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058A -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 Google Patents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058A
KR20230021058A KR1020230012693A KR20230012693A KR20230021058A KR 20230021058 A KR20230021058 A KR 20230021058A KR 1020230012693 A KR1020230012693 A KR 1020230012693A KR 20230012693 A KR20230012693 A KR 20230012693A KR 20230021058 A KR20230021058 A KR 20230021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omponent
unit
image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장선
전병훈
맹학도
도민기
김낙훈
Original Assignee
파워오토메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오토메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워오토메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058A/ko
Publication of KR2023002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058A/ko
Priority to KR1020230165694A priority patent/KR20230165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1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 H05K13/0812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the monitor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mounting machine, e.g. for monitoring components, leads, component pla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부품을 그립하는 그리퍼 유닛; 상기 부품의 일면을 조명하는 조명 유닛; 상기 그리퍼가 그리핑한 상기 부품의 일면 형상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부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획득 유닛; 및 상기 그리퍼 유닛과 상기 이미지 획득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부품의 상기 일면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상기 부품 이미지로부터 상기 부품의 불량 확인과 리드핀 구분 및 상기 부품 종류 구분을 포함하는 부품 형상 인식을 용이하게하는 마스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Masking Apparatus for Different Type Component Mounter}
본 발명(Disclosure)은,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부품과 부품의 일면형상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사이에 마스크를 배치하여 부품 일면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가림으로써, 이미지 획득시 형상인식을 명확히 할 수 있는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이형부품 삽입기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을 인쇄 회로 기판에 삽입하는 장치로서, 전자제품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제조 장비중에 하나이다. 최근의 전자제품은 경박단소한 디자인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많은 부품이 표면실장 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기 때문에, 표면실장 부품(SMD, surface mount device)과 스루홀(thru hole)이 형성되지 않은 인쇄회로 기판을 사용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자제품에서,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회로는, 아직까지 스루홀이 형성된 인쇄회로 기판에 긴 철선인 리드(lead)를 가지는 부품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SMT 기술을 이용하는 PCB는 규격화된 크기와 간격을 가지는 footprint가 형성된다. 즉 부품의 크기와 형상이 달라지더라도, PCB 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전극의 크기와 배치는 대체로 규격화 되어있어서 자동화 작업이 용이하다. 그러나 리드를 가지는 부품들은, 양극과 음극에 형성되는 리드의 길이나 폭이 특정한 규격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드형 부품을 PCB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리드의 형태를 미리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확인 작업은 부품을 정상적을 삽입하기 위한 사전 검수 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고, 부품의 불량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
또한, 부품 표면에 형성된 문자나 기호등을 판독하여 오삽의 가능성을 최대한 줄이는 목적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부품의 특정한 확인 대상 형상 또는 문자를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특1997-0011067호
본 발명(Disclosure)은, 다양한 부품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부품을 그립하는 그리퍼 유닛; 상기 부품의 일면을 조명하는 조명 유닛; 상기 그리퍼가 그리핑한 상기 부품의 일면 형상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부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획득 유닛; 및 상기 그리퍼 유닛과 상기 이미지 획득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부품의 상기 일면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상기 부품 이미지로부터 상기 부품의 불량 확인과 리드핀 구분 및 상기 부품 종류 구분을 포함하는 부품 형상 인식을 용이하게하는 마스크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에서, 상기 마스크 유닛은, 복수개의 서로 다른 상기 마스크가 형성된 마스크 플레이트; 및 상기 마스크를 선택하는 마스크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에서, 상기 마스크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상기 부품에 매칭하는 서로 다른 상기 마스크가 동심원으로 배열된 마스크 디스크이고, 상기 마스크 선택부는, 상기 마스크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마스크 회전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에서, 상기 마스크 디스크는, 상기 서로 다른 마스크가 탈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에서, 상기 마스크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자동 마스크이고, 상기 마스크 선택부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형상을 형성하는 형상 제어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에서, 상기 마스크는, 편광(Polarization of light) 특성을 가지는 편광 마스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에서 상기 조명 유닛은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 기판에 삽입되는 부품의 일면을 전부 또는 일부를 가림으로써 부품 확인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플레이트와 마스크 선택부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부품을 삽입할 때 마스크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는, 그리퍼 유닛(110), 조명 유닛(미도시), 이미지 획득 유닛(120) 및 마스크 유닛(130)을 포함한다.
그리퍼 유닛(110)은, 서로 다른 종류의 부품(1)을 그립하여 이동시킨다.
조명 유닛(미도시)은, 그리퍼가 그리핑한 부품(1)의 일면을 조명한다.
이미지 획득 유닛(120)은, 그리퍼가 그리핑한 부품(1)의 일면 형상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부품 이미지를 생성한다.
마스크 유닛(130)은, 그리퍼 유닛(110)과 이미지 획득 유닛(120) 사이에 배치된다.
마스크 유닛(130)은 부품(1)의 일면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부품 이미지로부터 부품의 불량 확인과 리드핀 구분 및 부품의 종류 구분을 포함하는 부품(1)의 형상 인식을 용이하게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에서 마스크 유닛은, 복수개의 서로 다른 마스크가 형성된 마스크 플레이트, 마스크(131)를 선택하는 마스크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스크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상기 부품에 매칭하는 서로 다른 상기 마스크(131)가 동심원으로 배열된 마스크 디스크(132)이고 마스크 선택부는 마스크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마스크 회전축(13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스크 디스크(132)는, 서로 다른 마스크(131)가 탈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형부품 삽입기는 그 크기와 형상이 다양한 부품을 자동으로 삽입한다. 따라서 마스크(131)를 이용하여 식별해야하는 부품의 종류도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는, 복수의 마스크(131)를 구비하는 마스크 디스크(132)와 회전축(133)을 이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부품에 대해 마스크(131)를 교체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선택부를 마스크 회전축(133)으로 구현하여 회전하는 마스크 디스크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부품(1)과 마스크(131)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쉽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에서 마스크(13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자동 마스크이고, 마스크 선택부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형상을 형성하는 형상 제어부(133)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는, 실질적으로 무한한 개수의 마스크를 교체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를 사용하더라도 부품 확인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부품이 투입될 때, 마스크 제작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마스크는, 글라스 계열의 투명 플레이트에, 마스크 형상을 인쇄하여 제작된다. 이에 따라서, 새로운 부품이 공급되면, 새로운 부품에 맞는 마스크를 다시 제작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는, 형상 제어부(133)에 새로운 형상을 입력함으로써 새로운 마스크 제작이 완료된다.
또한 마스크 수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형상을 투명과 불투명 뿐만 아니라, 특정한 투명도를 가지는 형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는 부품 일면 형상확인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에서 마스크는, 편광(Polarization of light) 특성을 가지는 편광 마스크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조명 유닛(미도시)은,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을 조사할 수 있다.
편광특성을 가지는 편광 마스크와 편광특성의 조명 유닛(미도시)를 동시에 이용하게 됨으로써, 부품 표면과 마스크 표면에서 발생하는 난반사 현상을 줄임으로써, 부품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자동 마스크는, 확대 및 축소 기능을 구비하는 액정 렌즈(Liquid Crystal Lens)일 수 있다.
액정 렌즈를 사용할 경우에, 부품별로 확대, 축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미지 획득 장치의 광학적 특정을 동일하게 유지하더라도, 다양한 부품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확대, 축소함으로써, 소형 부품의 식별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PCB에 삽입하기 위한 서로 다른 종류의 리드형 부품을 그립하여 이동시키는 그리퍼 유닛;
    그리퍼 유닛(110)이 그리핑한 부품의 일면을 조명하는 조명 유닛;
    그리퍼 유닛(110)이 그리핑한 상기 부품의 일면 형상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부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획득 유닛; 및
    그리퍼 유닛과 상기 이미지 획득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부품의 상기 일면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이미지 획득 유닛이 부품의 일면중 선택된 일부의 형상이 획득된 부품 이미지를 생성하여 부품의 일면 전체가 개방된 부품 이미지에 대비하여 부품의 불량 확인과 리드핀 구분 및 부품의 종류 구분을 포함하는 부품 형상 인식을 위한 마스크 유닛을 포함하고,
    마스크 유닛은 복수개의 서로 다른 마스크가 형성된 마스크 플레이트; 및 마스크를 선택하는 마스크 선택부를 포함하면서 마스크는 편광 특성을 가지는 편광 마스크가 되고, 서로 다른 마스크는 서로 다른 부품에 매칭되고,
    마스크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부품에 매칭되는 서로 다른 마스크가 동심원으로 배열되고 서로 다른 마스크가 탈착식으로 조립되는 마스크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KR1020230012693A 2020-06-12 2023-01-31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KR20230021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693A KR20230021058A (ko) 2020-06-12 2023-01-31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KR1020230165694A KR20230165178A (ko) 2020-06-12 2023-11-24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882 2020-06-12
KR1020220034785A KR20220041066A (ko) 2020-06-12 2022-03-21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KR1020230012693A KR20230021058A (ko) 2020-06-12 2023-01-31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785A Division KR20220041066A (ko) 2020-06-12 2022-03-21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5694A Division KR20230165178A (ko) 2020-06-12 2023-11-24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058A true KR20230021058A (ko) 2023-02-13

Family

ID=7916571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589A KR20210154770A (ko) 2020-06-12 2021-06-24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KR1020220034785A KR20220041066A (ko) 2020-06-12 2022-03-21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KR1020230012693A KR20230021058A (ko) 2020-06-12 2023-01-31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KR1020230165694A KR20230165178A (ko) 2020-06-12 2023-11-24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589A KR20210154770A (ko) 2020-06-12 2021-06-24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KR1020220034785A KR20220041066A (ko) 2020-06-12 2022-03-21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5694A KR20230165178A (ko) 2020-06-12 2023-11-24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101547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067A (ko) 1995-08-25 1997-03-27 이명환 특수숭고가공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067A (ko) 1995-08-25 1997-03-27 이명환 특수숭고가공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178A (ko) 2023-12-05
KR20220041066A (ko) 2022-03-31
KR20210154770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003B1 (en) Component identification system for electronic board testers
CN108596829A (zh) 一种pcb裸板图片配准方法和装置
US20230262903A1 (en) Inspection and production of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JP2010103543A (ja) ボールグリッドアレイx線方位マーク
KR20230021058A (ko) 이형부품 삽입기용 부품 마스킹 장치
KR20120086410A (ko) 자동광학검사기의 티칭데이터 자동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8207B1 (ko) 반자동 피씨비 다기능 검사장치
US201001551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differentiation to detect missing components on a circuit board
CN117198914A (zh) 一种bga植球高清图采集装置及图像处理方法
WO2011052448A1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102450824B1 (ko) 3차원 학습모델을 이용한 기판의 휨 검사 방법
KR102529354B1 (ko) 학습 장치, 검사 장치, 학습 방법 및 검사 방법
US6765185B2 (en) Computer vision recognition of metallic objects against a poorly contrasting background
KR101664413B1 (ko) Smt 마운트 머신의 부품 마운트 오류 판단 방법
KR20040096277A (ko) 메탈 마스크 검사 장치 및 그의 검사 방법
DE10162270B4 (de) Optische Sensorvorrichtung
JP2884795B2 (ja) 部品検出装置
KR101355430B1 (ko) 인쇄회로기판의 이력 관리 시스템
JP4823605B2 (ja) 露光装置、露光方法、及びパターン製造システム
KR20000004289A (ko) Pcb자동검사장치의 티칭데이타 설정방법 및 장치
KR102196350B1 (ko) 하이브리드 이형부품 삽입로봇용 부품 검사장치
CN117409261B (zh) 一种基于分类模型的元件角度分类方法及系统
CN2558954Y (zh) 微型钻针检测设备及其成像装置
KR0141154B1 (ko) 회로기판의 부품장착상태 검사방법
CN216017232U (zh) 一种具有识别标记的广告机pcb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