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494A -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494A
KR20230017494A KR1020210099036A KR20210099036A KR20230017494A KR 20230017494 A KR20230017494 A KR 20230017494A KR 1020210099036 A KR1020210099036 A KR 1020210099036A KR 20210099036 A KR20210099036 A KR 20210099036A KR 20230017494 A KR20230017494 A KR 20230017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dent
light
vehicle lamp
curved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9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494A/ko
Priority to US17/806,785 priority patent/US11560995B1/en
Priority to CN202221738229.1U priority patent/CN217928591U/zh
Priority to DE202022103847.3U priority patent/DE202022103847U1/de
Priority to US18/068,372 priority patent/US11808425B2/en
Publication of KR2023001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494A/ko
Priority to US18/484,539 priority patent/US202400356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어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와, 입사부를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부 및 입사부와 출사부 사이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만입 영역이 형성된 도광체를 포함하고, 만입 영역은 입사부와 인접한 영역에서 형성되는 제1 면, 제1 면과 제1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출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면 및 제2 면과 제2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출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 면을 포함하되, 제2 연결부는 곡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가 탑재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에는 로우빔 램프, 하이빔 램프, DRL(Daytime Running Light) 램프 등이 탑재된다. 이 중, 로우빔 램프는 상부에 컷오프 라인(cut off line) 형상을 갖는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종래의 로우빔 램프는 상기와 같은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초점이 형성되는 위치에 컷오프 라인에 대응되는 형상의 컷오프부를 형성한다. 다만 하나의 평면상에 존재하는 선 형태로 형성된 컷오프부에 수평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는 평행광(이하 '수평비축광'이라 한다)이 입사되는 경우, 광의 색상 별로 초점의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되고, 하나의 평면상에 존재하는 선 형태의 컷오프부와 일치하지 않게 되며, 결국 수차(aberration)에 의한 빛 번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빛 번짐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눈부심을 발생시켜 시야를 방해할 수 있고, 이는 교통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평비축광의 색상 별로 형성되는 복수의 초점들을 연결한 선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곡선 연결부를 포함하여, 컷오프 라인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빛 번짐과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어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와, 상기 입사부를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부 및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 사이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만입 영역이 형성된 도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만입 영역은, 상기 입사부와 인접한 영역에서 형성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제1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출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과 제2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출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 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연결부는 곡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제2 면은 상기 출사부의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는 상기 곡선 연결부의 양 측으로 형성되는 직선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곡선 연결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곡선 연결부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어 상기 입사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의 색상 별로 형성되는 복수의 초점들을 연결한 선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곡선 연결부는 상기 출사부에서 상기 입사부 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면은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상기 제2 면과 연결되되, 상기 제2 연결부가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부의 형태와 대응되는 수직 방향 단면을 형성하는 수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은 상기 수직면과 연결되고,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과 연결되고, 상기 입사부에서 상기 출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입 영역은 상기 제2 면에 구비되며, 단차 형상을 갖는 컷오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컷오프부는 상기 입사부에서 상기 출사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일 측에 형성되는 하부 컷오프부, 상기 입사부에서 상기 출사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타 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컷오프부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컷오프부 및 상기 하부 컷오프부와 상기 상부 컷오프부를 연결하는 단차 컷오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 연결부는 상기 만입 영역의 상부 컷오프부와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상부 곡선 연결부 및 상기 만입 영역의 하부 컷오프부와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하부 곡선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 연결부는 상기 만입 영역의 단차 컷오프부와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단차 곡선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선 연결부는 상기 만입 영역의 상부 컷오프부와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구간에 형성되는 상부 직선 연결부 및 상기 만입 영역의 하부 컷오프부와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구간에 형성되는 하부 직선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은 상기 입사부에서 상기 출사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부는 상기 도광체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도광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입사부는 상기 광원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출사부는 상기 입사부를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으로서, 상기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어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와, 상기 입사부를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부 및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 사이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만입 영역이 형성된 도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만입 영역은 상기 입사부와 인접한 영역에서 형성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제1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출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과 제2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출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 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연결부는 곡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우빔 배광패턴 형성 시 컷오프 라인의 상부에 형성되는 빛 번짐과 그로 인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전방 차량의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사고 발생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체의 내부에서 수평비축광이 투과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체의 만입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체의 만입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체의 입사부에서 출사부 방향으로 바라본 컷오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램프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빔 배광 패턴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차량용 램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체의 내부에서 수평비축광이 투과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이하 '램프'라 한다)는 광원(1) 및 도광체(3)를 포함한다. 광원(1)은 광을 조사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LED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광원(1)에서 조사된 광은 콜리메이터(2)를 투과하여 도광체(3)로 입사하게 된다. 콜리메이터(2)는 광원(1)에서 출사된 광을 평행광으로 전환한 후 도광체(3)에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전술한 광원(1)은 콜리메이터(2)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도광체(3)는 렌즈일 수 있으며,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후술하는 것과 같이 통상의 렌즈와 달리 복잡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조 용이성 측면에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도광체(3)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광체(3)는 상기 광원(1)의 일 측에서 광원(1)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광원(1)에서 조사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100)와, 도광체(3)의 입사부(100) 반대 측에 구비되어 입사부(100)를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부(200)를 포함한다.
입사부(100)는 광원(1)에서 조사되어 콜리메이터(2)를 투과한 광이 도광체(3)로 입사되는 영역이며, 동시에 도광체(3)의 후방에 위치한 영역으로, 광원(1)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출사부(200)는 입사부(100)를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도광체(3)의 전방에 위치한 영역으로, 입사부(100)를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입사부(100)와 출사부(200)는 도광체(3)의 후방 및 전방에 구비되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광체(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부(100)와 출사부(200) 사이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만입 영역(300)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여 만입 영역(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만입 영역(300)은 제1 면(310), 제2 면(320) 및 제3 면(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310)은, 제2 면(320) 및 제3 면(3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광체(3)의 입사부(100)와 인접한 영역에서 형성되며, 로우빔 배광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입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shield) 역할을 하는 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면(310)은 표면 처리를 하여 제1 면(310)에 도달하는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도광체(3)의 입사부(100)를 통해 입사된 광의 일부가 출사부(200)로 출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제1 면(310)은 도광체(3)의 하면에 형성되되, 입사부(100)에서 출사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만입 영역(30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면(310)에서 반사된 광이 도광체(3)의 전방에 위치하는 출사부(200)로 출사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면(320)은 제1 면(310)과 연결되고, 입사부(100)에서 출사부(200)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출사부(200)의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즉, 제2 면(320)은 제1 면(310)과 연결되고 출사부(200)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면(310)과 후술할 제3 면(330)을 이어주는 면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도광체(3)의 만입 영역(300)이 제2 면(320)을 포함하고, 제2 면(320)은 쉴드 역할을 하는 제1 면(31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되 제2 면(320)의 상부로 도달하는 광을 반사시켜 출사부(200)로 향하게 하며, 이로써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면(320)은 제1 면(310)과 제1 연결부(340)에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340)란 제1 면(310)과 제2 면(320)을 연결하는 선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연결부(340)는 입사부(100)의 초점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제1 면(310)과 제2 면(320)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제2 면(3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빔 배광 패턴의 컷오프 라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컷오프부(32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컷오프부(321)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제3 면(330)은 제2 연결부(350)에서 제2 면(320)과 연결되며, 출사부(2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350)란 제2 면(320)과 제3 면(330)을 연결하는 선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면(320)은 제1 면(310)과 제3 면(330)의 사이에서 제1 연결부(340)와 제2 연결부(350)에 의해 형성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부(350)는 곡선 연결부(351) 및 곡선 연결부(35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직선 연결부(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곡선 연결부(35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도광체(3)에 입사된 광에 대해 살펴보면, 도광체(3)에 입사된 광은 수평비축광일 수 있다. 수평비축광은 수평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는 평행광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수평비축광 중 적색광(R)은 광축과 수평할 수 있고, 녹색광(G)은 광축과 5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으며, 청색광(B)은 광축과 10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고, 흑색광(K)은 광축과 20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처럼 수평 비축광은 광의 색상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다양한 각도를 가지며, 이에 각 색상 별 초점(Rf, Gf, Bf, Kf)의 위치 역시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평비축광은 하나의 평면 또는 직선에서 초점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곡면 또는 곡선을 따라 초점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연결부(3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 연결부(3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빛 번짐이 일어날 수 있는 빛의 각도를 변경하여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고, 광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전방 차량의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곡률이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비축광의 색상(R, G, B, K) 별로 형성되는 복수의 초점(Rf, Gf, Bf, Kf)들을 연결한 가상의 선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률을 의미할 수 있다. 곡선 연결부(35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초점(Rf, Gf, Bf, Kf)들의 위치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곡선 연결부(351)는 출사부(200)에서 입사부(100) 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만입된 형상이란 원 또는 타원의 형상 중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연결부(350)는 도광체(3)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우 방향의 중심부에 곡선 연결부(351)가 형성되고, 곡선 연결부(351)의 양측에 직선 연결부(352)가 형성되되, 도광체(3)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제3 면(330)은 수직면(331), 수평면(332) 및 경사면(3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수직면(331)은 상술한 제2 연결부(350)에서 제2 면(320)과 연결되되, 제2 연결부(350)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2 연결부(350)의 형태와 대응되는 수직 방향 단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부(350)가 곡선 연결부(351)와 직선 연결부(352)를 포함하고, 곡선 연결부(351)가 출사부(200)에서 입사부(100) 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진 경우, 제3 면(330)의 수직면(331) 또한 곡선 연결부(351)의 만입된 형상과 대응되도록 만입된 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면(332)은 상기 수직면(331)과 연결되고 입사부(100)에서 출사부(200)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면일 수 있으며, 경사면(333)은 수평면(332)과 연결되고, 입사부(100)에서 출사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만입 영역(300)은 제2 면(320)에 구비되며 단차 형상을 갖는 컷오프부(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컷오프부(321)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빔 배광 패턴에 컷오프 라인이 형성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단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컷오프부(32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체의 만입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체의 만입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체의 입사부에서 출사부 방향으로 바라본 컷오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컷오프부(321)는 입사부(100)에서 출사부(200)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일 측에 형성되는 하부 컷오프부(321b)와, 좌우 방향 타 측에 형성되며 하부 컷오프부(321b)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컷오프부(321a) 및 하부 컷오프부(321b)와 상부 컷오프부(321a)를 연결하는 단차 컷오프부(321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측이란 입사부(100)에서 출사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좌측일 수 있으며, 타 측이란 입사부(100)에서 출사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우측일 수 있다.
또한 상부 컷오프부(321a)와 하부 컷오프부(321b)는 광축과 평행하되, 단차 컷오프부(321c)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 컷오프부(321a)와 하부 컷오프부(321b) 사이 단차가 형성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단차 형상을 갖는 컷오프부(321)가 구비되는 경우, 제1 면(310)과 제2 면(320)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340) 및 제2 면(320)과 제3 면(330)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350) 또한 단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2 연결부(350)의 단차 형상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제2 연결부(350)는 곡선 연결부(351)와 직선 연결부(352)를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제2 연결부(350)의 좌우 방향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곡선 연결부(351)에 단차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곡선 연결부(351)는 만입 영역(300)의 상부 컷오프부(321a)와 제3 면(330)이 만나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상부 곡선 연결부(351a) 및 하부 컷오프부(321b)와 제3 면(330)이 만나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하부 곡선 연결부(35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곡선 연결부(351)는 만입 영역(300)의 단차 컷오프부(321c)와 제3 면(330)이 만나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단차 곡선 연결부(35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곡선 연결부(351)의 존부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배광 패턴을 살펴본다. 도 6의 (a)에는 곡선 연결부(351)가 포함되지 않은 차량용 램프(이하 '비교예'라 한다)에 의해 형성된 로우빔 배광 패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의 (b)에는 곡선 연결부(351)가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라 한다.)에 의해 형성된 로우빔 배광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a)의 비교예에 의해 형성된 배광 패턴을 살펴보면 컷오프 라인(CL)의 좌우측 상부에 배광 패턴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컷오프 라인(CL)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광 패턴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눈부심 현상을 일으켜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 반면에, 도 6(b)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배광 패턴은, 컷오프 라인(CL)의 좌우측 상부에 배광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컷오프 라인(CL)의 우측 상부인 B 영역에서는 배광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배광 패턴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전방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사고 발생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이외에도, 직선 연결부(352)는 만입 영역(300)의 상부 컷오프부(321a)와 제3 면(330)이 만나는 구간에 형성되는 상부 직선 연결부(352a) 및 하부 컷오프부(321b)와 제3 면(330)이 만나는 구간에 형성되는 하부 직선 연결부(352b)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차량용 램프(이하 '램프'라 한다)를 포함한다. 램프는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램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1) 및 광원(1)의 일 측에 구비되어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100)와, 입사부(100)를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부(200) 및 입사부(100)와 출사부(200) 사이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만입 영역(300)이 형성된 도광체(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만입 영역(300)은 입사부(100)와 인접한 영역에서 형성되는 제1 면(310), 제1 면(310)과 제1 연결부(340)에서 연결되고, 출사부(200)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면(320) 및 제2 면(320)과 제2 연결부(350)에서 연결되고, 출사부(200)를 향해 연장되는 제3 면(330)을 포함하되, 제2 연결부(350)는 곡선 연결부(351)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램프에 대해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 광원
2: 콜리메이터
3: 도광체
100: 입사부
200: 출사부
300: 만입 영역
310: 제1 면
320: 제2 면
321: 컷오프부
321a: 상부 컷오프부
321b: 하부 컷오프부
321c: 단차 컷오프부
330: 제3 면
331: 수직면
332: 수평면
333: 경사면
340: 제1 연결부
350: 제2 연결부
351: 곡선 연결부
351a: 상부 곡선 연결부
351b: 하부 곡선 연결부
351c: 단차 곡선 연결부
352: 직선 연결부
352a: 상부 직선 연결부
352b: 하부 직선 연결부

Claims (18)

  1.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어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와, 상기 입사부를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부 및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 사이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만입 영역이 형성된 도광체; 를 포함하고,
    상기 만입 영역은,
    상기 입사부와 인접한 영역에서 형성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제1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출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과 제2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출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 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연결부는,
    곡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출사부의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곡선 연결부의 양 측으로 형성되는 직선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연결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연결부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어 상기 입사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의 색상 별로 형성되는 복수의 초점들을 연결한 선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연결부는,
    상기 출사부에서 상기 입사부 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상기 제2 면과 연결되되,
    상기 제2 연결부가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부의 형태와 대응되는 수직 방향 단면을 형성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수직면과 연결되고,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과 연결되고, 상기 입사부에서 상기 출사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 영역은,
    상기 제2 면에 구비되며, 단차 형상을 갖는 컷오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컷오프부는,
    상기 입사부에서 상기 출사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일 측에 형성되는 하부 컷오프부;
    상기 입사부에서 상기 출사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타 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컷오프부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컷오프부; 및
    상기 하부 컷오프부와 상기 상부 컷오프부를 연결하는 단차 컷오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연결부는,
    상기 만입 영역의 상부 컷오프부와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상부 곡선 연결부; 및
    상기 만입 영역의 하부 컷오프부와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하부 곡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연결부는
    상기 만입 영역의 단차 컷오프부와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단차 곡선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연결부는,
    상기 만입 영역의 상부 컷오프부와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구간에 형성되는 상부 직선 연결부; 및
    상기 만입 영역의 하부 컷오프부와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구간에 형성되는 하부 직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입사부에서 상기 출사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도광체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도광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는,
    상기 광원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갖는 차량용 램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부는,
    상기 입사부를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갖는 차량용 램프.
  18.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으로서,
    상기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어 광이 입사되는 입사부와, 상기 입사부를 통해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부 및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 사이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만입 영역이 형성된 도광체; 를 포함하고,
    상기 만입 영역은,
    상기 입사부와 인접한 영역에서 형성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제1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출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과 제2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출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 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연결부는,
    곡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210099036A 2021-07-28 2021-07-28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KR20230017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036A KR20230017494A (ko) 2021-07-28 2021-07-28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US17/806,785 US11560995B1 (en) 2021-07-28 2022-06-14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02221738229.1U CN217928591U (zh) 2021-07-28 2022-07-07 用于车辆的灯和包括该灯的车辆
DE202022103847.3U DE202022103847U1 (de) 2021-07-28 2022-07-08 Leuchte für ein Fahrzeug und Fahrzeug mit dieser
US18/068,372 US11808425B2 (en) 2021-07-28 2022-12-19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8/484,539 US20240035636A1 (en) 2021-07-28 2023-10-11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036A KR20230017494A (ko) 2021-07-28 2021-07-28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94A true KR20230017494A (ko) 2023-02-06

Family

ID=8522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036A KR20230017494A (ko) 2021-07-28 2021-07-28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74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9311B (zh) 车辆用灯具
JP6340751B2 (ja) レンズ体及び車両用灯具
US8690405B2 (en) Vehicle lighting unit
JP6016057B2 (ja) 車両用灯具
JP6146040B2 (ja) 車両用前照灯
JP6832542B2 (ja) 車両用前照灯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
KR102289755B1 (ko)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US8092059B2 (en) Vehicular lighting fixture
JP6688153B2 (ja) レンズ体および車両用灯具
KR20190025206A (ko) 차량용 램프
KR102419832B1 (ko) 자동차용 조명장치
KR102041082B1 (ko) 헤드램프
KR20230017494A (ko)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US11639780B2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same
CN211822200U (zh) 一种近光初级光学元件、车灯模组、车灯和车辆
KR102558734B1 (ko) 차량용 램프
CN217928591U (zh) 用于车辆的灯和包括该灯的车辆
KR101928752B1 (ko) 차량용 램프
CN214468354U (zh) 遮光结构、遮光件、车灯模组、车灯和车辆
KR20200058127A (ko) 차량용 램프
US11662075B2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240151376A1 (en) Vehicle lamp
KR20200034476A (ko) 차량용 램프
KR20230036354A (ko) 램프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
KR102091488B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