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946A -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및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및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946A
KR20230019946A KR1020237000180A KR20237000180A KR20230019946A KR 20230019946 A KR20230019946 A KR 20230019946A KR 1020237000180 A KR1020237000180 A KR 1020237000180A KR 20237000180 A KR20237000180 A KR 20237000180A KR 20230019946 A KR20230019946 A KR 20230019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operation
ultraviolet light
control pattern
light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33323A external-priority patent/JP6948605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41843A external-priority patent/JP70995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95386A external-priority patent/JP697785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95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8382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77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70974A/ja
Application filed by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9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3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passive infrar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사람이나 동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공간 내에 존재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불활화할 수 있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및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피크 파장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인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부와, 제1 점등 동작과, 제1 점등 동작보다 광 강도가 낮은 자외광을 출사하는 제2 점등 동작을 포함하는 주동작 모드를 실행하도록,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및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본 발명은,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자외광을 이용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외광을 조사하여 균이나 바이러스를 불활화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고, DNA가 파장 260nm 부근에 가장 높은 흡수 특성을 나타내는 점에서, 대부분의 경우, 저압 수은 램프 등을 광원으로 하는 파장이 254nm 부근인 자외광이 이용되고 있다. 자외광에 의하여 균이나 바이러스를 불활화하는 방법은, 약제 등을 산포하는 일 없이, 처리 대상 공간이나 처리 대상물에 자외광을 조사하는 것만으로 살균 처리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특정 파장대의 자외광은, 인체에 조사하면, 인체에 영향을 미칠 리스크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사람에게 자외광을 조사하지 않도록, 공간 내에 존재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불활화하기 위한 방법이나 장치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공간 내의 천장 부근에 설치하여, 살균용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자외광이 공간 내에 있는 사람에게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천장 부근에만 자외광을 조사하는 살균등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9-150668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살균 등에서는, 공간 내에 빈번히 사람이 출입하는 것과 같은 경우나, 공간 내에서 장시간에 걸쳐 사람이 작업을 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 자외광이 천장 부근의 영역 밖에 조사되지 않아, 매우 좁은 영역이고, 또한,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것과 같은 영역 밖에 불활화 처리가 행해져 있지 않았다.
또, 사람을 피하여 자외광을 조사하는 불활화 처리는, 사람에게 부착되어 이동하는 균이나 바이러스까지는 불활화 처리를 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불활화 처리에서는, 처리가 행해진 영역에 대하여, 처리가 완료된 직후에, 사람을 통하여 옮겨지는 균이나 바이러스가 부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비효율적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사람이나 동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공간 내에 존재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불활화할 수 있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및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는,
공간 내에 존재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불활화하는 장치로서,
피크 파장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인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부와,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1 점등 동작보다 광 강도가 낮은 자외광을 출사하는 제2 점등 동작을 포함하는 주동작 모드를 실행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불활화」란, 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거나 또는 감염력이나 독성을 잃게 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을 가리키고, 「균」이란, 세균이나 진균(곰팡이) 등의 미생물을 가리킨다. 이하에 있어서, 「균 또는 바이러스」를 「균 등」으로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11은, 단백질의 자외광 영역에 있어서의 흡광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에 의하면, 단백질은, 파장 240nm 이상에서는 자외광이 흡수되기 어렵고, 파장 240nm 이하에서는 파장 200nm를 향할수록, 자외광이 흡수되기 쉬워진다. 파장이 240nm 이상인 자외광은, 사람의 피부를 투과하기 쉬워, 피부 내부까지 침투한다. 그 때문에, 사람의 피부 내부의 세포가 대미지를 받기 쉽다. 이에 대하여, 파장 240nm 미만의 자외광은, 사람의 피부 표면(예를 들면 각질층)에서 흡수되기 쉬워, 피부 내부까지 침투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피부에 대하여 안전성이 높다.
또, 눈에 대해서도, 파장 240nm 미만의 자외광은, 각막을 투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파장이 짧아질수록 안전성이 높아진다.
한편, 파장 190nm 미만의 자외광이 존재하면, 대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 분자가 광분해되어 산소 원자를 많이 생성하고, 산소 분자와 산소 원자의 결합 반응에 의하여 오존을 많이 생성시켜 버린다. 그 때문에, 파장 190nm 미만의 자외광을 대기 중에 조사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파장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인 범위 내의 자외광은, 사람이나 동물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자외광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나 동물에 안전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자외광은, 파장 범위가 190nm 이상 237n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90nm 이상 235n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90nm 이상 230n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대상 제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피부나 눈에 홍반이나 각막염을 일으키는 일은 없고, 자외광 본래의 살균, 바이러스의 불활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과는 상이하게, 유인(有人)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살려, 옥내외의 유인 환경에 설치함으로써, 환경 전체를 조사할 수 있어, 공기와 환경 내 설치 부재 표면의 바이러스 억제·제균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유엔이 주도하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의 목표 3 「모든 연령의 모든 사람들의 건강한 생활을 확보하고, 복지를 촉진시킨다」에 대응하고, 또, 타겟 3.3 「2030년까지,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및 소외 열대병과 같은 전염병을 근절함과 더불어, 간염, 수계 감염증 및 그 외의 감염증에 대처한다」에 크게 공헌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출원일의 시점에서는, 인체에 대하여 1일(8시간)당 자외광의 조사량에 관하여, ACGIH(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미국 산업 위생 전문가 회의)나 JIS Z 8812(유해 자외 방사의 측정 방법) 등에 의하여, 파장마다의 허용 한계값(TLV: Threshold Limit Value)이 정해져 있다. 즉, 사람이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자외광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 내에 조사되는 자외광의 적산 조사량이 TLV의 기준값 이내가 되도록, 광원부의 방사 강도나 점등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추천 장려되고 있다.
이들 규정에는, 파장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인 자외광에 대해서도 허용 한계값이 정해져 있다. 이 때문에, 불활화 처리가 인체에 영향을 미칠 리스크가 매우 적은, 파장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인 자외광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경우이더라도, 당해 자외광이 사람에 대하여, 허용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자외광의 강도를 약하게 하여, 사람이 쬐게 되는 자외광의 조사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유효한 것을 발견했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인체에 영향을 미칠 리스크가 적은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불활화 장치에 의하면, 공간 내에 빈번히 사람이 출입하는 것과 같은 경우나, 공간 내에서 장시간에 걸쳐 사람이 작업을 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사람에 대한 자외광의 조사량을 억제하면서, 사람이 왕래하는 공간의 불활화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또, 공간(2)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높은 강도의 자외광의 조사를 불필요하게 계속시키는 일이 없어지고, 예를 들면, 소비 전력이 저감되어, 공간 내에 배치된 식물 등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은 과도한 자외광의 조사가 억제된다.
광 강도를 저하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불활화 장치에서는 자외광이 출사되고 있기 때문에, 벽이나 바닥에 자외광이 거의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불활화 장치 주변의 공간 중에 존재하는 부유균에 대해서는, 불활화 처리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장이 222nm인 자외광을 공간 내에 부유하고 있는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에 조사한 경우, 0.56mJ/cm2에서 약 1Log의 불활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또한, 종래, 살균등으로서 주류였던 파장이 254nm인 자외광을 출사하는 저압 수은 램프는, 점등 상태를 유지한 채로 출사하는 자외광의 강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사정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자외광에 의한 불활화 처리에 관하여, 출사하는 자외광의 강도를 변화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의 관점에서, 자외광은,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주발광 파장역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주발광 파장역이란, 피크 파장의 발광 강도에 대하여 50% 이상의 발광 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을 가리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또, 보다 안전성을 높이면서 자외선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주발광 파장역은, 190nm 이상 237nm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장 190nm 이상 235nm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파장 190nm 이상 230nm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오존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주발광 파장역은, 200nm 이상 237nm 이하의 파장 범위 내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nm 이상 235nm 이하의 파장 범위 내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nm 이상 230nm 이하의 파장 범위 내로 한다.
상기 불활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이, 직전의 상기 제1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 상기 불활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2 점등 동작이 주기적으로 실행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기적」이란,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미리 설정된 유지 시간에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유지하는 시간은, 탑재되는 타이머나 회로 구성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범위의 변동 정도는 허용된다.
또, 주동작 모드에 있어서,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전환하는 주기는, 항상 일정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공간 내에 사람의 존재를 검지한 경우나,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주기가 변경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람이 존재하는 공간 내에 있어서 불활화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는, 항상 제1 점등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와 비교하면, 사람에 대하여 조사되는 자외광의 조사량이 억제된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게 공간 내의 균 등을 불활화 처리할 수 있는 불활화 장치가 실현된다.
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 내에 있어서 불활화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는, 항상 제1 점등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와 비교하면, 보다 소비 전력이 억제되어, 공간 내에 배치된 식물 등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은 과도한 자외광의 조사가 더욱 억제된다.
상기 불활화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소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는 제1 제어 패턴과,
상기 제2 점등 동작과 소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제2 제어 패턴을 포함하는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불활화 장치는,
소정의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사람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 검지부가,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 패턴을 실행하고,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 패턴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공간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사람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정되는 시간대에 있어서, 제1 점등 동작을 실시하는 제1 제어 패턴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이, 인체 감지 센서 등에 의한 사람 검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공간 내에 있어서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어 패턴을 전환하는 구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람 검지부 이외의 구성에서 제어 패턴을 전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불활화 장치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상정되는 시간대(전형적으로는 심야대)가 되면, 제2 제어 패턴으로부터 제1 제어 패턴으로 전환하는 것과 같은 구성을 채용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불활화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는 제3 제어 패턴과,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고, 또한, 상기 제3 제어 패턴에 비하여 상기 제2 점등 동작의 단위 시간당 빈도가 높은 제4 제어 패턴을 포함하는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불활화 장치는,
소정의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사람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 검지부가,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3 제어 패턴을 실행하고,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4 제어 패턴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 불활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주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주동작 모드와는 상이한 부동작 모드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여기서 말하는 「부동작 모드」란, 불활화 장치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행해지는 점등 동작뿐만 아니라, 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수, 시간대, 창이나 도어의 해방 상태 등에 따라, 주동작 모드와는 상이한 제어 패턴으로 광원부의 점등 제어가 행해지는 모드를 말한다.
불활화 처리는, 항상 소정의 모드로 불활화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상정된다. 예를 들면, 자외광에 대하여 과민한 반응을 나타내는 체질의 사람이나, 자외광이 조사되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이 입실하는 일이 있으면서, 적어도 장치 주변만이라도 불활화 처리를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또, 불활화 처리를 행하는 환경의 상황(예를 들면, 사람의 왕래 빈도나, 일중이나 야간의 시간대)에 따라, 최적인 동작 모드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소정의 조건의 일례로서, 자외광의 조사를 거부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일단 주동작 모드로부터 부동작 모드로 이행하여, 주동작 모드의 계속이 어려운 경우에, 상이한 동작의 실행, 또는, 임시적인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임시적인 동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매우 낮은 강도에서의 자외광의 조사를 행하거나, 또는, 1시간에 1회, 수 초 정도의 자외광 조사를 행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소정의 조건의 일례로서는, 자외광의 조사를 거부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경우나, 불활화 장치로부터 수 cm 이내의 범위에, 사람이나 동물의 존재를 검지한 경우 등이다.
또, 부동작 모드는, 장치 자체의 상태에 따라 제어부가 판단하여 이행하는 모드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광원부로서 탑재되는 엑시머 램프나, LED 등의 소자가 열화하여, 출사되는 자외광의 강도가 소정의 값을 하회해 버린 경우에, 일시적으로 광 강도를 높이는 것과 같은 점등 제어가 행해지는 모드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은,
공간 내에 존재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불활화하는 방법으로서,
피크 파장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인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자외광을 처리 대상 영역에 조사하는 제1 점등 동작과, 피크 파장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인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점등 동작보다 광 강도가 낮은 자외광을 상기 처리 대상 영역에 조사하는 제2 점등 동작을 행하는, 주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활화 처리 방법은,
상기 주처리 공정이, 상기 공간의 천장, 또는 상방 영역에 설치된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에 의하여 행해져도 상관없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공간의 상방 영역」이란,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사람의 신장보다 높은 영역인 것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2m 이상의 높이인 영역을 말한다. 또한, 공간의 상방 영역에 불활화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공간의 상방 영역에 포함되는 벽에 설치하는 것이나, 2m 이상의 폴에 고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자외광의 조도는, 광원부로부터의 이격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이 때문에,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직후의 자외광이 사람에게 조사되지 않도록, 가능한 한 광원과 사람은 어느 정도의 이격 거리가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 내의 바닥이나 탁상에 광원이 설치되는 경우, 사람이 광원 자체에 접근해 버릴 우려가 있어, 조사량이 상술된 규격의 허용 한계값에 바로 도달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구성에 의하면, 대부분의 사람은, 직립 상태에 있어서도, 머리와 천장의 사이에서 수십 cm 정도의 이격 거리가 확보된다. 즉, 의도적으로 광원을 향하여 손을 뻗거나 하지 않는 한은, 사람이 갑자기 높은 조도의 자외광을 쬐게 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상기 방법으로 함으로써, 바닥이나 탁상에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안전하게 공간 내의 불활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불활화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 공정은,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2 점등 동작이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공정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불활화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 공정은,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이, 직전의 상기 제1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보다 길어도 상관없다.
상기 주처리 공정은,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2 점등 동작이 주기적으로 행해져도 상관없다.
상기 불활화 처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 공정은,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소등을 번갈아 행하는 제1 처리 공정과,
상기 제2 점등 동작과 소등을 번갈아 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제2 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 불활화 처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 공정은,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는 제3 처리 공정과,
상기 제2 점등 동작과, 상기 제1 점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고, 또한, 상기 제3 처리 공정에 비하여 상기 제2 점등 동작의 단위 시간당 빈도가 높은 제4 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 불활화 처리 방법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주처리 공정과는 상이한 처리 공정에 의한 자외광의 조사가 행해지는 부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이나 동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공간 내에 존재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불활화할 수 있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및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이 실현된다.
도 1a는, 불활화 장치의 일 실시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불활화 장치의 일 실시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의 불활화 장치를 -Z 측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a의 불활화 장치를 X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a의 불활화 장치를 Y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출사창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6은, 출사창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출사창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출사창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9는, 출사창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0은, 출사창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1은, 단백질의 자외광 영역에 있어서의 흡광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중심 파장 254nm의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이용한 연속 점등과 간헐 점등의 비교 결과이다.
도 13은, 중심 파장 222nm의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이용한 연속 점등과 간헐 점등의 비교 결과이다.
도 14는, 중심 파장 207nm의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이용한 연속 점등과 간헐 점등의 비교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및 불활화 처리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은, 모두 모식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도면 상의 치수비나 개수는, 실제 치수비나 개수와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는 않다.
[불활화 장치]
도 1a 및 도 1b는, 불활화 장치(1)의 일 실시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a는, 후술되는 인체 감지 센서(11)(도 2 참조)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의 불활화 처리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b는, 사람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불활화 처리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불활화 장치(1)는, 공간(2)에 있어서의 바닥면을 향하여 자외광(L1)을 출사하도록 천장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상방 영역으로부터 하방 영역을 향하여 자외광(L1)이 출사된다.
제어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상세하게 기술되지만, 도 1a에서는,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자외광(L1)이 출사되는 제2 점등 동작의 상태이고, 주로 공간(2) 중을 부유하는 균 등을 불활화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b에서는,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자외광(L1)이 출사되는 제1 점등 동작의 상태이고, 공간(2) 중을 부유하는 균 등을 불활화함과 더불어, 주로, 책상이나 바닥 등에 부착되어 있는 균 등을 불활화 처리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a의 불활화 장치(1)를 -Z 측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이고, 도 3은, 도 1a의 불활화 장치(1)를 X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a의 불활화 장치(1)를 Y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불활화 장치(1)는, 광 출사창(10a)이 형성된 하우징(10)을 구비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내측에 광원부(20)와, 제어부(30)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불활화 장치(1)는,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 이용되는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불활화 장치(1)는, 바닥이나 책상 위, 나아가서는, 폴 등에 고정하여, 공간(2)의 상방 영역(H1)(도 1a 참조)에 설치하여 이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폴 등에 고정하여 이용하는 경우, 불활화 장치(1)가 공간(2) 내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2m 이상의 높이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자외광(L1)이 출사되는 방향을 Z방향,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되는 엑시머 램프의 관체(21)의 관축 방향을 Y방향으로 하고, Y방향 및 Z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방향을 표현할 때에, 정부(正負)의 방향을 구별하는 경우에는, 「+Z방향」, 「-Z방향」과 같이, 정부의 부호를 붙여 기재되고, 정부의 방향을 구별하지 않고 방향을 표현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Z방향」으로 기재된다.
하우징(1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광(L1)을 외측을 향하여 출사하는 광 출사창(10a)을 구비하고, 광 출사창(10a)이 형성된 면에는, 사람 검지부에 상당하는 인체 감지 센서(11)가 설치되어 있다.
광 출사창(10a)은, XY 평면에 평행한 벽면에, 후술되는 광원부(20)로부터 출사되는 자외광(L1)에 대하여 투과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광 출사창(10a)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재료는, 예를 들면, 석영 유리나 사파이어 유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광 출사창(10a)은, 개구이더라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출사창(10a)은, 인체에 대한 영향을 억지(抑止)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40nm~280nm의 파장 범위의 광 강도를 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출사창(10a)은, 도시되지 않은 광학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단, 광원부(20)로부터 출사되는 자외광(L1)의 스펙트럼에 있어서, 240nm~280nm의 파장역의 광 강도가, 충분히 낮은 것과 같은 경우는, 광학 필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 상기의 파장 범위의 광 강도를 억지하는 구성은, 광 출사창(10a)에 설치되는 광학 필터 이외에, 하우징(10)이나 광 출사창(10a)과는 별도로 설치되는 기구나 광학계에 의하여 실현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불활화 장치(1)는, 하우징(10)의 측면에 적외광을 이용하여 사람을 검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영역(A1)은, 인체 감지 센서(11)가 적외광을 수광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고, 즉, 인체 감지 센서(11)가 사람을 검지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체 감지 센서(11)는, 적외선 센서이지만, 예를 들면, 근접 센서나 거리 센서 등에 의하여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불활화 장치(1)는, 인체 감지 센서(11)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를 채용하여, 사람의 존재를 검지함과 더불어, 동물이나 소정의 물체도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부(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21)와 관체(21)의 외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전극(22)을 포함하는 엑시머 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관체(21)에는, 발광 가스로서 크립톤(Kr)과 염소(Cl)가 봉입되어 있고, 전극(22) 간에 소정의 역치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관체(21)로부터 피크 파장이 222nm인 자외광(L1)이 출사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부(20)는, 엑시머 램프로 구성되어 있지만, 균 등의 불활화 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상술한 파장대의 자외광(L1)을 출사할 수 있는 광원이면, 예를 들면, LED로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광원부(20)로부터 출사된 자외광(L1)은,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출사창(10a)으로부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출사된다. 그리고,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활화 장치(1)는, 공간(2)의 천장에 설치되고, 처리 대상 영역인 바닥(-Z 측)을 향하여 자외광(L1)을 조사한다. 또한, 공간(2) 내의 벽이 처리 대상 영역으로 되고 있어도 되고, 또, 처리 대상 영역은, 공간(2) 내에 설치된 책상 위 등이어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3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부(20)에 공급하는 전력(pw)의 값을 연산하는 연산부(31)와, 제어 패턴의 데이터(d1)가 저장된 기억부(32)와, 광원부(20)에 전력(pw)을 공급하는 구동부(33)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산부(31)는, 하우징(10) 내에 탑재된 연산 회로이며, 구체적인 일례로서는, CPU나 MPU이다. 구동부(33)는, 광원부(20)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pw)을 생성하는 전기 회로이다. 기억부(32)는, 플래시 메모리나 반도체 메모리 등을 채용할 수 있지만, 전원을 넣을 때마다 제어 패턴의 데이터(d1)를 저장하는 공정의 유무의 관점에서, 기억부(32)는, 불휘발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억부(32)는, 직접,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하여 접속되는 외부 메모리여도 상관없다.
연산부(31)는, 인체 감지 센서(11)로부터 사람을 검지한, 또는 검지하지 않게 된 신호(s1)가 입력되면, 신호(s1)에 따른 제어 패턴에 관한 데이터(d1)를 기억부(32)로부터 읽어낸다. 연산부(31)는, 기억부(32)로부터 데이터(d1)를 읽어내면, 데이터(d1)에 의거하여, 광원부(20)에 공급하는 전력(pw)의 값을 지정하는 신호(s2)를 구동부(33)에 대하여 출력한다.
구동부(33)는, 신호(s2)에 의거하여, 광원부(20)에 공급하는 전력(pw)을 생성하고, 광원부(20)가 구비하는 전극(22)에 대하여, 전력(pw)을 공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억부(32)에는, 복수의 제어 패턴의 데이터(d1)가 저장되어 있다. 이들의 구체적인 제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30)는, 하우징 내에 탑재된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제어부(30)는, 불활화 장치(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PC나 태블릿 등의 외부 기기여도 상관없다.
[제어 방법]
여기서부터, 제어부(30)에 의한 광원부(20)의 제어에 대하여 상세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어 패턴은, 본 발명의 불활화 처리 방법의 사상에 의거하여 상정되는, 단순한 실시예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30)는, 광원부(20)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불활화 장치(1)는,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자외광(L1)을 출사하는 제1 점등 동작과,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자외광(L1)을 출사하는 제2 점등 동작을 포함하는 불활화 처리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패턴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자외광(L1)을 출사하는 제1 점등 동작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책상이나 바닥에 자외광(L1)을 조사하는 동작이며, 공간(2) 중을 부유하는 균 등을 불활화 처리함과 더불어, 바닥면이나 책상의 상면에 부착된 균 등을 주로 불활화 처리하기 위하여 실행된다.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자외광(L1)을 출사하는 제2 점등 동작은,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에 대한 자외광(L1)의 조사를 억제하면서, 주로 공간(2) 중을 부유하는 균 등을 불활화 처리하기 위하여 실행된다.
이하에서는,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의 조합에 의한 불활화 처리의 실시예가 설명되지만, 어느 실시예도, 불활화 장치(1)로부터 출사되는 자외광(L1)의 광 강도가 상이한 처리를 조합하여, 효율적으로 공간(2)에 존재하는 균 등의 불활화 처리를 행하는 제어 방법이다.
또한, 제어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정의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사람 검지부(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인체 감지 센서(11))에 의하여, 공간(2)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전환하는 제어 패턴으로 하는 제어 방법이나, 사람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있어서,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번갈아 전환하는 제어 패턴으로 하는 제어 방법이 생각된다. 또한, 사람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번갈아 전환하는 제어 패턴으로 하는 제어 방법 등이어도 상관없다.
또, 제1 점등 동작과 소등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제어 패턴(제1 제어 패턴)이나, 제2 점등 동작과 소등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제어 패턴(제2 제어 패턴)을, 적절히 조합한 제어 방법이 채용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제어 패턴의 전환에 대해서도,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의 전환 제어와 동일하게, 공간(2)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전환하는 제어 방법이나, 사람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기간, 또는 검지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있어서, 제1 제어 패턴과 제2 제어 패턴이 번갈아 전환되는 제어 방법 등이어도 상관없다. 이하는, 다양하게 생각되는 제어 방법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동작 도중에 소등하는 일 없이,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의 실행에 의하여, 점등 상태가 유지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항상 공간(2) 중을 부유하는 균 등의 불활화 처리가 계속되기 때문에, 점등 동작과 소등 동작을 행하는 방법과 비교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균 등을 불활화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등 동작과 소등 동작을 반복하는 방법의 경우, 균 등은, 공간(2)의 밖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흘러 들어오는 경우에는, 자외광(L1)이 조사되는 영역의 불활화 처리는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공간(2) 중을 부유하는 균 등의 불활화 처리가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점등을 유지하고, 공간(2) 중을 부유하는 균 등을 계속해서 불활화 처리하는 제어 방법은,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흘러 들어오는 균 등을 수시 불활화 처리할 수 있어, 위생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는,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이 실행되는 통상 동작인 주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것이지만, 불활화 장치(1)는, 광원부(20)의 출력의 저하 등,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당해 주동작 모드와는 제어 패턴이나 동작이 상이한 부동작 모드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부동작 모드로 이행하는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광원부(20)의 열화에 의하여, 광원부(20)로부터 출사되는 자외광(L1)의 강도의 저하를 검지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30)는, 부동작 모드로 이행하여, 구동부(33)가 공급하는 전력(pw)의 값을 향상시켜 불활화 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광원부(20)에 대한 전력(pw)의 공급을 정지한다.
(실시예 1)
도 5는, 실시예 1의, 광 출사창(10a)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L1)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5에는,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타임 라인 차트 (a)와, 광 강도에 관한 타이밍 차트 (b)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타임 라인 차트 (a)는, 인체 감지 센서(11)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기간을 제1 기간(X1), 인체 감지 센서(11)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기간을 제2 기간(X2)으로 하여 도시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은, 인체 감지 센서(11)가 공간(2)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여 제어 패턴이 전환되는 동작을, 주동작 모드로서 설명한다.
또한, 제1 기간(X1)과 제2 기간(X2)의 전환은, 인체 감지 센서(11)에 의한 사람의 검지 이외의 조건을 채용해도 상관없다. 제1 기간(X1)과 제2 기간(X2)를 전환하는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타이머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을 검지한 경우나, 소정의 시각이 된 것을 검지한 경우여도 상관없다.
도 5의 타이밍 차트 (b)에 있어서의 세로축은, 광 강도를 나타내고 있고,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 (i1)의 구간이 제어 패턴(P1)의 실행 기간에 대응하고,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i2)의 구간이 제어 패턴(P2)의 실행 기간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인체 감지 센서(11)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면, 제어부(30)가 제어 패턴(P2)으로 전환되고, 인체 감지 센서(11)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지 않게 되면, 제어부(30)가 제어 패턴(P1)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는, 인체 감지 센서(11)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지 않게 되어, 제어 패턴(P2)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제어 패턴(P1)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시각 t1 전후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어 패턴(P1)은, 소정의 강도의 자외광(L1)을 출사되도록 제어부(30)가 광원부(20)를 제어하여, 공간(2) 내를 부유하는 균 등의 불활화 처리와 함께, 책상이나 바닥 등의 물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균 등을 불활화 처리하기 위한 패턴이다. 제어 패턴(P1)은, 소정의 광 강도로 점등시키는 제1 점등 동작과, 소등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패턴이며, 제1 제어 패턴(제1 처리 공정)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제어 패턴(P1)에 있어서, 제1 점등 동작과 소등을 반복하는 주기(T1)가 45초이며, 제1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T2)이 15초, 소등을 계속하는 시간(T3)이 30초로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어 패턴(P2)은, 공간(2)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 광원부(20)로부터 출사되는 자외광(L1)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사람에게 조사되는 자외광(L1)의 조사량을 억제하면서, 주로 공간(2) 내에 부유하는 균 등을 불활화 처리하는 모드이다. 제어 패턴(P2)은, 제어 패턴(P1)에 있어서의 제1 점등 동작보다 낮은 광 강도로 점등시키는 제2 점등 동작을 행하는 패턴이며, 제2 제어 패턴(제2 처리 공정)에 대응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어 패턴(P2)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30)가 광원부(20)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제2 점등 동작에 필요로 하는 전력(pw)을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제2 점등 동작을 행한다.
상기 제어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불활화 장치(1)는, 공간(2)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제어 패턴(P2)이 실시되게 되어, 제1 점등 동작에 비하여 광 강도가 낮은 제2 점등 동작에 의하여 불활화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공간(2)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항상 제1 점등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보다, 사람에 대하여 조사되어 버리는 자외광(L1)의 조사량이 저감된다.
또, 공간(2)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고강도의 자외광(L1)의 조사를 불필요하게 계속시키는 일이 없어지고, 예를 들면, 소비 전력이 저감되어, 공간(2) 내에 배치된 식물 등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은 과도한 자외광(L1)의 조사가 억제된다.
특히, 책상이나 바닥 등의 물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균 등은,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 점에서, 소정의 광 강도로 점등되는 제1 점등 동작이 단속적으로 행해지는 제어 패턴(P1)과 같은 제어 방법의 경우이더라도, 불활화 처리를 효과적으로 진행해 갈 수 있다. 특히, 파장 240nm 미만의 자외선은, 세균의 광 회복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여, 단속적인 점등 동작이더라도, 불활화 처리의 효과는 손상되기 어렵다.
따라서, 불활화 장치(1)는, 사람이나 동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공간(2) 내에 존재하는 균 등을 효율적으로 불활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파장 240nm 미만의 자외선이, 세균의 광 회복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여, 가시광이 조사되는 환경하이더라도 불활화 처리의 효과는 손상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불활화 장치(1)는,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포함하는 주동작 모드(주처리 공정)만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은, 모두 주동작 모드의 제어 패턴으로서 설명된다. 단, 본 실시 형태의 불활화 장치(1)는, 제어부(30)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주동작 모드와는 상이한 부동작 모드(부처리 공정)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부동작 모드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불활화 장치(1)의 실시예 2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 1과 상이한 개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2의, 광 출사창(10a)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L1)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6에는,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타임 라인 차트 (a)와, 광 강도에 관한 타이밍 차트 (b)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타이밍 차트 (b)에 있어서의 세로축은, 광 강도를 나타내고 있고,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 (i1)과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i2)를 반복하는 구간이 제어 패턴(P3)의 실행 기간에 대응하고,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i2)의 구간이 제어 패턴(P4)의 실행 기간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 2는, 제어 패턴(P3)의 실행 기간과 제어 패턴(P4)의 실행 기간이 주동작 모드로서 설명된다.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제어 패턴(P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어 패턴(P1)과 동일하고, 소정의 강도의 자외광(L1)을 출사되도록 제어부(30)가 광원부(20)를 제어하여, 공간(2) 내를 부유하는 균 등의 불활화 처리와 함께, 공간(2)의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균 등을 불활화 처리하기 위한 패턴이다. 제어 패턴(P3)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제3 제어 패턴(제3 처리 공정)에 대응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제어 패턴(P4)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연속적으로 제2 점등 동작을 행하는, 제2 제어 패턴(제2 처리 공정)에 대응한다.
상기 제어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광원부(20)는, 완전하게 소등하는 시간대를 줄일 수 있어 계속해서 공간(2) 중에 부유하는 균 등의 불활화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공간(2) 내의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소등하는 시간대가 줄어듦으로써, 재점등에 실패하여 불활화 처리를 계속할 수 없게 되는 것과 같은 가능성이 저감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불활화 장치(1)의 실시예 3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상이한 개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 3의, 광 출사창(10a)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L1)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에는,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타임 라인 차트 (a)와, 광 강도에 관한 타이밍 차트 (b)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타이밍 차트 (b)에 있어서의 세로축은, 광 강도를 나타내고 있고,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 (i1)의 구간이 제어 패턴(P5)의 실행 기간에 대응하고,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i2)의 구간이 제어 패턴(P6)의 실행 기간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 3은, 제어 패턴(P5)의 실행 기간과 제어 패턴(P6)의 실행 기간이 주동작 모드로서 설명된다.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제어 패턴(P5)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제어 패턴(P1)과 동일하게 제어부(30)가 제1 점등 동작과 소등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제1 제어 패턴(제1 처리 공정)에 대응한다.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제어 패턴(P6)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점등 동작과 소등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제2 제어 패턴(제2 처리 공정)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제어 패턴(P6)에 있어서, 제2 점등 동작과 소등을 반복하는 주기(T4)가 60초이며, 제2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T5)이 50초, 소등을 계속하는 시간(T6)이 10초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광원부(20)의 전체의 점등 시간이 저감되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하면, 광원부(20)를 구성하는 광원의 수명이 길어진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불활화 장치(1)의 실시예 4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상이한 개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4의, 광 출사창(10a)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L1)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에는,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타임 라인 차트 (a)와, 광 강도에 관한 타이밍 차트 (b)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타이밍 차트 (b)에 있어서의 세로축은, 광 강도를 나타내고 있고,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 (i1)의 구간이 제어 패턴(P7)의 실행 기간에 대응하고,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 (i1)과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i2)를 반복하는 구간이 제어 패턴(P8)의 실행 기간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 4는, 제어 패턴(P8)의 실행 기간이 주동작 모드로서 설명되지만, 제어 패턴(P7)의 실행 기간과 제어 패턴(P8)의 실행 기간을 주동작 모드로 해도 상관없다.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제어 패턴(P7)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점등 동작과 소등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제2 제어 패턴(제2 처리 공정)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제어 패턴(P8)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1 점등 동작의 점등 상태가 긴 시간 유지되는 패턴이다.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제어 패턴(P8)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제어 패턴(P3)과 동일하게 제어부(30)가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제3 제어 패턴(제3 처리 공정)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제어 패턴(P7)에 있어서, 제1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T7)이 600초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사람에 대하여 조사되는 자외광(L1)의 조사량을 억제하면서, 공간(2)에 대하여 높은 강도의 자외광(L1)을 조사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실시예 1~실시예 3에 비하여 보다 높은 불활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어 패턴(P7)에 있어서, 높은 강도의 자외광(L1)을 길게 함으로써, 물체 표면에 부착되는 균을 보다 단시간에 필요 레벨까지 불활화시킬 수 있다. 불활화 처리에 충분한 조사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등시켜도 된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불활화 장치(1)의 실시예 5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 1~실시예 4와 상이한 개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5의, 광 출사창(10a)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L1)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9에는,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타임 라인 차트 (a)와, 광 강도에 관한 타이밍 차트 (b)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타이밍 차트 (b)에 있어서의 세로축은, 광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5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 (i1)과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i2)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패턴이다. 그리고,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i2)의 단위 시간당 빈도가 높은 기간이 제어 패턴(P9)의 실행 기간에 대응하고,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i2)의 단위 시간당 빈도가 낮은 기간이 제어 패턴(P10)의 실행 기간에 대응하고 있다. 즉, 제어 패턴(P10)에 비하여 제어 패턴(P9)인 쪽이, 제2 점등 동작의 단위 시간당 빈도가 높게 되어 있어, 제어 패턴(P9)이 제3 제어 패턴(제3 처리 공정), 제어 패턴(P10)이 제4 제어 패턴(제4 처리 공정)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5는, 제어 패턴(P9)의 실행 기간이 주동작 모드로서 설명되지만, 제어 패턴(P9)의 실행 기간과 제어 패턴(P10)의 실행 기간을 주동작 모드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실시예 5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제어 패턴(P10)은, 실시예 1의 제어 패턴(P3)과 같은 시간 설정이다. 그리고, 제어 패턴(P9)은,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반복하는 주기(T8)가 30초이며, 제1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T9)이 15초, 제2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T10)이 15초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사람에 대하여 조사되는 자외광(L1)의 조사량을 억제하면서, 공간(2)에 대하여 높은 강도의 자외광(L1)을 조사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실시예 1~실시예 3에 비하여 보다 높은 불활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광원부(20)는, 완전하게 소등되는 시간대가 줄어들기 때문에, 계속해서 공간 중에 부유하는 균 등의 불활화 처리를 실행할 수 있어, 공간(2) 내의 위생 상태가 유지되기 쉽다. 또, 소등하는 시간대가 줄어듦으로써, 재점등에 실패하여 불활화 처리를 계속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저감된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불활화 장치(1)의 실시예 6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 1~실시예 5와 상이한 개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 6의, 광 출사창(10a) 근방에 있어서의 자외광(L1)의 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0에는,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타임 라인 차트 (a)와, 광 강도에 관한 타이밍 차트 (b)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타이밍 차트 (b)에 있어서의 세로축은, 광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6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 (i1)과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i2)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패턴이며,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i1)을 유지하는 시간과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 (i2)를 유지하는 시간이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구별을 위하여, 인체 감지 센서(11)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기간이 제어 패턴(P11)의 실행 기간에 대응하고, 인체 감지 센서(11)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기간이 제어 패턴(P12)의 실행 기간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 6은, 제어 패턴(P11)의 실행 기간이 주동작 모드로서 설명되지만, 제어 패턴(P11)의 실행 기간과 제어 패턴(P12)의 실행 기간을 주동작 모드로 해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사람 검지부(실시예 6에서는 인체 감지 센서(11))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있어서,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번갈아 전환하는 제어 패턴을 주동작 모드로 해도 되고, 사람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번갈아 전환하는 제어 패턴을 주동작 모드로 해도 된다.
실시예 6의 방법이더라도, 항상 제1 점등 동작이 계속되는 제어 방법과 비교하면, 사람에 대하여 조사되는 자외광(L1)의 조사량이 억제된다. 그리고, 항상 공간(2) 중을 부유하는 균 등의 불활화 처리가 계속되기 때문에, 점등 동작과 소등 동작을 행하는 방법과 비교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균 등을 불활화 처리할 수 있다. 또, 실시예 6의 방법에 있어서는, 사람을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구별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소정의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사람 검지부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 방법의 예를 설명해 왔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하여 실행할 수 있는 예의 일부이고,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불활화 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도,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구체적인 예로서는, 직장 공간에 있어서, 심야대만 집중적으로 불활화 처리를 행하는 제어 패턴(제1 제어 패턴이나 제3 제어 패턴)으로 전환하는 구성이나, 사람이 방의 조명을 소등시키거나, 창의 커튼을 닫거나 함으로써, 소정의 밝기 이하가 된 경우에 다른 제어 패턴(제2 제어 패턴이나 제4 제어 패턴)으로 전환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제1 점등 동작과, 제2 점등 동작을 반복하는 제어 패턴이나, 점등 동작과 소등 동작을 반복하는 제어 패턴은, 각각의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과 같은 제어 패턴으로 설명했지만, 각 동작의 전환은, 시간 경과와 함께,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최초로 장시간의 제1 점등 동작을 실행, 그 다음은, 자연 대류에 의한 균 등의 움직임에 맞추도록, 제1 점등 동작과 소등 동작을 반복한다고 하는 제어로 해도 상관없다. 또, 제1 점등 동작 및 제2 점등 동작과는 상이한 광 강도의 자외광(L1)을 조사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어 패턴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인체 감지 센서(11)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제어부(30)가 실행하는 제어는 주동작 모드로서 설명했지만, 인체 감지 센서(11)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실행하는 모드가 주동작 모드로 해도 상관없다.
제1 점등 동작 및 제2 점등 동작의 광 강도는, 불활화 장치가 사용되는 설치 조건에 의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예를 들면, 설치시키는 천장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광 강도의 차는 상이하다. 일례로서, 제2 점등 동작은, 광 출사창(10a)에 있어서의 자외광의 광 강도를, 제1 점등 동작에 대하여 80%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제2 점등 동작은, 광 출사창(10a)에 있어서의 자외광의 광 강도를, 제1 점등 동작에 대하여 50%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제2 점등 동작은, 광 출사창(10a)에 있어서의 자외광의 광 강도를, 제1 점등 동작에 대하여 20%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제2 점등 동작의 광 강도를 낮게 억제함으로써, 주동작 모드의 실행 기간을 보다 장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피크 파장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인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자외광에 의하여, 환경 중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진균, 바이러스 등의 불활화를 행하는 것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백질은, 파장 240nm 이상에서는 자외광이 흡수되기 어렵고, 파장 240nm 이하에서는 파장 200nm를 향할수록, 자외광이 흡수되기 쉬워진다. 파장이 240nm 이상인 자외광은, 사람의 피부를 투과하기 쉬워, 피부 내부까지 침투한다. 그 때문에, 사람의 피부 내부의 세포가 대미지를 받기 쉽다. 이에 대하여, 파장 240nm 미만의 자외광은, 사람의 피부 표면(예를 들면 각질층)에서 흡수되기 쉬워, 피부 내부까지 침투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피부에 대하여 안전성이 높다.
또한, 파장 240nm 미만의 자외광은, 「균의 광 회복」을 저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균의 광 회복이란, 세균이 보유하는 광 회복 효소(예를 들면, FAD(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파장 300nm~500nm의 광이 조사되면, DNA의 손상을 수복시키는 작용을 일으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살균선으로 여겨지고 있었던 파장 254nm의 자외광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DNA를 손상시킴으로써 불활화가 행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태양광이나 백색 조명의 가시광이 조사되는 밝은 환경하에 있어서는, 상술한 광 회복 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자외광에 의한 DNA 손상을 수복시키는 작용(광 회복)이 작동하여, 불활화를 진행시키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자외광의 조사가 일시적으로 행해지는 경우나, 자외광을 단속적으로 조사시키는 경우 등, 자외광을 조사하지 않는 소등 동작이나 자외광의 광 강도를 줄이는 감광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파장 240nm보다 짧은 파장 대역에서는, 단백질에 대한 흡수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갖는 세포막이나 효소의 성분인 단백질에 효과적으로 흡수된다. 특히,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사람 세포보다 물리적으로 훨씬 작아, 파장 240nm보다 짧은 파장 대역이더라도 자외광이 내부까지 도달하기 쉽다. 즉 파장 240nm보다 짧은 파장 대역의 자외광은, 사람이나 동물에 대한 악영향을 억제하면서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를 불활화할 수 있고, 또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세포, 특히, 단백질 성분을 포함하는 세포막이나 효소 등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균의 광 회복 등의 기능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연속 점등과 간헐 점등에서, 균 등의 불활화 처리에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자외광의 파장별로 효과를 확인한 검증에 대하여 설명한다.
불활화 대상의 균은, 광 회복 효소를 갖는 황색 포도 구균을 이용하여, 가시광이 조사되어 있는 환경에서 상기 자외광을 연속 점등한 경우와, 간헐 점등시킨 경우에서, 균의 생존율의 변화를 확인했다.
자외광원은, 중심 파장 254nm의 자외광을 출사하는 저압 수은등과, 중심 파장 222nm의 자외광을 출사하는 KrCl 엑시머 램프와, 중심 파장 207nm의 자외광을 출사하는 KrBr 엑시머 램프를 이용했다.
연속 점등은, 균에 조사되는 자외광의 조도를 0.1mW/cm2로 했다.
간헐 점등은, 점등 시간 Ta를 50초, 휴지 시간 Tb를 59분 10초(3550초)로 하고, 점등 듀티비가 1.39%가 되도록 설정했다. 또한, 점등 듀티비란, 점등 시간 Ta와 휴지 시간 Tb의 총합에 대한 점등 시간 Ta의 비율이며, Td=Ta/(Ta+Tb)로 나타내어지는 값이다. 간헐 점등에 있어서의 점등 시의 자외선 조도는, 0.1mW/cm2로 하고, 1회의 점등 동작에 의한 자외선 조사량을 5mJ/cm2가 되도록 설정했다.
도 12는, 중심 파장 254nm의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이용한 연속 점등과 간헐 점등의 비교 결과이며, 도 13은, 중심 파장 222nm의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이용한 연속 점등과 간헐 점등의 비교 결과이며, 도 14는, 중심 파장 207nm의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이용한 연속 점등과 간헐 점등의 비교 결과이다. 도 12~도 14에 있어서, 가로축은 자외선 조사량(mJ/cm2), 세로축은 균의 Log 생존율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장 254nm의 자외선 조사의 경우, 간헐 점등을 행하면 연속 점등을 행한 경우보다 불활화 효과가 뒤떨어진다. 이것은, 간헐 점등의 휴지 시간의 사이에 균이 회복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파장 254nm의 자외선 조사에서는, 균의 광 회복 작용이 있기 때문에, 간헐 점등을 행하면 균의 불활화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없다. 한편,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장 222nm의 자외선 조사의 경우는, 균의 광 회복이 저해되기 때문에, 간헐 점등과 연속 점등에서 동등한 불활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장 207nm의 자외선 조사의 경우에 있어서도, 간헐 점등과 연속 점등에서 동등한 불활화 효과가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균의 광 회복 자체가 저해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되고, 파장 222nm의 자외선 조사의 경우와 동일한 결과이다. 어느 광원도, 파장 선택 필터를 이용하여 파장 240nm 이상 300nm 이하의 자외광이 커트되고, 파장 190nm 이상 240nm 미만의 파장 대역에 속하는 자외광을 방사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이, 파장 240nm보다 짧은 파장 대역의 자외광은, 사람이나 동물에 대한 악영향을 억제하면서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를 불활화할 수 있고, 또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세포, 특히, 단백질 성분을 포함하는 세포막이나 효소 등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균의 광 회복 등의 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불활화 장치
2 공간
10 하우징
10a 광 출사창
11 인체 감지 센서
20 광원부
21 관체
22 전극
30 제어부
31 연산부
32 기억부
33 구동부
A1 영역
H1 상방 영역
L1 자외광
d1 데이터
s1, s2 신호
pw 전력
X1 제1 기간
X2 제2 기간

Claims (15)

  1. 공간 내에 존재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불활화하는 장치로서,
    피크 파장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인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부와,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1 점등 동작보다 광 강도가 낮은 자외광을 출사하는 제2 점등 동작을 포함하는 주(主)동작 모드를 실행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이, 직전의 상기 제1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2 점등 동작이 주기적으로 실행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소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는 제1 제어 패턴과,
    상기 제2 점등 동작과 소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제2 제어 패턴을 포함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소정의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사람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 검지부가,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 패턴을 실행하고,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 패턴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는 제3 제어 패턴과,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고, 또한, 상기 제3 제어 패턴에 비하여 상기 제2 점등 동작의 단위 시간당 빈도가 높은 제4 제어 패턴을 포함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소정의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사람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 검지부가,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3 제어 패턴을 실행하고,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4 제어 패턴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주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주동작 모드와는 상이한 부동작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9. 공간 내에 존재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불활화하는 방법으로서,
    피크 파장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인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자외광을 처리 대상 영역에 조사하는 제1 점등 동작과, 피크 파장이 190nm 이상 240nm 미만인 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점등 동작보다 광 강도가 낮은 자외광을 상기 처리 대상 영역에 조사하는 제2 점등 동작을 행하는, 주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 공정이, 상기 공간의 천장, 또는 상방 영역에 설치된 자외광을 출사하는 광원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 공정은,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이, 직전의 상기 제1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12.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 공정은,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2 점등 동작이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13.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 공정은,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소등을 번갈아 행하는 제1 처리 공정과,
    상기 제2 점등 동작과 소등을 번갈아 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계속하는 제2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14.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 공정은,
    상기 제1 점등 동작과 상기 제2 점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는 제3 처리 공정과,
    상기 제2 점등 동작과, 상기 제1 점등 동작을 번갈아 행하고, 또한, 상기 제3 처리 공정에 비하여 상기 제2 점등 동작의 단위 시간당 빈도가 높은 제4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주처리 공정과는 상이한 처리 공정에 의한 자외광의 조사가 행해지는 부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KR1020237000180A 2020-08-05 2021-07-29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및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KR202300199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33323A JP6948605B1 (ja) 2020-08-05 2020-08-05 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方法、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装置
JPJP-P-2020-133323 2020-08-05
JP2020141843A JP7099500B2 (ja) 2020-08-25 2020-08-25 不活化装置および不活化方法
JPJP-P-2020-141843 2020-08-25
JP2020195386A JP6977853B1 (ja) 2020-11-25 2020-11-25 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装置
JP2020195381A JP2022083826A (ja) 2020-11-25 2020-11-25 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装置
JPJP-P-2020-195381 2020-11-25
JPJP-P-2020-195386 2020-11-25
JPJP-P-2021-077287 2021-04-30
JP2021077287A JP2022170974A (ja) 2021-04-30 2021-04-30 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装置、及び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処理方法
PCT/JP2021/028022 WO2022030342A1 (ja) 2020-08-05 2021-07-29 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装置、及び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946A true KR20230019946A (ko) 2023-02-09

Family

ID=8011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180A KR20230019946A (ko) 2020-08-05 2021-07-29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및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48860A1 (ko)
EP (1) EP4194014A4 (ko)
KR (1) KR20230019946A (ko)
CN (1) CN116133697A (ko)
WO (1) WO2022030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421A1 (ja) * 2022-11-09 2024-05-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紫外線照射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0668A (ja) 2019-06-13 2019-09-12 エネフォレスト株式会社 室内殺菌装置および室内殺菌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8092A1 (en) * 2011-03-07 2021-07-14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effecting and/or killing bacteria
US9511159B2 (en) * 2014-07-02 2016-12-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a surface
EP3290058A1 (en) * 2016-09-02 2018-03-07 BrainLit AB A light control system and a method for exposing a subportion of a space with light within a predetermined spectral range at a predetermined threshold intensity
JP6931230B2 (ja) * 2017-02-13 2021-09-01 エアロシールド株式会社 室内殺菌装置
CA3121354C (en) * 2018-03-30 2023-08-01 Uv Partners, Inc. Disinfection behavior tracking and ranking
US10960091B2 (en) * 2018-10-02 2021-03-30 Futuremedix, Llc System and method for sterilization using ultra-violet illumin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0668A (ja) 2019-06-13 2019-09-12 エネフォレスト株式会社 室内殺菌装置および室内殺菌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0342A1 (ja) 2022-02-10
US20230248860A1 (en) 2023-08-10
EP4194014A4 (en) 2024-01-03
EP4194014A1 (en) 2023-06-14
CN116133697A (zh)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57222A1 (en) Inactivation device and inactivation method
KR20230019946A (ko)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장치, 및 균 또는 바이러스의 불활화 처리 방법
KR20150122019A (ko)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갖는 살균등 장치
CN216148649U (zh) 菌或病毒的灭活装置
JP7226509B2 (ja) 不活化装置および不活化方法
JP6977853B1 (ja) 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装置
EP4306136A1 (en) Apparatus for inactivating bacteria or viruses, and system for inactivating bacteria or viruses
WO2022118780A1 (ja) 紫外線照射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方法
JP2022170974A (ja) 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装置、及び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処理方法
CN113975437B (zh) 灭活装置以及灭活方法
KR20200085038A (ko) 태양전지 자외선엘이디 살균장치
US20220062452A1 (en) Inactivation apparatus and inactivation method
JP2023119620A (ja) 不活化処理方法、不活化処理システム
JP2022083826A (ja) 菌又はウイルスの不活化装置
CN116916973A (zh) 菌类或病毒的灭活装置、菌类或病毒的灭活系统
WO2022125010A1 (en) Upper room air sterilization system with uvgi content
KR20230171120A (ko) 살균기능 겸용 led 센서 조명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