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192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192A
KR20230018192A KR1020210100071A KR20210100071A KR20230018192A KR 20230018192 A KR20230018192 A KR 20230018192A KR 1020210100071 A KR1020210100071 A KR 1020210100071A KR 20210100071 A KR20210100071 A KR 20210100071A KR 20230018192 A KR20230018192 A KR 20230018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assage
tub
disposed
spraying
wash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749B1 (ko
Inventor
박동휘
김경래
고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7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Abstract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터브,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세척공간에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이 수납되는 하부 랙, 하부 랙의 상측에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이 수납되는 상부 랙, 하부 랙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 하부 랙과 상부 랙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 및 도어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터브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구비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터브는, 분사부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내측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 내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세척수를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1702호에는, 터브 내부에 수용된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가 개시된다.
식기세척기에 수용되는 식기 등의 세척대상물을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수용되는 식기의 양에 대응하기에 충분한 유량의 세척수가 분사될 필요가 있다.
식기세척기에는 세척대상물이 수용되고 식기세척기의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터브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한 랙이 구비될 수 있다.
랙은 터브 내부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랙 각각은 크기가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용할 수 있는 세척대상물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랙 중 터브의 가장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랙은 다른 랙에 비해 가장 큰 부피를 가지고, 이에 따라 다른 랙에 비해 하부 랙에 가장 많은 양의 세척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에서 세척대상물의 효율적인 세척을 위해, 가장 많은 양의 세척대상물이 수용되는 하부 랙에 인접한 위치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부는 식기세척기의 터브에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를 터브에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터브는 분사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포밍(forming)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포밍은 터브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 터브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부가 터브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구조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는 도어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터브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구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는 하부 분사암 및 상부 분사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부는 하부 랙과 함께 그리고 하부 랙을 보조하여 가장 많은 양의 세척대상물이 수용되는 하부 랙에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척대상물에 대한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 랙에 대하여 넓은 범위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분사부는 길이방향이 터브의 측방향으로 나란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넓은 범위로 세척수를 균일하게 분사하기 위해 분사구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 분사구는 분사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터브는 분사부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내측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
터브는 바닥판, 측판, 상판 및 후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은 터브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섬프와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측판은 바닥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고, 터브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판은 측판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터브의 천정부를 형성할 수 있다. 후판은 측판의 후단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도어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판에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분사부가 장착될 수 있다. 분사부는 터브의 후판에 장착되어 후판에서 도어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함몰부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은 길이방향이 후판의 측방향과 나란하도록 형성되고, 분사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은 제1영역 하측에 형성되고, 상단에서 제1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영역의 후판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는 제2영역의 후판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후판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제1영역의 길이는 제2영역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후판에는 길이방향이 후판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단에서 제1영역과 교차하고, 후판의 내측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부의 후판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는 제2영역의 후판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후판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안착홈부의 길이는 후판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제2영역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제2공급유로가 모두 장착되는 제1영역, 제2영역 및 함몰홈부는 서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영역은 상부에서 안착홈부와 연결되고, 하부에서 제2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탑노즐, 제1공급유로, 제2공급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노즐은 상부 랙의 상측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공급유로는 하부 분사암에 연결되고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다. 제2공급유로는 상부 분사암 및 탑노즐에 연결되고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제3공급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공급유로는 분사부에 연결되고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다. 제3공급유로는 제2영역에서 제2공급유로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부는 길이방향이 후판의 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공급유로는 길이방향이 후판의 상하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는 길이방향이 제2공급유로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분사부와 제2공급유로가 교차하는 부위에서 분사부는 절곡되어 제2공급유로와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함몰부의 제2영역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후판이 제2영역보다 돌출하고, 돌출된 높이가 제2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경사면의 경사정도는 경사면에 도달한 세척수의 효율적인 유동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면을 연장한 제1직선과, 터브의 전후방향으로 놓인 제2직선이 서로 교차하여 예각을 이루는 교차각은 30° 내지 60°로 구비되도록 경사면의 경사정도가 선택될 수 있다.
분사부는 제1파트, 제2파트 및 제3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는 길이방향이 터브의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파트는 제1파트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2공급유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후판에 대하여 제1파트보다 전진하여 배치되고, 후면이 제2공급유로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파트는 제1파트와 제2파트를 연통시키고, 제1파트 및 제2파트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파트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제2파트의 양단에 결합할 수 있다.
제3공급유로는 제1파트 또는 제3파트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는 위치에서 분사부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는 제2파트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분사부를 제2공급유로에 장착시키는 제1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착부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공급유로는 분사부가 장착되는 부위에서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분사부가 안착하고, 자신을 터브의 후판에 장착시키는 장착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가이드는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는 분사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는 분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분사부의 상하방향 폭에 대응하는 거리로 제1가이드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부는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사이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터브의 후판에는 함몰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사이에 제1돌출부가 안착함으로써, 제2공급유로는 터브에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터브,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세척공간에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이 수납되는 하부 랙, 하부 랙의 상측에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이 수납되는 상부 랙, 하부 랙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 하부 랙과 상부 랙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 및 도어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터브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구비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터브는, 분사부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내측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하부 분사암과 분사부에서 함께 하부 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터브에 구비되는 복수의 랙 중에서 가장 많은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하부 랙에 다른 랙보다 많은 양의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세척기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분사부는 터브의 후판에 형성되는 함몰부에 장착되므로, 함몰부로 인해 분사부가 후판에서 터브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상쇄되므로, 터브의 세척공간을 넓힐 수 있고, 터브에 장착되는 하부 랙이 분사부에 의해 간섭받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분사부는 제2공급유로와 교차하면서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터브 내부의 세척공간을 넓힐 수 있고, 분사부와 제2공급유로에 공급되는 세척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제2영역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경사면은 세척수의 유동경로를 변경하여 터브의 후판의 내측표면과 제2공급유로와 제3공급유로의 외측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세척수가 세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 내부의 위생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일부부품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 제2공급유로, 제3공급유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분사부가 터브에 장착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단면도이다.
도 6은 분사부가 터브에 장착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단면도이다.
도 7은 터브에 형성되는 경사면이 있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식기세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z축방향은 상하방향을, 양측방향, 측방향 또는 좌우방향은 y축방향을, x축방향은 전후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세척공간(2a)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터브(2)(tub), 베이스(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세척공간(2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 터브(2)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sump), 터브(2)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5), 및 수납부(5)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6, 7, 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세척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터브(2)는 세척공간(2a)을 형성하고 식기 등의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며, 상기 세척공간(2a)에는 수납부(5) 및 분사암(6, 7, 9)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는 일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개방된 일면은 도어(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척공간(2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의 하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터브(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3)가 개방되면 수납부(5)가 식기세척기(1)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인출된 수납부(5)는 도어(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섬프(4)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부(41), 저장부(41)를 터브(2)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 외부로부터 저장부(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 저장부(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 및 저장부(41)의 세척수를 분사암(6, 7, 9)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와 공급유로(46)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 상부에 구비되며, 터브(2)와 섬프(4)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암(6, 7, 9)을 통해 세척공간(2a)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암(6, 7, 9)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a)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의 저장부(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저장부(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분사암(6, 7, 9)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저장부(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 내부에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저장부(41)의 세척수가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암(6, 7, 9)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암(6, 7, 9)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에 연결되는 제1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에 연결되는 제2공급유로(463), 및 공급유로들(461, 46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세척공간(2a)에는 세척대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수납부(2)가 구비된 식기세척기(1)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식기세척기(1)는 하나의 수납부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납부의 수에 따라서 분사암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수납부(5)는 세척대상물을 수납하기 위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상기 세척공간(2a)에 배치되고, 식기 등의 세척대상물이 수납될 수 있다. 상부 랙(53)은 상기 하부 랙(51)의 상측에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이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랙(53)의 상측과 탑노즐(9) 사이의 공간에는 탑 랙이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이 수납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섬프(4)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은 하부 랙(51)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랙(51)과 상부 랙(53) 및 탑 랙은 터브(2)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 내주면에는 레일형태의 거치대가 구비되고, 랙(51, 53) 하부에는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5)를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세척대상물을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꺼낼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터브(2) 내에 구비되어 수납부(5)의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하부 분사암(6),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은 상기 하부 랙(5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척대상물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은 상기 하부 랙(51)과 상기 상부 랙(53)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척대상물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은 섬프 커버(4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 랙(51)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은 하부 분사암(6)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탑노즐(9)은 세척공간(2a)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랙(51) 및 상부 랙(53)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급유로(461)는 하부 분사암(6)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고, 제2 공급유로(463)는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베이스(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8)는 상기 터브(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2)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8)는 섬프(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펌프, 제어모듈 기타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8)는 외벽을 가지고 식기세척기(1) 전체를 지지하고, 상기 외벽에 의해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일부부품을 생략한 도면이다.
먼저 거치대를 설명한다. 터브(2)의 측판(22)에는 랙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될 수 있는데, 거치대는 한 쌍의 측판(22)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에는 판형의 커버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레일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는 제1거치대(20a), 제2 거치대 및 제3거치대(20c)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거치대(20a)는 터브(2)의 하부에, 제2거치대(20b)는 상기 제1거치대(20a)의 상부에, 제3거치대(20c)는 상기 제2거치대(20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거치대(20a), 제2거치대(20b) 및 제3거치대(20c)는 터브(2)의 상하방향으로 적절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대(20a)는 터브(2)의 측판(22)의 일부가 상기 터브(2)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하부 랙(51)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랙(51)은 제1거치대(20a)에 가이드되어 터브(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거치대(20b)는 레일형태의 바(bar)가 길이방향이 터브(2)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터브(2)의 측판(22)에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랙(53)이 거치될 수 있다. 상부 랙(53)은 제2거치대(20b)에 가이드되어 터브(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거치대(20c)는 바가 길이방향이 터브(2)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터브(2)의 측판(22)에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고, 탑 랙이 거치될 수 있다. 탑 랙은 제3거치대(20c)에 가이드되어 터브(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분사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100)는 상기 도어(3)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터브(2)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구(10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100)는 상기 하부 분사암(6) 및 상기 상부 분사암(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100)는 터브(2)의 상하방향으로 하부 랙(51)에 대응하는 높이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각 랙 중에서 하부 랙(51)의 부피가 가장 크고 따라서 다른 랙에 비해 많은 양의 세척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100)는 하부 랙(51)과 함께 그리고 하부 랙(51)을 보조하여 가장 많은 양의 세척대상물이 수용되는 하부 랙(51)에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척대상물에 대한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사부(100)에 구비되는 상기 분사구(101)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분사구(101)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분사부(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랙(51)에 대하여 넓은 범위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분사부(100)는 길이방향이 터브(2)의 측방향으로 나란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100)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넓은 범위로 세척수를 균일하게 분사하기 위해 분사구(101)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 분사구(101)는 분사부(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사구(101)는 세척수를 터브(2)의 전방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터브(2)는 상기 분사부(100)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내측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00)는 후술하는 제1영역(210)이 상기 분사부(1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영역(210)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2)는 바닥판(21), 측판(22), 상판(23) 및 후판(24)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21)은 터브(2)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섬프와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측판(22)은 상기 바닥판(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고, 터브(2)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터브(2)의 측판(22)에는 랙을 거치할 수 있는 제1거치대(20a), 제2거치대(20b) 및 제3거치대(20c)가 구비될 수 있다.
상판(23)은 상기 측판(22)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터브(2)의 천정부를 형성할 수 있다. 후판(24)은 상기 측판(22)의 후단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도어(3)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판(24)에는 상기 함몰부(200)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부(100)가 장착될 수 있다. 분사부(100)는 터브(2)의 후판(24)에 장착되어 상기 후판(24)에서 도어(3)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부(100)의 분사구(101)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하부 랙(51)에 수용된 세척대상물에 부딪혀, 세척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부 분사암(6)과 분사부(100)에서 함께 하부 랙(51)에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터브(2)에 구비되는 복수의 랙 중에서 가장 많은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하부 랙(51)에 다른 랙보다 많은 양의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세척기(1)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함몰부(200)는 터브(2) 전후방향 깊이가 깊을수록 터브(2)의 세척공간(2a)을 넓힐 수 있어 유리하다. 분사부(100)가 상기 함몰부(200)에 장착되었을 때, 함몰부(200)의 깊이가 깊으면 분사부(100)의 터브(2) 전후방향 두께가 두꺼워도 함몰부(200)가 분사부(100)의 두께를 상쇄하여, 분사부(100)가 후판(24)에서 터브(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식기세척기(1)에서 터브(2)가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 터브(2)에 필요한 세척공간(2a)의 크기, 분사부(100)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상기 함몰부(200)의 깊이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사부(100)는 터브(2)의 후판(24)에 형성되는 함몰부(200)에 장착되므로, 상기 함몰부(200)로 인해 분사부(100)가 후판(24)에서 터브(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상쇄되므로, 터브(2)의 세척공간(2a)을 넓힐 수 있고, 터브(2)에 장착되는 하부 랙(51)이 상기 분사부(100)에 의해 간섭받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함몰부(200)는 제1영역(210)과 제2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210)은 길이방향이 상기 후판(24)의 측방향과 나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사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220)은 상기 제1영역(210) 하측에 형성되고, 상단에서 상기 제1영역(2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의 상기 후판(24)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는 상기 제2영역(220)의 상기 후판(24)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후판(24)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제1영역(210)의 길이(LT1)는 제2영역(220)의 길이(LT2)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영역(210)에는 길이방향이 측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분사부(100)가 배치되고, 제2영역(220)에는 제2공급유로(463)와 제3공급유로(470)가 배치되고, 이때, 분사부(100)의 길이는 제2공급유로(463)와 제3공급유로(470)의 폭을 합한 것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급유로(463)와 제3공급유로(47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경우, 제2공급유로(463)의 폭과 제3공급유로(470)의 폭, 제2공급유로(463)와 제3공급유로(470) 사이의 후판(24) 측방향 이격거리를 합한 길이가 제2영역(220)의 길이(LT2)가 될 수 있다.
제2공급유로(463)의 폭과 제3공급유로(470)의 폭, 제2공급유로(463)와 제3공급유로(470) 사이의 후판(24) 측방향 이격거리를 합한 길이보다 분사부(100)의 길이다 더 길기 때문에, 제1영역(210)의 길이(LT1)는 제2영역(220)의 길이(LT2)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후판(24)에는 길이방향이 상기 후판(24)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단에서 상기 제1영역(210)과 교차하고, 상기 후판(24)의 내측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부(300)에는 제2공급유로(46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공급유로(463)는 길이방향이 터브(2)의 상하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안착홈부(300)는 후판(24)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급유로(463)는 터브(2)의 바닥판(21)으로부터 터브(2)의 상부까지 배치되므로, 상기 제2공급유로(463)는 제2영역(220), 제1영역(210) 및 안착홈부(300)에 모두 걸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영역(220), 제1영역(210) 및 안착홈부(300)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부(300)의 상기 후판(24)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는 상기 제2영역(220)의 상기 후판(24)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후판(24)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상기 안착홈부(300)의 길이(LT3)는 후판(24)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상기 제2영역(220)의 길이(LT2)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영역(220)의 길이(LT2)는 제2공급유로(463)의 폭, 제3공급유로(470)의 폭 및 제2공급유로(463)와 제3공급유로(470) 사이의 이격거리를 합한 값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지만, 안착홈부(300)는 제3공급유로(470)의 폭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것으로 족하다. 이때문에, 제3영역의 길이는 제2영역(220)의 길이(LT2)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공급유로(463)가 모두 장착되는 제1영역(210), 제2영역(220) 및 함몰홈부는 서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영역(210)은 상부에서 상기 안착홈부(300)와 연결되고, 하부에서 상기 제2영역(2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100), 제2공급유로(463), 제3공급유로(47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탑노즐(9), 제1공급유로(461), 제2공급유로(4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노즐(9)은 상기 상부 랙(53)의 상측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공급유로(461)는 상기 하부 분사암(6)에 연결되고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다. 제2공급유로(463)는 상기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에 연결되고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제3공급유로(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공급유로(470)는 상기 분사부(100)에 연결되고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다. 제1공급유로(461), 제2공급유로(463) 및 제3공급유로(470)는 모두 섬프(4)에 연결되어 상기 섬프(4)로부터 세척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3공급유로(470)는 상기 제2영역(220)에서 상기 제2공급유로(463)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공급유로(463)와 제3공급유로(470)는 서로 분리되어, 제2공급유로(463)를 통해 상부 분사암(7)과 탑노즐(9)에 세척수가 공급되고, 제3공급유로(470)를 통해 분사부(100)에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분사부(100)는 길이방향이 후판(24)의 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공급유로(463)는 길이방향이 후판(24)의 상하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부(100)는 길이방향이 상기 제2공급유로(463)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100)와 제2공급유로(463)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데, 분사부(100)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제2공급유로(463)를 유동하는 세척서는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부(100)와 상기 제2공급유로(463)가 교차하는 부위에서 상기 분사부(100)는 절곡되어 상기 제2공급유로(463)와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분사부(100)와 제2공급유로(463)가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서 서로 분리되는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분사부(100)가 터브(2)에 장착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단면도이다. 도 6은 분사부(100)가 터브(2)에 장착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단면도이다.
제2공급유로(463)는 서로 분리된 세척수의 통로(463a, 463b)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세척수의 통로(463a, 463b)는 상부 분사암(7)과 탑노즐(9)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과 탑노즐(9)과 연결되는 세척수의 통로가 서로 분리됨으로써, 세척수는 제2공급유로(463)에서 혼합되지 않고 상부 분사암(7)과 탑노즐(9)로 공급될 수 있다.
분사부(100)는 제1파트(110), 제2파트(120) 및 제3파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110)는 길이방향이 상기 터브(2)의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파트(120)는 상기 제1파트(11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46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판(24)에 대하여 상기 제1파트(110)보다 전진하여 배치되고, 후면이 상기 제2공급유로(463)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공급유로(463)는 제2파트(120)에 배치되고, 따라서, 제2공급유로(463)와 분사부(100)는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지만 서로 분리되므로, 제2공급유로(463)와 분사부(100)에 각각 공급되는 세척수는 서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제3파트(130)는 상기 제1파트(110)와 상기 제2파트(120)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1파트(110) 및 상기 제2파트(120)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파트(13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제2파트(120)의 양단에 결합할 수 있다.
경사진 구조를 가진 한 쌍의 제3파트(130)에 의해 제2파트(120)가 상기 제1파트(110)보다 전진하여 배치됨으로써, 분사부(100)는 제2공급유로(463)가 자신과 분리되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110), 제2파트(120) 및 제3파트(130)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공급유로(470)는 상기 제1파트(110) 또는 상기 제3파트(130)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는 위치에서 상기 분사부(100)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파트(120)는 후판(24)에 대하여 전진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제3공급유로(470)를 제2파트(120)에 연결하면 상기 제3유로도 후판(24)에 대하여 전진한 위치에 놓이게 되어 세척공간(2a)을 감소시키고, 하부 랙(51)과 제3공급유로(47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3공급유로(470)는 제2파트(120)에 연결하지 않고, 제1파트(110) 및/또는 제3파트(130)에 연결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3공급유로(470)와 분사부(100)는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100)는 상기 제2파트(12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사부(100)를 상기 제2공급유로(463)에 장착시키는 제1장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100)는 제1장착부(140)에 의해 제2공급유로(463)에 억지끼워맞춤 및 형상끼워맞춤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장착부(140)와 분사부(100)는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장착부(140)는 제1브라켓(141)과 제2브라켓(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141)은 상기 제2파트(12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각각 상기 제2공급유로(463)의 폭만큼의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463)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브라켓(142)은 한 쌍의 상기 제1브라켓(141)의 단부로부터 서로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463)의 후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브라켓(142)은 제2공급유로(463)의 후면의 일부를 감싸고, 이에 따라 제2공급유로(463)에 장착된 분사부(100)가 상기 제2공급유로(463)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공급유로(463)는 상기 분사부(100)가 장착되는 부위에서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분사부(100)가 안착하고, 자신을 상기 터브(2)의 상기 후판(24)에 장착시키는 장착가이드(46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장착가이드(4631)는 상기 제2공급유로(463)의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공급유로(463)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4631)는 제1가이드(4631a)와 제2가이드(46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4631a)와 제2가이드(4631b)는 제2공급유로(463)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가이드(4631a)는 상기 분사부(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4631b)는 상기 분사부(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부(100)의 상하방향 폭에 대응하는 거리로 상기 제1가이드(4631a)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100)는 상기 제1가이드(4631a)와 상기 제2가이드(4631b) 사이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100)는 제2공급유로(463)의 전방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4631a)와 제2가이드(4631b)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4631)에 안착된 분사부(100)는 제1가이드(4631a)와 제2가이드(4631b)에 의해 제2공급유로(463)의 길이방향 즉, 터브(2)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가이드(4631)는 분사부(100)가 제2공급유로(463)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터브(2)의 상기 후판(24)에는 상기 함몰부(20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돌출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함몰부(200)의 제1영역(2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4631a)와 상기 제2가이드(4631b) 사이에 상기 제1돌출부(241)가 안착함으로써, 상기 제2공급유로(463)는 상기 터브(2)에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241)는 제2공급유로(463)의 후방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4631a)와 제2가이드(4631b)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제1가이드(4631a)와 제2가이드(4631b)에 제1돌출부(241)에 안착된 제2공급유로(463)는 터브(2)의 상하방향 이동이 억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착가이드(4631)에 안착된 분사부(100)도 터브(2)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가이드(4631)와 마찬가지로, 제1돌출부(241)는 분사부(100)가 제2공급유로(463)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돌출부(241)는 제2공급유로(463)의 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사부(100)는 제2공급유로(463)와 교차하면서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터브(2) 내부의 세척공간(2a)을 넓힐 수 있고, 분사부(100)와 제2공급유로(463)에 공급되는 세척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터브(2)에 형성되는 경사면(230)이 있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단면도이다. 도 7에서 화살표는 경사면(230)에 도달하여 상기 경사면(230)에 부딪히는 세척수의 유동경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터브(2)에 구비되는 경사면(2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공급유로(463)와 제3공급유로(470)의 외측표면은 후판(24)의 내측표면과 틈새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2공급유로(463)의 외측표면과 후판(24)의 내측표면에는 틈새1(gap1)이 형성되고, 제3공급유로(470)의 외측표면과 후판(24)의 내측표면에는 틈새2(gap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새1(gap1)과 상기 틈새2(gap2)는 제2공급유로(463)와 제2공급유로(463)에 의해 세척수가 직접 도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로인해, 틈새1(gap1)과 틈새2(gap2)에는 세척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부착되고, 부착된 이물질이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로 인해, 틈새1(gap1)과 틈새2(gap2)에는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터브(2) 내부의 위생상태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경사면(230)을 두어 세척수를 틈새1(gap1)과 틈새2(gap2)에 도달하도록 하여, 세척수가 상기 틈새1(gap1)과 틈새2(gap2)에 축적된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함몰부(200)의 상기 제2영역(22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후판(24)이 상기 제2영역(220)보다 돌출하고, 돌출된 높이가 상기 제2영역(2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230)이 구비될 수 있다.
경사면(230)은 제2영역(2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영역(220)의 양측 가장자리의 함몰되는 부위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경사면(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30)은 후판(24)의 내측표면이 경사진 것을 의미한다. 경사면(230)은 제2영역(220)의 중앙을 통과하고 터브(2)의 전후방향으로 그은 직선을 상기 경사면(230)이 바라볼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주로 하부 분사암(6)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상기 경사면(230)에 도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의 분사노즐(6a)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하부 랙(51)으로 향할 수 있다.
하부 랙(51)에 도달한 세척수 중 일부는 하부 랙(51) 또는 상기 하부 랙(51)에 수용된 세척대상물에 부딪혀 상기 하부 랙(51)으로부터 후판(24)에 형성된 경사면(230)에 도달할 수 있다. 물론, 하부 분사암(6)에서 분사된 세척수의 일부는 직접 경사면(230)에 도달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부 분사암(6)의 분사노즐(6a)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의 일부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경사면(230)에 도달하고, 상기 경사면(230)에 안내되어 유동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제2영역(220)의 중앙부위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영역(220)의 중앙부위로 이동한 세척수는 상기 틈새1(gap1)과 틈새2(gap2)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대상물에서 분리되어 틈새1(gap1)과 틈새2(gap2)에 부착된 이물질은 세척수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부위에 형성된 경사면(230)은 주로 틈새1(gap1)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고, 타측 부위에 형성된 경사면(230)은 주로 틈새2(gap2)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한 쌍의 경사면(230)은 각각 틈새1(gap1)과 틈새2(gap2) 세척하도록 세척수의 유동경로를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30)의 경사정도는 경사면(230)에 도달한 세척수의 효율적인 유동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면(230)을 연장한 제1직선(L1)과, 상기 터브(2)의 전후방향으로 놓인 제2직선(L2)이 서로 교차하여 예각을 이루는 교차각(AN)은 30° 내지 60°로 구비되도록 경사면(230)의 경사정도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230)은 상기 제2영역(220)의 가장자리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경사면(230)의 면적은 상기 교차각(AN)의 각도와 제2영역(220)의 상하방향 길이 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영역(220)의 가장자리에 경사면(230)을 형성하고, 경사면(230)은 세척수의 유동경로를 변경하여 터브(2)의 후판(24)의 내측표면과 제2공급유로(463)와 제3공급유로(470)의 외측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세척수가 세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2) 내부의 위생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2: 터브
2a: 세척공간 3: 도어
6: 하부 분사암 6a: 분사노즐
7: 상부 분사암 8: 베이스
9: 탑노즐 20a: 제1거치대
20b: 제2거치대 20c: 제3거치대
21: 바닥판 22: 측판
23: 상판 24: 후판
241: 제1돌출부 51: 하부 랙
53: 상부 랙 100: 분사부
101: 분사구 110: 제1파트
120: 제2파트 130: 제3파트
140: 제1장착부 141: 제1브라켓
142: 제2브라켓 200: 함몰부
210: 제1영역 220: 제2영역
230: 경사면 300: 안착홈부
461: 제1공급유로 463: 제2공급유로
463a, 463b: 세척수의 통로 4631: 장착가이드
4631a: 제1가이드 4631b: 제2가이드
470: 제3공급유로 AN: 교차각
L1: 제1직선 L2: 제2직선
LT1: 제1영역의 길이 LT2: 제2영역의 길이
LT3: 안착홈부의 길이 gap1: 틈새1
gap2: 틈새2

Claims (20)

  1.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세척공간에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이 수납되는 하부 랙;
    상기 하부 랙의 상측에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이 수납되는 상부 랙;
    상기 하부 랙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
    상기 하부 랙과 상기 상부 랙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 및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터브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구비하는 분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분사부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내측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후단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어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후판
    을 포함하고,
    상기 후판에는 상기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부가 장착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길이방향이 상기 후판의 측방향과 나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사부가 배치되는 제1영역; 및
    상단에서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되는 제2영역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상기 후판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는 상기 제2영역의 상기 후판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보다 길게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에는,
    길이방향이 상기 후판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단에서 상기 제1영역과 교차하고, 상기 후판의 내측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부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의 상기 후판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는 상기 제2영역의 상기 후판의 측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부에서 상기 안착홈부와 연결되고, 하부에서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랙의 상측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노즐;
    상기 하부 분사암에 연결되고 세척수가 유동하는 제1공급유로;
    상기 상부 분사암 및 탑노즐에 연결되고 세척수가 유동하는 제2공급유로; 및
    상기 분사부에 연결되고 세척수가 유동하는 제3공급유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공급유로는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제2공급유로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후판이 상기 제2영역보다 돌출하고, 돌출된 높이가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을 연장한 제1직선과, 상기 터브의 전후방향으로 놓인 제2직선이 서로 교차하여 예각을 이루는 교차각은 30° 내지 60°로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길이방향이 상기 제2공급유로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사부와 상기 제2공급유로가 교차하는 부위에서 상기 분사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2공급유로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분사부는,
    길이방향이 상기 터브의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파트;
    상기 제1파트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판에 대하여 상기 제1파트보다 전진하여 배치되고, 후면이 상기 제2공급유로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파트; 및
    상기 제1파트와 상기 제2파트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1파트 및 상기 제2파트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3파트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급유로는,
    상기 제1파트 또는 상기 제3파트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는 위치에서 상기 분사부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2파트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사부를 상기 제2공급유로에 장착시키는 제1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제2파트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각각 상기 제2공급유로의 폭만큼의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측면을 감싸는 제1브라켓; 및
    한 쌍의 상기 제1브라켓의 단부로부터 서로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후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유로는,
    상기 분사부가 장착되는 부위에서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분사부가 안착하고, 자신을 상기 터브의 상기 후판에 장착시키는 장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가이드는,
    상기 분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분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부의 상하방향 폭에 대응하는 거리로 상기 제1가이드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 사이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에는 상기 함몰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 사이에 상기 제1돌출부가 안착함으로써, 상기 제2공급유로는 상기 터브에 장착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하부 분사암 및 상기 상부 분사암 사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분사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분사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100071A 2021-07-29 2021-07-29 식기세척기 KR102507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71A KR102507749B1 (ko) 2021-07-29 2021-07-29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71A KR102507749B1 (ko) 2021-07-29 2021-07-29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192A true KR20230018192A (ko) 2023-02-07
KR102507749B1 KR102507749B1 (ko) 2023-03-07

Family

ID=8522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71A KR102507749B1 (ko) 2021-07-29 2021-07-29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7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706A (ko) * 2004-05-03 2005-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가이드 탈거 방지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20100020791A (ko) * 2008-08-13 2010-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EP3040011A1 (en) * 2014-12-31 2016-07-06 Indesit Company S.p.A. Household dish-washing machine
US20180103824A1 (en) * 2011-10-17 2018-04-1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having Spray Manifo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706A (ko) * 2004-05-03 2005-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가이드 탈거 방지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20100020791A (ko) * 2008-08-13 2010-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20180103824A1 (en) * 2011-10-17 2018-04-1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having Spray Manifold
EP3040011A1 (en) * 2014-12-31 2016-07-06 Indesit Company S.p.A. Household dish-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749B1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01980T3 (es) Lavavajillas doméstico
US6622740B1 (en) Dishwashing machine, preferably for home use, with an improved architecture
KR101054117B1 (ko) 워터 가이드 탈거 방지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101998571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KR20060058298A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JP6437418B2 (ja) 食洗機能付きシンク
KR102507749B1 (ko) 식기세척기
US8733859B2 (en) Silverware basket for a dishwasher appliance
JP5006716B2 (ja) 食器洗浄機
KR20230011258A (ko) 식기세척기
KR20220011900A (ko) 식기 세척기
KR20180091140A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KR20220056415A (ko) 식기 세척기
KR101875941B1 (ko) 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KR102627641B1 (ko) 식기세척기
JP3394695B2 (ja) 食器洗浄装置
KR20230109422A (ko) 식기세척기
US20240148228A1 (en) Dishwashing appliance and removable rack accessory
US11786104B2 (en) Removable rack accessor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101070104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CN210228056U (zh) 洗碗机
KR20230020230A (ko) 식기세척기
JP3333820B2 (ja) キッチンのカウンター構造
KR20070008806A (ko) 식기 세척기
JPH11346981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