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226A - 마찰교반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마찰교반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226A
KR20230018226A KR1020210100150A KR20210100150A KR20230018226A KR 20230018226 A KR20230018226 A KR 20230018226A KR 1020210100150 A KR1020210100150 A KR 1020210100150A KR 20210100150 A KR20210100150 A KR 20210100150A KR 20230018226 A KR20230018226 A KR 2023001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stir
stir welding
tool
brush
weld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대
이정우
신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210100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226A/ko
Publication of KR2023001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0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translation movement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23D79/02Machines or devices for scraping
    • B23D79/021Machines or devices for scraping for removing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burrs, e.g. flash, on pipes or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4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 B23K20/125Rotary tool driv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교반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일측 툴바디(200)에 브러시(460)를 포함한 버제거유니트(400)가 구비되고, 마찰교반용접 툴(100)을 이용한 마찰교반용접 작업시 회전하는 브러시(460)를 이용해서 모재(10)의 용접라인(20)에서 발생하는 버(30)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마찰교반용접 장치{FRICTION STIR WE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마찰교반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찰교반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버(burr)를 마찰교반용접 작업중에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마찰교반용접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현대의 고도화된 산업사회에서 용접기술의 발달은 제품의 생산성과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으며, 세계 각국은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새로운 용접기술의 개발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991년에 영국의 TWI(The Welding Institute)에서 개발된 친환경적이며 에너지 절약형 생산공정인 마찰교반용접(Friction Srir Welding, FSW) 기술은 모재가 녹지 않는 고상용접법으로 기존의 용융용접법에 비해 용접부의 특성과 품질이 뛰어나 산업계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철도차량, 선박, 항공기기, 자동차, 반도체분야 등에 대한 적용화 과정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얻고 있다.
마찰교반용접이란 금속의 접합부위에 회전도구를 설치하여 회전도구와 접합금속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하여 분할된 두 금속을 접합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마찰교반용접은 고온의 용융 용접시에 용접균열과 용접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석출 경화형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철재료의 판재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열감수성이 높은 철강재료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마찰교반용접 장치는 접합되는 모재보다 경도가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 마찰교반용접 툴, 및 마찰교반용접 툴을 회전시키면서 분할된 2개의 모재의 접합부를 따라 마찰교반용접 툴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마찰교반용접 툴이 회전하면서 2개의 모재의 접합부를 따라 이동하면 마찰교반용접 툴과 모재의 접합부 사이에는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열과 마찰교반용접 툴이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연화된 접합부의 소성유동으로 재질의 교반작용이 활성화되면서 고상접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마찰교반용접 작업을 하게 되면 모재의 용접라인에 다수의 버(burr)가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용접작업 후에 별도의 추가 공정에서 버를 제거하였으며, 이로 인해 작업 공정수 증가, 추가 작업인원 필요, 생산성 감소 및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371호
본 발명은, 마찰교반용접 작업시 모재의 용접라인에 발생하는 버를 마찰교반용접 작업중에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마찰교반용접 장치로서, 버 제거를 위한 추가 공정작업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 공정수 감축과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찰교반용접 장치는, 회전 및 이동을 통해 2개의 모재를 결합하는 마찰교반용접 툴; 상기 마찰교반용접 툴이 설치된 툴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마찰교반용접 툴의 측부에서 모재를 가압하는 툴바디롤러; 및 상기 마찰교반용접 툴과 연결되고, 툴바디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마찰교반용접 툴과 함께 회전하면서 모재의 용접라인에서 발생한 버를 제거해주는 버제거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툴바디롤러는 용접진행방향을 따라 마찰교반용접 툴의 전방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제거유니트는 용접진행방향을 따라 마찰교반용접 툴의 후방쪽에 위치해서 용접작업시 마찰교반용접 툴을 따라가면서 버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제거유니트는 용접진행방향을 따라 마찰교반용접 툴의 후방쪽 툴바디에 고정되게 결합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회전부; 상기 툴바디 및 브라켓회전부를 일체로 관통하고, 상단이 마찰교반용접 툴과 연결되어서 마찰교반용접 툴과 함께 회전하며, 하단이 브라켓회전부의 하측으로 돌출된 회전파이프; 및 상기 회전파이프와 결합되는 브러시축을 구비하고, 용접작업시 마찰교반용접 툴을 따라가면서 회전을 통해 모재의 용접라인에서 발생한 버를 제거해주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제거유니트는 마찰교반용접 툴의 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된 툴기어; 및 상기 툴기어와 치합을 이루고 중심부에 회전파이프의 상단이 결합된 파이프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파이프는 마찰교반용접 툴의 회전력을 툴기어 및 파이프기어를 통해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회전부와 회전파이프를 관통한 후 브러시축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브러시는 회전파이프와 결합되고; 상기 브러시축에는 다수개의 나사홈이 브러시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게 형성되며; 상기 볼트가 다수개의 나사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됨에 따라 브러시의 상하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시는 스틸 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교반용접 장치는, 마찰교반용접 툴의 일측 툴바디에 브러시를 포함한 버제거유니트가 구비된 구성으로, 마찰교반용접 툴을 이용한 마찰교반용접 작업시 회전하는 브러시를 이용해서 모재의 용접라인에서 발생하는 버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버 제거를 위한 추가 공정작업의 삭제가 가능하며, 이 결과 작업 공정수 감축과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버제거유니트가 구비된 마찰교반용접 장치의 분해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마찰교반용접 툴과 툴바디롤러 및 버제거유니트가 결합된 부위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버제거유니트가 결합된 부위의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찰교반용접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교반용접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및 이동을 통해 작업다이위에 올려진 2개의 모재(10)를 결합하는 마찰교반용접 툴(100); 상기 마찰교반용접 툴(100)이 설치된 툴바디(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측부에서 모재(10)와 접촉해서 모재(10)를 가압하는 툴바디롤러(300); 및 상기 마찰교반용접 툴(100)과 연결되고, 툴바디(200)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마찰교반용접 툴(100)과 함께 회전하면서 모재(10)의 용접라인(20)에서 발생한 버(30)를 제거해주는 버제거유니트(400);를 포함한다.
2개의 모재(1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일 수 있고, 상하 적층된 2개의 모재(10)는 마찰교반용접 툴(200)의 회전 및 이동을 통해 상하 적층된 상태로 서로 용접 결합된다.
다른 예로 2개의 모재(10)는 상하방향이 아닌 좌우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2개의 모재(10)는 모두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1개의 모재(10)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로 구성되고 나머지 1개의 모재(10)는 알루미늄 보다 강도가 다소 약한 이종 재질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찰교반용접 장치는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회전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00)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이동을 위해 구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재는 툴바디(200)를 전후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툴바디(200)와 결합된 로봇암이 구동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툴바디(200)에 모터(500)와 마찰교반용접 툴(100)이 설치되며, 모터(500)는 툴바디(2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마찰교반용접 툴(100)은 툴바디(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모터(500)의 동력은 마찰교반용접 툴(10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툴바디(200)에는 툴바디롤러(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툴바디롤러(300)는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회전 및 이동으로 2개의 모재(10)가 결합될 때에 툴바디롤러(300)는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측부에서 모재(10)와 접촉해서 모재(10)를 가압하고 이로 인해 모재(10)의 상방향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툴바디롤러(300)는 마찰교반용접 툴(100)이 이동할 때에는 모재(10)와 접촉한 상태로 툴바디(200)에 대해 회전해서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이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툴바디롤러(300)의 회전에 의해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이동이 원활히 진행되며, 이를 통해 용접의 품질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마찰교반용접 툴의 측부에 툴바디롤러가 없어서 마찰교반용접 작업시 마찰교반용접 툴의 주변부 모재를 가압해줄 수가 없었고, 또한 마찰교반용접 툴의 이동을 도와줄 수가 없었기에, 결과적으로 용접의 품질성능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툴바디(200)에 결합된 툴바디롤러(300)를 이용해서 마찰교반용접 툴(100) 주변의 모재(10)를 가압하여 모재(10)의 상방향 이동을 구속하게 되고, 또한 마찰교반용접 툴(100)이 이동할 때에는 모재(10)와 접촉한 상태로 툴바디(200)에 대해 회전해서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이동을 도와줄 수 있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용접의 품질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툴바디롤러(300)는 용접진행방향을 따라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전방쪽에 위치하도록 툴바디(200)에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버제거유니트(400)는 용접진행방향을 따라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후방쪽에 위치해서 용접작업시 마찰교반용접 툴(100)을 따라가면서 용접라인(20)에서 발생된 버(30)를 제거해주게 된다.
마찰교반용접 작업시 마찰교반용접 툴(100)과 버제거유니트(400)사이의 용접라인(20)에는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용접작업에 의해 버(30)가 존재하고, 버(30)는 마찰교반용접 툴(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버제거유니트(400)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제거유니트(400)는 용접진행방향을 따라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후방쪽 툴바디(200)에 고정되게 결합된 고정브라켓(410); 상기 고정브라켓(410)에 베어링(42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회전부(430); 상기 툴바디(200) 및 브라켓회전부(430)를 일체로 관통하고, 상단이 마찰교반용접 툴(100)과 연결되어서 마찰교반용접 툴(100)과 함께 회전하며, 하단이 브라켓회전부(430)의 하측으로 돌출된 회전파이프(440); 및 상기 회전파이프(440)와 결합되는 브러시축(450)을 구비하고, 용접작업시 마찰교반용접 툴(100)을 따라가면서 회전을 통해 모재(10)의 용접라인에서 발생한 버(30)를 제거해주는 브러시(460);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410)은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후방쪽 툴바디(200)에서 툴바디(200)의 하면에 다수개의 볼트(411)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브라켓회전부(430)는 중공의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브라켓(41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베어링(420)은 아우터부, 이너부, 및 아우터부와 이너부사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베어링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아우터부는 고정브라켓(410)과 결합되어서 일체화를 이루고, 이너부는 브라켓회전부(430)와 결합되어서 일체화를 이루며, 이에 따라 브라켓회전부(430)는 고정브라켓(410)에 대해 베어링(42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한 구조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제거유니트(400)는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된 툴기어(470); 및 상기 툴기어(470)와 치합을 이루고 중심부에 회전파이프(440)의 상단이 결합된 파이프기어(480)를 더 포함한다.
모터(500)의 동력으로 마찰교반용접 툴(100)이 회전하면 툴기어(470)가 함께 회전하고, 툴기어(470)의 회전력은 툴기어(470)와 치합된 파이프기어(480)로 전달되어서 파이프기어(480)가 회전하고, 파이프기어(480)의 회전은 파이프기어(480)와 결합된 회전파이프(440)로 전달되어서 회전파이프(40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파이프(400)의 회전력은 브라켓회전부(430) 및 브러시(460)로 전달되어서 최종적으로 브러시(460)가 회전하고, 회전하는 브러시(460)에 의해 마찰교반용접시 용접라인(20)에서 발생된 버(30)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브라켓회전부(430)와 회전파이프(440)를 관통한 후 브러시축(450)에 체결되는 볼트(490)에 의해 브러시(460)는 회전파이프(440)와 결합된다.
그리고, 브러시축(450)에는 다수개의 나사홈(451)이 브러시축(4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게 형성되는 바, 따라서 볼트(490)가 다수개의 나사홈(45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됨에 따라 브러시(460)의 상하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한 된다.
나사홈(451)에 결합되는 볼트(490)를 통해 브러시(460)의 상하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브러시(460)의 상하방향 위치조절을 통해 회전파이프(440)로부터 브러시(460)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버(30)의 돌출길이에 따라 브러시(460)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버(30)의 제거작업을 보다 효울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볼트(490)를 이용한 브러시(460)의 조립구조에 의해 브러시(460)는 회전파이프(400)로부터 교체 가능한 구조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460)는 효울적인 버(30)의 제거작업을 위해 스틸 브러시(steel brush)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툴바디(200)에 볼트(411)를 매개로 결합된 고정브라켓(410), 고정브라켓(410)에 베어링(420)을 매개로 결합된 브라켓회전부(430), 볼트(490)에 의해 브라켓회전부(430)와 회전파이프(440) 및 브러시축(450)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에 의해, 회전파이프(440) 및 브러시(460)는 자중에 의한 낙하방지 및 툴바디(200)의 아래쪽으로 빠져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찰교반용접 장치는, 마찰교반용접 툴(100)의 일측 툴바디(200)에 브러시(460)를 포함한 버제거유니트(400)가 구비된 구성으로, 마찰교반용접 툴(100)을 이용한 마찰교반용접 작업시 회전하는 브러시(460)를 이용해서 모재(10)의 용접라인(20)에서 발생하는 버(30)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버(30) 제거를 위한 추가 공정작업의 삭제가 가능하며, 이 결과 작업 공정수 감축과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모재 20 - 용접라인
30 - 버 100 - 마찰교반용접 툴
200 - 툴바디 300 - 툴바디롤러
400 - 버제거유니트 410 - 고정브라켓
411 - 볼트 420 - 베어링
430 - 브라켓회전부 440 - 회전파이프
450 - 브러시축 460 - 브러시
470 - 툴기어 480 - 파이프기어
490 - 볼트 500 - 모터

Claims (7)

  1. 회전 및 이동을 통해 2개의 모재를 결합하는 마찰교반용접 툴;
    상기 마찰교반용접 툴이 설치된 툴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마찰교반용접 툴의 측부에서 모재를 가압하는 툴바디롤러; 및
    상기 마찰교반용접 툴과 연결되고, 툴바디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마찰교반용접 툴과 함께 회전하면서 모재의 용접라인에서 발생한 버를 제거해주는 버제거유니트;를 포함하는 마찰교반용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툴바디롤러는 용접진행방향을 따라 마찰교반용접 툴의 전방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제거유니트는 용접진행방향을 따라 마찰교반용접 툴의 후방쪽에 위치해서 용접작업시 마찰교반용접 툴을 따라가면서 버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제거유니트는 용접진행방향을 따라 마찰교반용접 툴의 후방쪽 툴바디에 고정되게 결합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회전부;
    상기 툴바디 및 브라켓회전부를 일체로 관통하고, 상단이 마찰교반용접 툴과 연결되어서 마찰교반용접 툴과 함께 회전하며, 하단이 브라켓회전부의 하측으로 돌출된 회전파이프; 및
    상기 회전파이프와 결합되는 브러시축을 구비하고, 용접작업시 마찰교반용접 툴을 따라가면서 회전을 통해 모재의 용접라인에서 발생한 버를 제거해주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버제거유니트는 마찰교반용접 툴의 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된 툴기어; 및
    상기 툴기어와 치합을 이루고 중심부에 회전파이프의 상단이 결합된 파이프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파이프는 마찰교반용접 툴의 회전력을 툴기어 및 파이프기어를 통해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회전부와 회전파이프를 관통한 후 브러시축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브러시는 회전파이프와 결합되고;
    상기 브러시축에는 다수개의 나사홈이 브러시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게 형성되며;
    상기 볼트가 다수개의 나사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됨에 따라 브러시의 상하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스틸 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 장치.
KR1020210100150A 2021-07-29 2021-07-29 마찰교반용접 장치 KR20230018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150A KR20230018226A (ko) 2021-07-29 2021-07-29 마찰교반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150A KR20230018226A (ko) 2021-07-29 2021-07-29 마찰교반용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226A true KR20230018226A (ko) 2023-02-07

Family

ID=8522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150A KR20230018226A (ko) 2021-07-29 2021-07-29 마찰교반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82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71A (ko) 2008-07-22 2010-02-01 주식회사 윈젠 갠트리형 마찰교반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71A (ko) 2008-07-22 2010-02-01 주식회사 윈젠 갠트리형 마찰교반용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2899B1 (en) Join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frictional agitation
US6726084B2 (en) Friction stir heating/welding with pin tool having rough distal region
US8393524B1 (en) Counter-rotating spindle for friction stir welding
US7703655B2 (en) Frictional spot joining method and frictional spot joining apparatus
EP114965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KR20020026887A (ko) 금속부재의 처리 방법
JP2002514512A (ja) 摩擦回転溶接工具
KR20130056302A (ko) 마찰교반용접 동안에 로드를 최소화하기 위한 고회전 속력을 사용한 시스템
US9475148B2 (en) Friction stir processing method for a workpiece having surface coating
CN110524105B (zh) 一种用于摩擦焊的旋转焊具及焊接方法
WO2015068428A1 (ja) 摩擦撹拌接合方法
KR20230018226A (ko) 마찰교반용접 장치
CN211305187U (zh) 一种用于摩擦焊的旋转焊具
JP4940246B2 (ja) 摩擦攪拌点溶接装置
KR102554292B1 (ko) 마찰교반용접 장치
KR20120073975A (ko) 마찰 교반 점 용접 장치
JP2002292479A (ja) 摩擦撹拌を用いた接合装置
JP2002292480A (ja) 摩擦撹拌を用いた接合方法及び装置
JP4853184B2 (ja) 摩擦点接合装置
KR20220156383A (ko) 마찰 요소 용접 장치 및 방법
CN214558216U (zh) 一种分体式磨粒呈螺旋形有序排布的钎焊搅拌摩擦焊搅拌头
JP6897024B2 (ja) 接合方法
KR102433561B1 (ko) 마찰 교반 용접장치용 버 제거 툴
JP4955348B2 (ja) マッシュシーム溶接用電極輪とその整形バイト装置および方法
JP4536992B2 (ja) スポット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