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531A -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531A
KR20230020531A KR1020237000688A KR20237000688A KR20230020531A KR 20230020531 A KR20230020531 A KR 20230020531A KR 1020237000688 A KR1020237000688 A KR 1020237000688A KR 20237000688 A KR20237000688 A KR 20237000688A KR 20230020531 A KR20230020531 A KR 20230020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tub
receiving recess
bracing ring
br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마크 페롱
프랑수아 돌리베
세바스티앙 페트리
Original Assignee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20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내부에 유동 채널이 형성된 스피것을 가지며, 유동 채널은 상기 스피것의 전단부까지 연장되고 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커넥터에서,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측면을 둘러싸는 클램핑 링은 원주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breaking point)을 가지고, 상기 클램핑 링은, 상기 클램핑 링에 상기 전단부를 향해 작용하는 축방향 힘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이 파단되어, 상기 링의 외경의 확대의 결과로서 상기 클램핑 링이 상기 측면 위로 완전히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커넥터 및 수용 오목부를 가진 하우징을 가지는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유체-채널링(fluid-channeling)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커넥터들과 커플링들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관련 유체, 예상되는 압력, 설치 조건 등에 맞춰진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하위 조립체들을 사전 제작하고, 이들을 최종-조립 라인으로 운반하여 최종 조립 과정 중에 설치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하위 조립체가, 예를 들어, 수용 오목부 내에 끼워지는 커넥터를 가지는 경우에, 하위 조립체가 더 쉽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커넥터를 3차원으로 배치하는 것이 때때로 바람직할 수 있다.
유체-채널링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한 알려진 커플링들은 삽입 가능한 커넥터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를 가진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가 수용 오목부 내에 단순히 삽입되어 배치되는 경우, 운송으로 인한 진동 등의 결과로서 운송 중에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커넥터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커넥터는 회전되기 전에 삽입 후 고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추가적인 회전 방지 조치가 취해져야 하기 때문에, 특히 수용 오목부를 가진 하우징의 제조에 영향을 미친다. 선반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하우징의 간단한 제조는 이 경우에 비용이 많이 드는 추가 가공 단계들에 의해 보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 있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도입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에서 하우징 또는 수용 오목부는 가능한 한 간단하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선반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발명의 주된 특징들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명시되어 있다. 개선 사항들은 청구항 제2항 내지 제11항의 주제를 형성한다.
내부에 유동 채널이 형성된 스터브(stub)를 가지며, 상기 유동 채널은 상기 스터브의 전단부까지 연장되고 측면(lateral surface)에 의해 둘러싸이고,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면, 원주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breaking point)을 가지는 브레이싱 링(bracing ring)이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측면을 둘러싸도록 제공되며, 상기 브레이싱 링은, 상기 브레이싱 링에 상기 전단부를 향해 작용하는 축방향 힘의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이 파단되어, 상기 브레이싱 링이 상기 측면 상으로 완전히 밀려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외경이 증가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스터브는, 특히, 하나 이상의 원형 단면을 가진 튜브형 요소일 수 있다. 상기 스터브는 상보적인 수용 오목부 내부에 삽입되어 스터브에 연결된 구성요소로부터 유체가 하우징에 연결된 구성요소 내부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터브는 스터브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동 채널을 가진다.
상기 브레이싱 링은 상기 전단부에서 측면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브레이싱 링의 단 하나의 에지 또는 좁은 주변 영역이 상기 측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브레이싱 링이 측면 상에 홀딩되지만 상당한 정도로 측면을 둘러싸지는 않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용 오목부 내부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커넥터는 브레이싱 링과 스터브 형태의 2개의 구성 요소들이 상호 연결된 하위 조립체(subassembly)를 형성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파단점은 상기 브레이싱 링의 원주 영역의 특정한 약화입니다. 이는 상기 브레이싱 링이 원주 방향으로 파단되어 직경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터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특정 영역들에서 원뿔형이고, 따라서 전단부로부터 멀어지면서 축 방향으로 적어도 약간 넓어진다. 상기 커넥터가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되는 결과로서, 상기 브레이싱 링이 축방향 힘에 의해 스터브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브레이싱 링은 스터브 상으로 밀려지게 된다. 상기 스터브의 확장은 브레이싱 링의 원주 방향으로 기계적 응력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이 파단되어 열리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이 파단되어 열린 때, 상기 브레이싱 링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며 측면 상에 완전히 안착될 때까지 측면 상으로 밀려질 수 있다. 상기 브레이싱 링을 측면 상으로 밀어내는 동작은 측면/브레이싱 링 조합의 최대 외경을 증가시켜 수용 오목부 내에 스터브의 클램핑 동작을 달성한다. 상기 브레이싱 링, 스터브 및 수용 오목부의 치수들은 여기에서 상기 스터브가 수용 오목부 내부로 완전히 밀려 원하는 클램핑 동작이 달성될 수 있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상기 브레이싱 링은 스터브가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브레이싱되어 커넥터와 하우징 사이에 회전 고정 연결이 확립되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의 설계는 수용 오목부 내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커넥터를 구속하기 위해 수용 오목부 내에 추가적인 측방향 구멍들, 슬롯들 또는 다른 조치들을 구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수용 오목부가 선반(lathe)에 의해 매우 쉽게 제조될 수 있으며 비용이 많이 드는 추가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히 하우징이 금속 재료로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넥터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스터브와 브레이싱 링은 모두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브레이싱 링은 상기 스터브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싱 링과 상기 스터브 사이의 전이 영역(transition region)이 약화된다. 상기 전이 영역의 특정한 약화는 브레이싱 링이 축 방향 힘의 작용에 의해 스터브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하나의 이점은 커넥터가 공급될 때 브레이싱 링이 이미 정확하게 배치되어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전이 영역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가로대들(crosspieces) 및/또는 감소된 재료 두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싱 링은 예를 들어 적은 수의 이격된 가로대들에 의해 스터브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브레이싱 링은 정확하게 배치되고 오직 축 방향으로 작은 압축력에 의해 브레이싱 링이 분리된다. 원주 방향으로 가로대들 사이의 거리는 가로대들의 폭을 상당히 초과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압축력이 브레이싱 링을 분리하기에 충분하도록 전이 영역에서 재료 두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가진다. 상기 슬롯은 반경 방향으로 브레이싱 링의 전체 재료 두께를 관통한다. 상기 슬롯은 직선, 곡선 및/또는 지그재그 선을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중에 일체형 부품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닫힌 상태로 제조된 브레이싱 링을 절단하는 데 사용되는 톱에 의해 후속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의 크기에 따라, 특히 슬롯의 축방향 범위에 따라, 파단 목적에 필요하고 전단부에서 축방향 힘에 의해 생성되는 원주 방향 힘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
또한, 상기 슬롯은 전단부에서 폐쇄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스터브와 브레이싱 링으로 구성된 하위 조립체는 폐쇄된 환형 표면을 가지며 뒤틀림 없이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형예에서, 상기 슬롯은 브레이싱 링을 통해 축방향으로 완전히 연장되지 않고, 브레이싱 링의 2개의 인접 세그먼트들을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고 미리 결정된 파단점으로서 작용하는 연결부가 남아 있다. 상기 슬롯은 연결부의 방향으로 테이퍼지거나, 또는 연결부로부터 반대되는 축 방향으로 넓어질 수 있으며, 이는 연결부의 특정 파단-개방 작동을 보조한다. 상기 브레이싱 링이 파단되어 열리도록 하기 위해 초과되어야 할 축방향 힘은 연결부의 치수와 슬롯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브레이싱 링을 넓히기 위해, 상기 측면은, 적어도 특정 영역들에서, 상기 전단부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브레이싱 링이 반대되는 축 방향으로 밀려질 때, 그 내측 표면은 넓어지고, 이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이 파단되어 열리도록 함으로써, 브레이싱 링은 측면 상으로 더 밀려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터브는 적어도 특정 영역들에서 원뿔형이다.
상기 브레이싱 링은 별도의 구성요소의 형태로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브레이싱 링은 스터브와는 상이한, 예를 들어 다소 연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스터브의 형상 정확도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싱 링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이 포함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스터브가 수용 오목부 내부로 밀려 들어갈 때, 밀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넥터가 조립될 때 밀봉 링들을 도입하는 별도의 단계가 없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이 상기 스터브의 전단부에 축방향으로 인접하거나 또는 상기 스터브의 전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스터브는, 브레이싱 링이 측면 상으로 밀려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이 스터브의 전단부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을 도입하는 작업을 돕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은, 커넥터가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되었을 때, 플러시 방식(flush manner)으로 그리고 작은 축방향 압축력에 의해 밀봉 시트(sealing seat)로 밀려지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수용 오목부 내의 원주형 홈 내에 구속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latching element)가 상기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는 밀려 들어간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는, 미리 결정된 삽입 깊이에서, 하우징의 원주형 홈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스냅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커넥터와 수용 오목부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은 커넥터가 삽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설명의 이전 부분에 따른 커넥터를 가지며 수용 오목부를 가진 하우징을 가지는 커플링에 관한 것이며,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보적으로 설계된다. 상기 하우징은 커넥터와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과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커넥터를 결합하는 것이 권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커넥터에 대한 연결을 위한 본질적인 특징부들이 선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제조하기 쉬운 하우징을 발생시킨다.
상기 수용 오목부는 내측 표면과 반경방향 어깨부(radial shoulder)를 가지는 브레이싱 부분(bracing portion)을 가지는 경우가 바람직하며, 상기 내측 표면은 상기 브레이싱 링의 응력이 완화된 때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다. 상기 어깨부는 브레이싱 링이 어깨부에 부딪혀 제자리에 단단히 유지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수용 오목부의 방향으로 밀리는 커넥터의 작동은 스터브와 브레이싱 링이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한다. 직경 비율은 스터브가 예상 깊이에 도달하는 정도로 도입된 때 스터브를 제 위치에 브레이싱하기 위한 쐐기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수용 오목부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가진 래칭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원주형 홈을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에 의해 추가적인 축 방향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원주형 홈의 사용은 상기 래칭 요소들이 원하는 회전 위치에 래칭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세부사항들 및 이점들은 청구항들의 문구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와 하우징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커플링의 측단면도를 보여주며,
도 2는 커넥터가 하우징 내에 어느 정도 삽입된 상태에서 커플링의 측단면도를 보여주며,
도 3은 커넥터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커플링의 측단면도를 보여주며,
도 4는 커넥터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5는 어떠한 밀봉 링도 없는 상태의 커넥터의 측단면도를 보여주며,
도 6은 브레이싱 링이 파단되어 열린 상태의 커넥터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7은 브레이싱 링 내에 미리 결정된 2개의 파단점들을 가지는 커넥터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8은 4개의 래칭 요소들을 가진 커넥터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9와 10은 수정된 커넥터의 2개의 사시도들을 보여준다.
도 1은 커넥터(4)와 하우징(6)을 가지는 커플링(2)을 보여준다. 상기 커넥터(4)는 내부에 유동 채널(10)이 형성된 스터브(stub)(8)를 가진다. 상기 스터브(8)는 유동 채널(10)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공급되는 전단부(frontal end)(12)를 가진다. 측면(lateral surface)(14)은 유동 채널(10)을 둘러싸고 있다. 브레이싱 링(bracing ring)(16)은 상기 전단부(12)에서 측면(14)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상기 브레이싱 링(16)은 별도로 제조된 구성요소이거나, 또는 스터브(8)와 일체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상기 브레이싱 링(16)이 비교적 작은 축방향 힘의 작용에 의해 스터브(8)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브레이싱 링(16)과 스터브(8) 사이에 오직 매우 미세한 연결 브리지들만 제공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싱 링(16)은 원주에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breaking point)을 가지며, 이는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력이 완화된 때, 브레이싱 링(16)은 외경(D1)을 가진다. 예를 들어, 2개의 밀봉 링들(18 및 20)이 브레이싱 링(16)의 내부에 포함된다. 상기 밀봉 링(20)은 스터브(8)의 전단부(12)에 직접 인접한다.
상기 하우징(6) 내에는 수용 오목부(22)가 제공된다. 이 수용 오목부는 스터브(8)와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이 수용 오목부 내에 브레이싱 부분(24)이 제공되며, 이 브레이싱 부분(24)은 내측 표면(26)과 반경방향 어깨부(radial shoulder)(28)를 가진다. 상기 어깨부(28)는 브레이싱 링(16)의 전단부(30)와 표면적으로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측 표면(26)의 내경은 D1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통상적인 끼워맞춤 치수만큼 D1을 초과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34)에 인접하여 원주형 홈(32)이 제공된다. 상기 스터브(8)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이 있는 래칭 요소들(36)을 가지며, 이들은 스터브(8)가 수용 오목부(22) 내부로 완전히 밀려 들어간 때 원주형 홈(32)과 래칭된다. 여기에서, 상기 원주형 홈(32)은 수용 오목부(22)의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되어 상기 스터브(8)의 회전 위치는 래칭 요소들(36)의 래칭 작용의 기능과 관련이 없다.
도 2는 수용 오목부(22)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스터브(8)의 작동을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싱 링(16)의 전단부(30)는 어깨부(28)와 접촉한다. 상기 브레이싱 링(16)이 특정 위치에서 스터브(8)에 어느 정도 연결된 경우, 이 연결은 스터브(8)가 약간 밀리는 것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싱 링(16)에 대한 축방향 힘의 작용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이 파단되어 열리도록 하여 브레이싱 링(16)이 측면(14) 상으로 더 밀려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14)의 직경이 전단부(12)로부터 약간 넓어지도록, 스터브(8) 또는 측면(14)은 몇몇 위치들에서 약간 원뿔형이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싱 링이 스터브(8) 상으로 밀리는 결과로서, 상기 브레이싱 링(16)의 직경은 D1으로부터 D2로 증가한다. 이는 도 3에서 볼 수 있다. 거기에서, 상기 브레이싱 링(16)은 측면(14) 상으로 멀리 밀려나서 외경 D2를 가지며, 이는 도 1에서 응력이 완화된 때의 직경 D1보다 크다. 상기 수용 오목부(22)의 단면이 적어도 국부적으로 완전히 채워지고 브레이싱 링(16)의 재료가 반경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내측 표면(26)과 측면(14) 사이에 쐐기 효과(wedge effect)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싱 링(16)은 일종의 쐐기 역할을 하며, 스터브(8)는 수용 오목부(22) 내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안착된다.
도 4는 상기 커넥터(4)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상기 브레이싱 링(16)은 스터브(8) 상에 끼워져 있어 스터브(8)와 브레이싱 링(16)은 조립 및 취급이 용이한 상호 연결된 하위 조립체를 형성한다. 상기 브레이싱 링(16)의 외측 표면에는 슬롯(40) 형태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38)이 제공된다. 상기 슬롯은 전단부(30)에서 폐쇄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좁은 가로대(crosspiece)(42)가 제공되며, 상기 슬롯(40)은 이 가로대를 통해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슬롯(40)은 전단부(30)로부터 축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파단-개방 목적에 필요한 기계적 응력이 가로대(42)의 영역에 집중된다. 상기 브레이싱 링(16)이 스터브(8) 상으로 밀린 때, 이에 따라 가로대(42)로부터 멀리 떨어진 슬롯(40)의 영역이 떨어지도록 당겨지고 가로대(42)가 파단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커넥터(4)는 2개의 정반대의 래칭 요소들(36)을 가지며, 이들은 원주형 홈(32) 내에 래칭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싱 링(16)의 정반대의 원주 방향 위치들에 배치된 2개의 슬롯들(40) 형태로 2개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들(38)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38)을 가지지만 4개의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래칭 요소들(36)을 가지는 커넥터(4)의 수정된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는 래칭 상태에서 더 큰 축방향 힘들이 흡수될 수 있게 한다.
도 7은 커넥터(4)의 측단면도를 다시 도시하며, 이번에는 밀봉 링들(18 및 20)이 없고, 배달 상태에 있으며, 여기에서 브레이싱 링(16)의 부분은 측면(14) 상에 놓인다. 이에 바로 인접하여, 브레이싱 링(16)의 내경 및 결과적으로 외경도 증가하도록, 스터브(8)가 넓어진다.
또한, 도 8은 완전히 밀려진 상태의 브레이싱 링(16)을 도시하며, 이 경우 미리 결정된 파단점(38)이 파단되어 열린다. 상기 스터브(8)의 전단부(12)는 브레이싱 링(16) 밖으로 돌출된다. 파단점에서, 브레이싱 링(16)이 상당히 넓어진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커넥터(4)가 수용 오목부(22) 내에 끼워진 때 전술한 쐐기 효과를 초래한다.
도 9와 10은 수정된 커넥터(44)를 보여주며, 이는 스터브(8)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약간 다른 브레이싱 링(46)을 가진다. 전이 영역(48)에서, 미리 결정된 파단점(50)은 재료의 약화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브레이싱 링(46)과 스터브(8)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가로대들의 배치에 의해 또는 감소된 재료 두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9에서, 브레이싱 링(46)은 측면(14)의 전단부(12)에 부착되어 사용 준비가 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싱 링(46)에 작용하는 축 방향 압축력의 결과로서, 상기 가로대들이 파열되어 브레이싱 링(46)이 이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싱 링(46)이 래칭 요소들(36)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어느 정도 넓어지는 것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구조적 세부 사항, 공간적 배치 및 방법 단계들을 포함하여, 청구범위,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는 모든 특징과 이점들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매우 다양한 조합으로 본 발명에 본질적일 수 있다.
2 커플링
4 커넥터
6 하우징
8 스터브
10 유동 채널
12 전단부
14 측면
16 브레이싱 링
18 밀봉 링
20 밀봉 링
22 수용 오목부
24 브레이싱 부분
26 내측 표면
28 전방 어깨부
30 브레이싱 링의 전단부
32 원주형 홈
34 하우징의 전단부
36 래칭 요소
38 미리 결정된 파단점
40 슬롯
42 가로대
44 커넥터
46 브레이싱 링
48 전이 영역
50 미리 결정된 파단점
D1 응력이 완화된 동안의 외경
D2 응력을 받는 동안의 외경

Claims (13)

  1. 하우징(6)의 수용 오목부(22)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4, 44)로서,
    상기 커넥터는 내부에 유동 채널(10)이 형성된 스터브(stub)(8)를 가지며, 상기 유동 채널은 상기 스터브(8)의 전단부(12)까지 연장되고 측면(lateral surface)(14)에 의해 둘러싸이며,
    원주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breaking point)(38, 50)을 가지는 브레이싱 링(bracing ring)(16, 46)이 상기 전단부(12)에서 상기 측면(14)을 둘러싸고, 상기 브레이싱 링(16, 46)은, 상기 브레이싱 링(16, 46)에 상기 전단부(12)를 향해 작용하는 축방향 힘의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38, 50)이 파단되어, 상기 브레이싱 링(16, 46)이 상기 측면(14) 상으로 완전히 밀려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외경이 증가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싱 링(16, 46)은 상기 스터브(8)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38, 50)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싱 링(16, 46)과 상기 스터브(8) 사이의 전이 영역(transition region)(48)이 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48)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가로대들(crosspieces) 및/또는 감소된 재료 두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38, 50)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4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40)은 상기 전단부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전기한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14)은, 적어도 특정 영역들에서, 상기 전단부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싱 링(16, 46)은 별도의 구성요소의 형태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전기한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18, 20)이 상기 브레이싱 링(16, 46)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18, 20)은 상기 스터브(8)의 전단부(12)에 축방향으로 인접하거나 또는 상기 스터브(8)의 전단부(12)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전기한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22) 내의 원주형 홈(32) 내에 구속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latching element)(36)가 상기 측면(14)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전기한 항들 중 한 항에 따른 커넥터(4, 44) 및 수용 오목부(22)를 가진 하우징(6)을 가지는 커플링(2)으로서, 상기 수용 오목부(22)는 상기 커넥터(4, 44)와 상보적으로 설계되는, 커플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22)는 내측 표면(26)과 반경방향 어깨부(radial shoulder)(28)를 가지는 브레이싱 부분(bracing portion)(24)을 가지며, 상기 내측 표면(26)은 상기 브레이싱 링(16, 46)의 응력이 완화된 때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34)에 인접하여, 상기 수용 오목부(22)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가진 래칭 요소들(36)을 수용하기 위한 원주형 홈(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KR1020237000688A 2020-07-21 2021-06-21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 KR202300205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19170.7 2020-07-21
DE102020119170.7A DE102020119170A1 (de) 2020-07-21 2020-07-21 Verbinder zum Einstecken in eine Aufnahmevertiefung eines Gehäuses
PCT/EP2021/066862 WO2022017706A1 (de) 2020-07-21 2021-06-21 Verbinder zum einstecken in eine aufnahmevertiefung eines gehäu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531A true KR20230020531A (ko) 2023-02-10

Family

ID=7673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688A KR20230020531A (ko) 2020-07-21 2021-06-21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65954A1 (ko)
EP (1) EP4185800A1 (ko)
JP (1) JP2023534710A (ko)
KR (1) KR20230020531A (ko)
CN (1) CN116194700A (ko)
DE (1) DE102020119170A1 (ko)
WO (1) WO20220177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95583T1 (de) * 1995-01-19 2000-09-15 Legris Sa Vorrichtung zum schnellen verbinden eines rohres mit einem starren element
FR2818730B1 (fr) * 2000-12-22 2006-11-03 Legris Sa Embout femelle pour coupleur
FR2829829B1 (fr) * 2001-09-20 2004-02-13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a montage securise
CN100547279C (zh) 2002-04-16 2009-10-07 双湾医药公司 倒刺夹具
FR2871216B1 (fr) * 2004-06-03 2006-09-01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type cartouche et dispositif d'extraction d'un tel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202006019311U1 (de) * 2006-12-21 2008-04-24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 Medienleitungen
US20100289256A1 (en) * 2009-05-18 2010-11-18 Dennis Shumard Pipe insertion indicator and method of use
ES2548185T3 (es) * 2012-11-28 2015-10-14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Unidad de automóvil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unidad de automóvil
FR3014167B1 (fr) * 2013-11-29 2015-12-18 Parker Hannifin Mfg France Sas Dispositif de raccordement rapide de type cartouch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19170A1 (de) 2022-01-27
CN116194700A (zh) 2023-05-30
US20230265954A1 (en) 2023-08-24
JP2023534710A (ja) 2023-08-10
WO2022017706A1 (de) 2022-01-27
EP4185800A1 (de)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913B2 (en) Press fitting for a pipe
JP5289804B2 (ja) 高圧用のクイックコネクタ
WO1999017015A1 (de) Wärmeschutzhülse
KR101275060B1 (ko) 절삭 가공용 공구
EP3384196B1 (fr) Raccord tubulaire rapide avec bague secable pour connexion fluidique securisee
EP0175169A1 (de) Muffenverbindung
JP7019877B2 (ja) 拡張コネクタ
KR20130049738A (ko) 체크 밸브
EP3669104B1 (de) Gleitringdichtungsanordnung sowie gleitringdichtungs-baukasten
EP3425253B1 (en) Pipe coupling
JP4491138B2 (ja) ブラインドリベ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20531A (ko)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
EP2053256B1 (de) Sprengringsicherung an einer Wellen-Naben-Verbindung
US6575659B1 (en) Conical screw connection for multi-disk shaft couplings
KR20010023467A (ko) 압력 밸브
DE102013218117A1 (de) Nehmerzylinder
US6267145B1 (en) Faucet assembly adapted to be mounted on a standard water pip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CN107042862B (zh) 包括密封件破坏构件的接头装配件及其液压软管联接组件
DE202007001430U1 (de) Elastische Steckkupplung
EP0570394B1 (de) Stabilisierungs- und abstützeinrichtung für die schwenklagerung eines kupplungshebels
RU2641789C1 (ru) Клапан пиротехнический (варианты)
US20040046139A1 (en) Directional-control valve
CN102084084A (zh) 节流调整件组件
KR20140004052U (ko) 유압식 커플링 체결장치
DE3440991A1 (de) Anordnung zur spielfreien verbindung zweier zylindrischer bauteile, insbesondere fuer einen kolben eines hydraulischen kraftverstaerkers fuer kraftfahrzeu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