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374A -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374A
KR20230018374A KR1020227041191A KR20227041191A KR20230018374A KR 20230018374 A KR20230018374 A KR 20230018374A KR 1020227041191 A KR1020227041191 A KR 1020227041191A KR 20227041191 A KR20227041191 A KR 20227041191A KR 20230018374 A KR20230018374 A KR 20230018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top
tubing
delivery devic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맥케나
존 코넬리
Original Assignee
아카우오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우오스, 인크. filed Critical 아카우오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18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1Right-angle needle-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having means for monitoring, controlling or visual inspection, e.g. for patency check, avoiding extrava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유체를 귀에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10)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핸들 부분(12); 핸들 부분(12)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고 구부러진 바늘(38)을 포함하는 바늘 서브 어셈블리(26); 및 핸들 부분(12)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배관(36)을 포함한다. 구부러진 바늘(38)은 핸들 부분(12)을 통해 연장되고 배관(36)에 직접적으로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 특허 가출원 일련 번호 제63/030,519호(출원일: 2020년 5월 27일), 제63/126,270호(출원일: 2020년 12월 16일), 및 제63/151,610호(출원일: 2021년 2월 19일)(발명의 명칭: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FLUID TO THE INNER EAR")에 대한 우선권 및 이의 이득을 주장하고, 이 기초 출원은 본 명세서에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내이(inner ear)로의 치료제의 전달은 상당한 도전을 제공한다. 관련 기관은 두개골 내에 깊숙이 묻히고, 뼈로 둘러싸여 있으며, 혈액 달팽이관 장벽에 의해 혈액 순환계와 분리된다. 코르티 기관을 포함하는 내이의 기관 중 일부는 특히 접근하기 어렵고 취약하다.
치료제를 포함하는 유체는 이것이 원창 막(round window membrane: RWM)을 가로질러 내이 내로 확산되기를 희망하면서 중이강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투여된 유체 및 치료제의 매우 적은 비율만이 실제로, 내이의 유체 공간에 진입한다. 내이 전체에 걸친 분포는 일반적으로, 단순한 확산에 의존하며, 이는 전달된 유체 및 치료제로 하여금 이것이 내이의 타깃 작용 부위에 도달할 때까지 고도로 희석되게 한다.
본 개시된 실시형태는 유체를 내이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은 내이의 외림프액에 유체를 투여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은 와우내 경로를 통해 투여된 치료제를 포함하는 유체의 안전성 및 효능 둘 모두에 대해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비해 잠재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의 설계 요소는 주입된 유체의 무균 상태의 유지; 내이에 유입된 기포의 최소화; 제어된 유량으로 소량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예를 들면, 표준 펌프 사용과 결합될 때); 외과의에 의해 외이도를 통해 전달하는 동안 원창 막(RWM)의 시각화 허용; RWM, 또는 RWM 너머의 내이 구조에 대한 손상 최소화; 및 RWM을 통해 누출되는 테스트 품목의 최소화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귀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핸들 부분; 핸들 부분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고 구부러진 바늘을 포함하는 바늘 서브 어셈블리; 및 핸들 부분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배관을 포함한다. 구부러진 바늘은 핸들 부분을 통해 연장되고 배관에 직접적으로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바늘 서브 어셈블리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신축식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핸들의 원위 단부는 신축식 지지부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신축식 지지부는 다수의 내포된 하이포튜브(nested hypotube)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구부러진 바늘은 적어도 하나의 막을 뚫기 위한 각진 팁; 및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핸들 부분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응력 방출 피처(strain relief feature)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카메라(예를 들면, 원위 팁 카메라)를 포함한다. 원위 팁 카메라는 바늘 하위 어셈블리 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관은 핸들 부분의 중공 내부 내에서 구부러진 바늘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약 0.005인치로부터 약 0.01인치까지의 내경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구부러진 부분은 약 0.5㎜로부터 약 5㎜까지(예를 들면, 약 1㎜로부터 약 3㎜까지, 예컨대, 약 1.4㎜)의 길이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도는 약 20도로부터 약 70도까지(예컨대, 약 20도로부터 약 60도까지, 예컨대, 약 20도로부터 약 50도까지, 예컨대, 약 20도로부터 약 40도까지, 예컨대, 약 30도 예컨대, 약 30도로부터 약 70도까지, 예컨대, 약 40도로부터 약 60도까지, 예컨대, 약 55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도는 약 30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도는 약 55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구부러진 바늘은 약 10으로부터 약 35까지, 예컨대, 약 20으로부터 약 35까지, 예컨대, 약 30으로부터 약 35까지의 범위 내의 게이지 예컨대, 33 게이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구부러진 바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핸들 부분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에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구부러진 바늘에 결합된 정지부를 포함한다. 정지부는 내이 내에 배치하고 각진 팁이 달팽이관 내로 돌출하는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고 크기가 조정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지부는 실린더 디스크 형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지부는 구부러진 바늘에 제자리에 성형되고, 정지부는 구부러진 바늘이 목적하는 양을 초과하여 적어도 하나의 막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지부는 각진 팁의 원위 단부로부터 약 0.2㎜ 내지 약 1.2㎜(예컨대, 약 0.4㎜로부터 약 1.0㎜까지, 예컨대, 약 0.6㎜로부터 약 0.9㎜까지, 예컨대, 약 0.85㎜)의 거리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지부는 약 0.2㎜로부터 약 1.2㎜까지(예컨대, 약 0.4㎜로부터 약 1.0㎜까지, 예컨대, 약 0.6㎜로부터 약 0.9㎜까지, 예컨대, 약 0.85㎜)의 직경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지부는 약 0.2㎜로부터 약 1.0㎜까지(예컨대, 약 0.3㎜로부터 약 0.7㎜까지, 예컨대, 약 0.4㎜로부터 약 0.6㎜까지, 예컨대, 약 0.5㎜)의 높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내포된 하이포튜브의 각각의 하이포튜브는 약 10으로부터 약 30까지의(예컨대, 14XH, 20TW, 23XTW, 및/또는 27TW) 게이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내포된 하이포튜브의 각각의 하이포튜브는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핸들 부분은 핸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테이퍼링된 부분(tapered portion)을 더 포함하고, 신축식 지지부는 테이퍼링된 부분에 결합된다. 핸들은 (예컨대, 신축식 지지부의 제2 근위 단부가 제1 원위 단부에 결합되도록) 제1 원위 단부까지 아래로 테이퍼링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신축식 지지부는 근위 단부에서 약 0.2인치 또는 이 미만의 외경으로부터 원위 단부에서 약 0.01인치 또는 이보다 큰 외경으로 테이퍼링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핸들 부분은 촉각 및 제어를 위한 기계 가공된 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핸들 부분은 내이 내로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되고 크기가 조정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응력 방출 피처는 층상 돌출부(예컨대, 층상 페박스 돌출부(layered Pebax extrusion))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응력 방출 피처는 배관의 꼬임 및/또는 변형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관은 압축 피트를 통해 구부러진 바늘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관은 폴리에터 에터 케톤(PEEK)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관은 약 0.003인치로부터 약 0.01인치까지(예컨대, 약 0.007인치)의 내경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관은 약 1/64인치로부터 약 1/16인치까지(예컨대, 약 1/32인치)의 외경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관은 20인치보다 큰, 예컨대, 30인치보다 큰, 예컨대, 40인치보다 큰, 예컨대, 50인치보다 큰, 예컨대, 60인치보다 큰, 예컨대, 약 60인치의 길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멸균 및/또는 생체 적합성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진 팁은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유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구부러진 바늘의 구부러진 부분으로부터 돌출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디바이스 및 배관에 유체 결합된 멸균된 주사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펌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펌프는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유체의 유량을 (예컨대, 약 10 ㎕/분으로부터 약 60 ㎕/분까지, 예컨대, 약 15 ㎕/분으로부터 약 55 ㎕/분까지, 예컨대, 약 20 ㎕/분으로부터 약 50 ㎕/분까지, 예컨대, 약 25 ㎕/분으로부터 약 45 ㎕/분까지, 예컨대, 약 25 ㎕/분으로부터 약 40 ㎕/분까지, 예컨대, 약 20 ㎕/분으로부터 약 35 ㎕/분까지, 예컨대, 약 30 ㎕/분의 레이트로)(예컨대, 약 10 ㎕/분으로부터 약 200 ㎕/분까지, 예컨대, 약 20 ㎕/분으로부터 약 180 ㎕/분까지, 예컨대, 약 30 ㎕/분으로부터 약 180 ㎕/분까지, 예컨대, 약 40 ㎕/분으로부터 약 150 ㎕/분까지, 예컨대, 약 50 ㎕/분으로부터 약 150 ㎕/분까지, 예컨대, 약 60 ㎕/분으로부터 약 140 ㎕/분까지, 예컨대, 약 70 ㎕/분으로부터 약 130 ㎕/분까지, 예컨대, 약 80 ㎕/분으로부터 약 120 ㎕/분까지, 예컨대, 약 90 ㎕/분으로부터 약 110 ㎕/분까지, 예컨대, 약 100 ㎕/분의 레이트로) 제어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지부는 구부러진 바늘 내에 배치된 정지부 고정 홈 주위에 안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신축식 지지부와 핸들 부분 사이의 경계면에 배치된 환형 버팀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핸들 부분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계 가공된 미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기계 가공된 미늘은 응력 방출 피처와 인터페이싱하고 핸들 부분과 응력 방출 피처 사이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원위 단부; 및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정지부를 포함하는 전달 디바이스;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원위 팁 카메라; 및 원위 팁 카메라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모니터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모니터는 원위 팁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지부는 투명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지부는 원위 팁 카메라가 정지부를 통해 보기 위해 투명한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는 정지부의 전방 표면 위에 배치되고, 정지부의 전방 표면은 타깃을 향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타깃은 귀의 일부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는 정지부 내에 내장(예컨대, 통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는 정지부 뒤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달 시스템은 원위 팁 카메라와 모니터 사이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는 자동 초점 특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는 직육면체 형상, 칩 형상, 원통형 형상, 및 이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미지 센서는 약 90°로부터 약 150°까지의 시야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미지 센서는 최대 100㎜까지의 높이와 함께 최대 10㎜×10㎜까지의 치수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 및/또는 최대 100㎜까지의 길이와 함께 최대 10㎜까지의 외경을 포함하는 원통형 형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미지 센서는 초당 적어도 5 프레임(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적어도 10×10 픽셀 해상도 비디오를 캡처할 수 있는 이미지 어레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미지 센서는 기껏해야 10㎜×10㎜의 이미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미지 센서는 최대 10㎜까지의 광학 포맷, 및 최대 10㎛까지의 픽셀 크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달 시스템은 이미지 센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달 시스템은 구동기 패키지 및/또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달 시스템은 광섬유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원위 팁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는 정지부를 포함하는 바늘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와이어; 이미지 센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 및 이미지 센서에 의해 캡처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세싱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모니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내이의 일부에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한 외과적 절차를 제공하며, 이는 후방 고막 피판(posterior tympanomeatal flap)을 발달시키는 것; 등골 발판에 개구를 생성하는 것;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바늘로 원창을 뚫는 것; 원창 내에서 목적하는 삽입 깊이에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배치하는 것; 및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내이로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차는 원창을 뚫기 이전에 원위 팁 카메라, 내시경, 및/또는 수술 현미경을 활성화하는 것; 및 원창을 뚫기 이전에 원위 팁 카메라, 내시경, 및/또는 수술 현미경을 통해 내이에 걸친 치료액의 유량 및/또는 치료액의 분포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차는 원창을 뚫기 이전에 원위 팁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원위 팁 카메라는 절차 동안 외과의가 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는 것은 마이크로 큐렛(micro curette) 및/또는 드릴을 사용하여 후방 고막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차는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기 이전에 귀를 준비하고 덮는 것(draping); 귀를 준비하고 덮기 이전에 환자를 배치하는 것; 환자를 배치하기 이전에 마취를 유도하는 것; 및 마취를 유도하기 이전에 귀를 마킹(mark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차는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기 이전에 유체 전달 디바이스와 상류 펌프 사이에 배관를 연결하는 것;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기 이전에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멸균하는 것; 및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기 이전에 시스템을 프라이밍(prim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액은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유전자 요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차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치료액을 흐르게 한 후에 내이로부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것; 및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제거한 후에 원창 막 및/또는 등골 발판에 적어도 하나의 피부 치료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차는 적어도 하나의 피부 치료를 적용한 후에 후방 고막 피판을 원래 위치로 다시 복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차는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킨 후에, 골관과 고막 및/또는 위막 돌출 뼈의 접합부로부터 뼈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차는 뼈를 제거하기 위해 다이아몬드 드릴 및/또는 이과 드릴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등골 발판에 개구를 생성하는 것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등골 발판에 개구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레이저는 이과 레이저(otologic laser)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차는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기 이전에 환자의 외이도에 마취제 및 아드레날린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귀를 준비하는 것은 귀에 적어도 하나의 방부제를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부제는 포비돈-요오드(povidone-iodine), 요오도포비돈(iodopovidone), 베타딘(betadine), 워카딘(wokadine) 및/또는 피오딘(pyodine)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피부 치료는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또는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내이의 일부에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한(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등골 발판에 개구를 생성하는 단계;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바늘로 원창을 뚫는 단계; 원창 내에서 목적하는 삽입 깊이에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배치하는 단계; 및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내이로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치료액은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유전자 요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내이의 일부에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한(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등골 발판에 개구를 생성하는 단계;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바늘로 원창을 뚫는 단계; 원창 내에서 목적하는 삽입 깊이에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배치하는 단계; 및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내이로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목적하는 삽입 깊이는 약 0.7㎜로부터 약 1.0㎜까지의 깊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내이로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는 약 20 ㎕/분으로부터 약 100 ㎕/분까지의 유량으로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내이로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는 약 0.07㎖로부터 약 0.11㎖까지의 범위의 치료액의 총 체적을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내이로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는 약 1분으로부터 약 5분까지의 범위의 시간 지속기간 동안 치료액을 흐르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귀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핸들 부분; 핸들 부분의 원위 단부에 결합된 신축식 지지부; 신축식 지지부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고 구부러진 바늘을 포함하는 바늘 서브 어셈블리; 및 핸들 부분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배관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전달 디바이스 및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정지부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포장 시스템은 장착 표면; 및 전달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네스팅(device nesting)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네스팅은 장착 표면에 장착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달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시스템을 제공하며, 포장 시스템은 장착 표면; 및 전달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네스팅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네스팅은 장착 표면에 장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장착 표면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쌍의 반대로 지향된 슬릿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반대로 지향된 슬릿의 쌍은 전달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에 유체 결합된 배관을 유지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디바이스 네스팅 내에 배치된 복수의 네스팅 노치를 포함하고, 네스팅 노치는 전달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본체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장착 표면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슬릿; 및 디바이스 네스팅에 걸쳐 연장되고 부착 슬릿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 네스팅은 바이올린 형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전달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네스팅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꼬임 타이(twist-tie)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반대로 지향된 슬릿의 쌍은 반대로 지향된 슬릿의 쌍이 장착 표면에 손상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느 하나의 단부에 한 쌍의 만곡된 단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달 디바이스는 원위 팁 및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본체; 및 근위 단부에 유체 결합된 배관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내이에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전달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시스템을 제공하며, 포장 시스템은 장착 표면; 및 전달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네스팅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네스팅은 장착 표면에 장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전달 디바이스의 상류에 유체 결합된 PEEK 배관; 및 PEEK 배관 주위에 배치된 슬리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배관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 주위에 동심으로 배치된 슬리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슬리브는 중합체 물질로 구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내이 내로 치료액을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의 내이의 일부에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한 외과적 절차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과적 절차는 경관 고막절개술을 수행하는 것; 레이저 보조 미세 등골절개술을 수행하는 것;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내이 내로 치료액을 주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과적 절차는 경관 고막절개술을 수행하는 것; 레이저 보조 미세 등골절개술을 수행하는 것;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내이 내로 치료액을 주입하는 것; 환자의 원창 및/또는 난원창 주위에 밀봉재를 적용하는 것; 및 환자의 고막 피판을 해부학적 위치로 낮추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과적 절차는 경관 고막절개술을 수행하는 것; 환자의 원창을 준비하는 것; 레이저 보조 미세 등골절개술을 수행하는 것;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 및 내이로의 전달을 위한 치료액 둘 모두를 준비하는 것;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내이 내로 치료액을 주입하는 것; 환자의 원창 및/또는 난원창 주위에 밀봉재를 적용하는 것; 및 환자의 고막 피판을 해부학적 위치로 낮추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레이저 보조 미세 등골절개술을 수행하는 것은 KTP 이과 레이저 및/또는 CO2 이과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액은 AAV 벡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AAV 벡터는 Anc80 AAV 벡터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AAV 벡터는 hOTOF를 인코딩하는 코딩 영역을 포함한다.
설명에 걸쳐, 디바이스, 시스템, 절차, 및/또는 방법이 특정 구성요소를 갖거나, 포함하거나(including), 포함하는(comprising)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또는 방법이 특정 단계를 갖거나, 포함하거나,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부가적으로, 인용된 구성요소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구성되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 시스템, 절차, 및/또는 방법이 존재하고, 인용된 프로세싱 단계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존재함이 고려된다.
방법이 동작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한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 또는 순서의 순서가 중요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2개 이상의 단계 또는 동작이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 및 예시화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설명된 특정 실시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경기술 섹션에서 임의의 공보에 대한 본 명세서에서의 언급은 공보가 본 청구항 중 임의의 것과 관련하여 종래 기술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배경기술 섹션은 명확성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임의의 청구항에 대한 종래 기술의 설명으로서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와 관련된 이의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완전하고 가능한 개시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본 명세서에 제시되고, 여기서:
도 1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결합된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배관에 결합된 디바이스를 묘사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응력 방출 피처에 결합된 디바이스를 묘사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 바늘, 및 정지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바늘의 측면도;
도 9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응력 방출 피처의 사시도;
도 11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배관(또는 후핑(hooping))의 사시도;
도 12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3a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3b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3c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측면도;
도 13d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측면도;
도 13e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측면도;
도 13f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측면도;
도 13g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측면도;
도 13h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측면도;
도 14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배관에 결합된 케이싱으로 포장된 디바이스를 묘사한 도면;
도 14a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배관에 결합된 대안적인 포장재로 포장된 디바이스를 묘사한 도면;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시스템 내에 배치된 원위 팁 카메라의 사시도;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시스템 내에 배치된 원위 팁 카메라의 사시도;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시스템 내에 배치된 원위 팁 카메라의 사시도;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시스템 내에 배치된 원위 팁 카메라의 사시도;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원위 팁 카메라의 측면도;
도 20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원위 팁 카메라의 측면도;
도 21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원위 팁 카메라의 측면도;
도 22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원위 팁 카메라의 측면도;
도 23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광섬유의 측면도;
도 23a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b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c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d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e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f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g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h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전달 시스템의 측면도; 및
도 25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제 하나 이상의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행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도면에서의 피처를 언급하기 위해 숫자 및/또는 문자 지정을 사용한다. 도면 및 설명에서 비슷하거나 유사한 명칭은 본 실시형태의 비슷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은 치료제의 안전성 및 효능 둘 모두에 관하여, 규격품 물질 및 다른 전달 시스템에 비해 잠재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은 와우내 투여 경로를 위해 구체적으로 설계되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디바이스의 설계 요소는 주입된 유체의 무균 상태의 유지; 내이에 유입된 기포의 최소화; 제어된 유량으로 소량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능력; 외과의에 의한 외이도를 통한 전달; 원창 막(RWM), 또는 내이 예컨대, RWM 너머의 달팽이관 구조에 대한 손상 최소화; 및 RWM을 통해 다시 누출되는 주입된 유체의 최소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은 또한 청각 및 균형 장애 또는 전정 신경초종과 같은 두개내 종양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내이 내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가능성을 설명한다. 또 다른 예로서, 등골 발판에 통풍구를 배치하고 RWM을 통해 주입함으로써, 작용 부위에서 최소 희석으로 치료제가 달팽이관 전체에 분산된다. 설명된 디바이스의 개발은 외과적 투여 절차가 인간의 외이도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설명된 디바이스는 달팽이관의 외림프 내로 일정량의 유체를 주입한 후에 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환자의 경우, 디바이스는 외과적 현미경 제어 하에서 또는 내시경과 함께, 외이도를 통해 전진될 수 있다.
디바이스
도 1은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일 예시적인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는 널링된 핸들(knurled handle)(12), 및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에 결합되는 원위 핸들 접착제(14)(예를 들면, 록타이트(loctite) 4014와 같은 에폭시)를 포함한다. 널링된 핸들(12)(또는 핸들 부분)은 파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널링 피처 및/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널링된 핸들(12)(또는 핸들 부분)은 약 5㎜로부터 약 15㎜까지의 두께 또는 약 5㎜로부터 약 12㎜까지의 두께, 또는 약 6㎜로부터 약 10㎜까지의 두께, 또는 약 6㎜로부터 약 9㎜까지의 두께, 또는 약 7㎜로부터 약 8㎜까지의 두께일 수 있다. 널링된 핸들(12)(또는 핸들 부분)은 사용 중에 유체가 디바이스(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일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또한 널링된 핸들(12)의 근위 단부(18)에 있는 근위 핸들 접착제(16), 디바이스(10)의 원위 단부(20)에 (도 2에 도시된) 정지부(28)를 갖는 (도 2에 도시된) 바늘 서브 어셈블리(26) 및 응력 방출 피처(22)를 포함할 수 있다. 응력 방출 피처(22)는 산토프렌(Santoprene) 물질, 페박스 물질, 폴리우레탄 물질, 실리콘 물질, 나일론 물질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는 그 안에 배치된 (도 2에 도시된) 구부러진 바늘(38)을 둘러싸고 지지한다.
더욱 도 1을 참조하면, 정지부(28)는 열가소성 물질 또는 플라스틱 중합체(예컨대, UV 경화 중합체), 뿐만 아니라 다른 적합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구부러진 바늘(38)이 외이도 내로 너무 멀리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예를 들면, 구부러진 바늘(38)이 측벽 또는 다른 내이 구조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또한 신축형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에 결합되는 원위 핸들 접착제(14)와 널링된 핸들(12) 사이에 배치된 테이퍼링된 부분(23)을 포함할 수 있다. 널링된 핸들(12)(또는 핸들 부분)은 핸들 부분(12)의 원위 단부에서 테이퍼링된 부분(23)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또한 디바이스(10)의 근위 단부(16)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 배관(36)을 포함할 수 있고 디바이스를 상류 구성요소(예를 들면, 펌프, 주사기, 및/또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시스템 및/또는 전원(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될 수 있는 상류 구성요소)에 연결하는 유체 유입구 라인의 역할을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 2에 도시된) 구부러진 바늘(38)은 원위 단부(20)로부터,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를 통해, 테이퍼링된 부분(23)을 통해, 널링된 핸들(12)을 통해, 그리고 응력 방출 피처(22)를 통해 연장되어 배관(36)에 직접적으로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구부러진 바늘(38)은 (예를 들면, 신축형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를 통해) 널링된 핸들의 중공 내부와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근위 단부(16)에서 배관(36)과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부러진 바늘(38)이 디바이스(10)의 내부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지 않는 실시형태에서, 접촉 영역(예를 들면, 중첩된 내포된 하이포튜브(42) 사이), 공차, 및/또는 인터페이싱 구성요소 사이의 밀봉재는 치료액이 디바이스(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해야 한다(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예를 들면, 약 1 파스칼로부터 약 50Pa까지, 또는 약 2Pa로부터 약 20Pa까지, 또는 약 3Pa로부터 약 10Pa까지)에서 동작한다).
도 2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26)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26)는 구부러진 부분(32)을 갖는 바늘(38)을 포함한다.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26)는 또한 구부러진 부분(32)에 결합된 정지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구부러진 부분(32)은 귀의 막(예를 들면, RWM)을 뚫기 위해 디바이스(10)의 원위 단부(20)에서 각진 팁(34)을 포함한다. 바늘(38), 구부러진 부분(32), 및 각진 팁(34)은 유체가 이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속이 비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진 부분(32)의 각도(46)는 변할 수 있다. 정지부(28) 기하학적 구조는 원통형, 디스크형, 환형, 돔형,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상일 수 있다. 정지부(28)는 구부러진 부분(32)에서 제자리에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정지부(28)는 접착제 또는 압축 피팅을 사용하여 구부러진 부분(32) 주위에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의 예는 UV 경화 접착제(예컨대, Dymax 203A-CTH-F-T), 탄성중합체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예컨대, 에폭시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에멀션 접착제(예컨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정지부(28)는 각진 팁(34)이 목적하는 삽입 깊이로 귀 내로 삽입되도록 구부러진 부분(32) 주위에 동심으로 끼워진다. 구부러진 바늘(38)은 증분 형성뿐만 아니라, 다른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곧은 바늘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예시적인 디바이스(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배관(36)은 길이가 약 1300㎜(도 3의 치수(11))로부터 약 1600㎜까지, 또는 약 1400㎜로부터 약 1500㎜까지, 또는 약 1430㎜로부터 약 1450㎜까지일 수 있다. 응력 방출 피처(22)는 길이가 약 25㎜로부터 약 30㎜까지(도 3의 치수(15)), 또는 길이가 약 20㎜로부터 약 35㎜까지일 수 있다. 핸들(12)은 길이가 약 155.4㎜(도 3의 치수(13))이거나, 약 150㎜로부터 약 160㎜까지, 또는 약 140㎜로부터 약 170㎜까지일 수 있다.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는 2개 이상의 내포된 하이포튜브,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3개의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및 42C), 또는 4개의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42C 및 42D)를 가질 수 있다. 하이포튜브(42A, 42B, 42C) 및 팁 어셈블리(26)의 전체 길이(도 3의 치수(17))는 약 25㎜로부터 약 45㎜까지, 또는 약 30㎜로부터 약 40㎜까지, 또는 약 35㎜일 수 있다. 게다가, 신축형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는 약 36㎜, 또는 약 25㎜로부터 약 45㎜까지, 또는 약 30㎜로부터 약 40㎜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3개의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및 42C)는 각각 3.5㎜, 8.0㎜, 및 19.8㎜ 각각에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약 2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의 가장 안쪽에 내포된 하이포튜브(또는 가장 좁은 부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38) 주위에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10)의 원위 단부(20)에 결합된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2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26)는 구부러진 부분(32)에 결합된 바늘(38)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구부러진 바늘(38)은 단일 바늘(예를 들면, 목적하는 각도(46)를 포함하도록 그 다음 구부러지는 곧은 바늘)일 수 있다. 바늘(38)은 33 게이지 바늘일 수 있거나, 약 32로부터 약 34까지, 또는 약 31로부터 약 35까지의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미세한 게이지에서, 배관(36)이 꼬이거나 손상되지 않음을 보장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바늘(38)은 바늘(38)을 내이 내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배치하기 위해 핸들(12)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26)는 또한 구부러진 부분(32) 주위에 배치된 정지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또한 구부러진 부분(32)이 귀의 막(예를 들면, RWM)을 뚫기 위한 각진 팁(34)을 포함할 수 있다. 정지부(28)는 약 0.5㎜, 또는 약 0.4㎜로부터 약 0.6㎜까지, 또는 약 0.3㎜로부터 약 0.7㎜까지의 높이(48)를 가질 수 있다. 구부러진 부분(32)은 약 1.45㎜, 또는 약 1.35㎜로부터 약 1.55㎜까지, 또는 약 1.2㎜로부터 약 1.7㎜까지의 길이(52)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구부러진 부분(32)은 정지부(28)의 원위 단부와 각진 팁(34)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가 약 0.5㎜로부터 약 1.7㎜까지, 또는 0.6㎜로부터 약 1.5㎜까지, 또는 약 0.7㎜로부터 약 1.3㎜까지, 또는 약 0.8㎜로부터 약 1.2㎜까지가 되도록 2.0㎜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정지부(28)가 원통형, 디스크 형상, 및/또는 돔형 형상인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숙련자는 다른 기하학적 구조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비인간 영장류(NHPs)에서 RWM에 액세스하기 위해 달팽이관에 유체를 전달하는 것은 인간 환자에서 사용된 접근법과 상이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10)는 외과적 현미경 제어 하에서 또는 내시경과 함께 인간 환자의 외이도를 통해 전진될 수 있으며, 이는 심지어 더 큰 NHP(예컨대, 개코원숭이)에서 실현 가능하지 않은 접근법이다.
NHP에서, RWM에 액세스하기 위한 접근법은 환자의 달팽이관 이식 절차를 위해 전형적으로 사용된 것과 더 유사하며, 이는 RWM을 타깃으로 하는 약간 상이한 각도(46)를 야기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46)는 인간 환자에서 사용하기 위해 약 55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46)는 NHP에서 약 30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도(46)는 약 1도로부터 약 70도까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도(46)는 약 5도로부터 약 70도까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도(46)는 약 20도로부터 약 70도까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도(46)는 약 20도로부터 약 60도까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도(46)는 약 20도로부터 약 50도까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도(46)는 약 20도로부터 약 40도까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도(46)는 약 30도로부터 약 70도까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도(46)는 약 40도로부터 약 60도까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도(46)는 약 55도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도(46)는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동안 각도의 범위에 걸쳐 조정 가능하다.
도 5는 튜브(36)가 꼬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주위에 보호 배관 케이싱(또는 슬리브)(56)을 갖는 일 예시적인 디바이스(10)를 묘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보호 디바이스 케이싱(54)에 배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 케이싱(54)은 유체 전달을 위해 사용하기 이전에 디바이스(10)의 보관 또는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배관 케이싱(56)은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배관 케이싱(56)(따라서 배관(36))의 꼬임 및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관 케이싱(56)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원통형 피스(58)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피스(58)는 또한 운송 동안 배관 케이싱(56)(따라서, 배관(36))을 나선형 구성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관 케이싱(또는 슬리브)(56)은 폴리에터 에터 케톤(PEEK)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관 케이싱(56)은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응력 방출 피처(22)에 결합된 일 예시적인 디바이스(10)를 묘사한다. (도 1에 도시된) 바늘(38)은 (도 1에 도시된) 핸들(12)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를 통하여 또는 통해, 디바이스(10)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도 15에 도시된) 주사기(60)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된 길이의 배관(36)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10)의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 바늘(38), 및 정지부(28)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바늘(38)은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의 가장 좁은 부분 내에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바늘(38)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바늘(38)은 구부러진 부분(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부러진 부분(32)은 귀의 막(예를 들면, RWM)을 뚫기 위한 각진 팁(3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늘(38)은 33 게이지 바늘일 수 있다. 약 32로부터 약 34까지, 또는 약 31로부터 약 35까지의 게이지와 같은 다른 게이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더 미세한 게이지에서, 바늘(38)이 손상되지 않음을 보장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바늘(38)은 스테인리스강(예를 들면, 304 스테인리스강)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늘(38)은 또한 스테인리스강과 유사한 물질 속성(강도 또는 다른 기계적 속성과 같음)을 갖는 임의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늘(38)은 티타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늘(3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45㎜, 또는 약 1.2㎜로부터 약 1.7㎜까지의 구부러진 길이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55도, 또는 약 40도로부터 약 70도까지, 또는 약 20도로부터 약 70도까지 및 약 25도로부터 약 45도까지를 포함하는 이 사이의 다른 서브 범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는 2개 이상의 내포된 하이포튜브 예컨대, 4개의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42C 및 42D)를 포함할 수 있다(3개의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및 42C)를 갖는 일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도 3 또한 참조). 바늘(38)은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의 가장 좁은 부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바늘(38)은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의 가장 좁은 부분(42D) 내에 배치된다.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는 스테인리스강(예를 들면, 304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는 또한 스테인리스강과 유사한 물질 속성(강도 또는 다른 기계적 속성과 같음)을 갖는 임의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신축형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는 티타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42C, 42D)는 각각 14XH, 20TW, 23TW, 및 27TW의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42C, 42D)는 각각 0.083인치, 0.0355인치, 0.025인치, 및 0.014인치의 외경, 및 각각 0.039인치, 0.0255인치, 0.017인치, 및 0.009인치의 내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42C, 42D)는 약 0.2인치로부터 약 0.01인치까지의 범위의 외경 및 0.08인치로부터 0.004인치까지의 범위의 내경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42C, 42D)는 약 0.022인치로부터 약 0.003인치까지, 또는 약 0.05인치로부터 약 0.001인치까지의 범위의 벽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도 9를 참조하면, 바늘(38)은 약 0.01인치로부터 약 0.005인치까지의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약 32로부터 약 34까지, 또는 약 31로부터 약 35까지의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이것이 하이포튜브의 수에 의존하여 가장 안쪽에 내포된 하이포튜브(42C 및/또는 42D)와 끼워 맞추는 것을 허용한다.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42C, 42D)의 각각은 또한 예컨대, 인간 환자의 외이도 내의 특정 해부학적 구성요소를 캐치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자체와 인접한 하이포튜브 중 하나 이상 사이에 매끄러운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42C, 42D)의 각각은 또한 근위 단부에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립 및 원위 단부에서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립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이웃하는 내포된 하이포튜브와의 간섭을 생성하고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42C, 42D) 중 임의의 것이 디바이스(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신축 대신에, 바늘 지지부(24)는 복수의 내포된 하이포튜브(42A, 42B, 42C 및 42D) 대신 점차적으로 테이퍼링되는 반경(예를 들면, 최외측 하이포튜브(42A)의 반경으로부터 최내측 하이포튜브(42D)의 반경으로 테이퍼링됨)을 갖는 단일의 모놀리식 원뿔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는 각각의 다음의 더 넓은 하이포튜브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는 내포된 하이포튜브(42B, 42C 및 42D)를 포함할 수 있다(하이포튜브(42A)의 원위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하이포튜브(42B)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응력 방출 피처(2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응력 방출 피처(22)는 층상 돌출부(58A 및 58B)를 포함할 수 있다. 층상 돌출부(58A 및 58B)는 층상 페박스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층상 돌출부(58A 및 58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링된 핸들(12)의 근위 단부(18)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EK 배관(36)의 꼬임 및/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배관(3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배관(36)은 PEEK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배관(36)은 또한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배관(36)은 약 0.007인치, 또는 약 0.005인치로부터 약 0.01인치까지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배관(36)은 약 1/32인치 또는 약 0.02인치로부터 약 0.05인치까지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배관(36)은 약 60인치, 또는 약 30인치로부터 약 100인치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부러진 바늘(38)이 널링된 핸들(12)을 통해 완전히 연장되고 배관(36)에 직접적으로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는 디바이스(10)의 실시형태에서, 구부러진 바늘(38)의 근위 단부는 압축 피트, 접착제, 링 클램프, 및 다른 적합한 연결부를 통해 배관(36)에 결합(예를 들면, 구부러진 바늘(38)은 배관(36)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2는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 디바이스(10)의 원위 단부(20)에서의 구부러진 바늘(38)을 포함하는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일 예시적인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배관(36)과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18) 사이의 경계면에 유연성을 부가할 수 있는 응력 방출 피처(22)의 일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응력 방출 피처(22)의 실시형태는 또한 배관(36)의 꼬임 또는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응력 방출 피처(22)는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케이싱(56)이 핸들(12)의 근위 단부(18)와 인터페이싱하는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2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의 원위 단부(20)에 배치된 바늘 서브 어셈블리(26)는 각진 팁(34)을 포함할 수 있다. 정지부(28)는 정지부 근위 단부(33)가 바늘(38)의 구부러진 부분(32)에 인접하도록 바늘(38)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정지부(28)는 정지부 근위 단부(33)로부터 정지부 원위 단부(35)를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반경을 갖는 정지부 테이퍼링된 부분(29)을 포함할 수 있다. 정지부는 또한 하나 이상의 챔퍼(chamfer)(예를 들면, 정지부 원위 단부(35)에서의 챔퍼(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a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일 대안적인 정지부(70) 설계를 포함하는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2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a의 대안적인 정지부(70)는 도 13의 정지부(28)에 비해 더 둥글 수 있으며, 이는 더 디스크 형상 또는 도넛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안적인 정지부(70)는 이의 최대 길이와 대략 같거나, 이의 최대 길이의 약 0.75로부터 약 1.5배까지인 최대 외경을 포함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정지부(28)는 최대 길이의 약 2배, 또는 최대 길이의 약 1.5로부터 약 2.5배까지인 최대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정지부(70)는 또한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26)의 원위 단부를 향해 둥글거나 만곡된(즉, 볼록한) 가요성 부분(72)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정지부(70)는 또한 가요성 부분(72)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강성 부분(74)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 부분(74)은 가요성 부분(7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b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일 대안적인 정지부(71) 설계를 포함하는 구부러진 바늘 서브 어셈블리(2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b의 대안적인 정지부(71)는 바늘로부터 정지부 외부 둘레(79)로 점진적으로 테이퍼링되는 테이퍼링된 부분(77)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정지부(71)는 또한 바늘(34)의 원위 팁을 향해 약간 연장되는 립 부분(75)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정지부(71)는 또한 (예를 들면, 외부 둘레(79)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정지부(71)의 최대 직경이 (예를 들면, 도 13 및 도 13a의 정지부에 비해) 정지부(71)의 최소 두께보다 약 10배 크도록 더 얇은 종횡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정지부(71)의 최대 직경은 정지부(71)의 최소 두께보다 약 7배로부터 약 12배까지, 또는 정지부(71)의 최소 두께보다 약 5배로부터 약 15배까지 클 수 있다.
도 13c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10)(바늘 팁(34) 포함)의 원위 단부(2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3c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0)는 원위 단부(20)에서 디바이스(10) 내에 배치된 정지부 고정 홈(200)을 포함한다. 정지부 고정 홈(200)은 (도 2, 도 4, 도 13, 도 13a, 도 13b, 및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원위 단부(20)에서 바늘(38) 주위에 정지부(28, 70, 71)를 고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3d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정지부 고정 홈(200)의 확대도이다. 정지부 고정 홈(200)은 제1 축소된(declined) 부분(202)(예를 들면, 정지부 고정 홈(200)의 원위 단부(20)에 인접함), 제2 축소된 부분(204)(예를 들면, 정지부 고정 홈(200)의 근위 단부(18)에 인접함), 및 제1 및 제2 축소된 부분(202, 204)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오목한 부분(206)(또는 평평한 부분(206))(그에 의해, 정지부 고정 홈(200)을 형성함)을 포함할 수 있다. 오목한 부분(206)은 바늘(38)의 나머지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축소된 부분(202, 204)의 각각은 바늘(38)의 외부 둘레로부터 오목한 부분(206)으로 선형으로 전환할 수 있고/있거나, 둥글게 될 수 있다(그에 의해, 하나 이상의 필렛(fillet)을 형성한다).
도 13e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 핸들(12)과, 신축식 하이포튜브(24) 사이의 전환의 확대도이다. 도 13e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핸들(12)과, 신축식 하이포튜브(24) 사이의 전환을 강화하는 립 조인트(210)(또는 버팀대 예를 들면, 환형 버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립 조인트(210)(또는 버팀대)는 핸들 부분(12)과 신축식 하이포튜브(24)(또는 지지부) 사이의 경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립 조인트(210)는 립 조인트(210)의 일부가 핸들 부분(12) 주위에 배치되도록 핸들 부분(1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포함할 수 있다. 립 조인트(210)는 또한 복수의 신축식 하이포튜브(24) 중 가장 두꺼운 부재의 외경 주위에 단단하게 맞춰지는 내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f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1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3f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 핸들(12)의 근위 단부(18)에 통합된 기계 가공된 미늘(212)을 포함한다. 기계 가공된 미늘(212)은 (도 1, 도 3, 도 12 및 도 13h에 도시된) 응력 방출 피처(22)가 디바이스 핸들(12)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응력 방출 피처(22)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3g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기계 가공된 미늘(212)의 확대도이다. 기계 가공된 미늘(212)은 제1 경사진 부분(214)(예를 들면, 디바이스 핸들(12)의 근위 단부(18)의), 제2 경사진 부분(216), 및 제1 및 제2 경사진 부분(214, 216) 사이에 배치된 고평부 부분(plateau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h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응력 방출 피처(22)의 확대도이다(도 13h에 묘사된 디바이스는 도 13f 및 도 13g의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PEEK 배관(36)은 (예를 들면, 에폭시(220)를 통해) 접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디바이스 핸들(12)에 결합될 수 있다. 응력 방출 피처(22)는 바늘(38)의 꼬임(및/또는 이에 대한 다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바늘(38) 주위에 배치될 수 있는 PEEK 배관(36)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기계 가공된 미늘(212)은 응력 방출 피처(22)가 벗어나거나 디바이스 핸들(2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응력 방출 피처는 다른 적합한 물질 중에서, 성형된 산토프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바늘(38) 주위에 PEEK 배관(36)을 얻기 위해, PEEK 배관(36)은 바늘(38) 주위에서 분할될 수 있다. 열 수축 슬리브(도시되지 않음)는 PEEK 배관(36)과 바늘(38) 사이의 접합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부는 그 다음, 열에 노출될 수 있다. 열에 노출된 후에, 접합부는 접합부가 매끄러운 최종 외부 프로파일을 갖고 남겨지도록 리플로우되거나 재형성될 수 있다.
포장 시스템
도 14는 디바이스 케이싱(54)으로 둘러싸이고 배관 케이싱(56)에 결합된 디바이스(10)를 포함하는 포장재(55)를 묘사한다. 예를 들면, 포장재(55)는 외이도를 통해 RWM에 유체 전달을 위한 멸균 디바이스(10)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또한 1회용 일회성 제품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생물재해 손상성 폐기물 전용 용기(biohazard sharps container)에) 적절하게 폐기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포장재(55), 배관 케이싱(56), 디바이스 케이싱(54), 디바이스(10), 및 이의 구성요소는 모두 감마선 멸균(예를 들면, 코발트 60 방사선을 사용하여 미소 동식물 및 미생물을 제거하는 감마선 조사)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건한 물질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포장재(55), 배관 케이싱(56), 디바이스 케이싱(54), 디바이스(10), 및 이의 구성요소는 모두 증기 멸균을 견디기 위해 온도에 충분히 저항하는 물질로 구성된다.
도 14a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대안적인 포장재(100)(또는 포장 시스템(100))에 내포된 디바이스(10)의 상단 사시도를 도시한다. 포장재(또는 포장 시스템)(100)는 디바이스(10)의 안전하고 멸균된 운송 및/또는 선적을 허용한다. 포장재(100)는 장착 표면(80) 및 장착 표면(80)에 배치된 디바이스 네스팅(9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표면(80)은 판지, 경화된 카드지 또는 중합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장착 표면(80)은 또한 중합체 코팅을 갖는 판지 또는 경화된 카드지로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네스팅(90)은 장착 표면(80)과 유사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네스팅(90)은 장착 표면(80)의 평면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장착 표면(80)은 몇몇 쌍의 반대로 지향된 슬릿(11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은 PEEK 배관(36)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장착 표면(80)으로 절단될 수 있고, 그에 의해 PEEK 배관(36)(및 그 내의 금속 배관)이 꼬이고, 비틀리고, 파손되고, 그리고/또는, 다르게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지향된 슬릿(114)의 각각의 쌍의 각각의 슬릿은 슬릿(114)이 반대로 지향된 슬릿(114)에 작용하는 외력으로 인해 장착 표면(80)에서 찢어짐 및/또는 뚫림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느 하나의 끝에 한 쌍의 만곡된 단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지향된 슬릿(114)은 슬릿이, PEEK 배관(36)이 감겨 있는 동안 이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즉, 이의 반경 방향 내부 및 이의 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PEEK 배관(36)(및 이 내의 금속 배관)이 지나치게 꼬이고/꼬이거나 덜 꼬이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의해 감겨진 배관(36)의 목적하는 반경이 유지됨을 보장한다. 도 14a의 실시형태에서, 장착 표면(80)은 총 5쌍의 반대로 지향된 슬릿(114)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장착 표면(80)은 필요에 따라, 1개, 2개, 3개, 4개, 6개, 7개, 8개, 9개, 10개 및/또는 10개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 반대로 지향된 슬릿(114)의 다른 수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도 14a를 참조하면, 대안적인 포장재(또는 포장 시스템)(100)는 루어 락(Luer lock)(61)을 지지하고 이것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루어 락(61)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쌍의 반대로 지향된 슬라이드(116)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네스팅(90)은 디바이스(10)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가 디바이스 네스팅(90) 내에서 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네스팅 노치(84, 86, 88, 92, 94, 96)의 몇몇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스팅 노치 쌍(84)은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응력 방출 피처(22)를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네스팅 노치 쌍(86, 88 및 92)은 디바이스(10)의 본체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고, 네스팅 노치 쌍(94 및 96)은 디바이스(10)의 원위 단부를 향해 배치된다. 디바이스 네스팅(90)은 디바이스(10)의 본체의 중간 섹션 근처에 제1 윤곽 부분(114)을 포함하여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네스팅(9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가요성 꼬임 타이(76)를 수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 네스팅(90)은 또한 제1 및 제2 꼬임 타이 구멍(78, 82)을 포함하여 꼬임 타이(76)가 디바이스 네스팅(90) 아래로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고, 그에 의해 디바이스 네스팅(90) 및 디바이스(10)를 밀접하게 함께 유지하기 위해, 디바이스 네스팅(90)의 일부의 하단 주위로 연장된다. 디바이스 네스팅(90)은 또한 원위 단부에 팁 구멍(104)을 포함하여 디바이스(10)의 팁 및 구부러진 바늘 하위 어셈블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10)의 팁은 팁 구멍(104) 내에 놓일 수 있고, 그에 의해 팁이 임의의 구조와 접촉한 것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더욱 도 14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네스팅(90)은 디바이스(10)의 팁 및 팁 구멍(104)을 수용하기 위해 원위 단부에 제2 윤곽 부분(102)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네스팅(90)은 디바이스 네스팅(90)이 제1 및 제2 윤곽 부분(114, 102)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배치된 넥(neck) 부분(120)을 포함하는 현악기 또는 바이올린 형상을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윤곽 부분(114, 102)의 각각에서 디바이스 중심선(즉, 네스팅 노치(84, 86, 88, 92, 94 및 96)의 쌍의 중심)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리 연장된다. 장착 표면(80)의 평면 밖으로 돌출되는 디바이스 네스팅(90)의 벽은 예를 들면, 넥(120)에서 상승된 돌출부(또는 벽)로부터 장착 표면(80)의 평면으로 아래로 점진적으로 전환되는 테이퍼(9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그렇게 행할 수 있다. 도 14a의 실시형태에서 포장재(또는 포장 시스템)(100)는 또한 (도 5 및 도 14에 도시된) 튜브 케이싱(또는 슬리브)(56)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 케이싱(또는 슬리브)(56)은 PEEK 배관(36) 주위에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고, PEEK 배관(36)을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것이 꼬이고, 구부러지고/구부러거나, 그렇지 않으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튜브 케이싱(또는 슬리브)(56)은 (예를 들면, 디바이스(10) 및/또는 시스템(100)의 선적 또는 운송 이전에) PEEK 배관(36) 주위에 배치될 수 있고 PEEK 배관(36)으로부터 루어 락(61)을 분리함으로써 그리고/또는 루어 락(61)을 PEEK 배관(36)에 연결하기 이전에 제거될 수 있다. 튜브 케이싱(또는 슬리브)(56)은 PEEK, 복합 물질, 금속 물질과 같은 중합체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물질뿐만 아니라, 다른 적합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도 14a를 참조하면, 포장재(또는 포장 시스템)(100)는 디바이스(10) 및 디바이스 네스팅(90)의 근위 단부 근처의 제1 잠금 부분(106), 및 디바이스(10)의 원위 단부 근처의 제2 잠금 부분(108)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잠금 부분(108)은 디바이스 네스팅(90)의 넥(120)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잠금 부분(106, 108)의 각각은 장착 표면(80)의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디바이스 네스팅(90)을 가로질러(즉, 디바이스(10)가 디바이스 네스팅(90) 내에 배치된 후에) 디바이스 네스팅(90)의 다른 측면에 있는 장착 표면(80)으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잠금 부분(106, 108)은 제1 및 제2 부착 슬릿(110, 112)에 부착될 수 있고, 제1 부착 슬릿(110)은 디바이스 네스팅(90)의 근위 단부에서 장착 표면(80) 내에 배치되고, 제2 부착 슬릿(112)은 디바이스 네스팅(90)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다. 제1 잠금 부분(106)은 제1 부착 슬릿(110)과 인터페이싱하고 이에 부착되며, 제2 잠금 부분(108)은 제2 부착 슬릿(112)과 인터페이싱하고 이에 부착된다. 디바이스 네스팅(90)은 에폭시, 융합, 접착, 접착제뿐만 아니라, 다른 적합한 수단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장착 표면(80)에 결합될 수 있다. 게다가,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 네스팅(90)은 3D 프린팅을 통해(예를 들면, 융합된 증착 모델링(FDM), 스테레오 리소그래피(SLA)뿐만 아니라, 다른 양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포장재(100), 디바이스 네스팅(90), 장착 표면(80), 및 이의 구성요소는 모두 증기 멸균, 감마선 조사(코발트 60 방사선을 사용하여 미소 동식물 및 미생물을 제거함), 및 다른 멸균 방법을 견딜 수 있는 온도에 충분히 저항하는 물질(예를 들면, 중합체, 열경화성 플라스틱, 열가소성 수지, 복합 물질, 및 기타 물질)로 구성된다.
시스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타깃(예를 들면, 외이, 중이 및/또는 내이)으로의 유체 전달을 시각화 및/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원위 팁 카메라(DT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는 디바이스(1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는 디바이스(10)(즉, 일체형 디바이스)의 일부로서 설치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는 전하 결합 디바이스(CCD) 및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는 타깃(예를 들면, 외이, 중이 및/또는 내이)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전달하고/하거나, 변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는 이미지를 프로세싱하고/하거나 원위 팁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비디오 프로세서 또는 원위 팁 카메라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서는 원위 팁 카메라와 별개로 배치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 및/또는 이미지 센서는 직육면체 형상, 칩 형상, 평평한 큐브 형상, 원통형 형상,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시스템(1000) 내의 정지부(28) 위에 배치된 원위 팁 카메라(100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정지부(28)는 바늘(38)의 구부러진 부분(32)의 외부 표면(1020)에 부착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와이어(1002)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정지부(28)의 전방 표면(1006)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정지부(28)의 전방 표면(1006)에 내장될 수 있다. 전방 표면(1006)은 타깃(예를 들면, 외이, 중이 및/또는 내이)을 향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정지부(28)의 측면 표면(1008)에 배치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시스템(1000) 내의 정지부(28) 내의 공동(1010)에 배치된 원위 팁 카메라(100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정지부(28)는 바늘(38)의 구부러진 부분(32)의 외부 표면(1020)에 부착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와이어(1002)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공동(1010)은 정지부(28)의 일부(예를 들면, 최대 30%까지)를 절단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공동(1010)은 디바이스(10)의 외부 표면(1020) 근처 또는 옆에 있을 수 있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시스템(1000) 내의 정지부(28) 뒤에 배치된 원위 팁 카메라(100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정지부(28)는 바늘(38)의 구부러진 부분(32)의 외부 표면(1020)에 부착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와이어(1002)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28)의 후방 표면(1012)에 배치될 수 있고,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는 (도 23d 및 도 2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28)의 후방 표면(1012)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시스템(1000) 내에 배치된 원위 팁 카메라(100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정지부(28)는 바늘(38)의 구부러진 부분(32)의 외부 표면(1020)에 부착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와이어(1002)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1004)는 광원(1022)(예를 들면, LED 광원)을 포함하거나 이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 및/또는 광원(1022)은 정지부(28)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 및/또는 광원(1022)은 정지부(28)에 배치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 및/또는 광원(1022)은 정지부(28) 뒤에 있을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원위 팁 카메라(1004)는 바늘(38)의 구부러진 부분(32)의 외부 표면(102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정지부(28)는 타깃(예를 들면, 외이, 중이 및/또는 내이)을 모니터링 및/또는 시각화하기 위해 원위 팁 카메라(1004)가 정지부(28)를 통해 보기 위해 투명하고/하거나 투명한 부분(1014)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한 부분(1014)은 적어도 투명한 물질(예를 들면, 플라스틱, 열가소성 수지, 중합체, 및/또는 다른 적합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명한 부분(1014)은 공동(1010)의 일부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정지부(28)의 약 30%(또는 약 20%로부터 약 40%까지)는 원위 팁 카메라(1004)가 바늘 서브 어셈블리(26)에 통합 및/또는 포함될 수 있도록 제거될 수 있다(도 2 및 도 13).
더욱 도 15 내지 도 18를 참조하면,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와이어(1002)를 통해 원위 팁 카메라(1004)에 전력 및/또는 통신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의 섹션은 바늘(38)의 외부 표면(1020)에 동작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의 섹션은 디바이스(10)의 일부 내에 동작 가능하게 내장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는 디바이스(10)의 핸들(12)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한 연장되면서 구부러진 바늘(38) 및 신축식 하이포튜브 바늘 지지부(24)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는 최대 10㎜까지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는 최대 5㎜까지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는 최대 3㎜까지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는 최대 1㎜까지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는 최대 0.8㎜까지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는 최대 0.6㎜까지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는 최대 0.4㎜까지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는 최대 0.2㎜까지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는 최대 0.1㎜까지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02)는 최대 0.05㎜까지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원위 팁 카메라(1004A)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원위 팁 카메라(1004A)는 타깃(예를 들면, 외이, 중이 및/또는 내이)으로부터 신호(예를 들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 전달, 및/또는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해 이미지 센서(110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2A)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원위 팁 카메라(1004B)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원위 팁 카메라(1004B)는 이미지 센서(1102A), 프로세서(예를 들면, 비디오 프로세서, 또는 원위 팁 카메라(1004)에 내장된 프로세서), 및/또는 원위 팁 카메라(1004B)가 이미지(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1102A)로부터의 이미지)에 액세스하고, 이를 다루고/다루거나, 프로세싱하기 위한 다른 요소(예를 들면, 구동기 및/또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포함하는 원위 팁 카메라 모듈(1104A)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 모듈(1104A)은 최대 1.2㎜까지의 z높이와 함께 최대 0.7㎜×0.7㎜까지의 패키지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 모듈(1104A)은 최대 2.4㎜까지의 z높이와 함께 최대 1.1㎜×1.1㎜까지의 패키지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 모듈(1104A)은 최대 3㎜까지의 z높이와 함께 최대 1.5㎜×1.5㎜까지의 패키지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 모듈(1104A)은 최대 5㎜까지의 z높이와 함께 최대 2㎜×2㎜까지의 패키지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102A)는 최대 100, 20 10, 5, 3, 2, 1, 0.8, 0.6, 0.4, 0.2 또는 0.1㎜까지의 높이를 갖고 최대 10㎜×10㎜, 5㎜×5㎜, 2㎜×2㎜, 1.8㎜×1.8㎜, 1.6㎜×1.6㎜, 1.4㎜×1.4㎜, 1.2㎜×1.2㎜, 1㎜×1㎜, 0.8㎜×0.8㎜, 0.6㎜×0.6㎜, 0.4㎜×0.4㎜, 0.2㎜×0.2㎜, 0.1㎜×0.1㎜, 또는 0.05㎜×0.05㎜까지일 수 있다.
더욱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102A)는 초당 최소 5, 10, 20, 30, 50, 100, 500, 또는 1000 프레임(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적어도 10×10, 50×50, 100×100, 200×200, 400×400, 500×500 또는 1000×1000 픽셀 해상도 비디오를 캡처할 수 있는 이미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102A)는 기껏해야 10㎜×10㎜, 5㎜×5㎜, 2㎜×2㎜, 1.8㎜×1.8㎜, 1.6㎜×1.6㎜, 1.4㎜×1.4㎜, 1.2㎜×1.2㎜, 1㎜×1㎜, 0.8㎜×0.8㎜, 0.6㎜×0.6㎜, 0.4㎜×0.4㎜, 0.2㎜×0.2㎜, 0.1㎜×0.1㎜, 또는 0.05㎜×0.05㎜의 이미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2A)는 최대 10, 100, 500, 800, 1000, 1200, 1500, 2000, 3000, 또는 10,000mV/lux-sec까지의 저조명 감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102A)는 최대 10, 5, 2, 1.8, 1.6, 1.4, 1.2, 1, 0.8, 0.6, 0.4, 0.2, 0.1, 또는 0.05㎜까지의 광학 포맷, 및 최대 10, 8, 6, 4, 3, 2.5, 2.2, 2, 1.8, 1.6, 1.4, 1.2, 또는 1μm까지의 픽셀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원위 팁 카메라(1004C)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원위 팁 카메라(1004C)는 타깃(예를 들면, 외이, 중이 및/또는 내이)으로부터 신호(예를 들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 전달, 및/또는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해 이미지 센서(110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의 이미지 센서(1102C)는 칩 또는 실린더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원위 팁 카메라(1004D)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원위 팁 카메라(1004D)는 이미지 센서(1102C), 프로세서(예를 들면, 비디오 프로세서, 또는 원위 팁 카메라의 프로세서), 및/또는 원위 팁 카메라(1004D)가 이미지(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1102C)로부터의 이미지)에 액세스하고, 이를 다루고/다루거나, 프로세싱하기 위한 다른 요소(예를 들면, 구동기 및/또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포함하는 원위 팁 카메라 모듈(1104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1102C)는 최대 100, 20, 10, 5, 3, 2, 1, 0.8, 0.6, 0.4, 0.2, 또는 0.1㎜까지의 길이와 함께 최대 10㎜, 5㎜, 2㎜, 1.8㎜, 1.6㎜, 1.4㎜, 1.2㎜, 1㎜, 0.8㎜, 0.6㎜, 0.4㎜, 0.2㎜, 0.1㎜, 또는 0.05㎜까지의 외경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102C)는 초당 최소 5, 10, 20, 30, 50, 100, 500, 또는 1000 프레임(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적어도 10×10, 50×50, 100×100, 200×200, 400×400, 500×500 또는 1000×1000 픽셀 해상도 비디오를 캡처할 수 있는 이미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도 21 및 도 22을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102A)는 기껏해야 10㎜×10㎜, 5㎜×5㎜, 2㎜×2㎜, 1.8㎜×1.8㎜, 1.6㎜×1.6㎜, 1.4㎜×1.4㎜, 1.2㎜×1.2㎜, 1㎜×1㎜, 0.8㎜×0.8㎜, 0.6㎜×0.6㎜, 0.5㎜×0.5㎜, 0.4㎜×0.4㎜, 0.2㎜×0.2㎜, 0.1㎜×0.1㎜, 또는 0.05㎜×0.05㎜의 이미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2A)는 최대 10, 100, 500, 800, 1000, 1200, 1500, 2000, 3000, 또는 10,000mV/lux-sec까지의 저조명 감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102A, C)는 최대 0.1㎜×0.1㎜, 0.3㎜×0.3㎜, 0.6㎜×0.6㎜, 0.9㎜×0.9㎜, 1.2㎜×1.2㎜, 또는 2㎜×2㎜까지의 영역을 갖는 집적 회로 패키지(예를 들면, 칩 스케일 패키지(CSP))를 사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더욱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원위 팁 카메라(1004A 내지 D)는 셔터(예를 들면, 롤링 셔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1004A 내지 D)는 -20℃ 내지 70℃의 온도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1004A 내지 D)는 적어도 90, 100, 120, 130, 또는 150도의 시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A 내지 D)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A 내지 D)는 외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광원(예를 들면, LED 광원(102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광섬유(1302)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광섬유(1302)는 광원, 이미지 센서(1004E), 또는 둘 모두로서 사용될 수 있다. 광섬유(1302)는 적어도 단일의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광섬유(1302)는 최대 5㎜까지의 직경 및 최대 10m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광섬유(1302)는 최대 1㎜까지의 직경 및 최대 10m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광섬유(1302)는 최대 0.5㎜까지의 직경 및 최대 10m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광섬유(1302)는 최대 0.4㎜까지의 직경 및 최대 10m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광섬유(1302)는 최대 0.3㎜까지의 직경 및 최대 1m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광섬유(1302)는 최대 0.2㎜까지의 직경 및 최대 1m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광섬유(1302)는 최대 0.1㎜까지의 직경 및 최대 0.1m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원위 팁 카메라(1004A 내지 E) 및/또는 광섬유(1302)는 최대 0.01㎜×0.01㎜×0.01㎜, 0.1㎜×0.1㎜×0.1㎜, 0.2㎜×0.1㎜×0.2㎜, 0.3㎜×0.1㎜×0.4㎜, 0.3㎜×0.3㎜×0.4㎜, 0.4㎜×0.4㎜×0.4㎜, 또는 1㎜×1㎜×1㎜까지의 치수를 갖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비디오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거나 이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미지 센서(1102A, C)는 원위 팁 카메라 모듈(1104A, C)보다 크지 않거나 길지 않을 수 있다.
더욱 도 15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원위 팁 카메라(1004A 내지 D), 광섬유(1302), 및/또는 이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2)는 이미지 센서(1102A, C), 광섬유(1302), 및/또는 이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도 15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는 편의를 위해 생체 적합성, 무연, 자동 초점, 일회용, 재사용 가능, 저 잡음, 저 전력 소비, 저 열, 및/또는 저 잡음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컬러, 회색 이미지, 및/또는 이의 조합을 생성할 수 있다.
더욱 도 15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최대 100㎜까지의 작동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최대 50㎜까지의 작동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최대 20㎜까지의 작동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최대 10㎜까지의 작동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최대 5㎜까지의 작동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a, 도 23b, 및 도 23c는 정지부(28)에 통합된 원위 팁 카메라(1004)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도 23a는 도 23b 및 도 23c에 대한 상세 영역을 나타내는, A에서 원으로 표시된 팁 부분을 갖는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도 23b는 팁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3c는 팁 부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3a, 도 23b, 및 도 23c의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0)는 정지부(28)에 통합된 렌즈 또는 센서(1102) 및 카메라 유닛(예를 들면, 원위 팁 카메라(100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지부(28)는 원위 팁 카메라(1004) 주위에 성형될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1004)는 또한 접착제, 에폭시, 및/또는 다른 적합한 메커니즘을 통해 정지부(28)에 부착될 수 있다. 와이어(1002)는 원위 팁 카메라(1004)에 전력 및 통신 링크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02)는 이것이 신축식 하이포튜브 중 2개 사이(예를 들면, 도 9의 부재(42A, 42B, 42C, 또는 42D) 중 2개 사이)에서 연장되거나 라우팅되도록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도 23d, 도 23e, 및 도 23f는 (예를 들면, 정지부(28) 뒤에서) 정지부(28)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된 원위 팁 카메라(1004)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도 23d, 도 23e, 및 도 23f의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0)는 신축식 하이포튜브(예를 들면, 도 9의 부재(42A, 42B, 42C, 또는 42D)) 중 하나에 장착되는 원위 팁 카메라(1004) 및 렌즈(1102)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이 바늘 팁에서 대표적인 뷰를 캡처하도록 배치되고/되거나 각이 질 수 있다.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접착제, 에폭시, 용접 및/또는 다른 적합한 메커니즘을 통해 하이포튜브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3e는 각진 구성(1103)의 원위 팁 카메라(1004) 및 렌즈 또는 센서(1102)를 포함한다.
도 23g 및 도 23h는 원위 팁 카메라(1004), 렌즈(1102), 및 신축식 하이포튜브(예를 들면, 도 9의 부재(42A, 42B, 42C, 또는 42D)) 중 하나를 따라 장착된 와이어(1002)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원위 팁 카메라(1004)는 접착제, 에폭시, 용접 및/또는 다른 적합한 메커니즘을 통해 하이포튜브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f뿐만 아니라) 도 23g 및 도 23h의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0)는 원위 팁 카메라(1004), 렌즈(1102), 및 와이어(1002)를 외부적으로 둘러싸는 카메라 모듈 케이싱(11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3(도 23a 내지 도 23h를 포함함)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카메라를 포함함)는 약 10㎜ 미만, 또는 약 1㎜로부터 약 10㎜까지, 또는 약 1㎜로부터 약 8㎜까지, 또는 약 1㎜로부터 약 5㎜까지, 또는 약 1㎜로부터 약 4㎜까지, 또는 약 2㎜로부터 약 4㎜까지, 또는 약 1㎜로부터, 약 3㎜까지, 또는 약 1.5㎜로부터 약 3㎜까지, 또는 약 1㎜로부터 약 2.5㎜까지, 및/또는 약 3㎜ 미만의 전체 유효 직경을 포함한다.
도 24는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10)를 포함하는 시스템(2400)을 도시한다. 시스템(2400)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위 팁 카메라(1004), 와이어(1002), 광원(1022) 및/또는 모니터(2402)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2402)는 원위 팁 카메라(1004)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2400)은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사기(60), 주사기(들) 또는 배관(36)(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됨)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펌프(2408), 전원(2410), 멸균 장비, 손상성 폐기물 전용 용기(예를 들면, 생물재해 손상성 폐기물 전용 용기), 드릴(2404)(예를 들면, 이과 드릴, 및/또는 다이아몬드 드릴), 및/또는 레이저(2406)(예를 들면, KTP 또는 CO2 이과 레이저(otologic laser))(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2400)은 (예를 들면, 시스템(2400)이 원위 팁 카메라(1004)를 갖지 않는 경우) 현미경, 내시경 및/또는 섬유경(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60)는 "Luer-Lok™ 주사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약 2㎖, 약 2.5㎖, 약 5㎖, 약 10㎖, 약 20㎖, 약 30㎖, 약 50㎖, 및/또는 약 60㎖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량 및 그 사이의 서브범위를 포함하는, 약 1㎖로부터 약 100㎖까지의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60)는 약 0.002㎖로부터 약 2.0㎖까지, 또는 약 0.005㎖로부터 약 1.0㎖까지, 또는 약 0.01㎖로부터 약 0.5㎖까지, 또는 약 0.05㎖로부터 약 0.2㎖까지, 또는 약 0.1㎖의 눈금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60)는 바람직하게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 ISO 13485뿐만 아니라, 다른 적용 가능한 안전 및 품질 표준을 충족시킨다.
더욱 도 24를 참조하면, 펌프(2408)는 본 발명에 따라, 목적하는 흐름 및 압력 조건을 생성할 수 있고, 주사기(60)와 통합될 수 있다. 펌프(2408)는 Medfusion® 3500 주사기 펌프, 및/또는 Harvard Apparatus 70-2000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본 발명에 따라 펌프(2408)가 목적하는 흐름 및 압력 조건을 생성할 수 있는 한, 다른 설계, 구성, 및 배열(다른 OEM으로부터 만들어진 펌프를 포함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펌프(2408)는 약 1㎖로부터 약 100㎖까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주사기 용량을 수용할 수 있다. 펌프(2408)는 또한 약 1㎖/hr로부터 약 50㎖/hr까지, 또는 약 2㎖/hr로부터 약 40㎖/hr까지, 또는 약 3㎖/hr로부터 약 25㎖/hr까지, 또는 약 4㎖/hr로부터 약 20㎖/hr까지, 또는 약 5㎖/hr로부터 약 15㎖/hr까지, 또는 약 8㎖/hr로부터 약 12㎖/hr까지, 또는 약 0.5㎖/hr로부터 약 15㎖/hr까지, 또는 약 1㎖/hr로부터 약 12㎖/hr까지, 또는 약 2㎖/hr로부터 약 10㎖/hr까지, 또는 약 2.5㎖/hr로부터 약 8㎖/hr까지, 또는 약 3㎖/hr로부터 약 7㎖/hr까지, 또는 약 4㎖/hr로부터 약 6㎖/hr까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다. 펌프(2408)는 약 0psi로부터 약 50psi까지의 상대 또는 게이지 압력 동작 범위를 포함할 수 있고, 목적하는 유량을 디바이스에 동시에 전달하면서, 약 -300㎜Hg로부터 약 +900㎜Hg까지의 범위의 배압을 수용할 수 있다.
더욱 도 2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는 귀에 유체를 전달하는 동안 공기 유입을 최소화하고 (예를 들면, 도 1, 도 3, 도 6 및/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36)과의 적절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루어 락(61)(예를 들면, 주사기(60) 및/또는 펌프(2408)와 통합될 수 있는 "Luer-Lok™ 주사기")을 통해 주사기(60)에 결합될 수 있다. 루어 락(61)(또는 루어 피팅)은 시스템의 공기 제거를 돕기 위해 사용된(즉, 시스템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된) 맞춤형 부싱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부싱은 성형된 실리콘(또는 다른 적합한 물질)일 수 있으며 루어 락(61)(또는 피팅)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맞춤형 부싱은 PEEK 배관(36)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는 중앙 시추공(또는 루멘)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중앙 시추공(또는 루멘)은 원추형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부싱은 루어 락(61)(또는 피팅) 내부의 공기량이 최소화되도록 루어 락(61)(또는 피팅) 내의 "무용 공간"을 차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루어 락(61)은 루어 락 및/또는 루어 슬립 스타일 연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슬립 팁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루어 락(61)은 바늘(38)에 결합된 암 나사산, 뿐만 아니라 다른 적합한 누출 없는 연결기 및/또는 결합 구성과 인터페이싱하는 주사기(60)에 결합된 수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60)는 유체 예컨대, 소분자 또는 생물학적 제제 예컨대, 항체 또는 바이러스 유전자 요법일 수 있는 치료제를 포함하는 치료액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사기(60)는 디바이스 준비를 수용하기 위해 다른 디바이스 구성요소와 별개로 포장될 수 있다. 주사기(60)는 멸균될 수 있다. 디바이스 준비는 수술실 외부(예를 들면, 약국)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 준비는 수술실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 준비는 멸균 영역 및/또는 멸균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 원위 팁 카메라(1004)를 포함함으로써, 외과의는 모서리 주위를 볼 수 있고, 그에 의해 돌출된 뼈와 같은 장애물을 제거할 필요를 회피한다. 게다가, 내장된 원위 팁 카메라(1004)가 있는 전달 디바이스(10)(또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사용하는 것은 외과의가 원창을 뚫고, 치료액을 전달하며, 외이, 중이 및/또는 내이를 시각화하기 위한 단일 도구로 수술하는 것을 허용한다.
방법
도 25는 본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10)(또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설치하고 유체 예컨대, 치료액을 내이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방법(2500)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외이도를 통해 중이 및/또는 내이에 액세스하기 위한 최소 침습성의, 잘 수용된 외과적 기술을 활용하는 전달 접근법을 설명한다. 절차는 난원창에서 중이와 내이 사이의 물리적 장벽 중 하나를 개방하고, 후속적으로 전달 디바이스(10)(또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사용하여 원창 막을 통해, 조절된 유량 및 고정된 체적으로 치료액(예를 들면, 청력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바이러스 유전자 요법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제제를 포함함)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5는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적용되는 외과적 절차를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 단락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법론 및 절차는 또한 쥐, 설치류, 및 비인간 영장류에 적용된다.
전달 디바이스(10)는 수술실의 멸균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배관(36)의 단부는 멸균 영역으로부터 제거되며 치료액이 장전되고 펌프에 장착된 주사기(60)에 연결될 수 있다. 임의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시스템(2400)의 적절한 프라이밍 후에, 바늘(38)은 그 다음, 시각화(외과 현미경, 내시경, 및/또는 원위 팁 카메라(1004)) 하에서 중이를 통과할 수 있다. 바늘(38)(또는 미세바늘)은 RWM을 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늘(38)은 정지부(28)가 RWM과 접촉할 때까지 삽입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그 다음, 치료액이 제어된 유량으로 내이에 전달되는 동안 그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일단 전달이 완료되었으면, 디바이스(10)가 제거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1회용 일회성 제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0)는 예를 들면, 교체 가능하고/하거나 멸균 가능한 바늘 서브 어셈블리(26)를 갖는 다용도 멸균 가능한 제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1회용 디바이스(10)는 투여가 완료된 후에 (예를 들면, 생물재해 손상성 폐기물 전용 용기에) 적절하게 폐기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환자의 내이에 치료액을 전달하는 외과적 절차 또는 방법(2500)은 단계(2502)에서, 치료될 귀를 지워지지 않는 마커로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04)에서, 방법(2500)은 환자에게 전신 마취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06)에서, 방법(2500)은 마킹된 귀가 위쪽을 향하도록 환자의 머리가 옆으로 돌려진 상태에서 환자를 앙와위 위치에(즉, 자신의 등 위에)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08)에서, 방법(2500)은 방부제(예컨대, 포비돈-요오드, 요오도포비돈, 베타딘, 워카딘, 피오딘 및/또는 다른 적합한 방부제)로 귀를 준비하고 귀 및 주변 영역을 덮는 단계(예를 들면, 감염 및/또는 오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귀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면서 귀 주위의 즉각적인 영역을 커버하고/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귀를 둘러싸는 멸균 장벽을 생성함)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10)에서, 방법(2500)은 리도카인, 에피네프린 및/또는 기타 마취제와 아드레날린을 4사분면 블록으로 외이도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리도카인 및 에피네프린을 정확하게 적용하기 위해 수술 현미경, 내시경 및/또는 원위 팁 카메라(1004)가 사용될 수 있다. 제한 없이, 리도카인 및 에피네프린의 적용은 팔천당 1부(1:8,000)의 희석으로 약 1% 리도카인 및 에피네프린을 갖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시경 외과의는 조성물의 체적 및 주사 당 리도카인 또는 에피네프린의 목적하는 총 용량에 의존하여 더 높거나 더 낮은 농도의 리도카인 또는 에피네프린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의 체적은 주사당 1㎖ 미만이다.
더욱 도 25를 참조하면, 단계(2512, 2514 및 2516)은 시스템(2400)을 준비하기 위한 단계를 설명한다. 환자 준비 단계(2512, 2514 및 2516)는 환자 준비 단계(즉, 단계(2502, 2504, 2506, 2508 및 2510))와 동시에, 그 전에, 그리고/또는 후에 발생할 수 있다. 단계(2512)에서, 방법(2500)은 예를 들면, 멸균 영역을 통해(또는 예를 들면, 디바이스를 포장하기 이전에 감마선 조사 또는 증기 멸균을 통해) 디바이스(10)를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14)에서, 방법(2500)은 배관(36)을 디바이스(10)의 근위 단부(16)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16)에서, 방법(2500)은 기포가 모든 라인으로부터 제거됨을 보장하고 유체 흡입이 펌프 내에서 확립됨을 보장하기 위해 시스템(2400)을 프라이밍하고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2400)은 제거 유체로서 치료액을 사용하여 프라이밍되고 제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1 양의 치료액(예를 들면, 약 8㎕로부터 약 24㎕까지, 또는 약 12㎕로부터 약 20㎕까지, 또는 약 16㎕)은 방울이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20)로부터 나올 때까지 디바이스(10)를 통해 밀려난다. 제2 양의 치료액(예를 들면, 약 3㎕ 내지 약 7㎕ 또는 약 5㎕)은 그 다음, 디바이스가 충분히 제거됨을 보장하기 위해 디바이스(10)를 통해 밀려난다. 단계(2518)에서, 일단 시스템 및 환자가 둘 모두 준비되었으면, 방법(2500)은 디바이스(10)가 중이의 난원창 및 원창에 도달할 수 있도록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20)에서, 방법(2500)은 마이크로 큐렛 또는 드릴을 사용하여 골관과 고막의 접합부에서 유한 양의 뼈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22)에서, 방법(2500)은 원창으로서 달팽이관의 대향 측면에 위치되는 등골 발판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또는 등골 발판을 뚫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내이에 용액을 전달하는 동안에 적절한 통풍을 허용한다. 등골 발판의 구멍은 이과 레이저(예를 들면, KTP 또는 CO2 이과 레이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단계(2524)에서, 방법(2500)은 원창을 노출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돌출된 뼈(예를 들면, 돌출된 뼈의 돌출부 또는 위막)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된 뼈는 1㎜ 다이아몬드 드릴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단계(2526)에서, 방법(2500)은 외이도 내로 및 이를 따라 디바이스(10)의 삽입 및 이동을 돕기 위해 원위 팁 카메라(1004)(디바이스(10)에 내장될 수 있음)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도 25를 참조하면, 단계(2528)에서, 방법(2500)은 디바이스(10)를 외이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28)에서, 방법(2500)은 디바이스(10)의 원위 단부(20)가 원창을 뚫고(단계(2530)) 원창을 통해 약 1㎜ 이하의 깊이까지(예를 들면, 약 0.7㎜로부터 약 1㎜까지, 또는 약 0.8㎜로부터 약 0.95㎜까지, 또는 약 0.85㎜로부터 약 1.0㎜까지, 또는 약 0.85㎜로부터 약 0.95㎜까지의 삽입 깊이까지)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부(28)는 원창 내의 바늘(38)의 정확한 삽입 깊이를 보장하기 위해 적합한 위치에서 바늘(38)(또는 미세바늘)의 구부러진 부분(32) 주위에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 카메라(1004)(또는 내시경 및/또는 수술 현미경)는 디바이스가 정확한 삽입 깊이까지 삽입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니터(2402)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관련하여) 외과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단계(2532)). 이와 같이, 정지부(28)는 주로, 1.0㎜의 삽입 깊이가 초과되지 않음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원위 팁 카메라(1004)는 바늘(38)(또는 미세바늘)을 원창에 삽입하기 이전(및 그 동안)에 디바이스(10)를 정확하게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삽입 깊이는 1.0㎜보다 클 수 있고 예를 들면,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 약 1.6㎜, 약 1.7㎜뿐만 아니라, 그 사이의 다른 서브범위의 깊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28, 2530 및/또는 2532)에서, 방법(2500)은 절차 동안 필요에 따라, 즉석에서 디바이스(10)의 각도 또는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10)의 팁(34)의 각도가 핸들 부분(12)에 대해 고정되더라도, RWM에 대한 팁(34)의 방향은 외과의가 디바이스(10)를 지향시키는 각도 또는 각도들의 범위에 기초하여 즉석에서 조정될 수 있다. 단계(2534)에서, 방법(2500)은 시간의 선택된 지속기간 동안 선택된 유량으로 디바이스(10)를 통해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도 2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량(또는 주입 레이트)은 약 30 ㎕/분, 또는 약 25 ㎕/분으로부터 약 35 ㎕/분까지, 또는 약 20 ㎕/분으로부터 약 40 ㎕/분까지, 또는 약 20 ㎕/분으로부터 약 70 ㎕/분까지, 또는 약 20 ㎕/분으로부터 약 90 ㎕/분까지, 또는 약 20 ㎕/분으로부터 약 100 ㎕/분까지의 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간의 선택된 지속기간(즉, 치료액이 흐르고 있는 시간)은 약 3분, 또는 약 2.5분으로부터 약 3.5분까지, 또는 약 2분으로부터 약 4분까지, 또는 약 1.5분으로부터 약 4.5분까지, 또는 약 1분으로부터 약 5분까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이로 흐르는 치료액의 총 체적은 약 0.09㎖, 또는 약 0.08㎖로부터 약 0.10㎖까지, 또는 약 0.07㎖로부터 약 0.11㎖까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 지속기간은 1분 미만(예를 들면, 약 25초로부터 약 59초까지, 또는 약 30초로부터 약 55초까지, 또는 약 31초로부터 약 45초까지) 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액의 총 체적은 내이의 체적의 약 40%로부터 약 50%까지와 동일하다. 단계(2536)에서, 방법(2500)은 원창 내에서 디바이스(10)의 삽입 깊이가 조정되어야 하는지를(예를 들면, 더 깊게 또는 더 얕게) 결정하기 위해 달팽이관의 기저부, 중간부 및 정점을 포함하는 내이 내의 치료액(또는 치료제)의 분포를 (예를 들면, 원위 팁 카메라(1004), 내시경 및/또는 수술 현미경을 통해)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누적 체적이 모니터링될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형광제는 치료액에 부가될 수 있으며, 이는 그 다음, 내이에 대한 치료액의 분포가 시각화될 수 있도록 광섬유 또는 원위 팁 카메라(1004)를 통해 여기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단계(2538)에서, 방법(2500)은 디바이스(1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40)에서, 방법(2500)은 치유가 후속 기간 예컨대, 약 24시간으로부터 약 48시간까지에 걸쳐 일어나는 동안 양쪽 영역(또는 어느 하나의 영역)의 기능적 밀봉을 생성하기 위해 피부 치료(예를 들면, Healon(히알루론산 나트륨) 또는 히알루론산)를 원창 막 및 등골 발판 둘 모두(또는 둘 중 어느 하나)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42)에서, 방법(2500)은 후방 고막 피판을 이의 원래의 (생물학적) 위치로 다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2500)은 도 25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하나 이상의 단계뿐만 아니라, 도 25에 도시되지 않은 부가적인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는 생략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정의
본 발명이 더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하기 위해, 먼저 특정 용어가 하기에 정의된다. 다음 용어 및 다른 용어에 대한 부가적인 정의는 명세서 전체에 걸쳐 제시된다.
하나 이상의 명명된 요소 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디바이스, 구성 또는 방법은 개방형이며, 이는 명명된 요소 또는 단계가 필수적이지만, 다른 요소 또는 단계가 구성 또는 방법의 범위 내에서 부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장황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명명된 요소 또는 단계를 "포함하는"(또는 "포함한다") 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디바이스, 구성, 또는 방법이 또한 동일한 명명된 요소 또는 단계"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또는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응하는 더 제한된 구성 또는 방법을 설명함이 또한 이해되고, 이는 구성 또는 방법이 명명된 필수 요소 또는 단계를 포함하고 구성 또는 방법의 기본 및 신규 특성(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가적인 요소 또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명명된 요소 또는 단계를 "포함하는" 또는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디바이스, 구성, 또는 방법이 또한 임의의 다른 명명되지 않은 요소 또는 단계를 제외하고 명명된 요소 또는 단계"로 이루어진"(또는 "로 이루어지는") 대응하는, 더 제한적이고 폐쇄형인 구성 또는 방법을 설명함이 또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구성 또는 방법에서, 임의의 명명된 필수 요소 또는 단계의 알려지거나 개시된 균등물은 그 요소 또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청구항 특징과 관련된 단수 표현은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생체 적합성"은 살아 있는 조직과 예컨대, 생체 내에서 접촉할 때 이에 상당한 해를 끼치지 않는 물질을 언급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물질은 이것이 내이에 투여하도록 처리 가능한 경우 "생체 적합성"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물질은 이것이 세포에 대해 독성이 없는 경우 "생체 적합성"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물질은 생체 외의 세포에 대한 이의 첨가가 20% 미만 또는 이와 같은 세포 사멸을 야기하고/하거나, 생체 내의 이의 투여가 상당한 염증 또는 다른 이러한 부작용을 유도하지 않는 경우 "생체 적합성"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위해 사용된 물질은 생체 적합성이며 클래스 II 생체 적합성 요구조건(예컨대, 단기 체류 시간(24시간 미만) 및 간접 혈액 경로를 갖는 디바이스)을 충족하도록 테스트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는 내이에 액세스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는 임의의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를 언급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는 청력 장애(예컨대, 청력 상실)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는 균형 장애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는 내이 종양과 같은 종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는 전정 신경초종과 같은 종양이다. 다른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는 청각 신경종, 연령 관련 어지러움 및 불균형, 자가면역 내이 질환, 양성 발작성 체위 현기증, 양측 전정 기능 저하, CANVAS 증후군 및 진주종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액"은 치료제 또는 치료제를 내이에 제공하기 위한 전달 양식 예컨대, 치료제를 인코딩하는 핵산 벡터를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을 언급한다. 치료제는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청력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 종양 등을 치료하는 기능을 갖는 소분자 또는 생물학적 제제와 같은 임의의 양식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바이러스 유전자 요법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치료적 항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치료적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치료적 핵산(예컨대, RNA 또는 DNA)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치료적 miRNA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치료적 shRNA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Cas 단백질 및 가이드 분자 예컨대, 가이드 RNA를 포함하는 치료적 CRISPR/Cas 시스템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액 내의 치료제는 내이에 전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전달 양식 예컨대, 치료액 내의 내이에 전달되는 핵산 벡터에 의해 인코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제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제형화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활성제는 관련 집단에 투여될 때 미리 결정된 치료 효과를 성취할 통계적으로 상당한 확률을 보여주는 치료적 요법으로 투여하기에 적합한 단위 투여량으로 존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액은 주사를 통한 투여, 즉, 예컨대,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을 위해 특별히 적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치료액을 제형화하기 위해 사용된 담체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은 담체가 유체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호환 가능하고 이의 수용인에게 해롭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치료하다"(또한 "치료" 또는 "치료하는")는 특정한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 특징 및/또는 원인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경감하고, 개선하고, 제거하고, 역전시키고, 경감하고, 억제하고, 이의 발병을 지연시키고, 중증도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발생을 감소시키는 치료제(또한 "요법")의 임의의 투여를 언급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치료는 관련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 환자 및/또는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의 초기 징후만을 나타내는 환자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이러한 치료는 관련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확립된 징후를 나타내는 환자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는 관련 질환, 장애 및/또는 병태를 앓고 있는 것으로서 진단된 환자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는 주어진 질환, 장애 및/또는 질환의 증가된 발전 위험과 통계적으로 상관되는 하나 이상의 감수성 인자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환자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환자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으로"는 관심 있는 특성 또는 속성의 전체 또는 거의 전체 범위 또는 정도를 나타내는 정성적 조건을 언급한다.
균등물
본 발명이 이의 상세한 설명과 결부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설명이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도시하도록 의도됨을 이해해야 한다. 또 다른 양태, 장점 및 수정은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다.
이 서면 설명은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을 개시하고, 또한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만들고 사용하며 임의의 통합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본 실시형태를 당업자가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허 가능한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고, 숙련자에게 발생하는 다른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는 이것이 청구항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상이하지 않은 구조적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이것이 청구항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미약한 차를 갖는 등가의 구조적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Claims (108)

  1. 귀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핸들 부분;
    상기 핸들 부분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고 구부러진 바늘을 포함하는 바늘 서브 어셈블리; 및
    상기 핸들 부분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배관
    을 포함하되, 상기 구부러진 바늘은 상기 핸들 부분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배관에 직접적으로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서브 어셈블리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신축식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원위 단부는 상기 신축식 지지부의 근위 단부에 결합되는, 디바이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식 지지부는 다수의 내포된 하이포튜브(nested hypotube)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바늘은,
    적어도 하나의 막을 뚫기 위한 각진 팁; 및
    구부러진 부분
    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분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응력 방출 피처(strain relief feature)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메라(예컨대, 원위 팁 카메라, 상기 원위 팁 카메라는 상기 바늘 하위 어셈블리 내에 배치됨)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핸들 부분의 중공 내부 내에서 상기 구부러진 바늘에 결합되는,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약 0.005인치로부터 약 0.01인치까지의 내경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부분은 약 0.5㎜로부터 약 5㎜까지(예컨대, 약 1㎜로부터 약 3㎜까지, 예컨대, 약 1.4㎜)의 길이를 갖는, 디바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도는 약 20도로부터 약 70도까지(예컨대, 약 20도로부터 약 60도까지, 예컨대, 약 20도로부터 약 50도까지, 예컨대, 약 20도로부터 약 40도까지, 예컨대, 약 30도 예컨대, 약 30도로부터 약 70도까지, 예컨대, 약 40도로부터 약 60도까지, 예컨대, 약 55도)인, 디바이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30도인, 디바이스.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55도인, 디바이스.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바늘은 약 10으로부터 약 35까지, 예컨대, 약 20으로부터 약 35까지, 예컨대, 약 30으로부터 약 35까지의 범위 내의 게이지 예컨대, 33 게이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바늘은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분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에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바늘에 결합된 정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지부는 내이(inner ear)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각진 팁이 달팽이관 내로 돌출하는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고 크기가 조정되는, 디바이스.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실린더 디스크 형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구부러진 바늘에 제자리에 성형되고, 그리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구부러진 바늘이 목적하는 양을 초과하여 적어도 하나의 막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바이스.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각진 팁의 원위 단부로부터 약 0.2㎜ 내지 약 1.2㎜(예컨대, 약 0.4㎜로부터 약 1.0㎜까지, 예컨대, 약 0.6㎜로부터 약 0.9㎜까지, 예컨대, 약 0.85㎜)의 거리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약 0.2㎜로부터 약 1.2㎜까지(예컨대, 약 0.4㎜로부터 약 1.0㎜까지, 예컨대, 약 0.6㎜로부터 약 0.9㎜까지, 예컨대, 약 0.85㎜)의 직경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약 0.2㎜로부터 약 1.0㎜까지(예컨대, 약 0.3㎜로부터 약 0.7㎜까지, 예컨대, 약 0.4㎜로부터 약 0.6㎜까지, 예컨대, 약 0.5㎜)의 높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내포된 하이포튜브의 각각의 하이포튜브는 약 10으로부터 약 30까지의(예컨대, 14XH, 20TW, 23XTW, 및/또는 27TW) 게이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내포된 하이포튜브의 각각의 하이포튜브는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분은 상기 핸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테이퍼링(tapering)된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식 지지부는 상기 테이퍼링된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원위 단부까지 아래로 테이퍼링되는(예컨대, 상기 신축식 지지부의 제2 근위 단부가 상기 제1 원위 단부에 결합되도록), 디바이스.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식 지지부는 근위 단부에서 약 0.2인치 또는 이 미만의 외경으로부터 원위 단부에서 약 0.01인치 또는 이보다 큰 외경으로 테이퍼링되는, 디바이스.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분은 촉각 및 제어를 위한 기계 가공된 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분은 상기 내이 내로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되고 크기가 조정되는, 디바이스.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방출 피처는 층상 돌출부(예컨대, 층상 페박스 돌출부(layered Pebax extrusion))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30. 제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방출 피처는 상기 배관의 꼬임 및/또는 변형을 방지하는, 디바이스.
  31. 제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압축 피트를 통해 상기 구부러진 바늘에 결합되는, 디바이스.
  32. 제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폴리에터 에터 케톤(PEEK)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33. 제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약 0.003인치로부터 약 0.01인치까지(예컨대, 약 0.007인치)의 내경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34. 제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약 1/64인치로부터 약 1/16인치까지(예컨대, 약 1/32인치)의 외경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35. 제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20인치보다 큰, 예컨대, 30인치보다 큰, 예컨대, 40인치보다 큰, 예컨대, 50인치보다 큰, 예컨대, 60인치보다 큰, 예컨대, 약 60인치의 길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멸균 및/또는 생체 적합성인, 디바이스.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팁은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유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구부러진 바늘의 구부러진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디바이스.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의 디바이스 및 배관에 유체 결합된 멸균된 주사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펌프를 포함하는,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예컨대, 약 10 ㎕/분으로부터 약 60 ㎕/분까지, 예컨대, 약 15 ㎕/분으로부터 약 55 ㎕/분까지, 예컨대, 약 20 ㎕/분으로부터 약 50 ㎕/분까지, 예컨대, 약 25 ㎕/분으로부터 약 45 ㎕/분까지, 예컨대, 약 25 ㎕/분으로부터 약 40 ㎕/분까지, 예컨대, 약 20 ㎕/분으로부터 약 35 ㎕/분까지, 예컨대, 약 30 ㎕/분의 레이트로)(예컨대, 약 10 ㎕/분으로부터 약 200 ㎕/분까지, 예컨대, 약 20 ㎕/분으로부터 약 180 ㎕/분까지, 예컨대, 약 30 ㎕/분으로부터 약 180 ㎕/분까지, 예컨대, 약 40 ㎕/분으로부터 약 150 ㎕/분까지, 예컨대, 약 50 ㎕/분으로부터 약 150 ㎕/분까지, 예컨대, 약 60 ㎕/분으로부터 약 140 ㎕/분까지, 예컨대, 약 70 ㎕/분으로부터 약 130 ㎕/분까지, 예컨대, 약 80 ㎕/분으로부터 약 120 ㎕/분까지, 예컨대, 약 90 ㎕/분으로부터 약 110 ㎕/분까지, 예컨대, 약 100 ㎕/분의 레이트로), 시스템.
  41. 전달 시스템으로서,
    전달 디바이스로서:
    원위 단부;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정지부
    를 포함하는, 상기 전달 디바이스;
    상기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원위 팁 카메라; 및
    상기 원위 팁 카메라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모니터로서, 상기 원위 팁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모니터
    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투명한, 전달 시스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원위 팁 카메라가 상기 정지부를 통해 보기 위해 투명한 부분을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팁 카메라는 상기 정지부의 전방 표면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정지부의 전방 표면은 타깃을 향하는, 전달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은 귀의 일부인, 전달 시스템.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팁 카메라는 상기 정지부 내에 내장(예컨대, 통합)되는, 전달 시스템.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팁 카메라는 상기 정지부 뒤에 배치되는, 전달 시스템.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팁 카메라와 상기 모니터 사이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4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팁 카메라는 자동 초점 특징을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5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팁 카메라는 직육면체 형상, 칩 형상, 원통형 형상, 및 이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51.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약 90°로부터 약 150°까지의 시야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5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최대 100㎜까지의 높이와 함께 최대 10㎜×10㎜까지의 치수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 및 최대 100㎜까지의 길이와 함께 최대 10㎜까지의 외경을 포함하는 원통형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5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초당 적어도 5 프레임(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적어도 10×10 픽셀 해상도 비디오를 캡처할 수 있는 이미지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5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기껏해야 10㎜×10㎜의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5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최대 10㎜까지의 광학 포맷, 및 최대 10㎛까지의 픽셀 크기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5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57. 제41항에 있어서, 구동기 패키지 및/또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58. 제4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59. 제41항에 있어서, 광섬유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60. 원위 팁 카메라 시스템으로서,
    정지부를 포함하는 바늘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와이어;
    상기 이미지 센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캡처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세싱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모니터
    를 포함하는, 원위 팁 카메라 시스템.
  61. 내이의 일부에 (예컨대, 제1항 내지 제37항 또는 제83항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제38항 내지 제60항의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한 외과적 절차로서,
    후방 고막 피판(posterior tympanomeatal flap)을 발달시키는 것;
    등골 발판에 개구를 생성하는 것;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바늘로 원창을 뚫는 것;
    상기 원창 내에서 목적하는 삽입 깊이에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배치하는 것; 및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내이로 상기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것
    을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원창을 뚫기 이전에 원위 팁 카메라, 내시경, 및 수술 현미경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것; 및
    상기 원창을 뚫기 이전에 상기 원위 팁 카메라, 상기 내시경, 및 상기 수술 현미경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내이에 걸친 상기 치료액의 유량 및 상기 치료액의 분포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원창을 뚫기 이전에 원위 팁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원위 팁 카메라는 상기 절차 동안 외과의가 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과적 절차.
  64. 제61항에 있어서,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는 것은 마이크로 큐렛(micro curette) 및 드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후방 고막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65.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기 이전에 상기 귀를 준비하고 덮는 것(draping);
    상기 귀를 준비하고 덮기 이전에 환자를 배치하는 것;
    상기 환자를 배치하기 이전에 마취를 유도하는 것; 및
    마취를 유도하기 이전에 상기 귀를 마킹(marking)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66.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기 이전에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와 상류 펌프 사이에 배관를 연결하는 것;
    상기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기 이전에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멸균하는 것; 및
    상기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기 이전에 상기 시스템을 프라이밍(priming)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67.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액은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유전자 요법을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68.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치료액을 흐르게 한 후에 상기 내이로부터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것; 및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제거한 후에 원창 막 및 상기 등골 발판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피부 치료를 적용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69. 제6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피부 치료를 적용한 후에 상기 후방 고막 피판을 원래 위치로 다시 복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70.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킨 후에, 골관과 고막 및/또는 위막 돌출 뼈의 접합부로부터 뼈를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71. 제70항에 있어서, 뼈를 제거하기 위해 다이아몬드 드릴 및 이과 드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7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등골 발판에 개구를 생성하는 것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상기 등골 발판에 개구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7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이과 레이저(otologic laser)를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74.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고막 피판을 발달시키기 이전에 상기 환자의 외이도에 마취제 및 아드레날린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75.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귀를 준비하는 것은 상기 귀에 적어도 하나의 방부제를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부제는 포비돈-요오드(povidone-iodine), 요오도포비돈(iodopovidone), 베타딘(betadine), 워카딘(wokadine) 및 피오딘(pyodi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77.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부 치료는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 히알루론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78. (예컨대, 제1항 내지 제37항 또는 제83항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제38항 내지 제60항의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내이의 일부에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등골 발판에 개구를 생성하는 단계;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바늘로 원창을 뚫는 단계;
    상기 원창 내에서 목적하는 삽입 깊이에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내이로 상기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치료액은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유전자 요법을 포함하는, 방법.
  79. 내이의 일부에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한(예컨대, 제1항 내지 제37항 또는 제83항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제38항 내지 제60항의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방법으로서,
    등골 발판에 개구를 생성하는 단계;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바늘로 원창을 뚫는 단계;
    상기 원창 내에서 목적하는 삽입 깊이에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내이로 상기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목적하는 삽입 깊이는 약 0.7㎜로부터 약 1.0㎜까지의 깊이를 포함하는, 방법.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내이로 상기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는 약 20 ㎕/분으로부터 약 100 ㎕/분까지의 유량으로 상기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1.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내이로 상기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는 약 0.07㎖로부터 약 0.11㎖까지의 범위의 치료액의 총 체적을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2.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내이로 상기 치료액을 흐르게 하는 단계는 약 0.5분으로부터 약 5분까지의 범위의 시간 지속기간 동안 치료액을 흐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3. 귀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핸들 부분;
    상기 핸들 부분의 원위 단부에 결합된 신축식 지지부;
    상기 신축식 지지부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고 구부러진 바늘을 포함하는 바늘 서브 어셈블리; 및
    상기 핸들 부분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배관
    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84.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정지부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시스템으로서,
    장착 표면;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네스팅(device nesting)으로서, 상기 장착 표면에 장착되는, 상기 디바이스 네스팅
    을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85. 전달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시스템으로서,
    장착 표면;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네스팅, 상기 장착 표면에 장착되는, 상기 디바이스 네스팅
    을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표면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쌍의 반대로 지향된 슬릿을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쌍의 반대로 지향된 슬릿은 상기 전달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에 유체 결합된 배관을 유지하는, 포장 시스템.
  88.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네스팅 내에 배치된 복수의 네스팅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네스팅 노치는 상기 전달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본체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하는, 포장 시스템.
  89.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표면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슬릿; 및
    상기 디바이스 네스팅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착 슬릿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분
    을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90.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네스팅은 바이올린 형상인, 포장 시스템.
  91.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상기 디바이스 네스팅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꼬임 타이(twist-tie)를 더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92.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쌍의 반대로 지향된 슬릿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쌍의 반대로 지향된 슬릿이 상기 장착 표면에 손상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느 하나의 단부에 한 쌍의 만곡된 단부를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93.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디바이스는
    원위 팁 및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본체; 및
    상기 근위 단부에 유체 결합된 배관
    을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94. 내이에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전달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시스템으로서,
    장착 표면;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네스팅
    을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 네스팅은 상기 장착 표면에 장착되는, 포장 시스템.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디바이스의 상류에 유체 결합된 PEEK 배관; 및
    상기 PEEK 배관 주위에 배치된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96.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관 주위에 동심으로 배치된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97.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중합체 물질로 구성되는, 포장 시스템.
  98. 환자의 내이의 일부에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한 외과적 절차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내이 내로 상기 치료액을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99. 제98항에 있어서,
    경관 고막절개술을 수행하는 것; 및
    레이저 보조 미세 등골절개술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100. 외과적 절차로서,
    경관 고막절개술을 수행하는 것;
    레이저 보조 미세 등골절개술을 수행하는 것;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내이 내로 치료액을 주입하는 것;
    상기 환자의 원창 및 난원창 중 적어도 하나 주위에 밀봉재를 적용하는 것; 및
    상기 환자의 고막 피판을 해부학적 위치로 낮추는 것
    을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101. 환자의 내이의 일부에 치료액을 전달하기 위한 외과적 절차로서,
    경관 고막절개술을 수행하는 것;
    상기 환자의 원창을 준비하는 것;
    레이저 보조 미세 등골절개술을 수행하는 것;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내이로의 전달을 위한 상기 치료액 둘 모두를 준비하는 것;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내이에 상기 치료액을 주입하는 것;
    상기 환자의 원창 및 난원창 중 적어도 하나 주위에 밀봉재를 적용하는 것; 및
    상기 환자의 고막 피판을 해부학적 위치로 낮추는 것
    을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102. 제101항에 있어서, 레이저 보조 미세 등골절개술을 수행하는 것은 KTP 이과 레이저 및 CO2 이과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103.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액은 AAV 벡터를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104.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AAV 벡터는 Anc80 AAV 벡터를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105.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AAV 벡터는 hOTOF를 인코딩하는 코딩 영역을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10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구부러진 바늘 내에 배치된 정지부 고정 홈 주위에 안착되는, 외과적 절차.
  10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식 지지부와 상기 핸들 부분 사이의 경계면에 배치된 환형 버팀대를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절차.
  10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분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계 가공된 미늘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계 가공된 미늘은 상기 응력 방출 피처와 인터페이싱하고 상기 핸들 부분과 상기 응력 방출 피처 사이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외과적 절차.
KR1020227041191A 2020-05-27 2021-05-26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83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30519P 2020-05-27 2020-05-27
US63/030,519 2020-05-27
US202063126270P 2020-12-16 2020-12-16
US63/126,270 2020-12-16
US202163151610P 2021-02-19 2021-02-19
US63/151,610 2021-02-19
PCT/US2021/034352 WO2021242926A1 (en) 2020-05-27 2021-05-26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fluid to the inner 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374A true KR20230018374A (ko) 2023-02-07

Family

ID=7652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191A KR20230018374A (ko) 2020-05-27 2021-05-26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30201484A1 (ko)
EP (1) EP4157174A1 (ko)
JP (1) JP2023527366A (ko)
KR (1) KR20230018374A (ko)
CN (1) CN116209487A (ko)
AU (1) AU2021279008A1 (ko)
BR (1) BR112022023974A2 (ko)
CA (1) CA3178301A1 (ko)
CL (1) CL2022003324A1 (ko)
IL (1) IL298506A (ko)
MX (1) MX2022014751A (ko)
WO (1) WO2021242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E20240012A1 (es) 2020-12-29 2024-01-04 Akouos Inc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tratar la perdida de audicion y/o la perdida de vision asociada a clrn1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695099A (en) * 1998-08-25 2000-03-14 Frank C. Hill Middle ear fluid aspirator
EP3474941A1 (en) * 2016-06-22 2019-05-01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 system for inner ear drug delivery via trans-round window membrane injection
US11439749B2 (en) * 2017-10-25 2022-09-13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round window membrane drug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1484A1 (en) 2023-06-29
AU2021279008A1 (en) 2022-12-08
CA3178301A1 (en) 2021-12-02
CL2022003324A1 (es) 2023-04-10
MX2022014751A (es) 2023-01-16
WO2021242926A1 (en) 2021-12-02
CN116209487A (zh) 2023-06-02
BR112022023974A2 (pt) 2022-12-20
EP4157174A1 (en) 2023-04-05
IL298506A (en) 2023-01-01
JP2023527366A (ja)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5588B2 (en) Fully integrated, disposable tissue visualization device
US10842676B2 (en) Earplug assembly for iontophoresis system
JP6339317B2 (ja) 液体管理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方法
JP5642823B2 (ja) 神経外科用器具
KR102629368B1 (ko) 치료물질 운반디바이스, 및 치료물질 운반키트
CN110650673A (zh) 用于生物医学靶向和递送的方法以及用于实践该方法的装置和系统
KR20180079373A (ko) 유스타키오관을 마취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lontke et al. Transtympanic endoscopy for drug delivery to the inner ear using a new microendoscope
KR20230018374A (ko) 내이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US11083493B2 (en) Mechanism for holding elongate medical apparatus
EA046366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жидкости в ухо и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WO2023147535A2 (en) Microneedle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ation of the round window membrane
KR101935370B1 (ko) 약액주입장치
KR20110033892A (ko) 카데터 및 카데터 조립체
US20240130896A1 (en) Advanced cochlea access
Hiraumi et al. Efficiency of a transtympanic approach to the round window membrane using a microendoscope
JP2008018222A (ja) 尿道にカテーテル類、器具を挿入する際の塩酸リドカインゼリー、あるいは潤滑剤充填済みの特殊形状を持った使い捨て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