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138A - 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138A
KR20230018138A KR1020210099939A KR20210099939A KR20230018138A KR 20230018138 A KR20230018138 A KR 20230018138A KR 1020210099939 A KR1020210099939 A KR 1020210099939A KR 20210099939 A KR20210099939 A KR 20210099939A KR 20230018138 A KR20230018138 A KR 20230018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rail
frame
slider body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4645B1 (en
Inventor
김배진
이형진
Original Assignee
(주) 씨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엠텍 filed Critical (주) 씨엠텍
Priority to KR102021009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645B1/en
Publication of KR2023001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1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6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nvention for a slider of a seat track for a vehicle. The disclosed slider of the seat track for the vehicle comprises: a rail installed on a vehicle body; a slider unit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and having a noise prevention unit preventing a noise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rail; and a support frame unit connected to the slider unit and coupled to a seat frame uni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slider of the seat track for the vehicle, which movably supports a seat for the vehicle on which an occupant sits.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s {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며, 탑승자가 착석하는 차량용 시트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r for a vehicle seat tr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r for a vehicle seat track that movably supports a vehicle seat on which an occupant sits while preventing noise from being generated.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 트랙은 차량 실내를 이루는 차체의 바닥에 설치되고,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통상 차량용 시트 트랙은 차체에 고정되는 레일과,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In general, a seat track for a vehicle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vehicle body constitut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supports a seat on which an occupant sits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general, a vehicle seat track has a structure including a rail fixed to a vehicle body and a slider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벨트인시트(belt in seat) 구조가 적용된 경우, 차량 사고 발생 시 착석자의 체중 등으로 인해 안전벨트(seat belt)에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안전벨트가 결속된 시트와 시트프레임을 통해 슬라이더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하중에 의해 슬라이더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belt in seat structure is applied, the momentary load acting on the seat belt due to the weight of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is transferred to the slider through the seat and seat frame to which the seat belt is fastened. However, a situation in which the slider is separated from the rail may occur due to such a load.

슬라이더가 레일로부터 이탈된다는 것은, 착석자와 결속된 상태의 시트가 차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는 바, 착석자에게 보다 위험한 상황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 트랙의 구조적 조건으로써 슬라이더의 이탈방지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Separation of the slider from the rail means that the seat, which is bound to the occupant,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which may cause a more dangerous situation to the occupant.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tably secure the separation prevention rigidity of the slider as a structural condition of the vehicle seat track.

동일한 사고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시트에 착석한 인원수가 늘어날수록 시트에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보다 증가되는데, 종래의 차량용 시트 트랙 구조에 의하면 3인용 이상의 하중에 대한 이탈방지 강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1, 2인용 시트에만 한정적으로 적용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고,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시트 트랙 구조는 레일과 접촉되어 소음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Even if the same accident situation occurs, as the number of people seated in the seat increases, the load acting on the seat in an instant increases. ,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limitedly applied only to a two-person seat, and there is a problem in stably supporting the seat.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hicle seat track structure has a problem of generating noise in contact with the rail.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64771호(2006.06.14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시트 레일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6-0064771 (published on June 14, 2006, title of the invention: seat rail structure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소음이 발생이 방지되며, 탑승자가 착석하는 차량용 시트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by the above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r of a vehicle seat track that movably supports a vehicle seat on which an occupant sits while preventing noise from occurr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는: 차체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소음방지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부; 및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결되고, 시트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lider of the vehicle seat t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installed on a vehicle body; a slider unit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and having a noise prevention unit preventing noise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rail; and a support frame portion connected to the slid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seat frame portion.

또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연결되며,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부; 및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며, 상기 소음방지부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블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lid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portion, the slider body portion is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and a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connected to the slider body portion, restraining separation of the slider body portion from the rail, and formed with the noise prevention portion.

또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굽힘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lid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bracket portion for reinforcing bending rigidity of the slider body portion.

또한, 상기 소음방지부는 홈부 형상으로 상기 이탈방지블럭부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과 미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noise preven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in the shape of a groove and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rail.

또한, 상기 이탈방지블럭부는,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이탈하중의 작용 시 상기 레일에 걸리며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함께 이탈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레일에 전달하며, 상기 소음방지부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보강부; 상기 이탈방지보강부에서 상기 슬라이더본체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굽힘 강성을 보강하는 굽힘방지보강부; 및 상기 이탈방지보강부 및 상기 굽힘방지보강부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is dispos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slider body portion, and when a separation load is applied, it is caught on the rail and distributes the separation load together with the slider body portion to transmit it to the rail, and the noise prevention A breakaway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an anti-bending reinforcement part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toward the slider body part and being fitted into the slider body part to reinforce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lider body part; and a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bending prevention reinforcement portion and coupled to the slider body portion.

또한, 상기 이탈방지보강부는, 상기 레일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소음방지부가 형성되는 걸림베이스부; 상기 걸림베이스부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보강부; 상기 걸림베이스부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제1가이드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에 걸리는 제1이탈방지보강부; 및 상기 걸림베이스부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제2가이드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에 걸리는 제2이탈방지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the locking base portion in which the anti-noise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rail; a reinforc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engaging base part to one side and being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 first breakaway prevention reinforcing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engaging base part to one side,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inforcing part,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guide part of the rail, and is caught in the first guide part; and a second detachment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base part to one side, disposed apart from the reinforcing part, accommodated in the second guide part of the rail, and caught in the second guide part. to be characterized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탈방지보강부 및 상기 굽힘방지보강부와 연결되며, 상기 레일의 외부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결합블럭부; 상기 결합블럭부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결합판부; 및 상기 결합판부, 상기 슬라이더본체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bending prevention reinforcement portion, the coupling block portion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rail; a coupling plate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block portion to one side and overlapping the slider body portion; and a coupl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plate portion, the slider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frame portion and coupled thereto.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트러스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russ structure.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상기 시트프레임부에 이격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제1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크러스프레임;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1크러스프레임과 대칭되도록 제2대각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크러스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 상기 제1크러스프레임 및 상기 제2크러스프레임과 연결되는 지지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portion, a pair of support frames coupled to the seat frame portion spaced apart; a first crass fram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disposed in a first diagonal direction; a second cruss frame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arranged in a second diagonal direction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cruss frame; and a support coupling frame coupled to the slider portion and connected to a pair of the support frame, the first cruss frame, and the second cruss fram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는 슬라이더부가 홈부 형상의 소음방지부를 구비함에 따라, 레일과 미접촉되어 레일과의 접촉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slider of the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lider portion has a groove-shaped anti-noise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from being generated due to contact with the rail due to non-contact with the rail.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트의 시트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가 트러스 구조를 가짐에 따라, 시트프레임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upport frame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at frame portion of the seat has a truss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supporting the seat fram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부의 단부에 이탈방지블럭부를 결합함으로써, 시트프레임을 통해 슬라이더본체부에 작용하게 되는 이탈하중이 슬라이더본체부 뿐만 아니라 이탈방지블럭부에 분산되어 레일과의 접촉부에 작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to the end of the slider body coupled to the rail in a sliding manner, the separation load acting on the slider body through the seat frame is distributed to the slider body as well as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This has the effect of acting on the contact part with the rail.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탈하중이 슬라이더본체부와 접하는 레일의 일부에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더본체부와 이탈방지블럭부에 걸쳐 보다 고르게 분산, 분포되어 작용하게 되므로, 이탈하중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eakaway load does not act locally on a part of the rail in contact with the slider body, but is more evenly distributed and distributed over the slider body and the breakaway prevention block, structural rigidity against the breakaway load has the effect of securing more stab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트프레임이 슬라이더본체부의 측방향 일측에 편중되게 위치 시, 슬라이더본체부에는 굽힘력, 비틀림 변형을 유발하는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는데, 슬라이더본체부의 측면부에 폐쇄된 도형의 종단면 형상을 이루게 보강브라켓부를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의 굽힘강성, 비틀림강성을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 frame is biasedl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lider body in the lateral direction, a moment that causes bending force and torsional deformation acts on the slider body. By combining the reinforcing bracket part in this way,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reinforcing the bending rigidity and torsional rigidity of the slider body part.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본체부에 이탈방지블럭부, 보강브라켓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슬라이더 구조를 슬라이더본체부로서 그대로 적용, 활용하면서도, 3인석의 시트에 작용하게 되는 고하중의 이탈하중에 대해 레일에 결속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 강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nd utilizes the existing slider structure as it is as a slider body by combin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and the reinforcing bracket portion with the slider body portion, while the high load that acts on the seat of the three-person seat There is an effect of realizing break-away prevention rigidity that can firmly maintain the bound state to the r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지지프레임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슬라이더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을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슬라이더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sea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lider of a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2;
Fig. 4 is a front view of a main part of Fig. 2;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4 .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r of a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portion of the slider of the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lider portion of a slider of a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of FIG. 8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10 is a view of FIG. 8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11 is an exploded view of a slider part of a slider of a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11;
FIG. 13 is a view of FIG. 12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lider of a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요부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지지프레임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슬라이더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을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의 슬라이더부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sea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lider of a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FIG. 2, FIG. 4 is a front view of main parts of FIG. 2,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main parts of FIG. 4,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r of a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slider portion of the slider of the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FIG. 8 in another direction. , Figure 10 is a view of Figure 8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11 is an exploded view of the slider of the slider of the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the main part of Figure 11 It is an enlarged view, and FIG. 13 is a view of FIG. 12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1)는 시트(20)와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2)를 포함한다.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2)는 시트(20)의 시트프레임부(21)에 체결된다. 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sea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20 and a slider 2 of a vehicle seat track. The slider 2 of the vehicle seat track is fastened to the seat frame portion 21 of the seat 20.

구체적으로,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2)는 차량 실내를 이루는 차체(10)의 바닥에 설치되고,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20)의 하부에 위치되며, 시트(20)의 골조를 이루는 시트프레임부(21)를 전후방향으로(도 1 기준)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Specifically, the slider 2 of the vehicle seat track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10 constitu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located under the seat 20 on which the occupant sits, and is a seat frame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seat 20. The part 21 is movably suppor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refer to FIG. 1).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2)는 레일(100), 슬라이더부(200) 및 지지프레임부(300)를 포함한다.레일(100)은 차체(10)에 설치된다. 레일(100)은 차체(10)의 바닥에 전후방향으로(도 2 기준) 고정설치된다. 2 to 12, the slider 2 of the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100, a slider part 200, and a support frame part 300. Rail 100 )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0. The rail 1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refer to FIG. 2).

슬라이더부(200)는 레일(10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레일(100)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소음방지부(221b)를 구비한다. The slider unit 2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100 and includes a noise prevention unit 221b to prevent noise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rail 100 .

시트(20)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슬라이더부(200)는 레일(100)을 따라 목적한 위치가 이동된 상태에서 레일(100) 상에 락킹될 수 있다. When the position of the seat 20 is to be adjusted, the slider unit 200 may be locked on the rail 100 while the desired position is moved along the rail 100 .

차량 충돌 등의 사고 시 탑승자의 체중이 안전벨트(seat belt)에 쏠리고, 특히 벨트인시트(belt in seat) 구조가 적용된 경우 안전벨트가 결속된 시트(20)의 시트프레임부(21)를 통해 슬라이더부(200)로 전달된다. 이러한 하중은 슬라이더부(200)를 레일(100)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부(200)를 레일(100)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력으로써 작용하게 되는 하중을 포괄하여 이탈하중이라 한다.In the event of an accident such as a vehicle collision, the occupant'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seat belt, and in particular, when a belt in seat structure is applied, through the seat frame portion 21 of the seat 20 to which the seat belt is bound. It is transmitted to the slider part 200. This load acts as a separation force that separates the slider unit 200 from the rail 100 .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ad acting as a breakaway force that separates the slider part 200 from the rail 100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breakaway load.

예를 들어, 전방으로 주행 중에 차량이 충돌 사고 등으로 인해 급정지하게 되면 시트프레임부(21) 상에는 도 3 상의 F1 방향(전방)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은 시트프레임부(21)와 연결된 슬라이더부(200)에 레일(1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F2, F3 방향(상향)으로 이탈하중이 작용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suddenly stops due to a collision or the like while driving forward, a load acts on the seat frame 21 in the F1 direction (front) of FIG. 3 . This load acts on the slider part 200 connected to the seat frame part 21 in directions F2 and F3 (upward), which are directions away from the rail 100.

시트(20)는 1인석, 2인석, 3인석 등 다양한 사양을 가질 수 있으며, 동일한 상황일지라도 가능 인석이 늘어날수록 이탈하중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부(200)는 3인석에서 작용하게 되는 고하중의 이탈하중에 대해서도, 레일(100)에 결속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3인석 시트의 belt anchor test 요구사항 등을 안정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The seat 20 may have various specifications such as a single seat, a two seat seat, and a three seat seat, and even in the same situation, as the number of available seats increases, the breakaway load becomes larger. The slider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firmly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bound to the rail 100 even under a high load separation load acting on a three-person sea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satisfy the belt anchor test requirements of the three-person seat.

또한, 슬라이더부(200)는 소음방지부(221b)를 구비함에 따라, 레일(100)과 미접촉되어 레일(100)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lider unit 200 includes the noise prevention unit 221b, it is not in contact with the rail 100 and noise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rail 100 can be prevented.

슬라이더부(200)는 슬라이더본체부(210)와 이탈방지블럭부(22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본체부(210)는 지지프레임부(300)와 연결되며, 레일(10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부(200)의 적용 대상이 되는 레일(100)로는 기존에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2)에 적용되던 레일(100)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레일(10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부(210)는 기존의 슬라이더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The slider part 200 includes a slider body part 210 and a departure prevention block part 220 . The slider body portion 2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portion 300 and coupled to the rail 100 to be slidably movable. As the rail 100 to which the slider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rail 100 previously applied to the slider 2 of the vehicle seat track can be applied as it is. At this time, the same structure as the existing slider can be applied to the slider main body 210 coupled to the rail 100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슬라이더본체부(210)는 2장의 금속판재를 프레스 가공하고 일부가 겹쳐지게 상호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 제작할 수 있는데, 레일(1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단부를 측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시트프레임부(21)와의 접촉면, 안착면을 확보할 수 있다.The slider body portion 210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press-processing two metal plates and assembling them in a partially overlapping manner. By bending the upper end of the rail 100 in the side direction, the seat frame portion 21), and a seating surface can be secured.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시트프레임부(21)는 슬라이더본체부(210) 중 레일(100) 내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측방향에 편중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탈하중 작용 시 슬라이더본체부(210)에는 도 4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력, 비틀림 변형을 유발하는 모멘트(M)가 작용하게 된다.Howeve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eat frame portion 21 is positioned biasedly in the lateral direction based on the portion extending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ail 100 of the slider body portion 210. Accordingly, when a breakaway load is applied, a moment M that induces bending force and torsional deformation acts on the slider body 210 as shown in FIG. 4 .

슬라이더본체부(210)는 제1슬라이더부(211), 제2슬라이더부(212), 보강슬롯부(213) 및 시트연결부(214)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더부(211)는 레일(100)의 제1가이드부(1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slider body portion 210 includes a first slider portion 211, a second slider portion 212, a reinforcing slot portion 213, and a seat connection portion 214. The first slider part 211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part 110 of the rail 100 .

제2슬라이더부(212)는 제1슬라이더부(211)의 좌측 또는 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슬라이더본체부(210)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레일(100)의 제2가이드부(12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슬라이더부(111)와 제2슬라이더부(121)는 바퀴 등의 구름수단(도면부호 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lider part 212 is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irst slider part 211, is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slider body part 210, and the second guide of the rail 100 It is slidably coupled to the unit 120. The first slider unit 111 and the second slider unit 121 may include rolling means (reference numerals not indicated) such as wheels.

레일(100)의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는 제1슬라이더부(211), 제2슬라이더부(212) 각각의 둘레(측부와 상부)를 감싸는 '∩' 자 단면 형상을 가진다.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의 하부에 상호 연결되고, 상부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 사이의 이격공간부(미조시)를 통해 슬라이더본체부(210)가 레일(100)의 내외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part 110 and the second guide part 120 of the rail 100 have a '∩' shap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s (side and top) of the first slider part 211 and the second slider part 212, respectivel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guide portion 11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20 are interconnected, and upper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lider main body 210 may be arranged to extend inward and outward of the rail 100 through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guide part 110 and the second guide part 120 (when not prepared).

제1슬라이더부(211)와 제2슬라이더부(212)는 '∪' 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 자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 각각에 적어도 좌측부, 우측부 중 일측이 수용되게 설치된다. 제1슬라이더부(211)와 제2슬라이더부(212)의 좌우측, 우측부 중 타측은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 사이의 이격공간부 상에 배치된다.The first slider part 211 and the second slider part 212 have a '∪' cross-sectional shape, and each of the first guide part 110 and the second guide part 120 having a '∩'-shaped cross-sectional shape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s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The o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slider unit 211 and the second slider unit 212 is disposed o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guide unit 110 and the second guide unit 12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100), 슬라이더부(200)는,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레일(100), 슬라이더부(200)의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레일(100), 슬라이더부(200)의 구조,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이탈방지블럭부(220), 보강브라켓부(230)와의 결합관계, 작용과 관련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고, 그 외에는 공지 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rail 100 and the slider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tructure of the rail 100 and the slider unit 200 that have been previously appli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action of the rail 100 and the slider part 200, the parts related to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action with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art 220 and the reinforcing bracket part 230 are mainly described, , Other than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as it follows known technology.

보강슬롯부(213)는 제1슬라이더부(211)와 제2슬라이더부(212)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이탈방지블럭부(220)의 굽힘방지보강부(222)(도 11 참조, 이하 설명)가 끼워져 결합된다. 제1슬라이더부(211)와 제2슬라이더부(21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1슬라이더부(211)와 제2슬라이더부(212)의 사이에는 보강슬롯부(213)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reinforcing slot part 213 is formed to be hollow between the first slider part 211 and the second slider part 212, and is the anti-bending reinforcement part 22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art 220 (see FIG. 11, Description below) is inserted and coupled. The first slider part 211 and the second slider part 212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tween the first slider part 211 and the second slider part 212 The reinforcing slot portion 213 is formed in a slot shape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시트연결부(214)는 시트프레임부(21)와 결합되며, 제1슬라이더부(211)와 제2슬라이더부(212)에서 레일(100)의 외부로 연장되고, 시트프레임부(21)와 이탈방지블럭부(220)의 결합부(223)(이하 설명), 보강브라켓부(230)가 결합된다. The seat connection part 214 is coupled to the seat frame part 21, extends from the first slider part 211 and the second slider part 212 to the outside of the rail 100, and separates from the seat frame part 21. The coupling portion 223 (described below) of the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and the reinforcing bracket portion 230 are coupled.

시트연결부(214)는 직립연장부(214a), 편심연장부(214b), 경사연장부(214c)를 포함한다. 직립연장부(214a)는 레일(100)의 외부에 직립되게 배치되고, 측면부가 보강브라켓부(230)의 횡연장보강부(232)(이하 설명)와 접한다. 직립연장부(214a)는 전후방향으로의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레일(100)의 상측에 직립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하부가 제1슬라이더부(211)와 제2슬라이더부(212)와 연속하여 연결된다.The seat connection portion 214 includes an upright extension portion 214a, an eccentric extension portion 214b, and an inclined extension portion 214c. The upright extension part 214a is disposed upright on the outside of the rail 100, and the side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ransverse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2 (described below) of the reinforcement bracket part 230. The upright extension part 214a has a structure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s arranged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rail 100, and the lower par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slider part 211 and the second slider part 212. to be connected

편심연장부(214b)는 시트프레임부(21)가 안착되며, 직립연장부(214a)의 상부에서 폭방향 양측 중 일측으로, 즉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편심연장부(214b)에는 시트프레임부(21)와 보강브라켓부(230)의 다중결합부(233) (이하 설명)가 적층되게 배치된 상태로 결합된다.The eccentric extension 214b is seated on the seat frame 21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upright extension 214a to one side of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o the left or right. To the eccentric extension part 214b, the seat frame part 21 and the multi-coupling part 233 (described below) of the reinforcing bracket part 230 are coupled in a stacked arrangement.

경사연장부(214c)는 편심연장부(214b)의 전단부와 하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연장부(214c)에는 지지프레임부(300)의 지지결합프레임(340)과, 이탈방지블럭부(220)의 결합판부(223b)(이하 설명)가 적층되게 배치된 상태로 결합되고, 보강브라켓부(230)의 종연장보강부(231)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접한다.The inclined extension part 214c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the front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eccentric extension part 214b. In the inclined extension portion 214c, the support coupling frame 340 of the support frame portion 300 and 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described below)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are combined in a stacked state, and reinforced.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longitudinal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1 of the bracket part 23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받침턱부(214d)는 결합판부(223b)를 하측에서 받치며 하향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의 기능을 하며, 경사연장부(214c)의 하부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받침턱부(214d)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됨에 있어서, 상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결합판부(223b)는 경사연장부(214c)의 상측에 적층되게 배치된 상태에받침턱부(214d)에 걸려 안착된다.The supporting jaw portion 214d supports 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from the lower side and functions as a locking jaw for restraining downward movement, and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or rea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extension portion 214c. The support jaw portion 214d has a shape that is bent upward when extending forward or backward. 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is caught and seated on the supporting jaw portion 214d in a state of being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extension portion 214c.

이탈방지블럭부(220)는 슬라이더본체부(210)와 연결되고, 슬라이더본체부(210)가 레일(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며, 소음방지부(221b)가 형성된다. 이탈방지블럭부(220)는 이탈하중의 작용 시 레일(100)에 걸려 슬라이더본체부(210)가 레일(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구속한다.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is connected to the slider body portion 210, restricts the separation of the slider body portion 210 from the rail 100, and forms a noise prevention portion 221b.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catches on the rail 100 when a separation load is applied and restrains the separation of the slider body 210 from the rail 100 .

이탈방지블럭부(220)는 슬라이더본체부(2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탈방지블럭부(220)를 슬라이더본체부(2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210) 만으로 이루어진 구조(이하 '슬라이더본체부(210) 단독 구조'라 함)와 비교해, 길이방향으로 보다 연장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220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lider body 210, respectively. By combin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wit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lider body portion 210, respectively, a structure consisting of only the slider body portion 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lider body portion 210 single structure') and In comparison, it has a more elongate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탈방지블럭부(220)에는 홈부 형상의 소음방지부(221b)가 형성되어 레일(100)에 미접촉된다. 이로 인해, 이탈방지블럭부(220)와 레일(100)과의 접촉으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A noise prevention portion 221b in the shape of a groove is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and does not contact the rail 100 . Due to this, noise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due to contact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unit 220 and the rail 100 .

이탈방지블럭부(220)는 이탈방지보강부(221), 굽힘방지보강부(222) 및 결합부(223)를 포함한다.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ortion 221, a bending prevention reinforcement portion 222, and a coupling portion 223.

이탈방지보강부(221)는 슬라이더본체부(210)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이탈하중의 작용 시 레일(100)에 걸리며 슬라이더본체부(210)와 함께 이탈하중을 분산시켜 레일(100)에 전달하며, 소음방지부(221b)가 형성된다.The anti-separation reinforcement part 221 is dispos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slider body 210, and is caught on the rail 100 when a breakaway load is applied and disperses the breakaway load together with the slider body 210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rail 100. ), and the noise prevention unit 221b is formed.

이탈방지보강부(221)는 걸림베이스부(221a), 보강부(221c), 제1이탈방지보강부(221d) 및 제2이탈방지보강부(221e)를 포함한다. The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 includes a locking base part 221a, a reinforcement part 221c, a first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d and a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e.

걸림베이스부(221a)는 레일(100)과 마주보는 면에 소음방지부(221b)가 형성된다. 걸림베이스부(221a)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육면체 블럭의 형상을 가지고, 레일(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걸림베이스부(221a)는 레일(100)의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 상에 좌측부와 우측부가 배치될 정도의 측방향 너비를 가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블럭부(220)를 슬라이더본체부(210)에 조립, 결합한 상태에서 걸림베이스부(221a)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는 제1슬라이더부(211), 제2슬라이더부(212)의 전단부, 후단부와 길이방향으로 접한다.The locking base portion 221a has a noise prevention portion 221b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rail 100 . The locking base portion 221a has a shape of a flat hexahedral block as a whole and is disposed inside the rail 100 . The hooking base portion 221a has a lateral width sufficient to arrange left and right portions on the first guide portion 11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20 of the rail 100 . Referring to FIG. 10, in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unit 220 is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slider body unit 210,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hooking base unit 221a is the first slider unit 211 and the second slider unit. It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and rear end of 2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보강부(221c)는 걸림베이스부(221a)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결합부(223)와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는 d1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보강부(221c)는 그보다 작은 w1의 너비를 가지고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탈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보강부(221c)는 레일(100)과 간섭되지 않는다.The reinforcing part 221c protrudes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engaging base part 221a to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223 .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guide part 110 and the second guide part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terval d1, and the reinforcing part 221c has a width of w1 smaller than that and the first guide part ( 110) and the second guide unit 120. Accordingly, the reinforcing part 221c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ail 100 in a state in which the breakaway load does not act.

슬라이더부(200)는 홈부 형상의 소음방지부(221b)를 구비함에 따라, 슬라이더부(200)와 레일(100)의 하부 결합부(130) 사이에 d4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부(200)가 레일(100)과 접촉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s the slider part 200 has a groove-shaped anti-noise part 221b, the slider part 200 and the lower coupling part 130 of the rail 1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of d4.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while the slider unit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ail 100 .

제1이탈방지보강부(221d)는 걸림베이스부(221a)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보강부(221c)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레일(100)의 제1가이드부(110)에 수용되며, 제1가이드부(110)에 걸린다.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d protrudes from the locking base part 221a to one side, is disposed apart from the reinforcement part 221c, an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guide part 110 of the rail 100, It is caught on the first guide part 110 .

제2이탈방지보강부(221e)는 걸림베이스부(221a)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보강부(221c)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레일(100)의 제2가이드부(120)에 수용되며, 제2가이드부(120)에 걸린다.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e protrudes from the locking base part 221a to one side, is disposed apart from the reinforcement part 221c, and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guide part 120 of the rail 100, It is caught on the second guide part 120 .

제1이탈방지보강부(221d)와 제2이탈방지보강부(221e)는 각각 제1슬라이더부(211), 제2슬라이더부(212) 중 제1가이드부(110), 제2가이드부(120)에 수용되는 부분의 폭방향 두께보다 확장된 폭방향 너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이탈하중에 대한 자체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하중 작용 시 레일(100)의 제1가이드부(110), 제2가이드부(120)와의 접촉이 보다 확장된 면적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d and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e are the first guide part 110 and the second guide part among the first slider part 211 and the second slider part 212 ( 120) has a wider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thicknes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rtion accommod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secure the self-stiffness against the breakaway load, and when the breakaway load is applied, the contact area with the first guide part 110 and the second guide part 120 of the rail 100 is more expanded. can be done over

이탈하중 작용 시 제1이탈방지보강부(221d)와 제2이탈방지보강부(221e)는 제1가이드부(110), 제2가이드부(120)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리프팅되며 제1가이드부(110), 제2가이드부(120)의 상부를 상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가이드부(110), 제2가이드부(120)의 폭방향 단부는 도 3 상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보강부(221c) 측으로 젖혀지면서 보강부(221c)의 측면부와 접하는 변형을 하게된다.When a breakaway load is applied, the first breakaway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d and the second breakaway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e are lift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guide part 110 and the second guide part 120, and the first guide part (110),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guide part 120 is pushed upward. At the same time, the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part 110 and the second guide part 120 are bent toward the reinforcing part 221c as shown by dotted lines in FIG. It does.

제1이탈방지보강부(221d)와 보강부(221c) 간의 이격간격 d2, 제2이탈방지보강부(221e)와 보강부(221c) 간의 이격간격 d3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이탈하중의 작용 시 제1가이드부(110), 제2가이드부(120)의 단부가 상기와 같이 보강부(221c)의 측면부와 접하도록 젖혀지는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걸림베이스부(221a)의 상향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1가이드부(110)의 폭방향의 두께(W2)와 제2가이드부(120)의 폭방향 두께(W3)를 고려하여 그 너비를 설정한다.In setting the separation distance d2 between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d and the reinforcement part 221c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3 between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e and the reinforcement part 221c, As described above, the ends of the first guide part 110 and the second guide part 120 are bent so that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rt 221c, and the locking base 221a restricts upward movement. To perform the jaw function, the width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W2 of the first guide part 1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thickness W3 of the second guide part 120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와 같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수회의 실험을 통해, 제1가이드부(110)의 폭방향의 두께(W2)와 제2가이드부(120)의 폭방향 두께(W3)에 대해 1.2~ 1.5배의 너비로 d2, d3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부(110)의 폭방향의 두께(W2)와 제2가이드부(120)의 폭방향 두께(W3)가 1.8(mm)인 경우, d2, d3를 2.5(mm)로 설정할 수 있다(도 5 참조).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operation, through a plurality of experiments, the thickness W2 of the first guide part 1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thickness W3 of the second guide part 120 in the width direction 1.2 to 1.5 It was found that it is desirable to set d2 and d3 as the width of the ship.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W2 of the first guide part 1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thickness W3 of the second guide part 120 in the width direction are 1.8 (mm), d2 and d3 are 2.5 (mm) It can be set as (see FIG. 5).

상기와 같이 굽힘방지보강부(222)를 보강슬롯부(213)에 끼운 상태에서, 이탈방지블럭부(220)는 슬라이더본체부(210)에 대한 측방향 조립 위치가 결정, 유지될 수 있고, 굽힘방지보강부(222)는 제1슬라이더부(211), 제2슬라이더부(212)의 굽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걸림베이스부(221a)와 굽힘방지보강부(222)간의 경계부는 슬라이더본체부(210)에 대한 이탈방지블럭부(220)의 전후방향 조립 위치를 결정하는 걸림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anti-bending part 222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slot part 213, the lateral assembly position of the anti-separation block part 220 relative to the slider body part 210 can be determined and maintained, The anti-bending reinforcement part 222 may implement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bending rigidity of the first slider part 211 and the second slider part 212 . In add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hooking base part 221a and the bending-preventing reinforcement part 222 can implement the function of a hooking jaw that determines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anti-separation block part 220 with respect to the slider body part 2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

결합부(223)는 이탈방지보강부(221) 및 상기 굽힘방지보강부(222)와 연결되고, 슬라이더본체부(210)와 결합된다. The coupling part 223 is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 and the bending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2, and is coupled to the slider body part 210.

결합부(223)는 결합블럭부(223a), 결합판부(223b) 및 결합부재(223c)를 포함한다. 결합블럭부(223a)는 이탈방지보강부(221) 및 굽힘방지보강부(222)와 연결되며, 레일(100)의 외부 측으로 연장형성된다. 결합블럭부(223a) 중 슬라이더부(20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단부는 공간활용도 향상 및 인접한 다른 부속품과의 간섭 회피를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coupling portion 223 includes a coupling block portion 223a, a coupling plate portion 223b, and a coupling member 223c. The coupling block portion 223a is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ortion 221 and the bending prevention reinforcement portion 222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rail 100 . Among the coupling block parts 223a, the ends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lider part 200 are inclined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and avoid interference with other adjacent parts.

결합판부(223b)는 결합블럭부(223a)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슬라이더본체부(210)의 경사연장부(214c)와 겹치도록 배치된다. 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extends from the coupling block portion 223a to one side and is arranged to overlap the inclined extension portion 214c of the slider body 210.

결합판부(223b)는 결합블럭부(223a) 상에 편심연장부(214b)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경사연장부(214c)에 대응되는 형상과 기울기를 가지고 경사연장부(214c)와 적층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본체부(2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블럭부(220)의 결합판부(223b)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경사연장부(214c)의 상면부에 안착 및 면접촉된다.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ccentric extension portion 214b on the coupling block portion 223a, and has a shape and slo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extension portion 214c. 214c and are arranged to be stacked. More specifically, 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disposed in front of the slider body portion 210 has a downwardly inclined shape toward the front,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extension portion 214c. and surface contact.

결합부재(223c)는 결합판부(223b), 슬라이더본체부(210) 및 지지프레임부(300)를 관통하여 결합한다. 결합부재(223c)는 결합판부(223b)에 형성되는 결합홀부(미도시)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223c)는 시트프레임부(21), 결합판부(223b)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210), 이탈방지블럭부(220) 및 시트프레임부(21)에 해당되는 3개의 구성품을 일괄하여 상호 결속한다. The coupling member 223c passes through 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the slider body portion 210, and the support frame portion 300 and is coupled thereto. The coupling member 223c is coupled through a coupling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Specifically, the coupling member 223c passes through the seat frame portion 21 and 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sequentially and is coupled thereto, thereby forming the slider body portion 210,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and the seat frame portion 21. The thre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are collectively bound together.

이에 따라, 이탈방지블럭부(220)는 결합부재(223c)에 의해 슬라이더본체부(210)에 다중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시트프레임부(21) 측의 하중이 결합부재(223c)와의 결합을 통해 슬라이더본체부(210) 외에 이탈방지블럭부(220)에도 보다 명확하고 안정되게 분산, 전달될 수 있다. 결합부재(223c)로는 볼트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slider body portion 210 multiple times by the coupling member 223c, and the load on the seat frame portion 21 side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member 223c. Through the combination, it can be more clearly and stably dispersed and transmit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220 in addition to the slider body 210. A bolt member may be used as the coupling member 223c.

조립턱부(223d)는 결합블럭부(223a)와 결합판부(223b)의 경계부에 단턱지게 형성된다. 이탈방지블럭부(220)를 슬라이더본체부(210)에 조립, 결합 시 조립턱부(223d)는 슬라이더본체부(210)의 직립연장부(214a)와 폭방향(좌우방향)으로 접한다. 결합판부(223b)는 슬라이더본체부(210)의 받침턱부(214d)에 안착된다. 걸림베이스부(221a)와 굽힘방지보강부(222) 간의 경계부는 슬라이더본체부(210)의 제1슬라이더부(211), 제2슬라이더부(212)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와 접한다.The assembling jaw portion 223d is formed stepwis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upling block portion 223a and 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220 is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slider body 210, the assembly jaw 223d contacts the upright extension 214a of the slider body 210 in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is seated on the supporting jaw portion 214d of the slider body portion 210. The boundary between the hooking base portion 221a and the bending-preventing reinforcement portion 222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or rear ends of the first slider portion 211 and the second slider portion 212 of the slider body portion 210 .

이탈방지블럭부(220)를 슬라이더본체부(210)에 조립, 결합 시, 걸림베이스부(221a)와 굽힘방지보강부(222)간의 경계부(미도시), 받침턱부(214d), 조립턱부(223d)에 의해, 슬라이더본체부(210)에 대한 이탈방지블럭부(220)의 전후방향, 상하방향, 측방향 위치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결정, 유지할 수 있어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When assembling and coupling the anti-separation block 220 to the slider body 210, the boundary between the catching base 221a and the bending-preventing reinforcement 222 (not shown), the supporting jaw 214d, and the assembly jaw ( 223d),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e and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220 in the front-back, up-down, and later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lider main body 210, thereby further improving productivit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reliability can be ensured.

지지프레임부(300)는 슬라이더부(200)와 연결되고, 시트프레임부(21)와 결합된다. 지지프레임부(300)는 트러스 구조를 가진다. 이로 인해, 시트(20)를 지지하는 강도가 향상되어 시트(20)를 쉽게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part 300 is connected to the slider part 200 and coupled to the seat frame part 21 . The support frame part 300 has a truss structure. Due to this, the strength of supporting the sheet 20 is improved, so that the sheet 20 can be easily supported.

지지프레임부(300)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310), 제1크러스프레임(320) 및 제2크러스프레임(33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310)은 시트프레임부(21)에 이격되게 결합된다. The support frame unit 300 includes a pair of support frames 310 , a first cruss frame 320 and a second cruss frame 330 . A pair of support frames 310 are coupled to the seat frame unit 21 at a distance.

한 쌍의 지지프레임(310)은 제1지지프레임(311)과 제2지지프레임(312)을 포함한다. 제1지지프레임(311)은 시트프레임부(21)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제2지지프레임(312)은 시트프레임부(21)의 양단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The pair of support frames 310 include a first support frame 311 and a second support frame 312 . The first support frame 311 is coupled to either end of the seat frame unit 21 . The second support frame 312 is coupled to the other one of both ends of the seat frame unit 21 .

제1크러스프레임(320)은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31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제1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크러스프레임(320)은 제1지지프레임(311)의 상부에서 제2지지프레임(312)의 하부 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즉, 제1대각선 방향은 제1지지프레임(311)의 상부에서 제2지지프레임(312)의 하부 측으로 기울어진 방향을 의미한다. The first crass frame 32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310 and is disposed in a first diagonal direction. The first crass frame 320 is disposed inclin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1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12 . That is, the first diagon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clined from the top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1 to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12 .

제2크러스프레임(330)은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310)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고, 제1크러스프레임(320)과 대칭되도록 제2대각형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크러스프레임(330)은 제2지지프레임(312)의 상부에서 제1지지프레임(311)의 하부 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즉, 제2대각형 방향은 제2지지프레임(312)의 상부에서 제1지지프레임(311)의 하부 측으로 기울어진 방향을 의미한다. The second crust frame 330 is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310 and is disposed in a second diagonal direction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crust frame 320 . The second crass frame 330 is inclined from the top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12 to the bottom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1 . That is, the second diagon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clined from the top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12 to the bottom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1 .

지지결합프레임(340)은 슬라이더부(200)와 결합되고, 한 쌍의 지지프레임(310), 제1크러스프레임(320) 및 제2크러스프레임(330)과 연결된다. 이때, 지지결합프레임(340)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310), 제1크러스프레임(320) 및 제2크러스프레임(330)과 용접접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coupling frame 340 is coupled to the slider unit 200 and is connected to a pair of support frames 310 , a first crust frame 320 and a second cruss frame 330 . In this case, the support coupling frame 340 may be welded to a pair of support frames 310 , a first cruss frame 320 and a second cruss frame 330 .

지지결합프레임(340)은 제1지지결합프레임(341)과 제2지지결합프레임(342)을 포함한다. 제1지지결합프레임(341)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310), 제1크러스프레임(320) 및 제2크러스프레임(330)과 연결된다. 제2지지결합프레임(342)은 제1지지결합프레임(341)과 연결되며, 슬라이더부(200)와 결합된다. 이때, 제2지지결합프레임(342)은 슬라이더부(200)의 결합부재(223c)에 의해 슬라이더부(200)의 결합판부(223b)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coupling frame 340 includes a first support coupling frame 341 and a second support coupling frame 342 . The first support coupling frame 341 is connected to a pair of support frames 310 , a first cruss frame 320 and a second cruss frame 330 . The second support coupling frame 342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coupling frame 341 and coupled to the slider unit 200 .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coupling frame 342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portion 223b of the slider portion 200 by the coupling member 223c of the slider portion 200 .

보강브라켓부(230)는 슬라이더부(200)와 결합되고, 슬라이더부(200)의 굽힘강성을 보강한다. 보강브라켓부(230)는 슬라이더본체부(210)와 함께 폐쇄된 도형의 종단면 형상을 이루게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210)의 좌우측 중 일측에 이탈하중이 편심되게 작용함에 따른 슬라이더본체부(210)의 굽힘, 비틀림 변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한다.The reinforcing bracket part 230 is coupled to the slider part 200 and reinforces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lider part 200 . The reinforcing bracket part 230 is combined with the slider body part 210 to form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a closed figure, so that the breakaway load acts eccentrically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ider body part 210, and the slider body part 210 ) reinforces the stiffness against bending and torsion deformation.

보강브라켓부(230)는 종연장보강부(231), 횡연장보강부(232) 및 다중결합부(233)를 포함한다. 종연장보강부(231)는 전후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슬라이더본체부(210)의 직립연장부(214a)와 측방향(폭방향)으로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종연장보강부(31)는 직립연장부(214a)와 나란한 방향, 즉 상하방향(종방향)으로 직립되게 배치된다.The reinforcing bracket part 230 includes a longitudinal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1, a transverse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2 and a multiple coupling part 233. The longitudinal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1 has an extension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right extension part 214a of the slider body 210 in the lateral direction (width direction). The longitudinal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31 is disposed uprigh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right extension part 214a,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횡연장보강부(232)는 후술된 종연장보강부(231)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측방향 단부가 직립연장부(214a)의 측면부와 접한다. The transverse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2 is formed to extend laterally at the lower part of the longitudinal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1 described later, and the lateral end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part of the upright extension part 214a.

다중결합부(233)는 종연장보강부(231)의 상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편심연장부(214b)의 하측에 적층되게 배치된다.The multiple coupling part 233 is formed to extend later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longitudinal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1 and is disposed to be stacked on the lower side of the eccentric extension part 214b.

이에 따라, 보강브라켓부(230)는 슬라이더본체부(210)에 볼트부재 등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시트프레임부(21) 측의 하중이 슬라이더본체부(210) 외에 보강브라켓부(230)에도 보다 명확하고 안정되게 분산,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inforcing bracket portion 23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slider body portion 210 throug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bolt member, and the load on the seat frame portion 21 side is applied to the slider body portion 210. ) In addition, it can be more clearly and stably dispersed and transmitted to the reinforcement bracket part 230.

금속판재 중 종연장보강부(231)와 횡연장보강부(232)의 경계부와, 횡연장보강부(232)와 다중결합부(233)의 경계부에 해당되는 부위를 측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종연장보강부(231), 횡연장보강부(232) 및 다중결합부(233)를 일체로 쉽게 형성할 수 있다.By bendi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longitudinal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1 and the transverse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2 and the boundary part between the transverse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2 and the multiple coupling part 233 in the metal plat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1, the transverse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2, and the multiple coupling part 233 can be formed integrally and easily.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2)에서는 슬라이더부(200)가 홈부 형상의 소음방지부(221b)를 구비함에 따라, 레일(100)과 미접촉되어 레일(100)과의 접촉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e slider 2 of the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the slider part 200 is provided with the noise prevention part 221b in the shape of a groove,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rail 100 and the rail 100 Nois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by contact with i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트(20)의 시트프레임부(21)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300)가 트러스 구조를 가짐에 따라, 시트프레임부(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upport frame portion 300 for supporting the seat frame portion 21 of the seat 20 has a truss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supporting the seat frame portion 2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2)에 의하면, 레일(10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부(210)의 단부에 이탈방지블럭부(220)를 결합함으로써, 시트프레임부(21)를 통해 슬라이더본체부(210)에 작용하게 되는 이탈하중이 슬라이더본체부(210) 뿐만 아니라 이탈방지블럭부(220)에 분산되어 레일(100)과의 접촉부에 작용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lider 2 of the vehicle seat t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to the end of the slider body portion 210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100, the seat frame The breakaway load acting on the slider body 210 through the portion 21 is distributed to the slider body 210 as well as the departure prevention block 220 and acts on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rail 100.

이에 따라, 이탈하중이 슬라이더본체부(210)와 접하는 레일(100)의 일부에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더본체부(210)와 한 쌍의 이탈방지블럭부(220)에 걸쳐 보다 고르게 분산, 분포되어 작용하게 되므로, 이탈하중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reakaway load does not act locally on a part of the rail 100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slider body 210, but is mor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slider body 210 and the pair of breakaway prevention block parts 220. , since it acts in a distributed manner,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secure structural rigidity against breakaway loads.

또한, 시트프레임부(21)가 슬라이더본체부(210)의 측방향 일측에 편중되게 위치 시, 슬라이더본체부(210)에는 굽힘력, 비틀림 변형을 유발하는 모멘트(M)가 작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본체부(210)의 측면부에 폐쇄된 도형의 종단면 형상을 이루게 보강브라켓부(230)를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본체부(210)의 굽힘강성, 비틀림강성을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at frame portion 21 is biasedl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lider body portion 210 in the lateral direction, a moment M that causes bending force and torsional deformation acts on the slider body portion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reinforcing bracket part 230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lider body part 210 to form the shape of a closed figure, it is possible to stably reinforce the bending rigidity and torsional rigidity of the slider body part 210. .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본체부(210)에 이탈방지블럭부(220), 보강브라켓부(230)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슬라이더 구조를 슬라이더본체부(210)에 그대로 적용, 활용하면서도, 3인석의 시트에 작용하게 되는 고하중(1인석, 2인석 시트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고하중)의 이탈하중에 대해 레일(100)에 결속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 강성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220 and the reinforcing bracket portion 230 with the slider body portion 210, the existing slider structure is applied to the slider body portion 210 as it is, while utilizing it.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break-away rigidity capable of firmly maintaining the state bound to the rail 100 against the release load of high load (relatively high load compared to single-person and two-person seats) acting on the three-person seat. there i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 : 차량용 시트 장치 10 : 차체
20 : 시트 21 : 시트프레임부
2 :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100 : 레일 110 : 제1가이드부
120 : 제2가이드부 130 : 하부결합부
200 : 슬라이더부 210 : 슬라이더본체부
211 : 제1슬라이더부 212 : 제2슬라이더부
213 : 보강슬롯부 214 : 시트연결부
214a : 직립연장부 214b : 편심연장부
214c : 경사연장부 214d : 받침턱부
220 : 이탈방지블럭부 221 : 이탈방지보강부
221a : 걸림베이스부 221b : 소음방지부
221c : 보강부 221d : 제1이탈방지보강부
221e : 제2이탈방지보강부 222 : 굽힘방지보강부
222a : 삽입보강부 222b : 제1접촉보강부
222c : 제2접촉보강부 223 : 결합부
223a : 결합블럭부 223b : 결합판부
223c : 결합부재 223d : 조립턱부
230 : 보강브라켓부 231 : 종연장보강부
232 : 횡연장보강부 233 : 다중결합부
300 : 지지프레임부 310 : 지지프레임
311 : 제1지지프레임 312 : 제2지지프레임
320 : 제1크러스프레임 330 : 제2크러스프레임
340 : 지지결합프레임 341 : 제1지지결합프레임
342 : 제2지지결합프레임
Reference Signs List 1: Vehicle seat device 10: Body
20: seat 21: seat frame
2: Slider of vehicle seat track
100: rail 110: first guide part
120: second guide part 130: lower coupling part
200: slider part 210: slider body part
211: first slider part 212: second slider part
213: reinforcement slot part 214: seat connection part
214a: upright extension 214b: eccentric extension
214c: inclined extension part 214d: supporting jaw part
220: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art 221: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a: engaging base part 221b: noise prevention part
221c: reinforcement part 221d: first detachment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1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2: bending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222a: insertion reinforcement part 222b: first contact reinforcement part
222c: second contact reinforcement part 223: coupling part
223a: coupling block portion 223b: coupling plate portion
223c: coupling member 223d: assembly jaw
230: reinforcement bracket part 231: longitudinal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2: transverse extension reinforcement part 233: multiple coupling part
300: support frame part 310: support frame
311: first support frame 312: second support frame
320: first cruss frame 330: second cruss frame
340: support coupling frame 341: first support coupling frame
342: second support coupling frame

Claims (9)

차체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소음방지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부; 및
상기 슬라이더부와 연결되고, 시트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Rail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 slider unit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and having a noise prevention unit preventing noise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rail; and
A slider of a vehicle seat track comprising a; support frame portion connected to the slid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seat fram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연결되며,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본체부; 및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며, 상기 소음방지부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블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er part,
a slider bod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and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and
The slider of a vehicle seat tra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on block portion connected to the slider body portion, restraining the slider body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and formed with the noise prevention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굽힘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According to claim 2,
The slider part of the vehicle seat tra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bracket part for reinforcing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lider body par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부는 홈부 형상으로 상기 이탈방지블럭부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과 미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According to claim 2,
The noise prevention part is formed in the departure prevention block part in the shape of a groove part, and the slider of the vehicle seat track, characterized in that in non-contact with the rai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블럭부는,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이탈하중의 작용 시 상기 레일에 걸리며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함께 이탈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레일에 전달하며, 상기 소음방지부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보강부;
상기 이탈방지보강부에서 상기 슬라이더본체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의 굽힘 강성을 보강하는 굽힘방지보강부; 및
상기 이탈방지보강부 및 상기 굽힘방지보강부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According to claim 3,
The departure prevention block unit,
a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ing unit disposed continuously with the slider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ught on the rail when a separation load is applied, distributing the separation load together with the slider body and transmitting the separation load to the rail, and forming the noise prevention unit;
an anti-bending reinforcement part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toward the slider body part and being fitted into the slider body part to reinforce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lider body part; and
The slider of the seat track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engag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bending prevention reinforcement portion and coupled to the slider body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보강부는,
상기 레일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소음방지부가 형성되는 걸림베이스부;
상기 걸림베이스부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보강부;
상기 걸림베이스부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제1가이드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에 걸리는 제1이탈방지보강부; 및
상기 걸림베이스부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제2가이드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에 걸리는 제2이탈방지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According to claim 5,
The departure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a locking base portion on which the anti-noise portion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rail;
a reinforc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engaging base part to one side and being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 first breakaway prevention reinforcing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engaging base part to one side,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inforcing part,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guide part of the rail, and is caught in the first guide part; and
and a second detachment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protruding from the hooking base part to one side, disposed apart from the reinforcing part, accommodated in the second guide part of the rail, and caught in the second guide part. Slider of vehicle seat track to b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탈방지보강부 및 상기 굽힘방지보강부와 연결되며, 상기 레일의 외부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결합블럭부;
상기 결합블럭부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본체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결합판부; 및
상기 결합판부, 상기 슬라이더본체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According to claim 6,
The coupling part,
a coupling block portion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and the bending prevention reinforcement part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rail;
a coupling plate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block portion to one side and overlapping the slider body portion; and
The slider of the seat track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upling member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plate portion, the slider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fram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트러스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er of the vehicle seat tr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rame portion has a truss structur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상기 시트프레임부에 이격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제1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크러스프레임;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1크러스프레임과 대칭되도록 제2대각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크러스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 상기 제1크러스프레임 및 상기 제2크러스프레임과 연결되는 지지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의 슬라이더.
According to claim 8,
The support frame part,
A pair of support frames spaced apart from the seat frame;
a first crass fram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disposed in a first diagonal direction;
a second cruss frame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arranged in a second diagonal direction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cruss frame; and
The slider of the vehicle seat tra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coupling frame coupled to the slider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support frames, the first cruss frame and the second cruss frame.
KR1020210099939A 2021-07-29 2021-07-29 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KR1025246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39A KR102524645B1 (en) 2021-07-29 2021-07-29 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39A KR102524645B1 (en) 2021-07-29 2021-07-29 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138A true KR20230018138A (en) 2023-02-07
KR102524645B1 KR102524645B1 (en) 2023-04-24

Family

ID=8522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939A KR102524645B1 (en) 2021-07-29 2021-07-29 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64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02Y2 (en) * 1990-09-26 1995-07-05 池田物産株式会社 Seat slide device
JP2016135639A (en) * 2015-01-23 2016-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Slide protector
JP2019001260A (en) * 2017-06-13 2019-01-10 株式会社タチエス Vehicle seat rail
KR102176157B1 (en) * 2020-07-24 2020-11-10 (주)씨엠텍 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02Y2 (en) * 1990-09-26 1995-07-05 池田物産株式会社 Seat slide device
JP2016135639A (en) * 2015-01-23 2016-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Slide protector
JP2019001260A (en) * 2017-06-13 2019-01-10 株式会社タチエス Vehicle seat rail
KR102176157B1 (en) * 2020-07-24 2020-11-10 (주)씨엠텍 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645B1 (en)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2810B1 (en) Automobile underbody structure
JP6442349B2 (en) Vehicle seat
JP5275622B2 (en) Vehicle seat
CN109476242B (en) Longitudinal adjuster and vehicle seat
US8251425B2 (en) Seat frame for a vehicle seat
JP6169134B2 (en) Vehicle seat rail
CN107031739B (en) Floor panel structure for automobile body
KR102524645B1 (en) 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US20060152048A1 (en) Forward slippage preventive structure of seat cushion with lifter device
JP2016052820A (en) Rear seat back frame structure
KR102176157B1 (en) Slider of seat track for vehicle
KR100930033B1 (en) Headrest for a vehicle
JP6824831B2 (en)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seats
KR200227060Y1 (en) Locker of seat locking system for vehicle
JP3726464B2 (en) Collision-safe vehicle body structure for cab-over vehicles
JP6537560B2 (en) Vehicle seat support structure
JP2011011613A (en) Lower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JP5515086B2 (en) Retainer fixing structure for seat belt anchor
JP4396566B2 (en) Structure of vehicle seat support
JP3649425B2 (en) Car seat equipment
JP7470327B2 (en) Seat rails and how to attach a seat to the seat rails
KR101592779B1 (en) Seat frame assembly for vehicle
JP3660239B2 (en) Car child seat fixing structure
JP4461816B2 (en) Front structure of cabover type vehicle
JP7263937B2 (en)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