서 사용되도록 제 2 임계치로 UE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IS(In-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IS 이벤트의 수가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기 위해서 UE에 의해서 사용된 IS(in-sync) BFD 임계치로 UE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 미만일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해서 UE에 의해서 사용된 IS RLM 임계치로 UE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UE)로서, UE는 기지국에 의해서 서빙되도록 적응되고, UE는,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 및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기지국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며,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고,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되고,
    OOS BFD 임계치 및 OOS RLM 임계치는 서로 구별되는, 사용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기지국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구성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기준 신호는 BFD 및 셀 레벨 RLM을 위해 UE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할 때마다, IS(In-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IS 이벤트의 수가 IS BFD 임계치 미만일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IS 이벤트의 수가 IS RLM 임계치 미만일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
  14.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빔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구성하기 위한 기지국으로서, 기지국은 UE를 서빙하도록 적응되고, 기지국은: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 및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다음을 하도록 UE를 구성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다음은:
    기지국으로부터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며,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고,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는 것이고,
    OOS BFD 임계치 및 OOS RLM 임계치는 서로 구별되는, 기지국.
  15. 사용자 장치(UE)의 처리 회로에 의한 실행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그것 내에 저장해서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처리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UE가 다음을 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다음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UE를 서빙하는 기지국에 의해서 송신된 빔과 관련된 기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기준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마다, OOS(Out-Of-Synchronization) 이벤트를 생성하며,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빔 고장 검출(BFD) 임계치에 도달할 때, 빔 복구 준비 절차를 트리거링하고,
    OOS 이벤트의 수가 OOS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임계치에 도달할 때, RLF 타이머를 시작하는 것이고,
    OOS BFD 임계치 및 OOS RLM 임계치는 서로 구별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37002758A 2017-05-05 2018-02-2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KR102611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1823P 2017-05-05 2017-05-05
US62/501,823 2017-05-05
KR1020227001973A KR20220013019A (ko) 2017-05-05 2018-02-2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PCT/SE2018/050186 WO2018203785A1 (en) 2017-05-05 2018-02-27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thods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973A Division KR20220013019A (ko) 2017-05-05 2018-02-2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152A true KR20230021152A (ko) 2023-02-13
KR102611077B1 KR102611077B1 (ko) 2023-12-06

Family

ID=6165628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758A KR102611077B1 (ko) 2017-05-05 2018-02-2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KR1020227001973A KR20220013019A (ko) 2017-05-05 2018-02-2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KR1020197034573A KR20190138873A (ko) 2017-05-05 2018-02-2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973A KR20220013019A (ko) 2017-05-05 2018-02-2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KR1020197034573A KR20190138873A (ko) 2017-05-05 2018-02-2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11005701B2 (ko)
EP (2) EP4138313A1 (ko)
JP (1) JP6889280B2 (ko)
KR (3) KR102611077B1 (ko)
CN (1) CN110574307B (ko)
BR (1) BR112019022945A2 (ko)
CA (1) CA3062523C (ko)
ES (1) ES2923382T3 (ko)
HU (1) HUE059897T2 (ko)
PL (1) PL3619823T3 (ko)
PT (1) PT3619823T (ko)
RU (1) RU2738821C1 (ko)
WO (1) WO2018203785A1 (ko)
ZA (1) ZA2019069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876A (zh) 2017-06-16 2019-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链路监控方法和装置
CN114980192A (zh) * 2017-08-07 2022-08-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链路监听的方法、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11950287B2 (en) 2017-08-10 2024-04-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configuration of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US10855359B2 (en) 2017-08-10 2020-12-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iority of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and uplink channels
US10887939B2 (en) 2017-08-10 2021-01-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s
US11337265B2 (en) 2017-08-10 2022-05-1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US11277301B2 (en) 2017-09-07 2022-03-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nifi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beam management
US11184080B2 (en) * 2017-09-11 2021-11-23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monitoring and beam failure recovery resourc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US10892811B2 (en) 2017-09-11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covery procedure using a second component carrier
EP3668141B1 (en) * 2017-09-12 2022-06-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high-level functional entity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611468B2 (en) 2017-09-28 2023-03-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management with DRX configuration
US11252688B2 (en) * 2017-10-02 2022-02-15 Nokia Technologies Oy Beam-specific and non-beam-specific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positions for wireless networks
US11172392B2 (en) * 2017-10-06 2021-1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laring RLF
US11647493B2 (en) * 2017-10-06 2023-05-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using a second link for beam failure recovery of a first link
US10582503B2 (en) * 2017-11-10 2020-03-03 Apple Inc. UE initiated beam management procedure
US10660063B2 (en) 2017-11-16 2020-05-1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paging assistance
US11357051B2 (en) 2017-12-21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bandwidth part inactivity timer
US10863570B2 (en) 2018-01-09 2020-12-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selec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retransmission
US11540150B2 (en) * 2018-01-19 2022-12-27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covery procedure using a second component carrier
EP3525516B1 (en) 2018-02-09 2022-08-3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in carrier aggregation
CA3034014A1 (en) 2018-02-15 2019-08-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port
US11025348B2 (en) * 2018-02-16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Default radio link monitoring reference signal (RLM-RS) determination procedure in new radio (NR)
CN110324069B (zh) * 2018-03-28 2021-0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失败处理方法、终端、网络设备及可读存储介质
ES2928334T3 (es) 2018-03-30 2022-11-17 Resmed Inc Solicitud de planificación basada en la recuperación de fallos de haz
CA3038605A1 (en) 2018-03-30 2019-09-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figura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CA3038779A1 (en) 2018-04-02 2019-10-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CN110475260B (zh) * 2018-05-10 2021-05-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处理方法、用户设备和网络侧设备
EP3930237A1 (en) 2018-05-10 2021-12-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ioritiza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CN110611933B (zh) * 2018-06-15 2021-06-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链路质量监测方法及终端
CN110740468B (zh) * 2018-07-18 2023-07-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通信的状态检测方法、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EP3821677B1 (en) * 2018-07-27 2023-03-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Link failure recovery in c-drx mode
EP3609285B1 (en) 2018-08-09 2021-10-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management for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CN112567839A (zh) * 2018-09-14 2021-03-26 富士通株式会社 评估无线链路质量的方法、参数配置方法、装置和系统
US11324064B2 (en) 2018-09-24 2022-05-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US11343735B2 (en) 2018-09-25 2022-05-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configuration for secondary cells
WO2020087361A1 (zh) * 2018-10-31 2020-05-07 富士通株式会社 信号发送方法、天线面板信息的指示方法、装置和系统
WO2020102072A1 (en) * 2018-11-13 2020-05-22 Intel Corporation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based beam failure detection
US11121758B2 (en) * 2019-01-10 2021-09-14 Qualcomm Incorporated Link recovery procedure enhancements
WO2020143060A1 (zh) * 2019-01-11 2020-07-16 富士通株式会社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1109256B2 (en) * 2019-01-28 2021-08-31 Ualcomm Incorporated Beam reporting in a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or a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CN111565399A (zh) * 2019-02-14 2020-08-2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链路监测rlm方法及装置
US20220201519A1 (en) * 2019-03-29 2022-06-23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ew radio unlicensed (nr-u) radio link monitoring
US11764851B2 (en) * 2019-08-16 2023-09-19 Qualcomm Incorporated Evaluation period for beam failure detection and candidate beam detection in multi-beam NR-U
US11363662B2 (en) * 2019-11-20 2022-06-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a connection failure with a target network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106967A (zh) * 2019-12-30 2020-05-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智能选路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10090445A (ko) * 2020-01-10 202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불연속수신 설정 시 빔실패검출 자원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168603A1 (en) * 2020-02-24 2021-09-02 Nokia Shanghai Bell Co., Ltd. Event triggered measurement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WO2021217677A1 (en) * 2020-05-01 2021-11-04 Qualcomm Incorporated Restoration of data connectivity after radio link failure in standalone network
CN114449556A (zh) * 2020-10-30 2022-05-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测量调整方法和终端
CN112601241B (zh) * 2020-12-14 2023-06-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及装置
WO2022141263A1 (zh) * 2020-12-30 2022-07-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8439B (zh) 2010-04-01 2019-10-01 Lg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的信号处理方法及其设备
US20130021923A1 (en) * 2011-07-18 2013-01-24 Motorola Mobility, Inc. Communication drop avoidance via selective measurement report data reduction
WO2013163902A1 (zh) 2012-05-04 2013-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链路管理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8958331B2 (en) * 2012-07-02 2015-02-17 Intel Corporation HARQ-ACK handling for unintended downlink sub-frames
CN104641569B (zh) 2012-07-27 2018-06-12 诺基亚通信公司 一种在通信系统中使用的方法及设备
KR101960529B1 (ko) * 2013-01-11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퍼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 장치
ES2704699T3 (es) * 2013-04-05 2019-03-19 Ericsson Telefon Ab L M EU, nodo de red y métodos para ayudar en las mediciones en la configuración de señal mixta
US9258747B2 (en) * 2013-09-17 2016-02-09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fast handover failure recovery in 3GPP LTE network
US11356872B2 (en) * 2015-01-30 2022-06-07 Lg Electronics Inc. Radio link monitor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6127403A1 (en) * 2015-02-13 2016-08-18 Mediatek Singapore Pte. Ltd. Handling of intermittent disconnection in a millimeter wave (mmw) system
EP3289825B1 (en) * 2015-04-29 2020-12-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adio link problem handl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RU2018118605A (ru) * 2015-11-05 2019-12-06 Нтт Докомо, Инк.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WO2017211388A1 (en) * 2016-06-07 2017-1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oppler shift or doppler spread as input for beam-switching or node-switching in wireless networks
US10212619B2 (en) * 2016-06-30 2019-02-19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secondary cell connections in unlicensed spectrum
US11082286B2 (en) * 2017-01-06 2021-08-03 Sony Corporation Beam failure recovery
WO2018128447A1 (en) * 2017-01-06 2018-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radio link monitoring and failure procedure of multi beams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JP2020505814A (ja) * 2017-01-06 2020-02-20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Nrにおける効率的なアクセスと送信の機構
KR102014802B1 (ko) * 2017-02-06 2019-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링크 모니터링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363663B2 (en) * 2017-02-24 2022-06-14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beam, downlink beam, and radio link monitoring
US11510114B2 (en) * 2017-02-27 2022-11-22 Apple Inc. Exit conditions for conditional handovers and beam based mobility state estimation
US11082105B2 (en) * 2017-03-17 2021-08-03 Qualcomm Incorporated RLM monitoring using signaled dynamic parameter
CN110447180B (zh) * 2017-03-23 2023-06-02 苹果公司 无线电链路监测、波束恢复和无线电链路故障处理
WO2018172604A1 (en) * 2017-03-24 2018-09-27 Nokia Technologies Oy Beam-based radio link monitoring
US11134492B2 (en) * 2017-04-12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recovery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US11129070B2 (en) * 2017-05-04 2021-09-2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Beam-based neighbor relation information
WO2018201399A1 (en) * 2017-05-04 2018-11-08 Apple Inc. Radio link monitoring and cell search techniques for high movement speed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2770* *
3GPP R2-170342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74307A (zh) 2019-12-13
US11916724B2 (en) 2024-02-27
EP3619823A1 (en) 2020-03-11
JP6889280B2 (ja) 2021-06-18
KR20190138873A (ko) 2019-12-16
EP3619823B1 (en) 2022-06-22
ZA201906963B (en) 2022-03-30
EP4138313A1 (en) 2023-02-22
KR20220013019A (ko) 2022-02-04
PT3619823T (pt) 2022-07-18
RU2738821C1 (ru) 2020-12-17
US11005701B2 (en) 2021-05-11
ES2923382T3 (es) 2022-09-27
JP2020520579A (ja) 2020-07-09
CA3062523C (en) 2024-01-30
CN110574307B (zh) 2024-02-27
CA3062523A1 (en) 2018-11-08
US20200059397A1 (en) 2020-02-20
WO2018203785A1 (en) 2018-11-08
US11616684B2 (en) 2023-03-28
US20210328857A1 (en) 2021-10-21
KR102611077B1 (ko) 2023-12-06
HUE059897T2 (hu) 2023-01-28
PL3619823T3 (pl) 2022-10-31
US20230275801A1 (en) 2023-08-31
BR112019022945A2 (pt)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077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US111224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beam tracking failure recovery
JP6984707B2 (ja) 基地局、通信装置及び方法
KR102475187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노드 및 방법
JP6970212B2 (ja) 無線デバイス、無線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で通信を処理するために実行される方法
KR20200101463A (ko) 주기적 및 준-영속적 기준 신호 가정들을 위한 pdsch 리소스 맵핑에 대한 rrc 및 mac에서의 시그널링
CN113840375A (zh) 用于寻呼的方法和装置
US20210067230A1 (en) Selecting a transmission rank in a multiple beam antenna system
US20240137886A1 (en) Wireless Device, Network Node, and Metho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