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373A - 지방 조직 재생 기재 - Google Patents

지방 조직 재생 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373A
KR20230018373A KR1020227041171A KR20227041171A KR20230018373A KR 20230018373 A KR20230018373 A KR 20230018373A KR 1020227041171 A KR1020227041171 A KR 1020227041171A KR 20227041171 A KR20227041171 A KR 20227041171A KR 20230018373 A KR20230018373 A KR 20230018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ipose tissue
granular
tissue regeneration
bioabsorbabl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키 마츠바라
유우키 가토
나오키 모리모토
슈이치 오기노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각고우호징간사이이카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각고우호징간사이이카다이가쿠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68General culture methods using subst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14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for producing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3Adipocytes; Adipos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2Encapsulated active agents, e.g. emulsified drop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3/003D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30Synthetic polymers
    • C12N2533/40Polyhydroxyacids, e.g. polymers of glycolic or lactic acid (PGA, PLA, PLGA); Bioresorbabl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50Proteins
    • C12N2533/54Collagen; Gela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heu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급성이 높고, 큰 체적의 지방 조직을 정상적인 형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갖고 표면에 상기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를 복수 갖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상체와, 개구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입상체를 감싸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머니상체로 구성되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이다.

Description

지방 조직 재생 기재
본 발명은, 취급성이 높고, 큰 체적의 지방 조직을 정상적인 형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에 관한 것이다.
유방암의 치료 방법은, 유방에 발생한 암을 방사선이나 화학 요법만으로는 치유가 곤란한 경우, 수술에 의해 절제하는 방법 (외과 요법) 이 실시된다. 종래에는 병소 조직마다 유방을 모두 절제하는 전적술이 많았지만, 최근, 검사 기술의 향상에 의한 조기 발견으로 병소가 작기 때문에 조직 부분만을 절제하는 유방 온존술이 가능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유방 온존술이어도 절제한 부분은 함몰이 생겨 버리기 때문에, 환자에게 정신적인 부담을 강요하는 것에 변화는 없다. 그 때문에, QOL 의 향상을 위해서도 외과 요법 후에 유방 재건술을 받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유방 재건술로는, 실리콘제의 임플란트가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생체 비흡수성이기 때문에 영원히 체내에 이물질로서 잔존하는 점에서 이물질 반응 등에 의한 수술 후 누출이나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고, 또, 접촉에 의한 알레르기, 발암 등의 악영향도 우려되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다른 부위로부터 지방 조직을 채취하고, 그것을 함몰이 있는 환부에 이식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식 후 신속하게 흡수되어 버려 재차 함몰되는 경우가 있다. 또, 조직을 채취함으로써 새로운 창상이 방생하여 QOL 의 관점에서 반드시 바람직하지 않다.
이들 종래의 유방 재건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폴리락트산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입상체의 내부에 콜라겐을 함유하는 스펀지가 내포된 유방 재건용 부재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의 유방 재건용 부재는, 유방의 부분 절제에 의해 발생한 공간에 채움으로써, 주위의 세포가 유방 재건용 부재 내에 침입하고, 유방 재건용 부재를 기반으로 하여 증식함으로써, 다른 부위로부터 지방 조직을 이식하지 않고 유방을 재건할 수 있다. 또, 특허문헌 1 의 유방 재건용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방의 재생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체내에 흡수되어 가서 최종적으로는 소멸되는 점에서 안전성도 높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40494호
특허문헌 1 의 유방 재건용 부재는, 안전하게 생성된 자체의 세포로 이루어지는 유방을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방의 재건술로서 매우 유효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유방 재건용 부재는, 절제 범위가 커지면 대량의 유방 재건용 부재를 채워야만 하기 때문에, 매식의 용이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유방암 치료의 단계에서는, 암 절제 후에 암세포를 완전하게 사멸시키기 위해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다. 그 영향으로 피부가 경화되기 때문에 티슈 익스팬더 등으로 피부를 서서히 크게 한 다음, 절개하고, 티슈 익스팬더를 취출하여 임플란트를 삽입한다. 실제로 특허문헌 1 의 작고 다량의 임플란트를 매식하기 위해서는, 양호한 정용 (整容) 으로 매식하기 위해 크게 절개할 필요가 있어, 환자에 대한 부담이 증가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방 재건용 부재의 사이즈를 크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었지만, 유방 재건용 부재의 사이즈를 지나치게 크게 하면 성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중심부까지 지방 조직 재생이 곤란해져 조직의 재생 성능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또, 대량·다수의 유방 재건용 부재를 채울 수 있었다고 해도, 개개의 유방 재건용 부재가 자세의 변경이나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이동하고, 매식 부분의 형상이 무너지기 쉬운 점에서, 아름다운 형상의 유방을 재생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취급성이 높고, 큰 체적의 지방 조직을 정상적인 형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갖고 표면에 상기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를 복수 갖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상체와, 개구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입상체를 감싸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머니상체로 구성되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진행시킨 결과, 개구부를 갖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머니상체 중에 복수의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상체를 채우는 것에 의해, 절제 부위가 큰 경우여도 매식하기 쉽고, 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여도 형상이 무너지기 어려워져서 정상적인 형상의 조직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는, 내부 공간을 갖고 표면에 상기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를 복수 갖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상체와, 개구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입상체를 감싸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머니상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 및 상기 입상체의 모식도를 도 1, 2 에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는 복수의 입상체 (1) 가 주머니상체 (3) 의 내부에 봉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입상체 (1) 는, 내부 공간을 갖고, 표면에 상기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를 복수 가지고 있고, 전체적으로 닫힌 형상으로 되어 있다. 주머니상체 (3) 는, 다수의 개구부와 내부 공간을 갖고, 내부에 봉입한 것이 외부로 이동하지 않는 것과 같은 닫힌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주머니상체 (3) 와 입상체 (1) 의 개구부를 통과한 세포가 입상체 내부의 벽면을 기반으로 하여 증식함으로써 지방 조직이 재생된다. 또, 입상체 (1) 및 주머니상체 (3) 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방 조직이 재생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재생해야 할 지방 조직의 공간을 유지하고, 지방 조직의 재생 후에는 체 내에 흡수되어 최종적으로는 소멸된다. 본 발명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는, 복수의 입상체를 주머니상체로 일괄하고 있기 때문에, 큰 공간에 대한 매식이 용이하고, 취급성이 높다. 또, 복수의 입상체 (1) 가 주머니상체 (3) 에 감싸짐으로써, 입상체 (1) 가 광범위하게 흩어지지 않는 점에서, 재생 후의 형상에 가까운 형태로 매식이 가능해진다. 또, 매식 후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여도, 입상체 (1) 가 주머니상체 (3) 보다 외측으로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매식시의 형상이 무너지기 어려워, 정상적인 형상의 지방 조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는, 입상체 (1) 의 내부에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펀지형 다공질체 (2) 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입상체 (1) 의 내부에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펀지형 다공질체 (2) 를 형성하면, 세포의 기반이 증가하는 점에서 지방 조직의 재생을 보다 촉진할 수 있음과 함께 강도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지형 다공질체는 해면상뿐만 아니라, 부직포나 면 등의 다수의 공극을 갖는 형상도 포함된다.
상기 입상체를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는, 임플란트로서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방 조직의 재생에는 반년부터 1 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그 기간 지방 조직 재생 기재가 매식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와 분해 속도를 가진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생체 흡수성 재료로는, 천연 고분자이면 콜라겐, 젤라틴, 키친, 키토산 등을 들 수 있고, 합성 고분자이면 락트산, 글리콜산, ε-카프로락톤, 디옥사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의 호모폴리머, 혹은 이것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 종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강도와 생체 내에서의 분해 속도가 지방 조직 재생 기재에 적합한 점에서, 폴리락트산 또는 락트산과 그 밖의 생체 흡수성 재료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 또는 락트산과 그 밖의 생체 흡수성 재료의 공중합체로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폴리락티드, 락티드와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락티드와 ε-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입상체의 생체 흡수성 재료가 폴리락티드, 락티드와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락티드와 ε-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인 경우,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00 이상 3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분해 속도를 보다 지방 조직의 재생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입상체의 형상은, 세포 증식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재생해야 할 지방 조직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상, 기둥상, 부정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매식 후에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형상이 무너지기 어렵고, 입상체 사이에 적당한 공극이 발생하여 지방 조직의 재생을 보다 촉진할 수 있는 점에서,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타원 구상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공간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 이상 100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공간의 크기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지방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보다 확실하게 입상체의 중심부까지 지방 조직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의 크기는 2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0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입상체의 개구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형, 격자상, 다각형, 부정형 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입상체의 개구부의 수도 2 개 지점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입상체의 개구부의 크기 및 점유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세포를 완만하게 입상체의 내부에 통과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최대 길이가 0.1 ㎜ 이상 20 ㎜ 이하인 개구부가 입상체의 표면적의 50 % 이상 99 % 이하의 점유율로 분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개구부의 사이즈 및 점유율이면, 입상체의 강도와 세포의 침입성의 밸런스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최대 길이는 지방 조직이 침입할 수 있고, 지방 이외의 이미 조직으로서 존재하고 있는 주변 조직이 침입하지 않는 사이즈이면 되고, 1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의 점유율은, 조직 침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입상체의 표면적의 6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입상체의 형상 확보의 관점으로부터 9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최대 길이란 개구부의 2 점간의 거리를 측정했을 때에 최대가 되는 길이를 가리킨다.
상기 입상체의 보다 구체적인 양태로는, 메시의 입상체, 다공성 캡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입상체가 메시의 입상체인 경우, 상기 입상체를 구성하는 메시로는, 모노 필라멘트 또는 멀티 필라멘트로 형성되는 망목상물 (네트), 직물, 편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성, 보형성, 지방 조직의 진입성 등의 관점에서, 메시의 타원 구상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입상체가 메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입상체를 구성하는 메시의 하나하나의 굵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시의 탄성, 보형성, 세포의 진입성 등의 관점에서, 0.05 ㎜ 이상 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이상 0.4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입상체를 구성하는 메시의 망목의 사이즈는, 세로, 가로 각각 0.01 ㎜ 이상 6 ㎜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 이상 5 ㎜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입상체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입상체가 타원 구상인 경우, 장경이 8 ㎜ 이상 150 ㎜ 이하, 단경이 5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체의 크기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큰 체적의 지방 조직을 재생할 때에 형상을 조절하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보다 확실하게 중심부까지 지방 조직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입상체의 장경은 10 ㎜ 이상 3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이상 2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입상체의 단경은 5 ㎜ 이상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 이상 1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 중에 있어서의 상기 입상체의 수는 2 개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입상체의 크기와 매식처의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지만, 취급성과 큰 체적의 지방 조직의 재생을 보다 촉진하는 관점에서 5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개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스펀지형 다공질체를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 폴리-ε-카프로락톤, 락티드글리콜- 공중합체, 글리콜리드-ε-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락티드-ε-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시트르산, 폴리말산, 폴리-β-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β-하이드록시산, 폴리트리메틸렌옥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살레이트,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오르토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 폴리-γ-벤질-L-글루타메이트, 폴리-γ-메틸-L-글루타메이트, 폴리-L-알라닌, 폴리글리콜세바스틴산 등의 합성 고분자나, 전분, 알긴산, 히알루론산, 키친, 펙틴산 및 그 유도체 등의 다당류나, 젤라틴, 콜라겐, 알부민, 피브린 등의 단백질 등의 천연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체와의 친화성이 높은 점에서, 콜라겐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펀지형 다공질체가 콜라겐을 함유하는 경우, 콜라겐을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펀지형 다공질체 내의 콜라겐의 함유량은 6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90 중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95 중량% 이상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100 중량%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콜라겐은, 소, 돼지 등의 피부나 힘줄 등에서 유래하는 것을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항원성을 배제하여 보다 안전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콜라겐을 프로테아제나 펩신 등의 효소로 처리하여, 테로펩티드를 가능한 한 제거한 아텔로콜라겐이 바람직하다.
콜라겐을 함유하는 상기 스펀지형 다공질체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펠낙 (스미스·앤드·네퓨운드매니지먼트사 제조), 테루다미스 (테루모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에 사용되는 입상체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표면에 상기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를 복수 갖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상체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주머니상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방형의 주머니상, 원형의 주머니상 등, 매식 부위에서의 성형의 용이함에 따라 어떠한 형상도 사용할 수 있다. 또, 구체적인 양태로는 필라멘트를 엮어 주머니상으로 한 그물이나, 다공질의 주머니상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주머니상체를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입상체와 비교해서 장기간의 강도 유지를 필요로하지 않는 점에서 상기 스펀지형 다공질체를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 복수의 입상체를 유지, 전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강력은 필요하고, 임플란트로서 생체내에 매식하는 점에서, 염증 반응 또는 이물질 반응이 최대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생체 흡수성 재료로는, 봉합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소재를 들 수 있고,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디옥산,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또는 이것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글리콜리드, 폴리글리콜리드와 그 밖의 생체 흡수성 재료의 공중합체 또는 락트산과 그 밖의 생체 흡수성 재료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주머니상체가 그물인 경우, 상기 주머니상체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굵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연성과 강도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주머니상체의 개구부의 점유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세포를 완만하게 입상체에 통과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주머니상체의 표면적의 50 % 이상 99 % 이하의 점유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개구부의 점유율이면, 주머니상체의 강도와 세포의 침입성의 밸런스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주머니상체의 개구부의 점유율은, 주머니상체의 표면적의 6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주머니상체의 개구부의 사이즈는, 입상체에 대한 세포의 침입을 저해하지 않고, 상기 입상체가 주머니상체의 밖으로 튀어 나오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주머니상체의 개구부의 최대 길이가 상기 입상체의 단경의 1/50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 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주머니상체의 개구부의 사이즈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 전체의 형상 부여성과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주머니상체가 그물인 경우, 상기 주머니상체의 망목의 사이즈의 구체적인 수치로는, 예를 들어, 세로, 가로 모두 0.02 ㎜ 이상 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 이상 0.1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주머니상체의 사이즈는, 매식 부위의 체적 및 상기 입상체의 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지만, 지방 조직 재생 기재의 성형성을 높이면서 매식 후의 상기 입상체의 붕괴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상기 주머니상체의 내부 공간은, 상기 입상체의 총 체적의 1.2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상체의 총 체적은, 입상체의 내부 공간의 체적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스펀지형 다공질체를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메시로 감싸 단부를 닫음으로써 입상체를 복수 제조하고, 얻어진 입상체를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머니상체로 감싸 단부를 닫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입상체를 제조한 후에 스펀지형 다공질체 재료를 개구부로부터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시 또는 주머니상체의 단부를 닫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필라멘트끼리를 묶는 방법이나 열 압착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는, 지방 조직에 매식하여 지방 조직을 재생하는 용도에 사용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자기의 세포로 이루어지는 산 지방 조직을 다른 부위로부터 조직을 매식하지 않고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 지방 조직으로는, 예를 들어, 유방, 둔부, 복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은, 큰 체적의 지방 조직을 정상적인 형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점에서, 유방의 부분적 절제에 의해 발생한 결손부에 매식하여 유방을 재생하는 용도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급성이 높고, 큰 체적의 지방 조직을 정상적인 형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의 모식도이다.
도 2 는, 입상체의 모식도이다.
도 3 은, 구멍상 결손에 대한 성형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수평상 결손에 대한 성형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돼지의 근막 상 결손부에 이식 후 0 (이식 직후), 1, 3, 6, 9 개월 후의 핵자기 공명 화상 (MRI) 이다.
도 6 은,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돼지의 근막 상 결손부에 이식 후 6 개월 후에 있어서의 이식부의 헤마톡실린에오신 (HE) 염색 이미지이다.
도 7 은,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돼지의 근막 상 결손부에 이식 후 6 개월 후에 있어서의 이식부의 오일 레드 O 염색 이미지이다.
도 8 은,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돼지의 근막 상 결손부에 이식 후 6 개월 후에 있어서의 이식부의 아잔 염색 이미지이다.
도 9 는,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돼지의 근막 상 결손부에 이식 후 6 개월 후에 있어서의 이식부의 항 CD31 항체 면역 염색 이미지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콜라겐 스펀지 (펠낙, 스미스·앤드·네퓨운드매니지먼트사 제조) 를 폴리락트산 (중량 평균 분자량 : 220,000) 으로 이루어지는 메시 (필라멘트의 굵기 : 0.2 ㎜ ∼ 0.25 ㎜, 메시 개구부 : 1 × 1 ㎜ ∼ 2 × 2 ㎜) 로 감싸, 단부를 열 압착에 의해 닫음으로써, 콜라겐 스펀지를 내부에 갖는, 장경 18 ㎜, 단경 7.5 ㎜ 의 타원 구상의 입상체를 얻었다. 이어서, 동일한 방법으로 입상체를 30 개 제작하고, 얻어진 입상체를 110 ㎜ × 35 ㎜ 의 폴리글리콜리드 멀티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봉투 형상의 주머니상체 (필라멘트의 구성 : 0.015 ㎜ × 12, 망목 사이즈 : 0.05 ㎜ × 0.05 ㎜) 로 감싸, 단부를 열 용착하여 닫음으로써,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얻었다.
(실시예 2)
콜라겐 스펀지를 이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의 입상체 30 개를 그대로 지방 조직 재생 기재로서 사용하였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지방 조직 재생 기재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직 재생성의 평가 1)
미니 돼지 (약 20 ㎏) 의 배부 피하를 절개하고, 정중선 (正中線) 의 좌측에 실시예 1, 2 에서 얻어진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매식하였다. 4 개월 후,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매식한 부분을 취출하고, 조직의 재생의 유무를 확인한 결과, 약 4 ㎝ 의 조직이 재생되었다.
(조직 재생성의 평가 2)
실험 동물로서 대형 동물인 미니 돼지 (약 25 ㎏) 를 준비하고, 복부의 피부를 정중 절개하였다. 이어서, 복부 좌우의 지방·유선 조직을 박리하고, 유선 하, 근막 상에 결손부를 제작하였다. 근막 상 결손부에,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이식하고, 피부를 봉합하였다.
수술 후, 0 (이식 직후), 1, 3, 6, 9 개월 후에 복부의 핵자기 공명 화상 (MRI) 을 촬영하였다. 촬영한 핵자기 공명 화상 (MRI) 을 도 5 에 나타냈다.
또, 수술 후 6 개월 후에 복부 오른쪽의 근층 상 지방 조직을 취출하고, 이식 부분을 적출했다. 얻어진 검체를 절편 표본으로 하고, 헤마톡실린에오신 (HE) 염색, 오일 레드 O 염색, 아잔 염색 및 항 CD31 항체 면역 염색을 실시하였다. 각 염색을 실시한 현미경 사진 이미지를 각각 도 6, 도 7, 도 8 및 도 9 에 나타냈다.
도 5 로부터, 수술 후 6 개월 후에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이식한 부분에 있어서, 지방 조직이나 유선 조직과 접하고 있는 주변부로부터의 지방 조직의 재생 (도 5 의 MRI 이미지 (T1 강조 이미지) 에 있어서 하얗게 정색된 부분) 이 확인되었다. 또, 수술 후 9 개월 후에는, 보다 큰 범위에 지방 조직 재생 기재의 주변부로부터 지방 조직의 재생이 확인되었다.
추가로, 도 6, 도 7 및 도 8 로부터, 수술 후 6 개월 후에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의 내부에 지방 조직이나 콜라겐 조직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또, 도 9 로부터, 이 지방 조직이나 콜라겐 조직에 혈관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성형성의 평가)
(1) 구멍상 결손에 대한 성형성
피부와 지방 조직의 대용으로서 껍질이 부착된 계흉육 358 g 을 준비하고, 껍질을 부분적으로 벗겨 살 부분을 노출시켰다. 이어서, 노출시킨 살에 십자 절입을 넣고, 추가로 중앙부를 도려내어 구멍상 결손부를 만들었다. 껍질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 후에 절입의 길이 (세로, 가로) 및 결손부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그 후, 결손부에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매식하고, 껍질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 후에 절입의 길이 (세로, 가로) 및 결손부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비교예 1 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 30 개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절입의 길이 (세로, 가로) 및 결손부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3 에 나타냈다. 측정 결과로부터, 비교예 1 은 지방 조직 재생 기재가 절입 부위에 비집고 들어가 높이 방향에 성형하기 어려운 한편, 실시예 1 은 지방 조직 재생 기재가 가로세로의 방향으로 그다지 확대되지 않고, 높이 방향으로 산을 만들도록 밀집되어 있는 점에서, 높이가 있는 형상을 성형하기 쉬워, 유방이나 둔부 등의 지방 조직의 성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2) 수평상 결손에 대한 성형성
피부와 지방 조직의 대용으로서 껍질이 부착된 계흉육 379 g 을 준비하고, 껍질을 부분적으로 벗겨 살 부분을 노출시켰다. 이어서, 노출시킨 살의 근섬유 방향으로 한 개의 절입을 넣어, 절입의 길이 (가로), 절입을 열었을 때의 길이 (세로) 및 절입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그 후, 절입부에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매식하여, 절입의 길이 (세로, 가로) 및 높이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비교예 1 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 30 개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절입의 길이 (세로, 가로) 및 높이를 측정하였다.
이 때,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매식한 상태를 관찰한 결과, 실시예 1 에서는 절입으로부터 지방 조직 재생 기재가 초과하는 경우는 없었지만, 비교예 1 에서는 복수 개의 지방 조직 재생 기재가 절입으로부터 돌출, 탈락하고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의 측정은, 돌출, 탈락한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절입 내로 밀어 넣은 후에 실시했다.
측정 결과를 도 4 에 나타냈다. 측정 결과로부터, 비교예 1 은 지방 조직 재생 기재가 절입의 세로 방향으로 확대되어 높이 방향으로 성형하기 어려운 한편, 실시예 1 은 세로, 가로 방향으로 확대되기 어렵고, 높이 방향으로 산을 만들도록 밀집되어 있는 점에서, 높이가 있는 형상을 성형하기 쉬워, 유방이나 둔부 등의 지방 조직의 성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급성이 높고, 큰 체적의 지방 조직을 정상적인 형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1 : 입상체
2 : 스펀지형 다공질체
3 : 주머니상체

Claims (8)

  1. 내부 공간을 갖고 표면에 상기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를 복수 갖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상체와, 개구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입상체를 감싸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머니상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체가, 폴리락트산 또는 락트산과 그 밖의 생체 흡수성 재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타원 구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체의 내부에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펀지형 다공질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상체를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가 폴리글리콜리드, 폴리글리콜리드와 그 밖의 생체 흡수성 재료의 공중합체 또는 락트산과 그 밖의 생체 흡수성 재료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유방의 부분적 절제에 의해 발생한 결손부에 매식하여 사용되는, 지방 조직 재생 기재.
  6. 제 1 항에 기재된 지방 조직 재생 기재에 사용되는 입상체로서, 내부 공간을 갖고 표면에 상기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를 복수 갖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체.
  7. 제 6 항에 있어서,
    폴리락트산 또는 락트산과 그 밖의 생체 흡수성 재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타원 구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체.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펀지형 다공질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체.
KR1020227041171A 2020-05-29 2021-02-26 지방 조직 재생 기재 KR20230018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94690 2020-05-29
JP2020094690 2020-05-29
PCT/JP2021/007314 WO2021240928A1 (ja) 2020-05-29 2021-02-26 脂肪組織再生基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373A true KR20230018373A (ko) 2023-02-07

Family

ID=7874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171A KR20230018373A (ko) 2020-05-29 2021-02-26 지방 조직 재생 기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12508A1 (ko)
JP (1) JPWO2021240928A1 (ko)
KR (1) KR20230018373A (ko)
CN (1) CN115916275A (ko)
WO (1) WO202124092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0494A (ja) 2015-01-30 2016-08-08 グンゼ株式会社 脂肪組織再建用部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9460A1 (en) * 2001-09-27 2003-03-27 Yasuhiko Tabata Hybrid material for regeneration of living body tissue
JP4296399B2 (ja) * 2002-09-03 2009-07-15 真実 仁尾 乳房メッシュインプラント
JP4279233B2 (ja) * 2004-10-25 2009-06-17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間葉系組織再生誘導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9017403B2 (en) * 2009-07-17 2015-04-28 Peter Forsell Breast implant system
US20130123917A1 (en) * 2011-11-12 2013-05-16 Christina Marie Riad Breast prosthesis form
US20160008145A1 (en) * 2011-11-12 2016-01-14 Christina Riad Breast Prosthesis 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0494A (ja) 2015-01-30 2016-08-08 グンゼ株式会社 脂肪組織再建用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240928A1 (ko) 2021-12-02
CN115916275A (zh) 2023-04-04
US20230212508A1 (en) 2023-07-06
WO2021240928A1 (ja)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8416B2 (en) Tissue marking implant
US6544287B1 (en) Solid filled implants
US6638308B2 (en) Bioabsorbable breast implant
US10327884B2 (en) Elongated tissue matrices
US8157862B2 (en) Tissue marking implant
Beier et al. Axial vascularization of a large volume calcium phosphate ceramic bone substitute in the sheep AV loop model
US20210353831A1 (en) Scaffolding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151300B1 (ko) 엔도타인 유방 재건 디바이스 및 방법
US5634945A (en) Biological filler and use of same
WO1999018886A1 (en) Breast implant
CN101454030A (zh) 用于脊柱外科手术中定向细胞向内生长和控制组织再生的方法
GB2403409A (en) Repair method for Dura mater using equinine collagen foil
CN107106290A (zh) 用于肌腱和韧带重建的装置
Kinoshita et al.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continuity defects in dogs using poly (L-lactide) mesh and autogenic particulate cancellous bone and marrow: preliminary report
Kinoshita et al. Study on the efficacy of biodegradable polyf (l-lactide) mesh for supporting transplanted particulate cancellous bone and marrow: experiment involving subcutaneous implantation in dogs
KR20230018373A (ko) 지방 조직 재생 기재
US20210386911A1 (en) Surgical implants and methods for nipple or facial reconstruction
JP6305357B2 (ja) 脂肪組織再建用部材
JP2018110869A (ja) 脂肪組織再建用部材
WO2023212126A1 (en) Soft tissue composite
PATCH et al. WHAT ARE THE INDICATIONS TO UTILIZE
Länsman et al. Evaluation of Poly-L/D-lactide (PLDLA) 96/4 Scaffolds Implanted in the Subcutis of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