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535A -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535A
KR20230019535A KR1020210101152A KR20210101152A KR20230019535A KR 20230019535 A KR20230019535 A KR 20230019535A KR 1020210101152 A KR1020210101152 A KR 1020210101152A KR 20210101152 A KR20210101152 A KR 20210101152A KR 20230019535 A KR20230019535 A KR 20230019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s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dis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안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안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안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10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9535A/ko
Publication of KR2023001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53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5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constrained by time limit or expiration d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은, 단말기에서 활동의 중심지인 거점을 기준으로 단위지역내에 등록된 가맹점을 품목과 서비스내용으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제공된 멤버십 내역, 할인 쿠폰 정보, 상품정보, 포인트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와 관련된 정보컨텐츠를 제공하여, 품목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후 할인서비스를 받거나 포인트를 적립하고, 적립된 포인트는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선정된 1~2개의 가맹점들이 품목 또는 서비스별로 표시되기 때문에 고품질 및 가성비가 높은 서비스 및 물품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E-commerce platform service method based on point payment}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내외에서 품목을 구매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포인트를 적립해 주고, 적립된 포인트는 국내외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며, 투어 중 가맹점 방문시 차감 된 포인트의 일정 비율을 재적립하는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라 다양한 상품들이 출시되면서 소비자의 욕구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판매업체에서도 다양한 광고와 마케팅 상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마케팅 방법의 일환으로 최근 많은 매장에서는 구매금액에 따른 포인트를 고객에게 적립하여 주고, 일정 이상의 포인트를 적립하면 적립된 포인트를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상품을 지급받을 수 있게 하는 포 인트 적립카드가 사용되고 있으며, 작은 소규모 판매점에서부터 대형 할인 판매점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보편적 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외 고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현재 포인트사용방법은 기존 포인트 적립업체들이 제공하는 포인트들의 액면 금액이 너무 작은 나머지 사용하기 에 부적절하여 사용하지 못하거나 소멸되어 사라지던 것을 포인트 통합적립 업체들이 이를 모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이트상에서 사용하거나 카드로 사용하여 소진하고 있다.
적립 또한 한곳에서 적립한 것은 한곳의 포인트만 적립되고 다른 곳의 포인트는 같이 모아서 사용할 수 없어 실 사용 되는 포인트는 극히 일부에 그쳐 포인트제도에 대한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의 포인트 적립 및 지급방법은 누구나, 어디서나 다 하고 있고, 그것이 회원들에게 큰 도움이 되 지 않는다는 것을 회원들 또한 이러한 점들을 잘 알기에 포인트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제공업체들 의 포인트적립은 고객들의 마음에서 멀어진지 오래되어 실질적인 매출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국내외 온오프라인에서 품목과 서비스를 이용하고 포인트를 적립하 고, 적립된 포인트는 결제 시 재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기의 거점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의 가맹점을 표시하되 2개 이하로 선정된 가맹점 정 보를 품목과 서비스별로 표시하는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가맹점의 소멸 예정 포인트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 기 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거점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의 가맹점을 표시하되 2개 이하로 선정된 가맹점 정보 가 지도상에 모두 표시되는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 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문화콘텐츠 투어 중 가맹점 방문시 결제를 포인트로 한 경우 차감된 포인트의 일정 비율을 재 적립하는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품목 및 서비스를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서버 에 접속한 단말기가 등록한 상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설정된 포인트를 적립받는 단말기 기 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은, (a)상기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활동의 중심지인 거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b)상기 서버는 수신된 거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반경 1km 이내를 단위지역으로 설정하고, 해당 단위지역내에 등록된 가맹점을 품목과 서비스내용으로 분류하여 표시하되, 상기 품목과 서비스 별로 가맹점 수를 많아도 2개 이하로 선정하고 선정된 가맹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 여 표시하는 단계, (c)상기 단말기는 수신한 가맹점 정보를 품목과 서비스별로 표시하거나, 지역별로 표시하거 나, 컨텐츠별로 표시하거나, 둘 이상의 품목을 결합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거점을 중심으로 지도를 표시하고 상 기 지도상에 상기 가맹점이 모두 지도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d)단말기소지자의 상기 가맹점 방문 시 가맹 점내에 비치된 Beacon을 위치정보 기반으로 실시간 멤버십, 쿠폰, 이벤트, 또는 메시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 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상기 단말기는 상기 (d)단계에서 제공된 멤버십 내역, 할인 쿠폰 정보, 상품정보, 포인트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와 관련된 정보컨텐츠를 제공하여, 품목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후 할인서비스를 받거나 포인트를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b)단계는 상기 서버는 수신된 거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반경 1km이내에 존재하는 가맹점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포인트 중 유효기간의 만료가 임박한 소멸 예정 포인트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 기 추출된 가맹점에서 상기 소멸예정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단계는 해당 품목 또는 해당 서비스를 취급하는 가맹점들을 추출하여 그 가맹점들에 고객관련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각 가맹점들의 고객관련정보와 가맹점평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추출된 가맹점들을 서열화하여 높은 순위의 가맹점을 등록 가맹점으로 선정하되, 가격, 할인내용, 추천누적횟수, 방문환영시간, 가맹점평가정 보를 포함하는 추천선정기준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연산하여 구해진 값을 근거로 등록 가맹점을 선정한다.
또한, (c)단계는 품목 또는 서비스 선택시 예상 대기 시간을 표시하고, 선주문이 가능하도록 동작하고, 선주문 이 이루어진 경우, 단말기 소지자가 해당 가맹점의 Beacon을 통해 방문 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선 주문한 내용이 가맹점으로 자동으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또한, (e)단계는 가맹점에서 포인트를 사용하여 품목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 품목 구매 금액 또는 서 비스 이용 금액에 대한 가맹점 할인율을 적용한 포인트 할인 금액을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존 적립된 포인트와 상기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비교하여, 상기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상기 할 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보다 크면 상기 기존 적립된 포인트에서 상기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 고, 상기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상기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보다 작으면 상기 부족한 포인트를 마이너스 포인트로 생성하여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적립된 포인트는 국내 또는 해외의 문화콘텐츠 투어 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며, 투어 중 가맹점 방문시 품목 구매 금액 또는 서비스 이용 금액에 대한 가맹점 할인율을 적용한 포인트 할인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차 감된 포인트의 일정 비율을 재적립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국내외에서 품목을 구매하거나 서비 스를 이용한 뒤 적립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뿐만이 아니라 국외에서도 포인트를 적립 하거나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현재의 거점을 중심으로 평가에 의하 여 선정된 1~2개의 가맹점들이 품목 또는 서비스별로 표시되기 때문에 고품질 및 가성비가 높은 서비스 및 물품 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단말기의 거점을 중심으로 소멸 예정 포인트를 보유한 가맹점이 표시되기 때문에 포인트의 손실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품목과 서비스별로 선정된 가맹점이 지도상에 표시되므로 손쉽게 가맹점을 찾아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적립된 포인트를 국내외 문화콘텐츠 의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고 또 투어 중 사용 포인트에 대해서는 재적립하여 줌으로써 페이백 서비스의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 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 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 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 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 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 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장치는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하여 다수 의 가맹점 단말기(100~100N)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300~300N)가 연결되고, 각 가맹점 단말기(100~100N)는 상 품과 서비스를 등록하고 포인트의 적립 및 결제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한 다)(300~300N)는 단말기가 위치한 거점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내에 위치하는 가맹점들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품 의 품목이나 서비스를 주문하거나 추천하고, 구매시 포인트를 적립받아 할인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면,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300~300N)가 연결되어 온라인 품 목을 구매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가맹점에서는 서버(200)에 품목별 서비스별로 상품을 등록하고, 사용자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웹으로 서버(200)에 접속하여 구매 조건에 일치하는 상품을 결정하고 구매를 위하여 결제를 진행하고, 결 제 시 소정 포인트를 적립해주고, 적립된 포인트는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일반적인 온라인 상거래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통상의 온오프라인 상거래 방식에 의하여 포인트를 적립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것이기때문에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배제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즉, 본 발명의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이용하면, 온라인을 통하여 통상의 상품을 등록 하고 구매하는 기능은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기능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국내외에서 온오프라인을 이용하여 품목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포인트를 적립하고, 적 립된 포인트를 문화콘텐츠 투어와 연계하여 품목의 구매와 서비스의 이용을 보다 활성화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 으로 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기(300~300N)는 본 발명의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타블렛, 스마트폰, PDA, 또는 전용단말기로 구성되며, 통상의 스마트폰과 같이 무선통신과 인터넷 통신을 수행 하며, 국내외에서 물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할인서비스와 포인트를 적립받을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은 국내외에서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제는 Paypal 또는 Alipay와 같은 국제결제 수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배송은 국제특급배송(EMS;Express Mail Service)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서버(200)는 웹(web)서버의 기능과 클라우드(cloud)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판매 또는 제공할 소상공인과 중 소기업의 품목 및 서비스를 등록하고,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가 등록한 상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설정된 포인트를 적립하도록 동작한다.
즉, 단말기의 서버접속은 국내외에서 가능하고 품목과 서비스의 등록도 국내외에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하여 서버(200)는 웹을 통하여 가맹점단말기(100~100N) 및 단말기(300~300N)와 통신하는 통신부(210)와, 단말기(300)에서 요청시 서버제어부(22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저장부(230)에서 판 독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서버(200)는 단말기(300)의 물품 구매와 포인트 처리 그리고 가맹점 처리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매승인 부(240)와, 포인트처리부(250), 가맹점처리부(260), 그리고 DB(270)를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회원카드(일명 ITEMK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결제"라고만 기재하되 그 의미는 회원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구매 승인부(240)는 카드 사용자가 국내외의 가맹점에서 품목 또는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 할 때 가맹점 단말기(100)를 통해 물품 구매 승인 요청을 수신하면, 물품 구매 금액에 할인율을 적용하여 물품 구매 금액에 대한 할인 금액이 얼마인지 파악한다.
물품 구매 금액에 대한 할인율은 모든 가맹점에 대해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적용하거나 가맹점별 할인율을 DB(270)에 저장한 후 DB(270)를 참조하여 가맹점별로 다른 할인율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여러 결제 수단 중 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하는 경우로 한정하고, 그리고 서버 제어부(220)와 단말기제어부(220)는 해당 구성 요소들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기적으로 결합되고 제어부에 의하 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각 구성요소가 직접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함으로 써 각 제어부가 기능을 수행한 것을 대신하고자 한다.
또한, 구매 승인부(240)는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물품 구매 금액 전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가맹점에서 할인 가능한 금액을 수신한 후 수신한 할인 가능 금액에 가맹점별 할인율을 적용하여 가맹점별 할인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 승인부(240)는 파악한 할인 금액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가맹점 단말기(100)는 최초 물품 구매 금액에서 할인 금액을 차감한 결제 금액을 계산한 후 결제 금액에 대해 구매 승인부(240)로 승인 요청을 하고, 물품 구매 승인부(240)는 결제 금액에 대한 승인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 과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카드 사용자가 30,000원의 옷을 구입한 경우를 살펴보자.
먼저 전체 구매 금액에 대해 할인 금액을 계산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가맹점은 30,000원의 구매 금액에 대한 승 인 요청을 구매 승인부(240)로 요청하고, 구매 승인부(240)는 30,000원에 가맹점 할인율(10%로 가정한다)을 적 용하여 할인 금액이 3,000원임을 파악하고, 할인받은 후의 금액인 27,000원에 대한 결제 승인을 하고 그 결과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전체 구매 금액 중 할인 가능액에 대해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가맹점 단말기(100) 는 30,000원 중 할인 가능 금액(미리 설정되며, 최대 20,000까지만 할인 가능 금액이라고 가정한다)인 20,000원 에 대한 정보를 구매 승인부(240)로 전송한다. 구매 승인부(240)는 할인 가능 금액인 20,000원에 대해 가맹점 할인율(10%로 가정)을 적용하여 할인 금액이 2,000원임을 파악하고, 할인 금액이 2,000임을 가맹점 단말기(10
0)로 전송한다.
가맹점 단말기(100)는 할인 금액 2,000원을 적용하여 물품 구매 금액 중 실제 결제 금액이 28.000원임을 계산하 고, 28,000원에 대한 결제 승인을 구매 승인부(240)로 전송하고, 구매 승인부(240)는 결제 승인 결과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는 물품 구매시 할인 혜택 외에 가맹점에서 할인 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할인 쿠폰을 적용한 후의 금액(즉, 결제대상금액 = 물품구매금액 - 할인금액 - 할인쿠폰금액)을 카드를 통해 결제하 면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할인 쿠폰을 사용한 경우에 가맹점 단말기(100)는 할인쿠폰 사용후의 결제금액에 대해 구 매 승인부(240)로 결제 승인 요청을 하고, 구매 승인부(240)는 결제 승인에 대한 결과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포인트처리부(250)는 할인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각 단말기(300)별로 적립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재적립할 수 있도록 포인트결제부(251), 포인트적립부(252), 포인트재적립부(253) 그리고 포인트조회부(25
4)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포인트는 국내 또는 해외의 가맹점을 이용하여 비용결제시 적립되는 것으로, 그 사용은 국내 또 는 해외의 결제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문화콘텐츠 투어(영화, 공연, 유적지 방문 등등)와 관련하여 가 맹점 결제 시 포인트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경우에 즉 문화콘텐츠 투어 중에 가맹점 방문하여 포인트로 결제 시 재적립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포인트 결제부(251)는 구매 승인부(240)에 의해 파악된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기존 적립된 포인트에서 차감한다. 즉 포인트로 결제하고자 할 경우 기존 적립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포인트 결제부(251)는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일반적으로 포인트 1점 당 1원)보다 큰지 파악한다.
그리고 포인트 결제부(251)는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보다 크다면 기존 적립된 포인 트에서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여 할인 혜택을 제공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없다는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보다 큰 경우에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작은 경우에도 구현가능함은 물론이다.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보 다 작은 경우에도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즉 기존 적립된 포인트와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비교하여, 상기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상기 할인 금액 에 해당하는 포인트보다 크면 상기 기존 적립된 포인트에서 상기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고, 상 기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상기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보다 작으면 상기 부족한 포인트를 마이너스 포인트 로 생성하여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일종의 마이너스 포인트 개념을 도입하여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작은 경우에는 모자라는 포인트만 큼 마이너스 포인트를 생성하고, 마이너스 포인트는 후에 카드를 이용한 가맹점에서의 물품 또는 용역 구매시에 발생하는 포인트로 차감하도록 한다. 이때 마이너스 포인트는 무한정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한도에서만 사 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인트 적립부(252)는 물품 구매시 실제 결제한 금액(즉, 실제 결제 금액 = 물품 구매 금액 - 할인 금액)의 일 정 비율을 포인트로 적립한다.
적립되는 포인트 비율은 가맹점마다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구매 금액이 30,000원이고 할인 금액이 2,000원인 경우, 포인트 적립부(251)는 실제 결제 금액인 28,000에 대해 일정 비율(예를 들어, 2%)에 해당하는 포인트 56점을 적립시켜 주는 것이다.
포인트 재적립부(253)는 구매를 위하여 차감된 포인트에 대해 일정 비율을 포인트로 재적립한다.
이때 일정 비율은 실제 결제 금액에 적용되는 비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할인 금액이 20,000 원이고 이에 해당하는 포인트가 20,000점인 경우 포인트 결제부(251)는 기존 적립된 포인트에서 20,000점을 차 감하고, 포인트 재적립부(253)는 차감된 20,000점 중 일정 비율(50%로 가정)에 해당하는 10,000점을 포인트로 다시 적립하는 것이다.
재적립에 대한 비율은 높게 설정하여야 문화콘텐츠 투어시에도 가맹점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포인트의 재활용으로 포인트의 적립 및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보다 작은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포인트 재적립부는 사용한 포인트의 일정 비율을 포인트로 재적립한다.
이는 본 발명의 특성 상 적립된 포인트로 문화콘텐츠 투어를 장려하고 문화콘텐츠 투어 시 다시 가맹점을 방문 하여 품목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순환고리를 만들어 즉 구매로 인한 포인트 적립, 포인트를 사용하기 위한 문화콘텐츠 투어, 투어시 가맹점 방문으로 다시 포인트 재적립이라는 순환고리를 만들어 구매를 활성화시 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10,000점이고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가 20,000점인 경우에 포인트 결제 부는 기존 적립된 포인트 10,000점을 사용하고 마이너스 포인트 10,000점을 생성한다.
그리고 포인트 재적립부는 사용된 포인트 10,000점에 대한 일정비율(50%가정)에 해당하는 5,000점을 포인트로 다시 적립한다. 그러므로 궁극적으로 마이너스 포인트는 재적립된 포인트 5,000점에 의해 차감되어 -5,000점이 된다.
포인트 조회부(254)는 가맹점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해 현재 잔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 로 전송한다.
즉 포인트 조회부(254)는 물품 구매시 본 발명에 따른 할인 혜택을 제공받기 전에 사용자에게 현재 남아있는 포 인트가 얼마인지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포인트 잔여 정보를 기초로 물품 구매시 할인을 요청하거나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앞서 살핀 바와 같이 포인트 잔여 점수가 모자란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할인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구성의 구현이 가능하다.
가맹점처리부(260)는 가맹점을 지역별로 위치정보별로 등록하고 단말기 사용자의 숙소(거점)를 기준으로 반경 1km이내의 가맹점을 검색하여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한다.
가맹점은 국내외 어디에서든 등록이 가능하다.
또한, 지원센터(400)는 각 지역별 등록된 서비스나 품목을 보고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 인기가 있는 품목 중 일 부를 한국에 등록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이때를 위하여 번역부(280)를 구비하고, 페이지 번역이나 또는 문장 번역을 행한 뒤 관련 지역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가맹점은 매 1년 마다 평가를 하여 연장 또는 계약 해지를 하게 하여 우수한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하도 록 한다.
매 1년 마다의 평가는 품질, 청결 등 지역주민 평가 상위 사업장을 기준으로 하면, 거점을 중심으로 반경 1km이 내(이하, 단위지역이라 함)의 가맹점을 단말기로 송부할 때는 사업장 수가 업종별로 2개를 넘지 않게 하여 안내 하도록 한다.
이러한 평가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도록 한다. 즉, 해당 품목 또는 해당 서비스를 취급하는 가맹점들을 추출하여 그 가맹점들에 고객관련정보를 요청 및 수신 하고, 각 가맹점들의 고객관련정보와 가맹점평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추출된 가맹점들을 서열화하여 높은 순위의 가맹점을 등록 가맹점으로 선정하되, 가격, 할인내용, 추천누적횟수, 방문환영시간, 가맹점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추천선정기준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연산하여 구해진 값을 근거로 등록 가맹점을 선정하도록 한다.
아래 표 1에 단위지역 내에 Offline Infra(가맹점)이 예시되어 있다.
표 1을 참고하면, 숙소, 음식점, 그리고 편의점은 종류별로 각 1개씩 가맹점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숙소의 경우 호텔, 모텔, 레지던스 별로 각 1개씩 선정하고, 약국이나 커피샵과 같은 자주 이용하는 곳은 단위지역을 중심으로 2군데 선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반경 1km이내에서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숙소는 호텔, 모텔 그리고 레지던스와 같이 각 종류별로 1 개씩 선정하고, 음식점과 그리고 편의점도 종류별로 각 1개씩 선정하고, 자주 이용하는 곳은 2곳을 선정하는 것 이다
반경 1km이내의 기준은 직경이 최대 2km이므로 짧은 거리에 가맹점들이 분포되어 있어 도보로도 방문일정을 잡 기가 쉽다는 것이다.
또한, 가맹점 방문 중에도 거점(숙소)으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기 때문에 돌발 변수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버(200)는 가맹점을 등록받을 때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표 1에서와 같이 1 km의 반경내에는 해당 가맹 점들이 분포될 수 있도록 배정하여야 한다.
또한, 반경 1km이상은 투어할 가맹점 수도 많아지고 이동할 거리도 힘들 뿐만 아니라 차량을 이용해야 할 수도 있으므로 효과적인 가맹점들의 배치가 쉽지 않을 수가 있다.
DB(270)는 가맹점별 할인율이나, 또는 단말기(300) 사용자의 구매 현황 및 포인트 점수, 가맹점의 판매현황, 등 록된 품목과 서비스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테이블로 보관한다.
가맹점에서 서버에 등록할 수 있는 품목은 K-POP, K-DRAMA, K-CULTURE, K-BEAUTY, KFOOD, K-GOODS, 그리고 K- Health 등이 있을 수 있고, 등록가능한 서비스로는 숙박(stay)과 비지니스(Business)로 구분하고, "Stay"에는 호텔숙박권, 식사이용권, 공연장이용권, 관람권, 콘서트입장권, 헤어샵이용권, 스포츠센터 이용권 등이 될 수 있으며, "Business"에는 부동산임차권, 세미나장 이용권, 화상회의실 이용권, 회의실 이용권, 사우나이용권 등 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지역별로, 국가별로, 컨텐츠 기준으로 또는 품목 기준으로 품목과 서비스를 구 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역으로 "서울,경기"를 선택하면, Hotel, Tour, Shopping, Food, Medical, Beauty, Wellbeing, Fair, Sports 등으로 표시하고, "contents"로는 위대한 태권도, K-Culture, K-POP, 놀이공원, Wedding 등을 " 식당/회의"로는 K FOOD, K Contents, Meeting, 그리고 Conference 등을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제어부(220)는 가맹점이 품목이나 서비스를 등록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분류할 수 있는 모든 형태 에 대하여 분류하여 등록하게 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기(100)는 국내외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포인트와 결제 그리고 쿠폰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동작한 다.
따라서 가맹점 단말기(100)는 통신인터페이스(110), 결제와 포인트 정보를 관리하는 처리부(120), 입력부(130) 및 표시부(140) 그리고 근거리통신부(150)를 포함한다.
통신인터페이스(110)는 웹을 통해 서버(200), 단말기(300) 등과 통신한다.
입력부(130)는 관리자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가맹점주는 입력부(130)를 통해 가맹점의 품 목별 매출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저장부(160)에는 해당 가맹점에서 제공하고 있는 포인트 이용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입력된 판매품목 별 매출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에 따라 포인트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어 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포인트정보를 요청하였던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고, 소멸 예정 포인트가 검색되는 경우 포인트정 보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300)의 위치에 따른 메시지, 쿠폰, 포인트 안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Beacon과 블루투스 를 결합한 근거리 무선통신부(150)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부(150)는 가맹점 내에 설치할 수도 있고, 단말기 사용자가 가맹점 내 처음 들어오는 곳 에 설치하여 이벤트나 메시지 등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즉, Beacon을 가맹점 근처에 설치하고, 단말기(300)가 접근하면 가맹점이 근접했다는 알람을 표시할 수도 있고, 비콘을 활용하여 가맹점에 방문한 전 고객을 대상으로 불특정 시간에 고객이 다운받은 휴대폰앱으로 쿠폰 또는 상품을 쏘아주는 뜻 밖의 행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쿠폰의 제공은 결국 내점을 유도하여 매출을 올릴 수가 있는 것이다.
비콘은 소량의 패킷 전송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두 기기를 연결시키는 페어링(pairing)이 불필요하며 저전력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 저비용으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비콘은 비접촉식으로 최대 50m의 원거리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오차범위 5cm 이내로 기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일대다 및 다대다 서비스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광고 및 정보 전송, 홈오토메이션, 결제 등의 다양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면 매장 내에 고객의 내점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쿠폰이나 포인트를 부여하거나, 전시회나 박물관에 서 현재 관람객이 감상하는 작품에 대한 자동 설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콘 그 자체는 위치를 알려주는 기준점 역할을 수행하고 실제 정보 전달은 블루투스, 적외선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를 결합한 블루투스 비콘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현재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기반의 비콘 기술을 일반적으로 비콘이라고 부른다. 이 기술은 블루투 스 4.0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에 해당한다.
처리부(12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포인트정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 고,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생성된 포인트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또한, 처리부(120)는 사용자가 보유중인 포인트 중 소멸 예정 포인트를 조회하고, 소멸 예정 포인트의 이용방법 을 안내하는 포인트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보유중인 포인트 정보는 단말기(300)가 직접 전송하거나, 혹은, 가맹점 단말기(100)의 저장부(160)에서 관리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포인트정보 제공 서비스와 결제, 데이터 입력 현황 등을 표시한다.
지원센터(400)는 서버(200)와 실시간으로 접속되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그리고 전통문화예술인들의 해외 마케 팅, 국내 인프라 제휴, 트레이딩, Fair 등을 관리한다.
또한, 지원센터(400)는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고 고객 유치와 고객 케어 그리고 예약 및 사후관리 등의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필요한 경우 번역, 통역 및 큐레이터, 영상 통화, 투어가이드(Native Speaker) 등을 수행하고 수출입, 부동산 매매, 임대, 투자, 기업 M&A, 기업 홍보 등에 따른 업무 소개 및 계약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단말기(300)는 서버(200)와 통신하는 통신모듈(310),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사용자 앱부(350), 통신 모듈(310)을 통하여 웹에 접속하고, 가맹점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앱부(3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단말기표시부(330)에 물품 또는 서비스를 표시하고 구매하거나 또는 결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제어 부(320)를 포함한다.
사용자앱부(350)는 앱스토어 등을 통하여 관련 앱을 다운받아 저장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앱(App)의 설치과정에서 회원가입을 통하여 서버의 인증과정을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E-mail 또는 비밀번호와 같이 회원 고유 ID와 함께 간단하게 회원가입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앱은 웹사이트로 동작되는 서버에 접속해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도 있으나, IOS 계열이건 안드로이 드 계열이건 관계없이 각 OS에 맞는 앱을 앱 스토어에 올려서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앱(App)의 다운 및 설치과정 그리고 인증단계 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320)는 사용자 앱부(3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거점을 중심으로 반경 1km이내)내의 가맹점을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서버(200)로 거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값을 기준으로 단말기표시부(330)에 지도와 함께 가맹점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320)는 사용자 앱부(3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맹점 정보 또는 포인트 확 인 등을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370)는 가맹점내에서 비콘으로 동작되는 근거리통신부(150)와 통신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주요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를 이용한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포인트(적립금) 적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표시된 가 맹점을 확인하고 필요한 품목을 구매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이용한다(S110).
단계 S110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품목 및 서비스를 서버(200)에 등록하고, 단말기(3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버(200)에 접속하고,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등록된 상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품목과 서비스의 등록은 국내외 어디에서도 가능하면 국내외 어디에서도 물품의 구매와 서비 스의 이용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때, 단말기(3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거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수신한 가맹점을 표시할 때 거점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반경 1km를 넘지 않아야 하므로, 서버(200)는 반경 1km이내의 가맹점들을 선정 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안내도를 각 단말기의 관점에서 살핀 참고 도면을 보면, 두 거점(A,B)을 기준으 로 반경 1km이내에 등록된 가맹점들이 표시된다.
두 거점은 호텔이나 모텔과 같은 숙소일 수 있으며, 각 거점을 중심으로 반경 1km이내의 가맹점들이 표시되므로 결국 두 거점(A,B)의 거리도 2km이내가 될 것이다.
이때 서버제어부(220)는 해당 단위지역내에 등록된 가맹점을 품목과 서비스내용으로 분류하여 표시하되, 품목과 서비스 별로 가맹점 수를 많아도 2개 이하로 선정하고 선정된 사업장 정보를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서버(200)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300)는 수신한 가맹점 정보를 품목과 서비스별로 표시하거나, 지 역별로 표시하거나, 컨텐츠별로 표시하거나, 둘 이상의 품목을 결합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거점을 중심으로 지도 를 표시하고 지도상에 가맹점이 모두 지도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초기 가맹점 데이터 수신하면 지도상에 각 가맹점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사용자를 중심으로 가 맹점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유리하다.
단계 S110에서 품목이나 또는 서비스를 구매 또는 이용하고 난 다음에는 결제를 진행한다(S111).
단계 S111에서는 결제를 진행하기 전 단말기 (300) 소지자가 가맹점 방문 시 가맹점내에 비치된 Beacon을 위치 정보 기반으로 실시간 멤버십, 쿠폰, 이벤트, 또는 메시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제공된 멤버십 내역, 할인 쿠폰 정보, 상품정보, 포인트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와 관련된 정보컨텐츠를 제공하여, 품목 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후 할인서비스를 받거나 포인트를 적립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품목의 구매나 서비스 이용 시 결제는 포인트와 다른 가치매체(카드, 현금, 쿠폰, 등)로 결 제를 하고, 포인트를 제외한 다른 가치매체로ㅓ 결제를 할 때는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립된 포인트는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문화콘텐츠 이용시 결제 할 수 있도록 하고, 문화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하여 멤버십, 쿠폰, 이벤트, 또는 메시지에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도록 하면 별도의 포인트가 적립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단계 S111에서 결제로 판단되면 가맹점주는 가맹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결제 금액을 입력하고, 할인 금액 등을 확인하고(S112), 결제가 이루어지면 설정된 포인트를 누적시켜 서버(200) 또는 저장부(160)에 포인트를 누 적시킨다(S113).
가맹점은 가맹점 단말기(100)를 통해 물품 구매 금액, 할인금액 및 포인트 적립금 요청 정보를 서버(200)로 전 송하면 서버(200)는 물품 구매 금액에 따른 할인금액과 포인트 적립금을 산정하여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하고, 가맹점 단말기(100)는 결제 시 포인트는 누적하여 저장하고, 물품구매금액에서 할인금액을 차감하여 결제를 하 면 된다.
결국 도 2에서는 가맹점에서 품목 구매나 서비스를 이용하여 할인이나 쿠폰 등 여러 가지 이벤트에 따른 결제 금액을 혜택받으면서도 포인트를 누적시키는 것이다.
물론 가맹점의 설정 조건에 따라 할인이나 포인트 적립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고, 이중으로 혜택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결제시 필요한 항목으로 선택하여 진행하면 된다.
본 발명은 누적된 포인트를 사용하여 문화콘텐츠 투어 이벤트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므로, 가맹 점 사용으로 인한 결제시는 포인트를 누적시키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문화콘텐츠는 문화적 요소가 체계화되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 상품으로, 이러한 문화적 요소에는 생활 양식, 전통문화, 예술, 대중문화, 신화 역사 기록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캐릭터, 만 화, 음약, 예술, 출판, e-book, 방송영상, 디자인, 패션, 공예, 광고 등을 포함하여 그 지역 특성에 맞는 문화 콘텐츠를 운영자가 선별하여 서버에 이벤트로 등록하고, 가입자를 모집한 뒤 투어를 실시하는 것을 문화콘텐츠 투어이다.
또한, 서버(200)는 단계 S110에서 가맹점을 표시할 때 수신된 거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반경 1km이내에 존 재하는 가맹점 중에 단말기 사용자가 보유한 포인트 중 유효기간의 만료가 임박한 소멸 예정 포인트를 조회한 다음, 소멸 예정 포인트가 있다면, 소멸예정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 정보를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소명 예정 포인트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10이후, 단말기에 표시된 가맹점의 품목 또는 서비스를 선택할 경우 예상 대기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아이템은 예상 대기 시간을 표시하고, 가맹점 방문전에 선주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선주문도 품목 또는 서비스 선택 시 선주문 창을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하고, 선주문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데이터는 가맹점으로 전송되어 미리 대기하게 된다.
또한, 선주문이 이루어진 단말기 소지자가 해당 가맹점의 Beacon을 통해 방문 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 되어 선 주문한 내용이 가맹점으로 자동으로 전송되어 주문자가 현재 내장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한 뒤 조 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단계 S111에서 결제시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보다 큰 경우에는 할인 혜택을 적용하지만, 작은 경우에는 할인 혜택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를 이용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2의 결제화면 즉 단계 S111 에서의 결제단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문화콘텐츠 관련 결제인지를 서버(200)는 판단한다(S120).
단계 S120에서 문화콘텐츠관련 결제이면 결제 금액을 확인하고 포인트로 결제할 수 있는 준비를 한다(S121). 이 경우에도 각종 할인이나 이벤트 쿠폰 등을 이용하여 결제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121에서 최종 결제금액과 결제할 포인트가 확인되면 단계 S122에서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구매결제를 하게 된다.
포인트로 구매 결제를 원치 않을 때는 단계 S127로 연결되어 일반 결제를 하게 된다. 일반 결제란 최종 결제 금 액이 확정되면 포인트를 제외한 가치매체로 결제를 하고 사용된 금액에 비례하는 포인트를 적립받는 결제를 의 미한다.
단계 S122에서 포인트로 구매 결제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최종 결제 금액에 대하여 포인트로 결제를 한다 (S123).
이때, 본 발명은 문화콘텐츠와 연계된 결제인 경우 포인트로 결제하게 하고 결제한 포인트에서 일부를 재적립해 주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포인트의 재적립은 포인트 재적립부(253)에서 사용된 포인트에 대한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다시 적립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된 포인트에 대한 재적립비율이 50%라면, 포인트 재적립부(253)는 사용된 포인트 10,000점에 대 한 일정비율(50%가정)에 해당하는 5,000점을 포인트로 다시 적립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재적립포인트는 문화콘텐츠와 연관된 결제에서는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적극적인 포인트 사용을 권 장하여 문화콘텐츠를 활성화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문화콘텐츠 관련 결제가 아니면 해당 재적립 포인트는 취소되고 확인된 금액만큼 일반 결제를 진행하고 포인트는 누적된다(S124 ~ S127).
한편, 단계 S120에서 문화콘텐츠 관련 결제가 아니고 일반 구매 결제인 경우에도 확인된 금액 만큼 일반 결제를 진행하고 포인트는 누적된다(S130 ~ S132).
결국 문화콘텐츠 관련 가맹점 사용에 따른 포인트 결제인 경우에 페이백 서비스로 포인트를 재적립해주는 것이 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 기반 전자 상 거래 플랫폼(E-commerce platform)으로 운영되고, 언제 어디서든 국내외 물품 및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유선인터넷이 안되는 후진국도 단말기 사용은 가능하다는 것과, 안적적인 배송을 위하여 우체국 EMS 특송 계약을 체결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품목 및 서비스를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가 등록한 상품을 구매하 거나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설정된 포인트를 적립받는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에 있 어서,
    (a)상기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활동의 중심지인 거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상기 서버는 수신된 거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이내를 단위지역으로 설정하고, 해당 단위 지역내에 등록된 가맹점을 품목과 서비스내용으로 분류하여 표시하되, 상기 품목과 서비스 별로 가맹점 수를 2 개 이하로 선정하고 선정된 사업장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가맹점 정보를 품목과 서비스별로 표시하거나, 지역별로 표시하거나, 컨텐츠별로 표시하거나, 둘 이상의 품목을 결합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거점을 중심으로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지도상에 상기 가맹점이 모두 지도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d)단말기소지자의 상기 가맹점 방문 시 가맹점내에 비치된 비콘(Beacon)을 위치정보 기반으로 실시간 멤버십, 쿠폰, 이벤트, 또는 메시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상기 단말기는 상기 (d)단계에서 제공된 멤버십 내역, 할인 쿠폰 정보, 상품정보, 포인트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와 관련된 정보컨텐츠를 제공하여, 품목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후 할인서비스를 받거나 포인트를 적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서버는 수신된 거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반경 1km이내에 존재하는 가맹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포인트 중 유효기간의 만료가 임박한 소멸 예정 포인트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가맹점에서 상기 소멸예정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해당 품목 또는 해당 서비스를 취급하는 가맹점들을 추출하여 그 가맹점들에 고객관련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각 가맹점들의 고객관련정보와 가맹점평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추출된 가맹점들을 서열화하여 높은 순위의 가맹 점을 등록 가맹점으로 선정하되, 가격, 할인내용, 추천누적횟수, 방문환영시간, 가맹점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추 천선정기준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연산하여 구해진 값을 근거로 등록 가맹점을 선정하는 단말기 기반 전자 상 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품목 또는 서비스 선택시 예상 대기 시간을 표시하고, 선주문이 가능하도록 동작하고, 선주문이 이루어진 경우, 단말기 소지자가 해당 가맹점의 비콘(Beacon)을 통해 방문 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선 주문한 내 용이 가맹점으로 자동으로 전송되는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가맹점에서 포인트를 사용하여 품목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 품목 구매 금액 또는 서비스 이용 금액에 대한 가맹점 할인율을 적용한 포인트 할인 금액을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단계;및
    상기 기존 적립된 포인트와 상기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비교하여, 상기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상기 할 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보다 크면 상기 기존 적립된 포인트에서 상기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 고, 상기 기존 적립된 포인트가 상기 할인 금액에 해당하는 포인트보다 작으면 상기 부족한 포인트를 마이너스 포인트로 생성하여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립된 포인트는
    국내 또는 해외의 문화콘텐츠 투어 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며, 투어 중 가맹점 방문시 품목 구매 금액 또는 서 비스 이용 금액에 대한 가맹점 할인율을 적용한 포인트 할인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차감된 포인트의 일정 비율 을 재적립하는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KR1020210101152A 2021-08-02 2021-08-02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KR20230019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152A KR20230019535A (ko) 2021-08-02 2021-08-02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152A KR20230019535A (ko) 2021-08-02 2021-08-02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535A true KR20230019535A (ko) 2023-02-09

Family

ID=8522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152A KR20230019535A (ko) 2021-08-02 2021-08-02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95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79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hopping experience and personalized pricing of products and services with a portable computing device
JP6523272B2 (ja) 還元ポイントを用いるモバイル支払システム
US20080046331A1 (en) Universal virtual shopping cart
EP36675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rchant-consumer interactions
US201400400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rchant-Consumer Interactions
US201301590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centives and purchase opportunities to reward program members
US201301733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rketing and sales promotion
JP6463844B2 (ja) キオスクギフトカード製造システム
JP6722375B2 (ja) 知人の商品購買履歴、関心商品及び利用後記を活用した商品販売システム
US20140089095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WPT) With Integrated Advertising Channel
KR102087298B1 (ko) 포스 기반 고객 마케팅 시스템, 그 제어방법
KR101631609B1 (ko)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CN112150249A (zh) 一种用于推荐物品售出个性化商品推荐引流方法
JP2016091388A (ja) 時間を単位とする販促ポイントの流通方法及び流通管理システム
KR101868045B1 (ko) 오프라인 매장에서 모바일 결제 방법
US201802327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ized sale and purchase of quantity based consumer goods at multiple purchase opportunities over extended period of time
KR20230019535A (ko) 포인트결재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KR20180119769A (ko) 단말기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방법
JP2005149174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Istrefi et al. Mobile payment through integrated NFC module on smartphones
KR102588629B1 (ko) 소상공인 매장을 위한 기프티콘 발행 시스템
KR20140005594A (ko) 앱 구동으로 아이디와 패스워드 없이 개별 인증하여 등록을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475754B1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실시간 랜덤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11844B1 (ko) 온/오프라인 고객 공유 시스템
KR20120137634A (ko) 브랜드 클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브랜드 클럽 관리 장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단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