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803A -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에서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왁스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에서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왁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803A
KR20230017803A KR1020227044566A KR20227044566A KR20230017803A KR 20230017803 A KR20230017803 A KR 20230017803A KR 1020227044566 A KR1020227044566 A KR 1020227044566A KR 20227044566 A KR20227044566 A KR 20227044566A KR 20230017803 A KR20230017803 A KR 20230017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melt
weight
fischer
polyolefin
tropsch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스 모아벨로
헬덴 피터 반
Original Assignee
사솔 사우스 아프리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솔 사우스 아프리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사솔 사우스 아프리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80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9J1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쉬 왁스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색상 열화를 완화시키고, 1.02 내지 1.06의 다분산도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에서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왁스의 용도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Fischer-Tropsch waxes)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색상 열화를 완화시키고, 1.02 내지 1.06의 다분산도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두 개의 개별 항목들("피접착물들")의 한 표면, 또는 두 표면들 상에 도포되는 물질로서, 두 항목들 사이에 접착성 결합(adhesive bond)을 형성하여 두 항목들을 함께 결합시키고 이들의 분리에 저항하는 물질이다. "접착제(adhesive)"라는 단어와 연관되어 접착성(adhesive)이라는 표현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특정 접착제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형태, 결합되는 재료들의 유형,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조건에 기초하는 특성들을 기술한다.
핫멜트 접착제(HMA)("핫 멜트(hot melts)")는 접착제의 한 유형이며, 100% 비휘발성 고체 열가소성 수지이다. 도포하는 동안 핫멜트 접착제는 전형적으로 65 내지 180 ℃ 범위의 용융 상태의 승온에서 접합될 기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재에 도포되고, 다른 기재(들)과 접촉하고 난 후, 냉각시 응고된다. 결과적으로, 이들 기재들 사이에 강한 결합을 형성한다. 이 거의 즉각적인 결합으로 인해 핫멜트 접착제는 자동화 작업에 탁월한 후보가 된다. 이들 중에서도, 이러한 핫멜트 접착제의 가장 통상적인 응용 분야 중 하나는 포장재(packaging materials)의 결합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핫멜트 접착제는 베이스 폴리머(들), 희석 왁스(들) 또는 오일(들), 점착부여제(들), 안정화제들 및 선택적(optional) 충전제(들)로 구성된다.
베이스 폴리머는 시스템의 분자 중추(molecular backbone)이며, 고유한 강도와 내화학성 및 도포 특성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오일과 왁스는 점도와 고화 시간을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점착부여제는 초기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베이스 폴리머를 개질하기 위해 추가된다.
충전제는 용융 점도, 열 팽창 계수, 고화 시간, 등과 같은 특정 성질들을 미세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폴리머계 핫멜트는 사용이 간편하고 결합할 수 있는 광범위한 일반 재료들때문에 공예품에 특히 인기가 있다.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들은 이중적인 특성, 즉, 다른 상(phase)의 고무 거동과 관련된 스티렌 상(styrenic phase)의 응집력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핫멜트 접착제에 사용된다.
최근 메탈로센계 및/또는 비결정질 폴리올레핀 핫멜트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이들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극성 기재들에 잘 접착되지만, 통상적으로 극성 표면들에는 권장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은 우수한 장벽 특성, 즉, 낮은 수분 및 수증기 투과성, 및 극성 용매 및 산, 염기, 에스테르 및 알코올을 포함한 용액에 대한 우수한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지만, 알칸, 에테르, 및 오일과 같은 비극성 용매에 대해서는 보통의 내열성과 열악한 내화학성만 있다. 이들은 다양한 용융 점도, 경도, 연화점, 표면 점착성, 및 개방 시간(open times)을 갖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EVA 및 폴리아미드 핫멜트 접착제와 비교할 때, 폴리올레핀계는 부품들의 배치를 위한 연장된 개방 시간을 갖는다. 또한, 유사한 EVA보다 용융 점도가 더 낮고 고화 시간이 더 느리다. 이들은 젤과 숯(char) 형성을 줄이고 무취이며 무색이다. 일부 폴리올레핀은 첨가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종종 점착부여제, 왁스, 및 가소제(미네랄 오일, 폴리부텐 오일)와 컴파운딩된다. 이들은 많은 비극성 용매들 및 핫몰드 첨가제(hot mold additives)와 양립가능하다. 통상적인 폴리올레핀에는 비결정질(아택틱(atactic)) 프로필렌(APP), 비결정질 프로필렌-에틸렌(APE), 비결정질 프로필렌-부틸렌(APB), 비결정질 프로필렌-헥실렌(APH), 비결정질 프로필렌-에틸렌-부틸렌이 포함된다. 이들 폴리올레핀은 서로 다른 경도 및 연화점을 가지며, 결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APP > APE > APB > APH의 순서로 감소한다. 모든 폴리올레핀은 낮은 응집 에너지 및 낮은 얽힘 중량(entanglement weight)을 갖는다. 폴리머 사슬은 다소 유연하여, 폴리올레핀과 낮은 표면 에너지 기재들 사이의 경계면에 걸쳐서 우수한 상호 확산(interdiffusion) 및 얽힘(entanglement)을 제공한다. 기계적 하중 하에서, 대부분의 스트레인(strain)은 폴리머 사슬의 변형(deformation) 및 풀림(disentanglement)에 의해 소산된다. 따라서, 높은 박리 에너지를 갖는 응집 파손(cohesive failure)은 폴리올레핀의 전형적인 파손 모드이다.
폴리올레핀계 핫멜트는 포장 및 부직포 산업(여성 위생용품, 기저귀,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종이, (올레핀) 플라스틱 필름 및 금속 포일을 다양한 기재들에 접착하는 데 적합하다.
습기 및 화학물질에 대해 저항하고 일반 폴리올레핀 하우징 및 부품과 같은 접착하기 어려운 플라스틱에 접착되는 능력으로 인해, 가전 제품, 자동차, 및 제품 조립 산업에서도 많은 응용 분야를 찾는다. 가장 통상적인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이다. 작동 온도는 -30 ℃ 내지 110 ℃이다.
적합한 상업적 프로필렌 폴리머는 다양한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하며, ExxonMobil Chemical Company(Houston, TX)로부터의 VISTAMAXX 상표명 시리즈, 예를 들어, VISTAMAXX 8880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적합한 상업용 에틸렌 알파-올레핀 코폴리머들은 다양한 상표명으로도 또한 입수 가능하며, LyondellBasell의 KOATTRO 상표명 시리즈, 예를 들어, KOATTRO PB M 0600M 폴리부텐-1-에틸렌 코폴리머; 및 The Dow Chemical Company의 AFFINITY 상표명 시리즈, 예를 들어, AFFINITY GA 1950 에틸렌-옥텐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적합한 부류의 점착부여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혼합된 방향족 및 지방족 개질된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이들의 수소처리된 버전; 테르펜, 개질된 테르펜 및 이들의 수소처리된 버전; 천연 로진, 개질된 로진, 로진 에스테르, 및 이들의 수소처리된 버전; 낮은 분자량 폴리락트산;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한다.
유용한 점착부여제는 다양한 상표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ExxonMobil Chemical Company(Houston, Tex.)로부터의 ESCOREZ 상표명 시리즈, 예를 들어, ESCOREZ 1310LC, ESCOREZ 5400, ESCOREZ 5637, ESCOREZ 5415, ESCOREZ 5600, ESCOREZ 5615 및 ESCOREZ 5690; Eastman Chemical Company(Kingsport, Tenn.)로부터의 EASTOTAC 상표명 시리즈, 예를 들어, EASTOTAC H-100R, EASTOTAC H-100L, 및 EASTOTAC H130W; Cray Valley HSC(Exton, Pa.)로부터의 WINGTACK 상표명 시리즈, 예를 들어, WINGTACK 86, WINGTACK EXTRA 및 WINGTACK 95; Eastman Chemical Company(Kingsport, Tenn.)로부터의 PICCOTAC 상표명 시리즈, 예를 들어, PICCOTAC 8095 및 1115; Arkawa Europe GmbH(독일)로부터의 ARKON 시리즈 상표명, 예를 들어, ARKON P-125; Eastman Chemical Company로부터의 REGALITE 및 REGALREZ 상표명 시리즈, 예를 들어, REGALITE R1 125 및 REGALREZ 1126; 및 Resinall Corp(Severn, NC)의 상품명 RESINALL 시리즈, 예를 들어, RESINALL R1030;을 포함한다.
핫멜트 접착제는 가공 오일과 같은 가소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가공 오일은,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방향족 오일, 피마자유, 평지씨(rape seed)유,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공 오일은 또한, 증량제 오일(extender oils)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접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접착제에 오일을 사용하는 것은, 접착제가 테이프 또는 라벨을 생산하기 위한 압력 민감 접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로 사용되거나 또는 부직포 물품들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접착제는 어떠한 가공 오일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의 첨가제들,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가소제, 접착 촉진제, 자외선 안정화제, 유동 개질제(rheology modifiers), 부식 방지제, 착색제(예를 들어, 안료 및 염료), 난연제, 핵형성제, 또는 충전제(예를 들어, 카본 블랙,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 옥사이드, 아연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유용한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 비스(4-메틸-6-터트-부틸페놀), 포스파이트(예를 들어, 트리스-(p-노닐페닐)-포스파이트(TNPP) 및 비스(2,4-디-터트-부틸페닐)4,4'-디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포함), 디-스테아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ST-DP),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용한 산화방지제들은 다양한 상표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예를 들어, BASF Corporation(Florham Park, NJ)으로부터 입수가능한 IRGANOX 상표명 시리즈, 예를 들어, IRGANOX 1010, IRGANOX 565, 및 IRGANOX 1076 힌더드 페놀 산화방지제, 및 IRGAFOS 168 포스파이트 산화방지제; 및 Albemarle Corporation(Baton Rouge, Louisiana)으로부터 입수가능한 ETHYL 702 4,4'-메틸렌 비스(2,6-디-터트-부틸페놀);을 포함한다.
왁스는 핫멜트 접착제에서 핵형성제(nucleating agents), 희석제 또는 점도 감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핵형성제로서, 왁스는 HMA에서 폴리머 재료의 파단 연신율을 향상시킨다. 희석제 왁스는 습윤을 촉진하고 접착제 제형의 (용융)점도를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하고, 접착제 도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유연성의 향상과 더불어, 점도 저하에 의한 습윤성(wettability) 향상의 관점에서, 왁스의 함량이 결정적이다.
통상적으로 왁스는, 40 ℃ 초과의 액적 용융점(drop melting point)을 갖는, 약간의 압력으로 광택을 낼 수 있는, 20 ℃에서 반죽할 수 있거나 부서지기 어렵고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분해 없이 40 ℃ 초과에서 용융되는, 전형적으로는 50 내지 90 ℃에서 용융되는, 예외적인 경우에는 최대 200 ℃에서 용융되는, 페이스트 또는 젤을 형성하는, 또한 열과 전기의 열악한 전도체인 화학 조성물인 것으로 대략적으로 정의된다.
왁스는 원천과 같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왁스는 천연 왁스와 합성 왁스의 두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천연 왁스는 화석 왁스(예를 들어, 석유 왁스)와 비화석 왁스(예를 들어, 동물성 및 식물성 왁스)로 더 나뉠 수 있다. 석유계 왁스는 거대결정성 왁스(파라핀 왁스)와 미세결정성 왁스(마이크로왁스)로 나뉜다. 합성 왁스는 부분 합성 왁스(예를 들어, 아미드 왁스)와 완전 합성 왁스(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왁스 및 피셔-트롭슈 왁스)로 나뉠 수 있다.
파라핀 왁스는 석유 원천으로부터 유래한다. 그것들은 깨끗하고 냄새가 없으며 식품 접촉을 위해 정제될 수 있다. 그것들은 (주로) n-알칸 및 iso-알칸뿐만 아니라 일부 시클로-알칸의 범위를 포함한다. 미가공 또는 미정제 파라핀 왁스(슬랙 왁스)에는 많은 수의 단쇄 알칸("오일")이 있으며, 이것은 추가적으로 정제할 때 제거된다. 파라핀 왁스의 다양한 분포와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정제에는 탈유(deoiling), 증류 및 수소처리가 포함될 수 있다.
합성가스(CO 및 H2)의 알칸으로의 촉매화된 피셔-트롭슈 합성으로부터 유래하는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 또는 탄화수소는, 주로 n-알칸, 작은 수의 분지형 알칸을 포함하고, 기본적으로 사이클로 알칸 또는 예를 들어, 황 또는 질소와 같은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가로, 올레핀 및 함산소물(oxygenate)(즉, 산소화된 탄화수소(oxidized hydrocarbon), 예를 들어, 알코올, 에스테르, 케톤 및/또는 알데하이드)의 수(number)가 석유계 왁스와 다르고 더 높을 수 있다. 피셔-트롭슈 왁스는, 예를 들어, 함산소물의 양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정제될 수도 있다. 여기에는 탈유, 증류 및 수소처리도 또한 포함될 수 있다.
피셔-트롭슈 왁스의 수소처리는 왁스 수소처리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촉매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FT-왁스는 약 30 내지 약 70 bar, 예를 들어, 약 50 bar의 절대 압력 및 약 150 내지 약 250 ℃, 예를 들어, 약 220 ℃의 승온에서, 예를 들어, 1 Horn Street, Chloorkop, 1624, South Africa의 Sued-Chemie SA(Pty) Ltd로부터 입수가능한 NiSat 310과 같은 니켈-촉매의 존재 하에, 수소를 사용하여 수소처리된다.
FT-왁스의 수소처리는 산소를 함유한 알코올 또는 다른 화합물들과 같은 불순물, 및 올레핀과 같은 불포화 탄화수소가 수소와의 촉매 반응에 의해 알칸으로 전환되는 공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수소화 이성질체화(hydroisomerization) 또는 수소첨가분해와 같은 분해 반응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사슬 길이 분포 및 선형 분자에 대한 분지형의 비율이 변경되지 않는다.
피셔-트롭슈 왁스는 통상적으로, 낮은 용융점(응고점(congealing point) 20 내지 45 ℃), 중간 용융점(응고점 45 내지 75 ℃), 및 높은 용융점(응고점 75 내지 110 ℃)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합성 왁스의 또 다른 원천은 올레핀계 모노머의 올리고머화/중합에서 얻은 생산물이며, 가능하게는 수소화 반응이 뒤따를 수 있다.
피셔-트롭슈 왁스는 주로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위의 정의에 따른 왁스이다. 탄화수소는 탄소 및 수소 원자만으로 구성된 분자이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n- 또는 선형은 선형 및 지방족을 의미하고, i-, 이소- 또는 분지형은 분지형 및 지방족을 의미한다.
피셔-트롭슈 왁스에서 탄소 사슬 길이 분포 및 선형 알칸에 대한 분지형의 비율은 European Wax Federation (EWF)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탄화수소 왁스 분석을 위한 표준 시험 방법(EWF 방법 001/03)에 따라 고온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GC 데이터는 또한, 왁스의 다분산도(ÐM = Mw/Mn)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왁스 알칸의 수 평균에 대한 중량 평균의 비율로부터 계산되고, 분자량 분포의 폭을 반영한다. 이 숫자가 작을수록 분자량 분포가 좁다. 완전히 균질한 (왁스) 폴리머는 이론적으로 다분산도가 1이다.
통상적으로, 왁스는 핫멜트 접착제 제형에서 20 내지 30% 수준으로 포함되며, 왁스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성은 블로킹 특성, 연화점 및 개방 시간이다. 고온 특성과 더 큰 응집력에 기여하기 때문에, 높은 녹는점의 미세결정성(microcrystalline) 왁스(녹는 점 90 ℃) 및 합성 왁스(녹는점 75 내지 110 ℃)가 사용된다. 높은 녹는점 파라핀 왁스(녹는점 65 내지 70 ℃)는, 낮은 비용뿐만 아니라 장벽(barrier), 블로킹 방지(anti-blocking) 및 열 밀봉 특성들 때문에 핫멜트 코팅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폴리올레핀계 HMA에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Sasol Wax GmbH(Hamburg, Germany) 또는 Sasol South Africa Limited(Sasolburg, South Africa)로부터 얻을 수 있는 SASOLWAX H1, SASOLWAX C105/H105 및/또는 SASOLWAX C80/C80M(C80M은 C80의 미수소처리된 버전임)과 같은 피셔-트롭슈 왁스가, 짧은 고화 시간(set times), 높은 분할 온도(cleavage temperature), 매우 큰 SAFT 값 및 PAFT 값을 제공한다. SARAWAX SX105는 Shell로부터의 Fischer-Tropsch 왁스이다.
고화 시간은 두 개 이상의 기재들이 접착제로 결합될 때 만족스러운 결합을 형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고화 시간은 170 ℃에서 ITW Dynatec 접착제 시험 장치에서 측정될 수 있다. 고화 시간은 0.1 초의 개방 시간과 25 rpm의 펌프 속도에서 일정한 힘을 가할 때 가압 시간을 달리하여 측정된다. 용지 차이 및 환경 조건을 보상하기 위해, 이 힘은 표준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해 매일 결정된다. 고화 시간은 단일 플루트 골판지(single fluted corrugated board) 사용 시 섬유가 50% 찢어지는(50% fibre tear) 가압 시간과 동일하다.
분할 온도(cleavage temperature)는, 오븐에서 40 ℃의 초기 온도(20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됨), 12 ℃/시간의 온도 증가 및 100 g의 중량을 시편에 부착한 상태에서, US20090203847에 기술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분할 온도는 샘플 결합이 실패할 때 기록되는 오븐 온도이며, 샘플의 내열성을 나타낸다. 시편들은 접착성 비드를 170 ℃에서 단일 플루트 골판지에 도포하여 제조된다. 접착제를 도포한 후, 즉시 다른 골판지 조각을 접착 비드 위에 놓고 그 위에 100 g의 무게로 놓는다. 결합은 시험하기 전에 최소 24 시간동안 그대로 둔다.
SAFT(shear adhesion fail temperature: 전단 접착 실패 온도)는 40 ℃의 초기 온도(25분 동안 일정하게 유지), 30 ℃/시간의 온도 증가 및 500 g의 중량을 시편에 부착한 상태에서 ASTM D 4498에 따라 측정된다. 크래프트 종이(Kraft paper) 시편은 200 N의 압축력, 0.1 초의 개방 시간, 고화 시간 + 1 초와 동일한 가압 시간 및 15 rpm의 펌프 속도를 사용하여, ITW Dynatec 접착제 시험 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PAFT(peel adhesion fail temperature: 박리 접착 실패 온도)는 초기 온도 40 ℃(25분 동안 일정하게 유지), 30 ℃/시간의 온도 증가 및 100 g의 중량을 시편에 부착한 상태에서 ASTM D 4498의 변형을 기반으로 측정된다. 크래프트 종이 시편은 200 N의 압축력, 0.1 초의 개방 시간, 고화 시간 + 1 초와 동일한 가압 시간 및 15 rpm의 펌프 속도를 사용하여, ITW Dynatec 접착제 시험 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다른 유기 재료들과 마찬가지로, 왁스는 자연산화되기 쉽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래의 성질을 잃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왁스를 단독으로 또는 폴리머와 함께 색상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영향은 더 높은 온도(예를 들어, 170 ℃에서 4일 동안)에서 열 에이징에 의해 확인된다.
고온에서 열분해하는 동안 탄화수소 왁스에서 발생하는 전형적인 화학적 과정은 라디칼 사슬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며, 즉, 자유 라디칼은 탄화수소 사슬과 반응하여 사슬을 끊고 더 짧은 사슬들 및/또는 불포화 사슬들을 형성하며, 이는 다시 산소와 반응하여 함산소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대부분 색상 열화 및/또는 냄새의 원인이 된다.
왁스를 포함한 석유계 제품의 색상은 종종 표준 ASTM D 156에 정의된 세이볼트 색상 척도(Saybolt color scale)에 따라 결정된다. 척도의 범위는 +30(가장 밝은 등급)에서 -16(가장 어두운 등급)까지이다. 피셔-트롭슈 왁스는 전형적으로 0 내지 +30의 세이볼트 색상을 갖는 반면, 수소처리는 전형적으로 +26 내지 +30까지 이 숫자를 증가시킨다.
핫멜트 접착제에서, 색상은 종종, 황색 색상의 색조(shade)를 측정하는, 1차원 가드너 척도(ASTM D 1544)에 따라 등급이 매겨지지만, 이는 투명한 액체에 대해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접착제가 용융 형태에 있어야 함을 의미하고, 매우 정확하지 않는다.
색상을 결정하는 다른 방법, 특히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색상 열화에 관한 경우, 예를 들어, CIELab 값의 측정(ASTM D 2244)이 폴리머 산업에서 알려져 있다. 또한, 이것은 인간 시각의 주관적인 색상 및 밝기 인식과 더 관련이 있다. 이 방법의 경우, 관련된 시편의 사진을 디지털 카메라로 만들고, 디지털 이미지의 sRGB 색상은, ImageJ 또는 Adobe Photoshop과 같은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CIELab 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것은 다음의 값들을 제공한다: 시편의 밝기에 대한 L, 녹색 및 마젠타 색상에 대한 a, 황색 및 청색에 대한 b; 이때, L은 가장 어두운 흑색의 경우 0이고, 가장 밝은 백색의 경우 100이다. 이 값들은 오븐에서 특정 온도(예를 들어, 170 ℃)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샘플의 색상 열화를 플롯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편의 상대적인 색상 인식 변화(relative color perception change)는,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구분된 시간 지점들에서 계산되고, 시간 경과에 따라 플로팅된다. 이 플로팅된 데이터의 선형 피팅의 구배로부터, 해당 시편의 평균 선형 색상 열화 속도(average linear color degradation rate)를 얻을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상대적인 색상 변화는 또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혼합 조건들 및 예를 들어, 각각의 샘플의 열 및 에이징 이력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상이한 색상 열화 실행들의 절대 데이터는 서로 직접 비교될 수 없고, 동일한 실행 내에서 사용된 샘플들의 데이터만 비교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다양한 산화방지제 및/또는 안정화제를 사용하여, 핫멜트 접착제 및/또는 왁스의 열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Irganox 1010과 같은 높은 분자량의 덜 휘발성인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면, 고온 가공 중에 휘발성이 더 강한 산화방지제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
폴리머 자체를 개질하거나 복합 안정화제 시스템을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특히 핫멜트 접착제에서 색상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 기술의 접근법이 있었다.
예를 들어, US20130253105A1은 폴리올레핀 호모- 및 코폴리머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들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 폴리머 조성물들은, 75 ℃에서 158 시간의 열 노출 후 3 이하의 CIELab 색상 전이(□E)에 의해 반영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얼룩이 지지 않는다(stainless).
US4835200은 블록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색상 안정 핫멜트 접착제를 개시하며, 이것은 브로마이드계 커플링제, 점착 수지 및 유효량의 안정화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선택적으로(optionally), 접착제 조성물은 또한, 석유 유래 왁스를 함유할 수 있다. 색상 안정성은, 조성물을 177 ℃에서 일정 시간(24 시간 및 48 시간) 동안 에이징한 후에, 가드너 색상의 증가를 비교함으로써 측정된다.
US5266649는 색상 안정 디엔 폴리머들 및 이들을 함유하는 핫멜트 접착제를 개시하고 있으며, 색상 안정성은 디엔류를 중합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실란계 커플링제 뿐만 아니라 산화방지제로부터 비롯되고, 색상 안정성은 폴리머를 177 ℃로 가열하는 동안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드너(Gardner) 색상의 더 느린 증가에 의해 반영된다. US5266649에서 왁스는 사용되지 않는다.
EP2723825B1은 자유 라디칼 개시제로 개질된, 작용화된 폴리에틸렌 및 프로필렌-알파-올레핀 폴리머들을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들을 개시한다. 이 접착제는 적어도 하나의 피셔-트롭슈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및 말레이트화 폴리프로필렌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77 ℃에서 48 시간 및 96시간 동안 에이징 후, 접착제 조성물들의 가드너 색상의 증가를 측정하였다.
EP2292712A1은 핫멜트에서 색 안정화제로서 카르보디이미드 및 다른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130 ℃에서 핫멜트의 열 에이징 후 색상 변화는 CIELab-색상 체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고, 에이징 전후의 L, a 및 b-값들을 직접 비교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왁스를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색상 열화를 감소시키는 왁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하나의 광범위한 양태에 따르면,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색상 열화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때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를 사용함으로써 완화할 수 있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다음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 75 내지 110℃ 범위의 응고점;
- 29 이하의 ASTM D 156에 따른 세이볼트 색상; 및
- 1.02 내지 1.06의 다분산도 ÐM = Mw/Mn.
따라서, 본 발명의 광범위한 양태에 따르면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색상 열화를 완화(modify)하는 데 기술된 유형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의 용도가 제공된다.
따라서, 기술된 유형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를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색상 열화를 완화하는 공정도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용도 및 공정은, 기술된 유형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를,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블렌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색상 열화를 완화한다는 의미에서 "완화된(modified)"이란, 색상 열화가 바람직하지 않은 성질이라는 맥락에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가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색상 열화 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것의 개선은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색상 열화의 축소(감소)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더 구체적인, 양태에 따르면, 다음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 75 내지 110 ℃ 범위의 응고점;
- 29 이하의 ASTM D 156에 따른 세이볼트 색상; 및
- 1.02 내지 1.06의 다분산도 ÐM = Mw/Mn.
본 발명의 다른, 더 구체적인, 양태에 따르면,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색상 열화를 완화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를,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블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다음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 75 내지 110 ℃ 범위의 응고점;
- 29 이하의 ASTM D 156에 따른 세이볼트 색상; 및
- 1.02 내지 1.06의 다분산도 ÐM = Mw/Mn.
따라서,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 기술된 유형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더 구체적인 양태에 따르면,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를,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과 블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며, 여기서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다음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 75 내지 110 ℃ 범위의 응고점;
- 29 이하의 ASTM D 156에 따른 세이볼트 색상; 및
- 1.02 내지 1.06의 다분산도 ÐM = Mw/Mn.
따라서,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 기술된 유형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Fischer-Tropsch) 왁스(이하 피셔 트롭슈 왁스라고 함)의 독창적인 선택은, 특히 고온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색상 열화가 감소된 우수한 핫멜트 접착제를 제공한다.
색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 폴리머들 및/또는 안정화제 시스템이 사용될 필요가 없다. 피셔-트롭슈 왁스의 독창적인 사용은, 제형 자체를 수정하지 않고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색상 열화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이것은 저렴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색상 열화는 바람직하게는 오븐에서 특정 온도, 예를 들어, 170 ℃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CIELab 값들의 변화에 의해 측정된다. 이를 위해,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상대적인 색상 인식 변화는 별개의 시점에서 위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시간 경과에 따라 플롯된다. 이 플로팅된 데이터의 선형 피팅의 기울기는 해당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평균 선형 색상 열화 속도로 나타난다.
피셔-트롭슈 왁스는 피셔-트롭슈 합성에 의해 획득되며,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합성가스(CO 및 H2)의 알칸으로의 코발트 촉매 또는 철 촉매를 사용한 피셔-트롭슈 합성으로부터 기원하는 탄화수소로 정의된다. 이 합성의 미정제 생성물은 증류에 의해 액체와 다른 고체 분획들로 분리되며, 이것은 나중에 수소처리될 수 있다. 탄화수소는 주로 n-알칸, 적은 수의 분지형 알칸을 포함하며, 기본적으로 사이클로알칸 또는 불순물, 예를 들어, 황 또는 질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피셔-트롭슈 왁스는 메틸렌 단위로 구성되며, 이들의 탄소 사슬 길이 분포는, 일 구현예에 따르면, 관련된 특정 탄소 원자 사슬 길이에 대해 분자들의 수의 균등한 증가 및 감소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것은 왁스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서 볼 수 있다.
피셔-트롭슈 왁스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wt%의 분지형 탄화수소의 함량을 갖는다. 피셔-트롭슈 왁스의 분지형 분자들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 분지를 갖는 분자들을 10 중량%보다 많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보다 많이 함유한다. 또한, 피셔-트롭슈 왁스의 분지형 분자들은 바람직하게는 4차 탄소 원자들을 함유하지 않는다. 이것은 왁스의 NMR 측정에서 볼 수 있다.
피셔-트롭슈 왁스의 응고점은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5 ℃ 범위이다.
ASTM D 156에 따른 피셔-트롭슈 왁스의 세이볼트 색상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피셔-트롭슈 왁스의 다분산도 ÐM = Mw/Mn는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1.05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피셔-트롭슈 왁스는 500 내지 1200 g.mol-1,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000 g.mol-1, 가장 바람직하게는 880 내지 920 g.mol-1의 분자량(수평균)을 갖는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피셔-트롭슈 왁스는 추가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다음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다:
- 200 내지 250 J/g의, 더 바람직하게는 207 내지 245 J/g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10 내지 240 J/g의, 가장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235 J/g의,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된 용융열;
- 5 1/10 mm 이하의, 더 바람직하게는 1 1/10 mm 이하의, 25 ℃에서의 침투도(penetration);
- 10 1/10 mm 이하의 40 ℃에서의 침투도; 및
- 10 mPa·s 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mPa·s 이상의, 135 ℃에서의 브룩필드 점도.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피셔-트롭슈 왁스는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서, 2 내지 40 wt%,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wt%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가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은 20 내지 80 중량% 범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중량% 범위로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optionally), 산화방지제가,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또한, 조성물은 점착부여제(tackifier)를,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거나 및/또는 가공 오일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점착 작용제("점착부여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혼합된 방향족 및 지방족 개질된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이들의 수소처리된 버전들(versions); 테르펜, 개질된 테르펜 및 이들의 수소처리된 버전들; 천연 로진, 개질된 로진, 로진 에스테르 및 이의 수소처리된 버전들; 낮은 분자량 폴리락트산;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가공 오일은,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방향족 오일, 피마자유, 평지씨유,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공 오일은 또한, 접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증량제 오일(extender oils)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 내의 폴리올레핀 폴리머는, 비결정질 폴리-알파-올레핀 코폴리머(APAO),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부텐 호모폴리머의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옥텐 코폴리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의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함량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응고점들은 ASTM D 938에 따라 측정되었으며, 폴리머들에 대한 모든 링 및 볼 연화점(ring and ball softening points)은 ASTM E 28에 따라 측정되었다.
190 ℃에서의 폴리머 및 135 ℃에서의 피셔-트롭슈 왁스에 대한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는 스핀들 27을 사용하여 ASTM D 3236에 따라 측정되었다. 피셔-트롭슈 왁스에 대한 점도는 ASTM D 445에 따라 측정되었다.
25 ℃에서의 바늘 침투도는 ASTM D 1321에 따라 측정되었으며, 폴리머의 유리 전이점(Tg)은 ASTM D 3418에 따라 측정되었다.
피셔-트롭슈 왁스의 몰 질량(수평균) 및 이소알칸 함량은, European Wax Federation의 EWF Method 001/03에 따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었다. 피셔-트롭슈 왁스의 다분산도 ÐM = Mw/Mn은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되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된 용융열은 ASTM E 793에 따라 측정되었다.
<실시예>
다양한 폴리머들(표 1 참조) 및 피셔-트롭슈 왁스들(표 2 참조)을 사용하여, 용융 블렌딩에 의해, 다양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들(이하 때때로 "제형들"이라 함)(표 3 내지 5 참조)을 제조하였다.
용융 블렌딩을 150 ℃에서 혼합 용기에서 수행하였다. 제1 단계에서, 산화방지제, 폴리머 양의 절반, 및 왁스 양의 절반을, 폴리머가 완전히 용융될 때까지, 60 rpm에서 10분 동안 혼합하였다. 제2 단계에서, 수지 양의 절반을 첨가하고, 60 rpm에서 15분 동안 혼합하였다. 제3 단계에서, 폴리머 및 왁스의 나머지를 첨가하고, 완전히 용용될 때까지, 60 rpm에서 10 분 동안 혼합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혼합물을 이형 코팅된 용기로 옮기고, 냉각 및 고화시켰다.
표 1: 사용된 폴리머 데이터
Affinity GA 1950 Koattro PB M 600M Vistamaxx 8880
브룩필드 점도(@ 190 ℃)
[mPa·s]
ASTM D 3236
17000
(@ 177 ℃)
13500 1200
R&B 연화점 [℃]
ASTM E 28
70 n.d. 97
밀도 [g·cm-3 ] 0.874 0.89 0.879
Tg [℃]
ASTM D 3418
-56.1 n.d. -22
표 2: 사용된 피셔-트롭슈 왁스의 데이터
SX 105-1 C105-1 C105-2 C105-3 C105-4 C80 C80M
응고점
[℃]
ASTM D 938
101 102 102 102 102 83 78
세이볼트 색상
ASTM D 156
30 3 21 23 26 28 16
브룩필드 점도
(@ 135 ℃)
[mPa·s]
10.9 13.0 13.0 13.0 13.0 4.0 3.7
침투도 (@ 25 ℃)
[1/10 mm]
ASTM D 1321
1 1 1 1 1 7 7
침투도 (@ 65 ℃)
[1/10 mm]
ASTM D 1321
9 9 9 9 9 66 51
분자량(수평균)
[g·mol-1]
920 900
900 900 900 600 600
이소알칸
[중량%]
10 10 10 10 10 12.4 12.4
다분산도 1.069 1.038 1.038 1.038 1.038 1.023 1.023
표 3: Affinity GA 150을 사용한 핫멜트 접착제의 조성
제형 1 comp. 2 comp. 3 comp. 4 5 6 7
폴리머 (Affinity GA 1950) 45.5 45.5 45.5 45.5 45.5 45.5 45.5
점착 부여제 (Eastotac H130W) 34 34 34 34 34 34 34
산화방지제 (Irganox 1010) 0.5 0.5 0.5 0.5 0.5 0.5 0.5
C80M 20
C80 20
SX105 20
C105-1 20
C105-2 20
C105-3 20
C105-4 20
표 4: Koattro PB M 600M을 사용한 핫멜트 접착제의 조성
제형 8 comp. 9 comp. 10 comp. 11 12 13
폴리머 (Koattro PB M 600M) 45.5 45.5 45.5 45.5 45.5 45.5
점착 부여제 (Eastotac H130W) 34 34 34 34 34 34
산화방지제 (Irganox 1010) 0.5 0.5 0.5 0.5 0.5 0.5
C80M 20
C80 20
SX105 20
C105-1 20
C105-3 20
C105-4 20
표 5: Vistamaxx 8880을 사용한 핫멜트 접착제의 조성
제형 14 comp. 15 comp. 16 comp. 17 18
폴리머 (Vistamaxx 8880) 45.5 45.5 45.5 45.5 45.5
점착 부여제 (Eastotac H130W) 34 34 34 34 34
산화방지제 (Irganox 1010) 0.5 0.5 0.5 0.5 0.5
C80M 20
C80 20
SX105 20
C105-3 20
C105-4 20
모든 제형들은 170 ℃의 오븐에서 96 시간 동안 열 에이징되었다. 색상 안정성 분석을 위한 시험 샘플들을 생성하기 위해, 특정 시간 간격으로 HMA 버튼들을 실리콘 몰드에서 주조하였다. 그 다음, 특정 세트에서, 시험 샘플들을 제로 에이징 샘플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생성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탈 카메라로 해당 샘플의 사진을 찍고 ImageJ-소프트웨어로 RGB 색상을 CIELab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시험 샘플들의 CIElab-색상 값들을 결정하였다. 상대 색상 인식 변화를 아래 수학식에 기초하여 계산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플로팅하였다. 이 플로팅된 데이터의 선형 피팅의 구배로부터, 각각의 제형의 평균 선형 색상 열화 속도를 얻었다(표 6 내지 표 8 참조).
Figure pct00002
표 6: 제형 1 내지 7의 평균 선형 색상 열화 속도
제형 평균 선형 색상 열화 속도
실행 1 실행 2
1 comp. 0.28
2 comp. 0.25
3 comp. 0.15 0.28
4 0.32
5 0.29
6 0.13
7 0.34
표 7: 제형 8 내지 13의 평균 선형 색상 열화 속도
제형 평균 선형 색상 열화 속도
실행 1 실행 2
8 comp. 0.27
9 comp. 0.20
10 comp. 0.27 0.30
11 0.22
12 0.12
13 0.19
표 8: 제형 9 내지 18의 평균 선형 색상 열화 속도
제형 평균 선형 색상 열화 속도
실행 1 실행 2
14 comp. 0.29
15 comp. 0.19
16 comp. 0.19 0.24
17 0.10
18 0.26
이 데이터로부터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셔-트롭슈 왁스의 응고점이 핫멜트 접착제의 색상 열화를 줄이는 데 중요하며(응고점이 높을수록 더 좋음), 왁스가 수소처리된다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소처리만으로는 결정적이지 않으며, 낮은 세이볼트 색상의 수소처리된 왁스가, 높은 세이볼트 색상의 유사한 왁스보다, 색상 열화를 줄이는 데 놀랍도록 탁월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 이론에 얽매이는 것을 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추정되는 바에 따르면, 그 이유 중 하나는 해당 왁스의 탄소 사슬 분포이고, 더 작은 다분산도 값에 의해 표시되는 더 좁은 분포가 사용된 왁스의 낮은 세이볼트 색상보다 더 중요하다.

Claims (13)

  1.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색상 열화(color degradation)를 완화(modify)시키기 위한,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Fischer-Tropsch wax)의 용도로서, 상기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다음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용도:
    - 75 내지 110 ℃ 범위의 응고점(congealing point);
    - 29 이하의 ASTM D 156에 따른 세이볼트 색상(Saybolt-color); 및
    - 1.02 내지 1.06의 다분산도 ÐM = Mw/Mn.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500 내지 1200 g·mol-1의,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000 g·mol-1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880 내지 920 g·mol-1의, 분자량(수평균)을 갖는, 용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10 내지 25 중량%의 분지형 탄화수소 함량을 갖는, 용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90 내지 105 ℃ 범위의 응고점을 갖는, 용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10 이하의 ASTM D 156에 따른 세이볼트 색상을 갖는, 용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1.03 내지 1.05의 다분산도 ÐM = Mw/Mn을 갖는, 용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다음 특성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추가적으로 특징지어지는, 용도:
    - 200 내지 250 J/g의, 더 바람직하게는 207 내지 245 J/g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10 내지 240 J/g의, 가장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235 J/g의,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된 용융열;
    - 5 1/10 mm 이하의, 더 바람직하게는 1 1/10 mm 이하의, 25 ℃에서의 침투도(penetration);
    - 10 1/10 mm 이하의 40 ℃에서의 침투도; 및
    - 10 mPa·s 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mPa·s 이상의, 135 ℃에서의 브룩필드 점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 왁스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서, 2 내지 40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용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 범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중량% 범위로, 존재하는, 용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 범위로, 존재하는, 용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부여제(tackifier)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용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공 오일(process oil)이, 상기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용도.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는, 비결정질 폴리-알파-올레핀 코폴리머(APAO),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부텐 호모폴리머의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옥텐 코폴리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의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함량을 갖는, 용도.
KR1020227044566A 2020-05-28 2021-05-17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에서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왁스의 용도 KR202300178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ZA2020/03162 2020-05-28
ZA202003162 2020-05-28
PCT/IB2021/054201 WO2021240294A1 (en) 2020-05-28 2021-05-17 Use of hydrotreated synthetic fischer-tropsch-waxes in polyolefin-based hot melt adhesi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803A true KR20230017803A (ko) 2023-02-06

Family

ID=7637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566A KR20230017803A (ko) 2020-05-28 2021-05-17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에서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왁스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220246A1 (ko)
EP (1) EP4157957A1 (ko)
JP (1) JP2023532177A (ko)
KR (1) KR20230017803A (ko)
CN (1) CN115667450A (ko)
AU (1) AU2021281098A1 (ko)
BR (1) BR112022023596A2 (ko)
CA (1) CA3184490A1 (ko)
MX (1) MX2022014979A (ko)
TW (1) TW202144524A (ko)
WO (1) WO20212402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5200A (en) 1986-12-19 1989-05-30 Shell Oil Company Color stable hot melt adhesive
US5266649A (en) 1992-06-01 1993-11-30 Shell Oil Company Color stable coupled diene polymers and hot melt adhesives containing them
US8076407B2 (en) 2008-02-08 2011-12-13 Henkel Ag & Co. Kgaa Hot melt adhesive
EP2292712A1 (de) 2009-09-02 2011-03-09 Rhein Chemie Rheinau GmbH Verwendung von Carbodiimiden als Farbstabilisator in Schmelzklebstoffen
US8765851B2 (en) 2011-06-27 2014-07-01 H.B. Fuller Company Free radical initiator modified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functionalized polyethylene and propylene-alpha-olefin polymer
US20130253105A1 (en) 2012-02-17 2013-09-26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Stain and Color Change Resistant 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
EP3635067B1 (en) * 2017-05-22 2023-12-06 H. B. Fuller Company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PT3847221T (pt) * 2018-09-03 2023-03-15 Sasol South Africa Ltd Composições de cola termofundí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81098A1 (en) 2022-12-15
JP2023532177A (ja) 2023-07-27
US20230220246A1 (en) 2023-07-13
CN115667450A (zh) 2023-01-31
TW202144524A (zh) 2021-12-01
BR112022023596A2 (pt) 2022-12-20
EP4157957A1 (en) 2023-04-05
CA3184490A1 (en) 2021-12-02
WO2021240294A1 (en) 2021-12-02
MX2022014979A (es)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6348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
US7439305B2 (en) Hot-melt adhesive
AU767030B2 (en) Hot melt adhesive based on blends of EPR and/or EPDM and semicrystalline olefinic polymers
CA2260675C (en) Low application temperature hot melt adhesive
KR101496163B1 (ko) 핫 멜트 접착제
US20120165455A1 (en) OBC Based Packaging Adhesive
WO2014163758A1 (en) Adhesive compositions with wide service temperature window and use thereof
EP2895569B1 (en) Adhesive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NZ299813A (en) Hot melt adhesive containing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WO2020050225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ホットメルト接着剤
AU2019333873B2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KR20230017803A (ko)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에서의 수소처리된 합성 피셔-트롭슈-왁스의 용도
CA2325109C (en) Low application temperature hot melt adhesive
RU2800750C2 (ru) Термоплавкие связующие композиции
EP4332195A1 (en) Polypropylene based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EP4269529A1 (en) Sprayable hot melt adhesive in the form of pellets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hygiene articles
MXPA99001234A (en) Hot flown mass adhesive application temperature 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