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970A -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970A
KR20230019970A KR1020237000570A KR20237000570A KR20230019970A KR 20230019970 A KR20230019970 A KR 20230019970A KR 1020237000570 A KR1020237000570 A KR 1020237000570A KR 20237000570 A KR20237000570 A KR 20237000570A KR 20230019970 A KR20230019970 A KR 20230019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transmit power
indication information
slo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 장
이판 수에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references to control power, e.g. look-up-t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되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한다(S202).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S201). 네트워크 디바이스(10)는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20)의 전력 점프 포인트를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20)의 전력 제어를 조정하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10)의 공동 채널 추정을 조정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10)의 공동 채널 추정 실패를 회피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 디바이스(20)의 업링크 신호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20년 6월 22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METHOD FOR PROVIDING ASSISTANCE INFORMATION AND UE"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0570506.1호 및 2020년 9월 4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0923712.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중국 출원들은 본 출원에서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기지국의 전송 전력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기지국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는 열악하다. 단말 디바이스로부터의 업링크 SINR 값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복조 임계값보다 적을 때,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정보를 올바르게 복조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슬롯(slot)에서 송신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채널에 대한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채널의 채널 모델을 복원하고, 채널에 대한 간섭을 제거하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전자기파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감쇠가 커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주파수가 높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는 감쇠가 더 커서, 업링크 커버리지가 더 열악해진다.
본 출원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품질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통상적인 기술의 문제를 해결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에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솔루션이 사용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phase jump)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력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joint channel estimation)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전력 점프 포인트에 도달하고, 그 결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공동 채널 추정이 부정확해지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공동 채널 추정 정책을 결정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전력 점프 포인트에 도달할 때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로 인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공동 채널 추정 실패를 회피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제 1 값은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직접 보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그 차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한 조정된 전력을 직접 결정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PC)를 생성하거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한 직접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기초하여, 제 1 표시 정보는 위상 점프가 발생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 간격을 표시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 내의 제 1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어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전송 전력 간격 내에서 조정되도록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를 회피한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각각의 전송 전력 간격의 엔드포인트를 결정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복수회 보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가 줄어들 수 있고,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개의 가장 가까운 전송 전력 간격의 엔드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위 또는 아래로 조정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전력 점프 포인트로 조정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가 더 줄어들 수 있고,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줄어들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승 추세에 있을 때 제 1 전송 전력을 보고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제 1 전송 전력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조정되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의 추세 사이의 불일치를 회피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적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하강 추세에 있을 때 제 1 전송 전력을 보고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제 1 전송 전력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조정되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의 추세 사이의 불일치를 회피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한다.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전력이 가장 가까운 제 1 전송 전력에 근접할 때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므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제 1 표시 정보의 수량이 줄어들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더 줄어들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매체 접근 제어-제어 요소(Media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중 임의의 하나에서 반송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에 응답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된다. 제 1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MAC CE는 다음과 같은 것: 전력 헤드룸 보고서(power headroom report)(PHR)를 반송하는 MAC CE, 새로 추가된 MAC CE, 또는 전송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PC)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에서 송신된 MAC CE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시에 기초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므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제 1 표시 정보의 수량이 줄어들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더 줄어들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방식으로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여, 방법의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제 1 값은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으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다.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슬롯을 결정한다. 제 1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고,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슬롯 앞의 슬롯과 함께 제 1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적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고,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 내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N개의 제 1 전송 전력 사이의 대응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한다.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간격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임의의 한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때, 아무 위상 점프도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을 점프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로 인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공동 채널 추정이 부정확한 문제를 해결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시간 윈도우의 지속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H번째 슬롯은 다음 중 임의의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예정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예정된 업링크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예정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예정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조건을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시작 조건 및 제 1 시간 윈도우의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제 1 시간 윈도우로서 결정할 수 있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 다음의 제 1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시간 윈도우 다음에,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즉시 조정한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전송 요구사항과 매칭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차이를 결정한다. 제 1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제 3 전송 전력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 후에 획득된 전송 전력이다.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조정되어야 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을 때,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업링크 전송에 필요한 전력은 상대적으로 작으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를 회피할 수 있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차이를 결정한다.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 3 전송 전력으로 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조정되어야 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클 때,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시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하지 않으면, 업링크 실패가 유발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시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하므로, 업링크 실패가 회피될 수 있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게 될 때 전술한 솔루션을 수행하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공동 채널 추정 실패가 회피될 수 있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한다.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5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적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전력이 전력 점프 포인트에 접근하는 경우를 보고하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후속 기간에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공동 채널 추정 실패를 회피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H번째 슬롯은 다음 중 임의의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예정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예정된 업링크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예정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예정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4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5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적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싱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통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제 1 값은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적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통신 유닛은 또한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고, 제 1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MAC CE는 다음과 같은 것: PHR을 반송하는 MAC CE, 새로 추가된 MAC CE, 또는 TPC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에서 송신된 MAC CE 중 임의의 하나이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싱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제 1 값은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으면,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슬롯이 결정된다. 제 1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고,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공동 채널 추정은 제 1 슬롯 앞의 슬롯과 함께 제 1 슬롯에서 수행되지 않는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적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통신 유닛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 내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N개의 제 1 전송 전력 사이의 대응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다.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간격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임의의 한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때, 아무 위상 점프도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제 7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통신 장치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통신 유닛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7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H번째 슬롯은 다음 중 임의의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예정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예정된 업링크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예정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예정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제 7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제 7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시간 윈도우 다음의 제 1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7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1 차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제 3 전송 전력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 후에 획득된 전송 전력이다.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1 전력 간격에서 조정된다.
제 7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차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3 전력 전력으로 조정된다.
제 7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통신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7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5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적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8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싱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애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제 8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H번째 슬롯은 다음 중 임의의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예정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예정된 업링크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예정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예정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제 8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제 8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통신 유닛은 또한 제 4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8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통신 유닛은 또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5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적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제 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프로세서, 저장 매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통신 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프로세서로 전송하거나, 또는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를 통신 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로직 회로를 사용하여 또는 코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 내 칩일 수 있다.
제 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프로세서, 저장 매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통신 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프로세서로 전송하거나, 또는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를 통신 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로직 회로를 사용하여 또는 코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 칩일 수 있다.
제 1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프로세서, 저장 매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통신 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프로세서로 전송하거나, 또는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를 통신 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로직 회로를 사용하여 또는 코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 내 칩일 수 있다.
제 1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프로세서, 저장 매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통신 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프로세서로 전송하거나, 또는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를 통신 장치 이외의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로직 회로를 사용하여 또는 코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 칩일 수 있다.
제 1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제 1 통신 장치 및 제 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 통신 장치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통신 장치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1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제 3 통신 장치 및 제 4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3 통신 장치는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4 통신 장치는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1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2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2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2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에서 기술적 특징, 기술적 솔루션, 유익한 효과 또는 유사한 단어의 설명은 모든 특징 및 장점이 임의의 개별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특징 또는 유익한 효과의 설명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특정한 기술적 특징, 기술적 솔루션 또는 유익한 효과를 포함하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적 특징, 기술적 솔루션 또는 유익한 효과의 설명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특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 기술적 솔루션 및 유익한 효과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가 특정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기술적 특징, 기술적 솔루션 또는 유익한 효과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실시예를 반영하지 않은 특정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기술적 특징 및 유익한 효과가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다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전력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전력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전력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시간 윈도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전력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의 전력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다른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는 "또는"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 사이의 연관 관계만을 서술하며 3개의 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과 같은 3개의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A만 존재, A와 B 둘 모두 존재, B만 존재. 또한,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고, "복수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제 1" 및 "제 2"와 같은 용어는 수량 또는 실행 순서를 제한하지 않으며, "제 1" 및 "제 2"와 같은 용어는 명확한 차이를 표시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예"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단어는 예, 예시 또는 설명을 제시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예" 또는 "예를 들어"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방식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방식보다 더 선호되거나 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서술되어서는 안 된다. 정확히 말해서, "예"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단어의 사용은 특정 방식으로 관련된 개념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력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에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0) 및 하나 이상의 단말 디바이스(20)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20)는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1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는, 단말 디바이스(20)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말 디바이스(20)의 전송 전력에 대해 전력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5세대(5th-generation, 5G) 시스템, 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시스템, 미래 진화 시스템, 또는 복수의 통신 기술을 집약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시스템 및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ext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 NG-RAN)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신호를 송신하거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측 엔티티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에 배치되고 단말 디바이스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RP, 기지국(예를 들어, 진화된 노드B(evolved NodeB, eNB 또는 eNodeB), 차세대 노드 기지국(next generation node base station, gNB) 또는 차세대 eNB(next generation eNB, ng-eNB), 다양한 형태의 제어 노드(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어기,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 무선 제어기와 같은) 무선 제어기 또는 노변 유닛(road side unit, RSU)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소형 셀이라고도 함),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일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의 안테나 패널일 수 있다. 제어 노드는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속하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자원을 구성할 수 있다.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의 명칭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LTE 시스템에서 eNB 또는 eNodeB로 지칭될 수 있고, 5G 시스템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gNB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의 특정 명칭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미래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등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측 엔티티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음성 서비스 및 데이터 연결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단말,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가입자 국, 이동 국, 원격 국, 원격 단말, 이동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로도 지칭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차량 대 사물(vehicle-to-everything, V2X)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자동차(smart car 또는 Intelligent car), 디지털 자동차(digital car), 무인 자동차(unmanned car, driverless car, pilotless car, 또는 automobile), 자율 주행 자동차(self-driving car 또는 autonomous car), 순수 전기 자동차(pure EV 또는 Battery EV),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주행거리 연장 전기 자동차(range extended EV, RE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lug-in HEV, PHEV), 또는 신에너지 자동차(new energy vehicle)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to-device, D2D) 디바이스, 예를 들어 전기 계량기 또는 수도 계량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이동국(mobile station, MS),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무인 항공기,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 WLAN의 스테이션(station, ST), 셀룰러 폰(cellular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코드리스 전화기, 무선 데이터 카드, 태블릿 컴퓨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머신형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단말,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무선 모뎀에 연결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웨어러블 지능형 디바이스라고도 함)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어 5G 시스템의 단말 디바이스, 미래 진화 PLMN의 단말 디바이스 또는 NR 시스템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출원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먼저 본 출원의 일부 개념이 간략하게 설명된다.
1. 전력 헤드룸 보고서(power headroom report, PHR)
전력 헤드룸(Power Headroom, PH)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단말의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단말의 전송 전력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레이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단말에 의해 PUSCH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전력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PUSCH의 요구된 전송 레이트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PUSCH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전력을 결정한다.
PH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단말의 전송 전력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보다 큰 경우가 있다. 다시 말해서, PH의 값이 음의 값인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단말의 전송 전력보다 클 때, PH의 값은 양의 값이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는 여전히 할당 받을 수 있는 전력 헤드룸이 있다. 전송 자원을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된 전송 자원의 수량을 계속해서 증가시킬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단말의 전송 전력보다 적을 때, PH의 값은 음의 값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전송 레이트에 필요한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후에 전송 자원을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된 전송 자원의 수량을 줄여야 한다.
2. 전력 조정
현재, 단말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이한 전송 전력 중 하나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TPC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경로 손실(Path loss)에 기초하여 현재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연속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표 1에 도시된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 1의 첫 번째 열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TPC 커맨드 필드(TPC Command Field)이며, "0", "1", "2", "3"이라는 4개의 값을 포함한다.
표 1의 두 번째 열은 누적 전력 보정 값(accumulated power correction value)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TPC 커맨트 필드에 기초하여 PUSCH의 전송 전력(δPUSCH, b, f, c)을 조정하거나 SRS의 전송 전력(δSRS, b, f, c)을 조정한다. TPC 커맨드 필드의 값이 0일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1dB씩 감소된다. TPC 커맨트 필드의 값이 1일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된다. TPC 커맨드 필드의 값이 2일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1dB씩 감소된다. TPC 커맨드 필드의 값이 3일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3 dB씩 감소된다.
표 1의 세 번째 열은 절대 전력 보정 값(absolute power correction value)이다. 절대 전력 보정 값은 누적 전력 보정 값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누적 전력 보정 값은 이전의 전력 조정에 기초하여 누적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타겟 전송 전력으로 점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지만, 절대 전력 보정 값은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타겟 전송 전력으로 직접 조정하는 것이다.
TPC 커맨드 필드 누적 δPUSCH, b, f, c
또는 δSRS, b, f, c [dB]
절대 δPUSCH, b, f, c
또는 δSRS, b, f, c [dB]
0 -1 -4
1 0 -1
2 1 1
3 3 4
3. 전력 점프 포인트
전력 점프 포인트는 또한 전력 기어 스위칭 포인트(power gear switching point)라고도 하며, 단말 디바이스의 복수의 전송 전력 중 전송 전력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를 일으키는 전송 전력이다.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위상 점프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어 스위칭은 단말 디바이스의 PA의 공급 전압이 하나의 기어에서 다른 기어로 스위칭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하는지는 단말 디바이스의 PA의 공급 전압과 관련이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PA의 공급 전압이 변경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PA의 공급 전압이 변경되지 않을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은 점프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의 PA의 공급 전압은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과 관련이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PA의 복수의 공급 전압에 대응하고, 복수의 공급 전압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과 일대일 대응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전송 전력 간격 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PA의 공급 전압은 변경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하나의 전송 전력 간격으로부터 다른 전송 전력 간격으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PA의 공급 전압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PA의 공급 전압 또한 하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는 공급 전압으로부터 다른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는 공급 전압으로 조정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다른 전송 전력으로부터 전력 점프 포인트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PA의 공급 전압은 스위칭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할 수 있다.
4. 채널 추정
채널 추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슬롯에서 송신된 업링크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채널의 채널 매트릭스를 결정하고, 업링크 채널의 채널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채널의 채널 모델을 복원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채널에 미치는 간섭을 제거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SINR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전술한 내용은 간략하게 본 출원의 일부 개념을 설명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품질이 현재의 채널 추정 방법을 사용하여 더 개선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중 슬롯 공동 채널 추정(multi-slot joint channel estimation)(이하 줄여서 공동 채널 추정) 방법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스케줄링된 복수의 연속 업링크 슬롯 각각에서의 채널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공동 추정을 수행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신호의 SINR을 결정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공동 채널 추정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슬롯에서 업링크 채널을 추정하여, 더 나은 채널 추정 결과가 획득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다중 슬롯 공동 채널 추정에서, 공동 채널 추정의 슬롯에서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신호의 위상은 연속적이어야 하고, 점프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의 단말 디바이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TPC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전력 점프 포인트에 도달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전력 증폭기의 공급 전압을 조정하여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를 일으킨다. 그 결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공동 채널 추정은 정확하지 않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이 전력 점프 포인트에 도달하고 위상 점프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공동 채널 추정이 부정확한 전술한 문제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제 1 전송 전력에 도달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위상 점프가 발생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위상 점프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한다고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제 1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전력 제어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 1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공동 채널 추정을 제어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력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점프하고, 그 결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공동 채널 추정이 부정확해지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력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201):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전력 점프 포인트)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 내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다.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전송 전력 간격을 간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송 전력 간격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전력 제어 또는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표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제 1 값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력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한다, 즉, 위상 점프가 단말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전력 점프 포인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거나 전력 제어를 수행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공동 채널 추정이 부정확한 문제를 해결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점프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력 점프 포인트에 도달하지 않도록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전력 점프 포인트에 도달할 때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공동 채널 추정이 부정확한 문제를 해결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지 또는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지는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1) 이전에,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력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S202):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및 단말 디바이스의 각각의 전송 전력 간격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미리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다른 방식으로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및 단말 디바이스의 각각의 전송 전력 간격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될 때, 단말 디바이스는 (S201)에서 기록된 어떤 경우에 기초해서도 제 1 표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S201)에서 기록된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는 제 1 표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대응하는 트리거 조건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트리거 조건이 충족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S201)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는 시나리오에서, 제 1 값은 다음과 같은 2개의 사례를 포함한다: 사례 A: 제 1 값은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사례 B: 제 1 값은 제 1 전송 전력의 실제 값이다.
다음은 사례 A와 사례 B를 예 1과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예 1은 다음과 같다: 단말 디바이스는 각각 0 내지 19의 20개의 전송 전력을 가지고 있다. 20개의 전송 전력은 4개의 전력 간격으로 나누어지고, 4개의 전력 간격은 각기 단말 디바이스의 4개의 공급 전압에 대응한다. 전송 전력, 전송 전력 간격 및 단말 디바이스의 공급 전압 간의 관계는 표 2에 도시된다.
공급 전압 전송 전력 간격 전송 전력
제 1 공급 전압 제 1 간격 0, 1, 2, 3, 4, 5
제 2 공급 전압 제 2 간격 6, 7, 8, 9, 10, 11
제 3 공급 전압 제 3 간격 12, 13, 14, 15, 16, 17
제 4 공급 전압 제 4 간격 18, 19
사례 A: 제 1 값은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사례 A에서, 예 1과 관련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10이다. 이 경우, 제 1 값과 전송 전력 간격 간의 대응 관계는 표 3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1 간격 -10, -5
제 2 간격 -4, 1
제 3 간격 2, 7
제 4 간격 8, 9
본 출원에서 제 1 표시 정보는 표 3의 제 1 값을 모두 포함할 수 있거나, 표 3의 일부의 제 1 값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아래에서 설명은 상이한 사례에 기초하여 제공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TPC를 수신하기 전에 현재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다.
사례 A1: 제 1 값은 각각의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및 우측 엔드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모두 표 3에 도시된 제 1 값이다.
사례 A2: 제 1 값은 각각의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트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4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1 간격 -10
제 2 간격 -4
제 3 간격 2
제 4 간격 8
사례 A3: 제 1 값은 각각의 전송 전력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5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1 간격 -5
제 2 간격 1
제 3 간격 7
제 4 간격 9
사례 A4: 제 1 값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및 우측 엔드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 제 2 간격이라면,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6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2 간격 -4, 1
사례 A5: 제 1 값은 제 1 엔드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제 1 엔드포인트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엔드포인트이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 제 2 간격이고, 제 2 간격에서의 엔드포인트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엔드포인트가 우측 엔드포인트 11이면,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7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2 간격 1
사례 A6: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모든 최근의 M회 동안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다면, 제 1 값은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의 우측 엔트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M은 양의 정수이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 제 2 간격이라면,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8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2 간격 1
사례 A7: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모든 최근의 M회 동안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다면, 제 1 값은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트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 제 2 간격이라면,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9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2 간격 -4
사례 A8: 제 1 값은 제 2 엔드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제 2 엔드포인트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에 인접한 전력 간격에서의 엔드포인트로서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에 인접한 엔드포인트이다. 하나 이상의 제 2 엔드포인트가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 제 2 간격이라면, 제 2 엔드포인트는 제 1 간격에서의 엔드포인트로서 제 2 간격에 인접한 엔드포인트 5(즉, 제 1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 및 제 3 간격에서의 엔드포인트로서 제 2 간격에 인접한 엔드포인트 12(즉, 제 3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10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1 간격 -5
제 3 간격 2
사례 A9: 제 1 값은 제 3 엔드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제 3 엔드포인트는 하나 이상의 제 2 엔드포인트 중 제 2 엔드포인트로서 제 2 엔드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 가장 작은 제 2 엔드포인트이다.
예를 들어, 사례 A8과 관련하여, 제 2 엔드포인트는 제 1 간격에서의 엔드포인트로서 제 2 간격에 인접한 엔드포인트 5(즉, 제 1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 및 제 3 간격에서의 엔드포인트로서 제 2 간격에 인접한 엔드포인트 12(즉, 제 3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2개의 제 2 엔드포인트 중 제 2 엔드포인트로서 제 2 엔드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10)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 가장 작은 제 2 엔드포인트는 제 3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12이다. 그러므로 제 3 엔드포인트는 제 3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12이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11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3 간격 2
사례 A10: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모든 최근의 M회 동안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다면, 제 1 값은 제 4 엔트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제 4 엔드포인트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간격의 우측편 이웃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이다.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 제 2 간격이라면, 제 4 엔드포인트는 제 3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12이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12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3 간격 2
사례 A1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모든 최근의 M회 동안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다면, 제 1 값은 제 5 엔트포인트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다.
제 5 엔드포인트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간격의 좌측편 이웃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이다.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속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 제 2 간격이라면, 제 5 엔드포인트는 제 1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 5이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13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1 간격 -5
사례 A1 내지 사례 A11에 도시된 표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 나열되어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제로 보고되는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 1 값만을 포함하되 제 1 값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 간격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사례 A의 상세한 설명이다. 사례 A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직접 표시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값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하지 않는 전력 조정 간격을 표시할 수 있다.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된 TPC에서 전력 조정 값을 제어하여 전력 조정 간격 내에 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은 점프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된 TPC에서 전력 조정 값이 전력 조정 간격을 초과할 때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공동 채널 추정이 부정확한 문제를 해결한다.
사례 B: 제 1 값은 제 1 전송 전력의 실제 값이다.
제 1 값이 제 1 전송 전력의 실제 값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때, 예를 들어, 제 1 전송 전력이 각각의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일 때, 제 1 값은 다음과 같은 몇 개의 사례를 포함한다.
사례 B1: 제 1 값은 각각의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트포인트의 값이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14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1 간격 0
제 2 간격 6
제 3 간격 12
제 4 간격 18
사례 B2: 제 1 값은 모든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중 2개의 좌측 엔드포인트의 값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값이다.
다시 말해서, 단말 디바이스는 N개의 제 1 전송 전력에 대응하며, 제 1 표시 정보 내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N개의 제 1 전송 전력 중 전송 전력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전송 전력이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15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2 간격 6
제 3 간격 12
사례 B3: 제 1 값은 모든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중 좌측 엔드포인트의 값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값이다.
현재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이 2개의 전송 전력을 포함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2개의 제 1 전송 전력 중 어느 하나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조건을 충족하는 2개의 제 1 전송 전력 중 하나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16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2 간격 6
사례 B4: 제 1 값은 모든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중 좌측 엔드포인트의 값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보다 크고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값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모든 최근의 M회 동안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사례 B4에서 기록된 제 1 값에 기초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고,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17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3 간격 12
사례 B5: 제 1 값은 모든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중 좌측 엔드포인트의 값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보다 적고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값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모든 최근의 M회 동안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사례 B4에서 기록된 제 1 값에 기초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고,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에 포함된 제 1 값은 표 18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2 간격 6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값이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인 예는 사례 B에서 제 1 전송 전력의 값의 다양한 사례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실제 적용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복수의 제 1 전송 전력은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와 전송 전력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 1과 관련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값은 표 19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1 간격 0, 5
제 2 간격 6, 11
제 3 간격 12, 17
제 4 간격 18, 19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복수의 제 1 전송 전력은 전송 전력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 1과 관련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값은 표 20에 도시된다.
전송 전력 간격 제 1 값
제 1 간격 5
제 2 간격 11
제 3 간격 17
제 4 간격 19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복수의 제 1 전송 전력은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와 전송 전력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복수의 제 1 전송 전력이 전송 전력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는 구현 프로세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복수의 제 1 전송 전력이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전술한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은 본 출원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간격 각각의 하나의 엔드포인트만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할 때,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각각의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또는 우측 엔드포인트를 보고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시에 기초하여 각각의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또는 우측 엔드포인트를 보고하기로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각각의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기로 또는 각각의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기로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이번에 각각의 전송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 또는 우측 포인트가 보고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에 1비트의 표시자 비트를 추가하며, 표시자 비트는 이번에 보고된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이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인지 우측 엔드포인트인지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트의 값이 0일 때, 이것은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이 단말 디바이스의 좌측 엔드포인트인 것을 표시하고; 또는 비트의 값이 1일 때, 이것은 제 1 표시 정보의 제 1 전송 전력이 단말 디바이스의 우측 엔드포인트인 것을 표시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연속적이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 제 1 전송 전력이 각각의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일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각각의 전력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에 기초하여 각각의 전력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가 각각: 제 1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가 0이다, 제 2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가 6이다, 제 3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가 13이다, 제 4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가 18이다라고 결정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가 제 2 간격의 좌측 엔드포인트보다 1 작다고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간격의 올바른 엔드포인트가 5라고 결정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가 12이고, 제 3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가 17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4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가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최대 전력 19라고 결정한다.
사례 A, 사례 B 및 예 1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은 제 1 표시 정보가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 형태를 설명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때,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될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가 MAC CE에서 반송될 때, MAC CE는 PHR을 반송하는 MAC CE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MAC CE는 새로 정의된 MAC CE이다.
대안적으로, MAC CE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고 TPC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에서 송신된 MAC CE이며, TPC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전력 커맨드 참조 전력(power command reference power)이다.
제 1 표시 정보 및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값은 (S201)에서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일 뿐이며, 제 1 표시 정보는 대안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다음의 2개의 시나리오: 시나리오 1 및 시나리오 2를 포함한다. 다음은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를 별도로 설명한다.
시나리오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다.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2와 관련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나리오 1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S301) 내지 (S303)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S30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때 제 6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제 6 표시 정보는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S30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6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6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S303): 단말 디바이스는 제 6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 6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TPC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TPC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해야 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업링크 전송 채널의 채널 품질과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TPC를 생성한다. 제 1 TPC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조정 값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TPC에 의해 표시된 전력 조정 값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이 점프하는지를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이 점프한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TPC에서 전력 조정 값을 조정하여 제 2 TPC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TPC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TPC를 수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TPC 내 전력 조정 값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은 점프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이 점프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TPC를 직접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다시 말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아무 위상 점프도 단말 디바이스에서 발생하지 않는 것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정상적인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일례로, 사례 A의 사례 A8 및 예 1과 관련하여,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제 1 값은 표 10에 도시된다. 표 10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고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아무 위상 점프도 발생하지 않는 전력 조정 간격은 표 21에 도시된다.
전력 조정 간격 (-5, +2)
다시 말해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5만큼 감소하거나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2만큼 증가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의 표시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5만큼 감소할 때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2만큼 증가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제 1 TPC 내 전력 조정 값은 +3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력 조정 값 +3이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력 조정 간격(-5, +2)을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TPC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이 점프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TPC에 기초하여 제 2 TPC를 생성하며, 제 2 TPC 내 전력 조정 값은 +1로 조정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력 조정 값 +1이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전력 조정 간격 (-5, +2)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전력 조정 값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은 점프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TPC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다른 예로, 사례 A 및 예 1과 관련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아무 위상 점프도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전력 조정 간격은 표 21에 도시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제 1 TPC 내 전력 조정 값은 +1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력 조정 값 +1이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전력 조정 간격 (-5, +2)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전력 조정 값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은 점프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TPC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또 다른 예로, 사례 B1 및 예 1과 관련하여,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제 1 값은 표 14에 도시된다. 표 14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고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아무 위상 점프도 발생하지 않는 조정된 전력 조정 간격은 표 22에 도시된다.
조정된 전력 간격 (6, 11)
다시 말해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6보다 낮을 때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11보다 높을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의 표시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6보다 낮을 때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11보다 높을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조정된 전송 전력이 13이고, 전송 전력 13은 11보다 높은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은 점프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TPC에 기초하여 제 2 TPC를 생성하며, 제 2 TPC 내 전력 조정 값은 +1로 조정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조정된 전송 전력이 11인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은 점프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TPC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또 다른 예로, 사례 B 및 예 1과 관련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아무 위상 점프도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조정된 전력 간격은 표 22에 도시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제 1 TPC 내 전력 조정 값은 +1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조정된 전송 전력이 11인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은 점프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TPC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시나리오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이 제 1 전송 전력에 도달할 때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2와 관련하여,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나리오 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S304) 내지 (S305)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S304):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슬롯을 결정한다.
제 1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고,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제 1 슬롯은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는 슬롯이다.
구체적으로, 제 1 슬롯은 단말 디바이스가 TPC에 기초하여 전력 조정을 수행하는 슬롯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TPC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에,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한다.
(S305):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슬롯 앞의 슬롯과 함께 제 1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시점의 슬롯에서, 슬롯 앞의 슬롯과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슬롯에서 그리고 슬롯 이후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여전히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슬롯 및 슬롯 이후 슬롯에서 정상적으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전력 점프 포인트는 6이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5인 것으로 결정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현재 전송 링크의 전송 품질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결정하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7 업링크 전송 슬롯에서 전송 전력을 8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가 제 7 슬롯에서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7 슬롯에서 이전의 제 1 슬롯 내지 제 6 슬롯과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8 슬롯 및 제 9 슬롯과 같은 후속 슬롯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전력 점프 포인트에 도달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7 슬롯, 제 8 슬롯 및 제 9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프로세스에서 미리 설정된 전송 전력 간격 내에서 전송 전력을 조정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를 회피하거나; 또는 위상 점프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공동 채널 추정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를 회피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2와 관련하여, (S202) 이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S203):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 내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N개의 제 1 전송 전력 사이의 대응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값이 사례 A1 내지 사례 A11 중 어느 한 사례에서의 하나의 제 1 값이거나, 또는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이 사례 B1 내지 사례 B5 중 어느 한 사례에서의 하나의 제 1 전송 전력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된다.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 표시 정보에 응답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S201)을 수행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절대 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2 표시 정보가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될 때,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 후에,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한다.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보다 크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 것으로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하나의 전력 조정 간격으로부터 다른 전력 조정 간격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후속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에서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실시예 2: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이 전력 점프 포인트에 도달하고 위상 점프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공동 채널 추정이 부정확하다는 전술한 문제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제 1 시간 윈도우를 표시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하지 않는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을 점프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로 인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공동 채널 추정이 부정확한 문제를 해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력 조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400):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한다.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시간 윈도우의 최대 윈도우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제 1 시간 윈도우의 최대 윈도우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시간 윈도우의 최대 윈도우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3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시간 윈도우의 최대 윈도우 길이를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시간 윈도우의 최대 윈도우 길이를 복수의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시간 윈도우는 복수의 업링크 슬롯을 포함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한다. 다시 말해서,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을 표시함으로써 제 1 시간 윈도우의 최대 윈도우 길이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다른 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제 1 시간 윈도우의 최대 윈도우 길이가 A 밀리초(ms)인 것을 표시한다. A는 0보다 크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지속기간은 0 ms 이상이고 A ms 이하이다.
제 3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된 RRC에서 반송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은 제 1 시간 윈도우가 복수의 업링크 슬롯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3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 예를 사용하여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제 1 시간 윈도우는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연속 슬롯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간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3개의 연속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는 3개 슬롯의 시간 길이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3개의 연속 슬롯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3개의 연속 슬롯에서 한 번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6개의 연속 슬롯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6개의 연속 슬롯에서 두 번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6개의 연속 슬롯 중 처음 3개 슬롯에서 한 번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6개의 연속 슬롯 중 마지막 3개 슬롯에서 한 번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5개의 연속 슬롯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5개의 연속 슬롯에서 두 번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5개의 연속 슬롯 중 처음 3개 슬롯에서 한 번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5개의 연속 슬롯 중 마지막 2개 슬롯에서 한 번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S401):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전송 전력을 조정하지 않는 것; 전송 전력을 제 4 전송 전력으로 조정하는 것; 또는 제 1 전력 간격에서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한다.
제 2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를 수신하기 전의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다. 제 1 전력 간격은 단말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제 1 전송 전력 간격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은 점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10이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가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항상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10으로 유지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4 전송 전력 - 여기서 제 4 전송 전력의 값은 10임 - 으로 조정하는 것이라면,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항상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10으로 유지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가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것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TPC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TPC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에 조정된 전송 전력이 제 1 전력 간격 내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조정된 전송 전력이 제1 전력 간격 내에 있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조정된 전송 전력이 제 1 전력 간격 내에 있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TPC가 단말 디바이스에게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표시하기 위해 또는 단말 디바이스에게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지를 결정한다.
TPC가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전력을 제 2 간격의 우측 엔드포인트로 조정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전력을 11로 조정한다.
TPC가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전력을 제 2 구간의 왼쪽 엔드포인트로 조정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전력을 6으로 조정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을 점프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로 인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공동 채널 추정이 부정확한 문제를 해결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00) 이전에, 방법은 (S402) 및 (S403)을 더 포함한다.
(S40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3 표시 정보의 설명에 대해서는 (S400)을 참조한다. 상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S403):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4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제 4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가능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해야 하고,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구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 3 표시 정보 및 제 4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동일한 시그널링 메시지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상이한 시그널링 메시지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제 3 표시 정보 및 제 4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동일한 시그널링 메시지에 위치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제 1 시간 윈도우를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제 3 표시 정보 및 제 4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시그널링 메시지일 때, 2개의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제 4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시그널링 메시지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2개의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제 3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메시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 2개의 시그널링 메시지는 동시에 송신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초기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시작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4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시간은 단말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슬롯과 관련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를 L개의 연속 슬롯에서 송신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L개의 연속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시간은 단말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슬롯과 관련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게,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길이를 표시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길이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에 기초하여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한다.
이에 대응하여, (S400)의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이 H번째 슬롯인 것으로 결정한다.
H번째 슬롯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조건 1로 표시됨);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조건 2로 표시됨);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조건 3으로 표시됨).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제 1 시간 윈도우가 H번째 슬롯에서부터 시작하여 Q개의 연속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을 포함한다고 결정한다. Q은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H번째 슬롯에서부터 시작하여 Q개의 연속 업링크 슬롯에서 제 1 전력 구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 디바이스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의 제 1 전력 구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도 5와 관련하여, 다음은 제 1 시간 윈도우의 최대 윈도우 길이가 3개의 슬롯인 예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5는 11개의 연속 슬롯을 도시하며, 11개의 슬롯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각각 제 1 슬롯, 제 2 슬롯,..., 제 11 슬롯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 1 슬롯은 다운링크 슬롯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으며,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이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슬롯이 아니라고 결정한다.
제 2 슬롯은 업링크 슬롯이며, 제 1 슬롯은 전술한 조건 1을 만족하는 다운링크 슬롯이다. 그러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슬롯이 제 1 시간 윈도우 #1의 시작 슬롯이라고 결정한다.
제 3 슬롯 역시 업링크 슬롯이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3 슬롯이 제 1 시간 윈도우 #1에서 제 2 슬롯이라고 결정한다.
제 4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으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4 슬롯이 제 1 시간 윈도우 #1의 시작 슬롯이 아니라고 결정한다. 제 1 시간 윈도우 #1은 제 3 슬롯에서 끝난다.
제 5 슬롯은 업링크 슬롯이며, 제 4 슬롯은 전술한 조건 2를 만족하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다. 그러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5 슬롯이 제 1 시간 윈도우 #2의 시작 슬롯이라고 결정한다.
제 6 슬롯 및 제 7 슬롯은 둘 모두 업링크 슬롯이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6 슬롯 및 제 7 슬롯이 둘 모두 제 1 시간 윈도우 #2의 슬롯이라고 결정한다. 제 1 시간 윈도우의 최대 윈도우 길이는 3개의 슬롯이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 #2가 제 7 슬롯에서 끝난다고 결정한다.
제 8 슬롯은 상향링크 슬롯이고, 제 7 슬롯은 이전의 제 1 시간 윈도우가 끝나는(즉,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5 슬롯 내지 제 7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는) 슬롯으로, 전술한 조건을 만족한다. 그러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8 슬롯이 제 1 시간 윈도우 #3의 시작 슬롯이라고 결정한다.
제 9 슬롯 및 제 10 슬롯은 둘 모두 업링크 슬롯이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9 슬롯 및 제 10 슬롯이 둘 모두 제 1 시간 윈도우 #3의 슬롯이라고 결정한다. 제 1 시간 윈도우의 최대 윈도우 길이는 3개의 슬롯이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 #3가 제 10 슬롯에서 끝난다고 결정한다.
제 11 슬롯은 다운링크 슬롯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으며,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이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슬롯이 아니라고 결정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을 기초로 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연속 슬롯의 수량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시작하는 슬롯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01) 이후,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S404): 제 1 시간 윈도우가 끝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K개의 연속 슬롯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K개의 연속 슬롯이 복수의 제 1 시간 윈도우를 포함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가 끝난 후에 제 1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K는 2L 이상의 양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10개의 연속 슬롯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며, L의 값은 3이다.
이 경우, 10개의 연속 슬롯은 3개의 제 1 시간 윈도우: 제 1 슬롯 내지 제 3 슬롯을 포함하는 제 1 시간 윈도우 #4, 제 4 슬롯 내지 제 6 슬롯을 포함하는 제 1 시간 윈도우 #5, 및 제 7 슬롯 내지 제 9 슬롯을 포함하는 제 1 시간 윈도우 #6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3개의 제 1 시간 윈도우: 제 1 시간 윈도우 #4, 제 1 시간 윈도우 #5 및 제 1 시간 윈도우 #6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개별적으로 수행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 #4가 끝난 이후의 제 1 슬롯(즉, 제 4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 #5가 끝난 이후의 제 1 슬롯(즉, 제 7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 #6가 끝난 이후의 제 1 슬롯(즉, 제 10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제 1 시간 윈도우 #4(또는 제 1 시간 윈도우 #5, 또는 제 1 시간 윈도우 #6)의 3개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TPC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TPC에 기초하여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3개의 슬롯에서 전력 점프 포인트를 트리거하지 않는다.
제 1 시간 윈도우 #1이 끝난 이후의 제 4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TPC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TPC에 의해 표시된 전력 조정값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에 전력 점프 포인트가 트리거되는지에 관계없이, 단말 디바이스는 TPC에 의해 표시된 전력 조정값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할 때의 시점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품질을 개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03) 이후,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S405):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차이를 결정한다.
제 1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제 3 전송 전력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 후에 획득된 전송 전력이다.
(S406):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임계값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것 또한 업링크의 링크 품질에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전송 전력을 조정하기로 결정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공동 채널 추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크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의 링크 품질은 상대적으로 좋지 못하다. 단말 디바이스가 업링크 전송 전력을 조정하지 않으면, 업링크 실패가 유발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업링크 전송 링크가 실패를 일으키지 않도록 우선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현재 전송 전력을 제 3 전송 전력으로 조정한다.
그러므로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S400) 및 (S401)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단말 디바이스는 (S407)을 수행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전송 링크의 링크 품질을 보장한다.
(S407):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 3 전송 전력으로 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제 1 임계값은 2이다.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10이고, 전력 점프 포인트는 11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에 획득된 제 3 전송 전력이 18 또는 19라고 표시하면, 제 1 차이는 제 1 임계값 이하이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여전히 업링크 데이터를 17의 전송 전력으로 송신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에 획득된 제 3 전송 전력이 19보다 크다고 표시하면, 제 1 차이는 제 1 임계값보다 크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 3 전송 전력으로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18 또는 19로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여전히 업링크 데이터를 17의 전송 전력으로 송신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20 이상으로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시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의 신호 품질이 상대적으로 열악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된 전송 전력 조정 값이 상대적으로 크면,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된 전송 전력 조정 값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상대적으로 낮은 전송 전력으로 인해 야기되는 업링크 실패를 회피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5와 관련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01) 이후,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S408):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일 때 제 5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5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단말 디바이스의 각각의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제 2 임계값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라고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일 때,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제 1 전력 전력에 가깝다는 것을 표시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면,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게 다음에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표시할 때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이 제 1 전송 전력에 가깝다고 결정할 수 있도록 제 5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게 다음에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표시할 때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솔루션은 모순이 없을 때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주로 네트워크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솔루션을 설명한다.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는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 소프트웨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와 결합하여, 본 출원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지해야 한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여부는 기술적 솔루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조건에 달려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는 방법 예에 기초하여 기능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능 유닛은 각각의 대응하는 기능에 기초하여 분할을 통해 획득될 수 있거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이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유닛으로 분할하는 것은 예이며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일뿐이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실제 구현에서, 다른 분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통합 유닛이 사용될 때, 도 8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통신 장치(80)로 표시됨)의 가능한 구조의 개략도이다. 통신 장치(80)는 프로세싱 유닛(801) 및 통신 유닛(802)을 포함하며, 저장 유닛(8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조의 개략도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조의 개략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때, 프로세싱 유닛(801)은 단말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도 2의 (S201, S202 및 S203), 도 3a의 (S201, S202, S203, S302 및 S303), 도 3b의 (S201, S202 및 S203), 도 4의 (S400, S401, S402 및 S403), 도 6의 (S400, S401, S402, S403, S404, S405, S406 및 S407), 도 7의 (S400, S401, S402, S403 및 S408), 및/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다른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801)은 통신 유닛(802)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저장 유닛(803)은 단말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구조의 개략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때, 통신 장치(80)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 내의 칩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조의 개략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때, 프로세싱 유닛(801)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도 2의 (S201 및 S203), 도 3a의 (S201, S203, S301 및 S302), 도 3b의 (S201, S203, S304 및 S305), 도 4의 (S501), 도 6의 (S402 및 S403), 도 7의 (S402, S403 및 S408), 및/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다른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801)은 통신 유닛(802)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저장 유닛(803)은 단말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구조의 개략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때, 통신 장치(8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의 칩일 수 있다.
통신 장치(80)가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때, 프로세싱 유닛(801)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고, 통신 유닛(802)은 통신 인터페이스, 송수신기, 송수신기 디바이스, 송수신기 회로, 또는 송수신기 장치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용어이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803)은 메모리일 수 있다. 통신 장치(80)가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의 칩일 때, 프로세싱 유닛(801)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으며, 통신 유닛(802)은 입력 인터페이스 및/또는 출력 인터페이스, 핀 또는 회로 등일 수 있다. 저장 유닛(803)은 칩 내의 저장 유닛(예를 들어, 레지스터 또는 캐시)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에 있고 칩 외부에 있는 저장 유닛(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줄여서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줄여서 RAM))일 수 있다.
통신 유닛은 또한 송수신기 유닛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통신 장치(80)에서 수신 및 송신 기능을 갖는 안테나 및 제어 회로는 통신 장치(80)의 통신 유닛(802)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처리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는 통신 장치(80)의 프로세싱 유닛(801)으로 간주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유닛(802)에서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는 수신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다. 수신 유닛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수신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유닛은 수신 디바이스, 수신기 또는 수신기 회로 등일 수 있다.
도 8에서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통합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 또는 통상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는) 컴퓨터 디바이스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게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착탈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도 8의 유닛은 대안적으로 모듈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은 프로세싱 모듈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통신 장치(통신 장치(90)로 표시됨)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를 더 제공한다. 도 9 또는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90)는 프로세서(901)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90)는 프로세서(901)에 연결된 메모리(902)를 더 포함한다.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도 9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90)는 송수신기(903)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및 송수신기(903)는 버스를 통해 연결된다. 송수신기(903)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903)는 전송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903)에서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는 수신 디바이스로 간주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수신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903)에서 송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는 전송 디바이스로 간주될 수 있다. 전송 디바이스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송신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1 가능한 구현에 기초하여, 도 9에 도시된 구조의 개략도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구조의 개략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때, 프로세서(901)는 단말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1)는 도 2의 (S201, S202 및 S203), 도 3a의 (S201, S202, S203, S302 및 S303), 도 3b의 (S201, S202 및 S203), 도 4의 (S400, S401, S402 및 S403), 도 6의 (S400, S401, S402, S403, S404, S405, S406 및 S407), 도 7의 (S400, S401, S402, S403 및 S408), 및/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다른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901)는 송수신기(903)를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902)는 단말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구조의 개략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때, 프로세서(901)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1)는 도 2의 (S201 및 S203), 도 3a의 (S201, S203, S301 및 S302), 도 3b의 (S201, S203, S304 및 S305), 도 4의 (S501), 도 6의 (S402 및 S403), 도 7의 (S402, S403 및 S408), 및/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다른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901)는 송수신기(903)를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90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901)는 로직 회로 및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출력 인터페이스는 대응하는 방법으로 송신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입력 인터페이스는 대응하는 방법으로 수신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가능한 구현에 기초하여,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구조의 개략도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구조의 개략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때, 프로세서(901)는 단말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1)는 도 2의 (S201, S202 및 S203), 도 3a의 (S201, S202, S203, S302 및 S303), 도 3b의 (S201, S202 및 S203), 도 4의 (S400, S401, S402 및 S403), 도 6의 (S400, S401, S402, S403, S404, S405, S406 및 S407), 도 7의 (S400, S401, S402, S403 및 S408), 및/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다른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901)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902)는 단말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구조의 개략도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때, 프로세서(901)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1)는 도 2의 (S201 및 S203), 도 3a의 (S201, S203, S301 및 S302), 도 3b의 (S201, S203, S304 및 S305), 도 4의 (S501), 도 6의 (S402 및 S403), 도 7의 (S402, S403 및 S408), 및/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다른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901)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90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9 및 도 10은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 시스템 칩을 도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은 시스템 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수행되는 특정 작동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상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9 및 도 10은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 내 시스템 칩을 도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은 시스템 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수행되는 특정 작동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상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 디바이스(단말 디바이스(110)로 표시됨)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 표시됨)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각각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한다.
도 11은 단말 디바이스(110)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은 단말 디바이스의 주요 컴포넌트만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110)는 프로세서, 메모리, 제어 회로, 안테나 및 입력/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체 단말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도 2의 (S201, S202 및 S203), 도 3a의 (S201, S202, S203, S302 및 S303), 도 3b의 (S201, S202 및 S203), 도 4의 (S400, S401, S402 및 S403), 도 6의 (S400, S401, S402, S403, S404, S405, S406 및 S407), 도 7의 (S400, S401, S402, S403 및 S408), 및/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른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주파수 회로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제어 회로는 주로 베이스밴드 신호와 무선 주파수 신호 간의 변환을 수행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와 안테나는 함께 송수신기라고도 지칭될 수 있으며, 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출력 장치는 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진 후에,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해석 및 실행하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송신될 데이터에 대해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한 후에, 프로세서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제어 회로 내의 제어 회로에 출력한다. 제어 회로는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무선 주파수 처리를 수행한 다음 무선 주파수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자기파의 형태로 외부로 송신한다. 데이터가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될 때, 제어 회로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며, 베이스밴드 신호를 프로세서로 출력한다. 프로세서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이 하나의 메모리와 하나의 프로세서만을 도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 단말 디바이스에서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있을 수 있다. 메모리는 또한 저장 매체, 저장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및 중앙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중앙 프로세싱 유닛은 주로 전체 단말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의 프로세서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및 중앙 프로세싱 유닛의 기능과 통합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프로세서 및 중앙 프로세싱 유닛이 독립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고, 버스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상이한 네트워크 표준에 적응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중앙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는 다양한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대안적으로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회로 또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중앙 프로세싱 유닛은 대안적으로 중앙 프로세싱 회로 또는 중앙 프로세싱 칩으로 표현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은 프로세서에 내장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베이스밴드 처리 기능을 구현한다.
도 1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줄여서 RRU)(1201) 및 하나 이상의 베이스밴드 유닛(baseband unit, 줄여서 BBU)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줄여서 DU)이라고도 함)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유닛(1202)을 포함할 수 있다.
RRU(1201)는 송수신기 유닛, 송수신기 디바이스, 송수신기 회로 또는 송수신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1211) 및 무선 주파수 유닛(1212)을 포함할 수 있다. RRU(1201)는 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와 베이스밴드 신호 간의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RRU(1201)와 BBU(1202)는 물리적으로 함께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분산형 기지국과 같이 물리적으로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BBU(120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센터이고, 프로세싱 유닛이라고도 하며, 주로 채널 코딩, 다중화, 변조 및 스펙트럼 확산과 같은 베이스밴드 처리 기능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BBU(1202)는 하나 이상의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드가 공동으로 단일의 액세스 표준의 (LTE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거나, 개별적으로 상이한 액세스 표준의 (LTE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또는 다른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BBU(1202)는 메모리(1221) 및 프로세서(1222)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1221)는 필요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222)는 필요한 작동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221) 및 프로세서(1222)는 하나 이상의 보드를 서빙할 수 있다. 다시 마래서, 각각의 보드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보드가 동일한 메모리 및 동일한 프로세서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보드에는 필요한 회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도 2의 (S201 및 S203), 도 3a의 (S201, S203, S301 및 S302), 도 3b의 (S201, S203, S304 및 S305), 도 4의 (S501), 도 6의 (S402 및 S403), 도 7의 (S402, S403 및 S408), 및/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른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 내 모듈의 연산, 기능 또는 연산과 기능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절차를 구현하기 위해 별도로 설정된다.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이 적절히 생략된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실시예에서 방법의 단계는 프로세서 내 하드웨어 집적 로직 회로를 사용하여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프로세서는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다음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processor(DSP)),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microcontroller unit, MCU) 또는 인공 지능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컴퓨팅 디바이스는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연산 또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반도체 칩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회로와 통합되어 반도체 칩을 형성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다른 회로(예를 들어, 코덱 회로, 하드웨어 가속 회로 또는 다양한 버스 및 인터페이스)와 SoC(system-on-a-chip)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ASIC의 내장 프로세서로서 ASIC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와 통합된 ASIC은 독립적으로 패키징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회로와 함께 패키징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연산 또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코어 외에, 프로세서는 필요한 하드웨어 가속기, 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전용 로직 연산을 구현하는 로직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다음과 같은 유형: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정적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정적 저장 디바이스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동적 저장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일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메모리는 대안적으로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또는 다른 콤팩트 디스크 저장소, (콤팩트 광학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을 비롯한)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예상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컴퓨터에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일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술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전술한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칩을 제공한다. 칩은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여,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칩 외부의 다른 모듈과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때, 실시예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컴퓨터에 로드되어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줄여서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줄여서 SSD)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과 관련하여, 본 출원은 또한 다음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실시예 1: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제 1 값은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3: 실시예 1 또는 2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7: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8: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적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9: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 항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한다.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실시예 10: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2 표시 정보는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에 응답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고, 제 1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MAC CE는 다음과 같은 것: PHR를 반송하는 MAC CE, 새로 추가된 MAC CE 또는 TPC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에서 송신된 MAC CE 중 어느 하나이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3: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실시예 14: 실시예 13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제 1 값은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5: 실시예 13 또는 14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15에 따른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다.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실시예 17: 실시예 15에 따른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슬롯을 결정한다. 제 1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고,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슬롯 앞의 슬롯과 함께 제 1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실시예 18: 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1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실시예 19: 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1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20: 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1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21: 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1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22: 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1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적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22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며,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된다.
실시예 24: 실시예 23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25: 실시예 24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26: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싱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통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27: 실시예 26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제 1 값은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28: 실시예 26 또는 실시예 27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9: 실시예 28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실시예 30: 실시예 28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31: 실시예 28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실시예 28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실시예 28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적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실시예 29 내지 실시예 33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35: 실시예 26 내지 실시예 34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표시 정보는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고, 제 1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MAC CE는 다음과 같은 것: PHR를 반송하는 MAC CE, 새로 추가된 MAC CE 또는 TPC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에서 송신된 MAC CE 중 어느 하나이다.
실시예 36: 실시예 35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37: 실시예 36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38: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싱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실시예 39: 실시예 38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제 1 값은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40: 실시예 38 또는 실시예 39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41: 실시예 40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으면,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실시예 42: 실시예 40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슬롯을 결정 - 여기서 제 1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고,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임 - 하고,
제 1 슬롯 앞의 슬롯과 함께 제 1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43: 실시예 40 내지 실시예 42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실시예 40 내지 실시예 42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실시예 40 내지 실시예 42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실시예 40 내지 실시예 42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47: 실시예 40 내지 실시예 42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적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48: 실시예 38 내지 실시예 4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유닛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며,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된다.
실시예 49: 실시예 48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50: 실시예 49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51: 통신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단말 디바이스 내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계: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임 - 와,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52: 실시예 51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제 1 값은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53: 실시예 51 또는 실시예 52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54: 실시예 53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실시예 53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56: 실시예 53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57: 실시예 53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58: 실시예 53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적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59: 실시예 54 내지 실시예 58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60: 실시예 51 내지 실시예 5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됨 - 와,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고, 제 1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MAC CE는 다음과 같은 것: PHR를 반송하는 MAC CE, 새로 추가된 MAC CE 또는 TPC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에서 송신된 MAC CE 중 어느 하나이다.
실시예 61: 실시예 60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62: 실시예 61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63: 통신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계: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실시예 64: 실시예 63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제 1 값은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65: 실시예 63 또는 실시예 64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66: 실시예 65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으면,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실시예 67: 실시예 65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제 1 슬롯을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제 1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고,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임 - 와,
제 1 슬롯 앞의 슬롯과 함께 제 1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68: 실시예 65 내지 실시예 6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실시예 69: 실시예 65 내지 실시예 6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70: 실시예 65 내지 실시예 6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71: 실시예 65 내지 실시예 6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72: 실시예 65 내지 실시예 6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적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실시예 63 내지 실시예 72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며,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된다.
실시예 74: 실시예 73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75: 실시예 74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76: 통신 시스템으로서,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1 전송 전력은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77: 실시예 76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한다.
제 1 값은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78: 실시예 76 또는 실시예 77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위상 점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79: 실시예 78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실시예 80: 실시예 78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81: 실시예 78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82: 실시예 78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83: 실시예 78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적고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실시예 84: 실시예 79 내지 실시예 83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85: 실시예 76 내지 실시예 84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표시 정보는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응답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고, 제 1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MAC CE는 다음과 같은 것: PHR를 반송하는 MAC CE, 새로 추가된 MAC CE 또는 TPC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에서 송신된 MAC CE 중 어느 하나이다.
실시예 86: 실시예 85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전력과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87: 실시예 86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88: 실시예 76 내지 실시예 86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으면,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89: 실시예 76 내지 실시예 86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슬롯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슬롯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고,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슬롯 앞의 슬롯과 함께 제 1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실시예 90: 실시예 76 내지 실시예 88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는 이동 전화이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이다.
실시예 9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5 중 어느 한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9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5 중 어느 한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93: 칩으로서, 여기서 칩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5 중 어느 한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명령어는 칩 내부의 메모리로부터 올 수 있거나, 또는 칩 외부의 메모리로부터 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칩은 입력/출력 회로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94: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한다.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간격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임의의 한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때, 아무 위상 점프도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95: 실시예 94에 따른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한다.
실시예 96: 실시예 95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97: 실시예 96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98: 실시예 94 내지 실시예 96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 다음의 제 1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실시예 99: 실시예 94 내지 실시예 98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차이를 결정한다. 제 1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고, 제 3 전송 전력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 후에 획득된 전송 전력이다.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실시예 100: 실시예 99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차이를 결정한다.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 3 전송 전력으로 조정한다.
실시예 101: 실시예 94 내지 실시예 100 항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02: 실시예 94 내지 실시예 101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한다.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5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적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03: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실시예 104: 실시예 103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05: 실시예 104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06: 실시예 103 내지 실시예 105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4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07: 실시예 103 내지 실시예 106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여기서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5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적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실시예 108: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다.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간격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임의의 한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때, 아무 위상 점프도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109: 실시예 108에 따른 장치로서,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통신 유닛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10: 실시예 109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11: 실시예 110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12: 실시예 108 내지 실시예 111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시간 윈도우 다음의 제 1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13: 실시예 108 내지 실시예 112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1 차이를 결정 - 여기서 제 1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고, 제 3 전송 전력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 후에 획득된 전송 전력임 - 하고,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14: 실시예 113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차이를 결정하고,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3 전력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15: 실시예 108 내지 실시예 114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16: 실시예 108 내지 실시예 115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5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적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17: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싱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애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실시예 118: 실시예 117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19: 실시예 118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20: 실시예 117 내지 실시예 11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유닛은 또한 제 4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21: 실시예 117 내지 실시예 120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유닛은 또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5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적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실시예 122: 통신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단말 디바이스 내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계: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임 - 와,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 - 여기서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간격임 - 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임의의 한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때, 아무 위상 점프도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123: 실시예 122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임 - 와,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24: 실시예 123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25: 실시예 124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26: 실시예 122 내지 실시예 125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제 1 시간 윈도우 다음의 제 1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27: 실시예 122 내지 실시예 126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제 1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제 1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고, 제 3 전송 전력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 후에 획득된 전송 전력임 - 와,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28: 실시예 127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제 1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 3 전송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29: 실시예 122 내지 실시예 128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30: 실시예 122 내지 실시예 12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임 - 와, 제 5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적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31: 통신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계: 통신 유닛에게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실시예 132: 실시예 131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33: 실시예 132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34: 실시예 131 내지 실시예 133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제 4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35: 실시예 131 내지 실시예 134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여기서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적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실시예 136: 통신 시스템으로서,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간격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임의의 한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때, 아무 위상 점프도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137: 실시예 136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38: 실시예 136 또는 실시예 137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39: 실시예 136 내지 실시예 138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실시예 140: 실시예 136 내지 실시예 13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TPC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시간 윈도우 다음의 제 1 슬롯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41: 실시예 136 내지 실시예 140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차이를 결정 - 여기서 제 1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고, 제 3 전송 전력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 후에 획득된 전송 전력임 - 하고,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42: 실시예 136 내지 실시예 141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차이를 결정하고,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 3 전송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43: 실시예 142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차이를 결정하고,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제 3 전송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44: 실시예 136 내지 실시예 143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제 4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145: 실시예 136 내지 실시예 144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5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적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2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5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46: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실시예 94 내지 실시예 107 중 어느 한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47: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실시예 94 내지 실시예 107 중 어느 한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48: 칩으로서, 여기서 칩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는 실시예 94 내지 실시예 107 중 어느 한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명령어는 칩 내부의 메모리로부터 올 수 있거나, 또는 칩 외부의 메모리로부터 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칩은 입력/출력 회로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보호를 주장하는 본 출원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된 도면, 개시된 내용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살펴봄으로써 개시된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을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comprising)은 다른 컴포넌트 또는 다른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하나" 또는 "하나의"는 다수인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른 유닛은 청구범위에 열거된 여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조치가 서로 상이한 종속항에 기록되지만, 이것은 이러한 조치가 더 나은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결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의 특정한 특징 및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에 대응하여,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은 단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출원의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본 출원의 범위를 망라하는 임의의 또는 모든 수정, 변형, 조합 또는 등가물로 간주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출원에 대해 다양하게 수정하고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다음의 청구범위 및 그와 동등한 기술에 의해 정의된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면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망라하고자 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특정 구현일 뿐이지,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되는 어떠한 변형이든 대체이든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148)

  1.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phase jump)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제 1 값은 상기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상기 위상 점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전력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메시지, 미디어 액세스 제어-제어 요소(media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됨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상기 MAC CE는 전력 헤드룸 보고서(power headroom report)(PHR)를 반송하는 MAC CE, 새로 추가된 MAC CE 또는 전력 전송 제어(transmit power control)(TPC)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에서 송신된 MAC CE 중 어느 하나인
    전력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상기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방법.
  13.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인
    전력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제 1 값은 상기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상기 위상 점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전력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joint channel estimation)을 수행하고 있으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의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인
    전력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슬롯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슬롯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고,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의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임 - 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슬롯 앞의 슬롯과 함께 상기 제 1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의 수행을 스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19.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0.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1.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2.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23.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며,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되는
    전력 제어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상기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방법.
  26. 프로세싱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제 1 값은 상기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상기 위상 점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통신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3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34. 제 29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상기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35. 제 26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되며,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상기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상기 MAC CE는 PHR를 반송하는 MAC CE, 새로 추가된 MAC CE 또는 TPC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에서 송신된 MAC CE 중 어느 하나인
    통신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거나,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상기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38. 프로세싱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라고 상기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인
    통신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제 1 값은 상기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40.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상기 위상 점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통신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으면,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인
    통신 장치.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1 슬롯을 결정 - 상기 제 1 슬롯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고,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임 - 하고,
    상기 제 1 슬롯 앞의 슬롯과 함께 상기 제 1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의 수행을 스킵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43.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44.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45.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46.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47.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48. 제 38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며,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되는
    통신 장치.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거나,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상기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51.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단말 디바이스 내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고, 상기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장치는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임 - 와,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통신 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제 1 값은 상기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53. 제 51 항 또는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상기 위상 점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통신 장치.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55.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56.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57.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58.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59. 제 54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60. 제 51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것: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됨 - 와,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MAC CE는 PHR를 반송하는 MAC CE, 새로 추가된 MAC CE 또는 TPC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에서 송신된 MAC CE 중 어느 하나인
    통신 장치.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거나,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상기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63.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고, 상기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인
    통신 장치.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제 1 값은 상기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65.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상기 위상 점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통신 장치.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으면,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인
    통신 장치.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제 1 슬롯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슬롯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상기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고,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임 - 와,
    상기 제 1 슬롯 앞의 슬롯과 함께 상기 제 1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의 수행을 스킵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68. 제 65 항 내지 제 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69. 제 65 항 내지 제 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70. 제 65 항 내지 제 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71. 제 65 항 내지 제 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72. 제 65 항 내지 제 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73. 제 63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며,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되는
    통신 장치.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거나,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상기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76.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 점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77.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 1 값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값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과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제 1 값은 상기 제 1 값에 대응하는 제 1 전송 전력과 현재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통신 시스템.
  78. 제 76 항 또는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한 간격의 엔드포인트이며, 상기 위상 점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전송 간격 사이에서 조정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의 위상이 점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통신 시스템.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0.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2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1.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1개의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2.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크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3.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 2 전송 전력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제 1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4. 제 79 항 내지 제 8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제 1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85. 제 76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RRC 메시지, MAC CE 또는 DCI 중 어느 하나에서 반송되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AC CE에서 반송되고,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반송하는 상기 MAC CE는 PHR를 반송하는 MAC CE, 새로 추가된 MAC CE 또는 TPC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에서 송신된 MAC CE 중 어느 하나인
    통신 시스템.
  86.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거나,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각각의 엔드포인트 간의 가장 작은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보고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시스템.
  87. 제 8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의 보고 방식 및 상기 제 1 표시 정보 내 제 1 전송 전력의 수량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시스템.
  88. 제 76 항 내지 제 8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있으면,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89. 제 76 항 내지 제 8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슬롯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슬롯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은 상기 제 1 전력 간격을 넘어 조정되고,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전송 전력 간격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전송 전력 간격이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슬롯 앞의 슬롯과 함께 상기 제 1 슬롯에서 공동 채널 추정의 수행을 스킵하는
    통신 시스템.
  90. 제 76 항 내지 제 8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이동 전화이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인
    통신 시스템.
  9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9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93. 칩으로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칩 내부의 메모리로부터 올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칩 외부의 메모리로부터 올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입력/출력 회로를 더 포함하는
    칩.
  94.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구간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간격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어느 전송 전력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아무 위상 점프도 발생하지 않는
    전력 제어 방법.
  95. 제 9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96. 제 9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상기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상기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임 슬롯이다 - H는 양의 정수임 - ;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전력 제어 방법.
  97. 제 9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상기 H번째 슬롯 내지 상기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인
    전력 제어 방법.
  98. 제 94 항 내지 제 9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 다음의 제 1 슬롯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99. 제 94 항 내지 제 9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상기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고, 상기 제 3 전송 전력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 후에 획득된 전송 전력임 - 와,
    상기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100.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차이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상기 제 3 전력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101. 제 94 항 내지 제 10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방법.
  102. 제 94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2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임 - 와,
    상기 제 2 차이가 상기 제 2 임계값이하이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5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5 표시 정보는 상기 제 2 차이가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103.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인
    전력 제어 방법.
  104.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상기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임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전력 제어 방법.
  105.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상기 H번째 슬롯 내지 상기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인
    전력 제어 방법.
  106. 제 103 항 내지 제 10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4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방법.
  107. 제 103 항 내지 제 10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5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인
    전력 제어 방법.
  108.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구간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간격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어느 전송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아무 위상 점프도 발생하지 않는
    통신 장치.
  109. 제 108 항에 있어서,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10. 제 10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상기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임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통신 장치.
  111. 제 1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상기 H번째 슬롯 내지 상기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인
    통신 장치.
  112. 제 108 항 내지 제 1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 다음의 제 1 슬롯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13. 제 108 항 내지 제 1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1 차이를 결정 - 상기 제 1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고, 상기 제 3 전송 전력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 후에 획득된 전송 전력임 - 하고, 상기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14.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차이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상기 제 3 전력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15. 제 108 항 내지 제 1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116. 제 108 항 내지 제 1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제 5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상기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5 표시 정보는 상기 제 2 차이가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117. 프로세싱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상기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인
    통신 장치.
  118. 제 1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상기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임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통신 장치.
  119. 제 1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상기 H번째 슬롯 내지 상기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인
    통신 장치.
  120. 제 117 항 내지 제 1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제 4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121. 제 117 항 내지 제 1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5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인
    통신 장치.
  122.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단말 디바이스 내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고, 상기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장치는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임 - 와,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간격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어느 한 전송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아무 위상 점프도 발생하지 않는
    통신 장치.
  123. 제 12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임 - 와, 상기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24. 제 1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상기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임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통신 장치.
  125. 제 1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상기 H번째 슬롯 내지 상기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인
    통신 장치.
  126. 제 122 항 내지 제 1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 다음의 제 1 슬롯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27. 제 122 항 내지 제 1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제 1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고, 상기 제 3 전송 전력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 후에 획득된 전송 전력임 - 와, 상기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28. 제 12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제 1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차이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상기 제 3 전송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29. 제 122 항 내지 제 1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130. 제 122 항 내지 제 1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2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임 - 와, 제 5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5 표시 정보는 상기 제 2 차이가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31.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고, 상기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장치는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라고 통신 유닛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인
    통신 장치.
  132. 제 1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상기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임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통신 장치.
  133. 제 1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상기 H번째 슬롯 내지 상기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인
    통신 장치.
  134. 제 131 항 내지 제 1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제 4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135. 제 131 항 내지 제 1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5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5 표시 정보는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인
    통신 장치.
  136.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에서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며, 상기 제 1 전력 간격은 복수의 전송 전력 구간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간격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전송 전력 간격 중 어느 전송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신호에서 아무 위상 점프도 발생하지 않는
    통신 시스템.
  137. 제 13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기간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에 포함된 연속 슬롯의 최대 수량(L)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량은 1 이상이고 L 이하이며, L은 1 이상인 양의 정수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3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138. 제 136 항 또는 제 1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점은 H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상기 H번째 슬롯은 다음과 같은 것: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임 슬롯이다;
    (H-1)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슬롯이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H-L)번째 슬롯 내지 (H-1)번째 슬롯에서 하나의 공동 채널 추정을 완료하고, H번째 슬롯은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이다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통신 시스템.
  139. 제 136 항 내지 제 1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는 H번째 슬롯 내지 (H+Q)번째 슬롯을 포함하고, Q는 1 이상이고 L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상기 H번째 슬롯 내지 상기 (H+Q)번째 슬롯은 모두 스케줄링된 업링크 슬롯인
    통신 시스템.
  140. 제 136 항 내지 제 1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TPC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1 시간 윈도우 다음의 제 1 슬롯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TPC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141. 제 136 항 내지 제 1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차이를 결정 - 상기 제 1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제 3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고, 상기 제 3 전송 전력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전송 전력을 조정하라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게 표시한 후에 획득된 전송 전력임 - 하고, 상기 제 1 차이가 제 1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1 전력 간격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142. 제 136 항 내지 제 1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1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차이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상기 제 3 전송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143. 제 14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1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차이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을 상기 제 3 전송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144. 제 136 항 내지 제 1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제 4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4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4 표시 정보는 공동 채널 추정을 실시하라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시스템.
  145. 제 136 항 내지 제 1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제 2 차이가 제 2 임계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고,
    상기 제 2 차이가 상기 제 2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 5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상기 제 5 표시 정보는 상기 제 2 차이가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 2 차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전송 전력과 상기 제 1 전송 전력 간의 차이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5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146.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 94 항 내지 제 10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7.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 94 항 내지 제 10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48. 칩으로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 94 항 내지 제 10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칩 내부의 메모리로부터 올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칩 외부의 메모리로부터 올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입력/출력 회로를 더 포함하는
    칩.
KR1020237000570A 2020-06-22 2021-05-13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30019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70506.1 2020-06-22
CN202010570506 2020-06-22
CN202010923712.6A CN113905431B (zh) 2020-06-22 2020-09-04 功率控制方法及装置
CN202010923712.6 2020-09-04
PCT/CN2021/093700 WO2021258905A1 (zh) 2020-06-22 2021-05-13 功率控制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970A true KR20230019970A (ko) 2023-02-09

Family

ID=7918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570A KR20230019970A (ko) 2020-06-22 2021-05-13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47560A1 (ko)
EP (1) EP4156799A4 (ko)
JP (1) JP2023532240A (ko)
KR (1) KR20230019970A (ko)
CN (2) CN117715166A (ko)
WO (1) WO2021258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5206A1 (zh) * 2022-02-21 2023-08-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联合信道估计的最大持续时间的上报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303698A1 (en) * 2003-01-13 2004-08-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vice and method for predistorting an input signal
CN101447812B (zh) * 2008-11-11 2013-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对用户站的发射功率进行调整的方法和装置
EP2214362B1 (en) * 2009-02-02 2012-08-01 Sony Corporation Receiving apparatus with frequency domain equalizer
WO2011020235A1 (zh) * 2009-08-17 2011-02-24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在通信网络中用于保持预编码信道相干性的方法及装置
WO2013048143A2 (en) * 2011-09-27 201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appratus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a sounding reference signal
US8909283B2 (en) * 2011-10-11 2014-12-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mit power adjustment to reduce a relative phase discontinuity
CN104039002B (zh) * 2013-03-08 2017-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基站及通信系统
US9848347B2 (en) * 2013-09-25 2017-12-19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wireless property calculations
WO2015061955A1 (zh) * 2013-10-29 2015-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收质量的测量方法及终端
CN106686740A (zh) * 2015-11-06 2017-05-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发送/检测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11089550B2 (en) * 2016-11-04 2021-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tion restriction for radio frequency operation for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patterns
CA3049154A1 (en) * 2017-01-04 2018-07-12 Nokia Technologies Oy Sounding reference signal power control f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wireless system
CN108810960B (zh) * 2017-04-28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确定上行发送功率的方法及装置
US11259248B2 (en) * 2017-09-18 2022-02-22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power transitions in new radio
CN109803361B (zh) * 2017-11-16 2021-06-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信道的发送方法及设备
CN109842926B (zh) * 2017-11-27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的方法、装置及系统
CN110167173A (zh) * 2018-02-14 2019-08-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数据的发送方法、接收方法和装置
WO2019157897A1 (zh) * 2018-02-14 2019-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数据的发送方法、接收方法和装置
CN110351054B (zh) * 2018-04-04 2021-01-22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信息传输方法、装置、网络设备及终端
CN110890950B (zh) * 2018-09-10 2022-06-14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接入网设备以及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2240A (ja) 2023-07-27
EP4156799A4 (en) 2023-11-15
EP4156799A1 (en) 2023-03-29
US20230247560A1 (en) 2023-08-03
WO2021258905A1 (zh) 2021-12-30
CN113905431B (zh) 2023-11-03
CN113905431A (zh) 2022-01-07
CN117715166A (zh)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2523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298112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inter-base station carrier aggregation, base station and device
CN113784428B (zh) 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US20220264481A1 (en) Signaling Power Exposure Events
KR101738656B1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및 장치
US119021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wer
EP4017177B1 (en) Resource multiplexing method and apparatus
US11445450B2 (en)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EP3266145B1 (en) Full-duplex power reporting
CN114270955B (zh) 通信方法及装置
US11638222B2 (en) Power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30019970A (ko)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1129120A1 (zh) 通信方法以及终端设备
WO2020056738A1 (zh) 功率控制方法及其装置、通信系统
EP418504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P39321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n a sidelink
WO2023000990A1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WO2023000232A1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0972250B (zh) 一种功率控制方法及装置
WO2023008324A1 (ja) 通信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WO2023021676A1 (ja) ユーザ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記憶媒体
CN113784427A (zh) 功率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